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297B1 - 액정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297B1
KR101437297B1 KR1020137001179A KR20137001179A KR101437297B1 KR 101437297 B1 KR101437297 B1 KR 101437297B1 KR 1020137001179 A KR1020137001179 A KR 1020137001179A KR 20137001179 A KR20137001179 A KR 20137001179A KR 101437297 B1 KR101437297 B1 KR 10143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809A (ko
Inventor
사찌꼬 야마자끼
이꾸꼬 이마조
마사시 바바
기꾸오 오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액정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액정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액정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3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3Direct backlight characterized by the sequence of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코스트 삭감 및 백라이트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0)을 갖는다. 백라이트(14)는, 발광 다이오드(16)와, 발광 다이오드(16)가 탑재된 기판(18)과, 발광 다이오드(16)를 피해서 기판(18)의 발광 다이오드(16)가 탑재된 면에 겹쳐진 반사 시트(20)를 갖는다. 기판(18)의 발광 다이오드(16)가 탑재된 면이, 액정 표시 패널(10)의 이면과 대향한다. 액정 표시 패널(10) 및 기판(18)은, 모두 공통되는 제1 방향 D1의 폭이, 제1 방향 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 D2의 폭보다도 긴 형상을 갖는다. 기판(18)은, 제2 방향 D2의 폭이 액정 표시 패널의 제2 방향 D2의 폭보다도 짧고, 액정 표시 패널(10)의 제2 방향 D2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피하여, 액정 표시 패널(10)의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와 대향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백라이트의 광원으로서 사용되게 되어 왔다. 예를 들면, 냉음극관 대신에 발광 다이오드를 도광판의 단부면에 배치해서 도광판에 의해 면발광시키는 엣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가 알려져 있다. 혹은,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에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예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87879호 공보
종래의 직하형 방식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의 전체면에 대향하는 영역에 발광 다이오드를 배열하고 있었다. 따라서, 대형의 발광 다이오드용 기판이 필요하여, 사용 부품 점수의 저감 및 코스트 삭감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용 기판의 소형화 및 코스트 삭감을 가능하게 하는 백라이트 및 그것을 이용한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를 갖고, 상기 백라이트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피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면에 겹쳐진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상기 면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기판은, 모두 공통되는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도 긴 형상을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짧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피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이 작으므로, 코스트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2)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폭은,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상기 폭의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긴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4)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5) (4)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6) (4)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7)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8) (7)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9) (7)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10)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제1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11) (1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기판의 상기 중앙부를 사이에 끼우는 양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12) (1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등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등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13) (1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이웃끼리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고,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14) (11) 내지 (1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양단부의 각각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15)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피치가 가장 작은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서, 제1 분할 기판 및 제2 분할 기판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은, 한쪽의 단부에 케이블과의 접속용의 케이블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이, 다른 쪽의 단부끼리를 인접시켜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16) (15)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은, 동일한 설계로 구성되고, 서로 회전 대상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17) (16)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상기 다른 쪽의 단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은, 한쪽의 상기 오목부와 다른 쪽의 상기 볼록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18) (17)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적어도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가 형성된 상기 단부의 측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각각의 상기 제1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19)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피치가 가장 작은 위치를 피하여,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서, 제1 분할 기판 및 제2 분할 기판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은, 한쪽의 단부에 케이블과의 접속용의 케이블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이, 다른 쪽의 단부끼리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20)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피치가 가장 작은 위치를 피하여,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서, 제1 분할 기판, 제2 분할 기판 및 제3 분할 기판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케이블과의 접속용의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1 분할 기판의 다른 쪽의 단부와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한쪽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 커넥터와,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다른 쪽의 단부와 상기 제3 분할 기판의 한쪽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 커넥터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21) (2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고,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22) (2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단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2 분할 기판 및 상기 제3 분할 기판의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단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상기 제2 분할 기판 및 상기 제3 분할 기판의 각각의 상기 제1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가 돌출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은, 한쪽의 상기 오목부와 다른 쪽의 상기 볼록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분할 기판 및 상기 제3 분할 기판은, 한쪽의 상기 오목부와 다른 쪽의 상기 볼록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23) (2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분할 기판에 배치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고,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이며,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3 분할 기판의 각각에 배치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24) (2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3 분할 기판 중 어느 쪽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25)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는, 상기 반사 시트를 제1 반사 시트로 해서, 상기 기판에 붙여진 제2 반사 시트를 더 갖고, 상기 제1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각각 내측에 배치하는 복수의 제1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반사 시트는, 전체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각각 내측에 배치하는 복수의 제2 구멍을 갖고, 각각의 상기 제1 구멍의 내측에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구멍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26) (25)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 시트는, 복수의 반사 피스로 분할되고, 1개의 상기 반사 피스가, 1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내측에 배치하는 1개의 상기 제2 구멍을 갖고,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반사 피스는, 가장 상기 피치가 작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한 위치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크기 및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27) (25)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 시트는, 상기 기판의 중앙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반사 피스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을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반사 피스로 분할되고,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28) (27)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피스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제2 구멍을 갖고, 각각의 상기 제2 반사 피스는, 1개의 상기 제2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29) (27)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피스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제2 구멍을 갖고, 각각의 상기 제2 반사 피스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제2 구멍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0) (27) 내지 (2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1) (30)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2) (25)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 시트는, 복수의 반사 피스로 분할되고, 각각의 상기 반사 피스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내측에 배치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제2 구멍을 갖고, 상기 기판은, 복수의 분할 기판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상기 반사 피스는, 접착되는 상기 분할 기판과 상사형의 외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3) (25)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 시트는, 상기 기판 상에 백 레지스트 도포해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4) (1) 내지 (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는 반대측에서 지지하는, 상기 기판보다도 큰 지지판과, 상기 기판의 상방이며 적어도 1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방에 배치되는 렌즈를 더 갖고, 상기 렌즈는, 상기 기판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5) (34)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스페이서를 갖고, 상기 렌즈는, 상기 스페이서를 개재해서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6) (1) 내지 (32)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판을 갖고, 상기 복수의 기판을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는 반대측에서 지지하는, 상기 기판보다도 큰 지지판과, 각각의 상기 기판의 상방이며 적어도 