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789B1 -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789B1
KR101443789B1 KR1020120113605A KR20120113605A KR101443789B1 KR 101443789 B1 KR101443789 B1 KR 101443789B1 KR 1020120113605 A KR1020120113605 A KR 1020120113605A KR 20120113605 A KR20120113605 A KR 20120113605A KR 101443789 B1 KR101443789 B1 KR 101443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rame
passage
refractory
cov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386A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13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7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6Refractory plugging m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된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벽체를 관통하고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는 통로; 및 상기 통로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삽탈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의하면 커버 프레임에 내화물 도포 시 커버 프레임에 마련된 통로에 삽탈부재를 삽입하여 통로를 폐쇄함으로써 커버 프레임에 마련된 통로로 수분과 함께 내화물이 흘러내리는 문제를 해결하고, 내화물 도포 후 삽탈부재를 통로에서 분리함으로써 내화물과 함께 사용된 수분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액상물의 저장, 이송 및 주입 과정에서 액상물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커버 프레임의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가스의 영향으로 인한 커버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여 커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프레임의 통로와 연통되며, 내화물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유체 통로 및 배출홀이 마련되므로 내부의 수분이나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균일한 건조에 의한 내화물의 접착 품질을 향상시키고 내화물의 크랙과 탈락을 예방하여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정비 횟수의 감소와 자재 사용의 감소에 따른 경비 절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cover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화물 도포 시 사용된 수분과 용기 내 액상물 저장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들(ladle)은 제강공정상 취련 완료된 용강을 연속주조 공정 설비인 턴디쉬(tundish)로 주입하기 위하여 용강을 담는 용기로서, 래들에 담긴 용강 및 래들 자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래들의 상부에는 커버(이하 '래들 커버')가 덮여져 사용된다.
래들 커버는 래들의 상부를 덮는 형상의 커버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내화물 도포를 통해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래들 커버는 래들 예열과정에서는 열손실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용강의 저장 및 주입공정에서는 온도손실 방지와 외부 산소 유입 차단에 의한 용강의 품질 문제를 해결하고자 래들 상부에 조립하여 사용된다.
커버 프레임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다. 개방된 하부에는 내화물 도포작업이 이루어진다. 내화물 타설 시, 커버 프레임을 뒤집은 상태에서 물과 혼합된 내화물 공급에 의해 도포 작업을 실시하는데 내화물 혼합 시 사용된 다량의 수분이 커버 프레임에 의해 내부 저장형태로 남게 된다. 이로 인해, 내화물 건조 작업 시 많은 시간이 지체되며 커버 프레임 내부에 도포된 내화물의 균일하고 완전한 건조 작업이 불가능하다. 또한, 제거되지 않은 수분으로 인해 래들 내부에 저장된 용강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 고온의 복사열에 의해 크랙과 탈락은 물론 열평창에 의해 커버 프레임의 변형이 발생된다. 이에, 내화물의 크랙과 탈락으로 인한 정비와 보수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정비를 위한 추가 작업 인력 투입이 불가피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063905호에는 래들의 상부를 덮도록 커버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본체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착탈고리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래들 장치와, 상기 래들 장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커버의 착탈고리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를 취부하는 탈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래들 커버의 탈착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3905호
본 발명은 내화물 도포 시 사용된 수분과 용기 내 액상물 저장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커버 프레임을 보호하고 내화물의 크랙과 탈락을 방지하는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커버로서, 일측이 개방된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벽체를 관통하고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는 통로 및 상기 통로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삽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에는 내화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원통형의 형상이거나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기 통로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통로에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 통로를 가지는 배출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재의 벽체에는 상기 유체 통로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체 통로의 깊이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측벽의 높이의 1/2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삽탈부재는 상기 배출부재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통로에는 상기 배출부재를 상기 커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중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배출부재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으로서, 일측이 개방된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는 통로에 삽탈부재를 삽입하는 과정,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에 내화물을 도포하여 양생시키는 과정, 상기 삽탈부재를 분리하여 상기 양생된 내화물로부터 수분 및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 과정은 상기 양생된 내화물의 내부에 유체 통로 및 이와 연결되는 배출홀을 마련하고, 상기 배출홀 및 상기 유체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상기 수분 및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내화물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커버 프레임을 액상물이 담긴 용기에 장착하여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의하면 커버 프레임에 내화물 도포 시 커버 프레임에 마련된 통로에 삽탈부재를 삽입하여 통로를 폐쇄함으로써 커버 프레임에 마련된 통로로 수분과 함께 내화물이 흘러내리는 문제를 해결하고, 내화물 도포 후 삽탈부재를 통로에서 분리함으로써 내화물과 함께 사용된 수분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액상물의 저장, 이송 및 주입 과정에서 액상물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커버 프레임의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가스의 영향으로 인한 커버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여 커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프레임의 통로와 연통되며, 내화물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유체 통로 및 배출홀이 마련되므로 내부의 수분이나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균일한 건조에 의한 내화물의 접착 품질을 향상시키고 내화물의 크랙과 탈락을 예방하여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정비 횟수의 감소와 자재 사용의 감소에 따른 경비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수분 배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가스 배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수분 배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가스 배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100)는 일측이 개방된 커버 프레임(110)과, 커버 프레임(110)의 상면에 마련되는 통로(130)와, 통로(130)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삽탈부재(230)를 포함한다.
