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634Y1 - 자동 에어변 - Google Patents

자동 에어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634Y1
KR200206634Y1 KR2020000021793U KR20000021793U KR200206634Y1 KR 200206634 Y1 KR200206634 Y1 KR 200206634Y1 KR 2020000021793 U KR2020000021793 U KR 2020000021793U KR 20000021793 U KR20000021793 U KR 20000021793U KR 200206634 Y1 KR200206634 Y1 KR 200206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ating
air valve
cap
fuse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홍
Original Assignee
장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홍 filed Critical 장세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6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3/00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 F16K13/02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with both sealing faces shaped as small segments of a cylinder and the moving member pivotal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에어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에어변의 구성을 살펴보면,
동체 내부의 상단에 걸구멍과 외주면에 요철부를 가진 부력체를 내장 설치하고 동체 상단에 체결 고정되는 캡에는 내측 저면에 부력체 걸봉을 설치하여 상기 걸봉에 부력체 상단을 결합시키며, 캡 상부 일측에 에어배출구와 상기 에어배출구 개폐 볼트를 설치 구성 하였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에어변은 구조적 특성상 다음과 같은 결점이 따른다.
에어배출이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성이기에 관리 및 사용이 불편하고, 에어변의 오동작 여부 또는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며 구조적 결합이 있다.
본 고안은 보일러 등과 같은 유체(특히 물)이송관에 설치되는 에어변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에어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함과 동시에 에어가 빠졌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하고,
또, 오랜기간 동안 사용함에 따라 패킹마모로 인한 누수 등이 발생할 경우는 간격 유지용 링을 빼낸 뒤 캡을 제거하여 캡자체로서 에어 및 물이 배출 되는 구멍을 차단할 수 있게끔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 극대화와 에어배출 여부의 확인성·극대화 더불어 기밀유지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에어변{Auto Air valve}
본 고안은 보일러 등과 같은 유체(특히 물)이송관에 설치되는 에어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에어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함과 동시에 에어가 빠졌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하고,
또, 오랜기간 동안 사용함에 따라 패킹마모로 인한 누수 등이 발생할 경우는 간격유지용 링을 빼낸 뒤 캡을 제거하여 캡자체로서 에어 및 물이 배출 되는 구멍을 차단할 수 있게끔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 극대화와 에어배출 여부의 확인성·극대화 더불어 기밀유지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보일러 등과 같은 기계를 비롯하여, 관 내부에 물이 순환되는 시스템에는 적정 위치에 에어변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관 내부에 공기가 차있을 경우 물의 흐름에 장애가 발생하여 난방효율을 크게 떨어뜨리게 됨은 물론 에너지 즉 연료소모가 과다하게 되고, 또 물의 가열되면 될 수록 에어도 팽창되어 물의 흐름을 크게 둔화시킴과 동시에 각종 계기나 기계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동절기에 배관라인 자체가 냉각되어 있는 상태에서 온수가 유입되면, 에어가 급 팽창하면서 쿵쿵 울리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햄머링(hammering) 현상이라고 하며, 상기와 같이 햄머링 현상은 배관시스템 및 장비의 고장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위와같은 계기의 성능 저하현상은 수도미터기의 경우 더욱 심하게 발생되며, 수도미터기가 오동작하여 수도요금의 과다 부담현상을 비롯하여 심할 경우 계기 및 부품의 변형도 초래한다.
따라서, 보일러나 수도미터기 등과 같이 수류가 이송되는 기계 또는 파이프라인에는 에어변을 설치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종래 에어변의 구성을 살펴보면,
동체 내부의 상단에 걸구멍과 외주면에 요철부를 가진 부력체를 내장 설치하고 동체 상단에 체결 고정되는 캡에는 내측 저면에 부력체 걸봉을 설치하여 상기 걸봉에 부력체 상단을 결합시키며, 캡 상부 일측에 에어배출구와 상기 에어배출구 개폐볼트를 설치 구성 하였다.
그러나 위와같은 종래의 에어변은 구조적 특성상 다음과 같은 결점이 따른다.
