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436B1 - Method for constructing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which combined tension applied typ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ng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which combined tension applied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436B1
KR101440436B1 KR1020130113245A KR20130113245A KR101440436B1 KR 101440436 B1 KR101440436 B1 KR 101440436B1 KR 1020130113245 A KR1020130113245 A KR 1020130113245A KR 20130113245 A KR20130113245 A KR 20130113245A KR 101440436 B1 KR101440436 B1 KR 101440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c
psc girder
girder
tension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정완
심재일
최정규
한상희
Original Assignee
지엘콘(주)
지엘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콘(주), 지엘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엘콘(주)
Priority to KR102013011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4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4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inuous construction of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adopting a composite tension method to be able to easily secure working space because of working for fixing continuous PC steel wire in cross beams in second tension as efficiently decreasing negative moment after manufacturing a PSC girder adopting a pretension method, and applying second PC steel wire and continuous PC steel wire at the same time in a continuation process, to effectively resist a shearing force applied to a bridge as a shearing key part is formed on a binding face, and to structurally stabilize point parts because tension can be controlled in or before a step for placing an upper-part structure of the bridge by a tension controlling means; and to a 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 constructed thereby.

Description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교{Method for constructing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which combined tension applied typ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having a plurality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s,

본 발명은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의 연속화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교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텐션 방식을 채용하여 PSC거더를 제작하고, 연속화과정에서 2차 PC강선과 연속화 PC강선을 동시에 적용하여, 부모멘트를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2차 인장시 가로보에서 연속화 PC강선을 정착시키는 작업을 하므로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접합면에 전단키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교량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교량상부구조물 타설단계 또는 타설전에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지점부를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employing a complex tension system and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SC girder is manufactured by employing the pre-tension method, and the secondary PC steel wire and the sequential PC steel wire are simultaneously applied in the sequencing process,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momentum. Since the sequential PC steel wire is fixed at the secondary beam when the secondary tension is applied, the work space can be secured easily, and the shear force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shear force applied to the brid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inuously applying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tension before or during the pouring of a structure and structurally stabilizing the fulcrum portion.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압축 응력에 대한 저항 강도는 우수하지만 인장응력에 대한 저항 강도는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가지므로, 콘크리트 거더를 제작할 때, 거더에 작용하는 고정하중이나 활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콘크리트 거더의 중앙하부에 대한 인장응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Generally, concrete has excellent resistance strength against compressive stress, but resistance strength against tensile stress is very weak. Therefore, when concrete girder is manufactured, Should be considered.

이를 위하여, 콘크리트 거더에 강연선을 설치하고 긴장 정착하여 콘크리트에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콘크리트 거더 시공 후 거더에 작용하는 고정하중이나 활하중에 의한 인장 응력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fixed load acting on the girder after the concrete girder construction and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live load by introducing the prestress into the concrete by installing the stranded wire in the concrete girder and fixing it by tension.

종래 강연선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PSC 거더는 일정크기로 제작된 거더 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하고 강연선이 내설된 쉬스관을 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철근 콘크리트 거더가 소정의 강도를 발현되도록 양생되면, 쉬스관 내에 내설된 강연선을 촐근콘크리트 거더의 일측 단부에서 긴장하고 정착시킴으로써 제작이 완료된다. The conventional PSC girder introducing the prestress by the strand of strand is constructed by placing reinforcing bars in a girder formwork of a predetermined size and installing a sheath tube in which a stranded wire is embed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When the cement is cured so as to exhibit a predetermined strength, the stranded wire embedded in the sheath tube is tightened and fixed at one end of the cemented concrete girder.

따라서 종래의 단순보 교량 형식의 교량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PSC 거더가 유용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PSC girder has been usefully used in the conventional simple bridge type bridge.

그러나, 종래 단순보 형식의 교량이라고 하더라도 교량상부 구조물의 바닥판 콘크리트에 의하여 연속화됨에 따라 연속화되는 부분이 부모멘트에 의해서 파손되는 일이 많이 발생하여 보수비용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교통에 큰 불편을 주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근래에는 부모멘트를 감소시키면서 교령을 연속화시키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However, eve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imple beam type bridge, since the continuous portion of the bridges is continuously damaged by the bottom plate concrete of the bridge superstructure, damage to the continuous portion is often caused by the momentum, which increases the maintenance cost. Due to the problem of giving, there has been a recent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of continuing the decrees while decreasing the momentum.

