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436B1 - 인쇄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436B1
KR101446436B1 KR1020130084648A KR20130084648A KR101446436B1 KR 101446436 B1 KR101446436 B1 KR 101446436B1 KR 1020130084648 A KR1020130084648 A KR 1020130084648A KR 20130084648 A KR20130084648 A KR 20130084648A KR 101446436 B1 KR101446436 B1 KR 101446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interface
printer
printing apparatus
host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968A (ko
Inventor
쇼지 시마
가츠토시 데라시마
다다시 후루하타
아키오 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60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59390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612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1908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46461A external-priority patent/JP6131640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2Transmitting printer device capabilities, e.g. upon request or period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1Pool of printer devices: self-managing printing devices in a network, e.g. without a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인쇄 시스템(1)의 제 1 프린터(30)는, USB 인터페이스(40, 45)와 제 1 프린터 인쇄부(60)를 구비하고, USB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된 장치에 대하여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USB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된 장치에 대하여 호스트로서 동작하고, 제 1 프린터 인쇄부(60)는, 디바이스 또는 호스트로서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PRINTING DEVICE,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인쇄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 인쇄 장치에 의해 리시트(receipt) 등을 인쇄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호스트 컴퓨터에 복수의 인쇄 장치를 접속하여 인쇄를 행하는 시스템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PO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퍼스널컴퓨터에, RS-232C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2개의 인쇄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퍼스널컴퓨터는, 인쇄 장치를 지정하는 데이터나 인자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송신하고, 지정된 인쇄 장치가 리시트나 저널을 인쇄한다.
또한, 컴퓨터 등에 의해 인쇄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쇄를 실행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장치를 다른 인쇄 장치에 의해 대체시키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3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9-18707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8-17657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12-096503호 공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퍼스널컴퓨터에 의해 2개의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을 실현하기 위한 전용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퍼스널컴퓨터의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핀이 리시트 프린터에 접속되고, 다른 핀이 저널 프린터에 접속되고, 또한, 리시트 프린터와 저널 프린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퍼스널컴퓨터는, 2개의 인쇄 장치의 한쪽을 지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 등의 제어측의 장치에 의해 복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시스템에서는, 제어측의 장치와 디바이스의 양쪽이, 복수의 디바이스의 병용에 적합한 전용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예컨대, 제어측의 컴퓨터에, 각 인쇄 장치에 대응한 제어를 행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을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인쇄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에, 다른 종류의 인쇄 장치의 추가나 인쇄 장치의 교환 등 구성 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제어측의 장치와 디바이스의 양쪽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변경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호스트 컴퓨터 등의 제어측의 장치에 디바이스를 접속한 구성에 있어서,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인쇄 장치와 관련된 구성 변경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에 대하여 디바이스로서 동작시키는 제 1 디바이스 컨트롤러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에 대하여 호스트로서 동작시키는 제 2 디바이스 컨트롤러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장치가, 제 1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에 대해서는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에 대해서는 호스트로서 동작한다. 이 때문에,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의 어느 쪽에도 접속 가능하다. 예컨대,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및 디바이스의 각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이들의 장치의 사이에, 본 발명의 인쇄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컨트롤러에 의해 디바이스로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 컨트롤러에 의해 호스트로서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에 대해서는 디바이스로서 동작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에 대해서는 호스트로서 동작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컨대, 호스트와 디바이스의 사이에 개재하여, 호스트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및 디바이스의 각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이들의 장치의 사이에 설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아울러,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의 사이에 새로운 인쇄 장치를 설치하여,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가 디바이스의 장치에 송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해석된 결과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하여 해석하고, 인쇄를 행한다. 예컨대, 제 1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가 다른 장치를 향하여 송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로서 수신한 데이터를 인쇄할 뿐만 아니고, 수신한 데이터를 제 2 인터페이스로부터 다른 장치에 송신하는 등, 디바이스로서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는 다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호스트로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디바이스로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인쇄부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로부터 호스트로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1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에 대해서는 디바이스로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의 사이에, 이들 호스트 및 디바이스의 각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설치 가능하고,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로서 수신한 데이터를 디바이스로서 제 1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른 장치에 송신하는 등,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는 다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인쇄 지시를 송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제 2 인쇄 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 2 인쇄 장치의 인쇄 결과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커맨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부가 인쇄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제 2 인쇄 장치로부터, 호스트로서, 인쇄 결과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수신하여, 수신한 커맨드에 근거하여 인쇄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 및 제 2 인쇄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호스트 컴퓨터와 제 2 인쇄 장치의 사이에 인쇄 장치를 설치하여, 제 2 인쇄 장치의 인쇄 결과에 근거하는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컨트롤러는, 디바이스로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호스트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의 사이에, 이들 호스트 및 디바이스의 각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인쇄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배치하는 인터페이스 기판과, 상기 인쇄부를 제어하여 인쇄를 실행시키는 인쇄 제어부를 배치하는 인쇄 제어 기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 제어부를 배치한 인쇄 제어 기판과는 별도의 인터페이스 기판에,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인쇄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의 종별을 포함하는 제 1 장치 정보 및 상기 인쇄부와는 다른 제 2 인쇄 장치의 제 2 장치 정보를 기억하는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상기 호스트 컴퓨터가 접속된 경우에,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대하여, 상기 제 1 장치 정보 또는 상기 제 2 장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부의 종별을 포함하는 장치 정보와, 이 인쇄부와는 다른 인쇄 장치의 장치 정보를 기억하고, 호스트 컴퓨터에 다른 인쇄 장치의 장치 정보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인터페이스에 호스트 컴퓨터가 접속되었을 때에, 본 발명의 인쇄 장치를 다른 인쇄 장치로서 인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호스트 컴퓨터가 대응하고 있는 인쇄 장치와는 다른 인쇄 장치를,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와 인쇄 장치가 접속된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인쇄 장치와 관련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 장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가 출력한 경우에,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 컴퓨터가 다른 인쇄 장치를 향하여 출력한 데이터를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하고, 제 2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가 출력한 데이터를 처리함과 아울러, 수신한 데이터를 다른 장치에 출력하여 처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은, 인쇄 지시 및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는 제 1 인터페이스,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에 대하여 디바이스로서 제어하는 제 1 디바이스 컨트롤러, 제 2 인터페이스,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에 대하여 호스트로서 동작시키는 제 2 디바이스 컨트롤러 및 인쇄를 실행하는 제 1 인쇄부를 구비하는 제 1 인쇄 장치와, 상기 제 1 인쇄 장치의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통신부 및 인쇄를 실행하는 제 2 인쇄부를 구비한 제 2 인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 컴퓨터 및 제 2 인쇄 장치에 접속된 제 1 인쇄 장치가, 호스트 컴퓨터에 대해서는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제 2 인쇄 장치에 대해서는 호스트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 및 제 2 인쇄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이들의 장치의 사이에 제 1 인쇄 장치를 설치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인쇄 지시 및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인쇄 