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171A - 차량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171A
KR20170082171A KR1020160000904A KR20160000904A KR20170082171A KR 20170082171 A KR20170082171 A KR 20170082171A KR 1020160000904 A KR1020160000904 A KR 1020160000904A KR 20160000904 A KR20160000904 A KR 20160000904A KR 20170082171 A KR20170082171 A KR 20170082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voice
driver
communication module
re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김도현
권영진
김경호
윤두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2171A/ko
Publication of KR2017008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B60K2350/1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룸 미러와 룸 라이트(Room Light)에 마이크, 스피커 및 통신 모듈을 각각 탑재하여 운전자와 뒷좌석의 탑승자간에 음성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간의 대화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차량내 룸미러에 설치되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 신호의 방향성과 음성 신호의 세기에 따라 입력된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차량 내 룸 라이트에 설치되어,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에 따라 입력된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에서 운전자와 뒷좌석 탑승자간의 음성 대화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뒷좌석의 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룸 미러(Room Mirror) 외에 추가적으로 광각 미러가 탑재되거나 카메라를 통한 뒷좌석 영상을 볼 수 있는 기술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한편,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를 보조하는 기술은 부족하여 운전자는 전면을 바라보면서 큰소리로 대화를 하거나, 운전중에 뒤를 바라보며 대화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버스와 같은 대형 승용차의 경우, 유선 마이크가 탑재되어 있어 운전자가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고 버스 내 스피커에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으나 운전자에게 운전자가 앞을 바라보면서 원활하게 운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뒷좌석 탑승자와 원활하게 대화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에서 운전자와 뒷좌석 탑승자간의 음성 대화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은 룸 미러와 룸 라이트(Room Light)에 마이크, 스피커 및 통신 모듈을 각각 탑재하여 운전자와 뒷좌석의 탑승자간에 음성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간의 대화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와 뒷좌석 탑승자 각각의 음성신호의 방향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 조작 없이 운전자와 뒷좌석 탑승자간의 음성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은, 입력되는 운전자 음성 신호의 방향성과 음성 신호의 세기에 따라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에 따라 입력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2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차량 내 룸 미러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차량 내 룸 라이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음성 입력부; 복수의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음성신호의 방향성과 음성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른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제2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음성 입력부는, 운전자 음성신호의 방향성과 세기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차량 내 룸 미러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간의 음성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음성신호의 방향성과 음성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판단 결과,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제2 통신모듈로부터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음성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판단 결과,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의 입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음성 통신의 상태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른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간의 음성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판단 결과, 뒷좌석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제1 통신모듈로부터 운전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운전자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음성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판단 결과, 뒷좌석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음성 통신의 상태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은, 차량 내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의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 신호의 방향성과 음성 신호의 세기에 따라 입력된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룸 미러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차량 내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 모듈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에 따라 입력된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룸 라이트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룸 미러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도록 설치된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음성신호의 방향성과 음성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신호가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해당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룸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 모듈로 전송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간의 음성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운전석 측을 향하게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상기 운전석 측을 향하게 설치된 마이크와 다른 방향을 향하게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보다 큰 경우, 운전석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세기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운전석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룸 라이트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에 따라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입력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가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해당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룸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운전자의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로 전송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간의 음성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통신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의 LED를 구동하거나, 통신 상태 정보를 LCD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룸 미러 및 룸 라이트 장치에 음성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쉽게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버튼 동작 없이 해당 시스템을 향해 음성의 방향성을 맞춰 발성을 하게 되면, 해당 음성을 실시간으로 뒷좌석 스피커로 재생함으로써 앞좌석 또는 뒷좌석의 탑승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 내 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에서,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뒷좌석 탑승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에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운전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에 대한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제1 통신 모듈(100)이 차량 내 룸 미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제2 통신 모듈(200)이 차량 내 중앙 또는 뒷좌석의 룸 라이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은, 제1 통신 모듈(100)과 제2 통신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모듈(1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 룸 미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음성 입력부(110, 111), 음성 출력부(120), 표시부(130) 및 통신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40)은 제어부(141)와 통신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음성 입력부(110, 111)는 마이크로폰으로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 미러 하단에 일정 거리를 두고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통신 모듈(140)로 제공한다. 여기서, 음성 입력부(110, 111)를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는 이유는 운전자의 음성 신호의 방향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복수의 음성 입력부(110, 111)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방향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룸 미러의 하단 양측에 서로 다른 방향, 예를 들면, 운전석측 및 운전 보조석측을 향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음성 출력부(120)는 스피커로서 뒷좌석 탑승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 미러 하단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위치는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복수의 음성 입력부(110, 111) 및 음성 출력부(120)는 부피가 있는 다이내미형, 콘덴서형 및 기타 방식의 제품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피에조 필름을 이용하여 룸 미러 표면에 부착하여 적용하여도 무관할 것이다.
