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914B1 -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 Google Patents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914B1
KR101346914B1 KR1020120047987A KR20120047987A KR101346914B1 KR 101346914 B1 KR101346914 B1 KR 101346914B1 KR 1020120047987 A KR1020120047987 A KR 1020120047987A KR 20120047987 A KR20120047987 A KR 20120047987A KR 101346914 B1 KR101346914 B1 KR 101346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mbustion
ash
gun type
typ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689A (ko
Inventor
최성환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주)귀뚜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귀뚜라미 filed Critical (주)귀뚜라미
Priority to KR1020120047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91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2Start-up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5/00Cleaning arrangements for grates; Moving fuel alo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5/00Blast-producing apparatus before the fire
    • F23L5/02Arrangements of fan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 정지시 연소판을 뒤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앞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연소판 위에 쌓인 재가 자동으로 배출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재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연소판 위에 공급된 고체 연료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Automatic ashes discharging gun type burner}
본 발명은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 정지시 연소판을 뒤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앞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연소판 위에 쌓인 재가 자동으로 배출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재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연소판 위에 공급된 고체 연료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 사무실, 소규모의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일반농가, 공장 등을 중심으로 목재는 물론 그외 바이오매스(biomass)나 이탄, 갈탄, 역청탄 및 무연탄 등의 석탄과 같은 고체 연료(혹은, '펠릿 연료'라고도 함)를 이용한 보일러를 사용하는 경향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고체 연료 보일러는 고체 연료를 공급받아 착화시키고 이를 통해 발생한 화염과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하여 온수나 난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버너를 사용하는데, 버너로는 건 배럴(gun-barrel)을 연상시키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건 타입 버너가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특허출원이 공개되기 이전인 2012년 1월 26일자로 종전 도가니(crucible) 형상으로 이루어진 화로(fire furnace)의 단점을 개선한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를 특허출원(제 2012-7646호) 하였다.
즉, 종래에는 와류를 통해 정압의 연소 공기를 공급하는 와류실(110)과, 송풍기(120)와, 건(gun) 타입으로 이루어진 연소 촉진관(130)과, 연소판(140)과, 펠릿 연료 착화장치(150)와, 조립판(160) 및 연료공급장치(170)를 포함하는 건 타입 펠릿 보일러용 버너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펠릿 연료의 착화가 이루어지는 연소판(140)의 상하측으로 각각 정압의 1차 공기와 2차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최적의 연소환경을 제공하고 펠릿 연료의 완전 연소를 가능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열변형에 약한 사각 용기 형상의 화로를 사용하였음에 비해 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소 촉진관(130)을 화로로 사용함으로써 열변형에 강한 특성을 갖게 함은 물론 성형 제작도 쉽게 하였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건 타입 버너는 펠릿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한 재를 제거하기 위해 보일러 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개폐 도어(미도시)를 열고 연소판(140) 위에 쌓인 재나 연소판(140)의 통공(140a)을 통해 연소 촉진관(130) 바닥면으로 낙하한 재를 긁어내야 하므로 청소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개폐 도어를 열고 공간이 비좁아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공할 수 없는 연소판(140)과 연소 촉진관(130) 사이로 청소 도구를 삽입한 후 재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재가 쌓여 있는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면서 재를 제거할 수 없어서 청소를 더욱 어렵게 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버너 정지시 연소판을 뒤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앞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연소판 위에 쌓인 재가 자동으로 배출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재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연소판 위에 공급된 고체 연료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는 고체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건(gun) 타입 연소 촉진관과; 상기 연소 촉진관 내에서 전후방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고체 연료가 투입되는 연소판과; 상기 연소판의 일측에 연결되며, 재를 배출시에는 상기 연소판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고체 연료의 연소시에는 상기 연소판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와; 상기 연소판의 후방측 상면에 접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소판이 후방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연소판 위에 쌓인 재를 긁어 상기 연소판 밖으로 밀어내는 밀판(push plate); 및 상기 