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366B1 -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 Google Patents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366B1
KR101442366B1 KR1020127020258A KR20127020258A KR101442366B1 KR 101442366 B1 KR101442366 B1 KR 101442366B1 KR 1020127020258 A KR1020127020258 A KR 1020127020258A KR 20127020258 A KR20127020258 A KR 20127020258A KR 101442366 B1 KR101442366 B1 KR 10144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ontent
welding
less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516A (ko
Inventor
다카유키 가미무라
가즈유키 가시마
히데아키 미유키
도모야 가와바타
히로후미 나카무라
슈지 오카구치
가즈시게 아리모치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9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Abstract

질량%로, C: 0.0005% 이상 또한 0.02% 미만, Si: 0.01~0.7%, Mn: 0.1~5.0%, P: 0.05% 이하, S: 0.008% 이하, Cu: 0.2% 미만, Nb: 0.02~0.3%, Al: 0.003~0.1%, N: 0.01% 이하, B: 0.0005~0.004% 및 Sn: 0.03~0.50%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또한, Cu/Sn비가 1 이하인 화학 조성을 가지고,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 조직을 80% 이상 포함하며, 또한, 베이나이트 경도가 비커스 경도로 150~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또한, Ti, Ni, Cr, Mo, V, Zr, Ca, Mg 및 REM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켜도 된다.

Description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STEEL PLATE EXHIBITING LITTLE WELDING DEFORMATION AND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은, 조선, 해양 구조물, 건축 구조물, 교량, 토목 등의 분야에서 이용되는,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필릿 용접의 작업 시에 발생하는 용접 변형이 작은 두꺼운 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용접강 구조물의 제작 시에는, 용접 금속의 응고 수축 및 그 후의 냉각과 상변태에 의한 수축·팽창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다. 용접 변형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T형 필릿 용접부의 각변형을 들 수 있다. 각변형을 남긴 채로 구조물을 제작하면, 부재의 변형에 의해 좌굴 강도가 큰 폭으로 저하되거나, 파괴 특성이 열화되므로, 설계자가 노린 구조물은 되지 않는다. 그러한 사태를 막기 위해서, 다양한 고안에 의해 방지책이 강구되고 있다.
현재 상황에 적용되고 있는 용접 변형 방지책을 크게 나누면, 다음의 (i)~(iii)의 3개가 된다.
(i) 설계의 고안(피변형 부재의 강성을 높이는 방법)
용접 변형이 잔류하는 원인은, 용접 금속이나 모재의 용접 지단부(止端部) 근방이 소성 변형을 받기 때문이다. 소성 변형을 받은 부위는, 그 외측의 부분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려고 하는데, 강성이 높은 경우, 즉 단면적이 큰 경우에는, 그 변형량은 작아진다. 따라서, 단면적을 크게 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하나의 방지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단면적을 크게 한다는 설계 변경은, 사용 강재의 비용 상승, 중량 상승 및 공사 기간 장기화의 면에서 로스가 많다.
(ii) 용접 시의 고안
용접 시에, 어떠한 고안을 해 둠으로써 용접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몇가지의 방법이 있지만, 우선은 용접 전에 미리 역방향으로 구부려 두는 것이다. 용접 후에는 각변형이 발생하는데, 미리 역방향으로 구부려 둠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있다. 또, 용접 시에 단부를 구속해 두어 변형을 허용하지 않는 방법도 있다. 또한, 후행 토치를 설치하여, 용접 후에 적절한 위치를 재가열함으로써 역으로 되돌리는 방법도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어느 쪽도 대폭적인 공정수 증가를 수반하므로, 비용 상승 요인이 된다.
(iii) 용접 후의 교정 가공
용접 후에 교정하는 방법으로서, 기계적 교정과 선상 가열 교정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도 대폭적인 공정수 증가가 필요함과 함께 숙련된 고도의 기능도 구된다.
상기의 (i)~(iii)의 대책은 모두 제작 상의 고안이지만, 용접 재료의 고안에 의해 용접 변형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용접 재료의 비용 상승이 경제성을 저해하거나, 또 효과가 불충분하는 등, 문제가 많아, 현실적으로는 적용이 진행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반해, 모재가 되는 강재의 고안에 의해 용접 변형을 억제하려고 한 예도 있으며, 다음과 같이, 몇가지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Nb와 Mo를 복합 첨가함으로써 용접열 이력 중의 석출을 촉진하여 항복 응력을 높이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Mo의 첨가는 대폭적인 비용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부족하다.
특허 문헌 3 및 4에는, 모재가 되는 강재의 베이나이트 및/또는 마텐자이트의 분율을 20% 이상으로 제어하고, 또한 탄질화물의 분산 상태를 규정함으로써, 항복 응력을 높임으로써 용접 변형을 억제한다는 기재가 있다. 그러나, 반드시 실용상 충분한 용접 변형 저감 효과를 얻기까지는 도달하지 않았다.
그리고, 특허 문헌 5에는, 모재가 되는 강재의 베이나이트율을 70% 이상으로 하고, 또한 고용 Nb량을 0.0040% 이상 확보함으로써, 용접 변형을 억제한다는 기재가 있다. 그러나, 베이나이트 비율이 70% 이상이 되면 모재의 강도가 범용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경우가 생길뿐만 아니라, Nb에 의한 용접 균열성의 저해가 문제화될 우려가 있다.