1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방에 배치되는 렌즈를 더 갖고, 상기 렌즈는, 그 아래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7) (36)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스페이서를 갖고, 상기 렌즈는, 상기 스페이서를 개재해서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8) (37)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적어도 이웃끼리의 상기 기판 사이에 분할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한쪽의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와, 다른 쪽의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의 양방이, 이웃끼리의 상기 기판에 배치된 상기 스페이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39) (37)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적어도 이웃끼리의 상기 기판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기판에 가까운 제1 분할 스페이서와 다른 쪽의 상기 기판에 가까운 제2 분할 스페이서로 분할되어 배치되고, 한쪽의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분할 스페이서에 지지되고, 다른 쪽의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는, 상기 제2 분할 스페이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40) (1)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시트는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41)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는, (1) 내지 (4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를 갖고, 텔레비전 방송의 전파를 수신해서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2)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는, 가로로 긴 화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겹치는 백라이트와, 스피커와, 튜너를 갖고, 상기 백라이트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오목면이 향하도록 만곡부를 갖는 반사 시트와,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반사 시트에 겹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탑재되어 상기 반사 시트를 관통해서 상기 오목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점 광원을 갖고, 각각의 상기 점 광원은, 상기 기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고, 상기 수직 방향보다도 다른 방향으로의 광 강도가 강하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점 광원은, 상기 화면의 가로 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나열되고, 상기 화면의 세로 방향의 폭이 상기 화면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절반 이하인 공간 영역 내에 들어가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점 광원이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화면의 세로 방향으로 작지만, 광이 확산되도록 방사되고, 반사 시트의 만곡부에 의해 휘도의 변화가 완만해지기 때문에, 위화감이 없는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43) (42)에 기재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화면의 세로 방향의 폭은, 상기 화면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44) (42)에 기재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화면의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할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45) (42)에 기재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만곡부는, 제1 만곡부 및 제2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화면의 세로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점 광원을 사이에 끼우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46) (42)에 기재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점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외측에 배치된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47)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는, 가로로 긴 화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겹치는 백라이트와, 스피커와, 튜너와, 적어도 상기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를 수용하는 캐비닛을 갖고, 상기 백라이트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오목면이 향하도록 만곡부를 갖는 반사 시트와,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반사 시트에 겹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탑재되어 상기 반사 시트를 관통해서 상기 오목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점 광원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점 광원은, 상기 화면의 가로 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나열되고, 각각의 상기 점 광원은, 상기 기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고, 상기 수직 방향보다도 다른 방향으로의 광 강도가 강하게 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이 확산되도록 방사되고, 반사 시트의 만곡부에 의해 휘도의 변화가 완만해지기 때문에, 위화감이 없는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고, 기판을 캐비닛에 고정함으로써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48) (47)에 기재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캐비닛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49) (47)에 기재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고정된 방열판을 더 갖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방열판을 개재해서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50) (47)에 기재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튜너를 포함하는 회로를 갖는 회로 기판을 갖고, 상기 반사 시트의 상기 만곡부는,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만곡부와 상기 캐비닛 사이의 스페이스의 하방에 상기 회로 기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51) (47)에 기재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점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외측에 배치된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백라이트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된 구조에 대응하는 반사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의 변형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의 변형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반사 피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반사 피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제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제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제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제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도 28(A)~도 28(C)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는 제8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은 도 30(A)~도 30(C)은, 제8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제8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는 제8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분해 사시도.
도 34는 도 33에 도시하는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반사 시트보다도 후방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도 33에 도시하는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측면도.
도 36은 도 33에 도시하는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종단면 개략도.
도 37은 점 광원의 광 강도 분포(지향 특성)를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광 강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반사 시트보다도 후방을 도시하는 도면.
도 40은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종단면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0)을 갖는다. 액정 표시 패널(10)은, 표시면(도 1에서 좌측면) 및 표시 면과는 반대측의 이면(도 1에서 우측면)을 갖는다. 액정 표시 패널(10)의 이면에 대향하도록, 확산 시트나 프리즘 시트 등의 복수의 광학 시트(12)가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14)를 갖는다. 도 2는, 백라이트(14)의 평면도이다. 액정 표시 패널(10)과 백라이트(14) 사이에, 광학 시트(12)가 배치되어 있다. 백라이트(14)는, 광원으로 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6)를 갖는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6)는, 글래스 에폭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18)에 탑재되어 있다. 기판(18)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6)가 탑재된 면이, 액정 표시 패널(10)의 이면(도 1에서 우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6)를 피하여, 기판(18)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6)가 탑재된 면에 반사 시트(20)가 겹쳐져 있다. 반사 시트(20)는, 기판(18)보다도 크고, 기판(18)의 전체가 반사 시트(20)의 일부에 겹쳐 있다. 반사 시트(20)는 예를 들면 수지로 이루어진다. 반사 시트(20)는, 기판(18)과는 열팽창률이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반사 시트(20)는, 기판(18)의 표면보다도 광의 반사율이 높게 되어 있다. 반사 시트(2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10)의 이면(도 1에서 우측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절곡되거나 또는 굴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사 시트(20)에서 반사된 광의 방향이 조정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16)가 탑재된 기판(18)은, 지지판(22)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판(22)은, 케이스(24)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24)의 내측에, 반사 시트(20)의 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10) 및 기판(18)은, 모두 공통되는 제1 방향 D1(도 1에서 지면의 표리 방향, 도 2에서 좌우 방향)의 폭이, 제1 방향 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 D2(도 1 또는 도 2에서 상하 방향)의 폭보다도 긴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10) 및 기판(18)은, 모두 평면 형상이 제1 방향 D1로 긴 직사각형이다.
기판(18)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방향 D2의 폭이, 액정 표시 패널(10)의 제2 방향 D2의 폭보다도 짧다. 기판(18)의 제2 방향 D2의 폭은, 액정 표시 패널(10)의 제2 방향 D2의 폭의 1/3 이하이다. 기판(18)은, 액정 표시 패널(10)의 제2 방향 D2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피하여, 액정 표시 패널(10)의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와 대향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16)가 탑재된 기판(18)이 탑재된 기판(18)이 작으므로, 코스트 삭감 및 백라이트(14)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기본 구조에 대해서 상술한 내용은, 이하의 어떠한 실시 형태에도 해당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16)는, 제1 방향 D1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116)의 피치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16)의 배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16)는, 불균등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116)의 피치는, 기판(1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216)는, 제1 방향 D1으로 지그재그 형상(지그재그)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비스듬하게 인접하는) 발광 다이오드(216)의 피치가 동일하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216)의 배열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216)는, 불균등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일례로서는,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216)의 피치는, 기판(2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 부근에서 조밀하게 되고, 기판(218)의 끝 부근에서는 성기게 되어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216)가 배열된 구조에 대응하는 반사 시트(22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반사 시트(22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216)를 1개씩 내측에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226)을 갖는다. 복수의 구멍(226)은, 도 6에 도시하는 발광 다이오드(216)의 배열에 대응하여, 제1 방향 D1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226)은, 불균등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구멍(226)의 피치는, 기판(2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다.
