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111B1 -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 Google Patents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111B1
KR101447111B1 KR1020140017097A KR20140017097A KR101447111B1 KR 101447111 B1 KR101447111 B1 KR 101447111B1 KR 1020140017097 A KR1020140017097 A KR 1020140017097A KR 20140017097 A KR20140017097 A KR 20140017097A KR 101447111 B1 KR101447111 B1 KR 10144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raw material
discharge
fix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연
Original Assignee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otary pick-up conveyors
    • B65G65/20Padd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6Hygienic features, e.g. easy to sanit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켓(10)의 바닥면(11)에 설치하는 다수의 탄성부재(110)와;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부에 설치하여 버켓(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료를 밀어내어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재(120)와; 상기 배출부재(120)의 외측과 버켓(10)의 내측면 사이를 빙둘러 밀폐시켜 원료가 바닥면(11)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130)를 포함하는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버켓의 내부에 남아있는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켜 원료의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버켓의 내측면과 배출부재의 외측 사이에 빙둘러 밀폐부재를 형성하여 원료의 바닥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밀폐부재의 피로한도를 최소화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여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Bucket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prevent to fixation material}
본 발명은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켓의 내부에 남아있는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버켓의 바닥면으로 유입되는 원료를 차단하여 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또는 제철소에 사용되는 하역장비용 버켓은 석탄 등과 같은 원료(연료)를 퍼담아 운반 및 하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하역장비용 버켓은 내부에 남아있는 원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원료가 버켓의 바닥면으로 쉽게 유입되어 고착되면서 원료의 배출효율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하역장비용 버켓은 내부에 탄성체 및 우레탄 재질의 내부 버켓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는 원료를 퍼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한 마찰로 인해서 내부 버켓이 쉽게 파손되어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하역장비용 버켓은 유지보수가 어렵고 조립 또는 분해가 불편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제한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일본등록실용신안 제2606769호(2000.10.27)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2016호(2011.05.18) 한국등록특허 제10-1237806호(2013.02.2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버켓의 내측면과 배출부재의 외측 사이에 빙둘러 밀폐부재를 형성하여 원료가 버켓의 바닥면으로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부재의 피로한도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밀폐부재를 버켓과 배출부재의 사이에 손쉽게 조립 또는 분해할 수 있는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은,
버켓(10)의 바닥면(11)에 설치하는 다수의 탄성부재(110)와;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부에 설치하여 버켓(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료를 밀어내어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재(120)와; 상기 배출부재(120)의 외측과 버켓(10)의 내측면 사이를 빙둘러 밀폐시켜 원료가 바닥면(11)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켓(10)의 내부에 바닥면(11)과 측면(12)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부(13)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재(120)의 일측에 상기 보강부(1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홈(1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배출부재(120)는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110)와 결합하도록 배출판(121)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판(121)의 상부에 보강판(1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130)는 하부에 직물재질의 제1보강부(131)를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부(131)의 외측에 결합홈(132)을 구비하며, 상기 제1보강부(131)의 내측에 상기 배출부재(120)의 외측에 형성한 걸림홈(122)에 끼워져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133)를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부(131)의 상부에 고무재질의 제2보강부(134)를 마련하며, 상기 버켓(10)의 바닥면(11) 또는 벽면(12)의 일측에 고정부재(140)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부재(140)의 상부에 상기 결합홈(132)에 끼워져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4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2보강부(134)의 상부 외측에 상기 