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726B1 -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726B1
KR101443726B1 KR1020130065249A KR20130065249A KR101443726B1 KR 101443726 B1 KR101443726 B1 KR 101443726B1 KR 1020130065249 A KR1020130065249 A KR 1020130065249A KR 20130065249 A KR20130065249 A KR 20130065249A KR 101443726 B1 KR101443726 B1 KR 10144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mbustion furnace
housing
pist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현
이재정
김민철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에스
Priority to KR102013006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성 연소로의 잔류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로에서 연소가 완료된 후에도 연소 되지 않고 남은 불연성 잔류물이, 연소로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면서 다른 부품을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연소로(10)에서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공급되고, 상기 재(30)가 상기 연소로(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안내를 하면서 완만한 'V'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하우징(100);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선단 내부에 배치되어 말단 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재(30)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부를 따라 외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실린더부(200);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말단에 배치되되,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재(30)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홈(310)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장배출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DISCHARGE APPARATUS FOR INCOMBUSTIBLE RESIDUE OF COMBUSTION CHAMBER}
본 발명은 불연성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로에서 연소가 완료된 후에도 연소 되지 않고 남은 불연성 잔류물이, 연소로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면서 다른 부품을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각로는 연소실에 연료를 투입하여 연소조건(3T ; Temperature, Turbulence, Time)을 갖춘 뒤 연료의 연소가 진행되는데, 연소실에서는 투입된 폐기물 또는 연료를 화염 연소시키거나 열분해(탄화)시키고, 연소조건이나 연료상태에 따라 불연소 된 가스상 물질을 재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소각로에는 톱밥이나 목재 부스러기뿐만 아니라 사업장이나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을 펠릿 형태로 압축한 고형연료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얻음으로써 보일러나 열병합발전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고형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는, 온실가스 배출원인 경유/B-C 유 등(고가의 화석연료)을 사용하지 않아 연료비가 적게 들고 친환경적인 설비라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에너지 다소비 업체의 자체이용 전용 보일러뿐만 아니라 지자체의 발전설비나 열병합발전과 같은 곳으로 확산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고형연료를 연소시킬 때에는 점화된 고형연료에 단순히 연소공기를 공급하여 태우는데 그치고 있는 것이어서 연소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렇게, 고형연료가 효율적으로 연소 되지 못함으로써 불연성 잔류물인 재가 다량으로 발생 되고, 이에 따라 그 재를 연소로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고형연료를 연소시킴에 따라 연소시 많은 재와 고형연료 속에 포함된 유리가루나 흙과 같은 이물질이 연소로의 고열에 용융되면서 서로 뭉쳐 슬래그 및 클랭커를 발생한 채로 배출장치로 이송되게 된다.
이렇게 발생 된 재는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출장치의 각 구성물에 침착되거나, 잔류물이 배출장치로 역행하여 배출장치의 고장을 유발하고, 배출장치 주변 부품을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출장치가 부분적으로 훼손될 경우, 배출장치와 연결되는 주변부품까지 모두 교체해야하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연소장치에서 불연성 잔류물인 재가 배출장치의 배출관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연소장치와 배출관의 연결부위에 잔류물이 끼는 현상이 발생 되어 배출장치가 훼손되고 잔류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연소장치에서 불연성 잔류물인 재가 배출장치로 공급시, 그 잔류물에는 불씨 등이 포함되어 고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열에 의해 배출장치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110300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연소로에서 불연소 된 잔류물이 배출관에서 배출장치로 역행하여 배출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연소장치와 배출관의 연결부위에 잔류물이 끼임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잔류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연소로에서 불연소 된 잔류물의 고열에 의해 배출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연소로에서 연소재로 인해 배출장치가 막혔을 때 작업자가 손쉽게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연소로(10)에서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공급되고, 상기 재(30)가 상기 연소로(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안내를 하면서 완만한 'V'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하우징(100);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선단 내부에 배치되어 말단 방향으로 왕복운동 되면서 상기 재(30)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부를 따라 외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실린더부(200);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말단에 배치되되,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재(30)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홈(310)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장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실린더부(200)가 내부에 배치되고,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실린더관(150)과, 상기 실린더관(150)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재(10)가 이송되어 상기 확장배출부(300)를 통해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관(160)과, 상기 실린더관(150)과 상기 이송관(160)의 연결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관(150) 방향으로 역행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행방지면(11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상부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연소로(10)에서 