KR101448236B1 - 로드 밀링 기계 등을 위한 이젝터 유닛 - Google Patents

로드 밀링 기계 등을 위한 이젝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236B1
KR101448236B1 KR1020117024967A KR20117024967A KR101448236B1 KR 101448236 B1 KR101448236 B1 KR 101448236B1 KR 1020117024967 A KR1020117024967 A KR 1020117024967A KR 20117024967 A KR20117024967 A KR 20117024967A KR 101448236 B1 KR101448236 B1 KR 10144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mounting
carrier
receptac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097A (ko
Inventor
카르스텐 부어
토마스 레너트
슈테판 아브래슈
사이러스 바리마니
귄터 한
Original Assignee
비르트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290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4823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비르트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르트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0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5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power-driven tools, e.g. vibratory tools
    • E01C23/088Rotary tools, e.g. mil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16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specially designed for control by copy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8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milling, e.g. channelling by means of milling tools
    • B28D1/186Tools therefor, e.g. having exchangeable cutter bits
    • B28D1/188Tools therefor, e.g. having exchangeable cutter bits with exchangeable cutter bits or cutter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위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이젝터를 갖는 이젝터 유닛, 특히 로드 밀링 기계를 위한 이젝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드 밀링 기계 등을 위한 이젝터 유닛{EJECTOR UNIT FOR A ROAD MILLING MACHINE OR THE LIKE}
본 발명은 이젝터 유닛, 특히 운송 표면을 포함하는 이젝터를 갖는 로드 밀링 기계를 위한 이젝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로드 밀링 기계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비트 홀더(bit holder)가 표면에 장착되어 있는 밀링 튜브(tube)를 포함한다. 비트 홀더는 통상적으로 비트 홀더 변경 시스템(bit holder changing system)의 부품이며, 이 시스템은 또한 베이스 부품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품은 밀링 튜브의 표면에 용접되며, 비트 홀더를 교체 가능하게 수용한다. 비트 홀더는 절삭 비트, 통상적으로 예컨대 P 37 01 905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샤프트 절삭 비트를 장착하도록 작동한다. 비트 홀더는 밀링 튜브의 표면에 배열되어서 나선형 헬릭스(helix)들을 만든다. 헬릭스는 밀링 튜브의 가장자리 구역으로부터 진행하며, 밀링 튜브의 중심을 향해 회전한다.
따라서, 대향적으로 위치하는 가장자리 구역들로부터 진행하는 각각의 헬릭스들은 밀링 튜브의 중심에서 만난다. 그 다음, 하나 이상의 이젝터들은 또한 이 구역에서 배열된다. 헬릭스들은 절삭 비트에 의해 제거된 물질을 이젝터들에 운송한다. 그 다음, 이젝터들은 이를 밀링 튜브의 작업 구역 밖으로 수송한다.
이젝터들은 심각한 마모 침입을 받으며, 따라서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고 교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밀링 튜브 위에 용접된 이젝터는 탈착시키고 새로운 것으로 그 위에 용접해야 한다. 이상적인 배출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젝터의 정확한 위치선정 및 정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밀링 튜브의 한정된 작업 영역에서의 이 교체 작업은 노동 소모적이다(laborious).
DE 37 01 905 A1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의 간편한 유지관리가 가능한 개선된 이젝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이젝터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이젝터는 캐리어 위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젝터가 손상 또는 마모의 경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는 공구 시스템이 생성된다. 이에 의해, 작업은 크게 간소화되고, 기계의 중단 시간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젝터는 2개 이상의 상이한 작동 위치에서 캐리어 위에 장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젝터는 마모 한계에 도달될 때까지 하나의 작동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이젝터는 다음 작동 위치로 이동한 후,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상적인 이젝터와 비교할 경우 크게 연장된 이젝터 수명을 나타낸다.
