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897B1 -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 - Google Patents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897B1
KR101443897B1 KR1020130064081A KR20130064081A KR101443897B1 KR 101443897 B1 KR101443897 B1 KR 101443897B1 KR 1020130064081 A KR1020130064081 A KR 1020130064081A KR 20130064081 A KR20130064081 A KR 20130064081A KR 101443897 B1 KR101443897 B1 KR 101443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er
fiber fabric
blade
cutting
bla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오
Priority to KR102013006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4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원단을 적층하는 연단기에서 연단 작업시에 섬유원단을 자르는 칼날부를 안전하게 탈부착하는 장치인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는 롤 형태로 감긴 섬유원단에 대한 연단 작업을 실시하되, 일측에는 상기 섬유원단를 자르는 칼날부가 탈부착가능하게 형성된 연단기; 및 상기 섬유원단을 눌러 섬유원단의 적층시 섬유원단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캐처를 포함하되,
상기 연단기에는 상기 칼날부를 탈착시키는 탈착시키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캐처에는 상기 칼날부를 고정 탈착시키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Apparatus for loading the cloth roll spreding machine}
본 발명은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원단을 적층하는 연단기에서 연단 작업시에 섬유원단을 자르는 칼날부를 안전하게 탈부착하는 장치인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단기는 롤에 감긴 섬유 원단을 일정한 크기로 재단을 하기 위해서, 바닥(선반)에 펼쳐 섬유원단을 적층시키는 장치이다. 연단기의 상부에는 선반 위를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섬유원단을 펼치는 왕복대가 형성되는 데, 왕복대 상에는 롤 형태로 감긴 섬유원단이 위치하여, 왕복대가 선반 위를 왕복하면서 왕복대 상의 롤 형태로 감긴 섬유원단을 왕복대 하부의 선반에 펼쳐 적층시키게 된다. 캐처(catcher)는 적층된 섬유원단을 눌러서 섬유원단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잡는 기구이다.
섬유원단을 적층하는 방식은 one-way 타입과 double-way(zigzag) 타입의 2가지로 구분된다. one-way 타입은 표면과 이면의 성질이 다른 섬유원단을 적층하는 방식으로서, 한쪽 방향으로만 적층이 이루어짐으로 연단기의 왕복대에 칼날부가 부착되어 한층의 섬유원단의 적층이 끝나면 칼날부를 이용하여 섬유원단을 자르게 된다. one-way 타입에서는 반드시 연단기에 칼날부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며, 연단기 앞쪽에 위치하는 하나의 캐처만이 사용된다.
이에 반하여, double-way 타입(zigzag 타입)은 표면과 이면이 동일한 성질의 섬유원단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지그재그로 적층이 이루짐으로 섬유원단을 절단하기 위한 칼날부가 연단기에 부착될 필요가 없다. zigzag 타입에서는 연단기 앞쪽에 위치하는 캐처 및 뒷쪽에 위치하는 캐처, 즉, 2개의 캐처가 필요하다.
현재 하나의 연단기로 one-way 타입과 zigzag 타입을 함께 구현함으로, one-way 타입의 경우에는 연단기에 칼날부를 부착하여야 하며, zigzag 타입의 경우에는 연단기에서 칼날부을 제거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캐처의 개략도이다.
캐처는 캐처 몸체(1)와 캐처바(2)로 이루어져 있으며, 적층된 섬유원단의 가장자리에 캐처바(2)를 올려 적층된 섬유원단을 잡게 된다.
도 1의 (a)는 캐처바(1)가 섬유원단을 잡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1의 (b)는 캐처바를 위로 올렸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단기에 칼날부이 부착될 필요가 없는 zigzag 작업시 칼날부을 연단기에서 분리하여 보관하여야 하는 데,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캐처의 구조에서는 캐처바(1)를 위로 올렸을 때 칼날부과 캐처바가 부딪침으로, 칼날부을 캐처바에 올려 보관할 수 없다.
따라서, 칼날부을 캐처바의 상부가 아닌 별도의 장소, 즉 연단기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 보관할 수밖에 없는 데, 이러한 방법은 위험한 칼날부을 멀리 옮겨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과, 칼날부의 이동시 칼날부에 의한 불측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005050(2010년 12월 06 등록(연단기의 커팅 수단 승강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단작업 중 zigzag 작업시에 칼날부를 연단기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분리된 칼날부를 가장 인접한 장소인 캐처의 상단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는 롤 형태로 감긴 섬유원단에 대한 연단 작업을 실시하되, 일측에는 상기 섬유원단를 자르는 칼날부가 탈부착가능하게 형성된 연단기; 및 상기 섬유원단을 눌러 섬유원단의 적층시 섬유원단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캐처를 포함하되,
상기 연단기에는 상기 칼날부를 탈착시키는 탈착시키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캐처에는 상기 칼날부를 고정 탈착시키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처에 형성되는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캐처의 상부에 설치되는 데크, 상기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칼날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칼날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수단에 수용되어 상기 캐처 상부에 안정적으로 칼날부가 고정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단기의 칼날부 안치 장치는 연단기에는 칼날부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탈부착 수단이 형성되어 칼날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손쉽게 분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캐처의 상부에 칼날부를 탈부착시키는 탈부착수단을 형성하여 연단기에서 분리된 칼날부를 가장 인접한 장소인 캐처의 상단에 안전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연단기의 칼날부을 다른 곳으로 옮김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으며, 재단작업시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캐처의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단기의 절단부의 안치 장치의 개략도로서, 도 2는 절단부가 연단기에 부착된 모습을, 도 3은 절단부가 캐처에 부착된 모습을 각각 도시함.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연단기의 절단부의 안치 장치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단기의 절단부의 안치 장치의 개략도로서, 도 2는 절단부가 연단기에 부착된 모습을, 도 3은 절단부가 캐처에 부착된 모습을 각각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단기의 절단부의 안치 장치는 롤 형태로 감긴 섬유원단에 대한 연단 작업을 실시하는 연단기(10)에 칼날부(12)를 탈부착시키는 탈부착수단(14)이 형성된다. 칼날부(12)는 연단기의 일단에 부착되어 섬유원단을 자르는 부분이다. 탈부착수단(14)는 칼날부를 손쉽게 부착시킴과 동시에 칼날부를 분리시에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탄성에 의한 걸림턱 결합구조를 가진다.
연단기의 측면에는 연단기에서 일정한 거리 떨이진 캐처가 형성된다. 캐처는 상기 섬유원단을 눌러 섬유원단의 적층시 섬유원단의 움직임을 막는 기구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칼날부(12)가 캐처(20)에 안치된 모습을 도시한다. 캐처(20)는 수평 가이드홈이 서로 쌍을 이루어 평형으로 형성됨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밀어서 캐처바(22)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캐처의 상부 공간이 비게 됨으로, 본 발명과 같이, 캐처 상부에 칼날부를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
캐처에 설치되는 탈부착수단(24) 또한 칼날부를 손쉽게 부착시킴과 동시에 칼날부를 분리시에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탄성에 의한 걸림턱 결합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탈부착 수단(24)은 캐처의 상부에 설치되는 데크(26), 상기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칼날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칼날부에 형성되되 고정수단에 수용되어 상기 캐처 상부에 안정적으로 칼날부가 고정되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캐처 몸체 2: 캐처바
3: 가이드 홈
10: 연단기
12: 칼날부
14: 탈부착수단
20: 캐처
22: 캐처바
24: 탈부착수단
26: 데크