발생 되는 상기 재(30)가 상기 배출하우징(100) 내부로 낙하 되면서 진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낙하공급관(120)을 포함하고, 상기 낙하공급관(120)은,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낙하확인창(122)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연소로(10)로부터 낙하 되어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내부로 통과하는 상기 재(30)에 물(50)을 분사하여, 상기 재(30)가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기(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부 하면에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안내앵글(210)과, 상기 안내앵글(210)의 상면에 안착 되도록 상기 안내앵글(210)과 대응되는 형태의 안착홈(222)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되는 상기 재(30)가 상기 배출하우징(100)을 통해 상기 확장배출부(300)로 이송되도록, 상기 재(30)를 밀어내는 피스톤(220)과, 상기 피스톤(220)과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왕복운동 하면서, 상기 피스톤(220)이 연동 되어 왕복운동 하도록 하는 피스톤로드(230)와, 상기 피스튼로드(23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왕복 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피스톤로드(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240)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220)은,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응집된 재(30)가 상기 피스톤(220)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220)의 상부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재(30)를 공급받는 부위가 상호 마찰 되는 방지하기 위해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계단면(2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확장배출부(300)는, 상기 배출홈(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으면서,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배출부(300)의 내부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몸체(320)와, 상기 확장몸체(320)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몸체(320)의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막힘확인창(3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연소로의 잔류물이 배출장치로 역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인해, 배출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다른 부품의 훼손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연소장치와 배출관의 연결부위에 잔류물이 끼임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잔류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연소로에서 불연소 된 잔류물의 고열에 의해 배출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장치 및 주변부품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잔류물을 연소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불연소 된 잔류물인 재를 외부로 배출하면서도 분진이 발생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그로 인한 배출장치 및 주변부품의 고장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연소로에서 연소가 완료된 후에도 연소 되지 않고 남은 불연성 잔류물이, 연소로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면서 다른 부품을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특히, 배출하우징, 실린더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고형연료 또는 다양한 연료를 사용하여 보일러의 기능 등을 수행하는 연소로(10)에서는 연료가 연소 된 후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남게 된다.
이러한 상기 재(30)는, 상기 연소로(10)에 발생 되는 데로 상기 연소로(10)의 외부로 신속하게 이송되어 배출되지 않으면, 상기 연소로(10)와 그에 따른 부품들이 훼손될 수 있고, 심한 경우 상기 연소로(10)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재(30)를 연소로(10)의 외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소로(10)에는 배출장치가 구비되어 사용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는, 연소로(10)에서 발생 되는 재(30)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송안내 하는 완만한 'V' 형태로 형성되는 배출하우징(100)과, 상기 배출하우징(100)으로 공급되는 상기 재(30)를 이송시키는 실린더부(200)와, 상기 실린더부(2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배출하우징(100) 내에서 이송되는 상기 재(30)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확장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연소로(10)에서 발생 되는 불연성 잔류물인 재(30)가 공급되고, 상기 재(30)가 상기 연소로(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안내를 하면서 완만한 'V'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연소로(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재(30)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재(30)는 1000℃ 이상의 고형연료가 연소 된 후 남은 불연성 잔류물이기 때문에 그 높은 온도를 일정부분 유지한 채로 상기 배출하우징(100)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원형 관 형태 또는 사각 관 형태의 내열성 금속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실린더부(200)가 내부에 배치되고, 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실린더관(150)을 갖는다.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실린더관(150)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재(10)가 이송되어 상기 확장배출부(300)를 통해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이송관(160)을 갖는다.
더불어,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실린더관(150)과 상기 이송관(160)의 연결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관(150) 방향으로 역행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행방지면(110)을 포함한다.
즉, 상기 실린더관(150)은, 상기 실린더부(200)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상기 실린더부(200)가 형성된 위치인 상기 실린더관(150)으로 상기 재(30)가 진입되지 못하도록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관(160)은, 상기 실린더부(20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배출부(300)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는 통로의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상부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연소로(10)에서 발생 되는 상기 재(30)가 상기 배출하우징(100) 내부로 낙하 되면서 진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낙하공급관(120)을 포함한다.
