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707B1 - 연속식 acf 본딩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acf 본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707B1
KR101443707B1 KR1020130084892A KR20130084892A KR101443707B1 KR 101443707 B1 KR101443707 B1 KR 101443707B1 KR 1020130084892 A KR1020130084892 A KR 1020130084892A KR 20130084892 A KR20130084892 A KR 20130084892A KR 101443707 B1 KR101443707 B1 KR 101443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f
bonding
unit
mounting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상
김상기
문현성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Priority to KR102013008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ire Bond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ACF 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CF를 본딩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존에 본딩공정 중 ACF를 교체하기 위해 공정을 중단해야 하는 것과는 달리, 복수개의 ACF 공급부를 설치하여, 복수개 중 하나의 ACF 공급부의 공급이 완료되면, 연속적으로 남아있는 ACF 공급부가 사용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ACF 교체에 의한 작업중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ACF 공급부는 폭방향으로 본딩수단(40)에 손쉽게 장착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장비규모의 축소 및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효율이 상승되는 연속식 ACF 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식 ACF 본딩장치{CONTINUOUS ACF BONDING APPARATUS}
본 본 발명은 본딩공정에서 공급되는 ACF의 교체를 위한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ACF 본딩작업이 가능한 연속식 ACF 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방전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이하에서는 ACF라 함)은 미립자형태의 도전입자(금속입자, 카본, 금속이 피복된 피복플라스틱입자)와 접착제(열가소계 또는 열경화계) 그리고 첨가제(분산제) 등을 혼합하여 박막의 필름형태로 도전접착층을 형성한다. 상기 ACF는 접속신뢰성, 미세접속성, 저온접속성 등이 매우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과 TCP(Tape Carrier Package) 등의 전기적 접속에 널리 사용될 뿐만 아니라 근래에 들어서는 Bare Chip을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또는 유리기판에 직접 실장하는 실장재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대게 상기 ACF는 본딩(Bonding)되어지는 ACF층 및 상기 ACF 층을 보호하는 ACF 보호필름층으로 이루어진 ACF 테이프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ACF층dl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일정 길이만큼 본딩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ACF는 별도로 권취되어 제공되는 ACF 공급부(또는 롤) 등을 통해 본딩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ACF는 소모성이므로, 본딩작업에 따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이렇듯, 본딩작업에 모두 사용된 ACF 공급롤은 사용자에 의해 교체되어야 하기에, 이러한 교체작업시에 본딩작업은 일시 중단될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본딩장치의 가동률 및 본딩공정을 포함하는 공정 전체의 가동률 및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ACF 공급롤을 대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교체주기가 길어질 뿐 교체작업은 반드시 이루어져만 했고, 교체장착되는 ACF 공급롤의 장착형태도 본딩장치의 전면에 ACF 공급롤의 일면 전체가 밀착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넓은 장착공간에 의해 본딩장치 전체의 규모가 커짐은 물론, 사용되어지고 남는 ACF의 보호필름의 회수 등을 위한 부가구성들 또한 상호간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하는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이 손쉽고 용이하며 본딩장치 전체 규모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ACF 공급부를 구비하되, 상기 ACF 공급부가 복수개 사전설치되어, 복수개 중 하나가 본딩공정에 사용완료되면, 나머지 ACF 공급부가 이송체에 의해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ACF의 교체작업을 위해 본딩작업을 중단하지 않아 연속적인 작업공정이 가능해지는 연속식 ACF 본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ACF(이방성 도전 필름,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본딩 대상패널(P)이 고정위치되는 지지대(10); ACF본딩 대상패널(P)에 본딩하기 위한 ACF(A)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ACF 공급부(20);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서, ACF본딩 대상패널(P)에 ACF(A)가 대응되며 상부에 이격배치될 수 있도록, ACF(A)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체(30); 상기 ACF(A)를 ACF본딩 대상패널(P)에 가압하여 본딩하는 본딩수단(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딩작업도중 