반사 시트(220)는, 기판(218)(도 6 참조)에 평행하게 대향하는 평탄 영역(228)을 갖는다. 평탄 영역(228)에 복수의 구멍(226)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 시트(220)는, 평탄 영역(228)에 비스듬하게 접속하는 제1 경사 영역(230)을 갖는다. 제1 경사 영역(230)은, 평탄 영역(228)의 제1 방향 D1로 연장되는 한 쌍의 변의 각각에 접속하고 있다. 반사 시트(220)가 절곡되어, 평탄 영역(228)과 제1 경사 영역(230)의 경계가 나타나 있다. 제1 경사 영역(230)은, 기판(218)과는 반대측의 면(광이 반사하는 면)이 오목면이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반사 시트(220)는, 평탄 영역(228)에 비스듬하게 접속하는 제2 경사 영역(232)을 갖는다. 평탄 영역(228)의 제2 방향 D2로 연장되는 한 쌍의 변의 각각에 제2 경사 영역(232)이 접속되어 있다. 반사 시트(220)가 절곡되어, 평탄 영역(228)과 제2 경사 영역(232)의 경계가 나타나 있다. 한 쌍의 제1 경사 영역(230) 사이에 1개의 제2 경사 영역(232)이 위치하고, 한 쌍의 제2 경사 영역(232) 사이에 1개의 제1 경사 영역(230)이 위치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316)는, 제1 그룹 및 제2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제1 그룹의 발광 다이오드(316a)는, 제1 방향 D1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제1 그룹의 발광 다이오드(316a)는, 기판(318)의 중앙부를 사이에 끼우는 양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그룹의 발광 다이오드(316a)는, 제1 방향 D1으로 등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제2 그룹의 발광 다이오드(316b)는, 제1 방향 D1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2 그룹의 발광 다이오드(316b)는, 기판(3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그룹의 발광 다이오드(316b)는,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등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기판(320)은, 중앙부(320b)의 제2 방향 D2의 폭이, 양단부(320a)의 각각의 제2 방향 D2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고, 이 점에서, 도 8에 도시하는 기판(318)과 상이하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제1 그룹의 발광 다이오드(316c)의 이웃끼리의 피치는, 기판(3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그룹의 발광 다이오드(316d)의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피치는, 기판(3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기판(320)은, 중앙부(320b)의 제2 방향 D2의 폭이, 양단부(320a)의 각각의 제2 방향 D2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고, 이 점에서, 도 10에 도시하는 기판(318)과 상이하다.
[제4 실시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416)의 피치는, 기판(4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다. 또한, 기판(418)은, 피치가 가장 작은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416) 사이에서, 제1 분할 기판(438) 및 제2 분할 기판(440)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분할 기판(438) 및 제2 분할 기판(440)은, 동일한 설계로 구성되고, 서로 회전 대상의 위치 관계에 있다. 그 경우의 회전 대상의 회전 의 중심은, 제1 분할 기판(438) 및 제2 분할 기판(440)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분할 기판(438) 및 제2 분할 기판(440) 중 적어도 한쪽(도 12의 예에서는 양방)은, 한쪽의 단부에 케이블(434)과의 접속용의 케이블 커넥터(436)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분할 기판(438) 및 제2 분할 기판(440)이, 다른 쪽의 단부끼리를 인접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418)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제1 분할 기판(446) 및 제2 분할 기판(448)이 인접하는 단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오목부(442) 및 볼록부(444)를 갖고 있다. 제1 분할 기판(446) 및 제2 분할 기판(448)은, 한쪽의 오목부(442)와 다른 쪽의 볼록부(444)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416)는, 적어도 제1 분할 기판(446) 및 제2 분할 기판(448)의 오목부(442) 및 볼록부(444)가 형성된 단부 측에서는, 제1 방향 D1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분할 기판(446) 및 제2 분할 기판(448)의 모두 짧은 변 방향의 폭이 넓은 부분(450)과 좁은 부분(452) 갖고 있고, 넓은 부분(450)에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416)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분할 기판(446) 및 제2 분할 기판(448)의 각각의 제1 방향 D1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416)로부터, 제1 방향 D1로, 볼록부(444)가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444)와 오목부(442)는 인접해서 형성되어 있고, 양자를 구획하는 변이, 제1 방향 D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418)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416)는, 제1 분할 기판(454)의 전체 및 제2 분할 기판(456)의 전체에 걸쳐, 제1 방향 D1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3의 예와는 달리, 제1 분할 기판(454) 및 제2 분할 기판(456)은, 각각 짧은 변 방향의 폭이 일정하다. 도 14에 있어서, 볼록부와 오목부를 구획하는 변(458)은, 제1 방향 D1과 교차하도록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516)의 피치는, 기판(5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다. 기판(518)은,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516)의 피치가 가장 작은 위치를 피하여,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516) 사이에서, 제1 분할 기판(538) 및 제2 분할 기판(540)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분할 기판(538) 및 제2 분할 기판(540) 중 적어도 한쪽(도 15의 예에서는 양방)은, 단부에 케이블(534)과의 접속용의 케이블 커넥터(536)를 갖고 있다. 제1 분할 기판(538) 및 제2 분할 기판(540)이, 단부끼리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616)의 피치는, 기판(6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다. 기판(618)은, 피치가 가장 작은 위치를 피하여,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616) 사이에서, 제1 분할 기판(638), 제2 분할 기판(640) 및 제3 분할 기판(646)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분할 기판(638)의 한쪽의 단부에는, 케이블(634)과의 접속용의 케이블 커넥터(63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분할 기판(638)의 다른 쪽의 단부와 제2 분할 기판(640)의 한쪽의 단부는, 제1 접속 커넥터(64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분할 기판(640)의 다른 쪽의 단부와 제3 분할 기판(646)의 한쪽의 단부는, 제2 접속 커넥터(6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7은,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618)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616)는, 제1 방향 D1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616)의 피치는,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616)의 피치이다.
도 18은,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618)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제1 분할 기판(652) 및 제2 분할 기판(654)의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오목부(642) 및 볼록부(644)를 갖고 있다. 제2 분할 기판(654) 및 제3 분할 기판(656)의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오목부(642) 및 볼록부(644)를 갖고 있다.
제1 분할 기판(652), 제2 분할 기판(654) 및 제3 분할 기판(656)의 각각의 제1 방향 D1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616)로부터, 제1 방향 D1로 볼록부(644)가 돌출되어 있다.