Claims (2)

  1.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에 있어서,
    롤 형태로 감긴 섬유원단에 대한 연단 작업을 실시하되, 일측에는 상기 섬유원단를 자르는 칼날부가 탈부착가능하게 형성된 연단기; 및
    상기 섬유원단을 눌러 섬유원단의 적층시 섬유원단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캐처를 포함하되,
    상기 연단기에는 상기 칼날부를 탈착시키는 탈착시키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캐처에는 상기 칼날부를 고정 탈착시키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단기의 칼날부 안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처에 형성되는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캐처의 상부에 설치되는 데크,
    상기 데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칼날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칼날부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수단에 수용되어 상기 캐처 상부에 안정적으로 칼날부가 고정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단기의 칼날부 안치 장치.
KR1020130064081A 2013-06-04 2013-06-04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 KR101443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081A KR101443897B1 (ko) 2013-06-04 2013-06-04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081A KR101443897B1 (ko) 2013-06-04 2013-06-04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897B1 true KR101443897B1 (ko) 2014-09-23

Family

ID=5176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081A KR101443897B1 (ko) 2013-06-04 2013-06-04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294B1 (ko) * 2015-07-30 2016-09-29 주식회사 비엠오 주름 및 에어포켓 방지형 연단기 및 그 연단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6220A (en) 1987-10-02 1991-09-10 Hubert Pierret Method for feeding fibres to a fibres cutting machine and fibre cutting machine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JPH05330731A (ja) * 1992-05-29 1993-12-14 Kazuya Shiken 延反装置
KR19980043108A (ko) * 1998-05-27 1998-08-17 조영근 칼날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로터리 커터
KR101000505B1 (ko) 2010-09-07 2010-12-14 (주)세명정밀 연단기의 커팅 수단 승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6220A (en) 1987-10-02 1991-09-10 Hubert Pierret Method for feeding fibres to a fibres cutting machine and fibre cutting machine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JPH05330731A (ja) * 1992-05-29 1993-12-14 Kazuya Shiken 延反装置
KR19980043108A (ko) * 1998-05-27 1998-08-17 조영근 칼날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로터리 커터
KR101000505B1 (ko) 2010-09-07 2010-12-14 (주)세명정밀 연단기의 커팅 수단 승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294B1 (ko) * 2015-07-30 2016-09-29 주식회사 비엠오 주름 및 에어포켓 방지형 연단기 및 그 연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78698A1 (en) Tray, ink jet textile prin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ed matter
KR101443897B1 (ko) 연단기의 칼날부의 안치 장치
JP5582646B2 (ja) 部品実装機の廃棄テープ回収装置
CN105618835A (zh) 片式极耳处理装置
US10384366B2 (en) Push-sticks for saws and storage systems thereof
JP2017014635A (ja) 靴下編機
KR101468729B1 (ko) 연단기의 캐처
KR20080041597A (ko) 절단날 가이드 판재를 갖는 염색용 보빈
KR200463112Y1 (ko) 옷장 서랍용 의류 수납 장치
JP2016534954A (ja) ウェブ状および/または帯状の材料用の搬送装置
KR101267519B1 (ko) 테이프 접착장치
US8291957B2 (en) Transporter for dry film laminator
JP6341501B2 (ja) カッタユニット
KR101520074B1 (ko) 복합형 시앤시 공작기계용 작업테이블
CN205130569U (zh) 一种无纺布覆膜机
KR101310342B1 (ko) 테이프 커팅 장치
CN204053256U (zh) 激光切割头的互换工作台及激光切割头
KR20160070765A (ko) 청소구용 케이스, 및 케이스를 구비하는 청소구
CN209774750U (zh) 一种切纸机用的裁切装置
CN217229760U (zh) 纱筒废纱去除装置
CN218643033U (zh) 一种家纺产品裁剪机
CN211036244U (zh) 一种加弹机的切丝机构
KR101901730B1 (ko) 자동 끈포장기
CN111516948A (zh) 一种切割装置
CN215241271U (zh) 一种快速更换刀具的裁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