공급되는 ACF의 교체를 위해, 작업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어, 연속적인 본딩공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공정전체의 중단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에 복수개의 ACF 공급부가 설치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ACF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CF 공급부의 장착이 손쉽고 용이하며, 폭방향으로 장착됨으로 인해, 장비규모의 소형화에도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ACF 본딩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CF 공급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 및 장착부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ACF 공급부가 거치대의 장착부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결합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CF의 이송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개념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ACF(이방성 도전 필름,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본딩 대상패널(P)이 고정위치되는 지지대(10); ACF본딩 대상패널(P)에 본딩하기 위한 ACF(A)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ACF 공급부(20);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서, ACF본딩 대상패널(P)에 ACF(A)가 대응되며 상부에 이격배치될 수 있도록, ACF(A)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체(30); 상기 ACF(A)를 ACF본딩 대상패널(P)에 가압하여 본딩하는 본딩수단(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CF 공급부(20)는 거치대(100)의 정면에 폭방향으로 끼워져 장착되는 ACF 권취롤(21); 상기 ACF 권취롤(21)을 회전시키기 위해, 거치대(100)에 설치되는 회전수단(22); 상기 ACF 권취롤(21)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토록 ACF롤의 하단에 연장설치되는 장착가이드(25); 상기 장착가이드(25)의 하단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ACF 권취롤(21)의 ACF(A)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는 ACF 돌출부(2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가이드(25)의 일단에 돌출형성되어, 거치대(100)의 거치홈(12)에 대응체결되어 ACF 공급부(20)가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돌기(28); 상기 회전수단(22)에 설치되어, 공급되어 지는 ACF(A)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24); 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체(30)는 상, 하, 좌, 우로 이동가능하게 거치대(10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위치한 ACF 공급부(20)에서 제공되는 ACF(A)를 타측으로 잡아당겨, 지지대(10)의 상면에 ACF(A)가 국부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집게부(31); 상기 제 1집게부(31)에 의해 잡아당겨진 ACF(A)가 물려 고정되되, 상기 제 1집게부(31)가 ACF(A)를 끌어당길동안 ACF(A)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제 2집게부(32); 상기 지지대(10)의 전단에 설치되어, 최초로 제공되는 ACF(A)에서 본딩가능시작점 및 본딩간격을 파악하여, 제 1집게부(31)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부(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CF본딩 대상패널(P)의 상면에 올려지는 ACF(A)와 본딩수단(4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본딩수단(40)을 통해 ACF(A)를 ACF본딩 대상패널(P)에 본딩할 시, 본딩수단(40)이 직접 ACF(A)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필름부(50); 본딩에 사용되어진 ACF(A)를 흡입하도록, 상기 본딩수단(40)의 후단에 설치되는 흡입장치(34);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CF 공급부(20)는 복수개가 거치대(100)에 사전장착되어, 이송체(30)가 복수개 중 하나의 ACF 공급부(20)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겨 본딩에 사용한 후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체(30)가 남아있는 나머지 ACF 공급부(20)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겨 연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ACF 공급부(20)의 교체를 위한 본딩공정이 중단되지 않도록 연속적인 ACF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CF 공급부(20)는 복수개가 거치대(100)에 사전장착되되, 장착되는 거치대(100)에 상호간 높이차를 두고 장착되거나 또는 길이가 상이토록 하여, 상기 이송체(30)가 복수개 ACF 공급부(20)의 이송 및 위치식별이 용이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잉여 배열 활용장치 및 이의 활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ACF 본딩장치는 지지대(10), ACF 공급부(20), 이송체(30), 본딩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는 거치대(100)의 정면에 지면과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거치대(100)는 전술된 지지대(10) 및 후술될 ACF 공급부(20), 이송체(30), 본딩수단(40) 등 본딩공정을 위한 모든 장치들이 설치되는 곳이다.
