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945B1 - 차량 내의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차량 내의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945B1
KR101436945B1 KR1020130039110A KR20130039110A KR101436945B1 KR 101436945 B1 KR101436945 B1 KR 101436945B1 KR 1020130039110 A KR1020130039110 A KR 1020130039110A KR 20130039110 A KR20130039110 A KR 20130039110A KR 101436945 B1 KR101436945 B1 KR 101436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isplay unit
private mode
vehicle
he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철
강신규
한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비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to KR102013003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차량의 탑승자별로 구분하여 출력하기 위한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만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되지 않은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헤드 유닛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컨텐츠 중 운전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개인정보가 운전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차량 동승자에게 디스플레이되어 개인 정보가 무분별하게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내의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PRIVATE MODE OF A HEAD UNIT INCLUDED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의 헤드 유닛(Head Unit)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차량 내부의 헤드 유닛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컨텐츠 중 운전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개인정보가 차량 동승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head unit)"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화면, 스피커, 마이크, 터치 스크린 및/또는 키패드 등과 같은 다양한 자원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또는 다른 휴대폰은 폰 상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영상 표시를 보거나 오디오 출력을 듣기 위해 또는 어떤 방식으로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헤드 유닛과 폰 사이의 기술 접목을 통한 차량의 급속한 스마트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휴대폰으로부터 헤드 유닛으로의 애플리케이션들의 확장은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들 및 차량 제조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대중적인 특성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헤드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더 좋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 예를 들어, 더 큰 화면 및 고품질의 오디오 출력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차량 내에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차량 내에는 복수의 모니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운전자 외에도 동승자들에 의해 상기 모니터들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실정이다.
2006. 2. 22. 공개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16175호 발명의 명칭 '차량의 모니터의 선택적 출력방법'은 차량 내에 형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모니터를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내 모니터의 선택적 출력방법을 제공한다. 위 공개특허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모니터에서 항상 동일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경우 운전자에 의해 프론트 모니터가 컨트롤되면 리어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던 영상 역시 프론트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으로 전환되므로 동승자가 시청하고 있던 컨텐츠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프론트와 리어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즉, 위 공개특허는 차량 내 형성되는 복수의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각 모니터별로 개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개별 제어 기술은 운전자 및 동승자의 개별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뿐이어서 리어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동승자가 스스로 조작하지 않는 이상 상기 프론트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상기 리어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동승자가 스스로 모니터를 조작하지 않는다면 운전자의 개인 정보와 같이 운전자만이 은밀히 인식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언제든지 동승자에게 노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드 유닛과 스마트 폰이 접목된 현 시점에서 차량 내에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과정에서 무수한 개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갈수록 스마트화되고 있는 차량 내 헤드 유닛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동승자에게 운전자의 개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헤드 유닛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컨텐츠 중 운전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개인정보가 차량 동승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히,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헤드 유닛이 프라이빗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소정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운전자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동승자가 상기 컨텐츠를 볼 수 없도록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 전용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여 상기 헤드 유닛이 프라이빗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소정 컨텐츠가 상기 운전자 전용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헤드 유닛이 프라이빗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비공개로 설정된 컨텐츠 등이 상기 헤드 유닛에 수신되는 경우 운전자만이 인식할 수 있는 소정 위치에 형성된 프라이빗 알람을 통해 상기 컨텐츠의 수신 사실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차량의 탑승자별로 구분하여 출력하기 위한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만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되지 않은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차량의 탑승자별로 구분하여 출력하기 위한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방법에 있어서, (a)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만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 있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적어도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 있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되지 않은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헤드 유닛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컨텐츠 중 운전자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개인정보가 운전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차량 동승자에게 디스플레이되어 개인 정보가 무분별하게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를 포함한 헤드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에서의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전체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디스플레이 회전부(300), 조작계(400), 및/또는 제어부(5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는 차량 내 형성되는 헤드 유닛과 상호 연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헤드 유닛에는 각종 단말 장치가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컨텐츠가 상기 헤드 유닛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통신망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타블렛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용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로서 채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00, 200)는 각종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서 종래 공지되어 있는 PDP, LCD, LED, OLED 등 어떠한 재질이나 소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서는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00)에서는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되지 않은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비공개로 설정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컨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는 이메일, SMS, 전화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차량의 탑승자별로 구분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만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를 포함한 헤드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개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운전자와 상기 보조석 탑승자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회전부(3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상기 운전자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를 운전자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회전부(3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의 가로축 중, 가령,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를 회전시켜 가시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회전부(300)는 구동하지 않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차량 내 대시보드(Dashboard;60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운전자 및 상기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각도를 유지한 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00)는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앞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와 달리 가시각도가 조절되지 않고 상기 대시보드(600)에 고정된 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운전자의 앞(즉, 운전자의 정면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운전석 앞에 형성되는 클러스터(Cluster;610) 내의 소정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프라이빗 모드 명령의 입력과 상관없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지만, 상기 클러스터(610) 주변을 감싸고 있는 대시보드(600) 등으로 인하여 조수석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를 시인하기 어렵다. 설사 조수석에 착석한 동승자의 시야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보인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는 운전자가 비공개로 기 설정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프라이빗 알람을 제공하는데 그치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다른 사람에게 공개될 가능성이 낮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프라이빗 알람이 출력되는 경우 운전자는 개인정보의 유출 우려가 없는 상황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운전자와 상기 보조석 탑승자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00)는 프라이빗 모드 명령의 입력과 상관 없이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프라이빗 모드는 상기 차량의 핸들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계(400)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하여 출력되는 메뉴 버튼을 이용해 운전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조작계(400)는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핸들 소정부에 형성되는 버튼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00)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디스플레이 회전부(300), 및/또는 조작계(40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500)는 차량 내 헤드 유닛이나 상기 단말 장치와 같은 외부로의/외부로부터의 또는 운전자 맞춤형 헤드 유닛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디스플레이 회전부(300), 및/또는 조작계(40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부(100), 제2 디스플레이부(200), 디스플레이 회전부(300), 조작계(400) 및/또는 제어부(50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헤드 유닛 또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헤드 유닛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헤드 유닛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체 시스템의 프로세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에서의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차량의 탑승자별로 구분하여 출력하기 위한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먼저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는지 감지하게 된다(S100). 만약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만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 있는 제1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적어도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 있는 제2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되지 않은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200).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00)가 형성되는 운전자의 시야에만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는 위 도 2 및 도 3을 설명한 바와 같고, 제2 디스플레이부(200)가 형성되는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 역시 도 2 및 도 3을 설명한 바와 같다.
만약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음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해당 컨텐츠는 운전자 개인과 관련된 컨텐츠가 아닌 것으로 인식하고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00, 200)를 통해 동일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300).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 디스플레이부
200: 제2 디스플레이부
300: 디스플레이 회전부
310: 회전축
400: 조작계
500: 제어부
600: 대시보드
610: 클러스터