한편, 용접강 구조물은 해변 지역이나 융설염이 살포되는 지역 등에서의, 비래염분량이 많은 환경 하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 조선 분야에서는 해수 비말 환경 하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내후성 강재를 대기 부식 환경 중에 폭로하면, 그 표면에 보호성이 있는 녹층이 형성되어, 그 이후의 강재 부식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내후성 강재는, 도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미니멈 메인터넌스 강재로서 교량 등의 구조물에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해변 지역뿐만이 아니라, 내륙부에도 융설염이나 동결 방지제가 살포되는 지역과 같이 비래염분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내후성 강재의 표면에 보호성이 있는 녹층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부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이러한 지역에서는, 있는 그대로의 내후성 강재를 이용할 수 없어, 보통 강에 도장을 실시하여 사용하는 보통 강의 도장 사용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통 강의 도장 사용의 경우에는, 부식에 의한 도막 열화 때문에 약 10년마다 재도장할 필요가 있어, 그 때문에 유지 관리에 필요로 하는 비용은 막대한 것이 된다.
최근, 일본 공업 규격(JIS)으로 규격화된 내후성 강(JIS G 3114: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 압연 강재)은, 비래염분량이 NaCl로서 0.05mg/dm2/day(0.05mdd) 이상의 지역, 예를 들어 해변 지역에서는, 비늘형상 녹이나 층상 녹 등의 발생에 의해 부식 감량이 크기 때문에, 도장하지 않고는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건설성 토목 연구소, (사)강재 클럽, (사)일본 교량 건설 협회: 내후성 강의 교량에 대한 적용에 관한 공동 연구 보고서(XX)-무도(無塗) 내후성 교량의 설계·시공 요령(개정판-1993.3) 참조).
이와 같이, 해변 지역 등의 염분이 많은 환경 하에서는, 통상 보통 강재에 도장을 행하여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하구 부근의 해변 지역이나 융설염을 살포하는 산간부 등의 도로에 건설되는 교량은 부식이 현저하여, 재도장해야만 하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이러한 재도장에는 다대한 공정수가 소요되기 때문에, 도장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강재에 대한 요망이 강하다.
최근, Ni를 1~3% 정도 첨가한 Ni계 고내후성 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비래염분량이 0.3~0.4mdd를 초과하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Ni첨가 만으로는, 도장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강재에 대한 적용이 어려운 것이 판명되었다.
강재의 부식은, 비래염분량이 많아짐에 따라 심해지기 때문에, 내식성과 경제성의 관점에서는, 비래염분량에 따른 내후성 강재가 필요해진다. 또, 교량이라고 해도, 사용되는 장소나 부위에 따라 강재의 부식 환경은 동일하지 않다. 예를 들면, 도리(桁) 외부에서는, 강우, 결로수 및 일조에 노출된다. 한편, 도리 내부에서는, 결로수에 노출되지만 비에 맞는 일은 없다. 일반적으로, 비래염분량이 많은 환경에서는, 도리 외부보다 도리 내부 쪽이 부식이 심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 융설염이나 동결 방지제를 도로에 살포하는 환경에서는, 그 소금이 주행 중의 차에 의해 튀어 올라, 도로를 지지하는 교량에 부착되므로, 혹독한 부식 환경이 된다. 또한, 해안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처마 밑 등도 혹독한 염해 환경에 노출되며, 이러한 지역에서는, 비래염분량이 1mdd 이상인 혹독한 부식 환경이 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비래염분량이 많은 환경에서의 부식을 방지하는 강재의 개발이 종래부터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6에는 크롬(Cr)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내후성 강재가 제안되며, 그리고, 특허 문헌 7에는 니켈(Ni) 함유량을 증가시킨 내후성 강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6에서 제안된 크롬(Cr)의 함유량을 증가시킨 내후성 강재는, 어느 정도 이하의 비래염분량의 영역에 있어서는 내후성을 개선할 수 있지만, 그것을 초과하는 혹독한 염분 환경에 있어서는 역으로 내후성을 열화시킨다.
또, 상기 특허 문헌 7에서 제안된 니켈(Ni) 함유량을 증가시킨 내후성 강재의 경우, 내후성은 어느 정도 개선되지만, 강재 자체의 비용이 높아져, 교량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고가의 것이 된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Ni함유량을 줄이면, 내후성은 그다지 개선되지 않고, 비래염분량이 많은 경우에는, 강재의 표면에 층상의 박리 녹이 생성되어, 부식이 현저하여, 장기간이 사용에 견디지 못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일본국 특허 공개 평7-9191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평7-138715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2003-268484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2006-2211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2006-2198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평9-176790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평5-118011호 공보
이와 같이, 종래 방법으로는, 각각 경제성 및 실제적 재현성의 관점에서 어려움이 있어, 실용 상에서는 개량의 여지가 크다.
특히, 두께 15mm 이상의 두꺼운 강판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용접 구조물에서는, 개개의 용접 개소에서의 변형량은 작아도 용접 구조물 전체적으로는 큰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용접 변형량을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50mm까지의 것을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래염분량이 많은 환경 하에서 사용되는 용접강 구조물에서는 내도장 박리성이 큰 문제가 된다. 즉,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량의 염화물이 비래하는 해안 환경이나, 융설제나 동결 방지제를 살포하는 환경에 있어서는, 도장을 실시해도 도장이 조기에 박리되고, 또한 부식이 진행된다는 문제가 있어, 수년 내지 수십년마다 도장의 개칠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도장의 개칠을 실시할 때에는 그 전공정으로서, 한 번 부식된 교량에 발판을 설치하여 재블래스트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다대한 비용이 든다. 그리고, 재블래스트 처리를 실시해도 녹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은 곤란한 바, 녹이 완전하게는 다 제거되어 있지 않은 강재 상에 재차, 도장해도, 도장 수명이 현저하게 짧아진다. 내도장 박리성은 하지인 강재의 내식성을 포함한 특성에 의존하는 바도 크다.