이러한 지지대(10)의 상면에는 ACF(A)를 본딩(Bonding)하고자 하는 대상물, 즉 ACF(이방성 도전 필름, Anisotropic Conductive Film)본딩 대상패널(ex: FPC(FLEXIBLE PRINTED CIRCUIT)(P) 등,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패널이 사용가능함은 당연하다.)이 위치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ACF 공급부(20)는 전술된 거치대(100)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대(10)에 올려져 있는 ACF본딩 대상패널(P)의 상면에 본딩되기 위한 ACF(A)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물론, 공급되는 ACF(A)는 본딩되는 ACF부(A1)와, ACF부(A1)를 보호하기 위해 ACF부(A1) 일면에 형성되는 ACF 보호필름(A2)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ACF본딩 대상패널(P)의 상면과 대응되는 면에 ACF부(A1)가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ACF 공급부(20)의 장착되어지는 거치대(100)의 장착부위(11)(상기 장착부위(11)는 거치대(100)의 정면 상단측에 단일 또는 복수개의 거치홈(12)이 파여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거치홈(12)의 후면(거치대(100)의 후면)에 회전수단(22)이 형성되어 있어, ACF 공급부(20)는 장착부위(11)에 장착되면서 후단에 위치한 회전수단(22)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에, ACF 공급부(20)의 회전을 위한 회전수단(22)이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데, 상기 회전수단(22)은 구동모터(ex: 인덕션 모터, 23)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회전수단(22)에는 텐션조절수단(Tension control unit, 24)이 연결설치되어 있도록 하여, ACF 공급부(20)가 거치대(100)의 회전수단(22) 부위에 대응장착되면, 상기 회전수단(22)에 의해 ACF 공급부(20)의 ACF 권취롤(21)이 회전하면, ACF 권취롤(21)에 권취되어 있던 ACF(A)가 풀리며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후술될 이송체(30)에 의해 ACF(A)가 잡아당겨져 이송될 때, 이러한 ACF 공급부(20)에서 풀어지는 ACF(A)의 장력을 사전설정된 범위의 장력범위로 조절하여 ACF(A)가 느슨하거나 늘어나지 않도록, 팽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장력범위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의해 다양하게 조절되어질 수 있음이다.
더불어, 상기 회전수단(22)이 설치되어 있는 거치대(100)의 장착부위(11)에는 ACF 공급부(20)를 위한 거치홈(12)이 파여져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데, 이는 후술될 거치돌기(28)를 설명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거치부의 회전수단(22)의 장착부위(11)에 대응설치되는 ACF 공급부(20)는 ACF 권취롤(21), 장착가이드(25), ACF 돌출부(27)를 포함한다.
상기 ACF 권취롤(21)은 본딩에 사용될 ACF(A)가 권취되어 있는 원판형태의 디스크를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장착가이드(25)는 전술된 ACF 권취롤(21)의 하단에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ACF 공급부(20)를 집어 거치대(100)의 회전수단(22)이 설치되어 있는 장착부위(11)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후면을 향해 손잡이(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착가이드(25)의 저면에는 저면을 향해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쐐기 형상으로 돌출되는 거치돌기(28)가 돌출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ACF 공급부(20)가 거치대(100)의 장착부위(11)에 장착될 시, 상기 거치대(100)의 장착부위(11)에 형성되어 있는 거치홈(12)에 전술된 거치돌기(28)가 대응되며 끼워져 삽입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상기 ACF 권취롤(21)은 거치대(100)의 정면에서 봤을시, ACF 권취롤(21)의 테두리만 보일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상기 장착부위(11)에 장착하여 끼움으로써, 거치대(100)의 정면에 봤을시, ACF 권취롤(21)의 일면이 다 보이는 형태로 끼워결합되는 것이 아니기에, 거치대(100)에 장착되어지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 사용자는 손잡이(26)를 잡고 ACF 공급부(20)를 세운 후 정면에서 봤을 시, 폭만 보이도록 장착부위(11)에 끼워넣어, ACF 공급부(20)의 일면에 형성된 회전기어(G1)가 회전수단(22)의 회전기어(G2)와 대응되어 맞물려 회전하면서, 회전수단(22)의 회전에 의해 ACF 공급부(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회전수단(22)의 회전력을 ACF 공급부(20)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라면,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상기 ACF 공급부(20)와 이러한 ACF 공급부(20)가 장착되는 회전수단(22)의 장착부위(11)는 헬리컬 기어 등 다양한 기어박스(B)구조가 사용될 수 있음이다.