작동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이젝터는 180°로 회전하게 설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활용되는 것은 이젝터가 밀링 튜브로부터 멀리 향하는 그의 구역 위에서 실질적으로 마모되고 있다는 인식이다. 일단 그곳에서 마모 상태가 도달되면, 이젝터는 탈착되며 180°로 회전하게 다시 설치된다. 이에 의해, 이젝터 수명은 크게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사실상 이상적으로 2배이다. 이젝터의 작동 위치를 변경할 경우 가능한 거의 시간 손실을 없게 하고 분명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이젝터 및 홀더가 기계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형성하며 이것이 이젝터의 가역적 설치를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젝터가 장착 리셉터클 및/또는 장착 익스텐션을 포함하고 이젝터가 하나 이상의 장착 요소들에 의해 캐리어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사실로부터, 이젝터는 캐리어 부품 위에 고착 장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고려 가능한 대안 중 하나는, 이젝터를 장착 측부에 의해 캐리어의 지지 표면 위에 평면 방식으로 브레이싱하고(brace), 이젝터가 고착 익스텐션 및/또는 고착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고착 익스텐션이 캐리어의 고착 리셉터클 내에 체결되고/되거나 캐리어의 고착 리셉터클이 이젝터의 고착 리셉터클 내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고착 익스텐션과 고착 리셉터클의 상호 체결 연결은 가공 힘이 하중-최적화 방식으로 소멸될 수 있음을 통해 양(+)으로 체결된 연결을 생성시킨다. 이는, 양(+)으로 체결된 연결이 공급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캐리어에 대해 이젝터의 오프셋을 지연 또는 차단하도록 제공될 수 있는 경우 특히 가능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 유닛에 관하여, 캐리어가 지지체 부품을 형성화한 곳 위에 장착 풋(foot)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풋이 공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장착 표면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장착 표면에 의해, 캐리어는 밀링 튜브 위에 정확하게 위치되고 그 위에 장착, 특히 용접될 수 있다.
캐리어는 경제적인 요소로서 간소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공급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또는 공급 방향의 지지체 부품에 대해 장착 풋을 확장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면, 하중-최적화된 형태가 생성된다. 지지체 부품과 장착 풋 사이의 전이 구역은 공구 인서트 내의 큰 굴곡 응력에 노출된다. 확장은 그 지점에서 물질 응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젝터가 이젝터 유닛의 공급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배열되고 속인 빈 방식, 특히 국자형 방식의 오목형으로 적어도 국소적으로 공구 공급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에서 구현된 운송 표면을 포함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 속이 빈 구조는 배출 속도를 개선시키는 형태를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함몰부가 운송 표면 내에 도입되도록 제공하면, 공구 사용 기간 동안 제거된 물질은 점차 함몰부 내에 침착될 수 있다. 그 곳에서, "자연적(natural)" 마모 보호 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스크류 리셉터클이 장착 리셉터클로서 사용되고, 스크류 리셉터클이 이젝터의 전방 측부를 향하여 스크류 헤드 리셉터클 내로 개방되어서 장착 스크류의 스크류 헤드가 적어도 국소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신속하고 문제가 없는 이젝터 교체가 스크류 연결부(connection)들에 의해 가능하다. 스크류 헤드의 카운터싱크된(countersunk) 또는 부분적으로 카운터싱크된 수용부(reception)는 카운터싱크된 헤드 구역에 대한 마모 침입을 막는다. 또한, 이 지점에서의 스크류의 해체가 방지된다.
하나 이상의 세이프드-온(shaped-on) 강직성 리브(rib)들이 운송 표면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후방 측부 위에 배열되도록 이젝터의 구조가 존재한다면, 충분하게 견고한 이젝터는 재료 비용지출이 거의 없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된 실시양태는 장착 측부가 캐리어의 오목 수용부에 대항하여 접촉하기 위한 볼록 장착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캐리어와 이젝터 사이에 표면 연결부가 생성되며, 이를 통해 가공 힘이 운송 표면에 대한 비대칭 힘 적용의 경우에도 신뢰 가능하게 방산될 수 있다.
