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252B1 -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252B1
KR101443252B1 KR1020120101244A KR20120101244A KR101443252B1 KR 101443252 B1 KR101443252 B1 KR 101443252B1 KR 1020120101244 A KR1020120101244 A KR 1020120101244A KR 20120101244 A KR20120101244 A KR 20120101244A KR 101443252 B1 KR101443252 B1 KR 101443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nishing material
finishing
support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068A (ko
Inventor
두 년 김
Original Assignee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280073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334973A/zh
Priority to PCT/KR2012/007333 priority patent/WO2013183815A1/ko
Publication of KR2013013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1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11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not adjustable

Abstract

본 발명은 마감재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돌패널의 상면에 마감재 시공시 마감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는, 이웃하는 두 마감재 사이에 위치되고 마감재의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두 마감재 사이에서 마감재의 양측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지지대에 고정되어, 마감재를 고정하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MATERIAL FOR FINISHING MATERIAL OF ONDOL-FLO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FINISHING MATERIAL USING IT}
본 발명은 마감재 고정부재 및 마감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돌패널의 상면에 마감재 시공시 마감재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돌바닥은 건축물의 슬라브 구조체 위에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열확산판을 재치한 다음 열확산판 내로 온수관을 삽입하고, 최종적으로 마감재로 마감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된다.
이러한 온도바닥에 대한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58305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한다)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76840호(이하, ‘선행문헌2’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는 마감몰탈의 상부에 시공되는 장판 또는 마루 등과 같은 마감재가 개시되어 있고, 선행문헌2에는 난방용 파이프가 매설되는 단열바닥층을 보호하기 위한 마감바닥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들에 따른 온돌바닥 마감재의 경우 접착제를 이용해 그 하부구조물에 접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감재의 시공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온수관의 보수를 위해 마감재를 뜯어낼 때 마감재 대부분이 파손되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하여 새로운 마감재를 시공해야 한다. 이는 온수관의 보수시 수리비용을 증대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감재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온수관 보수시 마감재의 파손없이 마감재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는, 이웃하는 두 마감재 사이에 위치되고 마감재의 하부구조물에 고정되는 지지대; 및 두 마감재 사이에서 마감재의 양측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지지대에 고정되어, 마감재를 고정하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지지대에는 고정대의 일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고정홈의 입구측에는 고정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고정대의 중심측에는 고정홈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며 고정홈에 삽입될 때 이탈방지부에 걸리는 이탈방지돌부가 양측으로 연장되게 구성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대의 양측에는 마감재의 측부를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가 각각 형성된다.
마감재의 측부에는 고정부의 양측면과 밀착되는 수직면, 밀착면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가압부가 안착되는 수평면, 수평면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이 지지대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지지대의 양측면과 경사면 사이에는 지지대에 고정대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지지대의 양측면이 벌어진 후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지지대와 고정대의 결합높이는 마감재의 두께와 일치하여, 고정대의 상면과 마감재의 상면이 이루는 마감면이 서로 일치한다.
본 발명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은, (a) 온돌패널에 배관된 온수관 사이에 지지대를 위치시키고 고정수단을 이용해 지지대를 온돌패널에 고정하는 지지대 고정단계; (b) 지지대 사이에서 마감재를 온돌패널의 상면에 피복하되, 마감재의 양측부가 지지대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마감재 설치단계; 및 (c) 고정대의 양측부로 마감재의 양측부를 가압하면서 고정대를 지지대에 결합하는 고정대 결합단계;를 포함한다.