버켓(10)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오목부(13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버켓의 내부에 남아있는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켜 원료의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버켓의 내측면과 배출부재의 외측 사이에 빙둘러 밀폐부재를 형성하여 원료의 바닥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밀폐부재의 피로한도를 최소화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여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켓(10)의 바닥면(11)에 설치하는 다수의 탄성부재(110)와;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부에 설치하여 버켓(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료를 밀어내어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재(120)와; 상기 배출부재(120)의 외측과 버켓(10)의 내측면 사이를 빙둘러 밀폐시켜 원료가 바닥면(11)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110)는 버켓(10)의 내부에 원료가 없거나 원료량이 적을 경우 상기 배출부재(120)를 상부방향으로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켓(10)의 내부에 원료를 퍼담을 경우 상기 배출부재(120)와 함께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버켓(10)이 뒤집히면서 원료를 배출할 경우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출부재(120)의 상승으로 원료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10)는 스프링 또는 쇽업쇼버 등과 같이 압축 및 팽창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부재(120)는 버켓(10)의 바닥면(11)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원료를 하역할 경우 원료를 밀어내어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재(120)는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110)와 결합하도록 배출판(121)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판(121)의 상부에 보강판(12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판(123)은 내마모재질로 제작하여 원료를 퍼담거나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켓(10)의 내부에 바닥면(11)과 측면(12)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부(13)를 포함하여 원료를 퍼담는 과정에서 바닥면(11)과 측면(12)을 서로 견고하지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배출부재(120)의 일측에 상기 보강부(1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홈(124)을 형성하여 원료를 퍼담거나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부재(120)가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폐부재(130)는 상기 배출부재(120)의 외측과 버켓(10)의 내측면 사이를 빙둘러 밀폐시켜 원료가 바닥면(11)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고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130)는 상기 배출부재(1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며 동시에 반복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피로한도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밀폐부재(130)는 하부에 직물재질의 제1보강부(131)를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부(131)의 외측에 결합홈(132)을 구비하며, 상기 제1보강부(131)의 내측에 상기 배출부재(120)의 외측에 형성한 걸림홈(122)에 끼워져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133)를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부(131)의 상부에 고무재질의 제2보강부(134)를 마련하며, 상기 버켓(10)의 바닥면(11) 또는 벽면(12)의 일측에 고정부재(140)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부재(140)의 상부에 상기 결합홈(132)에 끼워져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41)를 형성한다.
상기 제1보강부(131)는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피로한도를 견딜 수 있도록 직물재질로 제작하였다.
특히 상기 결합홈(132)은 상기 고정부(141)가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상기 밀폐부재(13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40)를 작업자가 분리할 경우 상기 고정부(141)가 상기 결합홈(132)의 내부에서 이탈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배출부재(120) 및 밀폐부재(130)를 손쉽게 분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보강부(134)는 상기 배출부재(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연성을 확보하며 원료를 퍼담을 때 발생하는 마찰 및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마모성이 우수한 컨베이어 벨트용 또는 타이어 제조용과 같은 고무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보강부(134)의 상부 외측에 상기 버켓(10)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오목부(135)를 형성하여 원료가 남아서 고착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40)는 작업자가 손쉽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나사 또는 볼트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고정부(141)는 상기 결합홈(132)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형태를 갖도록 제작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장비(A)의 작동으로 버켓(10)의 내부에 원료를 퍼담는 과정에서 원료의 무게에 의해서 상기 배출부재(120)가 버켓(10)의 바닥면(1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동시에 상기 밀폐부재(130)를 통해서 원료가 바닥면(11)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버켓(10)이 뒤집히면서 원료가 배출되고,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1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배출부재(120)가 상승하면서 버켓(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원료를 밀어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버켓 11: 바닥면