도 1은 종래 연속화된 PSC 거더교(1)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a는 도 1의 A-A 단면도를, 도 2b는 도 1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c는 도 1의 C-C 단면도를, 도 2d는 도 1의 D-D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shows a side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tinuous PSC girder 1. 2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FIG. 2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FIG. 2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 and FIG. 2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in FIG.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C 거더(100) 제작단계에서 1차 PC 강선(2)을 통해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다수의 PSC 거더(100)를 교대(3), 교각(4)에 거치시킨 후, PSC 거더 제작단계에서 설치된 중앙부에서 오목한 곡선이 되도록 2차 긴장용 쉬스관(110)에 2차 PC강선(111)을 내입, 연결하여 긴장 후, 정착부에 정착하게 됨으로써, 다수의 PSC 거더를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A to 2D, when a PSC girder 100 is manufactured, a prestress is introduced through a primary PC steel wire 2, and a plurality of PSC girders 100 are alternately disposed 3, The secondary PC steel wire 111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sheath pipe 110 for secondary tension so as to have a concave curved line at the central portion installed in the PSC girder manufacturing step, , 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PSC gird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러나, 종래의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PSC 거더 제작단계에서 포스트텐션방식을 적용하므로, PC강선 정착부가 소요되어 자재소모량이 많은 문제가 존재하고, 2차 긴장용 쉬스관에 2차 PC 강선을 내입, 긴장하는 것만으로는 지점부 부근의 부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존재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경간의 연속화일 때는 1단 긴장으로 시공이 가능하지만, 2경간 이상의 연속화된 교량에서는 곡선 구간이 많아져 곡선 구간 때문에 연속화 강연선의 효율적인 긴장이 불가능하여 시공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시공자체가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employing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post tension method is applied at the stage of manufacturing the PSC gird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C steel wire fixing part takes up a large amount of material consumption, and the secondary PC steel wir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 There is a problem that tension is not enough to reduce the momentum near the fringe part. As shown in Fig. 1, when the two spans are continuou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springs with one tread. However, It is impossible to effectively tense the continuous stranded wire due to the curved section because the curved section is increased in the bridged bridges.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거치 후, 한 번의 긴장에 거더를 연속화하게 되므로, 후에 보수 보강을 위한 긴장 재도입이 불가능하고, 교량상부구조물을 타설하는 과정, 타설하기 전에, 장력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girders are continuously subjected to one tension after the installation, it is impossible to reintroduce tensions for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thereafter, and a problem that the tension can not be adjusted Respectivel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70574호Korean Patent No. 077057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0144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144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27500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27500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 텐션 방식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현장에서 PSC 거더 제작시에는 자재소모가 적은 프리텐션 방식으로 PSC 거더를 제작하고, PSC 거더에 활하중에 대응하는 2차 긴장이나 연속화 긴장 및 유지관리용 긴장 등은 포스트텐션 방식을 적용하여 경제성과 시공성 및 효율성을 확보하면서 2차 긴장이나 연속화 인장 및 유지관리용 긴장을 도입할 수 있는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tensioning method and a post-tensioning method, The PSC girder is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post tension method to the secondary tension, continuous tension and maintenance tension corresponding to the live load on the PSC girder, while securing economical efficiency, workability and efficiency while securing secondary tension or continuous tension and maintena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employing a composite tension system capable of introducing management tension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SC 거더 단부 측면에서 돌출된 철근과 가로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가로보를 주부재로 하고 가로보에 연속화 PC 강선을 정착시킴으로써 2 경간 이상의 다수개의 경간을 가진 교량에도 용이하게 2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연속화할 수 있고, 가로보를 주부재로 사용함으로써 저항단면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거더의 폭과 형고를 줄일 수 있으며, 연속화시 교각 상부에 거더 설치 후 연속화를 위하여 2차 인장시 가로보에서 연속화 PC강선을 정착시키는 작업을 하므로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한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a reinforcing bar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end of the PSC girder integrally with the beam, and by using the beam as the main member and fixing the continuous PC steel wire to the beam, The girder width and the girder height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section modulu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ross section by using the cross beams as the main part. Since the work of fixing the continuous PC steel wire is carried o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time of pull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employing the complex tension method which can secure the work space.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접합면에 전단키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교량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uccessively installing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that employs a composite tension system that can effectively resist a shear force applied to a bridge by forming a shear-key portion on a joint surface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력조절수단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연결강봉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인장력을 부여하게 되면, 연결강봉을 매립 고정하고 있는 PSC 거더는 원상태를 유지하려고 압축력이 도입되는데, 이 압축력은 PSC 거더 상부에 가해지는 자중 및 상부하중에 의한 부(-)모멘트로 인해 발생된 PSC 거더 상부의 인장력이 발생할 때, 이를 수평방향으로 상쇄시켜 지점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줄이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지점부를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nsile force or the compressive force can be given to the connecting rod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he PSC girder, The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SC girder when the tensile force is gene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SC girder due to the weight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SC girder and the negative moment caused by the upper loa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employing a composite tension system capable of structurally stabilizing a fulcrum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점부의 PSC 거더에 선행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한 연결강재를 PSC거더 상부면에 배치함으로써 연결강재의 프리스트레스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연결강재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정착장치를 반복사용할 수 있어 긴장력 도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for introducing the preceding compressive force to the PSC girder of the fulcrum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SC girder, thereby increasing the prestressing efficiency of the connecting steel, It is possible to use the apparatus repeatedly so as to provide a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employing a composite tension system capable of reducing the cost due to introduction of a tension force.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거푸집 내에 프리텐션 방식으로 1차 PC 강선를 긴장시키고,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오목한 곡선이 되도록 2차 긴장용 쉬스관과 연속화용 쉬스관 및 유지관리용 쉬스관을 배치하고, 일측 단부의 측면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단부 측면에 설치될 가로보의 철근과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단부 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연속화 PC 강선을 상기 연속화용 쉬스관에 내설하여 상기 인출공으로 상기 연속화 PC 강선을 일정길이 인출시켜 PSC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다수의 PSC 거더를 교각, 교대 상부의 설치위치에 거치시키는 단계; 2차 긴장용 쉬스관에 2차 PC 강선를 내입하여 다수의 PSC 거더를 가연결하는 단계; 상기 PSC 거더의 단부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철근과 상기 가로보에 설치되는 철근을 연결하고, 상기 인출공에서 인출되는 상기 연속화 PC강선을 상기 가로보 내에 교차 매립하면서 상기 연속화 PC 강선의 정착을 위하여 상기 가로보의 단부에서 일정길이 노출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로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보 양생과정에서 상기 2차 PC 강선을 긴장, 정착하여 PSC 거더를 연결하는 단계; 교량 상부 구조물을 타설하는 단계; 상기 연속화 PC 강선을 긴장 후 상기 가로보 일측에 정착하여 2차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는 단계; 공용중 유지관리 필요시, 상기 PSC 거더에 매입된 유지관리용 쉬스관에 유지관리용 PC 강선을 삽입 후,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PSC 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a sheath tube for secondary tension, a sheath tube for continuous use and a sheath tube for maintenance so as to tense the primary PC steel wire in a pre- A plurality of projecting reinforcing bars projec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s of the reinforcing bar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of the beams to b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ide walls, Forming a PSC girder by draw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continuous PC steel wire through the draw-out hole in a sheath pipe for manufacturing; Placing a plurality of manufactured PSC girders a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pier and an upper portion of an alternation; A step of inserting a secondary PC steel wire into a sheath pipe for secondary tension and combusting a plurality of PSC girders; And connecting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s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end of the PSC girder to the reinforcing bars provided on the cross beams and filling the continuous PC steel wire drawn out from the draw- A step of expos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an end of the beam and installing a concrete beam to form a beam; Connecting the PSC girder by tensioning and fixing the secondary PC steel wire in the cross beam curing process; Cast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Fixing the sequential PC steel wire to one side of the cross bar after straining to introduce a secondary prestress; And a step of tensioning the PC steel wire for maintenance into the maintenance sheath pipe embedded in the PSC girder when the common maintenance management is required and then post tensioning the PS steel girder.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PSC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연결강봉을 고정하여 상기 연결강봉의 자유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PSC 거더를 제작하고,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을 타설하는 단계 전에, 연결된 상기 PSC 거더에 노출되게 고정된 이웃하는 상기 연결강봉들을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력조절수단으로 결속하는 단계; 상기 연결강봉을 결속하는 장력조절수단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결속 이음된 연결강봉을 인장 또는 압축시켜 PSC 거더의 압축력 또는 인장력의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장력조절수단이 위치한 PSC 거더 사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PSC girder, the PSC girder is manufactured such that the connecting rod is fixed to one end or both ends to expose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before the bridge superstructure is laid, Binding the adjacent connecting rods fixed to be exposed to the girder by tension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Adjusting a compressive force or a tensile force of the PSC girder by selectively tensioning or compressing the jointed steel rods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steel rods; And placing the concrete between the PSC girder where the tension adjusting means is installed and embedding it.

그리고,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을 타설하는 단계는, 바닥판 콘크리트 하중으로 인한 휨 모멘트 변곡점에 위치한 PSC 거더 상연에 정착장치를 설치하고, 각각의 정착장치에 연결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이웃하는 상기 연결강봉들을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력조절수단으로 결속하는 단계; 상기 연결강봉을 결속하는 장력조절수단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결속 이음된 연결강봉을 인장 또는 압축시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의 조절하는 단계; 및 정착장치가 설치된 곳을 제외한 구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시공하고, 바닥판 콘크리트의 양생이 끝난 다음 정착장치 후면에서 상기 연결강재를 절단하여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tep of install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may include installing a fixing device on a PSC girder located at an inflection point of a bending moment caused by a load of a bottom plate concrete, and installing a connecting steel material in each fixing device; Binding the neighboring connecting rods with a tension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Selectiv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for clamping the connecting steel bar to adjust the compressive force or the tensile force by tensioning or compressing the connected steel bar; And install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in a section excluding the place where the fixing device is installed and cutting and fixing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at the rear side of the fixing device after the curing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finished.

또한, 상기 PSC 거더의 접합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볼록키가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PSC 거더의 접합면에 상기 볼록키에 대응하는 키홈이 형성되어 서로 일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PSC gird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ball rock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joint surface of the PSC girder and a key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all rocker is form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PSC girder opposite to the joint, .

그리고, 상기 PSC 거더의 일측 단부 측면에 형성된 인출공에는 절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a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lead-out hole formed on one side end surface of the PSC girder.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앞서 언급한 제1목적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교로서 달성될 수 있다. As another category,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as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 manufactur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object mentioned above.