(c)단계에서 고정대의 양측부에 형성된 가압부는 마감재의 양측부에 형성된 수직면에 밀착되면서 수직면과 연장된 수평면에 안착되고, 고정대의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부는 지지대의 고정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
지지대와 마감재의 양측부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고정부가 고정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지지대의 양측부는 공간 내로 벌어지고, 고정부가 고정홈에 완전 삽입된 후에는 지지대의 양측부를 밀던 힘이 해제되어 지지대의 양측부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본 발명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마감재를 시공할 때 종래와 달리 마감재를 온돌패널에 직접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나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마감재의 시공이 용이하며, 마감재의 시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바닥난방 중 온수관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대를 지지대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마감재를 온돌패널에서 간편하게 들어낼 수 있고, 보수 후에는 다시 마감재를 제자리에 피복한 후 고정대를 이용해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마감재의 파손없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후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고정대를 지지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고정대의 가압부가 마감재의 양측단을 하방으로 눌러 온돌패널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함으로써, 사용중 마감재가 유동하거나 들뜨는 현상을 없애주어 사용중 마감재를 수리하거나 교체해야 할 필요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마감재 시공 후 고정대의 마감면이 마감재의 표면과 일치되게 시공되어 전체적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이 편평하게 시공되므로, 실내에서 사용자가 보행할 때 발이나 슬리퍼 등이 걸릴 염려가 없다. 또한, 고정대에 의해 마감재가 고정될 때 두 부재의 조밀성으로 인하여 두 부재 간에 틈이 생기지 않으므로 이물질이 끼어들 염려가 없다.
다섯째, 지지대를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제작하고, 지지대와 마감재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대에 고정대의 고정부가 삽입 결합될 때 지지대의 측부가 벌어지면서 고정대의 고정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고정부 삽입후 지지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진 부분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고정대를 지지대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에 의해 마감재가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에 의해 마감재가 시공된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에 의해 마감부재가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6은 지지대의 단면도.
도 7은 고정대의 단면도.
도 8은 마감재의 단면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에 의해 마감재가 시공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온돌바닥의 마감부재 고정부재에 의해 마감부재가 시공된 예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대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고정대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에 의해 마감재가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에 의해 마감재가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가 적용되는 바닥 난방구조에 의하면, 난방할 바닥면에 단열재(100)가 시공되고, 단열재(100)의 상부에 온돌패널(200)이 시공되며, 온돌패널(200)의 안착홈에 온수관(300)이 삽입 시공되고, 온돌패널(200)의 상부에 마감재(400)가 시공된다.
단열재(100)는 온수관(30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콘크리트 바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성이 큰 발포성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이러한 단열재(100)는 난방할 콘크리트 바닥에 평면적으로 시공된다.
온돌패널(200)은 축열판 소재로 사용되는 유연성이 없고 비교적 단단한 광석분말과 석고분말을 압착 및 소성하여 판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온수관(30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저장하는 기능 즉, 축열(蓄熱)기능을 한다. 따라서, 온수관(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열선(미도시)으로의 전원공급이 주기적으로 단속(斷續)되더라도 실내의 온도변화없이 일정한 온도로 난방할 수 있다.
온돌패널(200)에는 온수관(300)에서 방출되는 열을 단시간에 온돌패널(200) 사방으로 전도시키는 열전도판이 일체로 내장되며, 열전도판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망 형태로 제작된다. 온돌패널(200)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제작된 후 현장에서 조립시공된다.
온수관(300)은 내부에 열매체(물+증기)와 전열선을 넣어 온수의 가열 및 순환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온수관 자체가 가열과 방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온수관(300)의 단부에는 밀폐장치(미도시)가 각각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이 밀폐장치를 통해 전열선과 연결된다. 이러한 온수관(300)은 지그재그로 굴곡되게 배치된다.
마감재(400)는 온돌패널(200)을 커버하고 미감을 위해 온돌패널(200)의 상부에 평면적으로 시공된다. 마감재(400)는 문양이 아름다운 대리석판을 비롯하여, 각종 내열성 합성수지판, 강화 나무판, 혼합 무기질의 판체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해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바닥의 장식성(粧飾性)을 부여한다.
이러한 마감재(400)는 접착제로 온돌패널(200)의 상부에 부착되는 형태가 아니라 온돌패널(200)의 상부에서 서로 연접된 상태에서 고정부재(500)를 이용해 온돌패널(200)에 고정되는 형태이므로 시공과 보수가 용이하다. 즉, 시공 후 고정부재(500)의 고정상태만 해제하면 마감재(4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온수관(300) 등의 보수가 용이하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에 의해 마감부재가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고정부재(500)는 지지대(510)와, 지지대(5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대(520)로 구성된다.
지지대(510)는 이웃하는 두 마감재(400) 사이에 위치되고 마감재(4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온돌패널(200)에 스크류(530)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마감재(400)의 길이에 대응되게 길게 형성된다. 지지대(510)는 자체 탄성력을 보유하는 탄성소재로 제작되며 일정한 폭을 가진 장척(長尺)의 밴드타입으로 되어 있다.