지시 및 상기 인쇄 데이터를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쇄부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하고, 상기 제 2 인쇄 장치는, 상기 제 1 인쇄 장치의 제 2 인터페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인쇄 지시 및 인쇄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인쇄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 2 인쇄부에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인쇄 장치가, 호스트 컴퓨터가 송신하는 인쇄 지시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 인쇄 지시 및 인쇄 데이터를 인쇄함과 아울러,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제 2 인쇄 장치에 송신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 및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제 2 인쇄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이들의 장치의 사이에 제 1 인쇄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 컴퓨터가 송신한 인쇄 지시 및 인쇄 데이터를, 제 1 인쇄 장치 및 제 2 인쇄 장치의 양쪽이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상기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인쇄부는, 상기 해석부에서 해석된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인쇄 장치가, 제 1 인터페이스에서 디바이스로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하여 해석하고,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데이터를 인쇄할 뿐만 아니라, 수신한 데이터를 제 2 인터페이스로부터 다른 장치에 송신하는 등의 다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 장치는, 상기 제 2 인쇄부의 실행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의 제 2 인터페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 2 인쇄부의 실행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인쇄 장치가, 제 2 인쇄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호스트로서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인쇄함과 아울러, 호스트 컴퓨터에 디바이스로서 송신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 및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제 2 인쇄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이들의 장치의 사이에 제 1 인쇄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인쇄 장치에 의해, 제 2 인쇄 장치의 인쇄의 실행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를 인쇄하고, 또한, 이 인쇄의 실행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를, 디바이스에 있어서의 실행 결과에 관한 데이터로서,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부의 실행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제 2 인쇄부의 인쇄 에러이고, 상기 제 1 인쇄 장치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상기 인쇄 에러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인쇄 장치의 인쇄부의 인쇄 에러에 관련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 1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를 행할 수 있고, 이 인쇄 에러의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제 1 인쇄부의 종별을 포함하는 제 1 장치 정보 및 상기 제 2 인쇄부의 종별을 포함하는 제 2 장치 정보를 기억하는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를 갖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가 상기 제 1 인쇄 장치에 장치 정보를 요구했을 때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 2 장치 정보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인쇄 장치가 호스트 컴퓨터에 대하여 제 2 인쇄 장치의 제 2 장치 정보를 출력하여, 제 1 인쇄 장치를, 호스트 컴퓨터에 제 2 인쇄 장치로서 인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제 2 인쇄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 호스트 컴퓨터에, 제 1 인쇄 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와 인쇄 장치가 접속된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인쇄 장치와 관련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제 2 인쇄 장치에서 처리되는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 1 인쇄 장치의 접속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 2 인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인쇄 장치는, 상기 제 1 인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 2 인쇄부에서 인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 컴퓨터가 제 2 인쇄 장치를 향하여 송신하는 인쇄 데이터를 제 1 인쇄 장치가 수신하고, 제 2 인쇄 장치에 송신한다. 이 때문에, 제 1 인쇄 장치 및 제 2 인쇄 장치의 양쪽에서, 호스트 컴퓨터가 송신하는 인쇄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 해석부와, 미리 정해진 정보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기억하는 인쇄 데이터 기억부를 갖고, 상기 데이터 해석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에 상기 미리 정해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인쇄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 컴퓨터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제 1 인쇄 장치를 접속하고, 제 1 인쇄 장치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가 송신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여 관련하는 정보를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POS 단말이고, 상기 제 2 인쇄 장치는, 상기 POS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결제 정보와 관련된 리시트를 인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인쇄 장치에 의해 리시트를 인쇄하는 POS 단말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POS 단말 장치에 제 1 인쇄 장치를 접속하여, 제 2 인쇄 장치에 의해 리시트를 인쇄하는 기능과, 제 1 인쇄 장치에 의한 처리의 양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쇄 방법은, 호스트 컴퓨터와 제 1 인쇄부를 갖는 제 1 인쇄 장치가 접속된 후,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제 1 인쇄 장치에 인쇄 장치의 종별을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장치 정보를 요구받은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기억된 상기 제 1 인쇄부의 종별을 포함하는 제 1 장치 정보 및 제 2 인쇄 장치의 제 2 장치 정보 중 상기 제 2 장치 정보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제 2 인쇄 장치에서 처리되는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 1 인쇄 장치에 접속된 상기 제 2 인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는 제 1 인쇄 장치가 호스트 컴퓨터에 제 2 인쇄 장치의 제 2 장치 정보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에, 제 1 인쇄 장치를 제 2 인쇄 장치로서 인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제 2 인쇄 장치에 대응하고 있는 호스트 컴퓨터에, 제 1 인쇄 장치를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와 인쇄 장치가 접속된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인쇄 장치와 관련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된 인쇄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제 1 프린터의 기능적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된 제 1 프린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된 인쇄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인쇄 시스템(1)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문서 등을 생성하고, 인쇄 지시를 출력하는 호스트 컴퓨터(10)와, 호스트 컴퓨터(10)가 출력하는 인쇄 지시에 따라서 인쇄를 실행하는 제 2 프린터(20)(제 2 인쇄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의 사이에 제 1 프린터(30)가 접속된다.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는, USB 케이블(2A)을 거쳐서 1대1로 직접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컴퓨터(10)가 출력하는 커맨드나 데이터를 직접 제 2 프린터(20)가 수신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여기서, 인쇄 시스템(1)은,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를 접속하는 USB 케이블(2A)을 떼고, 제 1 프린터(30)를 접속한 구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제 1 프린터(30)에, 호스트 컴퓨터(10)를 USB 케이블(2B)에 의해 접속하는 한편, 제 2 프린터(20)를 USB 케이블(2C)에 의해 접속한 시스템이다. 다시 말해, 인쇄 시스템(1)은, 호스트 컴퓨터(10)에 제 1 프린터(30)와 제 2 프린터(20)가 데이지 체인(daisy chain)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호스트 컴퓨터(10)는, 제어부(11)와, 제어부(11)에 접속된 기억부(15), 입력부(16) 및 표시부(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10)는, 외부의 기기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로서, USB 인터페이스(12)를 구비하고 있다. USB 인터페이스(12)는, USB_A 커넥터(13)와, 이 USB_A 커넥터(13)에 USB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된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을,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실행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1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1)는, CPU,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기억부(15)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의 각부를 중추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A)에 의해, 기억부(15)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예컨대, 제어부(11)는 POS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POS 단말로서 동작한다. 제어부(11)는, 입력부(16)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품 판매와 관련된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상품 판매 처리의 결과를 나타내는 리시트를 인쇄하는 데이터를 인쇄 실행의 지시와 함께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1)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11B)를 구비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11B)는, 기억부(15)에 기억된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호스트 컴퓨터(10)에 접속되는 각종 기기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의 호스트 컴퓨터(10)는, USB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접속되는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11B)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11B)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A)가 출력하는 인쇄 지시와 데이터에 근거하여, 프린터에 의해 인쇄를 실행시키는 인쇄 커맨드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USB 인터페이스(12)로부터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 2 프린터(20)에 인쇄 지시와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인스톨되어 있다.
USB 인터페이스(12) 및 후술하는 USB 인터페이스(21, 40, 45)는, 모두 USB 규격에 의해 규정되는 물리층, 링크층 및 프로토콜층을 구성하고, 1대1로 접속된 기기 사이의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여기서, USB 규격이란, USB 1.1~USB 3.0 또는 그 이후의 확장 규격을 포함한다.
USB 인터페이스(12)는 USB_A 커넥터(13)를 구비한다. USB_A 커넥터(13)는, USB 규격에 의해 호스트측의 장치의 커넥터로서 지정된 형상 및 단자를 갖는 암 커넥터(receptacle)이다. 이 USB_A 커넥터(13)에는 USB 규격의 USB 케이블(2A, 2B)을 접속 가능하다. USB_A 커넥터(13)는, mini USB_A 단자나 micro USB_A 단자로 하더라도 좋다. 또, 후술하는 USB_A 커넥터(46)(도 2)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12)가 구비하는 USB_A 커넥터(13)의 수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다.