운송 표면을 공급 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연장하는 방식으로 캐리어가 이젝터를 고정하도록 제공된다면, 배출 성능은 최적화될 수 있다. 특히 우수한 성능은 +/- 20°의 각도 범위에서의 경사 설정으로 달성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놀랍게도, 음(-)의 경사각, 특히 공급 방향에 대해 5 내지 15°의 경사에서 최적화가 달성된다.
수명 기간 동안의 추가 개선사항은 운송 표면보다 더 내마모성인 물질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마모 보호 요소가 운송 표면의 구역에서 배열되는 사실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마모 보호 요소가 딱딱한 물질 요소에 의해 또는 하드페이싱(hardfacing)에 의해 구성되도록 특히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묘사된 예시적 실시양태들을 참고하여 이후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로드 밀링 기계의 밀링 드럼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밀링 드럼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도면의 확대도 및 약간 변경된 묘사를 갖는 도면이고;
도 4는 이젝터 유닛의 전방 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이젝터 유닛의 후방 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이젝터 유닛의 캐리어의 후방 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캐리어의 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이젝터 유닛의 이젝터의 전방 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캐리어의 후방 투시도이고;
도 10은 이젝터 및 캐리어를 갖는 이젝터 유닛의 제 2 실시양태의 후방 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배열의 전방 투시도이다.
도 1은, 드럼 표면(10.1) 위에 비트 홀더 변경 시스템의 다수의 베이스 부품(11)이 용접되어 있는 원통형 밀링 튜브(10)를 갖는 밀링 드럼을 제시한다. 베이스 부품(11)은 교체 가능한 비트 홀더(12)를 갖는다. 절삭 비트(13), 특히 원형-샤프트 절삭 비트는 각각의 비트 홀더(12) 내에 교체 가능하게 수용된다. 베이스 부품(11)은 서로에 대해 이들이 헬릭스, 특히 수송 헬릭스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드럼 표면(10.1) 위의 밀링 튜브(10)의 측부로부터 진행되는 헬릭스는, 상기 2개의 측부들 사이에 형성된 밀링 튜브 중심을 향하여 회전한다. 더욱 분명하게 하기 위해, 비트 홀더 변경 시스템의 단지 일부만이 도 1 및 2에 묘사된다. 절삭 비트(13)의 중심 종방향 축을 나타내는 대쉬선들은, 비트 홀더 변경 시스템(제시되지 않음)에 대한 대체물로서 제시된다. 이들 라인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송 헬릭스들은 밀링 튜브 중심의 양 측부에 위치한다.
수송 헬릭스들은 밀링 튜브 중심의 구역에서 쌍으로 만난다. 도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각각의 이젝터 유닛이 그 곳에서 배열된다. 도 2에서의 묘사와 비교되는 도 3에서는 이젝터 유닛에 대해 재차 주지시키는 비트 홀더 변경 시스템을 제시하지 않는다. 이 묘사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젝터 유닛은 캐리어(30) 및 이젝터(20)에 의해 구성된다.
도 4 및 5는 고립된 상태의 이젝터 유닛을 제시한다.
먼저, 캐리어(30)의 디자인은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부품은 장착 표면(33)이 아래에 형성되는 장착 풋(31)을 포함한다. 이것으로, 캐리어(30)는 드럼 표면(10.1)에 위치할 수 있으며, 측부에서 용접될 수 있다. 후방 측부(36)를 형성하는 상향 돌출형 지지 부품(35)이 장착 풋(31) 위에 형상화된다. 장착 풋(31)은 익스텐션(32)에 의해 후방 측부(36) 너머로 확장되어서, 큰 지지 공간을 갖는 폭이 넓은 장착 표면(33)을 형성한다. 더욱이, 익스텐션(32)에 의해 생성된 확장된 단면은 장착 풋(31)과 지지 부품(35) 사이의 고도로 긴장된 전이 구역의 강화를 초래한다. 장착 표면(33)의 추가 확장은, 익스텐션(32)과 같이, 캐리어(30)의 전체 폭 너머로 연장되는 전방 측부 돌출부(34)로 달성된다. 캐리어(30)는 캐리어(30)의 전방 측부 너머로 그리고 또한 장착 풋(31)의 일부 너머로 연장되는 지지 표면(37)을 전방 측부 위에서 포함한다. 지지 표면(37)의 이 실시양태는 이젝터(20)의 강도-최적의 브레이싱(bracing)을 가능하게 한다. 2개의 리셉터클(37.1, 37.2)은 지지 표면(37) 내에 삽입된다(inset). 2개의 리셉터클(37.1, 37.2)은 지지 표면(37) 내로 오목하여서 이들은 구유형 공동(trough-like hollow)을 형성한다.