고정대(520)는 이웃하는 두 마감재(400) 사이에서 마감재(400)의 양측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지지대(5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마감재(400)를 고정하는 것으로, 마감재(400)의 길이에 대응되게 길게 형성된다. 고정대(520)는 칼라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며 일정한 폭을 가진 장척(長尺)으로 되어 있다. 한편, 고정대(520)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시공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변형되거나 지지대(510)에서 자연 이탈되는 일이 없다. 또한, 고정대(520)의 칼라에 의해 마감재(400)와 함께 심미감이 부가되어 실내바닥이 더욱 아름답고 우아하며 고급스럽게 된다.
지지대(510)와 고정대(520)가 결합된 상태의 높이는 마감재(400)의 두께와 일치한다.
도 6은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지지대(510)는 온돌패널(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판 형태의 안착면(511), 안착면(511)의 양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 한 쌍의 수직면(512), 수직면(512)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수평 연장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513)를 포함한다. 안착면(511), 수직면(512) 및 이탈방지부(513)로 인해 지지대(510)에는 고정대(520)의 후술할 고정부(522)가 탈거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514)이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고정홈(514)의 입구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부(513)로 인해 고정부(522)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이탈방지부(513)의 단부중 고정홈(514)의 입구측은 고정대(520)의 고정부(522) 삽입이 용이하도록 곡면의 모서리를 갖는다.
도 7은 고정대의 단면도이다.
고정대(520)는 마감면(521), 고정부(522) 및 가압부(524)로 구성된다.
마감면(521)은 지지대(510)와 고정대(520)가 서로 결합될 때 마감재(4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수평하게 위치되며, 그 양측단은 마감재(400)의 양측단과 각각 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500)에 의해 마감재(400)가 시공될 때 고정부재(500)와 마감재(400) 사이에 턱이 형성되지 않고 마감면이 고르게 된다.
고정부(522)는 마감면(521)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지대(510)의 고정홈(514)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 고정부(522)의 하단부에는 고정부(522)가 고정홈(514)에 삽입될 때 지지대(510)의 이탈방지부(513)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돌부(523)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마감면(521)과 이탈방지돌부(523) 사이에는 이탈방지부(513)의 단부가 삽입되는 이탈방지부 삽입홈(525)이 형성된다.
가압부(524)는 마감면(521)의 양측단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마감재(400)의 측부를 눌러 가압해줌으로써, 지지대(510)와 고정대(5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마감재(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한편, 고정대(520)를 구성하는 고정부(522)와 가압부(524) 사이에는 고정대(520)가 지지대(510)에 삽입 고정되는 과정에서 지지대(510)의 고정홈(514) 양쪽 상단부가 삽입되어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제1 공간(s1)이 형성된다.
도 8은 마감재의 단면도이다.
마감재(400)의 측부에는 가압부(524)와 밀착되는 수직면(401), 수직면(401)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가압부(524)가 안착되는 안착턱을 형성하는 수평면(402), 수평면(402)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이 지지대(510)의 양측면에 밀착되는 경사면(403)이 형성된다.
경사면(403)은, 고정대(520)가 지지대(510)에 삽입 고정되는 과정에서 지지대(510)의 고정홈(514) 양쪽이 바깥쪽으로 벌어질 때 지지대(510)의 양측면 하단을 지지하여 지지대(510)의 상단부가 안정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고정대(520)의 삽입이 완료된 후 벌어진 부분이 안정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지지대(510)의 양측면 하단이 밀착되는 밀착면(403a)과, 고정대(520)가 지지대(5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지지대(510)의 양쪽 상단부가 벌어지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지지대(510)의 양측면과의 사이에 후술할 제2 공간(s2)을 형성하도록 밀착면(403a)과 다른 각을 갖고 밀착면(403a)의 상단에 연결되는 공간 형성면(40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에 의해 마감재가 시공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마감재(400)의 시공과정은 지지대 고정단계, 마감재 설치단계, 고정대 결합단계로 구성된다. 마감재(400)의 시공 전 난방하고자 하는 바닥에는 단열재(100), 온돌패널(200) 및 온수관(300)의 시공이 완료된다.