USB 호스트 컨트롤러(14)는, USB 규격에 의해 규정된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기기가 USB_A 커넥터(13)에 접속된 경우에, 이 기기에 대하여 호스트측으로서 동작하고, 디바이스의 인식 및 디바이스와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디바이스란, 예컨대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에 접속되는 입출력 장치이고, 호스트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를 호스트에 출력하거나, 혹은, 호스트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호스트란, 디바이스로서의 입출력 장치에 대하여, 이들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는 컴퓨터 등이 해당된다.
제 2 프린터(20)는, 도시하지 않는 인쇄 헤드, 반송 모터, 반송 롤러, 커터 유닛 등의 제 2 프린터 인쇄부(28)를 구비하고, 커트지나 롤지 등의 인쇄 매체에, 문자나 화상을 인쇄(기록)하는 장치이다. 제 2 프린터(20)는, USB 인터페이스(21)와, 통신부(26)와, 제 2 프린터 제어부(27)를 구비한다. 통신부(26)는, USB 인터페이스(21)를 거쳐서 접속된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제 2 프린터 제어부(27)는, 통신부(26)가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 2 프린터 인쇄부(28)를 제어하고, 인쇄를 실행시킨다.
USB 인터페이스(21)가 구비하는 USB_B 커넥터(22)는, USB 규격에 의해 디바이스측의 장치의 커넥터로서 지정된 형상 및 단자를 갖는 암 커넥터이고, USB 규격에 준거한 USB 케이블(2A, 2C)을 접속 가능하다. USB_B 커넥터(22)는, mini USB_B 단자나 micro USB_B 단자로 하더라도 좋다. 또, 후술하는 USB_B 커넥터(41)(도 2)도 마찬가지이다.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23)는, USB 규격에 의해 규정된 디바이스측의 기기로서 동작한다.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23)는, USB_B 커넥터(22)에 USB 케이블을 거쳐서 접속된 기기에 대하여 USB 디바이스 클래스 ID나 디바이스 ID 등을 통지하고, 이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통신을 실행한다.
통신부(26)는, USB 인터페이스(21)를 거쳐서 커맨드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 버퍼(25)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한, 통신부(26)는, 제 2 프린터(20)의 스테이터스를 나타내는 데이터나 제어 커맨드 등을, USB 인터페이스(21)를 거쳐서 송신한다.
제 2 프린터 제어부(27)는, 수신 버퍼(25)에 기억된 커맨드를 수신순으로 판독하여 실행한다. 예컨대, 제 2 프린터 제어부(27)는, 수신 버퍼(25)로부터 스테이터스의 송신을 요구하는 커맨드를 판독한 경우, 제 2 프린터(2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26)에 의해 송신한다. 또한, 예컨대, 제 2 프린터 제어부(27)는, 수신 버퍼(25)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갖는 인쇄 커맨드를 판독한 경우, 이 커맨드에 따라서 제 2 프린터 인쇄부(28)를 제어하여 인쇄한다. 그 후, 제 2 프린터 제어부(27)는, 인쇄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완료 통지 또는 에러가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에러 통지를 생성하여, 통신부(26)에 의해, USB 인터페이스(21)로부터 송신한다.
제 1 프린터(30)는, 2개의 USB 인터페이스(40, 45)를 구비하고 있다. USB 인터페이스(40)에는 USB 케이블(2B)을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1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45)에는 USB 케이블(2C)을 거쳐서 제 2 프린터(20)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프린터(30)는, USB 인터페이스(40, 45)를 거친 통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31), 제 1 프린터 인쇄부(60) 및 제 1 프린터 제어부(32)(인쇄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 1 프린터 인쇄부(60)는, 도시하지 않는 인쇄 헤드, 반송 모터, 반송 롤러, 커터 유닛 등을 구비하여 인쇄를 행한다. 제 1 프린터 제어부(32)는, 통신 제어부(31)가 송수신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 1 프린터 인쇄부(60)를 제어하여 인쇄를 실행시킨다.
도 2는 인쇄 시스템(1)의 기능 블록도이고, 제 1 프린터(30)의 구성에 대하여 특히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40)(제 1 인터페이스)는, USB_B 커넥터(41)(디바이스용의 커넥터)와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42)(디바이스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USB 인터페이스(45)(제 2 인터페이스)는, USB_A 커넥터(46)(호스트용의 커넥터)와 USB 호스트 컨트롤러(47)(호스트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USB_B 커넥터(41)는, USB_B 커넥터(22)와 같이, USB 규격에 의해 디바이스측의 장치의 커넥터로서 지정된 형상 및 단자를 갖는 암 커넥터이고, USB 케이블(2B)이 접속된다.
또한, USB_A 커넥터(46)는, USB_A 커넥터(13)와 같이, USB 규격에 의해 호스트측의 장치의 커넥터로서 지정된 형상 및 단자를 갖는 암 커넥터이고, USB 케이블(2C)이 접속된다. 또, USB 인터페이스(45)가 구비하는 USB_A 커넥터(46)의 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42)는, USB_B 커넥터(41)에 접속된 기기에 대하여 USB 디바이스 클래스 ID나 디바이스 ID 등을 통지하고, 이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통신을 실행한다. 한편, USB 호스트 컨트롤러(47)는, USB 규격에 의해 규정된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기기가 USB_A 커넥터(46)에 접속된 경우에, 이 기기에 대하여 호스트측으로서 동작하고, 디바이스의 인식 및 디바이스와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제 1 프린터(30)는, USB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된 기기(본 실시형태에서는 호스트 컴퓨터(10))에 대해서는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한편, USB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된 기기(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프린터(20))에 대해서는 호스트로서 동작한다.
또한, 제 1 프린터(30)는, 통신 제어부(31)에 접속된 메모리(33)(기억부) 및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 접속된 메모리(34)를 구비한다. 이들 메모리(33, 34)는 커맨드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또한, 제 1 프린터 인쇄부(6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61), 반송 모터(62) 및 커터 유닛(63)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프린터 인쇄부(60)는, 도시하지 않는 커트지나 롤지 등의 인쇄 매체를 반송 모터(62)에 의해 반송하고, 인쇄 헤드(61)에 의해 문자나 화상을 인쇄하고, 인쇄 후의 인쇄 매체를 커터 유닛(63)에 의해 커트하여 출력한다.
통신 제어부(31)는, USB 인터페이스(40, 45)의 양쪽에 접속되고, 이들 USB 인터페이스(40, 45)를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의 각각에 대하여 통신을 실행한다.
통신 제어부(31)는,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송신된 커맨드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40)에 의해 수신한 경우, 수신한 커맨드나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33)에 기억한다. 통신 제어부(31)는, 메모리(33)에 기억한 커맨드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45)로부터 제 2 프린터(20)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가 송신한 커맨드나 데이터가 제 2 프린터(20)에 송신된다. 제 1 프린터(30)는, 호스트 컴퓨터(10)에 대하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므로, 호스트 컴퓨터(10)는, USB 인터페이스(12)에 접속된 디바이스에 커맨드나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을 행하면 된다. 바꿔 말하면, USB 인터페이스(12)에 USB 케이블(2A)(도 1)에 의해 제 2 프린터(20)가 접속된 경우와 같이, 커맨드나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제 2 프린터(20)에 대하여, 제 1 프린터(30)는 USB 인터페이스(45)에 의해 호스트로서 기능하므로, 제 2 프린터(20)는, 호스트로부터 송신된 커맨드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와 같이, 이 커맨드나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한다. 바꿔 말하면, 제 2 프린터(20)는, USB 인터페이스(21)에 USB 케이블(2A)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가 접속된 경우와 같이, 커맨드나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10) 및 제 2 프린터(20)는, 모두,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가 USB 케이블(2A)에 의해 직접 접속된 경우와 같이 동작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31)는, 제 2 프린터(20)로부터 인쇄 결과의 통지나 스테이터스 정보 등의 데이터가 송신된 경우에, 이들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45)에 의해 수신한다. 통신 제어부(31)는, 수신한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33)에 기억하고, USB 인터페이스(40)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프린터(20)가 송신한 인쇄 결과의 통지나 스테이터스 등이 호스트 컴퓨터(10)에 송신된다.