따라서, 도장의 수명을 연장하여, 보수 도장 간격을 크게 늘리는 것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즉, 도장이 필요해지는 선박 분야나 교량 분야에 있어서도,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의 미니멈화의 요구가 높아, 도장 수명을 연장하는 것은 교량의 라이프 사이클 매니지먼트를 생각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저비용으로 확실히 용접 변형을 억제시키는 기술을 확립하고, 용접 변형이 작은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필릿 용접에 있어서, 용접 변형이 작은 강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접 변형량의 목표치는 종래 강의 1/2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염화물 환경에서의 내식성(도장이 박리되지 않고 또한 도장 결함부에서의 부식이 억제되어 내식성이 유지되는 것(내도장 박리성) 및 도장하지 않았을 때의 내후성을 포함한다)에도 우수한 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검토의 결과, 강판의 화학 조성을 규정함과 함께, 그 금속 조직에 대해서도 규정했다. 실험과 아울러 실시한 열연성 FEM 해석에 의해 얻어진 각 재료 물성치의 독립적인 영향을 나타낸 것을 도 1에 나타낸다. 또, FEM 해석의 계산 조건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1 중, 가로축은 열전도율(흰 동그라미 플롯), 변태점 Ac1(검정 동그라미 플롯), 강도 TS(사각 플롯)이며, 세로축은 각변형량을 나타낸다. 도 1로부터, 강판의 열전도율을 크게 해도 각변형량은 변화가 없고, 변태점이 상승하면 각변형량은 커지며, 강도가 커지면 각변형량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용접 변형은 특히 강도나 변태점에 크게 의존하며, 용접 변형량(각변형량)의 목표치를 종래 강(각변형량은 대략 0.8mm)의 1/2, 즉 0.4mm로 하면, 강도가 너무 높아져 범용 강도 클래스로부터 일탈하게 된다. 범용 강도 클래스로부터의 일탈은, 일반적인 상거래 상의 대상 외가 될 뿐만 아니라, 구조 설계 상의 문제나 용접성의 문제도 병발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범용 강도 클래스에 적합한 상온 강도는 유지한 채로, 고온 강도를 증가시켜 이루어지는 강 종류의 개발을 목표로 했다.
또한, 종래부터 고온 강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Mo는, 합금 비용의 상승에 의해 비용 상승 요인이 되므로, 현실적이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C의 함유량을 줄임과 함께 Nb와 B를 복합하여 함유시키는 것에 주목하여, 다양한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다음의 (a)~(d)에 나타낸 지견을 얻을 수 있었다.
(a) 강도를 범용 강도 범위에 적합시키기 위해, C를 통상 레벨보다도 저하시키고, B를 복합 첨가시킴으로써, 안정되게 570MPa급의 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b) Nb와 B를 복합하여 함유시킴으로써, 고온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Nb를 함유시키지 않으면 고온 강도의 확보는 불충분한 것이 된다. 단, Nb의 함유량은 소량이면 되며, 0.02% 이상이면 고온 강도의 확보를 통해서 용접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c) 강판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인 조건이어도 되지만, 통상 강에 비해, Nb와 B를 복합하여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강은 담금질성이 높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범용 강도 레벨에 적합시키기 위해 고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범용 강도 레벨에 적합시키기 위해서는, 저탄소 베이나이트 조직을 주체로 하는 것이 필수이다. 한편, 저탄소 베이나이트 조직은 고탄소 베이나이트 조직에 비하면 경도가 낮은 만큼, 내변형능은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경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페라이트 조직을 가능한 한 줄일 필요가 있다. 또, 강 조직의 주체가 되는 베이나이트 조직의 경도도 강도 및 내변형능에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베이나이트 조직의 경도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비래염분량이 많은 환경에서의 부식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이러한 환경 하에서는, FeCl3 용액의 건습 반복이 부식의 본질적인 조건이 되어, Fe3 의 가수분해에 의해 pH가 저하된 상태로, 또한 Fe3 가 산화제로서 작용함으로써 부식이 가속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 때의 부식 반응은, 이하에 나타낸 대로이다.
캐소드 반응으로서는, 주로, 다음의 반응이 일어난다.
Fe3 +e-→Fe2 (Fe3 의 환원 반응)
그리고, 이 반응 이외에도, 다음의 캐소드 반응도 병발한다.
2H2O+O2+2e-→4OH-,
2H+2e-→H2
한편, 상기의 Fe3 의 환원 반응에 대해, 다음의 애노드 반응이 일어난다.
애노드 반응: Fe→Fe2 +2e-(Fe의 용해 반응)
따라서, 부식의 총괄 반응은, 다음의 (1) 식 대로이다.
2Fe3 +Fe→3Fe2 ………(1) 식
상기 (1) 식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Fe2 는, 공기 산화에 의해 Fe3 로 산화되고, 생성된 Fe3 는 다시 산화제로서 작용하여, 부식을 가속한다. 이 때, Fe2 의 공기 산화의 반응 속도는 저pH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느리지만, 농후 염화물 용액 중에서는 가속되어, Fe3 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사이클릭한 반응 때문에, 비래염분량이 매우 많은 환경에서는, Fe3 가 항상 계속 공급되어, 강의 부식이 가속되고, 내식성이 현저하게 열화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염분 환경에서의 부식의 메카니즘을 기초로, 다양한 합금 원소의 내후성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 검토한 결과, 하기 (e)~(g)에 나타낸 지견을 얻었다.
(e) Sn은, Sn2 로서 용해되고, 2Fe3 +Sn2 →2Fe2 +Sn4 되는 반응에 의해 Fe3+의 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1) 식의 반응을 억제한다. Sn에는, 또한 애노드 용해를 억제한다는 작용도 있다.