따라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프리텐션 방식과 포스트 텐션 방식의 장점만을 취합하여, 현장에서 PSC 거더 제작시에는 자재소모가 적은 프리텐션 방식으로 PSC 거더를 제작하고, PSC 거더에 활하중에 대응하는 2차 긴장이나 연속화 긴장 및 유지관리용 긴장 등은 포스트텐션 방식을 적용하여 경제성과 시공성 및 효율성을 확보하면서 2차 긴장이나 연속화 인장 및 유지관리용 긴장을 도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PSC girder is manufactured by pre-tensioning method in which only the advantages of the pre-tensioning method and the post-tensioning method are combined, The PSC girder can be applied to the secondary tension, continuous tension, and maintenance tension by applying the post tension method to guarantee the economical efficiency, the workability and the efficiency, and to introduce the tension for secondary tension or continuous tension and maintenance Effect.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SC 거더 단부 측면에서 돌출된 철근과 가로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가로보를 주부재로 하고 가로보에 연속화 PC 강선을 정착시킴으로써 2 경간 이상의 다수개의 경간을 가진 교량에도 용이하게 2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연속화할 수 있고, 가로보를 주부재로 사용함으로써 저항단면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거더의 폭과 형고를 줄일 수 있으며, 연속화시 교각 상부에 거더 설치 후 연속화를 위하여 2차 인장시 가로보에서 연속화 PC강선을 정착시키는 작업을 하므로 작업공간 확보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Second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 protruded from the side of the end of the PSC girder integrally with the beam, and by using the beam as the main member and fixing the continuous PC steel wire to the beam, The girder width and the girder height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section modulu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ross section by using the cross beams as the main part. It is easy to secure the work space since it is necessary to fix the sequential PC steel wi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uring pulling.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접합면에 전단키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교량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i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ear-key portion is formed on the joint surface, thereby having an advantage that the shear force applied to the bridge can be effectively resisted.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력조절수단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연결강봉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인장력을 부여하게 되면, 연결강봉을 매립 고정하고 있는 PSC 거더는 원상태를 유지하려고 압축력이 도입되는데, 이 압축력은 PSC 거더 상부에 가해지는 자중 및 상부하중에 의한 부(-)모멘트로 인해 발생된 PSC 거더 상부의 인장력이 발생할 때, 이를 수평방향으로 상쇄시켜 지점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줄이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지점부를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Fourth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nsile force or the compressive force can be given to the connecting steel bar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he PSC girder, The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SC girder when the tensile force is gener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SC girder due to the weight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SC girder and the negative moment caused by the upper load, So that it has the effect of structurally stabilizing the fulcrum portion.

다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점부의 PSC 거더에 선행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한 연결강재를 PSC거더 상부면에 배치함으로써 연결강재의 프리스트레스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연결강재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정착장치를 반복사용할 수 있어 긴장력 도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Fif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for introducing the preceding compressive force to the PSC girder of the fulcrum portion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SC girder, thereby increasing the prestressing efficiency of the connecting steel, It is possible to use the apparatus repeatedly,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introducing the tension force.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PSC 거더교의 측단면도,
도 2a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2b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2c는 도 1의 C-C 단면도,
도 2d는 도 1의 D-D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SC 거더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SC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SC 거더를 교대, 교각에 거치하고, 2차 긴장용 쉬스관에 2차 PC 강선을 연결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지점부 부근의 부분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보가 형성된 상태의 지점부 부근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보가 형성된 PSC 합성 거더교의 측면도,
도 10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점부 부근의 부분 측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연결강봉을 결속하기 전 상태의 부분 측면도,
도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연결강봉을 결속한 초기상태의 부분 측면도
도 10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이 연결강봉을 인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10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아웃홈에 콘크리트를 매설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SC 거더 상부 일측에 정착장치를 설치하고, 연결강봉을 장착하고 연결강봉 사이에 장력조절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측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를 제외한 부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
도 1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를 탈착하고, 연결강봉을 정착하고, 나머지 부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교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SC girder bridge,
2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FIG. 2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
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1,
FIG. 2D is a DD sectional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SC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ide views of a PS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a PSC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condary PC steel wire is connected to a sheath tube for a secondary tension,
Fig. 7 is a partial side view in the vicinity of the fulcrum of Fig. 6,
8 is a plan view of a vicinity of a fringe portion in a state where a cross bar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view of a PSC composite girder bridge having a beam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vicinity of a fulcrum portion in a state where a tension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10B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state before the tension adjusting means binds the connecting steel b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C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tension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inds the connecting steel bar
FIG. 10D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ulls the connecting steel bar,
FIG. 10E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embedded in a block-out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is a partial side view of a PSC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xing devic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PSC girder, a connecting rod is installed, tension adjusting means is installed between connecting rods,
FIG. 11B is a partial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bottom plate concrete is installed in a portion except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C is a partial side view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a fixing device is detached, a connecting steel bar is fixed, and a bottom plate concrete is installed in the remaining part.
12 is a side view of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이하 PSC 거더) 교량의 구성 및 연속화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PSC girder) bridge construction and a sequentia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PSC 거더(100)의 연속화 시공방법은, 거푸집 내에 프리텐션 방식으로 1차 PC강선(2)를 긴장시키고,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오목한 곡선이 되도록 2차 긴장용 쉬스관(110)과 연속화용 쉬스관(130) 및 유지관리용 쉬스관(120)을 배치하고, 일측 단부의 측면에 인출공(132)이 형성되고, 단부 측면에 설치될 가로보(200)의 철근과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단부 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철근(140)을 철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연속화 PC강선(131)을 상기 연속화용 쉬스관(130)에 내설하여 상기 인출공(132)으로 상기 연속화 PC강선(131)을 일정길이 인출시켜 PSC 거더(100)를 제작하는 단계; A method of successive construction of a PSC girder (100) employing a composite ten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imary PC steel wire (2) is tensed in a pre-tensioning manner and a curved line A sheath tube for secondary tension 110, a sheath tube 130 for continuous use and a sheath tube 120 for maintenance are arranged so that the outgoing hole 132 is formed at the side of one side end, A plurality of protruding reinforcing bars 140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nd sides integrally with the reinforcing bars of the side beams 200 are pierced to pour concrete and a continuous PC steel wire 131 is inserted into the continuous sheathing pipe 130, And pulling out the continuous PC wire 131 by a predetermined length with the drawing hole 132 to manufacture the PSC girder 100;

제작된 다수의 PSC 거더(100)를 교각(4) 또는 교대(3) 상부의 설치위치에 거치시키는 단계; 2차 긴장용 쉬스관(110)에 2차 PC강선(111)를 내입하여 다수의 PSC 거더(100)를 가연결하는 단계; Mounting a plurality of manufactured PSC girders (100) at installation positions above the piers (4) or alternations (3); Inserting a secondary PC steel wire (111) into the secondary sheathing sheath pipe (110) to combust the plurality of PSC girders (100);

상기 PSC 거더(100)의 단부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철근(140)과 상기 가로보(200)에 설치되는 철근을 연결하고, 상기 인출공(132)에서 인출되는 상기 연속화 PC강선(131)을 상기 가로보(200) 내에 교차 매립하면서 상기 연속화 PC강선(131)의 정착을 위하여 상기 가로보(200)의 단부에서 일정길이 노출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로보(200)를 설치하는 단계;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 14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SC girder 100 and the reinforcing bars provided on the beam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C steel wire 131 drawn out from the through hole 132 is connected Installing a beam 200 by expos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an end of the beam 200 and placing concrete thereon to fix the continuous PC wire 131 while being embedded in the beam 200;

상기 가로보(200) 양생과정에서 상기 2차 PC강선(111)을 긴장, 정착하여 PSC 거더(100)를 연결하는 단계; Connecting the PSC girder (100) by tensioning and fixing the secondary PC steel wire (111) during the curing of the beam (200);

교량 상부 구조물(400)을 타설하는 단계; Cast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400);

상기 연속화 PC강선(131)을 긴장 후 상기 가로보(200) 일측에 정착하여 2차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는 단계; 및Fixing the continuous PC wire 131 to one side of the beam 200 and introducing a secondary prestress; And

공용중 유지관리 필요시, 상기 PSC 거더(100)에 매입된 유지관리용 쉬스관(120)에 유지관리용 PC 강선을 삽입 후,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And inserting the PC steel wire for maintenance into the maintenance sheath pipe 120 buried in the PSC girder 100 when the joint maintenance management is required, and then tensing in the post tension manner.