여기서, 제 1 프린터(30)는 제 2 프린터(20)에 대하여 호스트로서 기능하므로, 제 2 프린터(20)는, 호스트에 대하여 인쇄 결과의 통지나 스테이터스 등을 송신하는 경우와 같이 동작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10)에 대하여 제 1 프린터(30)는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므로, 호스트 컴퓨터(10)는, USB 인터페이스(12)에 접속된 디바이스로부터 인쇄 결과의 통지나 스테이터스 등이 송신된 경우와 같이 동작한다.
다시 말해, 호스트 컴퓨터(10) 및 제 2 프린터(20)는, USB 인터페이스(12)와 USB 인터페이스(21)가 USB 케이블(2A)(도 1)에 의해 상호 접속된 경우와 같이 동작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31)는, 메모리(33)에 기억한 커맨드나 데이터를 해석한다. 이 해석으로, 제 1 프린터(30)가 인쇄를 행하는 조건에 합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인쇄하는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컨대, 통신 제어부(31)는, 호스트 컴퓨터(10)가 송신한 인쇄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특정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특정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문자열에 대응시켜 미리 메모리(33)나 통신 제어부(31)가 구비하는 ROM(도시 생략)에 기억하고 있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컴퓨터(10)가 POS 단말로서 동작하고, 리시트를 인쇄시키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 통신 제어부(31)는, 인쇄 데이터 중에 미리 설정된 특정한 상품명이나 상품 구분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인쇄 데이터에 해당하는 상품명이나 상품 구분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통신 제어부(31)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쿠폰을 인쇄시키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프린터(30)는, 제 2 프린터(20)에 의해 특정한 리시트가 인쇄되는 경우에, 그 리시트에 대응하는 쿠폰을 발행한다.
통신 제어부(31)는, 제 2 프린터(20)가 송신한 인쇄 결과의 통지나 스테이터스 등의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 출력한다. 대응하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는, 미리 지정된 데이터에 대응시켜 미리 메모리(33)나 통신 제어부(31)가 구비하는 ROM(도시 생략)에 기억하고 있다. 예컨대, 통신 제어부(31)는, 제 2 프린터(20)가 송신한 데이터에 인쇄 에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인쇄 에러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에러를 통지하는 장부를 인쇄시키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프린터(30)는, 제 2 프린터(20)의 인쇄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그 에러를 통지하는 장부를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프린터(30)는, 호스트 컴퓨터(10)가 송신한 데이터를 제 2 프린터(20)에 송신함과 아울러, 이 데이터에 근거하여 호스트 컴퓨터(10) 및 제 2 프린터(20)와는 독립하여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린터(20)가 송신한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10)에 송신함과 아울러, 이 데이터에 근거하여 호스트 컴퓨터(10) 및 제 2 프린터(20)와는 독립하여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의 사이에 제 1 프린터(30)를 거쳐서 USB 케이블(2B, 2C)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행하는 기능을 실행 가능하게 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10) 및 제 2 프린터(20)와는 독립한 새로운 동작을, 제 1 프린터(30)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존의 인쇄 시스템에 새로운 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린터(30)는,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USB 인터페이스(40)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에 접속되고,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USB 인터페이스(45)에 의해 제 2 프린터(20)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10) 및 제 2 프린터(20)는, USB 케이블(2A)에 의해 상호 직접 접속된 경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면 된다. 이 때문에, 인쇄 시스템(1)의 구성 변경을 하는 일 없이,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의 사이에 제 1 프린터(30)를 설치할 수 있다. 인쇄 시스템(1)의 구성 변경이란, 예컨대, 호스트 컴퓨터(10)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의 변경이나, 제 2 프린터(20)의 동작 조건의 변경 등이다.
또한, 제 1 프린터(30)는, 제 1 프린터 제어부(32)가 탑재된 메인 기판(36)(인쇄 제어 기판)과, 이 메인 기판(36)과는 별도로, 제 1 프린터(30)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인터페이스 기판(35)을 구비하고 있다. 인터페이스 기판(35)에는, 통신 제어부(31), 메모리(33) 및 USB 인터페이스(40, 45)의 각부가 실장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기판(35)에 실장된 각부와, 메인 기판(36)에 실장된 제 1 프린터 제어부(32)는, 제 1 프린터(30)가 내장하는 내부 인터페이스(37)를 거쳐서 상호 데이터 입출력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기판(35)상의 각부에 대하여 내부 인터페이스(37)를 거쳐서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좋고, 인터페이스 기판(35)에 외부 전원이 접속되는 구성으로서 인터페이스 기판(35)으로부터 메인 기판(36)에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예컨대, 하나의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인터페이스 기판을, 도 2에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기판(35)과 교환하는 것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의 사이에 설치 가능한 제 1 프린터(30)를 실현할 수 있다.
도 3은 인쇄 시스템의 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고, (A)는 호스트 컴퓨터(10)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제 1 프린터(30)의 동작을 나타내고, (C)는 제 2 프린터(20)의 동작을 나타낸다.
호스트 컴퓨터(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A)의 동작에 의해 문서 등이 작성되고, 인쇄 지시가 출력되면(단계 S11), 이 인쇄 지시에 근거하여 인쇄 커맨드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2). 이 인쇄 커맨드와 인쇄 데이터는, 제 2 프린터(20)를 동작시키는 인쇄 커맨드와 인쇄 데이터이고,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11B)가 생성한다. 생성한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는 USB 인터페이스(12)로부터 송신된다(단계 S13).
호스트 컴퓨터(10)가 송신한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는, 제 1 프린터(30)가 USB 인터페이스(40)에 의해 수신한다(단계 S21). 통신 제어부(31)는, USB 인터페이스(40)에 의해 수신한 인쇄 커맨드와 인쇄 데이터를 메모리(33)에 기억하고(단계 S22), 이 인쇄 커맨드와 인쇄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45)로부터 송신한다(단계 S23).
여기서, 통신 제어부(31)는, 메모리(33)에 기억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한다(단계 S24). 통신 제어부(31)는, 해석한 인쇄 데이터가 인쇄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5). 인쇄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는(단계 S25;예), 미리 설정된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 출력하여, 인쇄를 실행시킨다(단계 S26). 또한, 메모리(33)에 기억한 인쇄 데이터가 인쇄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단계 S25;아니오), 통신 제어부(31)는, 일단 처리를 종료하여 대기한다.
제 2 프린터(20)는, 제 1 프린터(30)가 송신한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41). 제 2 프린터(20)는, 수신한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에 따라서, 제 2 프린터 제어부(27)가 제 2 프린터 인쇄부(28)를 제어하여 인쇄를 실행한다(단계 S42).
제 2 프린터 제어부(27)는, 인쇄가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를 판정하고(단계 S43), 인쇄에 성공한 경우는(단계 S43;예), 인쇄 성공을 출력하고, 통신부(26)가 인쇄 성공 통지를 생성한다(단계 S44). 또한, 인쇄에 실패한 경우는(단계 S43;아니오), 제 2 프린터 제어부(27)는 인쇄 에러를 출력하고, 통신부(26)는 인쇄 에러 통지를 생성한다(단계 S45).