또한, 상기 ACF 돌출부(27)는 전술된 장착가이드(25)의 하단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절곡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ACF 권취롤(21)에서 풀린 ACF(A)가 장착가이드(25)를 거쳐 ACF 돌출부(27)에 일단이 물려짐으로써, 상기 ACF 돌출부(27)에 ACF(A) 일단이 지지대(10)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후술될 이송체(30)의 제 1집게부(31)가 ACF 돌출부(27)에 일정길이 돌출되어 있는 ACF(A)를 집은 후 거지지대(10)를 향해 잡아당겨 사용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ACF 권취롤(21)에서 하단방향으로 풀리는 ACF(A)가 제 1집게부(31)에 잡혀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ACF(A)를 ACF 돌출부(27)를 통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절곡시켜, 지지대(10)를 향해 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이러한 ACF 공급부(20)가 복수개 설치되도록 하는데, 복수개의 ACF 공급부(20)는 상호간 대향되어 수평을 이루는 형태가 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전술된 거치대(100)의 장착부위(11)에도 거치홈(12), 회전수단(22), 텐션조절수단(24) 등 또한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며,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회전수단(22)과 텐션조절수단(24) 및 ACF 권취롤(21)의 회전기어(G1)와 대응되어 맞물리는 회전수단(22)의 회전기어(G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에, 사용자의 복수개의 ACF 공급부(20)를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ACF 권취롤(21) 중 하나가 사용완료 후, 본딩공정을 중단하고 사용완료된 ACF 권취롤(21)을 교체하지 않아도, 후술될 이송체(30)가 사용안한 나머지 ACF 권취롤(21)에서 제공되는 ACF(A)를 잡아당겨 사용함으로써, 연속적인 ACF(A) 공급 및 본딩공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렇듯, 사용자는 나머지 ACF 권취롤(21)이 사용되는 동안, 첫번째로 사용된 ACF 권취롤(21)을 교체하며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ACF 공급부(20)가 상호간 대향되어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 최하단에 위치되는 ACF 돌출부(27)의 위치가 서로 달라지도록, 복수개 중 하나의 ACF 돌출부(27)위치가 나머지 하나보다 높거나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개의 ACF 공급부(20)의 전체 길이는 상호간 길이가 다르도록 사전제작되거나, 또는 장착시, 상호간 위치가 달라지도록 장착되도록 한다. 이로써, 첫번째 사용되는 ACF 공급부(20)보다 두번째 사용되는 ACF 공급부(20)의 위치가 높다고 가정할시, 상기 이송체(30)(더욱 자세히는 제 1집게부(31))를 통해 ACF(A)를 잡아당겨 사용할 때, 이송체(30)는 복수개 중 첫번째 ACF 공급부(20)의 ACF(A)를 잡아당겨 사용한 후, 이러한 첫번째 ACF 공급부(20)의 ACF(A)가 모두 사용완료되면, 사전에 설정했던 두번째 ACF 공급부(20)의 위치로 제 1집게부(31)가 상승한 후, 두번째 ACF 공급부(20)의 ACF 돌출부(27)측 ACF(A)를 잡아당겨 사용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체(30)는 전술된 ACF 공급부(20)의 최하단에 위치된 ACF 돌출부(27)에서 지지대(10)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ACF(A)를, 지지대(10)의 일측에 위치한 ACF 돌출부(27)에서 지지대(10)의 상면을 지나 지지대(10)의 타측을 향해 잡아 당기는 작동을 하는 것으로, 상기 ACF 공급부(20)에서 돌출된 ACF(A)를 사용하기 위해 잡아당겨, 지지대(10)의 상면에 이격되는 형태로 배치시킴과 동시에, 사용완료된 ACF(A)를 외부로 흡입배출할 수 있도록 지지대(10)의 타측까지 잡아당겨 놓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체(30)는 거치대(100)에서 좌, 우 및 상, 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집게부(31)와, 상기 거치대(100)에 고정설치되는 제 2집게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집게부(31)는 거치대(100)의 개구된 중단부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좌, 우 방향과 더불어, 상, 하로 유동되는 것으로, 최초, 지지대(10) 상면에 올려져 있는 ACF본딩 대상패널(P)의 상면으로, 지지대(10)의 일측에 수평으로 돌출되어 있는 ACF 돌출부(27)의 ACF(A)를 향해 좌측방향으로 이동후, 상기 ACF(A)를 잡아 우측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제 2집게부(32)가 있는 곳까지 움직이게 된다.