상기 낙하공급관(120)은, 상기 실린더관(15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낙하공급관(120)을 통해 상기 재(30)가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실린더관(150)의 내부로 진입되는 위치는, 상기 실린더부(200)와 상기 역행방지면(110)의 사이로 진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관(150)의 내부로 진입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관(150)의 경사각으로 인해 상기 재(30)는 상기 역행방지면(110)이 형성된 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부(200)가 동작 되면서 상기 재(30)를 밀어내어, 상기 재(30)가 상기 이송관(160)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실린더관(150)의 하부에는, 분진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200)가 형성된 부위로 진입되는 상기 재(30)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배출공(15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공(152)을 통해, 분진 상태로 상기 실린더부(200)가 형성된 부위로 진입되는 상기 재(30)를 원활하게 상기 실린더관(15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완만한 'V' 형태를 갖고,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선단인 상기 실린더관(150)의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부(200)가 배치되고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말단인 상기 이송관(160)에는 상기 확장배출부(300)가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역행방지면(110)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되는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부(200)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관(150)과 상기 이송관(16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역행방지면(110)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전체로 볼 때, 높이 위치상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최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역행방지면(110)에서 상기 실린더부(200)가 위치된 방향으로는 상기 실린더관(150)이 상 방향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부(200)로 진입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역행방지면(110)에서 상기 확장배출부(300)가 위치된 방향으로는 상기 이송관(160)이 상 방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상기 실린더부(20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재(30)가 밀리면서 상기 이송관(160)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 확장배출부(300)를 통해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부 하면에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안내앵글(210)과, 상기 안내앵글(210)의 상면에 안착 되도록 상기 안내앵글(210)과 대응되는 형태의 안착홈(222)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되는 상기 재(30)가 상기 배출하우징(100)을 통해 상기 확장배출부(300)로 이송되도록, 상기 재(30)를 밀어내는 피스톤(22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피스톤(220)과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왕복운동 하면서, 상기 피스톤(220)이 연동 되어 왕복운동 하도록 하는 피스톤로드(230)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피스튼로드(23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왕복 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피스톤로드(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2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220)은,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응집된 재(30)가 상기 피스톤(220)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220)의 상부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재(30)를 공급받는 부위가 상호 마찰 되는 방지하기 위해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계단면(2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제어기(240)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왕복동작 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220)의 상기 계단면(224)이 상기 피스톤로드(2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재(30)를 밀어내어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배출부(3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실린더부(2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확장배출부(300)는, 상기 이송관(160)을 통해 이송된 상기 재(30)가 상기 이송관(16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160)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되,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재(30)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홈(310)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관(16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확장배출부(300)는, 상기 배출홈(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으면서,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배출부(300)의 내부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몸체(320)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확장배출부(300)는, 상기 확장몸체(320)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몸체(320)의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막힘확인창(330)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배출부(300)는, 상기 이송관(160)을 통해 이송된 상기 재(30)가 상기 이송관(16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확장배출부(30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부 하면에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안내앵글(210)과, 상기 안내앵글(210)의 상면에 안착 되도록 상기 안내앵글(210)과 대응되는 형태의 안착홈(222)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되는 상기 재(30)가 상기 배출하우징(100)을 통해 상기 확장배출부(300)로 이송되도록, 상기 재(30)를 밀어내는 피스톤(22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피스톤(220)과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왕복운동 하면서, 상기 피스톤(220)이 연동 되어 왕복운동 하도록 하는 피스톤로드(230)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피스튼로드(23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왕복 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피스톤로드(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2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220)은,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응집된 재(30)가 상기 피스톤(220)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220)의 상부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재(30)를 공급받는 부위가 상호 마찰 되는 방지하기 위해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계단면(2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제어기(240)에서 공급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왕복동작 되도록 하고, 상기 피스톤(220)의 상기 계단면(224)이 상기 피스톤로드(2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재(30)를 밀어내어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배출부(3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소로(10)에서 발생 되는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관(150)의 내부로 낙하 되면서 진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낙하공급관(120)이 형성된다.
