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101B1 -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101B1
KR101443101B1 KR1020130074321A KR20130074321A KR101443101B1 KR 101443101 B1 KR101443101 B1 KR 101443101B1 KR 1020130074321 A KR1020130074321 A KR 1020130074321A KR 20130074321 A KR20130074321 A KR 20130074321A KR 101443101 B1 KR101443101 B1 KR 101443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iving
unit
conveyed objec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이수구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8Screw feeders; Screw dischar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59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tracks, e.g. rails and wag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는: 이송물이 이동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물이 나선형상을 따라 회전되어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송스크루부와, 이송스크루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의 동력을 이송스크루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GUIDE APPARATUS FOR DROP OF TRANSFERRED OBJECT}
본 발명은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의 낙하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하여 이송물의 손상을 감소시키며, 낙하가 이루어지는 주변으로 이송물이 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선을 제조하는 제선공정은 철광석으로부터 용선을 생산하는 고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코크스오븐에서 건류된 코크스와 소결원료를 소결기에 장입하고 소결공정을 행하여 고로에 장입되는 소결광을 제조한다.
소결기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황 산화물과 질소 산화물은 활성탄을 충진한 흡착탑을 지나면서 제거되며, 활성탄은 재생탑을 통과하면서 재생되어 재활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22306호(2011.03.07 공개, 발명의 명칭 : 소결 공정의 배가스를 이용한 재생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물의 낙하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하여 이송물의 손상을 감소시키며, 낙하가 이루어지는 주변으로 이송물이 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는: 이송물이 이동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물이 나선형상을 따라 회전되어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송스크루부와, 이송스크루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의 동력을 이송스크루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부는, 이송스크루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몸체하우징과, 몸체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이송스크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몸체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며 이송스크루부에서 낙하되는 이송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스크루부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및 베이스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걸림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력전달부는, 구동부에 축 연결되는 구동기어 및 이송스크루부에 축 연결되며 구동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기어의 기어잇수보다 종동기어의 기어잇수가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는, 이송물이 이송스크루부를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이송물의 낙하시 발생되는 충격이 저감되어 이송물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스크루부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이송물이 커버부의 경사안내면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므로, 낙하가 이루어지는 주변으로 이송물이 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스크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를 따라 이송물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탑에 이송물용 낙하장치가 설치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스크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를 따라 이송물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1)는, 이송물(50)이 이동되는 내부공간(11)을 구비하는 하우징부(10)와, 하우징부(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물(50)이 나선형상을 따라 회전되어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송스크루부(20)와, 이송스크루부(2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30)와, 구동부(30)의 동력을 이송스크루부(2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50)은 제철소의 흡착탑에서 사용되는 활성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흡착탑은 소결공장 가동시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 유해성분을 법정 기준치 이하로 제거하는 장치이며, 흡착탑에서 정화된 배기가스는 연도를 통해 굴뚝으로 배출된다.
흡착탑에서 사용된 활성탄은 재생탑으로 이동되어 사용가능한 활성탄으로 다시 재생된 후 흡착탑으로 공급된다.
활성탄으로 사용되는 이송물(50)은 버켓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되며, 상측에 위치한 버켓 컨베이어에서 하측에 위치한 버켓 컨베이어로 이송물(50)을 이송시키는 경우에는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1)를 통해 이동된다.
이송물(50)의 낙하가 이루어지는 위치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1)가 설치되며, 이송물(50)은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1)의 안내로 회전하며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0)는 이송물(50)이 이동되는 내부공간(11)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는, 이송스크루부(20)가 내측에 위치하는 몸체하우징(12)과, 몸체하우징(12)에서 돌출되어 이송스크루부(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3)와, 몸체하우징(12)의 하측에 결합되며 이송스크루부(20)에서 낙하되는 이송물(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부(16)를 포함한다.
몸체하우징(12)은 이송스크루부(20)의 외측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몸체하우징(12)의 내측에서 돌출된 지지부(13)는 이송스크루부(20)의 회전축(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3)는 회전축(22)의 상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부재(14)와, 회전축(22)의 하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부재(15)를 포함한다.
제1부재(14)는 회전축(22)의 상단이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며 몸체하우징(1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제2부재(15)는 회전축(22)의 하측에 위치하며, 회전축(22)이 통과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몸체하우징(12)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몸체하우징(12)의 상측을 통해 이송물(50)이 투입되며, 몸체하우징(12)의 하측을 통해 이송물(50)이 배출된다.
몸체하우징(12)의 하측에는 이송물(50)의 배출을 안내하는 커버부(16)가 설치된다.
커버부(16)는 몸체하우징(12)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이송물(50)이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1)의 외측으로 튀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깔때기 형상의 경사안내면(17)을 구비한다.
경사안내면(17)은 몸체하우징(12)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경사안내면(17)의 하측에는 이송물(50)의 배출을 안내하는 관 형상의 출구부재(18)가 설치된다.
이송스크루부(20)는 하우징부(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부(10)의 상측으로 투입되는 이송물(50)을 나선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부는 회전축(22)과 베이스부재(24)와 걸림턱부재(26)를 포함한다.
회전축(22)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부재(14)와 제2부재(15)에 지지되어 하우징부(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베이스부재(24)는 회전축(22)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베이스부재(24)는 이송물(50)이 실려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22)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선 형상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축(22)이 회전하는 경우, 베이스부재(24)도 회전축(22)과 같이 회전하므로 이송물(50)은 베이스부재(24)를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린다.
걸림턱부재(26)는 베이스부재(24)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므로 베이스부재(24)에 있는 이물질이 베이스부재(24)의 외측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구동부(30)는 이송스크루부(2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는 전기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32)와, 구동모터(3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구동축(34)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부(40)는 구동부(30)의 동력을 이송스크루부(20)로 전달하며, 구동부(30)의 동력을 증가시켜 이부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40)는, 구동부(30)에 축 연결되는 구동기어(42)와, 이송스크루부(20)에 축 연결되며 구동기어(42)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44)를 포함한다.
구동기어(42)와 종동기어(44)는 베벨기어 방식으로 맞물려 있으며, 구동기어(42)의 기어잇수보다 종동기어(44)의 기어잇수가 많으므로 구동기어(42)가 종동기어(44)를 돌리면서 감속이 이루어져서 구동부(30)의 토크를 증가시킨다.
구동기어(42)는 구동부(30)의 구동축(34)에 연결되며, 종동기어(44)는 이부의 회전축(22) 하측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구동모터(32)의 동작으로 구동축(34)이 회전하면, 구동축(34)에 축 연결된 구동기어(42)가 회전한다.
구동기어(42)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44)가 회전하면서 이부의 회전축(22)을 회전시키며, 회전축(22)과 함께 베이스부재(24)와 걸림턱부재(26)가 회전된다.
이송물(50)이 하우징부(10)의 상측을 통하여 내측공간으로 낙하되면, 이부의 베이스부재(24)에 이송물(50)이 적재된다.
회전축(22)과 함께 베이스부재(24)가 회전하므로, 베이스부재(24)에 적재된 이송물(50)을 베이스부재(24)를 따라 나선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측으로 흘러내린다.
이부의 하측으로 낙하된 이송물(50)은 커버부(16)의 경사안내면(17)을 따라 출구부재(18)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공정으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물(50)이 이송스크루부(20)를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하측으로 이동되므로, 이송물(50)의 낙하시 발생되는 충격이 저감되어 이송물(50)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스크루부(20)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이송물(50)이 커버부(16)의 경사안내면(17)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므로, 낙하가 이루어지는 주변으로 이송물(50)이 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흡착탑에 이송물용 낙하장치가 설치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송물의 낙하가 이루어지는 다른 공장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10: 하우징부 11: 내부공간
12: 몸체하우징 13: 지지부
14: 제1부재 15: 제2부재
16: 커버부 17: 경사안내면
18: 출구부재 20: 이송스크루부
22: 회전축 24: 베이스부재
26: 걸림턱부재 30: 구동부
32: 구동모터 34: 구동축
40: 동력전달부 42: 구동기어
44: 종동기어 50: 이송물

