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146B1 -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146B1
KR101440146B1 KR1020130078521A KR20130078521A KR101440146B1 KR 101440146 B1 KR101440146 B1 KR 101440146B1 KR 1020130078521 A KR1020130078521 A KR 1020130078521A KR 20130078521 A KR20130078521 A KR 20130078521A KR 101440146 B1 KR101440146 B1 KR 101440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pressing member
eccentric rotation
support plat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종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07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마련되며, 단부에 전동식으로 회전 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 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단에는 상기 축과 편심되는 위치에 편심회전부가 형성된 가압부재; 상기 편심회전부의 전단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시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편심회전부가 일정 회전반경으로 회전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내면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밀어내도록 구성된 서포트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전면 돌출량을 조절하여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에 필요한 구조를 간소화하여 헤드레스트의 중량 및 원가를 감소시키는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후두부를 지지함으로 목부상을 방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에는 시트백의 윗면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스테이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시트백의 상단에는 스테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스테이의 돌출길이를 구속함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의 상하 이동장치는 물론, 헤드레스트를 전후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보다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는 헤드레스트를 틸팅시키기 위한 부품수가 과다하고 조립구조가 복잡한 것은 물론, 조립되는 부품들의 공차로 인해 차량의 진동시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부품수 과다로 인해 원가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122004호의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가 소개된바 있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에 의해서도 헤드레스트를 틸팅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틸팅 메커니즘의 조립공차로 인한 이음 발생 문제, 그리고 부품수 과다로 인해 원가의 증대 문제를 해소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5-0122004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전면 돌출량을 조절하여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전면 돌출량 제어에 필요한 구조를 단순화 및 간소화하여 중량 및 원가를 감소시키도록 한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마련되며, 단부에 전동식으로 회전 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 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단에는 상기 축과 편심되는 위치에 편심회전부가 형성된 가압부재; 상기 편심회전부의 전단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시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편심회전부가 일정 회전반경으로 회전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내면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밀어내도록 구성된 서포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의 측부에 설치된 마운팅브라켓;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회전 구동력이 제공되고, 타단에 제1기어가 결합된 회전축; 및 일단에 제2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며, 타단에 가압부재의 단부가 결합되고, 중단이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는 상기 편심회전부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시 상기 편심회전부를 따라 일정 회전반경을 그리며 전방으로 회전되어 헤드레스트를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그 양 단부로부터 2개소 이상이 절곡 형성되면서 중단에 편심회전부가 좌우 폭 방향으로 구비된 와이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편심회전부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좌우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가압부재의 회전동작에 의해 편심회전부가 전방으로 회전되면, 편심회전부 전단에 설치된 서포트플레이트가 헤드레스트의 전단부 내면을 전방으로 가압하듯 밀어내게 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는바, 헤드레스트의 전면 돌출량이 제어되어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회전축이 모터에 의해 회전 동작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전면 돌출량 제어를 위한 서포트플레이트의 회전 제어가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또한 헤드레스트 전면 돌출량 제어에 사용되는 부품수를 간소화 및 최소화하여 헤드레스트장치의 제조원가 및 중량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지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지지장치에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서포트플레이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지지장치에서 레버의 조작에 따른 가압부재의 회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지지장치에서 헤드레스트의 전면 돌출량을 조절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지지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지지장치에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서포트플레이트(20)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지지장치에서 레버(40)의 조작에 따른 가압부재(10)의 회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레스트 지지장치에서 헤드레스트의 전면 돌출량을 조절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지지장치는 크게, 가압부재(10)와, 서포트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헤드레스트(1)의 내부에 마련되며, 단부에 전동식으로 회전 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헤드레스트(1)의 양 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단에는 상기 축과 편심되는 위치에 편심회전부(12)가 형성된 가압부재(10); 상기 편심회전부(12)의 전단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10)의 회전시 상기 가압부재(10)가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편심회전부(12)가 일정 회전반경으로 회전됨으로써, 헤드레스트(1)의 내면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밀어내도록 구성된 서포트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가압부재(10)의 회전동작에 의해 가압부재(10) 전단의 편심회전부(12)가 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편심회전부(12)의 전단에는 서포트플레이트(20)가 설치되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의 전단에는 헤드레스트(1)의 전단부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가 헤드레스트(1)의 전단부 내면을 전방으로 가압하듯 밀어내게 되는바, 상기 헤드레스트(1)의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헤드레스트(1)의 전면 돌출량이 제어되어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는 상기 편심회전부(12)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10)의 회전시 상기 편심회전부(12)를 따라 일정 회전반경을 그리며 전방으로 회전되어 헤드레스트(1)를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편심회전부(12)의 전단에 서포트플레이트(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편심회전부(12)와 함께 서포트플레이트(20)가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헤드레스트(1)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헤드레스트(1)의 측부에 설치된 마운팅브라켓(30); 상기 마운팅브라켓(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회전 구동력이 제공되고, 타단에 제1기어(32)가 결합된 회전축(31); 및 일단에 제2기어(34)가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32)와 치합되며, 타단에 가압부재(10)의 단부가 결합되고, 중단이 상기 마운팅브라켓(30)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축(31)에 회전 조작력이 제공되면, 상기 회전축(31)과 동심축에 결합된 제1기어(32)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기어(32)와 치합된 제2기어(34)가 회전플레이트(33) 중단의 힌지축(3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제2기어(34)의 타단에 결합된 가압부재(10)의 일단부가 상기 힌지축(3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10)의 타단부는 반대편 헤드레스트(1)의 측부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3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0)의 회전에 따라 서포트플레이트(20)가 회전되면서 헤드레스트(1)를 전방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가압부재(10)의 타단부가 상기 마운팅브라켓(30)의 중심 부분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가압부재(10)의 타단부 길이를 상단으로 연장하여 상기 가압부재(10)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된 동심축 상의 위치에서 힌지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축(31)에는 모터(40)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40)에는 조작스위치(도시 생략)가 연결되어 상기 모터(40)를 회전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스위치는 탑승자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회전축(31)의 회전이 모터(40)에 의해 회전 동작되고, 상기 모터(40)가 조작스위치에 의한 조작만으로 쉽게 작동됨으로써, 헤드레스트(1)의 전면 돌출량 제어를 위한 서포트플레이트(20)의 회전 제어가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10)는 그 양 단부로부터 2개소 이상이 절곡 형성되면서 중단에 편심회전부(12)가 좌우 폭 방향으로 구비된 와이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편심회전부(12)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0)의 좌우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부재(10)의 양 단부가 헤드레스트(1)의 양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재(10)의 중단에는 편심회전부(1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10)의 회전시 상기 편심회전부(12)가 일정 회전반경을 그리며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헤드레스트 10 : 가압부재
12 : 편심회전부 20 : 서포트플레이트
30 : 마운팅브라켓 31 : 회전축
32 : 제1기어 33 : 회전플레이트
34 : 제2기어 40 : 모터

