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284B1 -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284B1
KR101445284B1 KR1020130099145A KR20130099145A KR101445284B1 KR 101445284 B1 KR101445284 B1 KR 101445284B1 KR 1020130099145 A KR1020130099145 A KR 1020130099145A KR 20130099145 A KR20130099145 A KR 20130099145A KR 101445284 B1 KR101445284 B1 KR 10144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pper case
float
main bod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후
정창욱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63Regulation, control including valves and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투입되는 플로트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 내에서 상하 승강되는 가이드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공기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밀폐패킹과, 상기 가이드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떠받치는 인장 스프링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방을 덮어씌우는 이탈방지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만수위시에 급격한 물 유입 등에 의한 미세한 수위 변동(출렁거림)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공기배출공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되면서 견고한 밀폐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의 외주면에 고착방지돌기를 마련하여 급격한 물공급 등에 의해 물의 수위가 가이드까지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 부유된 이물질이 상기 가이드와 상부케이스 사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장치의 고장 유발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가이드의 고착방지돌기가 상부케이스와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하여 가이드의 기울어짐 등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정확하고 안정적인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Apparatus for venting of air for upwarding type boiler}
본 발명은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만수위 상태에서 수위 변동시 가이드는 가만히 있고 플로트만 출렁거리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공기배출공을 밀폐시키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향식 보일러(밀폐형 가스보일러 등)는 난방기구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향식 보일러는 밀폐 난방회로 내의 팽창된 난방수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팽창탱크를 구비하여 난방회로 내의 압력조절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밀폐형 가스보일러는 난방회로 내의 난방수에서 기포가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 기포는 난방기의 열 교환 효율을 떨어뜨리고, 관로 내로 회류되는 난방수에 간섭을 주어 난방수의 순환을 원활하지 못하게 하는 등 난방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난방회로 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난방수와 분리하여 배기 처리시키는 공기배출장치가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는 보일러 사용 중에 난방수에서 기포가 발생되면 발생된 기포를 기수분리기에 의해 물과 공기로 분리시켜 공기만을 수집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공기배출장치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공기배출장치의 하우징 상단 측방으로 공기배출공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배출공을 패킹으로 밀폐시키며, 상기 패킹에 플로트를 연결하여 수위의 승강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공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른 종래 기술의 공기배출장치는 만수위가 되면 플로트가 상승하여 패킹으로 공기배출공을 밀폐시키고, 저수위가 되면 상기 플로트가 하강하여 패킹을 개방시켜 공기배출공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트 상방의 공간으로 기포가 상승하여 팽창되는 공기압에 의해서 상기 플로트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이때 플로트의 하강에 의해 패킹이 개방되면서 상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공기배출장치는 플로트와 패킹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급격한 물 유입 등에 의해 미세한 수위 변동(물이 출렁거림 등)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 이에 따라 플로트가 출렁거리게 되면 이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패킹도 같이 움직이면서 그 결과 공기배출공의 원치 않는 개방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수직 상방으로 관통된 공기배출공과, 이 공기배출공에 대응하여 수위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는 플로트와, 이 플로트의 당김력 여부에 따라 승강되는 가이드 및 이 가이드를 상향 시키는 인장스프링을 마련하고 상기 플로트의 결합돌부와 가이드의 결합수부 사이에 소정의 여유 공간부를 형성하여, 저수위시에는 하강되는 플로트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잡아당겨져 공기배출공이 개방되고 만수위에서는 플로트의 상승에 따른 하향 당김이 해제되는 동시에 인장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상승되어 공기배출공을 밀폐시키며 만수위 상태에서 수위 변동시 가이드는 가만히 있고 플로트만 출렁거리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공기배출공을 밀폐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만수위시에 급격한 물 유입 등에 의한 미세한 수위 변동(출렁거림)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공기배출공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되면서 견고한 밀폐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이드의 외주면에 고착방지돌기를 마련하여 급격한 물공급 등에 의해 물의 수위가 가이드까지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 부유된 이물질이 상기 가이드와 상부케이스 사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장치의 고장 유발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이드의 고착방지돌기가 상부케이스와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하여 가이드의 기울어짐 등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정확하고 