Claims (5)

  1. 이송물이 이동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물이 나선형상을 따라 회전되어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송스크루부;
    상기 이송스크루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이송스크루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스크루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걸림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이송스크루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송스크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하우징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부에서 낙하되는 상기 이송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에 축 연결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이송스크루부에 축 연결되며,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기어잇수보다 상기 종동기어의 기어잇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KR1020130074321A 2013-06-27 2013-06-27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KR10144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321A KR101443101B1 (ko) 2013-06-27 2013-06-27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321A KR101443101B1 (ko) 2013-06-27 2013-06-27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101B1 true KR101443101B1 (ko) 2014-09-22

Family

ID=5176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321A KR101443101B1 (ko) 2013-06-27 2013-06-27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1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999A (en) 1976-05-03 1978-08-15 Edward Koppelman Continuous thermal reactor
CN2205383Y (zh) * 1994-09-19 1995-08-16 首钢总公司 焦炉装煤车垂直螺旋定量下料装置
US20100215495A1 (en) 2008-11-20 2010-08-26 Winfield Scott Anderson Tapered helical auger turbine to convert hydrokinetic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KR101377222B1 (ko) 2012-06-14 2014-03-20 (주)포스코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999A (en) 1976-05-03 1978-08-15 Edward Koppelman Continuous thermal reactor
CN2205383Y (zh) * 1994-09-19 1995-08-16 首钢总公司 焦炉装煤车垂直螺旋定量下料装置
US20100215495A1 (en) 2008-11-20 2010-08-26 Winfield Scott Anderson Tapered helical auger turbine to convert hydrokinetic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KR101377222B1 (ko) 2012-06-14 2014-03-20 (주)포스코 코크스 오븐 장입차의 석탄 장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032542U (zh) 一种圆柱形零件翻转的自动上下料装置
CN207030469U (zh) 用于固废处理的自动进料装置
KR101443101B1 (ko) 이송물용 낙하안내장치
KR101424455B1 (ko) 트리퍼카용 이송물 제거장치
CN110759134A (zh) 船舱卸料装置
KR20120011409A (ko)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CN202962398U (zh) 湿法造粒系统
CN206606402U (zh) 用于生料带扣壳包装机的翻面机构
CN108085475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具有自动运料的智能型外圆淬火机床
JP6534423B2 (ja) フライアッシュの冷却装置
KR101887270B1 (ko) 리크레이머
CN206203240U (zh) 一种新型防积渣的链斗输送机
CN214457584U (zh) 窑炉加料运输系统
CN2285760Y (zh) 旋转振动给料机
KR101159587B1 (ko) 슈트용 고착물 제거장치
CN210213956U (zh) 一种拨杆式瓶身自动运输装置
CN214217247U (zh) 一种新型三段式输送机
CN205221797U (zh) 一种刮板机装置
KR101751286B1 (ko) 원료 장입장치
CN110128035B (zh) 高纯度氧化钙制备工艺及其制备设备
CN209835073U (zh) 一种火车装车机
KR20110060007A (ko) 부착광 제거장치
KR10094669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CN216205321U (zh) 一种简易沸腾炉出渣装置
CN212711252U (zh) 一种旋转上料滚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