연소판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정지시 상기 연소판 위에 공급된 상기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소 촉진관의 전방 하부에는 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소판의 전방 단부에는 하단부가 상기 연소 촉진관의 바닥면에 접하는 배출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판은 상기 연소판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재 배출구를 밀폐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판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지지편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판의 상면을 탄성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판에는 점화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장치는 상기 점화공을 통해 상기 연소판 위에 투입된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판은 상기 연소판 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향 경사진 밀판의 상단측에는 공급 안내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체 연료에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판에는 상기 송풍기에서 공급된 연소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소공기를 와류시킨 후 공기 배출구를 통해 정압으로 배출시키는 와류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송풍기는 상기 와류실의 공기 유입구 측에 연결되고, 상기 밀판은 상기 와류실의 공기 배출구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에 의하면, 버너 정지시 연소판을 뒤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앞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재가 밀판에 의해 연소판 밖으로 자동으로 배출되어 연소 촉진관에 수집되므로 재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재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으면서도 와류실에서 와류된 후 정압으로 배출되는 연소 공기를 연소판 위의 고체 연료에 공급하여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 타입 버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 타입 버너를 나타낸 조립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의 제1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의 제2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의 제3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할 고체 연료(혹은, 펠릿 연료)는 임지 잔재(가지, 말목, 수피, 집재장 잔재, 피해목, 댐유목 및 유목 등), 톱밥 및 불사용 간벌 소경재 등과 같은 목질계의 우드 펠릿(wood pellet)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목질계 이외에 사탕수수나 옥수수 등과 같은 각종의 바이오매스(biomass)나, 탄소 함유량에 따라 이탄, 갈탄, 역청탄 및 무연탄 등으로 분류되는 석탄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200)는 연소 촉진관(210)과, 연소판(220)과, 이동장치(230)와, 밀판(push plate)(240)과, 점화장치(250)와, 공급 안내판(260)과, 공급관(270)과, 와류실(280) 및 송풍기(290)를 포함한다.
연소 촉진관(210)은 펠릿 연료의 연소를 촉진시키고 연소시 발생한 화염을 전방으로 분출시키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건 배럴(gun-barrel)을 연상시키고, 아울러 전방으로 화염을 분출시키는 점에서 건의 탄환 발사와 유사하다. 이점에서 본 발명의 버너를 건 타입 버너라 한다.
이러한 연소 촉진관(210)은 하부를 구성하는 바닥면(211)과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 연소 유도판(212)을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바닥면(211)으로부터 연소 유도판(212) 하단 사이의 공간은 재 배출구(도 5의 213a)로 사용되고, 연소 유도판(212)의 상단으로부터 연소 촉진관(210) 사이의 공간은 고체 연료의 연소시 발생한 화염과 연소가스가 분출되는 분출구(213b)로 사용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분출구(213b) 측에는 열교환설비가 설치되어 있어서 분출구(213b)를 통해 분출된 화염과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직수를 가열함으로써 온수나 난방수를 공급한다. 물론, 온수나 난방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 이외에 소각장치나, 건조장치 혹은 증기발생장치와 같은 각종 열교환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연소 유도판(212)은 고체 연료가 완전 연소되어 재가되기 이전에 연소판(220)의 외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화염과 연소 공기의 일부가 각각 연소 유도판(212)에 부딧힌 후 다시 후방측으로 되돌아가는 반사판 역할을 하므로 연소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연소판(220)은 그 상면에 고체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의 연소판(220)은 고체 연료의 연소시에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재를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이동장치(230)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즉, 연소판(220) 위에 재가 쌓인 상태에서 연소판(2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고정된 밀판(240)이 재를 밀어내어 재가 연소 촉진관(210)의 바닥면(211)으로 떨어지므로 연소판(220)의 청소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를 위해 연소 촉진관(210)의 양측부에는 일 예로 이동 가이드 레일(미도시)과 같은 이동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연소판(220)은 그 양측부가 상기 이동 가이드 레일에 각각 맞물리도록 조립되어 전후방으로의 왕복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소판(220)의 전방 단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배출판(221)이 설치되어 있는데, 배출판(221)은 그 하단부가 연소 촉진관(210)의 바닥면(211)에 접하는 길이를 갖고, 연소판(220)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재 배출구(213a)를 막도록 재 배출구(213a)와 동일 혹은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
따라서, 연소판(2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밀판(240)에 의해 연소판(220)의 상면에 쌓인 재를 밀어내어 연소 촉진관(210)의 바닥면(211)으로 배출시키고, 연소판(220)을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면 연소 촉진관(210)의 바닥면(211)에 떨어진 재가 배출판(221)에 의해 밀리면서 재 배출구(213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진다.