제1 분할 기판(652) 및 제2 분할 기판(654)는, 한쪽의 오목부(642)와 다른 쪽의 볼록부(644)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분할 기판(640) 및 제3 분할 기판(646)은, 한쪽의 오목부(642)와 다른 쪽의 볼록부(644)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618)의 변형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제2 분할 기판(660)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616)는, 제1 방향 D1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616)의 피치는,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616)의 피치이다. 이것에 대하여, 제1 분할 기판(658)및 제3 분할 기판(662)의 각각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616)는, 제1 방향 D1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도 20은,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판(618)의 변형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제2 분할 기판(666)의 제2 방향 D2의 폭이, 제1 분할 기판(664) 및 제3 분할 기판(668) 중 어느 쪽의 제2 방향 D2의 폭보다도 넓다.
[제7 실시 형태]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716)는, 제1 방향 D1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백라이트(714)는, 기판(718)에 겹쳐지는 제1 반사 시트(778)를 갖는다. 제1 반사 시트(778)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716)를 각각 내측에 배치하는 복수의 제1 구멍(752)을 갖고 있다.
백라이트(714)는, 기판(718)에 붙여진 제2 반사 시트(722)를 갖는다. 제2 반사 시트(722)는, 복수의 반사 피스(758)로 분할되어 있다. 제2 반사 시트(722)는, 전체적으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716)를 각각 내측에 배치하는 복수의 제2 구멍(754)를 갖고 있다. 1개의 반사 피스(758)가, 1개의 발광 다이오드(716)를 내측에 배치하는 1개의 제2 구멍(754)을 갖고 있다. 각각의 제1 구멍(752)의 내측에 어느 하나의 제2 구멍(754)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다. 즉, 기판(718)에 붙여진 제2 반사 시트(722)(복수의 반사 피스(758)) 상에 제1 반사 시트(778)가 겹쳐져 있다.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716)의 피치는, 기판(7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반사 피스(758)는, 가장 피치가 작은 발광 다이오드(716)에 대응한 위치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크기 및 형상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반사 피스(758)는 직사각형의 외형을 갖지만,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6각형의 외형을 갖는 반사 피스(724)나,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의 외형을 갖는 반사 피스(726)를 사용해도 된다.
도 24는, 제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이웃끼리의 발광 다이오드(716)의 피치는, 기판(718)의 제1 방향 D1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다. 제2 반사 시트(732)는, 제1 반사 피스(762)와, 복수의 제2 반사 피스(764)로 분할되어 있다. 제1 반사 피스(762)는, 기판(718)의 중앙의 제1 영역(756)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반사 피스(762)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제2 구멍(754)을 갖고 있다. 복수의 제2 반사 피스(764)는, 기판(718)의 제1 영역(756)을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제2 영역(760)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2 반사 피스(764)는, 1개의 제2 구멍(754)을 갖고 있다.
도 25는, 제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제1 반사 피스(782)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제2 구멍(784)을 갖고 있다. 각각의 제2 반사 피스(786)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제2 구멍(788)을 갖고 있다. 그 밖의 내용은 상기 변형예 1의 내용이 해당한다.
도 26은, 제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제2 영역(790)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716)는, 제1 방향 D1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도 27은, 제7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제2 반사 시트(792)는, 복수의 반사 피스(794)로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반사 피스(794)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716)를 1개씩 내측에 배치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제2 구멍(796)을 갖고 있다. 기판(798)은, 복수의 분할 기판(800)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반사 피스(794)는, 접착되는 분할 기판(800)과 상사형의 외형 형상을 갖는다.
[제8 실시 형태]
도 28(A)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백라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818)의 상방이며 적어도 1개의 발광 다이오드(816)의 상방에 렌즈(866)가 배치되어 있다. 기판(818)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816)와는 반대측에서 지지판(8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822)은 기판(818)보다도 크다.
렌즈(866)는, 기판(818)의 외측에서 지지판(822)에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868)에 의해 렌즈(866)는 지지판(822)에 접착되어 있다. 도 2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20°회전한 3개소에 각각 접착제(868)를 설치해도 되고, 도 2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80°회전한 2개소에 각각 접착제(868)를 설치해도 되고, 도 2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0°회전한 4개소에 각각 접착제(868)를 설치해도 된다.
도 29는, 제8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지지판(822)에 스페이서(870)가 설치되어 있고, 렌즈(866)는, 스페이서(870)를 개재해서 지지판(822)에 지지되어 있다.
도 30(A)은, 제8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기판(818)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816)와는 반대측에서, 기판(818)보다도 큰 지지판(8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기판(818)의 상방이며 적어도 1개의 발광 다이오드(816)의 상방에 렌즈(866)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866)는, 그 아래에 배치되는 기판(818)의 외측에서 지지판(822)에 부착되어 있다.
렌즈(866)는, 기판(818)의 외측에서 지지판(822)에 부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868)에 의해 렌즈(866)는 지지판(822)에 접착되어 있다. 도 3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20°회전한 3개소에 각각 접착제(868)를 설치해도 되고, 도 3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80°회전한 2개소에 각각 접착제(868)를 설치해도 되고, 도 3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90°회전한 4개소에 각각 접착제(868)를 설치해도 된다.
도 31은, 제8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지지판(822)에 스페이서(880)가 설치되어 있다. 렌즈(866)는, 스페이서(880)를 개재해서 지지판(822)에 지지되어 있다. 스페이서(880)는, 적어도 이웃끼리의 기판(818) 사이에 분할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기판(818)의 상방에 위치하는 렌즈(866)와, 다른 쪽의 기판(818)의 상방에 위치하는 렌즈(866)의 양방이, 이웃끼리의 기판(818)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880)로 지지되어 있다.
도 32는, 제8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백라이트의 변형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스페이서(890)는, 제1 분할 스페이서(892)와 제2 분할 스페이서(894)로 분할되어 있다. 이웃끼리의 기판(818) 사이에서, 제1 분할 스페이서(892)는 한쪽의 기판(818)에 가깝고, 제2 분할 스페이서(894)는 다른 쪽의 기판(818)에 가깝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기판(818)의 상방에 위치하는 렌즈(866)는, 제1 분할 스페이서(892)에 지지되어 있다. 다른 쪽의 기판(818)의 상방에 위치하는 렌즈(866)는, 제2 분할 스페이서(894)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를 내장하고, 텔레비전 방송의 전파를 수신해서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을 내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예를 설명한다.
[제9 실시 형태]
도 3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하는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반사 시트보다도 후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도 35는, 도 33에 도시하는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측면도이다. 도 36은, 도 33에 도시하는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종단면 개략도이다.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는, 가로로 긴 화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900)을 갖는다.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의 어스펙트비(가로 치수와 세로 치수의 비)는 16대 9이다. 액정 표시 패널(900)은, 전방측(화상을 표시하는 측)이 상부 프레임(902)에 지지되고, 후방측이 몰드 프레임(904)으로 지지되어 있다.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는, 액정 표시 패널(900)에 겹치는 백라이트(906)를 갖는다.