상기 낙하공급관(120)은, 상기 실린더관(15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관(150)의 내부로 진입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관(150)의 경사각으로 인해 상기 재(30)는 상기 역행방지면(110)이 형성된 방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게 된다.
상기 이송관(160)은 상기 역행방지면(110)에서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재(30)는 상기 역행방지면(110)이 형성된 위치에 적층 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기(240)가 상기 피스톤로드(230)에 동력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로드(230)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피스톤(220)이 연동 되면서 왕복운동 되게 된다.
상기 피스톤(220)이 왕복 운동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220)의 상기 계단면(224)이 상기 역행방지면(110)의 형성부위에 적층 되는 상기 재(30)를 상기 이송관(160)이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렇게 상기 낙하공급관(120)을 통해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실린더관(150)의 내부로 상기 재(30)가 연속해서 진입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220)의 상기 계단면(224)이 상기 재(30)를 밀어내게 되면, 상기 이송관(160)의 내부에는 점점 상기 재(30)로 꽉 차게 된다.
상기 이송관(160)의 내부에 상기 재(30)가 꽉 차게 되면 상기 확장몸체(320)에 근접한 위치의 재(30)는 다른 재에 밀리면서, 상기 확장몸체(320)의 내부로 진입된 후, 상기 배출홈(310)을 통해 상기 확장몸체(3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어 재저장조(340)에 저장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재저장조(340)에 저장된 상기 재(30)는, 폐기되거나 전처리를 통해 건자재로 사용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220)의 하부에는 상기 안착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22)은, 상기 실린더관(150)의 내부 하면에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안내앵글(210)에 안착 되어 상기 피스톤(220)이 상기 안내앵글(210)에 안내되어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220)은 상기 안내앵글(210)에 안착 되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로드(230)의 유동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앵글(210)은, 상기 실린더관(150)이 부분적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음각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실린더관(15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로 상기 안내앵글(210)과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앵글(210)의 형태는 상기 피스톤(220)이 상기 안내앵글(210)에 안착 된 채로 안내되어 왕복운동 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더불어, 상기 피스톤(220)에는 상기 재(30)에 직접 밀착되어 상기 재(30)를 밀어내는 계단 형태로 형성된 계단면(224)이 형성된다.
상기 계단면(224)은, 도 5의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하부와 상기 이송관(160)이 형성되는 위치인 지점(A)에서 응집되어 덩어리로 된 재(30)가 끼어 상기 피스톤(220)과 상기 이송관(160)이 부분적으로 파단 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계단면(224)은, 상기 지점(A)를 폐쇄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응집되어 덩어리로 된 재(30)가 상기 지점(A)에 위치되어도 상기 재(30)가 상기 계단면(224)과 상기 이송관(160)의 사이에 끼어 상기 이송관(160)이 가압되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계단면(224)은, 상기 피스톤(220)이 왕복운동 되는 과정에서,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몸체(320)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재(30)가 다져져 뭉치면서 상기 확장몸체(320)를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220)이 상기 이송관(16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계단면(224)이 상기 재(30)를 밀어낸 후, 상기 피스톤(220)이 상기 실린더관(15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계단면(224)에 밀착된 상기 재(30)는 상기 계단면(224)의 형상으로 인해 무너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재(30)는 상기 계단면(224)의 형상으로 인해 다져지면서 고형화 되도록 뭉쳐지지 않고, 부분적으로 다져져 상호 밀착된 상태로 상기 이송관(160)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 이송관(160)이 막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이송관(160)과 연결되는 상기 확장몸체(320)는, 상기 이송관(16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으면서, 상기 재(30)가 상기 이송관(160)과 상기 확장몸체(320)의 내부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확장몸체(320)는, 상기 이송관(160)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160) 보다 확관 된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상기 이송관(160)에서 이송되는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몸체(320)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홈(31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240)는, 상기 피스톤로드(230)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왕복 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피스톤로드(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기(240)는, 외부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지령을 받아 실시간으로 작동될 수 있고, 기 설정된 지령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피스톤로드(230)를 제어하여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왕복운동 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형성되는 부위의 상기 이송관(160)의 내부에는, 상기 재(30)가 부분적으로 진입되어 적층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재(30)를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이송관(160)의 하부에는 배출공(1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공(152)은, 분진 상태로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형성된 부위의 상기 이송관(160) 