이젝터(20)은 이후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는 낙하 단조된 부품으로서 판형으로 구현되며, 따라서 특히 견고하다. 이젝터(20)는 전방-측부 운송 표면(21)을 포함한다.
상기 표면에는 오목부(21.1, 22)가 설치된다. 수직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존재하며 따라서 이젝터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리브들이 오목부(21.1) 사이에 위치한다. 오목부는 작동 기간 동안 제거된 물질을 수용하며, 따라서 “자연적” 마모 보호기를 형성한다. 더욱이, 특히 우수한 운송 속도는, 운송 표면(21)이 오목하며 따라서 국자형 방식으로 구현되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오목부(22)는 운송 표면(21)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존재하며 운송 작동을 보조하는 2개의 경사진 표면(22.1)을 포함한다.
관통 구멍으로서 구현된 2개의 스크류 리셉터클(29)을 수용하는 두꺼운 익스텐션(23)이 2개의 오목부(22) 사이에 위치한다. 스크류 리셉터클(29)은 전방 측부 위에서 육각형 스크류 헤드 리셉터클(29.1) 내로 전이된다.
도 9는 이젝터(20)의 후방 측부를 제시한다. 이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리브-유사 고착 익스텐션(26.1, 26.2)은 후방 측부 위에서 이젝터(20)로부터 돌출된다. 고착 익스텐션(26.1 및 26.2)은 이들의 배열 및 치수에 견주어 캐리어(30)의 리셉터클(37.1 및 37.2)의 배열 및 형상에 순응하게 개조된다. 스크류 리셉터클(29)은 고착 익스텐션(26.1)을 통해 안내된다.
도 9로부터 또한 증명되는 바와 같이, 강직한 리브(27)가 이젝터(20)의 후방 측부 코너 구역에서 배열된다. 상기 리브들은 수평 고착 익스텐션(26)에 연결되며, 따라서 최적의 에너지 방산을 나타낸다.
이젝터(20)를 장착하기 위해, 그의 후방 측부가 캐리어(30)의 지지 표면(37) 위에 위치한다. 그 다음, 고착 익스텐션(26.1, 26.2)은 대응하는 리셉터클(37.1, 37.2) 내에 체결된다. 이로 인해, 밀링 튜브(10)의 축 방향 및 방사 방향으로 캐리어(30)에 대한 이젝터(20)의 임의의 변위를 막는 십자형 스플라이닝(crosswise splining)이 생성된다. 이 스플라이닝된 연결에 의해, 공구 사용 도중 발생되는 힘의 대부분이 방산될 수 있다.
이젝터(20) 및 캐리어(30)의 스크류 리셉터클(29, 36.1)은 정렬되어서, 장착 스크류(24)(도 4 및 5 참조)가 그들을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다. 장착 스크류(24)의 스크류 헤드는 스크류 헤드 리셉터클(29.1) 내에 조정되며, 여기서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자가-로킹 너트(self-locking nut)(28)는 장착 스크류(24) 위로 스크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젝터(20)는 캐리어(30) 위에 고착될 수 있다.