이하에서는 각 단계별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SCPSC 거더Girder 제작단계 Production stag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SC 거더(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면에 볼록키(141)가 형성된 PSC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면에 홈키가 형성된 PSC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SC gir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PSC with a ball lock key 141 formed on a contac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a PSC having a groove on a contac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SC 거더(100)를 제작하는 단계는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내에 몸체 길이방향으로 1차 PC강선(2)을 설치하고, 프리텐션 방식으로 다수의 1차 PC강선(2)을 긴장시켜 1차 PC 강선 정착부에 1차 PC강선(2)을 정착시켜, 1차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게 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5, the PSC girder 100 is manufactured by first providing a primary PC steel wire 2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 a formwork, It is understood that the primary PC steel wire 2 is fixed to the primary PC steel wire fixing part by tensioning the secondary PC steel wire 2 to introduce the primary prestress.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오목한 곡선이 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2차 긴장용 쉬스관(110)을 설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역시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오목한 곡선이 되도록 2개의 연속화용 쉬스관(130)을 설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오목한 곡선이 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지관리용 쉬스관(120)을 설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3 to 5, it can be seen that at least one or more secondary sheathing tubes 110 are provided so as to have a concave curve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so, two continuous sheath pipes 130 are provided so as to have a concave curve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milarly, at least one maintenance sheath tube 120 is provided so as to have a concave curve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지점부의 접촉면이 될 일측면의 상부측에 블록아웃홈(160)이 형성되고, 접촉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볼록키(141)(도 4) 또는 키홈(142)(도 5)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의 측면에 인출공(132)이 형성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과정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측면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철근(140)을 배근하게 된다. 이러한 돌출철근(140)은 후에 설치될 가로보(200)의 철근과 일체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4) or a key groove 142 (FIG. 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act surface, and the block groove 16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ne side to be the contact surface of the fulcrum , And the concrete is laid so that the draw-out hole (13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one end por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to 5, a protruding reinforcing bar 140 protruding laterally i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ncrete in the concrete installation process.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 14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of the cross bar 200 to be installed later.

그리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화 PC강선(131)을 연속화용 쉬스관(130)에 내입하여 인출공(132)으로 일정길이 인출시키게 된다. 3 to 5, the continuous PC steel wire 131 is inserted into the continuous sheath pipe 130 and drawn out to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take-out hole 132 after the concrete is laid.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PSC 거더(100) 내의 연속화용 쉬스관(130)에 내설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속화 PC강선(131)을 설치하여 PSC 거더(100)를 제작하되, 이러한 연속화 PC강선(131)을 PSC 거더(100)의 일측 단부의 절결부(133)에 형성된 인출공(132)으로 연속화 PC강선(131)을 일정길이 인출시키게 된다. That 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SC girder 100 is manufactured by installing at least two continuous PC steel wires 131 installed in the continuous sheath pipe 130 in the PSC girder 100, The PC steel wire 131 is drawn out to a certain length by the lead-out hole 132 formed in the notch 133 at one end of the PSC girder 100.

인출공(132)에서 연속화 PC강선(131)을 일정길이 인출하는 것은 인출된 연속화 PC강선(131)을 PSC 거더(100)의 단부에 설치될 가로보(200)에 매립하여 가로보(200)를 양생한 후, 인출된 연속화 PC강선(131)을 긴장하고, 가로보(200) 일측에 정착시켜 2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The pulling out of the continuous PC wire 131 from the take-out hole 132 is carried out by burying the withdrawn serial PC wire 131 into the beam 200 to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SC girder 100, The tensioned continuous PC steel wire 131 is tension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beam 200 to introduce a secondary prestress.

PSC 거더(100)의 일측 단부 측면의 절결부(133)에 형성된 인출공(132)에서 일정길이 인출된 연속화 PC강선(131)을 임시고정하기 위하여 인출공(132) 바로 앞쪽에서 인출된 연속화 PC강선(131)의 쉬스관(130)을 제거하고, 연속화 PC강선(131) 만을 인출한 후, 연속화용 쉬스관(130)이 제거된 연속화 PC강선(131)을 정착구로 임시 고정할 수도 있는데, 상기에서 연속화 PC강선(131)을 임시고정하는 이유는 작업중 PSC 거더(100)에서 강연선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교각(4)상부에서 PSC 거더(100)가 거치되면 연속화 PC강선(131)에 다시 연속화용 쉬스관(130)을 씌운 후 가로보(200)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PSC 거더(100)의 일측 단부 측면의 인출공(132) 위치에 절결부(133)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절결부(133)는 연속화 PC강선(131)을 가로보(200)에 매립시 과도하게 구부러져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serial PC cable 131 drawn out from the right front side of the drawing hole 132 for temporarily fixing the serialized PC steel wire 131 drawn out of the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drawing hole 132 formed in the cutout 133 on one side end side of the PSC girder 100, The sheath pipe 130 of the steel wire 131 may be removed and only the continuous PC steel wire 131 may be pulled out and then the continuous PC wire 131 may be temporarily fixed to the fixing hole without the continuous sheath pipe 130. However, The reason for temporarily fixing the continuous PC steel wire 131 is to prevent the stranded wire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PSC girder 100 during the operation. When the PSC girder 100 is mounted on the pier 4, After the continuous sheath pipe 130 is covered with the concrete, the concrete pipe 200 is put in place. The notch 133 may be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lead-out hole 132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PSC girder 100. The notch 133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cross bar 200 To prevent excessive bending and bending during embedding.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PSC 거더(100)의 일단부에 연결강봉(150)을 고정하여 연결강봉(150)의 자유단부가 노출되도록 PSC 거더(100)를 제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결강봉(150)은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점부에서의 압축력과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3 to 5, in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the connecting rod 150 is fixed to one end of the PSC girder 100 so that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rod 150 is exposed to the PSC girder 100 100) can be fabricated. The connecting rod 150 is for adjusting the compressive force and the tensile force at the fulcrum por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PSCPSC 거더Girder 거치 단계; Mounting stage;

상기의 방식으로 제작된 PSC 거더(100)를 현장으로 운반한 후, 교대(3), 교각(4) 상부에 거치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접촉면에 형성된 볼록키(141)가 도 5에 도시된 키홈(142)에 삽입되어 서로 일치되도록 접촉되어 거치되게 된다. 이러한 이와같은 볼록키(141)와 키홈(142)으로 구성되는 전단키부는 교량에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저항하기 위함이다. After the PSC girder 100 manufactur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s transported to the site, the PSC girder 100 is mounted on the bridge 3 and the bridge pier 4. The ball lock key 141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shown in FIG. 4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142 shown in FIG. The shear-key portion including the ball lock 141 and the key groove 142 effectively resists the shear force applied to the bridge.