내부로 진입된 상기 재(30)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배출공(152)의 개구를 통해, 분진 상태로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형성된 부위로 진입되는 상기 재(30)를 원활하게 상기 실린더관(15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연소로(10)의 하부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상부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연소로(10)에서 발생 되는 상기 재(30)가 상기 배출하우징(100) 내부로 낙하 되면서 진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낙하공급관(120)을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낙하공급관(120)은,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낙하확인창(12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낙하확인창(122)은, 내열성을 갖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면서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외부에서 내부의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관(150)으로 낙하 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낙하공급관(120) 내부에서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관(150)으로 원활하게 낙하 되지 않고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 될 경우, 상기 낙하확인창(122)을 개구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낙하확인창(122)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내열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면서 개폐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연소로(10)로부터 낙하 되어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내부로 통과하는 상기 재(30)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재(30)가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기(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각기(130)는,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내부로 통과하는 상기 재(30)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재(30)의 고열에 의해 상기 낙하공급관(120)과 상기 실린더관(150) 등의 주변부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기(130)는, 외부에서 용수를 공급받아 상기 재(30)가 상기 낙하공급관(120)에서 상기 실린더관(150)으로 낙하 되는 동안 낙하 되는 재(30)에 지속적으로 물을 분사하여 재(30)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내부로 통과하는 상기 재(30)는, 상기 연소로(10)에서, 1000℃ 이상의 고형연료가 연소 된 후 남은 불연성 잔류물이기 때문에 그 높은 온도를 일정부분 유지한 채로 상기 낙하공급관(120)과 실린더관(150)으로 진입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재(30)에는 불씨가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고온의 상기 재(30)는 상기 낙하공급관(120)과 실린더관(150) 등의 주변부품을 훼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냉각기(130)를 통해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내부로 통과하는 상기 재(30)에 물을 분사함으로 인해, 상기 재(30)는 급속도로 냉각되어 상기 낙하공급관(120)과 실린더관(150) 등의 주변부품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배출부(300)는, 상기 배출홈(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으면서,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배출부(300)의 내부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몸체(320)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확장배출부(300)는, 상기 확장몸체(320)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몸체(320)의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막힘확인창(33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160)과 연결되는 상기 확장몸체(320)는, 상기 이송관(16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으면서, 상기 재(30)가 상기 이송관(160)과 상기 확장몸체(320)의 내부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확장몸체(320)는, 상기 이송관(160)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160) 보다 확관 된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상기 이송관(160)에서 이송되는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몸체(320)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홈(31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막힘확인창(330)은, 내열성을 갖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면서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확장몸체(320)의 외부에서 내부의 상기 재(30)가 상기 배출홈(310)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관(160)으로부터 이송되어 상기 확장몸체(320)로 진입된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몸체(320)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홈(310)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고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 될 경우, 상기 막힘확인창(330)을 개구 하여, 막힌 재(30)를 제거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막힘확인창(33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내열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면서 개폐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막힘확인창(330) 또한,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몸체(320)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홈(310)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고 막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 될 경우, 상기 막힘확인창(330)을 개구 하여, 막힌 재(30)를 제거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홈(310)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홈(310)으로 배출되는 상기 재(30)가 포집 되는 재저장조(340)가 배치된다.