커버 프레임(110)은 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용기를 덮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버 프레임(110)의 개방된 공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물이 수용된다. 또한, 커버 프레임(110) 상면의 중심에는 커버 프레임(110)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고리 형상의 손잡이(120)가 설치된다. 하지만, 손잡이(1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 프레임(110)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커버 프레임(110)의 형상을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원통형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화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예컨대,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인 반구, 원뿔, 다각뿔 형상일 수 있다.
통로(130)는 커버 프레임(1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커버 프레임(110)의 벽체를 관통하며 커버 프레임(110)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어 커버 프레임(110)에 수용된 내화물로부터 수분이나 가스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로(130)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커버 프레임(110)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통로의 개수가 증가한다. 이는 커버 프레임(110)의 개방된 공간에 수용된 내화물로부터 수분이나 가스를 균일하게 배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통로(130)는 통로(130)에 삽입되어 후술되는 배출부재(220)를 고정시키는 지지부재(210)와, 지지부재(210)에 삽입되어 커버 프레임(110) 내부의 수분 및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부재(22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210)는 통로(130)에 삽입되어 배출부재(2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단에 링 형상의 고정부가 마련되고 그로부터 일방향 연장 형성된 파이프가 결합된 형상이다. 이러한 지지부재(210)는 배출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형의 너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배출부재(220)는 중심부가 개방된 육각 볼트 형상으로, 지지부재(220)에 삽입되어 커버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이때, 지지부재(210)와 배출부재(220)는 예컨대,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배출부재(220)는 커버 프레임(110)의 개방된 공간 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유체 통로를 가진다. 유체 통로의 깊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110)의 측벽의 높이(h)의 1/2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체 통로가 내화물의 깊숙이 삽입될수록 내부의 수분이나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출 부재(220)의 벽체에는 커버 프레임(110)의 개방된 공간과 유체 통로가 연통되는 배출홀(221)이 복수개 마련된다. 배출홀(221)은 내화물 도포 시 사용된 수분과, 용기 내 액상물 예컨대, 용강의 저장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는 배출부재(220)의 볼트헤드 형상이 육각형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배출부재(2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삽탈부재(230)가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중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삽탈부재(23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각 볼트가 사용되며, 통로(130)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면서 커버 프레임(110) 외부로 수분 및 가스 중 어느 하나를 배출시킨다.
이러한 삽탈부재(230)는 커버 프레임(110) 내부에 내화물 도포 시 커버 프레임(110)을 뒤집었을 때 내화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통로(130)에 삽입되며,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할 때와 액상물의 저장 및 운반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 배출할 때 통로(130)에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부재(220)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삽탈부재(230)는 커버 프레임(110) 내부에 내화물 도포 시 커버 프레임(110)을 뒤집었을 때 내화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부재(220)에 삽입되며, 내화물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할 때와 액상물의 저장 및 운반 과정에서 발생된 가스 배출할 때 배출부재(220)에서 분리된다.
상기에서는 삽탈부재(230)를 볼트헤드의 형상이 육각형인 육각 볼트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삽탈부재(2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부재(220)에 삽입되거나 분리되어 배출부재(220)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이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커버(100)의 커버 프레임(110) 내부에 내화물을 도포하기 전에 커버 프레임(110)에 마련된 통로(130)에 지지부재(210)를 삽입한다. 이어서, 배출홀(221)이 마련된 배출부재(220)를 지지부재(210)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그 다음, 삽탈부재(230)를 배출부재(220)에 삽입하여 조립한 후 커버 프레임(110)을 뒤집는다. 이어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혼합된 내화물을 커버 프레임(110) 내부에 도포한다. 내화물 도포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내화물이 양생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재(220)에 조립된 삽탈부재(230)를 분리시킨다. 이때, 내화물에 포함된 수분은 배출부재(220)의 하부와, 배출부재(220)의 측면에 마련되어 커버 프레임(110)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출홀(2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액상물의 저장, 이송 및 주입 과정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110)을 원래 상태로 뒤집는다. 이때, 액상물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배출부재(220)의 하부와, 배출부재(220)의 측면에 마련되어 커버 프레임(110)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출홀(2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커버(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커버(1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커버 프레임(110')의 형상이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도 5에서 커버 프레임(110')의 형상이 반구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커버 프레임(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예컨대, 원뿔, 다각뿔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커버 프레임(110)에 내화물 도포 시 커버 프레임(110)에 마련된 통로(130)에 삽탈부재(230)를 삽입하여 통로(130)를 폐쇄함으로써 커버 프레임(110)에 마련된 통로(130)로 수분과 함께 내화물이 흘러내리는 문제를 해결하고, 내화물 도포 후 삽탈부재(230)를 통로(130)에서 분리함으로써 내화물과 함께 사용된 수분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액상물의 저장, 이송 및 주입 과정에서 액상물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커버 프레임(110)의 통로(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가스의 영향으로 인한 커버 프레임(110)의 변형을 방지하여 커버(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프레임(110)의 통로(130)와 연통되며, 내화물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유체 통로 및 배출홀(221)이 마련되므로 내부의 수분이나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커버(100)의 균일한 건조에 의한 내화물의 접착 품질을 향상시키고 내화물의 크랙과 탈락을 예방하여 수명을 연장함으로써 정비 횟수의 감소와 자재 사용의 감소에 따른 경비 절감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로서 래들(ladle), 용기에 담기는 액상물로서 용강을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련 설비 이외의 기타 다른 설비의 용기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0: 커버 프레임 120: 손잡이
130: 통로 210: 지지부재
220: 배출부재 221: 배출홀
230: 삽탈부재

Claims (13)

  1. 일측이 개방된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벽체를 관통하고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는 통로;
    상기 통로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 통로를 가지는 배출부재; 및
    상기 배출부재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삽탈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에는 내화물이 수용되는 커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원통형의 형상이거나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상이고, 상기 통로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는 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개수가 증가하는 커버.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벽체에는 상기 유체 통로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마련되는 커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로의 깊이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측벽의 높이의 1/2 이상인 커버.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에는 상기 배출부재를 상기 커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커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중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배출부재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커버.