그 후, 통신부(26)는, 단계 S44에서 생성한 인쇄 완료 통지 또는 단계 S45에서 생성한 인쇄 에러 통지를, USB 인터페이스(21)로부터 송신하고(단계 S46), 본 처리를 종료한다.
제 1 프린터(30)는, 제 2 프린터(20)가 송신한 통지를 USB 인터페이스(45)에 의해 수신하여 메모리(33)에 기억하고(단계 S27), 이 통지를 USB 인터페이스(40)로부터 호스트 컴퓨터(10)에 송신한다(단계 S28).
호스트 컴퓨터(10)는, USB 인터페이스(12)에 의해 제 1 프린터(30)가 송신한 통지를 수신한다(단계 S14).
또한, 제 1 프린터(30)의 통신 제어부(31)는, 메모리(33)에 기억한 통지를 해석하고, 인쇄 에러를 나타내는 통지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9). 인쇄 에러의 통지였던 경우는(단계 S29;예), 미리 설정된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 출력하여, 인쇄를 실행시킨다(단계 S30). 또한, 메모리(33)에 기억한 통지가 인쇄 에러의 통지가 아닌 경우(단계 S29;아니오), 통신 제어부(31)는, 그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된 인쇄 시스템(1)에 의하면, 제 1 프린터(30)는, USB 인터페이스(40)와, USB 인터페이스(45)와, 제 1 프린터 인쇄부(60)를 구비한다. USB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된 장치에 대하여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된 장치에 대하여 호스트로서 동작하고,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 1 프린터 인쇄부(60)에 의해, USB 인터페이스(40)에서 디바이스로서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이 때문에, 제 1 프린터(30)는,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의 어느 쪽이라도 접속 가능하다. 그리고, 단계 S11~S13, S21~S26, S41~S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0)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 2 프린터(20)에 송신한다. 따라서,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의 사이에 개재하여,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를 디바이스로서 수신하고,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다른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들 호스트 및 디바이스의 각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이들 장치의 사이에 설치하여,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가 송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린터(30)는, USB 인터페이스(40)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3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프린터 인쇄부(60)는, 통신 제어부(31)가 생성한 커맨드 및 데이터에 따라서, 메모리(33)에 기억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이 때문에, 제 1 프린터(30)는,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 2 프린터(20)에 송신하여, 제 2 프린터(20)에 인쇄를 실행시킴과 아울러,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 1 프린터(30)가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는 다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40, 45)는,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타겟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토콜로서, 예컨대 USB 규격에 대응한다. USB 인터페이스(40)는, 디바이스용의 USB_B 커넥터(41) 및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에 접속된 경우에 디바이스로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42)를 구비한다. 한편, USB 인터페이스(45)는, 호스트용의 USB_A 커넥터(46) 및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호스트용의 USB 호스트 컨트롤러(47)를 구비한다. USB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된 장치에 대해서는 호스트로서 동작하고, USB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된 장치에 대해서는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이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10) 및 제 2 프린터(20)와 같이,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장치와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의 사이에, 각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설치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시스템(1)에 있어서, 제 1 프린터(30)의 기능적 구성을 변경한 예를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의 구성부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된 인쇄 시스템(1A)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고, 제 1 프린터(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의 인쇄 시스템(1A)은, 도 1에 나타낸 인쇄 시스템(1)과 같이 구성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프린터(30) 대신에 제 1 프린터(130)를 갖는다. 제 1 프린터(130)는, 제 1 프린터(30)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의 사이에 마련된다. 제 1 프린터(130)는, 호스트 컴퓨터(10)에 대하여 USB 케이블(2B)에 의해 접속되는 한편, USB 케이블(2C)에 의해 제 2 프린터(20)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 1 프린터(130)는, 인터페이스 기판(35)(도 2) 대신에, 인터페이스 기판(135)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프린터(130)는, 제 1 프린터(30)와 같이 2개의 USB 인터페이스(40, 45)를 구비하고 있다. USB 인터페이스(40)에는 USB 케이블(2B)을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10)가 접속되고, USB 인터페이스(45)에는 USB 케이블(2C)을 거쳐서 제 2 프린터(20)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프린터(130)는, USB 인터페이스(40, 45)를 거친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프린터(130)는, 제 1 프린터(30)와 같이 제 1 프린터 인쇄부(60)(인쇄부, 제 1 인쇄부)와, 제 1 프린터 제어부(32)(인쇄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 1 프린터(130)는, 제 1 프린터(30)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된 기기(본 실시형태에서는 호스트 컴퓨터(10))에 대하여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된 기기(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프린터(20))에 대해서는 호스트로서 동작한다.
제어부(131)는, 기기 제어부(51), USB 클라이언트 드라이버(52), USB 드라이버(53), 인쇄 제어부(55) 및 프린터 드라이버(56)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31)는, 인터페이스 기판(135)에 실장된 도시하지 않는 CPU, ROM, RAM 등에 의해 구성되고, CPU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131)의 각부가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기판(135)은, 제어부(131)에 접속된 기억부(54)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부(54)는, 예컨대 인터페이스 기판(135)에 실장된 플래시 ROM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54)의 기억 영역에는, 수신 버퍼(54A)(인쇄 데이터 기억부) 및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54B)(기억부)가 마련되어 있다. 수신 버퍼(54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31)가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인쇄 지시의 커맨드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수신된 커맨드나 데이터를 축차 기억한다. 또한,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54B)는, 제어부(131)가 호스트 컴퓨터(10)에 송신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장치 정보)를 기억한다.
제어부(131)는, 소정의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USB 클라이언트 드라이버(52)로서 기능한다. USB 클라이언트 드라이버(52)는, USB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되는 호스트 컴퓨터(10)에 대하여, USB 규격에 준거한 USB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USB 클라이언트 드라이버(52)는, USB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된 기기로부터 디바이스 클래스 ID나 디바이스 ID가 요구된 경우에, 이 요구에 응답하여 USB 디바이스 정보를 통지한다. USB 디바이스 정보는, USB 디바이스 클래스 ID나 디바이스 ID 등을 포함한다. USB 디바이스 정보를 통지하는 것에 의해, 이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USB 인터페이스(40)에 호스트 컴퓨터(10)가 접속된 경우에, 호스트 컴퓨터(10)에 대하여 USB 디바이스 정보를 통지한다. 여기서, USB 클라이언트 드라이버(52)는, 제 1 프린터(130)의 제조원의 벤더 ID나 제 1 프린터(130)의 기종명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ID를 포함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USB 클라이언트 드라이버(52)는, 사전에 설정된 경우에, 제 2 프린터(20)의 제조원의 벤더 ID나 제 2 프린터(20)의 기종명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ID를 포함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 1 프린터(130)는, 제 1 프린터(130)에 대응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제 1 장치 정보)와 함께, 제 2 프린터(20)에 대응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제 2 장치 정보)를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54B)에 기억하고 있다. 기기 제어부(51)는, USB 인터페이스(40)에 호스트 컴퓨터(10)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면, 사전의 설정에 따라서, 기억부(54)에 기억된 제 2 프린터(20)에 대응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를 USB 클라이언트 드라이버(52)에 출력한다. USB 클라이언트 드라이버(52)는, 이 USB 디바이스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0)에 통지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는, USB_A 커넥터(13)(도 1)에 제 2 프린터(20)가 접속되어 있다고 인식한다. 다시 말해, 호스트 컴퓨터(10)는, USB 케이블(2B)을 거쳐서 제 1 프린터(130)에 접속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USB 케이블(2A)(도 1)을 거쳐서 제 2 프린터(20)에 접속된 경우와 같이 동작한다.