이는 주로 공구 사용 도중 마모되는 이젝터(20)의 방사 돌출형 구역이다. 도 8 및 9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젝터(20)는 중심의 횡방향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마모 한계에 도달하는 경우, 이는 제거될 수 있으며, 다시금 180° 회전되어질 수 있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라 이젝터 유닛의 추가의 변형된 실시양태를 제시한다. 상기 유닛이 다시 한번 이젝터(20) 및 캐리어(30)를 포함한다. 다시, 이젝터(20)는 가공 방향을 향하는 속인 빈 운송 표면(21)을 포함하며, 속이 빈 상태는 가공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다. 운송 표면(21)으로부터 멀리 향하여, 이젝터(20)는 그의 후방-측부 장착 측부(25) 위에 장착 익스텐션(20.1)을 포함한다. 후자의 경우는 가공 방향에 대해 반대로 차단하는 방식으로 돌출된다. 이는 캐리어(30)의 스크류 리셉터클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는 2개의 스크류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장착 스크류(24)는 스크류 리셉터클을 통과할 수 있고, 너트(28)에는 이들의 나사선 스터드(threaded stud) 위에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젝터(20)가 고정적으로 죄어지며, 특히 캐리어(30)의 지지 표면(37)에 대항하여 브레이싱된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젝터(20)에는 장착 측부(25)의 구역에서 컷아웃(cutout)(20.2)이 장착된다. 상부 컷아웃(20.2)은 장착 스크류(24)의 헤드를 수용하며, 따라서 제거된 물질의 마모적 침입으로부터 운송 표면(21) 뒤의 이들이 보호된다. 하부 컷아웃(20.2)은 캐리어(30) 너머로 스커트(skirt) 방식으로 연장되며 그 위치에서 이를 보호한다. 이젝터(20)는 중심 횡방향 축에 대해 대칭이며, 따라서 캐리어(30) 위에서 180° 회전된 2개의 작동 위치에서 가역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Claims (22)

  1. 이젝터(20)를 갖는 로드 밀링 기계를 위한 이젝터 유닛으로서,
    운송 표면(21)을 포함하되,
    상기 이젝터(20)는 캐리어(30) 위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이젝터(20)가 2개 이상의 상이한 작동 위치에서 캐리어(30) 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이젝터(20)가 180° 회전되게 설치 가능하고,
    상기 이젝터(20) 및 캐리어(30)가 상기 이젝터(20)의 가역적 설치가 가능한 기계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형성하고,
    상기 이젝터(20)가 스크류 리셉터클(29)인 장착 리셉터클 또는 장착 익스텐션(20.1)을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20)가 장착 리셉터클(29) 또는 장착 익스텐션(20.1) 위에 하나 이상의 장착 요소인 장착 스크류(24)에 의해 캐리어(30)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젝터(20)가 장착 측부(25)에 의해 캐리어(30)의 지지체 표면(37) 위에 평면 방식으로 브레이싱되고(brace),
    상기 이젝터(20)가 고착 익스텐션(26.1, 26.2) 또는 고착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고착 익스텐션(26.1, 26.2)이 캐리어(30)의 고착 리셉터클(37.1, 37.2) 내에 체결되거나 캐리어(30)의 고착 익스텐션이 상기 이젝터(20)의 고착 리셉터클 내에 체결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30)가 장착 풋(foot)(31)을 포함하고, 그 위에 지지체 부품(35)이 형상화되어 있고,
    상기 장착 풋(31)이 공급 방향(V)으로 연장되는 장착 표면(33)을 포함하는 이젝터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풋(31)이 공급 방향(V)으로 또는 이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지지체 부품(35)에 대해 확장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20)가, 이젝터 유닛의 공급 방향(V)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되고 국자형 방식의 오목형으로 공구 공급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에서 구현되어 있는 운송 표면(21)을 포함하는 이젝터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표면(21)이 직선 세그먼트 또는 곡선 세그먼트로부터 오목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함몰부(21.1, 22)가 상기 운송 표면 내에 도입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1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크류 리셉터클(29)이 장착 리셉터클로서 사용되고;
    이젝터(20)의 전방 측부를 향하는 스크류 리셉터클(29)이, 장착 스크류(24)의 스크류 헤드가 적어도 국소적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스크류 헤드 리셉터클(29.1) 내에 개방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13.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세이프드-온 강직성 리브(shaped-on stiffening rib)(27)가 운송 표면(21)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후방 측부 위에 배열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측부(25)가 캐리어(30)의 오목 수용부에 대항하여 접촉하기 위한 볼록 장착 부분을 포함하는 이젝터 유닛.
