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661B1 - 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661B1
KR101447661B1 KR1020140078322A KR20140078322A KR101447661B1 KR 101447661 B1 KR101447661 B1 KR 101447661B1 KR 1020140078322 A KR1020140078322 A KR 1020140078322A KR 20140078322 A KR20140078322 A KR 20140078322A KR 101447661 B1 KR101447661 B1 KR 101447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tage
noise filter
power suppl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성
김덕인
공주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전자
Priority to KR102014007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08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wherein the PWM mode is adapted on the running conditions of the motor, e.g. the switching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waveform of the supplied voltage or current
    • H02P2209/11Sinusoidal waveform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모듈로부터 입력받은 듀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게이트단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제1 단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 및 모터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출력된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로 전달하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 제어 장치에 따르면,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를 모터의 마이너스 단 또는 플러스 단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전자파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k 버전 규제를 만족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Motor control apparatu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noise}
본 발명은 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파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대상 기기의 구동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전동식 모터가 많이 사용된다.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저항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는데, 저항을 사용하는 경우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원하는 속도로의 제어가 힘든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모터에 PWM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속도를 다단으로 선형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PWM 제어 방식의 경우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전자파 간섭)를 많이 유발하며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주변 기기의 장애,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최근에는 전자파 간섭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전자파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이 강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k 버전 규제를 만족시킬 만한 대안이 많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최소한의 전자파 간섭을 허용하면서 k 버전 규제에 적합한 모터 제어 모듈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0335938호(2002.05.09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자파 노이즈 필터를 이용하여 전자파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 모듈로부터 입력받은 듀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게이트단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제1 단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 및 모터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출력된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로 전달하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는, 자기 재질의 코어와, 상기 코어에 감겨져 있으며, 제1 단이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1 단과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모터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제1 단과 접지 전원 사이, 상기 코일의 제2 단과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단에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고 제2 단에 상기 듀티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듀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3 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제2 단이 상기 접지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는, 플러스 단이 상기 배터리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제어 장치는, 상기 배터리 전원과 상기 모터의 플러스 단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노이즈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노이즈 필터부는, 제1 단이 상기 배터리 전원에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모터의 플러스 단에 연결되는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의 제2 단과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상호 병렬 연결되는 한 쌍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 모듈로부터 입력받은 듀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게이트단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제1 단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 및 모터의 플러스 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출력된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로 전달하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는, 자기 재질의 코어와, 상기 코어에 감겨져 있으며, 제1 단이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1 단과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모터의 플러스 단에 연결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제1 단과 접지 전원 사이, 상기 코일의 제2 단과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1 단에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고 제2 단에 상기 듀티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듀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3 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제2 단이 상기 배터리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모터는, 마이너스 단이 상기 접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제어 장치는, 상기 배터리 전원과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2 단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노이즈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노이즈 필터부는, 제1 단이 상기 배터리 전원에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에 연결되는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의 제2 단과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상호 병렬 연결되는 한 쌍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는 아모퍼스(amorphous) 자기 재질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는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타입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에 따르면,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를 모터의 마이너스 단 또는 플러스 단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전자파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k 버전 규제를 만족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모터 제어 장치의 레이아웃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장치를 실제 모터와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6의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서 측정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장치에 따른 방사 잡음(RE) 및 전도 잡음(CE)의 측정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10), 스위칭 소자(120),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량 내에 구비되는 모터(ex, 냉각팬 모터)를 예시로 하며 듀티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모듈은 차량 내의 ECU 모듈인 것을 가정한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이외의 다양한 기기 내의 모터 제어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블로워 모터, 전동 콤프, 배터리 블로워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10)는 외부 모듈(10)로부터 입력받은 듀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차량 내의 ECU 모듈은 현재 차량의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목표로 하는 듀티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차량의 상태정보란 냉각수 온도, 차량 속도, 에어컨 구동 정보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만일, 제어 대상이 냉각팬 모터이고 ECU 모듈의 판단 결과, 냉각 성능을 더 높여야 한다고 판단되면, ECU 모듈은 더 높은 듀티비의 듀티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듀티비가 크면 제어대상 모터(20)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냉각 성능이 향상된다.
