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468Y1 - 코크스 보일러 - Google Patents

코크스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468Y1
KR200263468Y1 KR2020010033926U KR20010033926U KR200263468Y1 KR 200263468 Y1 KR200263468 Y1 KR 200263468Y1 KR 2020010033926 U KR2020010033926 U KR 2020010033926U KR 20010033926 U KR20010033926 U KR 20010033926U KR 200263468 Y1 KR200263468 Y1 KR 200263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ke
combustion
fuel
coke fuel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욱 filed Critical 정재욱
Priority to KR2020010033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468Y1/ko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료비용이 저렴한 코크스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보일러에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코크스 연료를 점화하고 소화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한편, 적정량의 코크스 연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연소실(2)을 구성하는 연소대(6)는 코크스 연료의 무게에 의해서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봉(7)을 구비하여 지지판(8)에 스프링(9)과 함께 설치하였으며, 연소대(6)의 하부에 로스트(10)를 구성하여 로스트구동모터(11)와 연결하며, 연소대(6)에 형성된 지지봉(7)에는 작동편(12)을 구비하여 스위치(13)의 상,하단자(14)(14')사이에 위치시키며, 스위치(13)는 홉퍼(5)의 스크류(15)를 구동시키는 모터(16)와 연결하며, 코크스 연료의 점화와 원활한 연소를 위하여 버너(17)와 송풍기(18)설치하고 또 송풍기(18)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코크스 연료를 연소시키는데 정확하게 공급되도록 공기안내편(19)을 경사지게 설치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코크스 보일러는 코크스 연료에 점화하여 연소를 시작하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서서히 소화되고 다시 점화 및 연소를 반복하며, 또 코크스 연료를 연소대에 설정된 만큼 공급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리적인 온도관리와 연료공급체계로 경제적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크스 보일러{A coking boiler}
본 고안은 연료비용이 저렴한 코크스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보일러에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코크스 연료를 점화하고 소화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한편, 적정량의 코크스 연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연료는 고체 입상물로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면서 발열량이 높고, 연소될 때 유해가스 및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으며, 연소후에 남는 재의 량도 적기 때문에 경제적, 환경 및 관리적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연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코크스 연료를 보일러에 사용하게 되면 연탄에 비하여 연소시간이 짧기 때문에 수시로 코크스 연료를 공급해야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 상기와 같은 코크스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의 불편점 해결하기 위한 자동코크스 보일러가 개발된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보일러는 홉퍼와 연결된 스크류가 회전하여 연소실의 하부에서 상부로 코크스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크스 연료를 공급하는데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고 편리함을 제공할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공급 시스템은 보일러에 설정된 온도가 내려가면 코크스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면, 결과적으로 연소대에 있는 코크스 연료의 량은 많으나 연소상태가 불량하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지 않을 때에도 코크스 연료는 계속 공급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코크스 연료를 수시로 점화시키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코크스 연료를 연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코크스 연료가 연소상태를 유지하여 불씨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온도를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코크스 연료를 점화하여 연소시키는 과정과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코크스 연료가 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게 버너와 송풍장치를 구비하며, 또 연소대에 공급된 코크스 연료의 량을 설정된 만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좀 더 합리적으로 온도와 코크스 연료를 관리함으로써 코크스 보일러를 사용할 때 경제적이면서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코크스 연료가 공급되는 상태도
도 3은 코크스 연료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연소실
3: 온수배관 4: 열교환실
5: 홉퍼 6: 연소대
7: 지지봉 8: 지지판
9: 스프링 10: 로스트
11: 로스트구동모터 12: 작동편
13: 스위치 14:14': 상,하단자
15: 스크류 16: 모터
17: 버너 18: 송풍기
19: 공기안내편 20: 온도센서
본 고안의 코크스 보일러에 관한 바람직한 구성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를 구성하는 연소실(2)의 상부에 온수배관(3)을 구비한 열교환실(4)과 본체(1)의 일측에 홉퍼(5)를 구비한 코크스 보일러에 있어서,
열교환실(4)에 온도센서(20)를 설치하여 콘트롤러(21)와 연결하고 또 버너(17)와 송풍기(18)를 콘트롤러(21)에 연결하여 온도센서(20)가 콘트롤러(21)를 통해 버너(17)에 신호를 보내 버너를 발화시켜 코크스 연료에 점화할 수 있게 구성하고 점화된 후에는 송풍기(18)가 가동되고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송풍기(18)가 스톱되도록 구성하며, 연소실(2)을 구성하는 연소대(6)는 코크스 연료의 무게에 의해서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봉(7)을 구비하여 지지판(8)에 스프링(9)과 함께 설치하였으며, 연소대(6)의 하부에 로스트(10)를 구성시켜 로스트구동모터(11)에 의해서 작동되게 하였다.