이동장치(230)는 연소판(220)을 전후방으로 왕복운동시키는 것으로, 연소판(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어서 재를 배출시에는 연소판(2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반대로 고체 연료의 연소시에는 연소판(2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장치(230)로는 일 예로 실린더 로드(231a)를 갖는 유압 실린더(231)와, 실린더 로드(231a)의 인출측 단부에 연결된 연결 브라켓(232)과, 일단은 연결 브라켓(232)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 브라켓(233a)을 통해 연소판(220)에 연결된 이송 아암(233)으로 이루어진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실린더(231)는 제어부(미도시)에서 연소 정지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만 실린더 로드(231a)를 작동시켜 이상과 같이 연소판(220)이 전후방으로 왕복운동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자동으로 재를 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에 의한 유압 실린더(231)의 작동은 설정된 시간마다 혹은 연소 정지 신호가 입력된 횟수마다 혹은 센서를 통해 검출된 연소판(220) 위에 쌓인 재의 양에 따라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밀판(240)은 연소판(220) 위에 쌓인 재를 밀어내는 것으로, 연소판(220)의 후방측 상면에 접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장치(230)에 의해 연소판(2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고정된 밀판(240)이 연소판(220) 위에 쌓인 재를 긁어 연소판(220) 밖으로 밀어낸다.
또한, 밀판(240)은 스프링(243)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지지편(241)에 설치되어 연소판(220)의 상면을 탄성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안내판(26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편(242)과 지지편(241) 사이에 스프링(243)을 삽입하고, 밀판(240)을 지지편(241)에 고정시키면 당해 밀판(240)에 스프링(243)의 탄성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밀판(240)이 연소판(220)의 상면을 강하게 밀착하고 있는 상태를 항시 유지하게 되므로 연소판(220)이 후방으로 이동시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있는 밀판(240)에 의해 연소판(220) 위에 쌓인 재를 깨끗이 밀어낼 수 있게 한다.
또한, 밀판(240)은 연소판(220) 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밀판(240)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면 재를 더욱 잘 긁어 밀어냄은 물론, 밀판(240)의 상단측에 공급 안내판(260)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급 안내판(260)을 통해 낙하된 고체 연료가 밀판(240) 위에 떨어진 후 연소판(220) 위까지 이동하도록 안내하므로 연료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밀판(240)에는 도 1의 조립공(161)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점화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밀판(240)에 상기 점화공이 형성되어 있으면 점화장치(250)가 점화공을 통해 연소판(220) 위에 쌓인 고체 연료와 맞닿게(혹은, 근접하게) 되어 점화가 잘된다.
또한, 밀판(240)에는 점화공 이외에 도 1의 공기 공급공(162)과 같은 통공(미도시)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밀판(240)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면 송풍기(290) 및 와류실(280)을 통해 공급된 연소공기가 밀판(240)의 통공을 통해서도 연소판(220) 위의 고체 연료까지 공급되므로 연소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점화장치(250)는 연소판(22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정지시 연소판(220) 위에 공급된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것으로,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점화봉(251)과 전기공급선(252)으로 이루어진 전기식 점화장치가 사용될 수 있지만, 점화장치(250) 자체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그 외 다양한 타입의 점화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화장치(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밀판(240)을 통과하여 스파크나 불꽃을 전달함으로써 고체 연료를 연소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지지편(24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다.
공급 안내판(260)은 고체 연료가 연소판(220) 위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단 개구부에는 공급관(270)이 연결되고, 상기 상단 개구부의 하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의 배출측 단부는 밀판(240)의 상단부에 근접하도록 연장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저장 탱크에 보관되어 있는 고체 연료가 공급관(270)을 통해 공급되면, 공급 안내판(260)의 개구부를 통해 낙하된 고체 연료가 경사면을 따라 밀판(240)의 상면까지 이동되고, 밀판(240) 위에 떨어진 고체 연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소판(220)까지 공급된다.
공급관(270)은 외부에 비치된 저장 탱크로부터 고체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판(220)까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보통 금속 재질의 관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연성 호스가 사용된다.