안정적인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는, 상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저면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는 물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물유입구로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플로트;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 씌우고, 상면에 공기배출공이 마련된 상부케이스; 상기 플로트 상단부와 연결되고 수위 높낮이에 따른 상기 플로트의 하향 당김 및 당김 해제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 내에서 상하 승강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의 공기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밀폐패킹; 일단이 상기 가이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플로트의 하향 당김시 가이드에 의해 당겨지고, 하향 당김 해제시 압축되면서 상기 가이드를 상향 인장하는 인장스프링;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방을 덮어씌운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와 상기 가이드의 연결구조는 이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에 대해 상기 가이드가 상하로 일정 간격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중앙 상단부에 결합돌부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의 저면에 결합수부가 마련되되, 상기 결합돌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방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짐이 가능하게 되며 그 상단부에 걸림돌기를 갖는 한 쌍의 돌출편 구조로 되고, 상기 결합수부는 상기 결합돌부가 마주보고 좁혀진 상태로 삽입되고 삽입된 후 원상태로 벌어져서 그 상단부의 걸림돌기가 내측 테두리에 걸리도록 그 저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상방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된 상태로 일정거리 상하 승강 되도록 하는 오목홈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저면에 하향돌출되되, 그 말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 일측에 상향 함몰된 제 1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는 상면에 상향돌출되되, 그 말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일측에 하향 함몰된 제 2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각각의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며, 양 말단에 상,하방을 향햐도록 굽어져 각각의 상기 제1,제2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직경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플로트 저면 중앙에서 상방으로 관통되는 수직관통공과, 상기 수직관통공의 상단부 일정부위에서 측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연통되는 수평관통공으로 된 수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수평관통공은 복수 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면 중앙에 착탈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밀폐패킹의 저면에 상기 착탈홈부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착탈돌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 직경은 상기 상부케이스 내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주면과 맞닿아 상하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서로 간의 관통부를 통해 이물질이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이물질이 가이드의 외주면과 상부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고착방지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수위시 급격한 물 유입 등에 의한 미세한 수위 변동(출렁거림)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공기배출공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되면서 견고한 밀폐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가이드의 외주면에 고착방지돌기를 마련하여 급격한 물공급 등에 의해 물의 수위가 가이드까지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 부유된 이물질이 상기 가이드와 상부케이스 사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장치의 고장 유발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가이드의 고착방지돌기가 상부케이스와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하여 가이드의 기울어짐 등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정확하고 안정적인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의 만수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의 저수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의 인장 스프링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는 내부공간(11)이 마련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 투입되는 플로트(20)와,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는 상부케이스(30)와, 상기 상부케이스(30) 내에서 상하 승강되는 가이드(40)와, 상기 상부케이스(30)의 공기배출공(31)을 개폐시키는 밀폐패킹(50)과, 상기 가이드(40)를 상향 시키는 인장 스프링(60) 및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상방을 덮어씌우는 이탈방지커버(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방이 개방된 내부공간(11)이 마련되고 저면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는 물유입구(12)가 형성된 다단 원관체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2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 투입되어 상기 물유입구(12)로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 승강된다.
상기 상부케이스(30)는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고, 그 상면 중앙에 공기배출공(31)이 마련되며 저면 중앙에 가이드(40)가 배치되는 공간부(32)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40)는 상기 플로트(20) 상단부와 연결되고, 수위 높낮이에 따른 상기 플로트(20)의 하향 당김 및 당김 해제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30) 내에서 상하 승강된다.
상기 밀폐패킹(50)은 상기 가이드(4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4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30)의 공기배출공(31)을 개폐시킨다.