또한, 제어부(131)는, 소정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USB 드라이버(53)로서 기능한다. USB 드라이버(53)는, USB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된 기기에 대하여, USB 호스트 컨트롤러(47)를 이용하여, USB 규격에 의해 규정된 호스트 기기로서 동작하고, 디바이스의 인식 및 디바이스와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USB 드라이버(53)는, 제 2 프린터(20)에 대응한 디바이스 드라이버이고, 제 2 프린터(20)에 대응하는 인쇄 커맨드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USB 인터페이스(45)에 제 2 프린터(20)가 접속된 경우, USB 드라이버(53)는, 제 2 프린터(20)에 대하여 USB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 요구에 응답하여 제 2 프린터(20)가 송신하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 후, USB 드라이버(53)는, 제 2 프린터(20)와의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한다. 이 경우, 제 2 프린터(20)는, USB 케이블(2A)(도 1)을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10)에 접속된 경우와 같이 동작한다.
기기 제어부(51)는, USB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10)로부터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가 출력된 경우에, 이 커맨드 및 데이터를 기억부(54)에 마련된 수신 버퍼(54A)에 기억한다.
기기 제어부(51)는, 수신 버퍼(54A)에 기억한 커맨드 및 데이터를 인쇄 제어부(55)에 출력함과 아울러, USB 드라이버(53)에 의해 제 2 프린터(20)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가 송신한 커맨드나 데이터가 제 2 프린터(20)에 송신된다.
제 2 프린터(20)에 대하여, 제 1 프린터(130)는 USB 인터페이스(45)에 의해 호스트로서 기능한다. 제 2 프린터(20)는, 호스트로부터 송신된 커맨드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와 같이, 이 커맨드나 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한다. 바꿔 말하면, 제 2 프린터(20)는, USB 인터페이스(21)에 USB 케이블(2A)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가 접속된 경우와 같이, 커맨드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제 1 프린터(130)는, 메인 기판(36)(인쇄 제어 기판)과, 인터페이스 기판(135)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기판(36)은, 제 1 프린터 인쇄부(60)를 제어하는 제 1 프린터 제어부(32)가 탑재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기판(135)은, 메인 기판(36)과는 별도로, 제 1 프린터(130)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기판(135)에는, 제어부(131), 메모리(33) 및 USB 인터페이스(40, 45)의 각부가 실장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기판(135)에 실장된 각부와, 메인 기판(36)에 실장된 제 1 프린터 제어부(32)는, 제 1 프린터(130)가 내장하는 내부 인터페이스(37)를 거쳐서 상호 데이터 입출력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기판(135)상의 각부에 대하여 내부 인터페이스(37)를 거쳐서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좋고, 인터페이스 기판(135)에 외부 전원이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여 인터페이스 기판(135)으로부터 메인 기판(36)에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좋다.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는 메모리(34)가 접속된다. 메모리(34)는 커맨드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인쇄 제어부(55)(데이터 해석부)는, 기기 제어부(51)로부터 입력된 커맨드 및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 1 프린터(130)가 인쇄를 행하는 조건에 합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쇄하는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프린터 드라이버(56)에 출력한다. 예컨대, 인쇄 제어부(55)는, 호스트 컴퓨터(10)가 송신한 인쇄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특정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다. 이 경우, 인쇄 제어부(55)는, 그 문자열에 대응시켜 미리 기억부(54)에 기억하고 있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컴퓨터(10)가 POS 단말로서 동작하고, 리시트를 인쇄시키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 인쇄 제어부(55)는, 인쇄 데이터 중에 미리 설정된 특정한 상품명이나 상품 구분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인쇄 데이터에 해당하는 상품명이나 상품 구분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인쇄 제어부(55)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쿠폰을 인쇄시키는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 드라이버(56)에 출력한다. 프린터 드라이버(56)는, 제 1 프린터(130)가 내장하는 메인 기판(36) 및 제 1 프린터 인쇄부(60)를 동작시키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이고, 제어부(131)가 소정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이 동작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가 리시트 인쇄의 커맨드 및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에, 이 커맨드 및 데이터에 따라서 제 2 프린터(20)가 리시트를 인쇄한다. 또한, 이 리시트에 관련하는 쿠폰을 제 1 프린터(130)가 인쇄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10) 및 제 2 프린터(20)는, USB 케이블(2A)에 의해 상호 직접 접속된 경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면 된다. 호스트 컴퓨터(10)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의 변경이나, 제 2 프린터(20)의 동작 조건의 변경 등을 행하는 일 없이,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2 프린터(20)의 사이에 제 1 프린터(13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 컴퓨터(10) 및 제 2 프린터(20)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인쇄되는 리시트에 관련하는 쿠폰을 제 1 프린터(130)에 의해 인쇄할 수 있고, 또한, 제 2 프린터(20)에 의한 리시트 인쇄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도 5는 인쇄 시스템(1A)의 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고, (A)는 호스트 컴퓨터(10)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제 1 프린터(130)의 동작을 나타낸다. 이 도 5의 동작은 호스트 컴퓨터(10)와 제 1 프린터(130)를 USB 케이블(2B)에 의해 접속한 경우에 실행된다.
호스트 컴퓨터(10)는, USB_A 커넥터(13)에 어떤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111), 접속한 기기에 대하여 호스트 기기로서 동작하고, USB 디바이스 정보를 요구한다(단계 S112). 한편, 제 1 프린터(130)의 기기 제어부(51)는, USB 인터페이스(40)에 어떤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121), 디바이스 기기로서 동작한다. 기기 제어부(51)는, 호스트 컴퓨터(10)가 송신한 USB 디바이스 정보의 요구를 수신한다(단계 S122). 기기 제어부(51)는,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54B)에 기억하고 있는 제 2 프린터(20)의 USB 디바이스 정보를 판독하여, 호스트 컴퓨터(10)에 송신한다(단계 S123). 호스트 컴퓨터(10)는, 제 1 프린터(130)로부터 송신된 USB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113). 호스트 컴퓨터(10)는, 수신한 USB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램을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11B)에 의해 실행한다(단계 S114). 그 후, 호스트 컴퓨터(10) 및 제 1 프린터(130)는, USB 케이블(2B)을 거쳐서 상호 통신 설정을 행하고(단계 S115, S124), 커맨드나 데이터를 통신 가능한 상태로 이행한다. 이 도 5의 동작 뒤, 호스트 컴퓨터(10)는, USB 케이블(2B)을 거쳐서 접속된 상대방측의 기기를 제 2 프린터(20)로서 인식한다.
도 6은 인쇄 시스템(1A)의 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고, (A)는 호스트 컴퓨터(10)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제 1 프린터(130)의 동작을 나타내고, (C)는 제 2 프린터(20)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의 동작은, 도 5의 동작의 뒤에 실행된다.
호스트 컴퓨터(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1A)의 동작에 의해 문서 등이 작성되고, 인쇄 지시가 출력되면(단계 S131), 이 인쇄 지시에 근거하여 인쇄 커맨드와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32). 여기서 생성되는 인쇄 커맨드와 인쇄 데이터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11B)가, 제 2 프린터(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생성한다. 호스트 컴퓨터(10)는, 생성한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12)로부터 송신한다(단계 S133).
호스트 컴퓨터(10)가 송신한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는, 제 1 프린터(130)가 USB 인터페이스(40)에 의해 수신한다(단계 S141). 기기 제어부(51)는, USB 인터페이스(40)에 의해 수신한 인쇄 커맨드와 인쇄 데이터를 수신 버퍼(54A)에 기억하고, 이 인쇄 커맨드와 인쇄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45)로부터 송신한다(단계 S142). 또한, 기기 제어부(51)는 수신 버퍼(54A)에 기억한 커맨드와 데이터를 인쇄 제어부(55)에 출력한다.