제작된 PSC 거더(100)를 교대(3), 교각(4) 상부에 거치시킨 후, 2차 PC강선(111)을 2차 긴장용 쉬스관(110)에 내입하여 다수의 PSC 거더(100)를 서로 가연결시키게 된다. The PSC girder 10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3 and the PSC girder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er 4. The PSC girder 1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ary sheath 110 through the secondary PC steel wire 111, To each other.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SC 거더(100)를 교대(3), 교각(4)에 거치하고, 2차 긴장용 쉬스관(110)에 2차 PC강선(111)을 연결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지점부 부근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6 is a sectional view of a PSC gir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cond PC strand 111 is connected to a sheath 110 for a second strain Fig. 7 shows a partial side view of the vicinity of the focal point of Fig.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PSC 거더(100)를 연속화하기 위하여 교각(4)의 상부에 연속화 PC강선(131)이 인출된 PSC 거더(100)의 일측 단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2개의 PSC 거더(100)를 교각(4)의 상부에 거치하여 인출된 연속화 PC강선(131)이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6 and 7, in order to make the two PSC girders 100 continuous, one end of the PSC girder 100 to which the sequential PC steel wire 131 is pulled ou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ier 4, It can be seen that the two PCC girders 100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pier 4 so that the drawn PC steel wires 131 are arrang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아웃홈(160)에서 자유단부가 노출된 연결강봉(150)은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고 배치되게 되며, 거치 후, 2차 PC강선(111)을 2차 긴장용 쉬스관(110)에 내입하여 다수의 PSC 거더(100)를 서로 가연결시키게 된다.
6 and 7, the connecting steel rods 150 having the free end exposed in the block-out groove 160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after the mounting, the secondary PC steel wire 111, The PSC girders 100 are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110 for secondary strain so as to burn the PSC girders 100 together.

가로보Crossbow 형성단계 Forming step

다음으로 가로보(200) 형성단계는 PSC 거더(100)의 일측 단부 측면에서 직각으로 돌출되는 돌출철근(140)과 가로보(200)의 철근(미도시)을 연결하여 일체화하고, PSC 거더(100)의 일측 단부 측면 절결부(133)의 인출공(132)에서 인출되는 연속화용 쉬스관(130)에 내설된 일정길이의 인출된 연속화 PC강선(131)을 가로보(200) 내에서 교차 매립하면서 연속화 PC강선(131)의 정착을 위하여 가로보(200)에서 상기 인출 연속화 PC강선(131)을 일정길이 노출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로보(200)를 형성하게 된다. The PSC girder 100 is formed by connecting the protruded reinforcing bars 140 protruding at right angles to one side end face of the PSC girder 100 and reinforcing bars (not shown) of the beam 200, The serialized PC steel wire 131 of a certain length inserted in the continuous sheath pipe 130 drawn out from the draw-out hole 132 of the one side end side notch 133 of the side end side cutout 133 of the side end cut- In order to fix the PC steel wire 131, the wire 200 is formed by exposing the drawn-out continuous PC wire 131 by a certain length and pouring concret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보(200)가 형성된 상태의 지점부 부근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보(200)가 형성된 PSC 합성 거더교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8 is a plan view of a vicinity of a fring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beam 200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PSC composite girder bridge formed with a bea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SC 거더(100)와 가로보(200)를 일체화하기 위하여 PSC 거더(100) 일측 단부 측면에서 직각으로 돌출된 돌출철근(140)과 가로보(200)의 철근을 연결하고 가로보(2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PSC 거더(100) 단부와 가로보(200)를 일체화하게 된다. The PSC girder 100 and the beam 20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s 140 protruding at right angles to one side end surface of the PSC girder 100 to the reinforcing bars of the beam 200, So that the ends of the PSC girder 100 and the beam 200 are integr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PSC 거더(100)의 일측 단부 측면에서 직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철근(140)이 가로보(200)에 배근된 철근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통상 부부재로서의 가로보(200)를 주부재로서의 가로보(200)로 전환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가로보(200)의 단부에서 인출 연속화 PC강선(131)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가로보(200)의 단부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길이는 약 60 ~ 70cm가 긴장 작업에 적당하다. A plurality of protruding reinforcing bars 140 protruding at a right angle from one side end surface of the PSC girder 10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reinforcing bars laid on the beam 200 to form a beam 200 ) Is converted into a main beam 200 as a main component. In this case, a length of about 60 to 70 cm,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nd portion of the beam 200 to fix the drawn-out continuous PC wire 131 at the end of the beam 200, is suitable for tensioning.

그리고 가로보(200)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2차 긴장용 쉬스관(110)에 내입된 2차 PC강선(111)을 긴장 후 정착하여 포스트 텐션 방식으로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여 2개 PSC 거더(10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고정하중이나 활화중에 의해 발생되는 콘크리트 거더의 중앙하부에 대한 인장응력을 보강하게 된다.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beam 200, the secondary PC steel wire 111 inserted into the sheathing tube 110 for secondary tension is fixed after the tension, and the prestress is introduced by the post tension method to form the two PSC girders 100, And reinforces the tensile stress on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concrete girder caused by the fixed load or the activation.

장력조절단계 및 The tension control step and 바닥판Bottom plate 콘크리트  concrete 타설단계Step of casting

다음으로 교각(4) 상부에 설치된 PSC 거더(100) 및 가로보(200)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상부구조물(400)을 설치하게 된다. 즉, 교각(4), 교대(3) 상부에 설치된 PSC 거더(100) 및 가로보(200)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상부구조물(400)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Next, a reinforcing bar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SC girder 100 and the beam 200 installed on the bridge pier 4, and the bottom bridge concrete is installed to install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400. That is, the reinforcing bars are disposed on the piers 4, the PSC girder 10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lternation 3, and the beams 200,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installed to install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400.

즉, 가로보(200)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일정강도 이상 발현되면, PSC 거더(100) 및 가로보(200)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통행하는 교량상부구조물(400)을 설치하게 된다. That is, when concrete laid on the beam 200 is cured and exhibits a certain strength or more,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SC girder 100 and the beam 200, and a bottom plate concrete is laid on the upper part of the beam 200, The structure 400 is install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교량상부구조물(400)을 설치하기 전에 장력조절수단(300)에 의해 PSC 거더(100) 간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djusting the tension between the PSC girder 100 by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before install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400.

먼저, 도 10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3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점부 부근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300)이 연결강봉(150)을 결속하기 전 상태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300)이 연결강봉(150)을 결속한 초기상태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0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300)이 연결강봉(150)을 인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아웃홈(160)에 콘크리트를 매설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0A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vicinity of a fring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10B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state before the connecting rod 150 is coupled by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partial side view of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adjusting means 300 binds the connecting rod 150. FIG. 10D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ulls the connecting rod 150. FIG. FIG. 10E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embedded in the block-out groove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자유단부가 노출된 연결강봉(150)을 결속한 다음에 장력조절수단(30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결속된 양측 연결강봉(150)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necting rod 150 having the free end is exposed, the length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is selectively adjusted to apply a tensile force or a compressive force to the both connecting steel rods 15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수단(300)은 도 10a 내지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커플러(310) 양측에 측면커플러(320)가 체결되어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10A to 10E,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in that the side coupler 320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coupler 310. [

중앙커플러(310)는 측면커플러(3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공(3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공(311)은 측면커플러(320)가 체결깊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깊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커플러(310)는 나사공(311)에 체결된 측면커플러(320) 중 어느 일측 측면커플러(320)가 깊숙이 체결되고 다른 측면커플러(320)가 얇은 깊이로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 중앙 부분에 차단벽(312)이 형성된다. The center coupler 310 is formed with a screw hole 311 therein so that the side coupler 320 can be fast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ew hole 311 is formed so that the side coupler 320 can select a fastening depth. The center coupler 31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inner coupler 320 so as to prevent any one of the side couplers 320 of the side coupler 320 fastened to the screw hole 311 from being deeply engaged and the other side coupler 320 being fastened to a thin depth. A blocking wall 312 is formed.