에어배출이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성이기에 관리 및 사용이 불편하고, 에어변의 오동작 여부 또는 고장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며 구조적 결합이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항상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부력체가 수압에 의해 상승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경우 오동작이 발생하게 되고, 또 조립성이 떨어지는 폐단도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특히 동체 내부에 에어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물의 배출은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한 부력체를 설치하고, 부력체 아래에는 고정 안착 시트를 설치하여 많은 공기가 유입 되더라도 부력체가 상·하로 자주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에따라 마모율이 적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동체 상부에는 구멍과 일측에 에어베출 홈을 가진 상부카바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상부카바에 간격유지용 링과 함께 캡너트를 체결하여 에어는 항상 자동으로 배출 되지만, 물은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 및 관리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에어배출기능이 원활하게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또 사용하는 과정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는 캡너트로서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신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도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에어배출시의 상태를 나타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에어 배출후 누수가 일어나지 않게끔 차단된 상태를 나타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자동에어변을 인위적으로 차단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도 4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자동에어변(100)은 보일러를 비롯한 수류이송용 배관 라인에 결합 고정되는 동체(1)와, 안착시트(2),부력체(3), 밀폐용 패킹(4), 그리고 상부카바(5)와 간격유지용링(6), 패킹(7) 및 캡너트(8)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부품 중 동체(1)는 하부에 나사 결합부(11)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안착시트(2)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홈(12)을 가진 부력체 삽입부(13)와 상부에 상부카바 안착부(14)로 구성된다.
안착시트(2)는 부력체 삽입부(13)에 형성된 안착홈(12)에 안착시키되, 외주면에 4개의 안착돌부(21)와 요부(21')를 형성 함으로써 안착홈(12)에 안착시켰을 때 안착턱(12)과의 사이에 공간(22)이 형성되게 한다.
부력체(3)는 외주면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끔 4개의 돌부(31)를 형성하여 부력체 삽입부(13)에 삽입 시켰을 때 상기 돌부(31)와 인접하는 다른 돌부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하였다.
또한 부력체(3) 상부에 4개의 안내돌부(41')를 가진 안내봉(41)과 패킹지지돌부(42)를 형성하여, 상기 패킹 지지돌부(42)에 고무재로 형성한 밀폐용 패킹(4)을 삽입 고정시키며, 상기 안내봉(41)이 상부카바(5)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51)에 끼워지게 하되, 안내봉(41)에 형성된 안내돌부(41')에 의하여 에어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끔 한다.
상부카바(5)는 중앙부에 구멍(51)을 형성하고, 플렌지(52)부분 외주면이 단턱부(53)을 갖도록 형성하여, 동체(1)에 형성된 상부카바 안착부(14)에 안착시킨 뒤, 동체 상단부를 커링하여 동체(1)와 상부카바(5)가 일체화 되게 하며, 중앙상부에 단턱(55)과 수나사부(54)를 형성하되, 상기 수나사부(54)일측에 단턱(55)까지 깊게 연결되게끔 에어배출요부(56)를 형성한다.
간격유지용링(6)은 금속이나 비금속이나 어느 재질로든 가공 형성할 수 있게는 데, 이는 상부카바(5)의 수나사부(54)에 끼워 단턱(55)에 안착시킴으로써, 캡너트(8) 체결시 동체(1) 내부의 에어가 에어배출요부(56)로 안정적으로 자동 배출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끔 유도 한다.
패킹(7)은 고무재질로 형성하되, 캡너트(8)의 내부에 끼워져 있게하고, 캡너트(8)는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부를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9는 배관라인, 10은 스패너나 렌치 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각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동체(1)에 형성 된 부력체 삽입부(13)에 안착시트(2)와 부력체(3)를 삽입시키고 부력체(3)위에 밀폐용 패킹(4)을 조립한 뒤, 상부카바(5)를 동체(1)에 형성 된 상부카바 안착부(14)에 안착시킨 다음 동체(1) 상단 외주면을 가압 커링하여 조립하고, 상기 상부카바(5)에 간격유지용링(6)을 끼운 뒤 캡너트(8)를 체결하여 조립 완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 된 본 고안의 자동에어변(100)을 배관라인(9)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배관 내부의 수류에 에어가 있을 경우, 도 2에서 보는 바와같이 에어가 자동에어변(100)에 집결되게 되며, 이는 바로 동체(1) 내부의 안착시트(2)의 요부에 형성되는 공간(22)과 부력체(3)와 부력체 삽입부(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그리고 밀폐용패킹(4) 상측 및 상부카바(5)의 구멍(51)과 에어배출요부(56)를 통하여 자동 배출되고, 에어가 배출 된 직후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같이 수압에 의해 부력체(3)가 상승(에어가 배출될 시점에는 부력체(3)가 하강됨)하여 밀폐용 패킹(4)을 가압하므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는 사전에 예방 된다.