지지대 고정단계
도 9와 같이 지지대(510)가 온돌패널(200)의 상면에 스크류(530)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때, 스크류(530)는 지지대(510)의 안착면(511)을 관통한다. 지지대(510)는 온돌패널(200)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온수관(300) 사이의 중간부에 배열된다. 이러한 지지대(510)는 온수관(300)의 직선구간과는 나란히 배치되며, 온수관(300)과 교차되는 온수관(300)의 만곡부분에서는 절단되어 온수관(300)과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즉, 온수관(300)과 교차되는 부분에서는 만곡부를 건너뛰고 지지대(510)가 설치된다. 지지대(510)는 마감재(400)가 시공되는 영역의 범위로 배치된다.
지지대(510)는 온수관(300)의 배치간격과 대응되게 배치되며, 지지대(510)의 배치간격은 마감재의 폭과도 대응된다.
마감재 설치단계
도 10과 같이 지지대(510) 사이에 미리 준비된 마감재(400)를 온돌패널(200)과 온수관(300)이 덮이도록 배열한다. 이 때, 같은 지지대(510) 사이에 위치되는 마감재(400)들은 전후단이 서로 연접되도록 배치되며, 마감재(400)의 양측부 하단에 형성된 경사면(403)의 밀착면(403a)은 지지대(510)의 양측면 하단에 밀착된다.
마감재(400)를 피복할 때 종래와 달리 접착제나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마감재(400)의 피복작업이 용이하며, 결과적으로 마감재(400)의 시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감재(400) 자체가 가지는 평면성 및 중량, 그리고 온돌패널(200)이 가지는 평면성에 의해 마감재(400)는 평면적으로 안정감 있게 온돌패널(200)의 상면에 깔린다.
지지대(510)와 마감재(4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마감재(400)의 경사면으로 인해 지지대(510)의 측면과 마감재(400) 사이에는 제2 공간(s2)이 확보된다. 후술하겠지만 이 공간(s2)은 지지대(510)에 고정대(520)가 결합될 때 지지대(510)의 수직면(512)이 변형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형성한다.
고정대 결합단계
마감재(400)가 피복되면 고정대(520)를 지지대(510)에 결합한다.
도 11과 같이 고정대(520)의 고정부(522)를 지지대(510)의 고정홈(514)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지지대(510)의 수직면(512)과 이탈방지부(513)는 고정대(520)의 이탈방지돌부(523)에 의해 양측으로 가압되어 벌어지기 때문에 고정부(522)의 삽입이 용이하다. 이 때, 지지대(510)의 수직면(512)과 이탈방지부(513)의 변형은 고정대(520)에 형성되는 제1 공간(s1)과 지지대(510)와 마감재(4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s2)에 의해 가능하다.
도 12와 같이 고정대(520)의 이탈방지돌부(523)가 지지대(510)의 고정홈(514)에 완전 삽입되면, 지지대(510)의 수직면(512)과 이탈방지부(513)를 측방향으로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므로 지지대(510)의 수직면(512)과 이탈방지부(513)는 자체 가지고 있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지지대(510)의 이탈방지부(513)는 고정대(520)의 이탈방지부 삽입홈(525)에 삽입되어 고정대(520)의 이탈방지돌부(523)가 지지대(510)의 이탈방지부(513)에 걸림으로써, 고정대(520)는 지지대(510)에 견고히 고정된다.
고정대(520)가 지지대(5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지지대(510)의 수직면(512) 상단 및 이탈방지부(513)는 고정대(520)의 고정부(522)와 가압부(524) 사이에 위치되고, 고정대(520)의 가압부(524)는 마감재(400)의 수평면(402)에 안착된다. 고정대(520)의 가압부(524) 측면은 마감재(400)의 수직면(40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지지대(510)와 고정대(52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높이는 마감재(400)의 높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고정대(520)의 마감면(521)은 마감재(400)의 표면과 일치되게 시공되어 전체적으로 돌출된 부분없이 편평하게 시공되므로, 실내에서 사용자가 보행할 때 발이나 슬리퍼 등이 걸리는 일이 없다. 또한, 고정대(520)에 의해 마감재(400)가 고정될 때 두 부재의 조밀성으로 인하여 두 부재 간에 틈이 생기지 않으므로 이물질이 끼어들지 못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510)에 고정대(520)가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마감재(400)의 시공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돌패널(200)에 지지대(510)를 모두 시공한 다음 마감재(400)를 피복하고, 이후 고정대(520)를 지지대(510)에 결합하는 순서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온돌패널(200)의 한쪽에서부터 한 줄씩 지지대(510)와 마감재(400)를 시공한 다음 고정대(520)를 지지대(510)에 결합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마감재(400)의 시공을 완료할 수도 있다.