상기 인장 스프링(60)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케이스(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20)의 가이드(40) 하향 당김시 이 가이드(40)에 의해 인장되고, 상기 가이드(40)에 대한 하향 당김 해제시 원상태로 압축되면서 상기 가이드(40)를 상향시켜 밀폐패킹(50)이 상향 가압되어 상기 공기배출공(31)을 밀폐시키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커버(70)는 그 중앙이 관통된 캡 구조로, 상기 상부케이스(30)의 공기배출공(31)이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상방을 덮어씌워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20)와 상기 가이드(40)의 연결구조는 이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20)에 대해 상기 가이드(40)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로트(20)와 상기 가이드(40)의 연결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플로트(20)의 중앙 상단부에 결합돌부(21)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40)의 저면에 결합수부(41)가 마련되되, 상기 결합돌부(21)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방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짐(좁혀짐)이 가능하게 되며, 그 상단부에 걸림돌기(21a)를 갖는 한 쌍의 돌출편 구조로 되고, 상기 결합수부(41)는 상기 결합돌부(21)가 마주보고 좁혀진 상태로 삽입되며 삽입된 후 원상태로 벌어져서 그 상단부의 걸림돌기(21a)가 내측 테두리에 걸리도록 그 저면에 관통공(4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a) 상방으로 공간부(41b)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21)가 삽입된 상태로 일정거리 상하 승강 되도록 하는 오목홈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30), 가이드(40) 및 인장 스프링(60)의 연결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상부케이스(30)는 저면에 하향돌출되되, 그 말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걸림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 일측에 상향 함몰된 제 1걸림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40)는 상면에 상향돌출되되, 그 말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걸림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일측에 하향 함몰된 제 2걸림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장 스프링(60)은 상기 상부케이스(30)와 상기 가이드(40)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각각의 제1걸림부(33) 및 제2걸림부(43)에 걸려 고정되며, 양 말단에 상,하방을 향햐도록 굽어져 각각의 상기 제1,제2걸림홈(34,44)에 걸림되는 걸림핀부(6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 스프링(60)은 양단 외면이 상기 상부케이스(30) 및 상기 가이드(40)의 제1,제2걸림부(33,43)에 각각 걸리고, 그 상태에서 상기 걸린핀부(61)가 상기 제1,제2걸림홈(34,44)에 걸림으로써, 정,역 회전되거나 혹은 압축 또는 인장시 상기 상부케이스(30)와 가이드(40)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20)의 직경은 상기 본체(10)의 내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플로트(20) 저면 중앙에서 상방으로 관통되는 수직관통공(22a)과, 상기 수직관통공(22a)의 상단부 일정부위에서 측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본체(10) 내부로 연통되는 수평관통공(22b)으로 된 수로(2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로(22)의 수평관통공(22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하여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40)의 상면 중앙에는 착탈홈부(42)가 마련되고, 상기 밀폐패킹(50)의 저면에는 상기 착탈홈부(42)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착탈돌부(51)가 마련되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40)의 외주면 직경은 상기 상부케이스(30) 내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4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30)의 내주면과 맞닿아 상하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서로 간의 관통부를 통해 이물질이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이물질이 가이드(40)의 외주면과 상부케이스(30)의 내주면 사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착방지돌기(4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이탈방지커버(70)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들이 서로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미 설명부호 80은 상기 본체(10)와 상부케이스(30)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도니다.
먼저, 상기 플로트(20) 상단의 결합돌부(21)와 상기 가이드(40) 저면의 결합수부(41)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40)의 상면에 밀폐패킹(50) 및 인장스프링(60)을 연결하고 나서 상기 상부케이스(30)의 공간부(32) 내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인장 스프링(60)이 상기 상부케이스(30)와 가이드 사이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20)의 결합돌부(21)를 결합수부(41)의 관통공(41a)으로 통과시켜, 상기 결합돌부(21)가 관통공(41a)으로 통과하는 동안 좁혀진 상태로 삽입되다가 삽입이 완료되면 원상태로 펴지면서 그 상단부의 걸림돌기(21a)가 상기 관통공(41a) 내측 테두리에 걸려 서로 결합이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부(21)는 결합수부(41)의 관통공(41a) 상방의 공간부(41b) 내에서 일정거리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 스프링(60)은 양단 부분이 상기 상부케이스(30) 및 가이드(40)의 제1,제2걸림부(33,43)에 걸려 상,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걸림핀부(61)가 상기 제1,제2걸림홈(34,44)에 걸려 정,역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상부케이스(30)와 가이드(40) 사이에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20), 상부케이스(30) 및 가이드(40) 조립체를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 투입하고 나서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상방으로 이탈방지커버(70)를 덮어씌워 본 발명의 공기배출장치의 조립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와 상부케이스(30) 사이에는 오링(80)을 개재하여 방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공기배출장치는 보일러 사용 중에 난방수에서 기포가 발생되면 발생된 기포는 기수분리기(미도시)에 의해 물과 공기로 분리되어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장치로 수집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집된 공기는 저수위 상태가 되면서 상기 플로트(20)가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플로트(20)에 조립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40)가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때, 가이드(40)에 조립된 밀폐패킹(50)도 함께 하강하면서 공기배출공(31)에 대한 밀폐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인장 스프링(60)은 플로트(20)의 하강에 의해 하방으로 잡아 당겨진 상기 가이드(40)에 의해 인장된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일정량 이상 공기가 배출되면 다시 물이 보충되어 수위가 상승되면서 플로트(20)를 상승시켜 상기 가이드(40)에 대한 하향 당김을 해제하는 동시에 인장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40)가 상방으로 당겨진다.