  15. 제 1 항에 있어서,
    운송 표면(21)보다 더 내마모성인 물질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마모 보호 요소가 운송 표면(21)의 구역에 배열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보호 요소가 경질-물질 요소 또는 하드페이싱(hardfacing)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30)가, 운송 표면(21)을 가공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식인, 그의 방사 배향에 대해 +/- 20°의 각도(α)로 경사진 방식으로 이젝터(20)를 고정하고 있는 이젝터 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가 -5 내지 -20°의 각도 범위에서 가공 방향에 대해 음(-)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20)가 스크류 리셉터클(29)인 장착 리셉터클 및 장착 익스텐션(20.1)을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20)가 장착 리셉터클(29) 및 장착 익스텐션(20.1) 위에 하나 이상의 장착 요소인 장착 스크류(24)에 의해 캐리어(30)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20)가 장착 측부(25)에 의해 캐리어(30)의 지지체 표면(37) 위에 평면 방식으로 브레이싱되고(brace),
    상기 이젝터(20)가 고착 익스텐션(26.1, 26.2) 및 고착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고착 익스텐션(26.1, 26.2)이 캐리어(30)의 고착 리셉터클(37.1, 37.2) 내에 체결되고 캐리어(30)의 고착 익스텐션이 상기 이젝터(20)의 고착 리셉터클 내에 체결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2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표면(21)이 직선 세그먼트 및 곡선 세그먼트로부터 오목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20)가 장착 측부(25)에 의해 캐리어(30)의 지지체 표면(37) 위에 평면 방식으로 브레이싱되고(brace),
    상기 이젝터(20)가 고착 익스텐션(26.1, 26.2) 및 고착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고착 익스텐션(26.1, 26.2)이 캐리어(30)의 고착 리셉터클(37.1, 37.2) 내에 체결되고 캐리어(30)의 고착 익스텐션이 상기 이젝터(20)의 고착 리셉터클 내에 체결되어 있는 이젝터 유닛.
KR1020117024967A 2009-03-25 2010-03-01 로드 밀링 기계 등을 위한 이젝터 유닛 KR101448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4729.2 2009-03-25
DE102009014729A DE102009014729B3 (de) 2009-03-25 2009-03-25 Auswerfer für eine Straßenfräsmaschine oder dergleichen
PCT/EP2010/052562 WO2010108760A1 (de) 2009-03-25 2010-03-01 Auswerfereinheit für eine strassenfräsmaschine oder derglei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097A KR20120000097A (ko) 2012-01-03
KR101448236B1 true KR101448236B1 (ko) 2014-10-07

Family

ID=4222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967A KR101448236B1 (ko) 2009-03-25 2010-03-01 로드 밀링 기계 등을 위한 이젝터 유닛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2) EP3073014B1 (ko)
JP (1) JP5631380B2 (ko)
KR (1) KR101448236B1 (ko)
CN (3) CN104711921B (ko)
AU (1) AU2010227723B2 (ko)
BR (1) BRPI1012332B1 (ko)
DE (2) DE102009014729B3 (ko)
RU (1) RU2490391C2 (ko)
TW (1) TWI476314B (ko)
WO (1) WO2010108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3440B4 (de) * 2012-04-19 2016-01-21 Wirtgen Gmbh Kufensegment für einen Kantenschutz einer Straßenfräsmaschine und Kantenschutz für eine Straßenfräsmaschine
DE102012012615A1 (de) 2012-06-19 2013-12-19 Bomag Gmbh Auswerfer für eine mobile Bodenbearbeitungsmaschine
CN116516779B (zh) * 2023-06-01 2023-12-19 徐州锐马重工机械有限公司 旧水泥混凝土路面就地再生路面结构基层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19A (ja) * 1994-06-21 1996-01-09 Tamu Tec:Kk ロードプレーナ