또 사용하는 과정에서 본 고안의 자동에어변이 제대로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는 캡너트(8)를 열고 밀폐용패킹(4)과 연결된 안내봉(41)을 눌러 물이 올라오게 되면 에어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에어변이 원활하게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에어변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혹시 누수가 발생될 경우는 도 4에서 보는 바와같이 캡너트(8)를 풀고 간격유지용링(6)을 제거한 뒤 캡너트(8)를 다시 체결하면, 캡너트(8)에 내장 설치된 패킹(7)이 상부카바(5)의 수나사부(54)상단에 밀착되어 누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되면, 따라서 누수후 수지 또는 교체시 까지 물의 낭비예방과 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에어의 자동배출로 사용 및 관리가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고, 수명이 상당히 길며, 신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에어변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에 나사결합부(11)를 내부에는 안착시트(2)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턱(12)을 가진 부력체 삽입부(13), 그리고 상부에 상부카바 안착부(14)로 이루어진 동체(1)의 구성과;
    외주면에 4개의 안착돌부(21)와 요부(21')를 형성하고 부력체 삽입부(13)의 안착홈(12)에 안착되도록 한 안착시트(2) 구성과;
    외주면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게끔 4개의 돌부(31)를 형성하고, 상면 중앙부에 4개의 안내돌부(41')를 가진 안내봉(41)과 패킹 지지돌부(42)를 가지며, 상기 패킹 지지돌부(42)에 고무재로 형성한 밀폐용 패킹(4)을 삽입 고정시켜서 된 부력체(3)와;
    중앙부에 구멍(51)을 형성하고, 플렌지(52)부분은 외주면이 직각(53)을 가지며, 중앙상부에 단턱(55)과 수나사부(54)를,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54)외주면에 단턱(55)까지 깊게 연결되게끔 에어배출요부(56)를 형성하여서 된 상부카바(5)의 구성과;
    수나사부(54)의 단턱(55)에 안착되게한 간격유지용링(6)과;
    내부에 패킹(7)을 삽입시킨 캡너트(8)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에어변.
KR2020000021793U 2000-07-31 2000-07-31 자동 에어변 KR20020663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226A KR20020010957A (ko) 2000-07-31 2000-07-31 자동 에어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226A Division KR20020010957A (ko) 2000-07-31 2000-07-31 자동 에어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634Y1 true KR200206634Y1 (ko) 2000-12-01

Family

ID=196809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793U KR200206634Y1 (ko) 2000-07-31 2000-07-31 자동 에어변
KR1020000044226A KR20020010957A (ko) 2000-07-31 2000-07-31 자동 에어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226A KR20020010957A (ko) 2000-07-31 2000-07-31 자동 에어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66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84B1 (ko) 2013-08-21 2014-09-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84B1 (ko) 2013-08-21 2014-09-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상향식 보일러용 공기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957A (ko)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2962T3 (es) Racor con valvula de flujo elevado.
CA2869947C (en) Fill valves for toilets
EP1723370B1 (en) Combination valve
US4614113A (en) Water meter service installation
CA2428202C (en) In-line thermal expansion tank
US6619380B1 (en) Heat exchanger drain assembly having a frangible wall
CN1206766A (zh) 压力冲洗装置放水附件
KR200206634Y1 (ko) 자동 에어변
KR101059660B1 (ko) 탱크로부터의 액체공출용 커넥터
US4564040A (en) Faucet and liquid supply tube therefor
CN103282710B (zh) 供水管道用接头
JPH0356774A (ja) ゲート弁
KR200448968Y1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TW200306393A (en) Pressure relief valve with improved repairability
EP1816378A2 (en) Safety valve for boilers
KR200415992Y1 (ko) 역류방지용 커넥터
US1289474A (en) Valve.
GB2285854A (en) Connection tubes.
GB2253026A (en) Valve assembly
JP7164321B2 (ja) 空気弁
JP5535830B2 (ja) 水道用メータホルダーにおける逆止弁の装嵌構造
CN216479110U (zh) 一种新型止水阀用阀芯
JP6636767B2 (ja) 不凍結形空気弁
JPH044057Y2 (ko)
EP1295065B1 (en) A device for protecting an open gas chan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