상기 표시부(130)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가 뒷좌석의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모듈(200)로 전송되고 있는지 아니면 통신이 이루어지고 않는지에 대한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LED 또는 LCD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통신 모듈(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 미러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신 모듈(140)의 제어부(141)는 복수의 음성 입력부(110, 111)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 신호의 방향성과 신호의 크기를 판별하여 입력된 음성신호가 뒷좌석의 탑승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음성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입력된 음성 신호가 뒷좌석의 탑승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해당 음성 신호를 통신부(142)를 통해 뒷좌석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 모듈(200)로 전송함과 동시에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의 전송을 통한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 제어한다.
한편, 통신 모듈(140)의 제어부(141)는 통신부(142)를 통해 수신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음성 출력부(120)로 출력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41)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 모듈(140)의 통신부(142)는 뒷좌석의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 모듈(200)로부터 전송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여 제어부(141)로 제공하고, 제어부(141)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데이터로 변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뒷좌석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 모듈(200)로 전송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제2 통신 모듈(20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 중앙 상부 또는 탑승자 좌석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음성 입력부(210), 음성 출력부(220), 표시부(230) 및 통신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240)은 제어부(241)와 통신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부(210)는 마이크로폰으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 라이트 커버 표면에 뒷좌석 탑승자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뒷좌석 탑승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통신 모듈(240)로 제공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220)는 스피커로서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 라이트 커버 표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위치는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음성 입력부(210) 및 음성 출력부(220)는 부피가 있는 다이내미형, 콘덴서형 및 기타 방식의 제품을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피에조 필름을 이용하여 룸 미러 표면에 부착하여 적용하여도 무관할 것이다.
상기 표시부(230)는 뒷좌석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가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모듈(100)로 전송되고 있는지 아니면 통신이 이루어지고 않는지에 대한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LED 또는 LCD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2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통신 모듈(24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 라이트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신 모듈(240)의 제어부(241)는 음성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 음성 신호의 세기를 판별하여 입력된 음성신호가 운전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음성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입력된 음성 신호가 운전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해당 음성 신호를 통신부(242)를 통해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100)로 전송함과 동시에 표시부(230)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의 전송을 통한 음성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표시 제어한다.
한편, 통신 모듈(240)의 제어부(241)는 통신부(242)를 통해 수신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음성 출력부(220)로 출력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241)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 모듈(240)의 통신부(242)는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여 제어부(241)로 제공하고, 제어부(241)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100)로 전송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제1 통신 모듈(100)과 제2 통신 모듈(200)내 통신 모듈(140, 240)의 제어부(141, 241)의 상세 구성과 그에 대한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자.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41, 241)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제1 통신 모듈(100)과 제2 통신 모듈(200)내의 제어부(141, 241)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이기에 하나의 도면으로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 모듈(100)과 제2 통신 모듈(200)내의 제어부(141, 241)는 음파 비교부(310), 저장부(320), 음파 처리부(330), 표시 제어부(340), 통신 인터페이스(350) 및 음성 출력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파 비교부(310)는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100)에 설치된 복수의 음성 입력부(110, 111) 또는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 모듈(200)의 음성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 또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에 대한 음파를 저장부(320)에 설정된 기준값과 각각 비교한다.
여기서,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룸 미러 하단 양측에 설치된 음성 입력부(110, 111)로부터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음파 비교부(310)는 음성 입력부(110) 및 음성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파의 크기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운전석 측을 향하게 설치된 음성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파 크기가 보조석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음성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음파 크기보다 큰 경우, 음파 비교부(310)는 운전자측으로부터 음성신호가 입력되었다는 방향성을 판단하여, 해당 음성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음파의 크기와 저장부(320)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음파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 음파 비교부(310)는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 의도가 아닌 혼잣말이나 다른 의도의 음성신호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시한다.
그러나,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음파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 의도로 판단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음파 처리부(330)로 제공한다.
반대로, 뒷좌석의 탑승자로부터 제2 통신 모듈(200)의 음성 입력부(210)를 통해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자.
음파 비교부(310)는 음성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와 저장부(320)에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음성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저장부(320)에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에, 음파 비교부(310)는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 의도가 아닌 혼잣말이나 다른 의도의 음성신호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시한다.
그러나, 음성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 의도로 판단하여 입력된 음성신호를 음파 처리부(330)로 제공한다.
음파 처리부(330)는 음파 처리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자 또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로부터 노이즈 처리 등의 음성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통신 인터페이스(350)로 제공한다. 여기서, 음파 처리부(330)에서의 음성 신호 처리 동작은 이미 공지된 음성신호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 동작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음파 처리부(330)는 처리된 음성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350)로 제공함과 동시에 표시부(130 또는 230)에 음성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운전자 또는 뒷좌석 탑승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 제어신호를 표시 제어부(340)로 제공한다.