그러면, 제어부(110)는 해당 듀티 정보에 대응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PWM 펄스 신호가 상기 스위칭 소자(120)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 소자(120)에 해당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스위칭 소자(120)는 FET, MOSFET 등과 같은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120)는 게이트단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구형파의 PWM 신호를 자신의 드레인 단을 통해 출력한다.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130)는 모터의 일단(ex, 마이너스 단; 제1 실시예, 플러스 단;제2 실시예)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120)에서 출력된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20)에 전달하며, 이를 통해 모터(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구형파 신호의 경우, 로우에서 하이로 전환되는 에지 부근, 또는 하이에서 로우로 전환되는 에지 부근에서 전자파 간섭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편이다. 전자파 간섭이란 전자파가 공기중으로 방사되어 전달되는 잡음(Radiation)과, 전자파가 신호선 또는 전원선과 같은 매질을 통하여 전달되는 잡음(Condu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130)는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PWM 신호의 방사 잡음 및 주변 매질에 의한 전도 잡음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소자(120)의 출력단과 모터(20)의 일단(마이너스 단 또는 플러스 단) 사이에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130)를 배치하여, 구형파 PWM 신호를 정현파 신호로 변환함에 따라 간섭이 제거된 펄스 신호를 상기 모터(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130)는 π-필터 형태를 가지며 그 구체적인 구조는 이하의 두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이러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130)가 모터(20)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된 예이다.
제어부(110)는 제1 단에 배터리 전원(VBAT)이 인가되고 제2 단에 상기 듀티 정보(Input Signal)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듀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3 단을 통해 출력한다.
스위칭 소자(120)는 게이트단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제1 단(드레인 단)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120)의 제2 단(소스 단)은 접지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130)는 상기 스위칭 소자(120)의 제1 단(드레인 단)과 상기 모터(20)의 마이너스 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120)에서 출력된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20)로 전달한다. 여기서, 모터(20)의 플러스 단은 상기 배터리 전원(VBAT) 쪽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130)는 코어, 상기 코어에 감겨진 코일(131), 상기 코일(13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커패시터(132,133)를 포함한다.
코어는 아모퍼스(amorphous) 자기 재질을 가진다. 그리고, 코일(131)은 상기 코어에 감겨져 있으며, 양단 중에서 제1 단이 상기 스위칭 소자(120)의 제1 단(드레인 단)과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모터(20)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되며 인덕터의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커패시터(132,133)는 코일(131)의 제1 단과 접지 전원 사이, 코일의 제2 단과 접지 전원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타입을 가진다.
스위칭 소자(120)의 제1 단(드레인 단)과 상기 모터(20)의 마이너스 단(-) 사이는 대략 30cm 길이의 와이어로 연결된다.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130)를 배치하지 않는 기존의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부분을 전자파 차단막으로 커버하여야 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전자파 노이즈 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와이어에서 발생되는 방사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차단막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3은 도너츠 형상의 코어(core)에 코일(131)이 감겨진 모습을 다각도에서 관찰한 것이다. 코일은 코어(core)의 원주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지며 그 양단부는 코어의 양면으로 각각 뻗어있다.
도 4는 박스에 나선형의 코일(131)을 넣고, 코일(131)의 양쪽 공간(a1, a2)에 철 성분인 카보닐 아이언 파우더(CIP)를 충진한 다음 상하부에서 압력을 가하고 압축하여 만든 것이다. 도 4의 (a)는 단면도, (b)는 평면 투시도에 해당되며, (c)는 제조된 박스 외형으로서 양측면 아랫 부분에는 와이어 단자가 형성된다.
이러한 도 3 및 도 4는 기 공지된 코어 코일의 형태로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3의 경우, 페라이트 코어가 아닌 아모퍼스 코어를 사용함으로써 온도나 전류가 변하여도 인덕턴스 값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전자파 간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원 노이즈 필터부(1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 노이즈 필터부(140)는 배터리 전원(VBAT)과 상기 모터(20)의 플러스 단(+) 사이에 배치되며, 인덕터(141) 및 한 쌍의 커패시터(142,143)를 포함한다.
인덕터(141)는 제1 단이 배터리 전원(VBAT)에 연결되고 제2 단이 모터(20)의 플러스 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인덕터(141)는 페라이트 코어의 코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한 쌍의 커패시터(142,143)는 인덕터(141)의 제2 단과 접지 전원 사이에 상호 병렬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노이즈 필터부(140)는 배터리 전원을 통해 인입되는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200)의 경우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230)가 모터(20)의 플러스 단(+)에 연결된 예이다.