이를 위해 공급관(270)의 일단은 저장 탱크의 연료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 안내판(260)의 상단 개구부에 연결된다.
와류실(280)은 유입된 연소공기를 와류시킨 후 정압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연소판(220) 위에 투입된 고체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후면에는 송풍기(290)가 연결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연소 촉진관(210)의 후단부가 연결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공기가 와류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송풍기(290)를 통해 강제 송풍된 연소용 공기가 와류실(280) 내부에서 와류(eddy)되고, 와류에 의해 정압을 유지하게 된 연소용 공기는 공기 배출구를 통해 자연 배출되므로, 상술한 밀판(240)의 통공과 함께 고체 연료에 정압의 연소용 공기를 공급한다.
송풍기(290)는 와류실(280) 내부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내부에 송풍팬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벤츄리관 및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송풍모터 등으로 구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와류실(280)의 후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에 연결된다.
이러한 송풍기(29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그 분당 회전수 등이 제어되는데, 제어부는 부하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보일러의 운전을 비례·적분·미분(PID: Proportional-Integral-Diffetential) 방식으로 제어하는 PID 제어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PID 제어부가 부하 또는 주변환경(특히, 온도)에 따라 송풍기(290)(120)의 동작 여부 및 회전속도 등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보일러의 용량(즉, 열원 발생량)을 정밀하게 조절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재 자동 배출식 건 타입 버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 타입의 연소 촉진관(210) 내에 설치된 연소판(220)에 고체 연료를 공급하고 점화장치(250)로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면, 고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한 화염(고온의 연소가스 포함)이 연소 촉진관(210)의 분출구(213b)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따라서, 연소 촉진관(210)의 분출구(213b) 측에 인접 설치된 열교환장치를 가열함에 따라 온수나 난방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다음, 도 4와 같이 고체 연료를 연소시켜 재가 쌓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장치(230)가 연소판(2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된 밀판(240)이 연소판(220) 위에 쌓인 재를 밀어내어 연소 촉진관(210)의 바닥면(211)으로 떨어뜨린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장치(230)가 연소판(220)을 다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연소판(22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배출판(221)이 연소 촉진관(210)의 바닥면(211)에 쌓인 재를 재 배출구(213a)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어 재를 버너 외부로 완전히 제거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청소용구를 장소가 협소하고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연소 촉진관(도 1의 130) 내부로 집어넣어 청소를 할 필요가 없게 함은 물론, 재를 청소하기 위해 공기 유도판(도 1의 141)이나 연소 유도판(도 1의 142 참조) 등을 분리할 필요가 없게 한다.
또한, 재 배출구(213a)의 하부에 서랍 형태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한 재받이를 설치하면, 본 발명의 건 타입 버너 밖으로 배출된 재를 청소도구로 쓸어낼 필요도 없이 재받이 만을 꺼내어 편리하게 비울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10: 연소 촉진관 211: 바닥면
212: 연소 유도판 213a: 재 배출구
213b: 분출구 220: 연소판
221: 배출판 230: 이동장치
240: 밀판 241: 지지편
242: 고정편 243: 스프링
250: 점화장치 260: 공급 안내판
270: 공급관 280: 와류실
290: 송풍기

Claims (9)

  1. 고체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건(gun) 타입 연소 촉진관(210)과;
    상기 연소 촉진관(210) 내에서 전후방으로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고체 연료가 투입되는 연소판(220)과;
    상기 연소판(220)의 일측에 연결되며, 재를 배출시에는 상기 연소판(2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고체 연료의 연소시에는 상기 연소판(2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230)와;
    상기 연소판(220)의 후방측 상면에 접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소판(220)이 후방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연소판(220) 위에 쌓인 재를 긁어 상기 연소판(220) 밖으로 밀어내는 밀판(240)(push plate); 및
    상기 연소판(22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정지시 상기 연소판(220) 위에 공급된 상기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250);를 포함하되,