(f) Cu는, 종래부터 비래염분량이 많은 환경에 있어서 내식성 개선 효과의 기본이 되고 있던 원소이며, 비교적 젖는 시간이 긴 환경에 있어서 내식성 개선 효과는 보여진다. 그러나, 염화물 농도가 더 커져, 국부적으로 pH가 낮아지는 환경, 예를 들면 염분이 부착되고, 습도가 변화됨으로써 건습이 반복되어, β-FeOOH가 생성되는 비교적 드라이한 환경에서는, Cu는 오히려 부식을 촉진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g) 이와 같이, Sn을 적극적으로 함유시키고 또한 Cu의 함유량을 억제한 강재는, 높은 내식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내식성이 높기 때문에, 강재에 도장을 행해도, 강재의 부식에 기인하는 도장의 박리가 적어 도장 결함부의 부식을 억제하는 한편, 도막에 의한 방식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장을 한 경우에는, 보다 한층 더 내식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내식성 외에, 도장의 수명을 연장화할 수 있어, 보수 도장 간격을 크게 늘리는 작용도 가진다. 특히, 선박 분야나 교량 분야에서의 내도장 박리성의 개선에 있어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지견을 기초로 하여 완성된 것이며, 그 요지는 하기 (1)~(4)에 나타낸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에 있다.
(1) 질량%로, C: 0.0005% 이상 또한 0.02% 미만, Si: 0.01~0.7%, Mn: 0.1~5.0%, P: 0.05% 이하, S: 0.008% 이하, Cu: 0.2% 미만, Nb: 0.02~0.3%, Al: 0.003~0.1%, N: 0.01% 이하, B: 0.0005~0.004% 및 Sn: 0.03~0.50%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또한, Cu/Sn비가 1 이하인 화학 조성을 가지고,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 조직을 80% 이상 포함하며, 또한, 베이나이트 경도가 비커스 경도로 150~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2) 질량%로, Ti: 0.1% 이하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3) 질량%로, Ni: 3.5% 이하, Cr: 2% 이하, Mo: 0.5% 이하, V: 0.1% 이하 및 Zr: 0.02%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의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4) 질량%로, Ca: 0.004% 이하, Mg: 0.002% 이하 및 REM: 0.002%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의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또한, 강판에서의 용접 변형이 작은 용접 방법이라는 관점에서 본 발명을 고찰하면, 강판에서의 용접 변형은 실질적으로는 용접열영향부(HAZ)에서의 용접 변형이므로, 용접열영향부에 있어서 소정의 요건을 만족한 후에 용접을 하면, 용접 변형 억제능은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접 방법의 관점에서는,
「질량%로, C: 0.0005% 이상 또한 0.02% 미만, Si: 0.01~0.7%, Mn: 0.1~5.0%, P: 0.05% 이하, Cu: 0.2% 미만, S: 0.008% 이하, Nb: 0.02~0.3%, Al: 0.003~0.1%, N: 0.01% 이하, B: 0.0005~0.004% 및 Sn: 0.03~0.50%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강판의 용접 방법이며, 용접 전의 강판에서의 용접열영향부가 되는 부위의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 조직을 80% 이상 포함하고, 또한, 베이나이트 경도가 비커스 경도로 150~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방법.」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물론, 강판이, 질량%로, Ti: 0.1% 이하, Ni: 3.5% 이하, Cr: 2% 이하, Mo: 0.5% 이하, V: 0.1% 이하, Zr: 0.02% 이하, Ca: 0.004% 이하, Mg: 0.002% 이하 및 REM: 0.002%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해도 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재가 되는 강판 전체가 상기의 요건을 만족하도록 제조한 후에 용접해도 되고, 모재가 되는 강판 중 용접하려고 하는 부위(용접열영향부가 되는 부위) 만을 가공하고 그 부위에 대해서 상기의 요건을 만족시킨 후에 용접해도 된다.
그리고, 이 용접 방법은, 용접 변형이 큰 필릿 용접 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필릿 용접은, 겹침 이음, T이음, 십자 이음 등에 있어서 행해지지만, 이 용접 방법은 이음 모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서 특히 큰 용접 변형이 생기는 T이음과 십자 이음에서의 필릿 용접에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확실히 용접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내식성에도 우수한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용접각변형량에 미치는 각 재료 물성치의 영향을 나타낸 FEM 계산 결과이다.
도 2는 FEM 해석의 계산 조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용접각변형량을 평가하는데 이용한 시험편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용접각변형량의 정의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판의 화학 조성 및 금속 조직을 한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A) 강판의 화학 조성
강판의 각 성분의 작용 효과 및 각 성분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하기 대로이다. 또한, 함유량에 관한 「%」는 「질량%」를 의미한다.
C: 0.0005% 이상 또한 0.02% 미만
C는 강도 향상에 가장 유효한 원소이며, 또한 염가의 원소이다. 단, 0.0005% 미만에서는 다른 원소의 병용에 의한 강도 보증이 필요하여, 결과적으로 비용 상승 요인이 된다. 또, 0.02% 이상 함유시키면 강도가 너무 상승하여 범용성을 잃는다. 따라서, C의 함유량은 0.0005% 이상 또한 0.02% 미만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005~0.02%이다. 또한, 강도 범용성의 면에서 바람직한 C의 함유량의 상한은 0.002%이다.
Si: 0.01~0.7%
Si는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단, 0.01% 미만에서는 필요로 하는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또, 0.7%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모재 인성과 용접성 인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Si의 함유량은 0.01~0.7%로 한다.
Mn: 0.1~5.0%
Mn은 강도 확보를 위해 필요한 원소이다. 단, 0.1% 미만에서는 필요로 하는 강도를 확보할 수 없다. 또, 5.0%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용접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Mn의 함유량은 0.1~5.0%로 한다. 과잉한 Mn의 첨가는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로 한다.