한편, 바닥난방 중 온수관(300)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대(520)를 지지대(510)로부터 분리하기만 하면 마감재(400)를 온돌패널(200)에서 간단하게 들어낼 수 있고, 보수후에는 다시 마감재(400)를 제자리에 피복한 후 고정대(520)를 이용해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온돌바닥의 마감재 시공구조나 시공방법에 비하여 마감재(400)의 파손없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공비용 및 사후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대(520)를 지지대(51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고정대(520)의 가압부(524)가 마감재(400)의 양측부를 하방으로 눌러 온돌패널(20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함으로써, 사용중 마감재(400)가 유동하거나 들뜨는 현상이 없게 된다.
한편, 고정대(520)가 지지대(510)의 고정홈(514)에 삽입 고정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지지대(510)는 하단이 마감재(400)의 밀착면(403a)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홈(514)의 양쪽 상단부가 제1,2 공간(s1)(s2) 내에서 원활하게 벌어졌다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지므로, 고정대(520)의 고정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시공 후 마감재(400)의 유동이 방지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온돌바닥의 마감부재 고정부재에 의해 마감부재가 시공된 예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지지대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고정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바닥의 마감부재 고정부재(600)는 지지대(610)와, 지지대(6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대(620)로 구성된다.
지지대(610)는 온돌패널(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판 형태의 안착면(611)을 포함하며, 안착면(611)의 상면에는 고정대(620)의 후술할 한 쌍의 고정부(622)가 탈거 가능하게 각각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홈(612)이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각 고정홈(612)은 한 쌍의 수직면(613)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다. 수직면(613)의 단부에는 고정홈(612)에 삽입된 고정부(62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614)가 각각 수평 연장된다. 한편, 지지대(610)는 한 쌍의 고정홈(612) 사이를 통해 스크류(630)를 이용하여 온돌패널(200)에 고정된다.
고정대(620)는 마감면(621), 고정부(622) 및 가압부(623)로 구성된다. 마감면(621)과 가압부(62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고정부(622)는 두 개가 이격 형성되어 지지대(610)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홈(612)에 각각 탈거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 각 고정부(622)의 형상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고정부재(600)에 의하면 고정대(620)의 고정부(622)를 지지대(610)의 고정홈(612)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고정홈(612)을 감싸고 있는 수직면(613)이 밀려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고정홈(612)의 양쪽에는 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100 : 단열재 200 : 온돌패널
210 : 열전도판 300 : 온수관
400 : 마감재 401 : 수직면
402 : 수평면 403 : 경사면
500 : 고정부재 510 : 지지대
511 : 안착면 512 : 수직면
513 : 이탈방지부 514 : 고정홈
520 : 고정대 521 : 마감면
522 : 고정부 523 : 이탈방지돌부
524 : 가압부 525 : 이탈방지부 삽입홈
530 : 스크류

Claims (9)

  1. 이웃하는 두 마감재(400) 사이에서 마감재(400)의 하부 구조물에 고정되고, 다른 부재가 상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홈(514)이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고정홈(514)의 입구 양쪽에 다른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513)가 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 지지대(510); 및
    이웃하는 두 마감재(400) 사이에서 마감재(400)의 양측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지지대(510)의 고정홈(514)에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마감면(521)과, 마감면(521)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고정홈(514)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며 고정홈(514)에 삽입될 때 이탈방지부(513)에 걸리는 이탈방지돌부(523)가 양측으로 연장된 고정부(522), 및 마감면(521)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감재(400)의 측부를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524)를 갖는 고정대(520);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400)의 측부에는 상기 가압부(524)의 측면과 밀착되는 수직면(401), 상기 수직면(401)의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524)가 안착되는 수평면(402), 상기 수평면(402)의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대(510)의 양측면과 밀착되는 경사면(403)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대(520)를 구성하는 고정부(522)와 가압부(524) 사이에는 상기 고정대(520)가 지지대(510)에 