여기서, 인쇄 제어부(55)는, 메모리(33)에 기억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한다(단계 S143). 인쇄 제어부(55)는, 해석한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쿠폰 인쇄의 데이터를 취득하고(단계 S144), 취득한 데이터를 프린터 드라이버(56)에 출력한다. 프린터 드라이버(56)는, 쿠폰 인쇄의 데이터를, 내부 인터페이스(37)를 거쳐서 제 1 프린터 제어부(32)에 출력하고, 제 1 프린터 제어부(32)의 제어에 의해 쿠폰이 인쇄된다(단계 S145).
그 후, 인쇄 제어부(55)는, 제 2 프린터(20)로서 인쇄 완료 통지를 생성하고, 호스트 컴퓨터(10)에 송신한다(단계 S146). 호스트 컴퓨터(10)는, 제 1 프린터(130)로부터 송신된 인쇄 완료 통지를, 제 2 프린터(20)의 인쇄 완료 통지로서 수신하고(단계 S134), 인쇄가 완료된 것에 근거하여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 2 프린터(20)는, 제 1 프린터(130)가 송신한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151), 수신한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에 따라서, 제 2 프린터 제어부(27)의 제어에 의해 리시트를 인쇄한다(단계 S152).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쇄 시스템(1A)의 제 1 프린터(130)는, 호스트 컴퓨터(10)에 접속되고, 제 1 프린터 인쇄부(60)와,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54B)와, USB 인터페이스(40)와, 기기 제어부(51)를 구비하고 있다.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54B)는, 제 1 프린터(130)의 종별을 포함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 및 다른 인쇄 장치인 제 2 프린터(20)에 대응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를 기억한다. USB 인터페이스(40)에는 호스트 컴퓨터(10)가 접속된다. 또한, 기기 제어부(51)는, USB 인터페이스(40)에 호스트 컴퓨터(10)가 접속된 경우에, 호스트 컴퓨터(10)에 대하여, 제 2 프린터(20)의 USB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한다. 제 1 프린터(130)는, 제 2 프린터(20)에 대응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0)에 출력하여, 호스트 컴퓨터(10)에 제 2 프린터(20)가 접속되었다고 인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10)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호스트 컴퓨터(10)에 접속되는 프린터를, 제 2 프린터(20)로부터 제 1 프린터(130)로 변경할 수 있다.
기기 제어부(51)는, 호스트 컴퓨터(10)가 제 2 프린터(20)용의 인쇄 커맨드 및 인쇄 데이터를 출력한 경우에, 이 커맨드 및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45)로부터 제 2 프린터(20)에 출력한다. 이 때문에, 제 2 프린터(20)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가 출력한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인쇄 시스템(1A)은, 데이터를 출력하는 호스트 컴퓨터(10)와, 인쇄를 행하는 제 1 프린터 인쇄부(60) 및 호스트 컴퓨터(10)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제 1 프린터(130)를 구비한다. 또한, 인쇄 시스템(1A)은, 제 1 프린터(130)와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는 USB 인터페이스(21), 인쇄를 행하는 제 2 프린터 인쇄부(28)를 갖는 제 2 프린터(2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프린터(130)는, 제 1 프린터(130)의 종별을 포함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 및 제 2 프린터(20)의 종별을 포함하는 USB 디바이스 정보를 기억하는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54B)를 갖는다. 제 1 프린터(130)는, 호스트 컴퓨터(10)가 USB 디바이스 정보를 요구했을 때에,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54B)에 기억된 제 2 프린터(20)의 USB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한다. 호스트 컴퓨터(10)에 접속되는 제 1 프린터(130)가 호스트 컴퓨터(10)에 대하여 제 2 프린터(20)의 USB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므로, 호스트 컴퓨터(10)에는 제 2 프린터(20)로서 인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10)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제 2 프린터(20)에 대응하고 있는 호스트 컴퓨터(10)에, 제 1 프린터(130)를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10)와 인쇄 장치가 접속된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10)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인쇄 장치와 관련된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한 형태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프린터(30, 130)의 USB 인터페이스(40)에 호스트 컴퓨터(10)가 접속되고, USB 인터페이스(45)에 제 2 프린터(20)가 접속된 구성을 예시했다.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USB 인터페이스(40)에 접속되는 장치는 호스트로서 동작하는 것이면 제한은 없다. 예컨대 USB 호스트 컨트롤러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 장치나 다른 프린터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되는 장치는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장치이면 제한은 없다. 예컨대, 프린터 외에, 다른 입출력 디바이스이더라도 좋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프린터(20)가 구비하는 제 2 프린터 인쇄부(28) 및 제 1 프린터(30, 130)가 구비하는 제 1 프린터 인쇄부(60)에 대하여, 커트지나 롤지에 인쇄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본 발명의 인쇄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감열식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도트 임팩트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그 밖의 각종 프린터이더라도 좋다. 또한, 기능 블록도에 나타낸 각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임의로 실현 가능하고, 특정한 하드웨어 구성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각부는 외부 접속되는 기억 매체에 기억시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플로차트와 관련된 동작을 포함하는 각종 동작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40)와 USB 인터페이스(45)는 별개의 하드웨어로서 실현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USB 디바이스 컨트롤러(42)와 USB 호스트 컨트롤러(47)의 기능을 겸비한 하나의 하드웨어에, USB_B 커넥터(41) 및 USB_A 커넥터(46)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Claims (18)

  1.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40)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에 대하여 디바이스로서 동작시키는 제 1 디바이스 컨트롤러(42)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인터페이스(45)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장치에 대하여 호스트로서 동작시키는 제 2 디바이스 컨트롤러(47)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디바이스로서 수신한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호스트로서 수신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6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컨트롤러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쇄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해석하고, 해석된 결과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인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인쇄 지시를 송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제 2 인쇄 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 2 인쇄 장치의 인쇄 결과를 나타내는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커맨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부가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 컨트롤러는, 디바이스로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외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호스트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배치하는 인터페이스 기판과,
    상기 인쇄부를 제어하여 인쇄를 실행시키는 인쇄 제어부를 배치하는 인쇄 제어 기판
    을 갖는 인쇄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의 종류를 포함하는 제 1 장치 정보 및 상기 인쇄 장치와는 다른 인쇄 장치의 제 2 장치 정보를 기억하는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상기 호스트 컴퓨터가 접속된 경우에,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대하여, 상기 제 1 장치 정보 또는 상기 제 2 장치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 장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가 출력한 경우에,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하는 인쇄 장치.
  10. 인쇄 지시 및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는 제 1 인터페이스(40),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에 대하여 디바이스로서 제어하는 제 1 디바이스 컨트롤러(42), 제 2 인터페이스(45), 호스트로서 제어하는 제 2 디바이스 컨트롤러(47) 및 인쇄를 실행하는 제 1 인쇄부(60)를 구비하는 제 1 인쇄 장치(30)와,
    상기 제 1 인쇄 장치(30)의 제 2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되는 통신부(26) 및 인쇄를 실행하는 제 2 인쇄부(28)를 구비한 제 2 인쇄 장치(2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제 1 디바이스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인쇄 지시 및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인쇄 지시 및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쇄부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를 실행하고,
    상기 제 2 인쇄 장치는,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의 제 2 인터페이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인쇄 지시 및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인쇄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 2 인쇄부에서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상기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인쇄부는, 상기 해석부에서 해석된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 장치는,
    상기 제 2 인쇄부의 실행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의 제 2 인터페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 2 인쇄부의 실행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수신한 상기 제 2 인쇄부의 실행 결과에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하는
    인쇄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부의 실행 결과와 관련된 데이터는, 상기 제 2 인쇄부의 인쇄 에러이고,
    상기 제 1 인쇄 장치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상기 인쇄 에러를 송신하는
    인쇄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제 1 인쇄 장치의 종류를 포함하는 제 1 장치 정보 및 상기 제 2 인쇄 장치의 종류를 포함하는 제 2 장치 정보를 기억하는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를 갖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가 상기 제 1 인쇄 장치에 장치 정보를 요구했을 때에, 상기 디바이스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 2 장치 정보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하는
    인쇄 시스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이터 해석부와,
    미리 정해진 정보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기억하는 인쇄 데이터 기억부
    를 갖고,
    상기 데이터 해석부는, 상기 인쇄 데이터에 상기 미리 정해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인쇄부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POS 단말이고,
    상기 제 2 인쇄 장치는, 상기 POS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결제 정보와 관련된 리시트(receipt)를 인쇄하는
    인쇄 시스템.