중앙커플러(310)는 연결강봉(150)을 결속한 상태에서 연결강봉(150)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부여하기 위해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연에 평면부를 형성하여 각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형은 체결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각, 육각, 팔각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The center coupler 310 is formed in a square shape by forming a flat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y so as to be easily rotated by a tool in order to apply a tensile force or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nnecting rod 150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rod 150 is bound And the square shape can be configured as a rectangular, hexagonal, or octagonal shape widely used for fastening.

중앙커플러(310)에 체결되는 측면커플러(320)는 중앙커플러(310)의 나사공(311)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는 측면커플러볼트(32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연결강봉(150)에 형성된 연결강봉볼트(15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공(321)이 형성된다. 측면커플러(320)의 나사공(321) 외주연의 경우도 공구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평면부를 형성하여 각형으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ide coupler 320 coupled to the center coupler 310 is formed with a side coupler bolt 322 at one end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crew hole 311 of the center coupler 310 and at the other end with a connecting rod 150 A screw hole 321 is formed so that the bolt 151 is fastened. In the cas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crew hole 321 of the side coupler 320,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by a tool or the like so as to have a square shape.

그리고, 장력조절수단(300)이 연결강봉(150)을 결속하고 연결강봉(150)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부여하게 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PSC 거더(100)에 고정된 각각의 연결강봉(150)을 높이와 길이방향이 일치되게 하여 장력조절수단(300)으로 결속가능하도록 준비한다.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binds the connecting rod 150 and applies a tensile force or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nnecting rod 150. 10B, each connecting rod 150 fixed to the two-side PSC girder 100 is prepared so as to be able to be bound by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in such a manner that the height and the length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PSC 거더(100)의 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장력조절수단(300)은 중앙커플러(310)의 나사공(311)에 체결된 측면커플러(320)를 깊숙이 체결하여 길이를 짧게 한다. 이렇게 되면 장력조절수단(300)은 양측 측면커플러(320)가 각각 그와 대응되는 양측 연결강봉(150)과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연결강봉(150)을 체결할 수 있는 준비가 된다.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shortens the length of the PSC girder 100 by fastening the side coupler 320 fastened to the screw hole 311 of the center coupler 310 deeply. In this case,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is prepared to be able to fasten the connecting rod 150 by locating the both side coupling rods 320 in a straight line with the corresponding side connecting rod 150 respectively.

이 상태에서, 중앙커플러(310)에 체결된 양측 측면커플러(320)를 풀고, 각각의 측면커플러(320)의 나사공(321)에 연결강봉(150)의 볼트(151)를 동시에 체결시키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강봉(150), 양측 측면커플러(320), 중앙커플러(310)가 일체로 체결되어 결속된 상태가 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both side lateral couplers 320 fastened to the center coupler 310 are loosened and the bolts 151 of the connecting rod 150 are simultaneously fastened to the screw holes 321 of the respective side couplers 320, The connecting rod 150, the side-surface side coupler 320, and the center coupler 310 are integrally fastened together as shown in FIG. 10C.

그리고, 연속화된 연속화된 PSC 거더(100)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단계는 중앙커플러(310)를 회전시켜 양측 측면커플러(320)가 나사공(321) 내부로 깊숙이 삽입되게 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중앙커플러(310)는 외주연에 평면부가 형성되므로 체결용 공구를 이용하여 평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공구를 강제로 회전시키면, 연결강봉(150)을 체결 고정하고 있는 측면커플러(320)는 정지된 상태에서 수평이동하여 그의 볼트(322)가 중앙커플러(310)의 나사공(311) 내부로 삽입되어 도 10d와 같이 된다. 이때 측면커플러(320)가 중앙커플러(310)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측면커플러(320)를 공구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p of introducing the compressive force to the sequential continuous PSC girder 100 includes a step of rotating the center coupler 310 so that the side-surface side coupler 320 is inserted deeply into the screw hole 321. That is, since the flat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er coupler 310, when the tool is forcibly rotated while holding the flat portion using the clamping tool, the side coupler 320 fastening and fixing the connecting rod 150 The bolt 322 is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311 of the center coupler 310 to b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ix the side coupler 320 with a tool so that the side coupler 320 does not rotate with the center coupler 310.

이렇게 되면, 측면커플러(320)는 도 10c의 상태에서 중앙커플러(310)의 나사공(311) 내부로 깊이 삽입되어 도 10d와 같이 되므로 연결강봉(150)은 장력조절수단(300) 방향으로 인장력이 부여되고, 연결강봉(150)을 매립하고 있는 양측 PSC 거더(100)의 지점부에는 연결강봉(150)의 인장력에 대항해서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프리스트레스(압축력)가 도입되게 된다. 10d, the connecting rod 150 is inserted into the screw hole 311 of the center coupler 310 in the state of FIG. 10c, so that the connecting rod 150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And a prestressing (compressive force) for holding the original state against the tensile force of the connecting rod 150 is introduced into the fulcrums of the both side PSC girders 100 in which the connecting rod 150 is embedded.

이에 따라, 장력조절수단(300)과 연결강봉(150)에 의해, PSC 거더(100) 상부에서 하중이 가해지면 지점부에 비틀림모멘트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비틀림모멘트가 도입된 압축력에 의해 상쇄되므로, 지점부에 작용하는 전단력이 절감되어 지점부는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화되게 된다. Accordingly,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PSC girder 100 by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and the connecting rod 150, a torsional moment is generated at the fulcrum portion. Such a torsional moment is canceled by the introduced compression force, The shearing force acting on the fulcrum portion is reduced, and the fulcrural portion becomes structurally more stabilized.

앞서, 장력조절수단(300)을 이용하여 PSC 거더(100)에 압축력이 도입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장력조절수단(300)을 반대로 회전시켜 연결강봉(150)에 압축력을 부여하게 되면 PSC 거더(100)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장력조절수단(300)의 중앙커플러(310)를 정, 역회전하여 연결강봉(150)의 장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게 된다. The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SC girder 100 by using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However, i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necessary to apply the compressive force to the connecting rod 150, So that tensile force can be applied to the girder 100. 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of the connecting rod 15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by rotating the central coupler 310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이와 같이 장력조절수단(300)으로 PSC 거더(100) 간의 장력을 조절한 후에 장력조절수단(300)이 장착되어 있는 PSC 거더(100)의 연결부분, 즉 블록아웃홈(160)을 콘크리트로 매립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After the tension between the PSC girder 100 is adjusted by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SC girder 100 on which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is mounted, that is, the block-out groove 160,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에서 PSC 거더(100) 간의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언급한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 전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 아닌, 바닥판 콘크리트의 타설과정에서 장력조절단계가 도입되는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tension adjusting step of adjusting a tensile force or a compressive force between the PSC girders 100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That is, the tension adjustment step is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cast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not controlling the tension before the above-mentioned bottom plate concrete casting.

도 1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SC 거더(100) 상부 일측에 정착장치(330)를 설치하고, 연결강봉(150)을 장착하고 연결강봉(150) 사이에 장력조절수단(300)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330)를 제외한 부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330)를 탈착하고, 연결강봉(150)을 정착하고, 나머지 부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부분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1A is a side view of a PSC gir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xing device 330 is installed on a side of a PSC girder 100 and a connecting rod 150 is mounted and a tension adjusting means 300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rods 150 And a partial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ed state. FIG. 11B is a partial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bottom plate concrete is installed in a portion excluding the fixing device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C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3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the connecting rod 150 is fixed,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installed in the remaining part.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C 거더(100)의 상부로 바닥판 콘크리트를 설치하게 될 경우 생기는 휨모멘트의 변곡점 내에 정착장치(330)를 설치하게 되고, 각각의 정착장치(330)에 연결강봉(150)을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연결강봉(150) 사이로 장력조절수단(300)을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장력조절수단(300)의 구체적인 구성과 장력조절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11A, the fixing device 330 is installed within the inflection point of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when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SC girder 100. In the fixing device 330, (150) are arrang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is mounted between adjacent connecting steel rods 150.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and the tension adjusting method are as described above.