P: 0.05% 이하
P는, 불순물로서 강 중에 존재하는 원소이다. P의 함유량이 0.05%를 초과하면, 입계에 편석되어 인성을 저하시킬뿐만 아니라, 용접 시에 고온 균열을 초래하기 때문에, P의 함유량을 0.05% 이하로 한다.
S: 0.008% 이하
S는, 불순물로서 강 중에 존재하는 원소이다. S의 함유량이 0.008%를 초과하면, 중심 편석을 조장하거나, 연신 형상의 MnS가 다량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모재 및 용접열영향부의 기계적 성질이 열화된다. 따라서, S의 함유량의 상한을 0.008%로 한다.
Cu: 0.2% 미만
Cu는, 일반적으로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기초 원소가 되며, 모든 해변 내후성 강이나 내식 강에 첨가되어 있지만, 고비래염분 하의 비교적 드라이한 환경에 있어서는, 오히려 내식성을 저하시킨다. 또 Sn과 공존하면 압연 시에 균열이 생긴다. 따라서, Cu의 함유는 줄일 필요가 있다. 불순물로서 함유된다고 해도, Cu함유량은 0.2% 미만으로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미만이다.
Nb: 0.02~0.3%
Nb는, 고온 중에서 석출 거동을 발현시켜, 고온 강도의 상승을 초래한다. 단, 그 함유량이 0.02% 미만에서는 그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 0.3%를 초과하면 용접열영향부의 인성을 현저하게 해친다. 따라서, Nb의 함유량은 0.02~0.3%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함유량은 0.02~0.18%이다.
Al: 0.003~0.1%
Al은 탈산을 위해서 필수의 원소이다. 탈산을 안정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0.003% 이상의 함유량이 필요하다. 단, 0.1%를 초과하면, 특히 용접열영향부에 있어서 인성이 열화되기 쉬워진다. 이것은, 조대한 클러스터 형상의 알루미나계 개재물 입자가 형성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Al의 함유량은 0.003~0.1%로 한다.
N: 0.01% 이하
N은, 불순물로서 강 중에 존재하는 원소이다. N의 함유량이 0.01%를 초과하면, 모재 인성과 용접열영향부 인성의 악화 원인이 된다. 따라서, N의 함유량의 상한을 0.01%로 한다.
B: 0.0005~0.004%
B는 담금질성을 향상시켜 강도를 높이는 작용이 있다. 이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 B의 함유량은 0.0005%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단, 그 함유량이 0.004%를 초과하면,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포화되고, 또, 모재, 용접열영향부 모두 인성 열화의 경향이 현저해진다. 따라서, B의 함유량은 0.0005~0.004%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함유량은 0.0005~0.0025%이다.
Sn: 0.03~0.50%
Sn은, Sn2 가 되어 용해되고, 산성 염화물 용액 중에서의 인히비터 작용에 의해 부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다. 또, Fe3 를 신속하게 환원시켜, 산화제로서의 Fe3 농도를 저감하는 작용을 가짐으로써, Fe3 의 부식 촉진 작용을 억제하므로, 고비래염분 환경에서의 내후성을 향상시킨다. 또, Sn에는 강의 애노드 용해 반응을 억제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다. 이러한 작용은, Sn을 0.03%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얻어지며, 0.50%를 초과하면 포화된다. 따라서, Sn의 함유량은 0.03~0.50%로 한다. Sn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0.03~0.20%이다.
Cu/Sn비: 1 이하
Sn을 함유하는 강의 경우에는, Cu의 함유에 의한 내식성의 저하가 현저하다. 또, 강재를 제조할 때, Cu의 함유에 의한 압연 균열의 원인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Cu/Sn비, 즉, Sn함유량에 대한 Cu함유량의 비를 1.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강판은, 상기의 화학 조성을 가지며,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불순물이란, 강판을 공업적으로 제조할 때에 광석이나 스크랩 등과 같은 원료를 비롯하여 제조 공정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혼입되는 성분이며, 본 발명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강판은, 상기의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다음의 제1군으로부터 제3군까지 중 적어도 한 군으로부터 선택한 1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하, 이들 군에 속하는 성분에 대해서 서술한다.
제1군의 성분: Ti
Ti: 0.1% 이하
Ti는, 주로 탈산 원소로서 작용하므로,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탈산은 Al에 의해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함유시킬 필요는 없다. 단, Ti함유량이 많은 경우에는 Ti산화물 또는 Ti-Al산화물이 형성되기 때문에, 특히 소(小)입열 용접의 용접열영향부에서의 조직을 미세화하는 능력을 잃어버린다. 이 때문에, 함유시키는 경우의 Ti함유량은 0.1% 이하로 한다. 또한, Ti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탈산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그 함유량을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군의 성분: Ni, Cr, Mo, V, Zr
Ni: 3.5% 이하
Ni는 모재 인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담금질성 향상에 의해 강도 향상에도 기여하는 원소이므로,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Ni는 고가의 원소이기 때문에 Ni를 과대하게 함유시키면 큰 비용 상승 요인이 된다. 또, Sn과 공존하면, 염화물 존재 하에서의 내식성을 열화시킨다. 이 때문에, 함유시키는 경우의 Ni의 함유량의 상한을 3.5%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또한, Ni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상기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그 함유량을 0.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2.0% 이하
Cr은 담금질성의 향상을 통해서 강도를 높이는데 유효한 원소이므로,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2.0%를 초과하면 인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함유시키는 경우의 Cr의 함유량은 2.0% 이하로 한다. Cr은 염분 환경에서는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원소이지만, Sn과 공존시키면, 그 악영향은 현저하게 억제된다. 또한, Cr을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강도 향상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그 함유량을 0.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 0.5% 이하
Mo는 강도를 높이는데 유효한 원소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Mo를 0.5%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비용의 현저한 증가를 초래하며, 또 강도의 향상도 포화된다. 따라서, 함유시키는 경우의 Mo의 함유량은 0.5% 이하로 한다. 또한, Mo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강도 향상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그 함유량을 0.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V: 0.1% 이하