그러면, 상기 밀폐패킹(50)이 상기 가이드(40)에 의해 상향 가압되어 상기 공기배출공(31)을 밀폐시키게 된다.
한편, 이렇게 공기배출공(31)이 밀폐된 상태에서 급격한 물 유입 등에 의해 수위에 미세한 변동(물이 출렁거림)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40)는 인장 스프링(60)의 당김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고, 상기 플로트(20)만 상기 가이드(40) 저면의 공간부(41b) 내에서 상기 출렁거림에 따른 상하 유동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가이드(40)로의 연쇄적인 유동을 차단하여 안정적인 공기배출공(31)의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위 변동시 가이드(40)는 가만히 있고 플로트(20)만 출렁거리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공기배출공(31)을 밀폐시키는 구조는, 만수위시 급격한 물 유입 등에 의한 미세한 수위 변동(출렁거림)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공기배출공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되면서 견고한 밀폐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며, 가이드의 외주면에 고착방지돌기를 마련하여 급격한 물공급 등에 의해 물의 수위가 가이드까지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 부유된 이물질이 상기 가이드와 상부케이스 사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장치의 고장 유발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가이드의 고착방지돌기가 상부케이스와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하여 가이드의 기울어짐 등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면서 정확하고 안정적인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내부공간
12 : 물 유입구 20 : 플로트
21 : 결합돌부 21a : 걸림돌기
22 : 수로 22a : 수직관통공
22b : 수평관통공 30 : 상부케이스
31 : 공기배출공 32 : 공간부
33 : 제1 걸림부 34 : 제1 걸림홈
40 : 가이드 41 : 결합수부
41a : 관통공 41b : 공간부
42 : 착탈홈부 43 : 제2 걸림부
44 : 제2 걸림홈 45 : 고착방지돌기
50 : 밀폐패킹 51 : 착탈돌부
60 : 인장 스프링 61 : 걸림핀부
70 : 이탈방지커버 80 : 오링

Claims (8)

  1. 상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저면에 상기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는 물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물 유입구로 유입된 물의 부력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플로트;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방을 덮어씌우고, 상면에 공기배출공이 마련된 상부케이스;
    상기 플로트 상단부와 연결되고 수위 높낮이에 따른 상기 플로트의 하향 당김 및 당김 해제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 내에서 상하 승강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의 공기배출공을 개폐시키는 밀폐패킹;
    일단이 상기 가이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플로트의 하향 당김시 가이드에 의해 당겨지고, 하향 당김 해제시 압축되면서 상기 가이드를 상향 인장하는 인장스프링;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방을 덮어씌운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와 상기 가이드의 연결구조는 이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트에 대해 상기 가이드가 상하로 일정간격 유동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중앙 상단부에 결합돌부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의 저면에 결합수부가 마련되되,
    상기 결합돌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방을 향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짐이 가능하게 되며 그 상단부에 걸림돌기를 갖는 한 쌍의 돌출편 구조로 되고,
    상기 결합수부는 상기 결합돌부가 마주보고 좁혀진 상태로 삽입되고 삽입된 후 원상태로 벌어져서 그 상단부의 걸림돌기가 내측 테두리에 걸리도록 그 저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상방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된 상태로 일정거리 상하 승강 되도록 하는 오목홈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저면에 하향돌출되되, 그 말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 일측에 상향 함몰된 제 1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는 상면에 상향돌출되되, 그 말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일측에 하향 함몰된 제 2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장 스프링은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각각의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며, 양 말단에 상,하방을 향햐도록 굽어져 각각의 상기 제1,제2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의 직경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플로트 저면 중앙에서 상방으로 관통되는 수직관통공과, 상기 수직관통공의 상단부 일정부위에서 측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연통되는 수평관통공으로 된 