즉, 상기 제 1집게부(31)는 ACF 돌출부(27)로 좌측이동해서 ACF(A)를 잡은 후, 본래위치를 향해 다시 우측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집게부(31)가 잡아당긴 ACF(A)는 지지대(10)의 ACF본딩 대상패널(P) 상면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형태가 된다. 이후, 지지대(10)의 우측까지 이동된 제 1집게부(31)의 ACF(A) 단부를, 거치대(100)에 고정되어 있는 제 2집게부(32)가 집도록 한 후, ACF(A)를 집어 당겼던 제 1집게부(31)는 지지대(10)와 제 2집게부(32) 사이에서 일정길이씩 제 2집게부(32)쪽으로 ACF(A)를 집어당기고, 이에, ACF(A)가 일정길이 밀려 제 2집게부(32)측으로 오게되면, 제 2집게부(32)는 잡고 있던 ACF(A)에서 탈거되어, 밀린 ACF(A)가 제 2집게부(32)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한 후 ACF(A)를 다시 집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사용되는 ACF(A)는 본딩되는 ACF부(A1)와 ACF 보호필름(A2)의 이중층으로 되어 있고, ACF 권취롤(21)에 권취되어 있는 ACF(A)는 단부가 일정길이 사용못하는 ACF 보호필름(A2)만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본딩가능시작점(ACF(A)에서 ACF부(A1)가 형성되어 있는 지점)이 될때까지 상기 제 1, 2집게부(31, 32)가 ACF(A)를 지지대(10)의 타측으로 잡아당겨 이동시키는 것이다. 물론, 본딩가능시작점을 확인 이후, ACF(A)를 본딩간격만큼 잡아당겨 ACF본딩 대상패널(P) 상면에 위치시키는 것 또한 이러한 제 1, 2집게부(31, 32)로 이루어진 이송체(30)의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이송체(30)의 움직임을 위해, 상기 ACF 돌출부(27)와 지지대(10) 사이에는, 이송되는 ACF(A)의 저면을 바라보는 센서부(33)가 거치대(100)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여, 제 1집게부(31)를 통해 ACF(A)를 일방향으로 잡아 당기거나 이송시, 사용을 최초로 시작한 ACF(A)에서 ACF부(A1)가 형성되어 본딩이 가능한 시작점이 어디인지(본딩가능시작점)의 위치를 사전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부(33)는 광센서 등으로 투과율을 통해 ACF부(A1)의 형성유무를 확인하는 방법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음이다.