12: 측면 13: 보강부
110: 탄성부재
120: 배출부재 121: 배출판
122: 걸림홈 123: 보강판
124: 유도홈
130: 밀폐부재 131: 제1보강부
132: 결합홈 133: 결합부
134: 제2보강부 135: 오목부
140: 고정부재 141: 고정부
A: 하역장비

Claims (5)

  1. 버켓(10)의 바닥면(11)에 설치하는 다수의 탄성부재(110)와; 상기 탄성부재(110)의 상부에 설치하여 버켓(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료를 밀어내어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재(120)와; 상기 배출부재(120)의 외측과 버켓(10)의 내측면 사이를 빙둘러 밀폐시켜 원료가 바닥면(11)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재(130)는 하부에 직물재질의 제1보강부(131)를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부(131)의 외측에 결합홈(132)을 구비하며, 상기 제1보강부(131)의 내측에 상기 배출부재(120)의 외측에 형성한 걸림홈(122)에 끼워져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133)를 형성하고, 상기 제1보강부(131)의 상부에 고무재질의 제2보강부(134)를 마련하며, 상기 버켓(10)의 바닥면(11) 또는 벽면(12)의 일측에 고정부재(140)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부재(140)의 상부에 상기 결합홈(132)에 끼워져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4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10)의 내부에 바닥면(11)과 측면(12)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부(13)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재(120)의 일측에 상기 보강부(13)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홈(1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120)는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110)와 결합하도록 배출판(121)을 형성하고, 상기 배출판(121)의 상부에 보강판(1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134)의 상부 외측에 상기 버켓(10)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오목부(13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KR1020140017097A 2014-02-14 2014-02-14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KR101447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097A KR101447111B1 (ko) 2014-02-14 2014-02-14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097A KR101447111B1 (ko) 2014-02-14 2014-02-14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111B1 true KR101447111B1 (ko) 2014-10-07

Family

ID=5199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097A KR101447111B1 (ko) 2014-02-14 2014-02-14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03B1 (ko) 2017-03-31 2017-09-07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고착방지용 우레탄 코팅버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4816U (ko) * 1985-09-04 1987-03-18
KR200437471Y1 (ko) * 2007-09-07 2007-12-06 (주)원우이엔지 하역장치용 버켓
KR101230956B1 (ko) * 2012-08-02 2013-02-07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KR101237806B1 (ko) * 2012-08-02 2013-02-28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4816U (ko) * 1985-09-04 1987-03-18
KR200437471Y1 (ko) * 2007-09-07 2007-12-06 (주)원우이엔지 하역장치용 버켓
KR101230956B1 (ko) * 2012-08-02 2013-02-07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KR101237806B1 (ko) * 2012-08-02 2013-02-28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원료배출이 용이한 하역장비용 버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603B1 (ko) 2017-03-31 2017-09-07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고착방지용 우레탄 코팅버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6580B (zh) 一种底开式自动卸料罐装置
US3880553A (en) Pumping system
KR101447111B1 (ko) 원료고착을 방지하기 위한 하역장비용 버켓
KR101563464B1 (ko) 소프트 시트 나이프 게이트 밸브
KR101347321B1 (ko) 석탄하역기용 버켓 가이드 롤러
KR101265271B1 (ko) 석탄하역기용 버켓 체인 가이드 롤러
AU2013297324B2 (en) Bucket for unloading equipment, for easily discharging materials
JP2012111542A (ja) 打撃装置
JP4912897B2 (ja) 流体クッション搬送装置
CN209618114U (zh) 一种升降式输送装置
CN105692124A (zh) 提升机堵料检测装置
CN208406920U (zh) 一种改进型自动安装式防尘防气味的投料系统
CN109470413B (zh) 一种阀门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472720B (zh) 粉料贮运罐及具有其的粉料加料装置
JP4767068B2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の可動底板シール装置
KR101657765B1 (ko) 코일리프터
US20120096819A1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CN205574979U (zh) 提升机堵料检测装置
KR101232651B1 (ko) 원료고착을 방지할 수 있는 하역장비용 버켓
JP6156281B2 (ja) ガスホルダーへのガス流入方法及びガスホルダー
US20140326347A1 (en) Pressure relief valve for containers suited for the pneumatic loading of loose solid products, in particular silos
JP2009046227A (ja) 材料排出装置のシール構造
CN207848512U (zh) 一种保护浮球的排气阀结构
CN217515834U (zh) 一种可精确控制气流方向和防止漏料的流化板
CN212739432U (zh) 一种可处理盘片磨损的可拆卸式管链输送机盘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