장력조절수단(300)에 의해 PSC 거더(100)의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지점부의 상연에는 비교적 큰 크기의 압축 응력이, 하연에는 미소한 크기의 압축응력이 각각 도입되어 바닥판 콘크리트 시공시에 발생하는 지점부 부근에 위치한 PSC 거더(100) 상연의 인장응력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By adjusting the compressive force or the tensile force of the PSC girder 100 by the tension adjusting means 300, a compressive stress of a relatively large size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edge of the fiducial portion and a compressive stress of a minute size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edge of the fiducial portion, The tensile str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SC girder 100 located near the fulcrums generated in the PSC girder 100 is reduced.

다음으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콘크리트를 시공하여 PSC 거더(100)와 합성상태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이때 정착장치(330) 주변의 일정구간은 바닥판 콘크리트를 시공하지 않도록 하여 나중에 정착장치(330)의 해체가 가능토록 한다. Next, as shown in FIG. 11B, a bottom plate concrete is installed to form a composite state with the PSC girder 100. At this time, a certain section of the vicinity of the fixing device 330 is not fixed to the bottom plate concrete, Thereby allowing the device 330 to be disassembled.

끝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고 나면, 다수의 낱개의 연결강재를 절단하여 정착장치(330)에 가해졌던 긴장력을 바닥판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통해 PSC 거더(100)에 전달되도록 하여 더 이상 PSC 거더(100)의 정착장치(330)의 역할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정착장치(330) 주변의 빈 곳을 콘크리트로 타설하게 된다.
11C, after the curing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finished, a plurality of individual connecting steel materials are cut and the tension applied to the fixing device 330 is applied to the PSC girder through the adhesive force with the bottom plate concrete, So that the fixing device 330 of the PSC girder 100 is no longer required. Then, an empty space around the fixing device 330 is poured into the concrete.

2차 Secondary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 도입 Introduction

다음으로는 가로보(200) 외측 단부로 노출된 연속화 PC강선(131)을 이용한 2차 프리스트레스트 도입 단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닥판 콘크리트를 포함한 교량상부구조물(400)을 형성한 후, 인출공(132)을 통해 가로보(200)에 매립되어 가로보(200)의 외측 단부로 노출된 연속화 PC강선(131)을 긴장 정착하여 2차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게 된다. Next, the secondary prestress introduction step using the continuous PC wire 131 exposed at the outer end of the beam 200 will be described. After form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400 includ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the continuous PC wire 131 exposed at the outer end of the beam 200 is embedded in the beam 200 through the drawing hole 132 and is tension-fixed A second prestress is introduced.

PSC 거더(100)에 형성된 인출공(132)에서 인출되어 가로보(200) 내에 교차 매립되고 일정길이 노출시킨 인출된 연속화 PC강선(131)을 2차로 긴장하고, 가로보(200)에 정착시켜 PSC 거더(100)의 연속화부 상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를 감소시키게 된다. The pulled out serialized PC steel wire 131 which is drawn out from the draw-out hole 132 formed in the PSC girder 100 and embedded in the cross beam 200 and exposed for a predetermined length is secondarily tensed and fixed on the beam 200, Thereby decreasing the momentum gener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inuous portion of the apparatus 100.

즉, 교량상부구조물(400)이 양생되어 일정강도 이상 발현되면 PSC 거더(100)에 형성된 인출공(132)에서 인출되어 가로보(200) 내에 교차 매립되고 일정길이 노출시킨 인출된 연속화 PC강선(131)을 2차로 긴장시키고 가로보(200)에 연속화용 정착구로 정착시켜 PSC 거더(100)와 PSC 거더(100)의 연속화로 인하여 연속화부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를 감소시키게 된다. That is, if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400 is cured and exhibits a certain strength or more, the PCC steel wire 131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C ") 131, which is drawn out from the draw- ing hole 132 formed in the PSC girder 100, Is fixed to the beam 200 in a continuous fixing fixture and the PSC girder 100 and the PSC girder 100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reduce the moment gener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inuous portion.

마지막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교량(1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nally, FIG. 12 shows a side view of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지관리용 For maintenance PCPC 강선을 이용한 유지보수 단계 Maintenance steps using steel wir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PSC 거더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PSC 거더(100) 제작단계에서 유지관리용 쉬스관(120)이 채용되므로, 이러한 유지관리용 쉬스관(120)을 이용하여 추후,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SC girder bridge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maintenance-use sheath pipe 120 at the stage of manufacturing the PSC girder 100, 120) can be used later for maintenance.

즉, 공용중 유지관리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 PSC 거더(100)의 복부에 매립된 유지관리용 쉬스에 유리관리용 PC 강선을 삽입 후,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트를 추가 도입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the case where common maintenance management is required, the PC steel strand for glass management is inserted into the maintenance sheath buried in the abdomen of the PSC girder 100, and then the prestress can be additionally introduced do.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종래 PSC 거더교
2:1차 PC강선
3:교대
4:교각
10:PSC 거더교량
100:PSC 거더
110:2차 긴장용 쉬스관
111:2차 PC강선
120:유지보수용쉬스관
130:연속화용 쉬스관
131:연속화 PC강선
132:인출공
133:절결부
140:돌출철근
141:볼록키
142:키홈
150:연결강봉
151:연결강봉 볼트
160:블록아웃홈
200:가로보
300:장력조절수단
310:중앙커플러
311:중앙커플러 나사공
312:차단벽
320:측면커플러
321:측면커플러 나사공
322:측면커플러 볼트
330:정착장치
400:교량상부구조물
1: Conventional PSC girder bridge
2: Primary PC wire
3: Shift
4: Pier
10: PSC girder bridge
100: PSC girder
110: Sheath tube for secondary tension
111: Secondary PC wire
120: Maintenance Sheath tube
130: Sheath tube for continuous use
131: Sequential PC wire
132: drawer
133:
140: protruding bar
141: Bow Rocky
142: keyway
150: Connecting rod
151: Connecting rod bolt
160: Block Out Home
200: Rear beam
300: tension adjusting means
310: center coupler
311: Central coupler or screw
312: blocking wall
320: Side coupler
321: Side coupler or screw
322: Side coupler bolt
330: Fixing device
400: Bridge superstructure

Claims (6)