JP2004278268A (ja) * 2003-03-17 2004-10-07 Seki Kogyo Kk 除雪汎用プラウにおけるブレードセンター部雪面エッジの取付け部位の設計
US7293729B2 (en) * 2000-08-09 2007-11-13 Continental Biomass Industries, Inc. Arrangement facilitating single fastener attachment for strikers of a wood comminuting rotor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4410A (en) 1931-11-21 1933-01-17 William J Mattice Blade for road maintainers
US3576082A (en) 1969-04-15 1971-04-27 Ernest C Lowrey Digger tooth and mounting therefor
DE2316406C2 (de) * 1973-04-02 1985-08-01 Reinhard 5461 Windhagen Wirtgen Fräser für eine Straßendeckenfräsmaschine
ES523051A0 (es) * 1982-06-08 1984-05-16 Koehring Co "una maquina de movimiento de tierras para desmenuzar la capa superior de una superficie subyacente"
DE3405473A1 (de) * 1984-02-16 1985-10-03 Wirtgen, Reinhard, 5461 Windhagen Kompaktfraesmaschine zum abfraesen von beschaedigten strassendecken
US4697850A (en) 1986-02-06 1987-10-06 Dynapac Mfg. Inc. Cutter drum for pavement profiler
DE3611446A1 (de) 1986-04-05 1987-10-15 Betek Bergbau & Hartmetall Walzenfoermiger schneidkoerper fuer eine schlaemmaschine
DE3701905C1 (de) * 1987-01-23 1988-09-15 Betek Bergbau & Hartmetall Befestigung eines Rundschaftmeissels
DE3708520C1 (en) * 1987-03-16 1988-07-21 Reinhard Wirtgen Cutting roller for road-grooving machines
US5101593A (en) 1988-12-06 1992-04-07 Bhatt Kashyap K B Portable greenhouse working on solar system
DE3911947A1 (de) * 1989-04-12 1990-02-15 Jgs Ingenieurbuero Gmbh Fraeswalze
US5101583A (en) 1990-10-24 1992-04-07 Andreas Scordilis Articulated toothed excavating drum for road side ditches of desired profile
JPH04134517U (ja) * 1991-05-30 1992-12-15 酒井重工業株式会社 路面切削機の切削ドラム
US5315770A (en) * 1992-12-15 1994-05-31 Astec Industries, Inc. Roadway trenching apparatus
RU2055184C1 (ru) * 1993-06-07 1996-02-27 Малое предприятие "Пигма"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орган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азрушения минеральных сред и искусстве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US5333938A (en) 1993-06-28 1994-08-02 Caterpillar Inc. Cutter bit
JP3033885B2 (ja) * 1994-12-15 2000-04-17 豊和工業株式会社 転圧ローラの付着物除去装置
JP3024168U (ja) * 1995-10-27 1996-05-17 マルマ重車輌株式会社 路面切削機のロータドラム
US5645323A (en) 1995-12-11 1997-07-08 Kennametal Inc. Concave cutter bit with sacrificial constraint
JP2001003329A (ja) * 1999-06-22 2001-01-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除雪ブレード用エッジ、除雪ブレードおよび除雪車両
US6394378B1 (en) 2000-08-09 2002-05-28 Anders T. Ragnarsson Arrangement facilitating single fastener attachment for strikers of a wood comminuting rotor
US6435434B1 (en) 2000-10-02 2002-08-20 Sandvik Rock Tools, Inc. Striker bar for disintegrating breakable materials
DE10203732A1 (de) * 2002-01-30 2003-08-21 Wirtgen Gmbh Baumaschine