상기의 연소대(6)에 형성된 지지봉(7)에는 작동편(12)을 구비하여 스위치(13)의 상,하단자(14)(14') 사이에 위치시키며, 스위치(13)는 홉퍼(5)의 스크류(15)를 구동시키는 모터(16)와 연결하였다.
그리고, 코크스 연료의 점화와 원활한 연소를 위하여 버너(17)와 송풍기(18)설치하고 또 송풍기(18)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코크스 연료를 연소시키는데 정확하게 공급되도록 공기안내편(19)을 경사지게 설치하였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30은 코크스 연료, 31은 스프링 받침구, 32는 재받이 통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코크스 보일러에 관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크스 보일러의 최초 상태는 연소대(6)에 비축된 코크스 연료가 없기 때문에 스프링(9)의 탄성에 의해서 연소대(6) 및 지지봉(7)이 상승된 상태에 있고 스위치(13)를 구성하는 작동편(12)이 상측단자(14)에 접지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코크스 보일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홉퍼(5)에 코크스 연료(30)를 넣어두고 메인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면, 모터(16)에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스크류(15)가 회전하여 코크스 연료(30)가 연소대(6)에 공급되는 것이며, 코크스 연료(30)가 연소대(6)에 공급되면 코크스 연료의 무게에 의해서 스프링(9)이 압축되면서 연소대(2) 및 지지봉(7)이 하강한다.
그러면 작동편(12)이 하단자(14')에 접지되면서 모터(16)와 스크류(15)를 스톱시켜 코크스 연료(30)의 공급을 중단시킨다.
상기와 같이 코크스 연료의 공급과정이 끝나면 최초 버너(17)가 약 2내지 3분간 작동하여 연소대(6)에 있는 코크스 연료를 점화시키고, 이어서 송풍기(18)가 작동하여 코크스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온도가 상승하여 온도센서(20)에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콘트롤러(21)에 신호를 보내 송풍기(18)를 정지시킨다.
그러면 코크스 연료는 자동적으로 약 6분이 경과한 후에 스스로 소화가 되는 것이며 소화된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온도가 서서히 내려가 온도센서(20)에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온도가 떨어지면 공지의 시스템에 의해서 로스트구동모터(11)가 먼저 작동하여 로스트(10)를 흔들어 연소된 재를 낙하시킨다음, 버너(17)가 약 2내지 3분간 작동하여 연소대(6)에 소화되었던 코크스 연료(30)를 다시 점화시키고, 이어서 송풍기(18)가 작동하여 코크스 연료를 연소시키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송풍기(18)가 정지하는 작용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의 연소과정에서 로스트구동모터(11)는 콘트롤러(21)에 공지의 시스템에 의해서 약 5분간격으로 작동하여 로스트(10)를 흔들어 연소된 재를 낙하시킨다.
그리고, 코크스 연료의 연소과정으로 연소대(6)에 공급된 코크스 연료가 어느정도 적어지면 연소대(6)가 가벼워 지기 때문에 스프링(9)의 탄성에 의해서 연소대가 서서히 상승하게 되므로 스위치(13)를 구성하는 작동편(12)이 상측단자(14)에 접지하게 된다.