  11. 일측이 개방된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과 연통되는 통로에 유체 통로 및 이와 연결된 배출홀을 구비하는 배출부재를 삽입한 후, 상기 배출부재에 삽탈부재를 삽입하는 과정;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방된 공간에 내화물을 도포하여 양생시키는 과정;
    상기 삽탈부재를 분리하여 상기 양생된 내화물로부터 수분 및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출 과정은
    상기 양생된 내화물의 내부에 마련된 상기 배출홀 및 상기 유체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상기 수분 및 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커버 프레임을 액상물이 담긴 용기에 장착하여 가스를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
KR1020120113605A 2012-10-12 2012-10-12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443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605A KR101443789B1 (ko) 2012-10-12 2012-10-12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605A KR101443789B1 (ko) 2012-10-12 2012-10-12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386A KR20140047386A (ko) 2014-04-22
KR101443789B1 true KR101443789B1 (ko) 2014-09-23

Family

ID=5065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605A KR101443789B1 (ko) 2012-10-12 2012-10-12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61B1 (ko) * 2019-01-21 2020-06-17 대신금속 주식회사 저압로의 내화재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4250U (ja) * 1991-05-27 1992-12-1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タンデイツシユカバー
JPH0726056U (ja) * 1993-10-20 1995-05-1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溶湯容器の保熱蓋
JP2002286376A (ja) 2001-03-28 2002-10-03 Waki Taika Kogyo Kk 高温容器の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7871Y1 (ko) 1999-06-30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복층식 턴디쉬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4250U (ja) * 1991-05-27 1992-12-1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タンデイツシユカバー
JPH0726056U (ja) * 1993-10-20 1995-05-1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溶湯容器の保熱蓋
KR200307871Y1 (ko) 1999-06-30 2003-03-19 주식회사 포스코 복층식 턴디쉬 커버
JP2002286376A (ja) 2001-03-28 2002-10-03 Waki Taika Kogyo Kk 高温容器の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386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789B1 (ko) 커버 및 이의 이용방법
JP4628303B2 (ja) 溶融金属搬送取鍋
US10400294B2 (en) Device for inserting a refractory block into a taphole structure of a metallurgical vessel, in particular a basic oxygen furnace
CN108315560B (zh) 金属熔液过滤装置
JP4506607B2 (ja) 溶融金属収容容器
JP2006315087A (ja) 容器及び貯留槽
FI81079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maeltning av ett medelst vaerme smaeltbar material saosom glasmaeng.
KR101872036B1 (ko) 금속야금 용기용 슬라이딩 클로져
EA008129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пизодического запирания лётки конвертера с улучше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заглушки
US9724756B2 (en) Refractory component for lining a metallurgical vessel
JP2018012131A (ja) 低圧鋳造用溶湯保持炉
KR101443469B1 (ko) 보어를 포함하는 금속 잉곳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관한 잉곳 및 주조 장치
JPH02263565A (ja) 冶金容器用ガス吹込み装置
KR101590995B1 (ko) 내화 블럭 제조 장치 및 이로 제조된 내화 블럭을 포함하는 커버
JP2000094098A (ja) タンディシュ注入管
CN112811025B (zh) 一种矿冶原料仓罐设备
US20230032307A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nozzle/plug seating block
US663945A (en) Ladle for molten metal.
KR20180003754A (ko) 턴디쉬용 수냉 스토퍼
JP3867463B2 (ja) 転炉地金除去用ノズル
JP2007146206A (ja) 溶鉄搬送容器の保熱板および保熱方法
RU2167030C1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ковш
KR20170043869A (ko) 용기 가열장치
JPH115143A (ja) 中空鋼塊の鋳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中子
JPH0313790A (ja) 溶湯容器の出湯口ノズル受れんがの補修方法およびその補修用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