또한, 이러한 센서부(33)의 감지신호는 거치대(100)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60)를 통해, 센서부(33)가 ACF부(A1)가 형성되어 있는 ACF(A) 부분을 감지한 이후, 제 1집게부(31)를 통해 얼마만큼의 속도와 거리만큼 ACF(A)를 잡아당겨 이동시킴으로써, ACF부(A1)의 사용이 가능한 본딩가능부분을 ACF본딩 대상패널(P) 상면에 대응시켜 위치시키는지 등이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사전에 센서부(33)와 지지대(10) 사이의 거리 및 이송속도 등은 사전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딩되는 지지대(10) 상면의 본딩간격(ACF본딩 대상패널(P)의 본딩에 사용되는 길이) 등도 ACF본딩 대상패널(P)의 크기에 따라 사전설정 및 제어부(60)에 입력되어, 상기 센서부(33)의 감지 및 이러한 센서부(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60)를 통해 제 1, 2집게부(31, 32)의 이송체(30)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딩수단(40)은 전술된 거치대(100)의 정면에 상, 하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대응되어 상, 하로 유동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되어 있다가,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 ACF본딩 대상패널(P)이 고정되고, 전술된 이송체(30)의 제 1집게부(31)가 ACF 공급부(20)에서 ACF(A)를 잡아당겨 ACF본딩 대상패널(P)의 상면에 ACF(A)가 위치되도록 한 후, 제 1집게부(31)가 제 2집게부(32)와 함께 ACF(A) 내에서 ACF(A) 본딩을 시작할 수 있는 부위가 ACF본딩 대상패널(P) 상면까지 대응되어 위치될때까지 잡아당기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본딩수단(40)이 하강하면서 ACF(A)를 ACF본딩 대상패널(P) 상면에 압착하여 본딩작업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본딩수단(40)은 가열 또는 가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
이후, 상기 본딩수단(40)을 통해 ACF본딩 대상패널(P)에 본딩이 완료되면, 본딩수단(40)은 상승하며 원상태로 위치되고, 상기 지지대(10)에서 본딩이 완료된 ACF본딩 대상패널(P)은 다른 공정을 위해 이동되고, 또 다른 ACF본딩 대상패널(P)이 지지대(10)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체(30)의 제 1집게부(31)는 새로운 ACF본딩 대상패널(P)에 사용될 ACF(A) 부분을 ACF본딩 대상패널(P) 상면에 이격시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제 2집게부(32)가 ACF(A)를 잡고 있는 사이, 제 1집게부(31)가 제 2집게부(32)를 향해, 본딩이 완료되어 ACF 보호필름(A2)만이 남은 사용된 ACF(A) 길이만큼 끌어당기게 되고, 이후, 제 1집게부(31)가 ACF(A)를 끌어당겨 집고 있는 상태에서 제 2집게부(32) 근처에 위치에 멈추면 제 2집게부(32)는 잡고 있던 ACF(A)를 놓아버려, ACF(A)가 제 2집게부(32) 우측으로 제 1집게부(31)가 끌고온 만큼의 길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일정길이만큼 ACF(A)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 2집게부(32)는 다시 ACF(A)를 잡아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의 작업을 본딩작업이 완료될때마다 상기 제 1, 2집게부(31, 32)가 반복하면서, ACF(A)에서 ACF부(A1)가 사용된 ACF 보호필름(A2)은 제 2집게부(32) 우측(제 2집게부(32) 후단)으로 이동시켜 배출하면서, 사용되지 않은 ACF부(A1) 부분이 본딩해야할 새로운 ACF본딩 대상패널(P)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제 2집게부(32) 우측(제 2집게부(32) 후단)부위에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34)를 설치하여, 상기 제 1집게부(31)가 집어 제 2집게부(32)측으로 이송시켜 놓은 길이만큼의 ACF(전단에 있는 지지대(10)에서 이미 ACF부(A1)가 사용된 ACF 보호필름(A2) 부분)를, ACF(A)를 고정하고 있던 제 2집게부(32)의 고정이 풀리면서(제 1집게부(31)는 제 2집게부(32) 측으로 일정길이 ACF(A)를 이송시킨 후, 상기 흡입장치(34)를 통해 소정길이 빨려 들어가, 제 2집게부(32) 근처에서 사용완료된 ACF 보호필름(A2) 부분이 뭉쳐있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100)의 정면에는 보조필름부(50)가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보조필름부(50)는 보조필름(F)을 본딩수단(40)과 ACF(A)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본딩수단(40)이 하강하면서 ACF(A)를 ACF본딩 대상패널(P)에 가압하여 본딩할 시, 상기 본딩수단(40)이 ACF(A)에 직접 닿지 않고, 보조필름(F)에 먼저 닿으면서 본딩작업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보호필름은, 본딩수단(40)을 통한 ACF(A)의 손상 및 변형 등을 방지하면서, 확실한 본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보조필름부(50)의 보조필름(F)은 다수의 롤(보조필름(F)이 권취되어 있는 공급롤(51) 및, 사용된 보조필름(F)이 회수되는 회수롤(52))등이 사용되어, 상기 본딩수단(40)이 사용될 때마다 새로운 보조필름(F) 부위가 본딩수단(40) 하단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지지대 11: 장착부위