그러면, 모터(16)에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스크류(15)가 회전하여 코크스 연료(30)가 연소대(6)에 공급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과정으로 코크스 연료(30)가 연소대(6)에 공급되면 코크스 연료의 무게에 의해서 스프링(9)이 압축되면서 연소대(2) 및 지지봉(7)이 하강하는 것을 반복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보일러의 용량을 기준으로 볼때 연소대(6)에는 약 2내지 3킬로그램이 코크스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보일러의 용량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코크스 보일러는 코크스 연료에 점화하고 연소를 시작하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송풍을 중지시켜 코크스 연료를 서서히 소화시키며, 온도가 떨어지면 다시 점화하는 것을 반복하고, 또 코크스 연료를 연소대에 공급할 때 설정된 만큼만 공급/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리적인 온도관리와 연료공급체계로 경제적이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1)를 구성하는 연소실(2)의 상부에 온수배관(3)을 구비한 열교환실(4)과 본체(1)의 일측에 홉퍼(5)를 구비한 코크스 보일러에 있어서,
    연소대(6)의 지지봉(7)을 지지판(8)에 설치하고, 지지봉(7)에 스프링(9)설치하여 스프링(9)의 탄성으로 연소대(6)가 복귀되도록 구성하며,
    지지봉(7)에 작동편(12)을 구비하여 스위치(13)의 상,하단자(14)(14') 사이에 위치시키고, 스위치(13)는 홉퍼(5)의 스크류(15)를 구동시키는 모터(16)와 연결하며,
    송풍기(18)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코크스 연료를 연소시키는데 정확하게 공급되도록 로스트 인근 지지판(8)에 공기안내편(19)을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열교환실(4)에 온도센서(20)를 설치하여 콘트롤러(21)와 연결하고 또 버너(17)와 송풍기(18)를 콘트롤러(21)에 연결하여 온도센서(20)가 콘트롤러(21)를 통해 버너(17)와 송풍기(18)를 가동하고 스톱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보일러.
KR2020010033926U 2001-11-06 2001-11-06 코크스 보일러 KR200263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926U KR200263468Y1 (ko) 2001-11-06 2001-11-06 코크스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926U KR200263468Y1 (ko) 2001-11-06 2001-11-06 코크스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468Y1 true KR200263468Y1 (ko) 2002-02-04

Family

ID=7311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926U KR200263468Y1 (ko) 2001-11-06 2001-11-06 코크스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4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711A (ko) * 2002-01-11 2003-07-16 정재욱 코크스 보일러의 연료 자동공급방법
KR101017898B1 (ko) * 2008-05-27 2011-03-04 조웅제 전자동 석탄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711A (ko) * 2002-01-11 2003-07-16 정재욱 코크스 보일러의 연료 자동공급방법
KR101017898B1 (ko) * 2008-05-27 2011-03-04 조웅제 전자동 석탄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2765A (en) Pellet fuel burner
US4989521A (en) Gravity fed pellet burner
JP4588628B2 (ja) バイオマス燃料給湯器
CN104081127A (zh) 一种篝火炉
KR200263468Y1 (ko) 코크스 보일러
KR101346914B1 (ko) 재 자동 배출 건 타입 버너
CN107702087A (zh) 一种燃烧生物质颗粒燃料的燃烧器
KR20120039369A (ko) 목재 팰릿 난로
CN1082164A (zh) 流化床煤粉预燃加热燃烧器
GB2446954A (en) A Burner Assembly
JP4768465B2 (ja) バイオマス燃料の着火方法
KR100796434B1 (ko) 연료 저장식 보일러
JP3437951B2 (ja) 乾留ガス化燃焼装置の燃焼制御システム
KR101346870B1 (ko)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
JP5335062B2 (ja) 燃焼装置
CN100526719C (zh) 流化床锅炉热料点火方式
CN205447826U (zh) 一种清洁燃煤炉具自动引燃除烟装置
KR200292810Y1 (ko) 코크스 보일러
CN210035469U (zh) 一种生物质燃烧机
JP6989876B2 (ja) 粉体燃料燃焼装置及び燃焼方法
JP5611424B2 (ja) 燃焼装置
JP2580964Y2 (ja) 薪燃焼兼用流体燃料燃焼装置
KR200273910Y1 (ko) 기름겸용 코크스 보일러
KR200291896Y1 (ko) 코크스 보일러의 소화장치
KR200283300Y1 (ko) 코크스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