Claims (5)

  1.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마련되며, 단부에 전동식으로 회전 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 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단에는 상기 축과 편심되게 위치하여 일정 회전반경으로 회전하는 편심회전부가 형성된 가압부재;
    상기 편심회전부의 전단에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시 상기 가압부재가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편심회전부가 일정 회전반경으로 회전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내면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밀어내도록 구성된 서포트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그 양 단부로부터 2개소 이상이 절곡 형성되면서 중단에 편심회전부가 좌우 폭 방향으로 구비된 와이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편심회전부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좌우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측부에 설치된 마운팅브라켓;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회전 구동력이 제공되고, 타단에 제1기어가 결합된 회전축; 및
    일단에 제2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며, 타단에 가압부재의 단부가 결합되고, 중단이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는 상기 편심회전부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시 상기 편심회전부를 따라 일정 회전반경을 그리며 전방으로 회전되어 헤드레스트를 밀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5. 삭제
KR1020130078521A 2013-07-04 2013-07-04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KR101440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521A KR101440146B1 (ko) 2013-07-04 2013-07-04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521A KR101440146B1 (ko) 2013-07-04 2013-07-04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146B1 true KR101440146B1 (ko) 2014-09-11

Family

ID=5176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521A KR101440146B1 (ko) 2013-07-04 2013-07-04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1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634A (ko) * 2008-06-27 2010-01-06 다이모스(주) 액티브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634A (ko) * 2008-06-27 2010-01-06 다이모스(주) 액티브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693B2 (en) Seating area adjuster
US937101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1553527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US6364415B1 (en) Head rest for vehicle seat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JP4922166B2 (ja) 調節可能な側部チークを有している自動車用座席
US5087098A (en) Lumbar support device
KR101576377B1 (ko)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JP2009011603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070118189A (ko) 좌석의 측면부 조절장치 및 그 조절방법
KR101428285B1 (ko)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2013528139A (ja) 特に自動車用のヘッドレスト
JP2002010863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GB2259248A (en) Lumbar support apparatus for vehicular seat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600199B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1440146B1 (ko)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KR101426677B1 (ko) 헤드레스트의 지지장치
KR101593848B1 (ko) 헤드레스트 장치
JPH119384A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412244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598882B1 (ko) 조정가능한 자동차 제어 페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