V는 강도 향상에 유효한 원소이므로,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V의 함유량이 0.1%를 초과하면 인성이 크게 열화되므로, 함유시키는 경우의 V함유량은 0.1% 이하로 한다. 또한, V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강도 향상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그 함유량을 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Zr: 0.02% 이하
Zr은 강 중에서 질화물을 미세 분산 석출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0.02%를 초과하여 함유시키면 조대 석출물을 형성하여, 인성을 열화시키므로, 함유시키는 경우의 Zr의 함유량은 0.02% 이하로 한다. 또한, Zr을 함유시키는 것에 의한 강도 향상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Zr의 함유량은 0.0003%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군의 성분: Ca, Mg, REM
Ca: 0.004% 이하
Ca는 강 중의 S와 반응하여 용강 중에서 산황화물(옥시설파이드)을 형성한다. 이 산황화물은 MnS 등의 연신 형상의 개재물과는 상이하며, 압연 가공에서 압연 방향으로 신장되지 않고 압연 후에도 구상이기 때문에, 연신 형상의 개재물의 선단 등을 균열의 기점으로 하는 용접 균열이나 수소 유기 균열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그 함유량이 0.004%를 초과하면 인성의 열화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함유시키는 경우의 Ca의 함유량은 0.004% 이하로 한다. 또한, 용접 균열이나 수소 유기 균열을 억제하는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Ca의 함유량은 0.0003%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g: 0.002% 이하
Mg는 Mg함유 산화물을 생성하여, TiN의 발생핵이 되고, TiN을 미세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그 함유량이 0.002%를 초과하면, 산화물이 너무 많아져 연성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함유시키는 경우의 Mg의 함유량의 상한을 0.002%로 한다. 또한, TiN을 미세 분산시키는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Mg의 함유량은 0.0003%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M: 0.002% 이하
REM은, 용접열영향부의 조직의 미세화나, S의 고정에 기여하므로,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단, 그 함유량이 0.002%를 초과하면, REM은 모재의 인성에 악영향을 주는 개재물이 되므로, 함유시키는 경우의 REM의 함유량을 0.002% 이하로 한다. 또한, 조직의 미세화나 S의 고정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REM의 함유량은 0.0003%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EM이란, 란타나이드의 15 원소에 Y 및 Sc를 합한 17 원소의 총칭이며, 이들 원소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킬 수 있다. 또, REM의 함유량은 이들 원소의 합계 함유량을 의미한다.
(B) 금속 조직
금속 조직의 베이나이트 분율은 80% 이상으로 한다. 베이나이트는 내변형능이 우수하지만, 탄소 함유량이 낮은 강에서는 베이나이트에서의 탄소가 부족하여 저탄소 베이나이트 조직이 되어, 고탄소 베이나이트 조직에 비해 약간 내변형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저탄소강에 있어서 내변형능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량의 베이나이트 조직을 확보하여, 페라이트 과다가 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Nb와 B의 함유를 필수로 한 후에 베이나이트 비율이 80% 이상이면 충분한 내용접 변형 성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베이나이트 조직의 비율을 80% 이상으로 규정한다. 잔부는 페라이트가 주체가 된다고 생각되지만, 특별히 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베이나이트의 경도(비커스 경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도 내변형능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그 하한을 150으로 한다. 또, 너무 단단한 경우에는 강도의 범용성을 해치기 때문에, 그 상한을 250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련된 강판을 얻을 수 있는 압연이나 열처리의 조건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열간 압연에 앞서 우선 강괴를 가열하지만, 이 때의 가열 온도를 Ac3점 이상으로 하면 완전하게 오스테나이트상으로 할 수 있어, 미변태 부분이 없는 상태로 균질화되기 때문에, 가열 온도를 Ac3점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900~120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간 압연 시에 박육단의 압연 마무리 온도를 900℃ 이하로 하면, 결정립이 적당한 크기가 되어, 소재의 파괴 인성이 충분해지기 때문에, 9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연 마무리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강도를 범용 강도 범위에 적합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조건이어도 된다. 또한, 압연 마무리 온도를 700℃ 이상으로 하면, 2상역 가공에 의한 이방성은 눈에 띄지 않게 되기 때문에, 압연 마무리 온도를 7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연에 이어서, 가속 냉각 등도 행해도 된다. 가속 냉각을 행하는 경우에는, 압연 후 즉시 혹은 약간의 방치 시간 후, 중심부의 냉각 속도를 0.5~40℃/s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정지 온도에 대해서는 150~500℃를 기준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압연 후에 열처리를 적절히 실시해도 된다. 열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불림 처리나 뜨임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온도는 각각 800~1100℃, 300~700℃의 온도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관련된 강판의 일례를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조성 성분의 강괴를, 표 2에 나타낸 각각의 가열 온도·마무리 온도·가속 냉각·열처리 조건에서 제조했다. 강판의 판두께는 16mm로 했다.
Figure 112012061566988-pct00001
Figure 112012061566988-pct00002
또, 표 3에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강판의 항복점 YP, 인장 강도 TS, 천이 온도 vTrs, 베이나이트 분율, 베이나이트상의 비커스 경도, 용접각변형량, 판두께 감소량 및 박리 면적율을 각각 나타낸다.
Figure 112012061566988-pct00003
또한, 얻어진 강판의 인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JIS-Z-2201에 기재된 시험 방법에 준하여 시편을 채취했다. 채취 위치는, 판두께 방향의 1/4 부근 및 L방향(압연 방향과 평행)으로 했다. 또한, 항복점은 10N/mm·s의 시험 속도로 하여 하항복점을 구하고, 명확한 항복점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는 0.2% 내력으로 했다. 인장 특성의 목표치는, 항복점 YP가 350N/mm2 이상, 그리고, 인장 강도 TS가 490~720N/mm2로 했다.