거푸집 내에 프리텐션 방식으로 1차 PC 강선를 긴장시키고,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서 오목한 곡선이 되도록 2차 긴장용 쉬스관과 연속화용 쉬스관 및 유지관리용 쉬스관을 배치하고, 일측 단부의 측면에 인출공이 형성되고, 단부 측면에 설치될 가로보의 철근과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단부 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연속화 PC 강선을 상기 연속화용 쉬스관에 내설하여 상기 인출공으로 상기 연속화 PC 강선을 일정길이 인출시켜 PSC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다수의 PSC 거더를 교각, 교대 상부의 설치위치에 거치시키는 단계;
2차 긴장용 쉬스관에 2차 PC 강선를 내입하여 다수의 PSC 거더를 가연결하는 단계;
상기 PSC 거더의 단부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철근과 상기 가로보에 설치되는 철근을 연결하고, 상기 인출공에서 인출되는 상기 연속화 PC강선을 상기 가로보 내에 교차 매립하면서 상기 연속화 PC 강선의 정착을 위하여 상기 가로보의 단부에서 일정길이 노출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가로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로보 양생과정에서 상기 2차 PC 강선을 긴장, 정착하여 PSC 거더를 연결하는 단계;
교량 상부 구조물을 타설하는 단계;
상기 연속화 PC 강선을 긴장 후 상기 가로보 일측에 정착하여 2차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하는 단계;
공용중 유지관리 필요시, 상기 PSC 거더에 매입된 유지관리용 쉬스관에 유지관리용 PC 강선을 삽입 후,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SC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연결강봉을 고정하여 상기 연결강봉의 자유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PSC 거더를 제작하고,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을 타설하는 단계 전에,
연결된 상기 PSC 거더에 노출되게 고정된 이웃하는 상기 연결강봉들을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력조절수단으로 결속하는 단계;
상기 연결강봉을 결속하는 장력조절수단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결속 이음된 연결강봉을 인장 또는 압축시켜 PSC 거더의 압축력 또는 인장력의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장력조절수단이 위치한 PSC 거더 사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매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PSC 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A sheath pipe for secondary tension, a sheath pipe for continuous use and a sheath pipe for maintenance are arranged so as to tense the primary PC steel wire in the form of a pre-tensioning method and to have a concave curve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protruding reinforcing bars protru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end portion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of the cross beams to b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end portions, concrete is laid, and continuous PC steel wires are inserted into the continuous sheathing pipe A step of drawing the continuous PC steel wire to a predetermined length by means of a drawer to produce a PSC girder;
Placing a plurality of manufactured PSC girders at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pier and an upper portion of an alternation;
A step of inserting a secondary PC steel wire into a sheath pipe for secondary tension and combusting a plurality of PSC girders;
And connecting the protruding reinforcing bars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end of the PSC girder to the reinforcing bars provided on the cross beams and filling the continuous PC steel wire drawn out from the draw- A step of expos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an end of the beam and installing a concrete beam to form a beam;
Connecting the PSC girder by tensioning and fixing the secondary PC steel wire in the cross beam curing process;
Cast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Fixing the sequential PC steel wire to one side of the cross bar after straining to introduce a secondary prestress;
And inserting the PC steel wire for maintenance into the maintenance sheath pipe embedded in the PSC girder when the joint maintenance management is required,
The PSC girder is manufactured such that the connecting rod is fixed to one end or both ends of the PSC girder to expose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rod,
Before the step of install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Binding adjacent rigid connecting rods fixed to be exposed to the connected PSC girders by a tension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Adjusting a compressive force or a tensile force of the PSC girder by selectively tensioning or compressing the jointed steel rods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steel rods; And
And placing the PSC girders between the PSC girders where the tension adjusting means is located, by embedding them in concr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 상부 구조물을 타설하는 단계는,
바닥판 콘크리트 하중으로 인한 휨 모멘트 변곡점에 위치한 PSC 거더 상연에 정착장치를 설치하고, 각각의 정착장치에 연결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이웃하는 상기 연결강봉들을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력조절수단으로 결속하는 단계;
상기 연결강봉을 결속하는 장력조절수단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결속 이음된 연결강봉을 인장 또는 압축시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의 조절하는 단계; 및
정착장치가 설치된 곳을 제외한 구간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시공하고, 바닥판 콘크리트의 양생이 끝난 다음 정착장치 후면에서 상기 연결강재를 절단하여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PSC 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pour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comprises:
Installing a fixing device on a PSC girder located at an inflection point of a bending moment due to a bottom plate concrete load and installing a connecting steel material in each fixing device;
Binding the neighboring connecting rods with a tension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Selectiv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tension adjusting means for clamping the connecting steel bar to adjust the compressive force or the tensile force by tensioning or compressing the connected steel bar; And
And a step of cutting the connecting steel material at the rear side of the fixing device after finishing the curing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to fix the bottom steel plate in the section except the place where the fixing device is installed.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PSC gir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SC 거더의 접합면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볼록키가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PSC 거더의 접합면에 상기 볼록키에 대응하는 키홈이 형성되어 서로 일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PSC 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ball rock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joint surface of the PSC girder and a key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all rocker is form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opposite PSC girder and coincided with each other. A method of continuous application of PSC gird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SC 거더의 일측 단부 측면에 형성된 인출공에는 절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긴장방식을 채용한 PSC 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SC girder is formed with a notch in a through hole formed at a side surface of one side of the PSC girder.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거더교.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 produc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5.
KR1020130113245A 2013-09-24 2013-09-24 Method for constructing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which combined tension applied type KR1014404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245A KR101440436B1 (en) 2013-09-24 2013-09-24 Method for constructing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which combined tension applied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245A KR101440436B1 (en) 2013-09-24 2013-09-24 Method for constructing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which combined tension applied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436B1 true KR101440436B1 (en) 2014-09-25

Family

ID=5176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245A KR101440436B1 (en) 2013-09-24 2013-09-24 Method for constructing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which combined tension applied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4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3121A (en) * 2022-01-13 2022-04-01 中工武大设计集团有限公司 Prestressed steel beam tensioning structure in concrete box girder structure system conversion and construc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663B1 (en) * 2008-05-09 2009-02-26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using cross-beam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090052708A (en) * 2007-11-21 2009-05-26 (주)한맥기술 According to construction sequence the simple span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178737B1 (en) * 2011-05-06 2012-08-31 홍석희 Continuous structure of composite psc girder using prestress at section changing girder height of lower center as straight ste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708A (en) * 2007-11-21 2009-05-26 (주)한맥기술 According to construction sequence the simple span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885663B1 (en) * 2008-05-09 2009-02-26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A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using cross-beam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178737B1 (en) * 2011-05-06 2012-08-31 홍석희 Continuous structure of composite psc girder using prestress at section changing girder height of lower center as straight ste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3121A (en) * 2022-01-13 2022-04-01 中工武大设计集团有限公司 Prestressed steel beam tensioning structure in concrete box girder structure system conversion and construction method
CN114263121B (en) * 2022-01-13 2023-07-04 中工武大设计集团有限公司 Prestressed steel beam tensioning structure in concrete box girder structure system transform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673B1 (en) Structure of a precast diaphragm for mak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method making the girder thereof
JP2007239301A (en) Method of integrating precast concrete members interposed by filling concrete
KR20100073363A (en) Prestressed segment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42633B1 (en) Accelerated construction method of integral abutment bridge and chambered precast segment wall applied to the same
KR20100025161A (en) Girder bridge connected to abu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52444B1 (en) The pre-stress concrete bim and that making method using a pre-tensioning construction
KR101705002B1 (en)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08266910A (en) Projection structure of anchorage or deviator of tend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200563B1 (en) A Steel Composite Bridge Having Steel Plates Connected by Using Concrete Cross Beams and Its Constructing Method
JP3952449B2 (en) Bridge superstructure
KR101293838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etensioned concre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tressed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17106231A (en) Pca floor slab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4043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which combined tension applied type
KR200431821Y1 (en) The Method of Construction for Continuous Bridge made by Prestressed Concrete I-Shape Girder
KR101181160B1 (en) Prestressed precast concrete beam having efficient prestressing anchorage structure
KR102077385B1 (en) Prestresse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KR101807234B1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compressive force in slab of a brid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having the same
KR101530761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two slabs and rigid-frame bridge manufacturing method having the same
KR20140139703A (en) Steel Connector Between Precast Segments and Connection Method
JP2007046277A (en) Bridge girder installing method
KR101389821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with means to add additional stress and method of production and maintenance thereof
KR100616533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p.s.c. girder bridges and bridges production it
KR101342894B1 (en) Trust typ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constructing method of continuation bridge using the same
KR101167660B1 (en) Moment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5054493A (en) Precast built-up culvert block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