    상기 밀판(240)은 스프링(243)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지지편(241)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판(220)의 상면을 탄성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촉진관(210)의 전방 하부에는 재 배출구(21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소판(220)의 전방 단부에는 하단부가 상기 연소 촉진관(210)의 바닥면(211)에 접하는 배출판(22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221)은 상기 연소판(220)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재 배출구(213a)를 밀폐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240)에는 점화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장치(250)는 상기 점화공을 통해 상기 연소판(220) 위에 투입된 고체 연료를 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240)은 상기 연소판(220) 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경사진 밀판(240)의 상단측에는 공급 안내판(26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연료에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29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판(240)에는 상기 송풍기(290)에서 공급된 연소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9. 제8항에 있어서,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연소공기를 와류시킨 후 공기 배출구를 통해 정압으로 배출시키는 와류실(28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송풍기(290)는 상기 와류실(280)의 공기 유입구 측에 연결되고, 상기 밀판(240)은 상기 와류실(280)의 공기 배출구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KR1020120047987A 2012-05-07 2012-05-07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KR10134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987A KR101346914B1 (ko) 2012-05-07 2012-05-07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987A KR101346914B1 (ko) 2012-05-07 2012-05-07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689A KR20130124689A (ko) 2013-11-15
KR101346914B1 true KR101346914B1 (ko) 2014-01-02

Family

ID=4985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987A KR101346914B1 (ko) 2012-05-07 2012-05-07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4509B (zh) * 2014-12-25 2017-04-05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自稳定燃烧低成本w火焰锅炉微油点火装置
CN109084295A (zh) * 2018-09-20 2018-12-25 云南名泽烟草机械有限公司 一种生物质燃料用的燃烧装置
CN109084474A (zh) * 2018-09-21 2018-12-25 安徽谷王烘干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排灰式稻壳热风炉
CN112013379B (zh) * 2020-08-27 2022-10-28 衡阳衡锅锅炉有限公司 自调式燃烧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111B1 (ko) 2009-03-02 2009-09-08 주식회사 상천 펠릿 보일러
KR20100032461A (ko) * 2008-09-18 2010-03-26 일도바이오테크주식회사 소형 고체연료연소기의 완전연소 및 연소재 제거장치
EP2187122A1 (en) 2008-11-18 2010-05-19 Alley Enterprises Limited A granular fuel-fired boiler brazier
KR101080552B1 (ko) * 2008-12-10 2011-11-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톱밥 펠렛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461A (ko) * 2008-09-18 2010-03-26 일도바이오테크주식회사 소형 고체연료연소기의 완전연소 및 연소재 제거장치
EP2187122A1 (en) 2008-11-18 2010-05-19 Alley Enterprises Limited A granular fuel-fired boiler brazier
KR101080552B1 (ko) * 2008-12-10 2011-11-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톱밥 펠렛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100916111B1 (ko) 2009-03-02 2009-09-08 주식회사 상천 펠릿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689A (ko)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914B1 (ko)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KR200448540Y1 (ko) 펠릿 난로
KR101184227B1 (ko) 친환경 고체연료를 이용한 송풍기
US11781749B2 (en) Furnace using biomass pellets as fuel
KR20130138619A (ko) 연소판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가지는 펠릿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101579258B1 (ko) 난방 펠릿난로
KR101080552B1 (ko) 톱밥 펠렛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100796434B1 (ko) 연료 저장식 보일러
RU182137U1 (ru) Котлоагрегат для сжигания твердого топлива в кипящем слое
KR101346870B1 (ko)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
KR102023110B1 (ko) 화목 펠릿 난로
KR20040042276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0438793Y1 (ko) 고체연료 난로
KR20140029688A (ko)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KR20150125288A (ko) 펠릿 겸용 수평식 화목 가스화 보일러
KR20150000221A (ko) 고형 연료를 사용하는 무동력 난로
KR20100006637U (ko) 다목적 하향식 화목연소장치
KR101428438B1 (ko) 과립고체 연료버너 및 그것을 이용한 보일러
CN205119137U (zh) 一种自动调温的智能化生物质炉
KR101691625B1 (ko) 펠렛 히터
KR102297258B1 (ko) 유해연소가스를 제거 가능한 펠릿 난로
CN202303472U (zh) 燃烧颗粒燃料的灶台式水暖锅炉
KR101382582B1 (ko)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KR200263468Y1 (ko) 코크스 보일러
KR20160107434A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연소장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