또, 얻어진 강판의 충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JIS-Z-2202에 기재된 시험 방법에 준하여 시편을 채취했다. 채취 위치는, 판두께 방향의 1/4 부근 및 L방향(압연 방향과 평행)으로, 2mmV 노치 샤르피 시험편으로 하여, 다양한 온도에서의 취성 파면율을 측정하고, 천이 온도를 구했다. 샤르피 특성의 목표치는 천이 온도가 0℃ 이하인 것으로 했다. 조직 관찰은 광학 현미경으로 행했다. 관찰에 의해 얻어진 이미지를 화상 해석했다. 금속 조직의 베이나이트 분율은, 상기의 관찰법에 의해 얻어진 100시야 관찰 분의 면적에 대한 베이나이트의 면적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구했다.
또한, 필릿 용접에 의한 용접각변형량은 다음의 요령으로 평가를 행했다.
강판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T형의 용접 시험편을 작성하여, 한쪽 측을 삼각형의 강성이 높은 강판으로 구속하고, 반대측을 1패스의 필릿 용접을 실시했다. 사용한 용접 재료는, 일반적인 50킬로강용 용융제 함유 와이어이며, 용접 조건은 10.4kJ/cm(200A-26V-30cm/min)로 했다. 용접 후의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 시험편을 정판 상에 두고, 도 4에 정의하는 각변형량 θ를, 용접 개시 위치·중앙 위치·종단 위치의 3개소에 있어서, 틈새 게이지에 의해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치를 용접각변형량으로 했다. 또한, 이 방법으로 측정한 통상의 범용 50킬로강의 용접각변형량은 대략 1°정도이며, 본 발명의 목표로 하는 용접각변형 레벨은 0.5°이다.
그리고, 내식성에 관해서는, 얻어진 강재로부터 얻은 시험편을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J2334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SAE J2334 시험은, 습윤: 50℃, 100% RH, 6시간, 염분 부착: 0.5% NaCl, 0.1% CaCl2, 0.075% NaHCO3 수용액 침지, 0.25시간, 건조: 60℃, 50% RH, 17.75시간을 1사이클(합계 24시간)로 한 가속 시험이며, 부식 형태가 대기 폭로 시험에 유사하다고 여겨지고 있다(나가노 히루, 야마시타 마사토, 우치다 히토시 저: 환경 재료학, 공립 출판(2004), p.74). 또한, 본 시험은, 비래염분량이 1mdd를 초과하는 혹독한 부식 환경을 모의하는 시험이다.
SAE J2334 시험 120사이클 종료 후, 각 시험편의 표면의 녹층을 제거하고, 판두께 감소량을 측정했다. 여기서, 「판두께 감소량」은, 시험편의 평균의 판두께 감소량이며, 시험 전후의 중량 감소와 시험편의 표면적을 이용하여 산출한 것이다.
또, 내도장 박리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150×70mm의 크기의 시험편에 에어 스프레이에 의해 변성 에폭시 도료(벤노 200: 중국 도료제)를 건조 막두께로 150μm가 되도록 도장하고, 강재 소지에 도달하는 깊이로 크로스컷을 넣고 나서, 마찬가지로 SAE J2334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이 결과, Mark 1-e의 강판(비교예)에 있어서는, 냉각 후의 열처리를 1150℃로 하고, 높은 온도로 불림을 했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베이나이트가 생성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용접각변형량도 커졌다. Mark 1-e의 강판은 용접각변형량이 크기 때문에, 구조용 강판으로서 부적절한 강재이다.
Mark 1-f의 강판(비교예)에 있어서는, 냉각 정지 온도를 120℃와, 비교적 저온까지 담금질했기 때문에, 베이나이트상의 경도가 단단해지고, 인장 강도가 커짐과 함께 인성도 악화되었다. 이 때문에, 구조용 강판으로서는 부적절한 강재이다.
Mark 12-b의 강판(비교예)에 있어서는, 수냉 정지 온도를 120℃로 하고, 비교적 저온까지 담금질했기 때문에, 베이나이트상의 경도가 단단해지고, 인장 강도가 커짐과 함께 인성도 악화되었다. 이 때문에, 이 강재도 구조용 강판으로서는 부적절의 강재이다.
Mark 38의 강판(비교예)에 있어서는, Sn이 본 발명에 규정되는 조성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며, 내식성이 저하되고, 도장의 박리도 많아졌다. 이 때문에, 고염화물 환경 하에서 사용하는 구조용 강재로서는 부적절하다.
Mark 39~44의 강판(비교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규정되는 강 조성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며, 강판 자체의 인성이 저하되었다. 이 때문에, 구조용 강재로서는 부적절하다. 특히, Mark 39의 강판(비교예)에서는, Cu/Sn비가 1을 초과하고 있기 때문에, 압연 균열도 발생했다. 또, Mark 41의 강판(비교예)에서는, Sn이 본 발명에 규정되는 조성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며, 내식성이 저하되고, 도장의 박리도 많아졌다.