액정 표시 패널(900), 상부 프레임(902), 몰드 프레임(904) 및 백라이트(906)는, 프론트 캐비닛(908) 및 백 캐비닛(910)으로 이루어지는 캐비닛(912)에 수용된다. 프론트 캐비닛(908)은 수지로 구성되고, 백 캐비닛(910)은 도장된 금속 또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캐비닛(912)은, 대좌(914) 및 다리(916)로 이루어지는 스탠드(918)로 지지되어 있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비닛(912)의 측면에는 표시하는 채널의 선택을 하거나, 음량을 제어하는 스위치(920)가 배치되어 있다.
백 캐비닛(910)의 하부 후방에는, 커버(922)가 부착되어 있다. 커버(922)의 내부에는, 스피커(924) 및 회로 기판(926)이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926)은, 다양한 주파수의 전파 중에서 특정한 주파수의 전파를 골라내기 위한 동조 회로(튜너)를 구비하고 있다.
백라이트(906)는, 액정 표시 패널(900)에 오목면이 향하도록 만곡부(928)를 갖는 반사 시트(930)를 갖는다. 반사 시트(930)의 만곡부(928)는, 캐비닛(91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36 참조). 만곡부(928)는, 제1 만곡부(932) 및 제2 만곡부(934)를 포함한다. 제1 만곡부(932) 및 제2 만곡부(934)는, 화면의 세로 방향에서 복수의 점 광원(936)을 사이에 끼우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만곡부(928)와 백 캐비닛(910) 사이의 스페이스의 하방에 회로 기판(926)이 배치되어 있다(도 36 참조).
백라이트(906)는, 액정 표시 패널(900)과는 반대측에서 반사 시트(930)에 겹치는 기판(938)을 갖는다. 기판(938)의 화면의 세로 방향의 폭은, 화면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절반 이하이다. 기판(938)은, 캐비닛(912)에 고정된다. 기판(938)은, 캐비닛(912)에 직접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방열판(940)을 개재해서 캐비닛(912)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 33은 후자의 예이며, 기판(938)이 방열판(940)에 고정되고, 방열판(940)이 캐비닛(912)에 고정된 구조이다. 또한, 기판(938)과 방열판(940)은, 도 1의 기판(18)과 지지판(22)에 상당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면의 거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광 다이오드(942)(도 36 참조)를 포함하는 점 광원(936)이, 가로 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기판(938) 상에 탑재되어 있다. 기판(938)은, 프린트 배선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938)은, 백 캐비닛(910)에 나사 고정되거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의 방열판(940)에 나사 고정되고, 또한 방열판(940)이 백 캐비닛(910)에 고정되거나 하는 방법으로 고정된다. 발광 다이오드(942)는 상하 방향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2열이고,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정면에서 보아, 기판(938)의 치수 YL은, 액정 표시 패널(900)의 화면의 높이 YH의 1/3 이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백라이트(906)는, 기판(938)에 탑재되어 반사 시트(930)를 관통해서 만곡부(928)의 오목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점 광원(936)을 갖는다. 복수의 점 광원(936)은, 화면의 가로 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나열되고, 화면의 세로 방향의 폭이 화면의 세로 방향의 길이의 절반 이하인 공간 영역 내에 들어가도록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점 광원(936)은,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942) 및 그 외측에 배치된 렌즈(944)를 포함한다. 기판(938)에는, 발광 다이오드(942)를 피복하도록, 아크릴 수지를 이용한 렌즈(944)가 탑재되어 있다.
점 광원(936)은, 기판(938)에 대하여 수직 방향 및 다른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고, 수직 방향보다도 다른 방향으로의 광 강도가 강하게 되어 있다. 렌즈(944)는 발광 다이오드(942)로부터의 방사광을 정면 방향과 비교해서 시각 방향으로 보다 넓혀서 방사하는 광(廣) 배광 특성을 갖는다. 점 광원(936)의 이러한 광 강도 분포(지향 특성)를 도 37에 도시한다. 또한, 도 38은, 렌즈(944)를 나온 광 강도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각도의 수치는, 점 광원(936)으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0°가 액정 표시 패널(900)에 대향하는 면측(기판(938)의 평면의 연직 방향)이며, ±90°는 기판(938)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에 상당한다.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특징의 1개는, 화면의 세로 방향을 따라, 기판(938)의 세로 방향 치수 YL이 화면 치수 YH의 1/3 이하로 작게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밝고, 화면 전체에 휘도의 균일성이 높다고 느끼는 고화질의 성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한 기판을 복수 배치하고, 기판간의 영역에서도 휘도가 균일 혹은 휘도 변화가 원활하게 되도록 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다이오드를 다수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간격을 짧게 해서 휘도 변화를 순조롭게 하여, 각각 개개의 발광 다이오드 배치를 광학적으로 인식할 수 없게 배치되어 있었다. 광 배향 렌즈를 발광 다이오드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기판의 간격을 넓히는 경우도 있지만, 기판의 치수는 화면의 절반보다 크게 되어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가장 떨어진 한 쌍의 렌즈(944)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외면 사이의 치수가, 화면 치수 YH의 1/3 이하이다. 발광 다이오드(942)가 가로 방향에 1열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렌즈(944)의 세로 방향의 폭(직경)이 화면 치수 YH의 1/3 이하이다. 발광 다이오드(942) 및 렌즈(944)는, 코스트를 저감하기 위해서, 기판(938) 밖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는 치수로 되어 있고, 최소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938)의 세로 치수 YL 혹은 세로 방향에 2열로 나열된 렌즈(944)의 외곽 사이의 치수는, 화면의 세로 치수의 1/3 이하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942)의 수를 적게 해도, 밝고 휘도 분포가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되므로, 코스트를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면 세로 방향(화면의 짧은 변 방향)의 치수 YH로부터, 기판(938)의 세로 치수 YL을 제외한 길이의 폭을 갖도록, 반사 시트(930)의 만곡부(928)가 배치되어 있다. 만곡부(928)의 폭이 YH의 1/2 이상이면, 화면의 휘도 분포가 정면에서 보아도 위화감이 없고, 게다가 발광 다이오드(942) 수를 대폭 삭감할 수 있어,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즉, 점 광원(936)이 들어가는 공간 영역보다도, 만곡부(928)에 의한 반사 영역을 크게 함으로써, 코스트를 삭감 가능할 수 있게 된다.
