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420B1 - 경사면 작업용 발판 - Google Patents

경사면 작업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420B1
KR101444420B1 KR1020120118286A KR20120118286A KR101444420B1 KR 101444420 B1 KR101444420 B1 KR 101444420B1 KR 1020120118286 A KR1020120118286 A KR 1020120118286A KR 20120118286 A KR20120118286 A KR 20120118286A KR 101444420 B1 KR101444420 B1 KR 101444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clined surface
coupled
work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309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8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4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경사면 작업용 발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은 발판부, 발판부를 지지하도록 발판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경사면에 대하여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하단부가 경사면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사면 작업용 발판{FOOTBOARD FOR WORK OF INCLINED PLANE}
본 발명은 경사면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고소 부위에서 용접 또는 도장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용 발판을 설치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용 발판은 작업의 용이성 뿐만 아니라 작업의 안전성까지도 고려하여 설치될 필요가 있다.
한편, 고소 부위 중에서도 경사면, 특히 수직면과 경사면이 연결되는 부분 등에 작업용 발판을 설치하는 경우, 일반적인 작업용 발판으로는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설치가 가능하더라도 작업의 용이성 내지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면과 경사면이 연결되는 부분은 구조적으로 응력에 취약한 크리티컬 포인트(critical point)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부분에 작업용 발판을 설치하는 것은 안전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술한 응력 취약부에 작업용 발판이 설치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작업용 발판이 경사면을 따라 응력 취약부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수직면을 따라 응력 취약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작업을 위해 요구되는 작업 높이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어 작업의 용이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5477호 (2011.01.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사면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사면 작업용 발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판부, 발판부를 지지하도록 발판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경사면에 대하여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하단부가 경사면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경사면 작업용 발판이 제공된다.
여기서, 연결부는 경사면에 결합되는 결합판 및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결합판에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경사면에 접하는 일단부의 형상이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연결부는 지지부의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는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지지부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경사면 작업용 발판은 지지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지지부에 결합되는 난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는 타단부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난간부는 결합홀에 삽입되어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에 결합되는 연결부보다 발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높게 설치되도록 경사면 작업용 발판이 형성되어, 경사면의 응력 취약부를 피하여 설치되더라도 적절한 작업 높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경사면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은 발판부(100), 지지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하고, 난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판부(100)는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지지부(200)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플레이트 내지 프레임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판부(100)는 작업자 내지 작업 도구의 하중에 적절하게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또는 지지부(2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발판부(100)가 한 쌍으로 지지부(200)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셋 이상으로 형성되는 발판부(100)가 지지부(200)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발판부(100)를 지지하도록 발판부(1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발판부(100)에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되어 발판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200)는 나사 또는 리벳 또는 결속선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발판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경사면(10)에 대하여 지지부(200)를 지지하도록 하단부가 경사면(10)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지지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경사면(10)과 지지부(200)를 연결하여 경사면(10)과 결합되는 지점보다 지지부(200)가 일정 높이 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과 접점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점을 중심으로 한 일정 영역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응력에 취약한 응력 취약부(11)이다. 그러므로,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이 응력 취약부(11)에서 경사면(10)과 결합되는 것은 안전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응력 취약부(11)를 피하여 응력 취약부(11)보다 낮은 부분에서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이 경사면(10)과 결합되는 경우에는, 요구되는 작업 높이의 확보를 위해 발판부(100)의 높이를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이 경사면(10)과 결합되는 부분보다 높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은, 경사면(10)에 결합되는 연결부(300)보다 발판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가 높게 설치되도록 형성되어, 경사면(10)의 응력 취약부(11)를 피하여 설치되더라도 적절한 작업 높이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경사면(10)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300)는 경사면(10)에 결합되는 결합판(310) 및 지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결합판(310)에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가 지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각 부재간 유격이 줄어들고, 보다 큰 강성이 발휘되는 등 작업자 내지 발판부(10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경사면(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300)와 지지부(2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해진 경우, 이를 경사면(10)에 결합시키는 작업은 보다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의 결합판(310)만을 선행 작업을 통해 경사면(10)에 결합시킨 후, 지지부(200)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 프레임(320)을 결합판(310)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통해 구조적 강성 및 설치 작업의 용이성을 모두 도모할 수 있다.
특히, 결합판(310)은 경사면(10)에 용접 결합되고, 연결 프레임(320)은 결합판(310)에 볼트 결합되는 경우, 작업 환경에 따라 결합판(310)의 용접 위치 또는 볼트 결합 위치 등을 조절하여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등,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의 설치 내지 해체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에서 지지부(200)는 경사면(10)에 접하는 일단부의 형상이 경사면(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연결부(300)는 지지부(200)의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발판부(100)가 경사면(10)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이 경사면(10)에 설치되는 경우, 경사면(10)의 형상에 따라 발판부(100)와 경사면(10) 사이의 이격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00)가 일정 두께를 갖는 프레임인 경우, 지지부(200)의 하단부는 경사면(10)에 접하나 지지부(200)의 상단부는 경사면(10)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부(100)가 경사면(10)과 접하지 못하고 이격되는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판부(100)와 경사면(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작업 도구가 떨어지거나 작업자의 발이 빠질 수 있는 등 작업의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에서 지지부(200)는 경사면(10)에 접하는 일단부의 형상이 경사면(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발판부(100)가 경사면(10)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300)는 지지부(200)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작업자에 의해 발판부(100) 내지 지지부(200)에 편심이 발생하는 경우, 연결부(300)와 경사면(10)의 결합 부분에 발생하는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난간부(400)는 지지부(200)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지지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하나 이상의 종방향 부재 및 횡방향 부재를 포함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난간부(400)는 나사 또는 리벳 또는 결속선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에서, 지지부(200)는 타단부에 결합홀(210)이 형성되고, 난간부(400)는 결합홀(210)에 삽입되어 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부(200)에 형성된 결합홀(210)에 난간부(400)의 종방향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이러한 종방향 부재에 횡방향 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로 난간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난간부(400)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고, 난간부(400)의 설치 내지 해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2000)에서, 연결부(300)는 경사면(10)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지지부(20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에서와 마찬가지로, 연결부(300)가 경사면(10)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발판부(100)가 경사면(10)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300)는 지지부(2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연결부(300)가 경사면(10)에 보다 밀착됨으로써, 작업자 내지 발판부(10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경사면(1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2000)은 상술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 작업용 발판(1000)과 구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경사면 11: 응력 취약부
100: 발판부 200: 지지부
210: 결합홀 300: 연결부
310: 결합판 320: 연결 프레임
400: 난간부 1000, 2000: 경사면 작업용 발판