이에 반해, 그 외의 Mark로 나타낸 본 발명예에 관련된 강판에 있어서는, 모두 인장 특성이, 항복점 YP가 350N/mm2 이상, 그리고, 인장 강도 TS가 490~720N/mm2급의 범용 강이며, 천이 온도 vTrs, 베이나이트 분율, 베이나이트상의 비커스 경도도 적정 범위에 있으며, 용접각변형량도 목표의 0.5° 이내에 들어가 있으므로, 구조용 강판으로서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높은 내식성도 가지고 있어, 도장한 경우의 크로스컷부에 부식은 보여졌지만 어느 강판에서도 박리도 적기 때문에 도장의 보수 간격을 늘릴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확실히 용접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질량%로, C: 0.0005% 이상 또한 0.02% 미만, Si: 0.01~0.7%, Mn: 0.1~5.0%, P: 0.05% 이하, S: 0.008% 이하, Cu: 0.2% 미만, Nb: 0.02~0.3%, Al: 0.003~0.1%, N: 0.01% 이하, B: 0.0005~0.004% 및 Sn: 0.03~0.50%를 포함하고, 잔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또한, Cu/Sn비가 1 이하인 화학 조성을 가지고, 금속 조직이 베이나이트 조직을 80% 이상 포함하며, 또한, 베이나이트 경도가 비커스 경도로 150~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판두께 15mm 이상 50mm 이하의 강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질량%로, Ti: 0.1% 이하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판두께 15mm 이상 50mm 이하의 강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질량%로, Ni: 3.5% 이하, Cr: 2.0% 이하, Mo: 0.5% 이하, V: 0.1% 이하 및 Zr: 0.02%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판두께 15mm 이상 50mm 이하의 강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질량%로, Ni: 3.5% 이하, Cr: 2.0% 이하, Mo: 0.5% 이하, V: 0.1% 이하 및 Zr: 0.02%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판두께 15mm 이상 50mm 이하의 강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량%로, Ca: 0.004% 이하, Mg: 0.002% 이하 및 REM: 0.002%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판두께 15mm 이상 50mm 이하의 강판.
KR1020127020258A 2010-02-18 2011-02-08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KR101442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33837 2010-02-18
JPJP-P-2010-033837 2010-02-18
PCT/JP2011/052573 WO2011102259A1 (ja) 2010-02-18 2011-02-08 溶接変形が小さく耐食性に優れた鋼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516A KR20120099516A (ko) 2012-09-10
KR101442366B1 true KR101442366B1 (ko) 2014-09-17

Family

ID=4448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258A KR101442366B1 (ko) 2010-02-18 2011-02-08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92397B2 (ko)
KR (1) KR101442366B1 (ko)
CN (1) CN102762756B (ko)
WO (1) WO20111022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4766B (zh) * 2022-03-04 2023-04-11 武安市裕华钢铁有限公司 一种Ni-RE系耐腐蚀低碳热轧钢带及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602A (ja) * 1998-03-23 1999-10-05 Kawasaki Steel Corp 材質ばらつきが少なくかつ溶接部低温靱性に優れた高強度高靱性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64294A (ja) 2004-03-22 2005-09-29 Jfe Steel Kk 材質のばらつきが少なく溶接部熱影響部の靱性に優れた鋼材
JP2005290554A (ja) 2004-03-11 2005-10-20 Nippon Steel Corp 被削性と靭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02198A (ja) * 2004-06-16 2006-01-05 Nippon Steel Corp 溶接歪の少ない鋼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9792A (ja) * 1999-02-25 2000-09-05 Nippon Steel Corp 低降伏比型耐火用熱延鋼板及び鋼管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4013505B2 (ja) * 2000-11-27 2007-11-2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極低炭素薄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5157749B2 (ja) * 2008-08-25 2013-03-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接変形が小さい鋼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602A (ja) * 1998-03-23 1999-10-05 Kawasaki Steel Corp 材質ばらつきが少なくかつ溶接部低温靱性に優れた高強度高靱性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0554A (ja) 2004-03-11 2005-10-20 Nippon Steel Corp 被削性と靭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64294A (ja) 2004-03-22 2005-09-29 Jfe Steel Kk 材質のばらつきが少なく溶接部熱影響部の靱性に優れた鋼材
JP2006002198A (ja) * 2004-06-16 2006-01-05 Nippon Steel Corp 溶接歪の少ない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62756A (zh) 2012-10-31
CN102762756B (zh) 2014-04-02
JPWO2011102259A1 (ja) 2013-06-17
JP5392397B2 (ja) 2014-01-22
KR20120099516A (ko) 2012-09-10
WO2011102259A1 (ja)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6542B2 (ja) ボルト用鋼およびそれを用いた橋梁
JP4924775B2 (ja) 溶接変形が小さく耐食性に優れた鋼板
JP5531937B2 (ja) 耐水素誘起割れ性、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厚鋼板
JP4844197B2 (ja) 耐候性、耐塗装剥離性に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5163310B2 (ja) 耐食性およびz方向の靭性に優れた鋼材の製造方法
JP5879758B2 (ja) 耐食性に優れた鋼材
JP5233829B2 (ja) 海浜耐候性に優れた鋼材と構造物
JP4924774B2 (ja) 耐疲労亀裂進展特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鋼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130123432A (ko) 내후성이 우수한 강재
JP2002180187A (ja) 日陰耐候性に優れた高強度・高靱性耐候性鋼
JP5644522B2 (ja) 海洋構造物用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18637A (ko) 구조용 강재 및 구조물
JP5556632B2 (ja) 耐食性に優れた低降伏比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42366B1 (ko) 용접 변형이 작고 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JP3524790B2 (ja) 塗膜耐久性に優れた塗装用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23459B1 (ko) 용접 구조용 강재
WO1999066093A1 (fr) Materiau en acier resistant aux intemperies
JP3846218B2 (ja) 耐候性に優れた構造用鋼
JP2002053929A (ja) 高耐候性鋼材
JP7261364B1 (ja) 鋼板
JP7327444B2 (ja) 厚鋼板、厚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構造物
TWI808555B (zh) H形鋼
JP2023112979A (ja) 鋼材
JP2021161458A (ja) 耐火性および塗装耐食性に優れた構造用鋼材および構造物
JP2024014856A (ja) 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