  18. 호스트 컴퓨터와 제 1 인쇄부를 갖는 제 1 인쇄 장치가 접속된 후,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제 1 인쇄 장치에 인쇄 장치의 종류을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장치 정보를 요구받은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기억된 상기 제 1 인쇄 장치의 종류를 포함하는 제 1 장치 정보 및 제 2 인쇄 장치의 제 2 장치 정보 중 상기 제 2 장치 정보를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하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제 2 인쇄 장치에서 처리되는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제 1 인쇄 장치에 접속된 상기 제 2 인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 2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방법.
KR1020130084648A 2012-07-19 2013-07-18 인쇄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 KR101446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0229 2012-07-19
JP2012160229A JP5939064B2 (ja) 2012-07-19 2012-07-19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JP-P-2012-161213 2012-07-20
JP2012161213A JP2014019088A (ja) 2012-07-20 2012-07-20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13046461A JP6131640B2 (ja) 2013-03-08 2013-03-08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
JPJP-P-2013-046461 2013-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968A KR20140011968A (ko) 2014-01-29
KR101446436B1 true KR101446436B1 (ko) 2014-10-01

Family

ID=4880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648A KR101446436B1 (ko) 2012-07-19 2013-07-18 인쇄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22576A1 (ko)
EP (1) EP2687978A3 (ko)
KR (1) KR101446436B1 (ko)
CN (1) CN1035771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2815A (ja) * 2008-12-26 2010-07-08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9805387B2 (en) 2014-02-14 2017-10-31 Seiko Epson Corporation Processing system and pos system
JP6567832B2 (ja) * 2015-01-29 2019-08-28 日本電産株式会社 レーダシステム、レーダ信号処理装置、車両走行制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472579B2 (en) 2018-12-04 2022-10-18 Gpcp Ip Holdings Llc Film securing apparatus and method
US11752779B2 (en) 2017-12-12 2023-09-12 Gpcp Ip Holdings Llc Food service cup dispensers, systems, and methods
US20190180392A1 (en) 2017-12-12 2019-06-13 Gpcp Ip Holdings Llc Personalized food service material printing systems
CN108170384A (zh) * 2017-12-26 2018-06-15 南京邦亚生物科技有限公司 票据打印方法、装置及系统、计算机存储介质
CN110549748A (zh) * 2018-06-04 2019-12-10 合肥硕森科技有限公司 一种恒压稳定型的可拼接式无边框打印系统
CN110549752A (zh) * 2018-06-04 2019-12-10 合肥硕森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轨道的可拼接式无边框打印机
CN110549754A (zh) * 2018-06-04 2019-12-10 合肥硕森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拼接式的无边框打印机
CN110561923A (zh) * 2018-06-05 2019-12-13 合肥硕森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折叠平台的可拼接式无边框打印装置
CN110561928A (zh) * 2018-06-05 2019-12-13 合肥硕森科技有限公司 一种可滑动式无边框可拼接打印系统
CN110561927A (zh) * 2018-06-05 2019-12-13 合肥硕森科技有限公司 一种互插式无边框可拼接打印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45A (ko) * 2001-04-13 2002-10-19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온라인 즉석복권기능을 가진 주유시스템 및 주유시스템의온라인복권제공방법
JP2005343028A (ja) 2004-06-03 2005-12-15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プリンタインターフェース、pos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12173907A (ja) 2011-02-21 2012-09-10 Seiko Epson Corp アンケー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1152B2 (ja) * 1996-12-05 2005-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3278394B2 (ja) * 1998-02-25 2002-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0284929A (ja) * 1999-03-29 2000-10-13 Ricoh Co Ltd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US7324226B2 (en) * 2000-05-31 2008-01-2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20026426A1 (en) * 2000-08-24 2002-02-28 Bennett Joseph Michael Method of accessing the internet via the use of automated teller machines
JP2002307783A (ja) * 2001-04-10 2002-10-23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pos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方法および情報記録媒体
JP2003289416A (ja) * 2002-03-28 2003-10-10 Brother Ind Ltd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センタ装置
JP2005047264A (ja) * 2003-07-14 2005-02-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WO2006123544A1 (ja) * 2005-05-17 2006-11-23 Seiko Epson Corporation 印刷システム、posシステム、接続デバイス、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DE602006010793D1 (de) * 2005-10-31 2010-01-14 Seiko Epson Corp Drucker und Drucksystem
JP2008176574A (ja) 2007-01-18 2008-07-31 Star Micronics Co Ltd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命令データ供給装置、命令データ供給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083404A3 (en) * 2008-01-24 2010-01-06 Seiko Epson Corporation Receipt printing processing method, printer and receipt printing processing system
JP4482710B2 (ja) 2008-02-04 2010-06-16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Pos装置
JP2009212841A (ja) * 2008-03-04 2009-09-17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272897B2 (ja) * 2008-07-29 2013-08-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2096503A (ja) 2010-11-05 2012-05-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印刷装置、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印刷制御方法
US8531706B2 (en) * 2011-02-23 2013-09-10 Ricoh Company, Ltd Requesting capabilities of a printer and receiving capabilities of a printer and a print ser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45A (ko) * 2001-04-13 2002-10-19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온라인 즉석복권기능을 가진 주유시스템 및 주유시스템의온라인복권제공방법
JP2005343028A (ja) 2004-06-03 2005-12-15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プリンタインターフェース、pos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12173907A (ja) 2011-02-21 2012-09-10 Seiko Epson Corp アンケー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77127B (zh) 2017-07-25
EP2687978A2 (en) 2014-01-22
US20140022576A1 (en) 2014-01-23
EP2687978A3 (en) 2014-04-09
CN103577127A (zh) 2014-02-12
KR20140011968A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436B1 (ko) 인쇄 장치, 인쇄 시스템 및 인쇄 방법
US9030685B2 (en) Printing device,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EP2713264A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KR101467690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시스템
US10638016B2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printing system
JP5031539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WO2014156120A1 (ja)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611189B1 (ko) 드라이버정보의 사전 전송을 통해 프린팅 오동작을예측하는 인쇄시스템 및 그 방법
US10459673B2 (en) Print control device, print system, and print control method
JP7121906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74680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131640B2 (ja)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
JP5939064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14019088A (ja)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15014917A (ja) 電子機器、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06913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realizing printer driver
US20040252334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system
JP2002244821A (ja) プリントサーバを利用した印刷方法、プリント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580249B1 (ko) 프린터의 에뮬레이션 모드에 따라 프린트용 데이터를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JP6019749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posシステム
KR20090036886A (ko) 화상형성장치, 이에 연결된 호스트장치 및 그 화상처리방법
JP200619280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612331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71542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230598A (ja)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