Claims (6)

  1. 발판부;
    상기 발판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발판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경사면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하단부가 상기 경사면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경사면에 결합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일단부의 형상이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위치로부터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경사면에 결합되는 결합판;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중앙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하단부가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사면 작업용 발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난간부;를 더 포함하는 경사면 작업용 발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타단부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부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경사면 작업용 발판.
KR1020120118286A 2012-10-24 2012-10-24 경사면 작업용 발판 KR101444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86A KR101444420B1 (ko) 2012-10-24 2012-10-24 경사면 작업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286A KR101444420B1 (ko) 2012-10-24 2012-10-24 경사면 작업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309A KR20140052309A (ko) 2014-05-07
KR101444420B1 true KR101444420B1 (ko) 2014-09-26

Family

ID=5088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286A KR101444420B1 (ko) 2012-10-24 2012-10-24 경사면 작업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55A1 (ko) * 2018-05-25 2019-11-28 (주)해람솔루션 트러스를 구비한 경사부 적층형 시스템 데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596Y2 (ja) * 1990-03-12 1995-09-20 好雄 衣川 瓦屋根用足場丸太支持台
KR20040046182A (ko) * 2002-11-26 2004-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발판 설치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596Y2 (ja) * 1990-03-12 1995-09-20 好雄 衣川 瓦屋根用足場丸太支持台
KR20040046182A (ko) * 2002-11-26 2004-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발판 설치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55A1 (ko) * 2018-05-25 2019-11-28 (주)해람솔루션 트러스를 구비한 경사부 적층형 시스템 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309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76315A (ja) クサビ用枠付クランプ
JP2008007312A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固定装置
KR101444420B1 (ko) 경사면 작업용 발판
JP6498075B2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JP2010189891A (ja) 作業用足場
JP5398619B2 (ja) 橋梁工事用移動式安全帯取付装置
KR102108182B1 (ko) 족장 연결 브라켓
JP5587846B2 (ja) 乗客コンベア
KR102210981B1 (ko) 교량용 점검로
KR20190041976A (ko) 비계용 지주의 우선난간
KR101350921B1 (ko) 거더교 가설작업용 브래킷
JP2016210605A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015151231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KR100832736B1 (ko) 낙하방지 커버용 연결 클램프
KR20130004588U (ko) 건축용 가설구조물
JP2014201952A (ja) 足場構造
KR101180279B1 (ko) 교량 점검시설용 바닥판 설치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1251051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난간대
KR20180002103U (ko) 조립식 작업용 발판
KR101353089B1 (ko) 고소작업대에서 발판의 연결구조
JP4774744B2 (ja) 乗客コンベアの延長デッキ取付装置
JP6818637B2 (ja) 乗客コンベアの支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乗客コンベア、乗客コンベアの据付方法
JP2008231804A (ja) 床付き布枠及び枠組足場
KR20160136796A (ko) 작업용 안전 난간지주
KR20210000910U (ko) 고리형 단책 선행 설치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