기판(938) 상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942)로부터 방사된 광은, 발광 다이오드(942)의 상방에 배치된 아크릴 수지로 구성된 렌즈(944)에 의해 확산된다. 그 배광 특성은, 정면 방향보다 경사 방향으로의 광 강도가 강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942) 각각에 광 배광의 렌즈(944)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938)으로부터 수직 방향(화면에의 방향)에 있는 확산판(946)까지의 거리(이하 내측 두께 Zd라고 함)의 공간에 있어서, 정면으로의 방사광보다, 기판(938)으로부터 화면의 주변 방향으로의 방사광의 광 강도가 크게 되어 있다. 렌즈(944)로부터 정면으로 방사된 광의 일부는 확산판(946)을 투과하여, 액정 표시 패널(900)을 통과해서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일부의 광은, 확산판(946)에서 반사되고, 반사 시트(930)에서 반사되어, 정면이 아닌 방향으로도 방사된다. 또한, 렌즈(944)로부터 직접 반사 시트(930)에 들어가서, 여러 가지의 방향으로 방사되는 광도 있다. 렌즈(944)로부터 방사된 광은, 만곡부(928)를 갖는 반사 시트(930)와 확산판(946) 사이의 공간에서 반사를 반복하고, 확산판(946)을 통해서 화면의 대략 전체면을 투과한다.
상기 구성의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휘도 성능은, 정면에서 측정한 최대 휘도를 100%로 하면 주변이 30% 정도로 어두운 상태이다. 화면 정면의 중앙 휘도와 평균 휘도의 비는 1.65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반사 시트(930)의 만곡부(928)가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938)으로부터 화면의 세로 방향으로 휘도가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 때문에, 중앙 휘도와 평균 휘도가 1.65로 큼에도 불구하고, 그 분포에 큰 변곡점이 없기 때문에 위화감이 적은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중앙 휘도와 평균 휘도가 1.65 이상이어도 위화감이 없는 원활한 휘도 분포가 얻어지는 것은, 반대로 말하면, 발광 다이오드(942) 수를 저감하고, 기판(938)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중앙의 휘도가 밝고, 화면 주변을 향함에 따라서, 원활한 휘도 분포로써 휘도가 저하하는 특성은, 정면으로의 광 방사를 차단하는 구조를 설치하면 실현할 수 없다. 그 경우, 중앙에 어두운 상태로 되므로 위화감이 있는 표시 분포로 된다. 따라서, 개개의 발광 다이오드(942)와 그것에 가까운 렌즈(944)를 포함하는 점 광원(936)의 광 출사 특성은, 정면에도 소정의 출력이 있다.
백 캐비닛(910)은,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최외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기판(938)은, 방열판(940)에 나사 고정되고, 발광 다이오드(942)로부터의 열을 기판(938) 및 방열판(940)에서 방열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942)의 접합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억제하고 있다. 방열판(940)은,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사양 휘도가 낮은 경우, 제거가능하다. 이 경우, 기판(938)이 직접 백 캐비닛(910)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942)의 방열은 기판(938)에 의해서만 이루어지지만, 기판(938)의 방열 효과로도, 발광 다이오드(942)의 접합 온도를 소정의 값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판(938)과 반사 시트(930)는, 백 캐비닛(910)에 근접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구조에 의해, 휘도 성능을, 위화감이 없는 균일성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백라이트 구조에서는, 발광 다이오드를 탑재하는 기판은, 철이나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액정 표시 장치의 백 프레임(도시 생략)에 고정되고, 이 백 프레임의 외부에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전원이나 액정 표시 패널의 게이트 신호선이나 드레인 신호선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의 기판을 배치하고, 또한 그 외부에 텔레비전 수상기의 백 캐비닛이 배치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백라이트의 확산판과 발광 다이오드의 내측 두께 거리 외에, 백 프레임과 백 캐비닛의 거리도 필요하게 되어 두껍게 되어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944)로부터, 정면보다도 주변으로 보다 높은 휘도로 방사된 광은, 소정의 공간(내측 두께 Zd)을 거쳐, 확산판(946) 및 액정 표시 패널(900)을 투과하고, 이에 의해 화상이 표시된다. 기판(938)과 방열판(940)은 접촉하고, 방열판(940)과 백 캐비닛(910)은 나사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측 두께 Zd 이외에 불필요한 공간 거리가 없어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두께는 박형화되어 있다.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박형화는, 전원 회로, 영상 회로, 동조 회로(튜너), 액정 표시 패널(900)의 타이밍 회로를 갖는 회로 기판(926)의 배치에 의해서도 실현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반사 시트(930)의 만곡부(928)가 백 캐비닛(9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만곡부(928)와 백 캐비닛(910) 사이에 넓은 스페이스를 얻을 수 있다.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하부에는 전원 회로, 영상 회로, 동조 회로(튜너), 액정 표시 패널(900)의 타이밍 회로를 갖는 회로 기판(926)이 컴팩트하게 저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942)가 탑재된 기판(938) 또는 방열판(940)과 백 캐비닛(910) 사이에 스페이스를 취하는 일이 없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만곡된 반사 시트(930)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제조 공정을, 도 33~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철을 재료로 하는 부재에 도장을 실시해서 이루어지는 백 캐비닛(910)에, 내측으로부터 벽걸이 금속 부재(948)를 부착한다. 벽걸이 금속 부재(948)는 백 캐비닛(910)의 강도를 보강한다. 백 캐비닛(910)의 배후로부터 벽에 걸 때의 평판 나사 구멍이 벽걸이 금속 부재(948)에 형성되어 있다. 백 캐비닛(910)의 내측에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재료로 하는 방열판(940)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발광 다이오드(942)를 탑재한 기판(938)을 방열판(940)에 부착한다. 발광 다이오드(942) 상에는 아크릴을 이용한 광 배광의 렌즈(944)를 캡핑하고, 이것을 접착재로 고정하고 있다.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휘도 사양에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942)의 접합 온도에 여유가 있는 경우, 기판(938)을 백 캐비닛(910)에 직접 부착해도 된다. 여기서, 기판(938)의 표면에는, 발광 다이오드(942) 주변에, 제7 실시 형태의 제2 반사 시트(722)로 나타낸 바와 같은 반사 시트가 붙여져 있다. 발광 다이오드(942)로부터 방사된 광을 재반사하기 쉽도록, 제2 반사 시트(722)와 같은 시트 대신에, 기판(938) 상에 백 레지스트를 도포해 두어도 된다.
