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331B1 -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331B1
KR101438331B1 KR1020130103311A KR20130103311A KR101438331B1 KR 101438331 B1 KR101438331 B1 KR 101438331B1 KR 1020130103311 A KR1020130103311 A KR 1020130103311A KR 20130103311 A KR20130103311 A KR 20130103311A KR 101438331 B1 KR101438331 B1 KR 10143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anchor
anchor pretensioner
cover
pillar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창규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와 B필러트림의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 사이의 공간이 발생함에 따라 차량 밖의 먼지 및 소음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승객의 하체를 구속해주는 시트벨트의 앵커 프리텐셔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서너 커버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 도어와 후방 도어 사이 측면에 내측에 구비되며 하부 일측에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이 형성되는 B필러트림(100);과 내부에 버클 와이어 케이블 설치공(260)이 구비되며,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 끼워져 고정되며, 중앙의 주름부(210)를 중심으로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 노출부(250)와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하부로 설치되는 하부 설치부(280)가 각각 형성되되, 하부 설치부(280)의 상단에는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단턱부(220)가 구비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의 상부 노출부(250) 상단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버클헤드(350)가 구비되는 버클헤드 아웃터(300);와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 내측에 구비되는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400);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의 버클 와이어 케이블 설치공(260)을 통해 상단은 버클헤드(350)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하단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400)에 고정결합되어 차량의 정면충돌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400)에 의해 버클헤드(350)를 하부로 당겨주는 버클 와이어 케이블(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seat belt anchor pretensioner cov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를 B필러트림에 설치하기 위해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를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에 관통되게 설치할 경우,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설치부의 단턱부가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 하부에 밀착되어 틈새를 막아줌으로써, 차량의 실내 미관과 감성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충돌 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보호에 대한 기대치가 상승하면서 기능성이 향상된 시트벨트 및 에어백이 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시트벨트 프리텐셔너(pretensioner)는 자동차의 정면 충돌 시 리트렉터(retractor)의 내부에 프리텐셔너라고 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충돌 시 화약을 터뜨려 미리 시트벨트의 웨빙을 당겨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정면 거동을 구속해 준다.
그런데 이러한 기능은 정면 충돌 발생 시 운전자 및 탑승자의 가슴 거동만 구속해 주는 것이 가능하고 운전자 및 탑승자의 하체 거동을 구속해 주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하체 거동을 구속하기 위해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가 구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점식 시트벨트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어깨 부근에 설치되는 어퍼 앵커와 대퇴부 밑에 설치되는 로워 앵커, 그리고 시트에 설치되어 시트벨트의 텅(tongue)과 체결되는 버클(buckle)의 3가지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종래의 로워 앵커 대신에 앵커 프리텐셔너를 설치하게 되면 자동차의 전방 충돌이 발생 시 앵커 프리텐셔너의 내부에 있는 화약이 폭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와이어 케이블이 당겨져 앵커 프리텐셔너의 헤드부에 연결된 시트벨트의 버클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결과 시트벨트 웨빙이 운전자 및 탑승자의 하체를 구속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하체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줄여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앵커 프리텐셔너는 취부 방식에서 3가지 방식이 있는데, 첫째로 차량의 플로어 판넬에 취부하는 방법이다.