12: 거치홈 20: ACF 공급부
21: ACF 권취롤 22: 회전수단
23: 구동모터 24: 텐션조절수단
25: 장착가이드 26: 손잡이
27: ACF 돌출부 28: 거치돌기
30: 이송체 31: 제 1집게부
32: 제 2집게부 33: 센서부
34: 흡입장치 40: 본딩수단
50: 보조 필름부 51: 공급롤
52: 회수롤 60: 제어부
100: 거치대
A: ACF A1: ACF부
A2: ACF 보조필름 B: 기어박스
G1, G2: 회전기어 F: 보조필름
P: ACF본딩 대상패널

Claims (7)

  1.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A)본딩 대상패널(P)이 고정위치되는 지지대(10);
    ACF본딩 대상패널(P)에 본딩하기 위한 ACF(A)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ACF 공급부(20);
    상기 지지대(10)의 상면에서, ACF본딩 대상패널(P)에 ACF(A)가 대응되며 상부에 이격배치될 수 있도록, ACF(A)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체(30);
    상기 ACF(A)를 ACF본딩 대상패널(P)에 가압하여 본딩하는 본딩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ACF 공급부(20)는
    거치대(100)의 정면에 폭방향으로 끼워져 장착되는 ACF 권취롤(21);
    상기 ACF 권취롤(21)을 회전시키기 위해, 거치대(100)에 설치되는 회전수단(22);
    상기 ACF 권취롤(21)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토록 ACF롤의 하단에 연장설치되는 장착가이드(25);
    상기 장착가이드(25)의 하단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ACF 권취롤(21)의 ACF(A)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하는 ACF 돌출부(2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ACF 본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가이드(25)의 일단에 돌출형성되어, 거치대(100)의 거치홈(12)에 대응체결되어 ACF 공급부(20)가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돌기(28);
    상기 회전수단(22)에 설치되어, 공급되어 지는 ACF(A)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24);
    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ACF 본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30)는
    상, 하, 좌, 우로 이동가능하게 거치대(100)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일측에 위치한 ACF 공급부(20)에서 제공되는 ACF(A)를 타측으로 잡아당겨, 지지대(10)의 상면에 ACF(A)가 국부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집게부(31);
    상기 제 1집게부(31)에 의해 잡아당겨진 ACF(A)가 물려 고정되되, 상기 제 1집게부(31)가 ACF(A)를 끌어당길동안 ACF(A)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제 2집게부(32);
    상기 지지대(10)의 전단에 설치되어, 최초로 제공되는 ACF(A)에서 본딩가능시작점 및 본딩간격을 파악하여, 제 1집게부(31)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부(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ACF 본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F본딩 대상패널(P)의 상면에 올려지는 ACF(A)와 본딩수단(4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본딩수단(40)을 통해 ACF(A)를 ACF본딩 대상패널(P)에 본딩할 시, 본딩수단(40)이 직접 ACF(A)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보조필름부(50);
    본딩에 사용되어진 ACF(A)를 흡입하도록, 상기 본딩수단(40)의 후단에 설치되는 흡입장치(34);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ACF 본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F 공급부(20)는
    복수개가 거치대(100)에 사전장착되어, 이송체(30)가 복수개 중 하나의 ACF 공급부(20)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겨 본딩에 사용한 후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체(30)가 남아있는 나머지 ACF 공급부(20)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겨 연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ACF 공급부(20)의 교체를 위한 본딩공정이 중단되지 않도록 연속적인 ACF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ACF 본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CF 공급부(20)는
    복수개가 거치대(100)에 사전장착되되, 장착되는 거치대(100)에 상호간 높이차를 두고 장착되거나 또는 길이가 상이토록 하여, 상기 이송체(30)가 복수개 ACF 공급부(20)의 이송 및 위치식별이 용이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ACF 본딩장치.