도 34에 도시하는 커넥터(950)는 기판(938) 상의 점 광원(936)에 이르는 배선의 전기적인 접속부이다. 커넥터(950)에는, 배선(951)이 접속되고, 백 캐비닛(910)에 형성된 취출 구멍(952)을 거쳐서, 백 캐비닛(910)의 배면으로 인출되고, 회로 기판(926)에 접속된다(도 36 참조). 회로 기판(926)은, 발광 다이오드(942)를 제어하는 인버터 회로가 포함된다. 또한, 취출 구멍(952)은, 후술하는 커버(922)와 중복되는 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백 캐비닛(910) 내부에 외부로부터의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표면이 광 확산성을 갖고, 화면의 세로 방향에서 만곡하고, 렌즈(944)를 삽통하기 위해서 렌즈(944) 직경보다 큰 구멍을 갖는 반사 시트(930)를 부착한다. 이 상방에, 두께가 1.5 내지 3㎜인 확산판(946), 프리즘 시트(950) 및 확산 시트(952)를 배치한다. 기판(938)과 확산판(946)의 이면의 공간(내측 두께 Zd)에서, 발광 다이오드(942)로부터의 직접광과 반사 시트(930)로부터의 2차 광인 반사광을 합성한다.
다음으로, 광학 시트류를, 수지 재료로 작성한 4분할된 몰드 프레임(904)으로 고정한다. 이 상방에 액정 표시 패널(900)을 배치한다. 액정 표시 패널(900)은, 2매의 글래스 기판 내에 액정을 봉입하고 한쪽의 기판(TFT 기판)에 TFT(Thin Film Transistor) 및 드레인 신호선 및 게이트 신호선이 형성되고, 다른 기판에는 컬러 필터가 형성된 구성이다. TFT 기판 상의 게이트 신호선 및 드레인 신호선은, 외부로 인출되어, 드라이버 IC 및 이것이 탑재된 드레인 기판에 접속된다. 글래스 기판의 각각의 표면에는 편광판이 붙여져 있다. 드레인 기판은, 플렉시블 케이블로, 영상 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컨트롤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액정 표시 패널(900)의 상방에, 드라이버 IC로부터의 전자파를 방지하고, 액정 표시 패널(900)을 고정하기 위한 철로 형성된 상부 프레임(902)을 부착한다.
최종적으로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상부 프레임(902)의 표면에 수지 재료로 구성된 프론트 캐비닛(908)을 부착하고, 캐비닛(912) 아래에 발광 다이오드(942)의 제어 회로, 타이밍 컨트롤 회로, 영상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외부와의 접속 단자 등이 배치되고, 보호용의 수지제의 커버(922)가 부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벽걸이 금속 부재(948)를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백 캐비닛(910)에 충분한 강도가 있는 경우에는, 벽걸이 금속 부재(948)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제10 실시 형태]
도 3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반사 시트보다도 후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종단면 개략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는, 제9 실시 형태보다도 화면 사이즈가 큰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이다. 따라서, 1매의 기판에 모든 발광 다이오드(972)를 탑재하면 기판이 커져 코스트가 증가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을 복수로 분할하고 있다. 즉, 기판(960)은, 화면의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분할 기판(962)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분할 기판(962)에 각각 발광 다이오드(972)가 탑재되어 있고, 이웃끼리의 분할 기판(962)의 발광 다이오드(972)의 중심점 간격이 YYL로 되도록, 양자 간격이 떨어져 있다. 복수의 분할 기판(962)은 방열판(970)에 고정되어 있다. 치수 YYL은, 점 광원(964)의 광 분포에 있어서 세로 방향에서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는 거리까지 넓히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에는 벽걸이 금속 부재는 탑재하지 않고 있다.
복수의 점 광원(964)이 수용되는 공간 영역의 세로 방향의 폭 YL은, 화면의 세로 치수로부터 YL을 뺀 거리, 즉 반사 시트(966)의 만곡부(968)의 세로 방향의 폭보다 작다. 이에 의해 정면의 휘도가 높고, 주변을 향함으로써 휘도가 완만하게 저하하는 휘도 분포가 얻어진다. 이 분포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위화감이 없는 휘도 분포이면서, 주변에서의 휘도가 작게 되어 있으므로,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에 필요한 광량 총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코스트 저감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제9 실시 형태에 비해, 보다 대화면의 액정 텔레비전 수상기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그 밖의 내용은, 제9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내용이 해당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구성 또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으로 치환할 수 있다.

Claims (5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를 갖고,
    상기 백라이트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피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면에 겹쳐진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상기 면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기판은, 모두 공통되는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도 긴 형상을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짧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피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와 대향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제1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갖고,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기판의 상기 중앙부를 사이에 끼우는 양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등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등피치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이웃끼리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고,
    상기 제2 그룹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중앙부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양단부의 각각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를 갖고,
    상기 백라이트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피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면에 겹쳐진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상기 면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기판은, 모두 공통되는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도 긴 형상을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짧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피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와 대향하고,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피치가 가장 작은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서, 제1 분할 기판 및 제2 분할 기판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 중 적어도 한쪽은, 한쪽의 단부에 케이블과의 접속용의 케이블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이, 다른 쪽의 단부끼리를 인접시켜서 배치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은, 동일한 설계로 구성되고, 서로 회전 대상의 위치 관계에 있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상기 다른 쪽의 단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은, 한쪽의 상기 오목부와 다른 쪽의 상기 볼록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적어도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상기 오목부 및 상기 볼록부가 형성된 상기 단부 측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각각의 상기 제1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를 갖고,
    상기 백라이트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피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면에 겹쳐진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상기 면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기판은, 모두 공통되는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도 긴 형상을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짧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피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와 대향하고,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피치가 가장 작은 위치를 피하여,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서, 제1 분할 기판, 제2 분할 기판 및 제3 분할 기판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케이블과의 접속용의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1 분할 기판의 다른 쪽의 단부와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한쪽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 커넥터와,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다른 쪽의 단부와 상기 제3 분할 기판의 한쪽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 커넥터
    를 더 갖고,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고,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이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단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2 분할 기판 및 상기 제3 분할 기판의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단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각각 오목부 및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상기 제2 분할 기판 및 상기 제3 분할 기판의 각각의 상기 제1 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가 돌출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2 분할 기판은, 한쪽의 상기 오목부와 다른 쪽의 상기 볼록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분할 기판 및 상기 제3 분할 기판은, 한쪽의 상기 오목부와 다른 쪽의 상기 볼록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3.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를 갖고,
    상기 백라이트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피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면에 겹쳐진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상기 면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기판은, 모두 공통되는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도 긴 형상을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짧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피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와 대향하고,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피치가 가장 작은 위치를 피하여,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서, 제1 분할 기판, 제2 분할 기판 및 제3 분할 기판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 분할 기판의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케이블과의 접속용의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제1 분할 기판의 다른 쪽의 단부와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한쪽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접속 커넥터와,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다른 쪽의 단부와 상기 제3 분할 기판의 한쪽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접속 커넥터
    를 더 갖고,
    상기 제2 분할 기판에 배치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고,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지그재그 형상의 배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이며,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3 분할 기판의 각각에 배치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할 기판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분할 기판 및 상기 제3 분할 기판 중 어느 쪽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를 갖고,