플로어 판넬에 취부할 때에는 카페트 위로 노출된 앵커 프리텐셔너를 감싸기 위해서 별도로 플라스틱 커버로 감싸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두번째로, 시트 쿠션 프레임에 취부하는 경우로서, 쿠션 프레임에서 노출된 부위는 시트의 쉴드커버로 감쌀 수가 있어서 실내에서 앵커 프리텐셔너가 노출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차량의 B필러트림에 관통하게 앵커 프리텐셔너를 설치하는 경우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B필러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조립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B필러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즉, B필러트림(10)에 형성되는 앵커 프리텐셔너 설치공(15)에 앵커 프리텐셔너를 관통되게 설치할 경우, 앵커 프리텐셔너 겉에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앵커 프리텐셔너가 외부로 노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앵커 프리텐셔너의 겉에 설치되는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를 딱딱한 재질로 만들 경우에는 와이어 케이블이 당겨질때 반발력이 생겨 실제로 충돌 상황 발생시 승객의 하체를 제대로 구속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는 다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를 B필러트림의 앵커 프리텐셔너 설치공에 관통되게 설치할 경우, B필러트림의 앵커 프리텐셔너 설치공과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미관상 감성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B필러트림의 앵커 프리텐셔너 설치공과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차량 밖의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며, 차량 밖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B필러트림의 앵커 프리텐셔너 설치공과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작은 크기의 물건이 빠져 주행 중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실내 미관과 감성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를 B필러트림에 설치하기 위해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를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에 관통되게 설치할 경우,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설치부의 단턱부가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 하부에 밀착되어 틈새를 막아줌으로써,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를 B필러트림의 앵커 프리텐셔너 설치공에 관통되게 설치할 경우, B필러트림의 앵커 프리텐셔너 설치공과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미관상 감성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과 B필러트림의 앵커 프리텐셔너 설치공과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차량 밖의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며, 차량 밖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 및 B필러트림의 앵커 프리텐셔너 설치공과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작은 크기의 물건이 빠져 주행 중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승객의 하체를 구속해주는 시트벨트의 앵커 프리텐셔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서너 커버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 도어와 후방 도어 사이 측면에 내측에 구비되며 하부 일측에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이 형성되는 B필러트림과; 내부에 앵커 프리텐셔너 버클 와이어 케이블 설치공이 구비되며,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 끼워져 고정되며, 중앙의 주름부를 중심으로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 노출부와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의 하부로 설치되는 하부 설치부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 설치부의 상단에는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단턱부가 구비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의 상부 노출부 상단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버클헤드가 구비되는 버클헤드 아웃터;와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 내측에 구비되는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의 버클 와이어 케이블 설치공을 통해 상단은 버클헤드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하단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에 고정결합되어 차량의 정면충돌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에 의해 버클헤드를 하부로 당겨주는 버클 와이어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의 주름부를 중심으로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 노출부의 폭을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의 하부로 설치되는 하부 설치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차량의 정면충돌 발생시 버클 와이어 케이블이 당겨지면 상부 노출부가 하부 설치부 내측으로 접어져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하며,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 하부 둘레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하부 설치부의 단턱부 상면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완충재를 구비하여,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과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밀착되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를 B필러트림에 설치하기 위해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를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에 관통되게 설치할 경우,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설치부의 단턱부가 B필러트림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 하부에 밀착되어 틈새를 막아줌으로써, 차량의 실내 미관과 감성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B필러트림의 앵커 프리텐셔너 설치공과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막아줌으로써, 차량 밖의 먼지와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B필러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조립도.
2 는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B필러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B필러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조립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B필러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조립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B필러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B필러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조립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B필러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조립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가 B필러트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승객의 하체를 구속해주는 시트벨트의 앵커 프리텐셔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서너 커버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 도어와 후방 도어 사이 측면에 내측에 구비되며 하부 일측에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이 형성되는 B필러트림(100)과; 내부에 앵커 프리텐셔너 버클 와이어 케이블 설치공(260)이 구비되며,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 끼워져 고정되며, 중앙의 주름부(210)를 중심으로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 노출부(250)와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하부로 설치되는 하부 설치부(280)가 각각 형성되어 하부 설치부(280)의 상단에는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단턱부(220)가 구비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의 상부 노출부(250) 상단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버클헤드(350)가 구비되는 버클헤드 아웃터(300);와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 내측에 구비되는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400);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의 버클 와이어 케이블 설치공(260)을 통해 상단은 버클헤드(350)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하단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400)에 고정결합되어 차량의 정면충돌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400)에 의해 버클헤드(350)를 하부로 당겨주는 버클 와이어 케이블(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의 주름부(210)를 중심으로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 노출부(250)의 폭을,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하부로 설치되는 하부 설치부(28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차량의 정면충돌 발생시 버클 와이어 케이블(500)이 당겨지면 상부 노출부(250)가 하부 설치부(280) 내측으로 접어져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 하부 둘레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 하부 설치부(280)의 단턱부(220) 상면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완충재를 구비하여,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과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가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에 관한 것이다.