여기서, 제2 실시예의 경우 또한 제어부(110), 스위칭 소자(220),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230), 전원 노이즈 필터부(240)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 명칭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또한 제어부(110)는 제1 단에 배터리 전원(VBAT)이 인가되고 제2 단에 상기 듀티 정보(Input Signal)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듀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3 단을 통해 출력한다.
스위칭 소자(220)는 게이트단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제1 단(드레인 단)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220)의 제2 단(소스 단)은 배터리 전원(VBAT) 쪽에 연결되어 있다.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230)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스위칭 소자(220)의 제1 단(드레인 단)과 모터(20)의 플러스 단(-) 사이에 연결되며, 스위칭 소자(220)에서 출력된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로 변환하여 모터(20)로 전달한다. 여기서, 모터(20)의 마이너스 단은 접지 전원에 연결되어 있다.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는 코어, 이 코어에 감겨진 코일(231), 코일(231)의 양단에 연결된 제1 및 제2 커패시터(232,233)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 또한 전원 노이즈 필터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 노이즈 필터부(240)는 배터리 전원(VBAT)과 스위칭 소자(220)의 제2 단(소스 단) 사이에 배치된다. 전원 노이즈 필터부(240)는 인덕터(241) 및 한 쌍의 커패시터(242,243)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제2 실시예의 구성 또한 앞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두 실시예에서 모터(20)의 전단에 부가된 다이오드는 역기전력에 의한 모터 등의 주변 소자를 보호 및 역으로 전류가 흐를 때 충전 또는 구동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제 구현 결과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모터 제어 장치의 레이아웃 예시도이다. 이러한 도 6을 통하여 일부 구성요소의 투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아모퍼스 자기 재질의 코어에 감긴 코일(131)의 모습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 배터리 전원(VBAT)과 듀티 정보(Input Signal)는 하단의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되며, 최종 출력되는 정현파 신호는 우측의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되며 모터(10)에 제공된다.
도 7은 도 6의 장치를 실제 모터와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도 7을 참조하면, 실제로 냉각 팬에 자그마하게 도 5의 모터 제어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장치의 출력 포트와 모터 사이에는 약 30cm 길이의 와이어가 연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서와 같이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의 구성을 부가함으로써 와이어 상에 별도의 차단막을 커버하지 않아도 된다.
도 8은 도 6의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에서 측정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즉, 필터부의 입력단에 인가된 구형파의 PWM 신호는 그 출력단을 통해 정현파 형태로 출력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현파로 변환한 이후 노이즈 성분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6의 장치에 따른 방사 잡음(RE) 및 전도 잡음(CE)의 측정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서 PK선은 K 버전 규제의 기준 피크 선을 나타내고, AV는 기준 평균 선을 나타낸다. 여기서, k 버전 규제는 현대기아자동차에서 규정한 전자파 기술표준(ES96200-00)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경우 CE 및 RE 측정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 측정된 피크 선(Ver.(PK))과 평균 선(Ver.(AV))이 K 버전 규제에서 정한 기준치보다 낮게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소한의 전자파 간섭을 허용하며 K 버전 규제를 만족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에 따르면,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 신호로 변환하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를 모터의 마이너스 단 또는 플러스 단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전자파 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k 버전 규제를 만족할 수 있는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모터 제어 장치 110: 제어부
120,220: 스위칭 소자 130,230: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
140,240: 전원 노이즈 필터부

Claims (9)

  1. 외부 모듈로부터 입력받은 듀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게이트단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제1 단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 및
    모터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출력된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로 전달하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는,
    자기 재질의 코어;
    상기 코어에 감겨져 있으며, 제1 단이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1 단과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모터의 마이너스 단에 연결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제1 단과 접지 전원 사이, 상기 코일의 제2 단과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단에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고 제2 단에 상기 듀티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듀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3 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제2 단이 상기 접지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는,
    플러스 단이 상기 배터리 전원에 연결된 모터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과 상기 모터의 플러스 단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노이즈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노이즈 필터부는,
    제1 단이 상기 배터리 전원에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모터의 플러스 단에 연결되는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의 제2 단과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상호 병렬 연결되는 한 쌍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
  5. 외부 모듈로부터 입력받은 듀티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게이트단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듀티비를 가지는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제1 단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칭 소자; 및
    모터의 플러스 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에서 출력된 구형파의 PWM 신호를 정현파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로 전달하는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파 노이즈 필터부는,
    자기 재질의 코어;
    상기 코어에 감겨져 있으며, 제1 단이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1 단과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모터의 플러스 단에 연결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제1 단과 접지 전원 사이, 상기 코일의 제2 단과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단에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고 제2 단에 상기 듀티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입력된 듀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3 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제2 단이 상기 배터리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모터는,
    마이너스 단이 상기 접지 전원에 연결된 모터 제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과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2 단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노이즈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노이즈 필터부는,
    제1 단이 상기 배터리 전원에 연결되고 제2 단이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2 단에 연결되는 인덕터; 및
    상기 인덕터의 제2 단과 상기 접지 전원 사이에 상호 병렬 연결되는 한 쌍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아모퍼스(amorphous) 자기 재질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커패시터는 MLCC(Multi Layer Ceramic Capacitor) 타입을 가지는 모터 제어 장치.