    상기 백라이트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피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면에 겹쳐진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상기 면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기판은, 모두 공통되는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도 긴 형상을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짧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피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와 대향하고,
    상기 백라이트는, 상기 반사 시트를 제1 반사 시트로 해서, 상기 기판에 붙여진 제2 반사 시트를 더 갖고,
    상기 제1 반사 시트는,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각각 내측에 배치하는 복수의 제1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반사 시트는, 전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각각 내측에 배치하는 복수의 제2 구멍을 갖고,
    각각의 상기 제1 구멍의 내측에 어느 하나의 상기 제2 구멍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제2 반사 시트는, 상기 기판의 중앙의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반사 피스와,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영역을 사이에 끼우는 한 쌍의 제2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반사 피스로 분할되고,
    이웃끼리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치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방향의 중앙에 가까울수록 작게 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2. 삭제
  33. 삭제
  34.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를 갖고,
    상기 백라이트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피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면에 겹쳐진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상기 면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기판은, 모두 공통되는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도 긴 형상을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짧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피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와 대향하고,
    상기 기판을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는 반대측에서 지지하는, 상기 기판보다도 큰 지지판과,
    상기 기판의 상방이며 적어도 1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방에 배치되는 렌즈
    를 더 갖고,
    상기 렌즈는, 상기 기판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스페이서를 갖고,
    상기 렌즈는, 상기 스페이서를 개재해서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6.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
    를 갖고,
    상기 백라이트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과,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피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면에 겹쳐진 반사 시트를 갖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상기 면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 및 상기 기판은, 모두 공통되는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도 긴 형상을 갖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방향의 폭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도 짧고,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방향의 양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피하여,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의 상기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와 대향하고,
    복수의 상기 기판을 갖고,
    상기 복수의 기판을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는 반대측에서 지지하는, 상기 기판보다도 큰 지지판과,
    각각의 상기 기판의 상방이며 적어도 1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방에 배치되는 렌즈
    를 더 갖고,
    상기 렌즈는, 그 아래에 배치되는 상기 기판의 외측에서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설치된 스페이서를 갖고,
    상기 렌즈는, 상기 스페이서를 개재해서 상기 지지판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적어도 이웃끼리의 상기 기판 사이에 분할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한쪽의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와, 다른 쪽의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의 양방이, 이웃끼리의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된 상기 스페이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적어도 이웃끼리의 상기 기판 사이에서, 한쪽의 상기 기판에 가까운 제1 분할 스페이서와 다른 쪽의 상기 기판에 가까운 제2 분할 스페이서로 분할되어 배치되고,
    한쪽의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는, 상기 제1 분할 스페이서에 지지되고,
    다른 쪽의 상기 기판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렌즈는, 상기 제2 분할 스페이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0. 삭제
  41.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7항, 제18항, 제22항, 제23항, 제24항, 제31항, 제34항, 제35항, 제36항, 제37항, 제38항 및 제39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정 표시 장치를 갖고, 텔레비전 방송의 전파를 수신해서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KR1020137001179A 2010-06-17 2011-01-25 액정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KR101437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8555 2010-06-17
JPJP-P-2010-138555 2010-06-17
PCT/JP2011/051308 WO2011158523A1 (ja) 2010-06-17 2011-01-25 液晶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像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809A KR20130030809A (ko) 2013-03-27
KR101437297B1 true KR101437297B1 (ko) 2014-09-03

Family

ID=4534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179A KR101437297B1 (ko) 2010-06-17 2011-01-25 액정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5415618B2 (ko)
KR (1) KR101437297B1 (ko)
CN (1) CN103733126B (ko)
WO (1) WO2011158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7732B2 (en) 2015-12-23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backlight unit
JP6204559B1 (ja) * 2016-06-07 2017-09-27 ルーメン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線形led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6316494B1 (ja) 2017-09-26 2018-04-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7360272B2 (ja) * 2019-08-19 2023-10-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540A (ja) 2005-06-15 2006-12-28 Lg Phillips Lcd Co Ltd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と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070118514A (ko) * 2006-06-12 2007-12-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10062556A (ja) 2008-09-01 2010-03-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発光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6704A (ja) * 1996-10-21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聴装置
JP2003172930A (ja) * 2001-12-06 2003-06-20 Seiko Epson Corp 信号機用液晶装置及び信号機
JP2005228535A (ja) * 2004-02-12 2005-08-25 Advanced Display Inc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174770B1 (ko) * 2005-02-28 2012-08-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4683969B2 (ja) * 2005-03-18 2011-05-18 京セラ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060134375A (ko) * 2005-06-22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4467491B2 (ja) * 2005-09-06 2010-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
JP5028562B2 (ja) * 2006-12-11 2012-09-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照明装置及びこの照明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JP4857185B2 (ja) * 2007-05-14 2012-01-18 株式会社アキタ電子システムズ 照明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86955A (ja) * 2007-05-17 2008-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パネル用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4980427B2 (ja) * 2007-07-27 2012-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272451A (ja) * 2008-05-08 2009-11-19 Hitachi Ltd 面光源モジュール、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062006A (ja) * 2008-09-04 2010-03-18 Epson Imaging Devices Corp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123551A (ja) * 2008-11-21 2010-06-03 Citizen Electronics Co Ltd 面状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540A (ja) 2005-06-15 2006-12-28 Lg Phillips Lcd Co Ltd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と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20070118514A (ko) * 2006-06-12 2007-12-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10062556A (ja) 2008-09-01 2010-03-1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発光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33126A (zh) 2014-04-16
JP5728066B2 (ja) 2015-06-03
JP5415618B2 (ja) 2014-02-12
JP2014041844A (ja) 2014-03-06
CN103733126B (zh) 2017-06-23
JPWO2011158523A1 (ja) 2013-08-19
KR20130030809A (ko) 2013-03-27
WO2011158523A1 (ja)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2865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像機
JP6207852B2 (ja) 表示装置
US9746602B2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222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도광판
US910406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057097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20236213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3031319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像機
WO2013039001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2169441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853485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set
KR101437297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KR2015007449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WO2014196235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938360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set
JP6203518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WO201216944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11479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111445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2014010279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683397A (zh) 背光装置、液晶模块以及液晶显示装置
WO2013073439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01272676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