  7. 삭제
KR1020130084892A 2013-07-18 2013-07-18 연속식 acf 본딩장치 KR101443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892A KR101443707B1 (ko) 2013-07-18 2013-07-18 연속식 acf 본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892A KR101443707B1 (ko) 2013-07-18 2013-07-18 연속식 acf 본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707B1 true KR101443707B1 (ko) 2014-09-26

Family

ID=5176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892A KR101443707B1 (ko) 2013-07-18 2013-07-18 연속식 acf 본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7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281B1 (ko) 2020-01-28 2020-10-23 (주)제이스텍 폴 및 패널이 열변형되지 않는 상하 히터가열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레이저 본딩장치
KR102314389B1 (ko) * 2020-04-20 2021-10-19 주식회사 제이스텍 Olb 사이드 본딩 가압 얼라인 장치
KR102314387B1 (ko) * 2020-04-20 2021-10-19 주식회사 제이스텍 Olb 사이드 본딩 시스템
KR20210129427A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제이스텍 Olb 사이드 본딩 본압 얼라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443A (ko) * 2003-10-13 2005-04-18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라벨 공급 장치
KR20060059004A (ko) * 2004-11-26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Acf공급장치
KR20100110059A (ko) * 2009-04-02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공급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443A (ko) * 2003-10-13 2005-04-18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라벨 공급 장치
KR20060059004A (ko) * 2004-11-26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Acf공급장치
KR20100110059A (ko) * 2009-04-02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공급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281B1 (ko) 2020-01-28 2020-10-23 (주)제이스텍 폴 및 패널이 열변형되지 않는 상하 히터가열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레이저 본딩장치
KR102314389B1 (ko) * 2020-04-20 2021-10-19 주식회사 제이스텍 Olb 사이드 본딩 가압 얼라인 장치
KR102314387B1 (ko) * 2020-04-20 2021-10-19 주식회사 제이스텍 Olb 사이드 본딩 시스템
KR20210129427A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제이스텍 Olb 사이드 본딩 본압 얼라인 장치
KR102328574B1 (ko) 2020-04-20 2021-11-18 주식회사 제이스텍 Olb 사이드 본딩 본압 얼라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196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43707B1 (ko) 연속식 acf 본딩장치
CN100591196C (zh) Acf粘贴装置及平板显示器装置
CN100414417C (zh) Acf供给装置
KR101945684B1 (ko) 절단 기구, 접합 기구, 기판 처리 시스템,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N103987200B (zh) 剥离式补强板假贴机
JP2010212681A (ja) 部品実装機用キャリアテープ自動供給装置
JP5302773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WO2011004544A1 (ja) 部品実装装置及びその方法
JP5125536B2 (ja) 粘着テープ供給ユニット
TW2009315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KR101187142B1 (ko) 라벨 공급장치
JP2006264906A (ja) テープ貼込装置
KR20110091147A (ko)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자동공급장치의 테이프 가이드
KR20080050819A (ko) 이방성도전필름 부착 장치
CN217116545U (zh) 稳定运行的贴片机
KR100624201B1 (ko) 칩본딩용 테이프 부착 시스템
KR20040005654A (ko) Acf공급장치 및 acf공급방법
JP5336153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KR101376504B1 (ko) 테이프 부재 자동교체 공급장치
KR101443708B1 (ko) Acf 공급 탈부착장치
KR20210123253A (ko)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KR101447980B1 (ko) 두개 이상의 태그의 접점이 중첩된 듀얼 패널용 acf 본딩장치
JP4962187B2 (ja) 電子部品の供給装置および供給方法
CN116198984A (zh) 一种全自动制造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