즉,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에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를 끼워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는 내부에 버클 와이어 케이블 설치공(260)이 구비되며, 중앙의 주름부(210)를 중심으로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 노출부(250)와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하부로 설치되는 하부 설치부(28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하부 설치부(280)의 상단에는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단턱부(220)가 구비되어 있어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서너 커버(200)를 B필러트림(100)에 끼워 고정시키면 하부 설치부(280)의 단턱부(220)가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과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의 상부 노출부(250)와 하부 설치부(280) 사이에 구비되는 주름부(210)를 중심으로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 노출부(250)의 폭을,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하부로 설치되는 하부 설치부(28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정면충돌 발생시 버클 와이어 케이블(500)이 당겨지면 상부 노출부(250)가 하부 설치부(280) 내측으로 접어져 들어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많은 주름부가 필요치 않아 미관상 차량의 감성만족도를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 하부 둘레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 하부 설치부(280)의 단턱부(220) 상면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완충재를 구비함으로써,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과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가 밀착되어 차량 밖의 먼지나 소음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줄여주게 되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 B필러트림 150 :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
200 :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210 : 주름부
220 : 단턱부 250 : 상부 노출부
260 : 버클 와이어 케이블 설치공 280 : 하부 설치부
300 : 버클헤드 아웃터 350 : 버클헤드
400 :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 500 : 버클 와이어 케이블

Claims (3)

  1.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 승객의 하체를 구속해주는 시트벨트의 앵커 프리텐셔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서너 커버에 있어서,
    차량의 전방 도어와 후방 도어 사이 측면에 내측에 구비되며 하부 일측에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이 형성되는 B필러트림(100);과
    내부에 버클 와이어 케이블 설치공(260)이 구비되며,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 끼워져 고정되며, 중앙의 주름부(210)를 중심으로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 노출부(250)와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하부로 설치되는 하부 설치부(280)가 각각 형성되되, 하부 설치부(280)의 상단에는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단턱부(220)가 구비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의 상부 노출부(250) 상단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버클헤드(350)가 구비되는 버클헤드 아웃터(300);와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 내측에 구비되는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400);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의 버클 와이어 케이블 설치공(260)을 통해 상단은 버클헤드(350) 하부에 고정결합되며 하단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400)에 고정결합되어 차량의 정면충돌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어셈블리(400)에 의해 버클헤드(350)를 하부로 당겨주는 버클 와이어 케이블(5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서너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의 주름부(210)를 중심으로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상부로 노출되는 상부 노출부(250)의 폭을,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설치공(150)의 하부로 설치되는 하부 설치부(28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여,
    차량의 정면충돌 발생시 버클 와이어 케이블(500)이 당겨지면 상부 노출부(250)가 하부 설치부(280) 내측으로 접어져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 하부 둘레와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 하부 설치부(280)의 단턱부(220) 상면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완충재를 구비하여,
    B필러트림(100)의 시트벨트 앵커 프리턴셔너 커버 설치공(150)과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200)가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KR1020130103311A 2013-08-29 2013-08-29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KR10143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11A KR101438331B1 (ko) 2013-08-29 2013-08-29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311A KR101438331B1 (ko) 2013-08-29 2013-08-29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331B1 true KR101438331B1 (ko) 2014-09-04

Family

ID=5175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311A KR101438331B1 (ko) 2013-08-29 2013-08-29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3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568A (ja) * 1993-03-26 1994-10-04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9107368A (ja) 2007-10-26 2009-05-21 Mazda Motor Corp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20130065107A (ko) *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용 앵커 프리텐셔너 고정장치
JP2013163502A (ja) 2012-02-13 2013-08-22 Takata Corp プリテンショナ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シートベル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8568A (ja) * 1993-03-26 1994-10-04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9107368A (ja) 2007-10-26 2009-05-21 Mazda Motor Corp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20130065107A (ko) *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용 앵커 프리텐셔너 고정장치
JP2013163502A (ja) 2012-02-13 2013-08-22 Takata Corp プリテンショナ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シートベル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1651B (zh) 用于车辆的侧面安全气囊装置
US10189432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US7635167B2 (en) Seat belt shoulder anchor
US7677593B2 (en) Side airbag curtain directional deployment bracket
JP2019034710A (ja) 車両用エアバッグ
US8876155B2 (en) Curtai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158401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CN110979246B (zh) 用于车辆的帘式安全气囊装置
KR20190138488A (ko) 루프탑 에어백 장치
US20120306185A1 (en) Air belt apparatus for vehicle
US20170305377A1 (en) Structure for deploying seat side airbag
KR20130104644A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KR20160061190A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US7654563B2 (en) Cover to wheel attachment method for improved gap control
JP301353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の取付構造
KR102648736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그리고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CN108016398B (zh) 侧帘式安全气囊总成
KR101438331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프리텐셔너 커버
KR101720984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101282527B1 (ko) 자동차용 3점식 시트벨트 웨빙의 끼임 방지구조
KR20120019622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2011218994A (ja)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10730561B2 (en) Mounting structure for curtain airbag device
JP6993566B2 (ja) 車両用シート
CN108349458B (zh) 包括至少一个改进的安全带预紧器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