즉,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몸체(320)의 내부로 진입된 후, 상기 배출홈(310)을 통해 상기 확장몸체(3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어 재저장조(340)에 저장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재저장조(340)에 저장된 상기 재(30)는, 폐기되거나 전처리를 통해 건자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연소로의 잔류물이 배출장치로 역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 인해, 배출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다른 부품의 훼손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소장치와 배출관의 연결부위에 잔류물이 끼임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잔류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소로에서 불연소 된 잔류물의 고열에 의해 배출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장치 및 주변부품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잔류물을 연소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불연소 된 잔류물인 재를 외부로 배출하면서도 분진이 발생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그로 인한 배출장치 및 주변부품의 고장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 : 지점
10 : 연소로 30 : 재
100 : 배출하우징 110 : 역행방지면
120 : 낙하공급관 122 : 낙하확인창
130 : 냉각기
150 : 실린더 152 : 배출공
160 : 이송관
200 : 실린더부 210 : 안내앵글
220 : 피스톤 222 : 안착홈
224 : 계단면
230 : 피스톤로드 240 : 제어기
300 : 확장배출부 310 : 배출홈
320 : 확장몸체 330 : 막힘확인창
340 : 제저장조

Claims (7)

  1. 연소로(1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을 통해 상기 연소로(10)로부터 배출된 재(30)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연소로(10)와의 연결지점을 기준으로 양 단부로 갈수록 위쪽으로 들어올려진 형태로 경사져 있는 배관 형태의 배출하우징(100);
    상기 배출하우징(100) 중 상기 연소로(10)와의 연결지점을 기준으로 일측 선단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을 향해 왕복운동되면서 상기 재(30)가 이송되도록 하는 실린더부(200);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타측 말단에 배치되되,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재(30)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홈(310)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장배출부(300);를 포함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실린더부(200)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소로(10)와의 연결지점으로 부터 일측을 향해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관(150)과,
    상기 실린더관(150)과 내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소로(10)와의 연결지점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상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배출부(300) 쪽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이송관(160)과,
    상기 실린더관(150)과 상기 이송관(160)의 연결된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관(150) 방향으로 역행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행방지면(110)을 포함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연소로(10)와 연결되어 상기 연소로(10)로부터 배출된 상기 재(30)가 상기 실린더관(150)과 상기 이송관(160) 사이 지점으로 낙하되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낙하공급관(120)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관(150)과 상기 이송관(160)은 상기 낙하공급관(12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낙하공급관(120)을 기준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낙하공급관(120)은,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낙하확인창(122)을 더 포함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은,
    상기 낙하공급관(12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소로(10)로부터 낙하 되어 상기 낙하공급관(120)의 내부로 통과하는 상기 재(30)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재(30)가 냉각 되도록 하는 냉각기(130)를 더 포함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200)는,
    상기 실린더관(150)의 내부 하면에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안내앵글(210)과,
    상기 안내앵글(210)의 상면에 안착 되도록 상기 안내앵글(210)과 대응되는 형태의 안착홈(222)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된 상기 재(30)를 상기 이송관(160)이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내는 피스톤(220)과,
    상기 피스톤(220)과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실린더관(15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왕복운동 하면서, 상기 피스톤(220)이 연동 되어 왕복운동 하도록 하는 피스톤로드(230)와,
    상기 피스톤로드(23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30)가 왕복 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피스톤로드(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240)를 포함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20)은,