수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수평관통공은 복수 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면 중앙에 착탈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밀폐패킹의 저면에 상기 착탈홈부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착탈돌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 직경은 상기 상부케이스 내주면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주면과 맞닿아 상하 슬라이딩되는 동시에 서로 간의 관통부를 통해 이물질이 통과되도록 하여 상기 이물질이 가이드의 외주면과 상부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고착방지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KR1020130099145A 2013-08-21 2013-08-21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KR101445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45A KR101445284B1 (ko) 2013-08-21 2013-08-21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45A KR101445284B1 (ko) 2013-08-21 2013-08-21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284B1 true KR101445284B1 (ko) 2014-09-26

Family

ID=5176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145A KR101445284B1 (ko) 2013-08-21 2013-08-21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2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841B1 (ko) * 2017-09-29 2019-01-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상향식 보일러용 자동 공기배출장치
TWI755253B (zh) * 2021-01-14 2022-02-11 富氫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氣水分離裝置及產氫系統
CN116293005A (zh) * 2023-04-24 2023-06-23 威海屹峰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排气阀及使用该排气阀的暖通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564A (ja) * 1991-07-22 1993-03-30 Atsugi Unisia Corp 内燃機関用ピストン
KR200206634Y1 (ko) 2000-07-31 2000-12-01 장세홍 자동 에어변
KR200379648Y1 (ko) 2004-12-30 2005-03-23 박종수 에어벤트장치
KR20130079811A (ko) * 2012-01-03 2013-07-11 (주)허브시스템 온수 분배시스템의 환수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564A (ja) * 1991-07-22 1993-03-30 Atsugi Unisia Corp 内燃機関用ピストン
KR200206634Y1 (ko) 2000-07-31 2000-12-01 장세홍 자동 에어변
KR200379648Y1 (ko) 2004-12-30 2005-03-23 박종수 에어벤트장치
KR20130079811A (ko) * 2012-01-03 2013-07-11 (주)허브시스템 온수 분배시스템의 환수관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841B1 (ko) * 2017-09-29 2019-01-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상향식 보일러용 자동 공기배출장치
TWI755253B (zh) * 2021-01-14 2022-02-11 富氫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氣水分離裝置及產氫系統
CN116293005A (zh) * 2023-04-24 2023-06-23 威海屹峰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排气阀及使用该排气阀的暖通系统
CN116293005B (zh) * 2023-04-24 2023-11-14 威海屹峰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排气阀及使用该排气阀的暖通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1928A (en) Apparatus for venting and/or degassing a pipeline system
KR101445284B1 (ko)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JP2008510652A (ja) 燃料タンク用の2重機能のバルブ
CN111235835B (zh) 一种洗衣机
KR101594459B1 (ko) 전자식 솔레노이드 에어밴트
KR101054216B1 (ko) 스팀 트랩 장치
EP3441102A1 (en) Humidification chamber having suspension type float
KR101390436B1 (ko)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JP5431034B2 (ja) 排気弁
JP5421463B2 (ja) 弁装置
CN210300706U (zh) 蒸汽阀、盖体及烹饪器具
JP5202965B2 (ja) 排気弁
KR101618067B1 (ko) 전기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JP2009041722A (ja) 下向バケット型スチームトラップ
KR101896467B1 (ko) 상향식 보일러용 자동 공기 배출장치
KR20150037096A (ko)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CN216430601U (zh) 一种自动止水阀
CN109386646B (zh) 具有悬吊式浮子的加湿室
CN211951622U (zh) 一种放气阀
KR100985763B1 (ko) 파일럿 타입 안전밸브 및 그 개폐방법
WO2020042487A1 (zh) 加湿器
JP2013024273A (ja) 排気弁
KR101943841B1 (ko) 상향식 보일러용 자동 공기배출장치
JP2009019733A (ja) 排気弁
KR200363899Y1 (ko) 냉각수 보조탱크내의 진공 자동 해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