KR1020140078322A 2014-06-25 2014-06-25 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 KR101447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22A KR101447661B1 (ko) 2014-06-25 2014-06-25 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22A KR101447661B1 (ko) 2014-06-25 2014-06-25 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661B1 true KR101447661B1 (ko) 2014-10-07

Family

ID=5199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322A KR101447661B1 (ko) 2014-06-25 2014-06-25 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213B1 (ko) * 2014-12-24 2017-09-11 대우전자부품(주) 냉각팬 제어기를 위한 emi 저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792A (ko) * 2006-02-03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리트 타임 발진기를 이용한 모터 구동회로와 그 방법
JP2009159816A (ja) 2009-04-17 2009-07-16 Hitachi Metals Ltd リニアモータ用通電制御回路
KR20120000614A (ko) * 2010-06-28 2012-01-04 신경수 Dc 모터의 pwm제어를 이용한 홍보 응용제품
JP2012125055A (ja) * 2010-12-08 2012-06-28 Toshiba Corp インバ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792A (ko) * 2006-02-03 200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리트 타임 발진기를 이용한 모터 구동회로와 그 방법
JP2009159816A (ja) 2009-04-17 2009-07-16 Hitachi Metals Ltd リニアモータ用通電制御回路
KR20120000614A (ko) * 2010-06-28 2012-01-04 신경수 Dc 모터의 pwm제어를 이용한 홍보 응용제품
JP2012125055A (ja) * 2010-12-08 2012-06-28 Toshiba Corp インバ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213B1 (ko) * 2014-12-24 2017-09-11 대우전자부품(주) 냉각팬 제어기를 위한 emi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22724B (zh) 驱动单元和包括驱动单元的电动助力转向装置
US11051430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US6448676B1 (en) Pulse width modulated engine cooling fan motor with integrated MOSFET
TW201819934A (zh) 漏電檢測裝置
JP5500973B2 (ja) 電力変換装置
JP6558001B2 (ja) 放熱装置
JP6458483B2 (ja) モータ制御装置
US20170294834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noise cancellation of power converters
JP6151956B2 (ja) 絶縁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447661B1 (ko) 전자파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
JP2013222813A (ja) リアクトル、コンバータ、および電力変換装置
KR101570156B1 (ko) 전자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
US20160087317A1 (en) Traction battery heater control
JP2010183764A (ja) 電源回路、電力変換装置
JP2019500031A (ja) 車両内の要素のための保護装置を駆動する方法
JP5203737B2 (ja) 車両駆動装置
US20160218599A1 (en) Device for power control for a rotating field machine
KR101592702B1 (ko) 공통모드 전압 저감 장치 및 방법
JP2018034776A (ja) 車載装置
IT201700018513A1 (it) Metodo per controllare a sei passi di commutazione un inverter trifase configurato per azionare un motore elettrico brushless
JP2006261468A (ja) ノイズ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9281757B2 (en) Voltage conversion device and electrical load driving device
CN109074109B (zh) 电力转换装置、以及使用该电力转换装置的电动助力转向装置
CN105740572B (zh) 一种电子设备
JP2012228054A (ja) モ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