삽입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대(510)의 고정홈(514) 양쪽 상단부가 삽입되어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제1 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403)은, 상기 고정대(520)가 지지대(510)에 삽입 고정되는 과정에서 지지대(510)의 고정홈(514) 양쪽이 바깥쪽으로 벌어질 때 지지대(510)의 양측면 하단을 지지하여 지지대(510)의 상단부가 안정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고정대(520)의 삽입이 완료된 후 벌어진 부분이 안정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510)의 양측면 하단이 밀착되는 밀착면(403a)과, 고정대(520)가 지지대(5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지지대(510)의 양쪽 상단부가 벌어지고 다시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지지대(510)의 양측면과의 사이에 제2 공간(s2)을 형성하도록 상기 밀착면(403a)과 다른 각을 갖고 밀착면(403a)의 상단에 연결되는 공간 형성면(403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대(520)가 상기 지지대(510)의 고정홈(514)에 삽입 고정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지지대(510)는 하단이 마감재(400)의 밀착면(403a)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홈(514)의 양쪽 상단부가 제1,2 공간(s1)(s2) 내에서 원활하게 벌어졌다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지므로, 고정대(520)의 고정 및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시공 후 마감재(400)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101244A 2012-06-08 2012-09-12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 KR101443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73749.8A CN104334973A (zh) 2012-06-08 2012-09-13 地面供暖结构及其施工方法
PCT/KR2012/007333 WO2013183815A1 (ko) 2012-06-08 2012-09-13 바닥 난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305 2012-06-08
KR20120061305 2012-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68A KR20130138068A (ko) 2013-12-18
KR101443252B1 true KR101443252B1 (ko) 2014-09-19

Family

ID=4998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244A KR101443252B1 (ko) 2012-06-08 2012-09-12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2385B (zh) * 2020-09-01 2021-12-24 镁晶建筑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地暖模块的安装方法及地暖模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425A (ja) * 1992-04-28 1993-11-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建築板材取り付け装置
JP2007147200A (ja) * 2005-11-29 2007-06-14 Harman Pro:Kk 床暖房パネル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17236B1 (ko) * 2008-12-22 2009-09-16 (주)삼정씨엔아이 건축물의 온돌시스템
KR20110112039A (ko) * 2010-04-06 2011-10-12 (주) 플러스인피니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2425A (ja) * 1992-04-28 1993-11-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建築板材取り付け装置
JP2007147200A (ja) * 2005-11-29 2007-06-14 Harman Pro:Kk 床暖房パネル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17236B1 (ko) * 2008-12-22 2009-09-16 (주)삼정씨엔아이 건축물의 온돌시스템
KR20110112039A (ko) * 2010-04-06 2011-10-12 (주) 플러스인피니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68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8152A (en) Floor heating system
KR100712826B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WO2014190460A1 (zh) 一种循环使用的恒温陶瓷地板集成系统
JP2007107876A (ja) 床暖房システム
KR101443252B1 (ko) 온돌바닥의 마감재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재 시공방법
KR100983131B1 (ko) 온돌용 패널 어셈블리 구조
KR102253799B1 (ko) 고효율 조립식 난방구조
KR100958414B1 (ko) 난방 구조
JP3745997B2 (ja) 床輻射および空調冷暖房装置における床パネル装置
KR101383351B1 (ko) 히트 파이프 안착홈을 구비한 방수판 및 이를 이용한욕실바닥 시공방법
KR200384608Y1 (ko) 온수 방열판
KR100847798B1 (ko) 난방용 패널의 시공방법
CN104334973A (zh) 地面供暖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474421B1 (ko) 난방 효율이 우수하고 조립이 간편한 건식 복합 난방 시스템
CN211572745U (zh) 地暖拼装底盘
KR101438490B1 (ko) 온수순환마루용 패널
CN213839840U (zh) 一种组合式抗震支架
JPS62223533A (ja) パイプ曲がり部配管用床暖房パネル
JP2000074400A (ja) 床暖房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534323B1 (ko) 건식온돌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20000003106U (ko) 난방파이프의 배관판넬
JPS62223532A (ja) 床暖房パネル
KR200155119Y1 (ko) 전기온돌판넬
JPS62162826A (ja) 床暖房パネル
KR200429084Y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