    상기 연소로(10)에서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공급되는 응집된 재(30)가 상기 피스톤(220)이 왕복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220)의 상부와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재(30)를 공급받는 부위가 상호 마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계단형태로 형성되는 계단면(224)을 더 포함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배출부(300)는,
    상기 배출홈(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하우징(100)의 내경 보다 큰 직경을 갖으면서, 상기 재(30)가 상기 확장배출부(300)의 내부에서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확장몸체(320)와,
    상기 확장몸체(320)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몸체(320)의 외부에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막힘확인창(330)을 포함하는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KR1020130065249A 2013-06-07 2013-06-07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KR101443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49A KR101443726B1 (ko) 2013-06-07 2013-06-07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249A KR101443726B1 (ko) 2013-06-07 2013-06-07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726B1 true KR101443726B1 (ko) 2014-11-03

Family

ID=5228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249A KR101443726B1 (ko) 2013-06-07 2013-06-07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7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2907A (zh) * 2016-11-18 2017-02-15 无锡市鑫德热电设备有限公司 一种热能回收的干式锅炉除渣装置
CN106402906A (zh) * 2016-11-18 2017-02-15 无锡市鑫德热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站辅机干式锅炉除渣设备
CN106642169A (zh) * 2016-11-18 2017-05-10 无锡市鑫德热电设备有限公司 一种热能回收的电站辅机干式锅炉除渣设备
KR101844007B1 (ko) * 2016-06-30 2018-03-30 (주)유성 투입부하저감장치가 구비되는 연료투입장치
WO2018236162A1 (ko) * 2017-06-22 2018-12-27 주식회사 포스코 연료 공급 장치
KR20210056773A (ko) * 2019-11-11 2021-05-2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미분기 유량센싱라인 막힘 해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716B1 (ko) * 1984-07-30 1993-04-09 가부시기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유동매체와 불연성 잔류물의 분리장치
KR20100106645A (ko) * 2009-03-24 2010-10-04 김상일 우드펠렛 난방기
KR101103000B1 (ko) * 2009-04-13 2012-01-05 주식회사 에너지 오션 다단계 연소방식에 의한 고형연료 연소장치
KR20130005417A (ko) * 2011-07-06 2013-01-16 장진만 펠렛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716B1 (ko) * 1984-07-30 1993-04-09 가부시기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유동매체와 불연성 잔류물의 분리장치
KR20100106645A (ko) * 2009-03-24 2010-10-04 김상일 우드펠렛 난방기
KR101103000B1 (ko) * 2009-04-13 2012-01-05 주식회사 에너지 오션 다단계 연소방식에 의한 고형연료 연소장치
KR20130005417A (ko) * 2011-07-06 2013-01-16 장진만 펠렛공급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007B1 (ko) * 2016-06-30 2018-03-30 (주)유성 투입부하저감장치가 구비되는 연료투입장치
CN106402907A (zh) * 2016-11-18 2017-02-15 无锡市鑫德热电设备有限公司 一种热能回收的干式锅炉除渣装置
CN106402906A (zh) * 2016-11-18 2017-02-15 无锡市鑫德热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站辅机干式锅炉除渣设备
CN106642169A (zh) * 2016-11-18 2017-05-10 无锡市鑫德热电设备有限公司 一种热能回收的电站辅机干式锅炉除渣设备
WO2018236162A1 (ko) * 2017-06-22 2018-12-27 주식회사 포스코 연료 공급 장치
KR20210056773A (ko) * 2019-11-11 2021-05-2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미분기 유량센싱라인 막힘 해소장치
KR102286910B1 (ko) * 2019-11-11 2021-08-0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보일러 미분기 유량센싱라인 막힘 해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726B1 (ko) 연소로의 불연성 잔류물 배출장치
KR100874986B1 (ko) 소각열 회수식 연소장치
CN105674243A (zh) 生物质高温气化锅炉燃烧器
CN102221210B (zh) 多维化学废弃物焚烧处理和余热回收烟气低温排放系统
KR20200058931A (ko) 스토커 소각로에 적용되는 푸셔방식 연료투입 장치
KR100917928B1 (ko) 쌍방향 투입 연소 복합형 소각로
KR101346914B1 (ko)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KR20060116782A (ko) 고형연료용 보일러의 연소장치
KR101080552B1 (ko) 톱밥 펠렛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JP5490956B1 (ja) 焼却装置
CN205640877U (zh) 改进的生物质高温气化锅炉燃烧器
CN105841162A (zh) 多功能生物质高温气化锅炉燃烧器
CN205372527U (zh) 生物质高温气化锅炉燃烧器
JP4130422B2 (ja) 焼却炉
CN205746865U (zh) 垃圾高温气化喷燃隧道系统
CN112121553A (zh) 一种高效环保型燃煤发电装置
JP5771346B1 (ja) 木質ペレット暖房機と、その燃焼方法
CN211739063U (zh) 一种带自动清焦装置的回转窑用燃烧器及其控制系统
CN213656761U (zh) 一种便于清理灰烬的垃圾焚烧炉
KR101519878B1 (ko) 턴테이블과 일체로 형성되는 연료공급기가 구비되는 연소로장치
JP5611424B2 (ja) 燃焼装置
KR102077820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수소 소각로
SE524553C2 (sv) Rostrengöringsanordning och ugn för förbränning av fasta bränslen i hällbar, styckvis form
KR102198134B1 (ko) 수소 소각로의 연소부 구조
KR200308767Y1 (ko) 소각로의 폐기물 완전연소를 위한 산소부하노즐 화격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