DE10331970B4 (de) * 2003-07-14 2008-01-31 Wirtgen Gmbh Baumaschine
DE10347874A1 (de) * 2003-10-10 2005-05-12 Wirtgen Gmbh Hecklader-Straßenfräßmaschine mit höhenverstellbarer Abdichtungseinrichtung
EP1687090B1 (en) 2003-10-30 2016-06-01 Paladin Brands Group, Inc. Mulcher with improved tooth design
DE102005003734B3 (de) * 2005-01-26 2006-02-16 Wirtgen Gmbh Meißelhaltersystem
US7438097B2 (en) 2005-03-03 2008-10-21 Morbark, Inc. Reducing machine rotor assembly and inserts therefo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inserts
CN101397770B (zh) * 2005-08-09 2011-08-31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铣刨机支腿升降装置及使用该支腿升降装置的路面铣刨机
DE102006015506B3 (de) * 2006-03-31 2007-11-08 Wirtgen Gmbh Fräswalze für eine Baumaschine, Baumaschine sowie Getriebeeinheit für eine Fräswalze
JP5148077B2 (ja) * 2006-06-07 2013-02-20 勇 藤森 油圧ショベ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19A (ja) * 1994-06-21 1996-01-09 Tamu Tec:Kk ロードプレーナ
US7293729B2 (en) * 2000-08-09 2007-11-13 Continental Biomass Industries, Inc. Arrangement facilitating single fastener attachment for strikers of a wood comminuting rotor
JP2004278268A (ja) * 2003-03-17 2004-10-07 Seki Kogyo Kk 除雪汎用プラウにおけるブレードセンター部雪面エッジの取付け部位の設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5790A (zh) 2010-09-29
BRPI1012332A2 (pt) 2016-03-29
DE202010018339U9 (de) 2016-01-07
WO2010108760A1 (de) 2010-09-30
TW201042119A (en) 2010-12-01
AU2010227723B2 (en) 2015-01-22
RU2011142972A (ru) 2013-04-27
EP3073014B1 (de) 2020-02-12
CN104711921B (zh) 2017-05-10
DE202010018339U1 (de) 2015-09-25
AU2010227723A1 (en) 2011-09-29
BRPI1012332B1 (pt) 2019-10-01
CN202055157U (zh) 2011-11-30
TWI476314B (zh) 2015-03-11
EP2411582B1 (de) 2016-06-22
EP3073014A1 (de) 2016-09-28
EP2411582A1 (de) 2012-02-01
RU2490391C2 (ru) 2013-08-20
KR20120000097A (ko) 2012-01-03
EP2411582B2 (de) 2021-03-17
JP5631380B2 (ja) 2014-11-26
CN104711921A (zh) 2015-06-17
CN101845790B (zh) 2015-05-27
DE102009014729B3 (de) 2010-11-04
JP2012521502A (ja)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7850B2 (en) Ejector unit for a road milling machine or the like
KR101394562B1 (ko) 로드 밀링 기계 등을 위한 이젝터 또는 이젝터 유닛
RU2347907C1 (ru) Резцедержатель
US5322351A (en) Rotary cutter and mounting arrangement for cutting tools
EP2848312B1 (en) Tool, toolholder and tool-toolholder unit for milling cutters and/or shredders
KR101448236B1 (ko) 로드 밀링 기계 등을 위한 이젝터 유닛
US5904408A (en) Rotary cutter and mounting arrangement for cutting tools
EP2097586B1 (en) Overlapping pedestals for supporting a block secured to a rotating drum
US9068302B2 (en) Mixer bar for a stabilizer/recycler
AU2014277833B2 (en) Ejector unit for a road milling machine or the like
AU2014218487B2 (en) Ejector or ejector unit for a road milling machine or the like
AU747836B2 (en) Advancing device for boring sections of roadway, tunnels or simi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