Claims (17)

  1.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차량의 탑승자별로 구분하여 출력하기 위한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만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되지 않은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운전자와 상기 보조석 탑승자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운전자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운전자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앞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핸들에 형성되어 있는 조작계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메뉴 버튼을 이용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운전자 및 상기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각도를 유지한 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비공개로 설정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는 이메일, SMS, 전화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운전자의 앞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운전자와 상기 보조석 탑승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프라이빗 모드 명령의 입력과 상관 없이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12.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차량의 탑승자별로 구분하여 출력하기 위한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방법에 있어서,
    (a)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헤드 유닛과 관련되어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운전자의 시야에만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 있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적어도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위치 또는 각도에 있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운전자 개인과 관련되지 않은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운전자와 상기 보조석 탑승자의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음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회전부를 이용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운전자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운전자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라이빗 모드 명령이 입력되었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운전자 및 상기 보조석에 탑승한 사람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각도를 유지한 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운전자의 앞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방법.
  16. 삭제
  17.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39110A 2013-04-10 2013-04-10 차량 내의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36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110A KR101436945B1 (ko) 2013-04-10 2013-04-10 차량 내의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110A KR101436945B1 (ko) 2013-04-10 2013-04-10 차량 내의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945B1 true KR101436945B1 (ko) 2014-09-02

Family

ID=5175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110A KR101436945B1 (ko) 2013-04-10 2013-04-10 차량 내의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05A (ko) * 2017-05-24 2018-1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디스플레이 관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277A (ko) * 2007-12-06 2009-06-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휴대용 통신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편의 장치 자동 설정시스템 및 방법
JP2011076709A (ja) 2006-12-29 2011-04-14 Harman Internatl Industries Inc 個人化されたコンテンツを備える車両インフォ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
KR20110062060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6709A (ja) 2006-12-29 2011-04-14 Harman Internatl Industries Inc 個人化されたコンテンツを備える車両インフォ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
KR20090059277A (ko) * 2007-12-06 2009-06-11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휴대용 통신장치를 이용한 운전자 편의 장치 자동 설정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2060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8705A (ko) * 2017-05-24 2018-1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디스플레이 관리 장치
KR102395289B1 (ko) 2017-05-24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디스플레이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5259B2 (ja) 表示のための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及び携帯機器、並びに、その装置を有する車両
US9513702B2 (en) Mobile terminal for vehicular display system with gaze detection
CN111163974B (zh) 用于车辆的显示系统和方法
KR101641489B1 (ko) 이동단말기 및 차량
US8432270B2 (en) Mobile terminal for bicycle mana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JP6033804B2 (ja) 車載機器操作装置
CN107499251A (zh) 用于车载显示屏显示的方法、装置和车辆
CN111137278B (zh) 汽车的泊车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849742A (zh) 汽车座椅的调节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0004240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절전 방법
US201400782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wireless, portable, and/or handheld, device with safety features
KR201300053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486760A (zh) 对象说话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14197252A (ja) ジェスチャー操作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ジェスチャー操作装置を搭載した車両
KR201300348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US20160347207A1 (en) Vehicle control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vehicular device
KR1017368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36945B1 (ko) 차량 내의 헤드 유닛의 프라이빗 모드 지원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2667084B (zh) 车载显示屏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002424A (zh) 车辆显示屏的控制方法及装置、设备、介质及车辆
WO2019182053A1 (ja) 車載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17125883A (ja) メガネ型情報表示装置
KR20170082171A (ko) 차량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79636A1 (en) Touch-sensitive input device compatibility notification
KR2011004861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3차원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