표시 제어부(340)는 음파 처리부(330)로부터 제공되는 표시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부(130 또는 2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340)는 LED의 서로 다른 칼라 또는 LED의 주기적 점등으로 통신 상태 표시를 제어하거나, LCD에 상태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음파 처리부(330)로부터 제공되는 운전자 또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전송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전송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통신부(142 또는 242)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350)는 도 1에 도시된 제1 또는 제2 통신 모듈(100, 200)의 통신부(142 또는 242)를 통해 수신되는 운전자 또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음성 출력 제어부(360)로 제공한다.
따라서, 음성 출력 제어부(360)는 제공되는 운전자 또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 출력부(120 또는 220) 즉,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와 뒷좌석 탑승자간의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시작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 역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의 동작과 상응하는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에서,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뒷좌석 탑승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100)의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운전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S401),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신호의 세기를 서로 비교한다(S402).
그리고, 복수의 마이크 중 운전석측을 행하도록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음성신호의 세기가 보조석을 향하게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음성 신호의 세기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403).
비교 결과, 운전석 측을 향하게 룸 미러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음성신호의 세기가 보조석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세기보다 작은 경우, 운전자가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에 대한 의도가 아닌 혼잣말이나 다른 의도의 음성신호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시한다(S404).
한편, 운전석 측을 향하게 룸 미러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1 음성신호의 세기가 보조석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제2 음성신호의 세기보다 큰 경우에는, 운전자로부터 음성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여,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 음성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405).
판단 결과, 상기 제1 음성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운전자가 뒷좌석에 탑승한 탑승자와의 대화 의도를 위한 음성신호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무시한다(S404).
그러나, 운전자로부터 입력되는 제1 음성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로 판단하여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 모듈(200)로 전송한다(S406).
이에 따라, 제2 통신 모듈(200)은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모듈(100)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S407).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에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운전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 모듈(200)의 마이크를 통해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S501),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모듈(200)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와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S502).
그리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503).
판단 결과, 상기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신호가 뒷좌석 탑승자가 운전자와의 대화 의도를 위한 음성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무시한다(S504).
그러나, 상기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뒷좌석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해 입력된 음성신호로 판단하여 입력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처리한 후,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100)로 전송한다(S505).
이에 따라,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100)은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모듈(200)로부터 전송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S506).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은 룸미러에 제1 통신 모듈을 설치하고, 룸 라이트에 제2 통신 모듈을 설치함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제1,2 통신 모듈의 설치 위치는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통신 모듈을 운전자가 운전 중 용이하게 음성신호의 입력이 가능한 운전자 전방의 대쉬보드 또는 핸들 등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통신 모듈 역시 룸 라이트가 아닌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입력 및 운전자의 음성신호의 출력이 용이한 기타 다른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모든 동작은 시작은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 된 상태, 즉 차량 배터리가 구동된 시점부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동작 선택 스위치의 구동에 따라 음성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음성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 통신 모듈 200 : 제2 통신 모듈
110, 111, 210 : 음성 입력부 120, 220 : 음성 출력부
130, 230 : 표시부 140, 240 : 통신모듈
141, 241 : 제어부 142, 242 : 통신부
310 : 음파 비교부 320 : 저장부
330 : 음파 처리부 340 : 표시 제어부
350 : 통신 인터페이스 360 : 음성 출력 제어부

Claims (20)

  1. 입력되는 운전자 음성 신호의 방향성과 음성 신호의 세기에 따라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에 따라 입력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2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차량 내 룸 미러에 설치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차량 내 룸 라이트에 설치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음성 입력부;
    복수의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음성신호의 방향성과 음성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른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제2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성 입력부는,
    운전자의 음성신호의 방향성과 세기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차량 내 룸 미러에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간의 음성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음성신호의 방향성과 음성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판단 결과,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제2 통신모듈로부터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음성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판단 결과,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의 입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음성 통신의 상태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음성 입력부;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에 따른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간의 음성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판단 결과, 뒷좌석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제1 통신모듈로부터 운전자의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운전자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음성 출력 제어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판단 결과, 뒷좌석 탑승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가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음성 통신의 상태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시스템.
  12. 차량 내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의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 신호의 방향성과 음성 신호의 세기에 따라 입력된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룸 미러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차량 내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 모듈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에 따라 입력된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룸 라이트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룸 미러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도록 설치된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음성신호의 방향성과 음성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입력된 운전자의 음성신호가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해당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룸 라이트에 설치된 제2 통신 모듈로 전송 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간의 음성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복수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각각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운전석 측을 향하게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상기 운전석 측을 향하게 설치된 마이크와 다른 방향을 향하게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보다 큰 경우, 운전석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세기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운전석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 뒷좌석 탑승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룸 라이트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에 따라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입력된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가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해당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운전자의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운전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를 룸 미러에 설치된 제1 통신 모듈로 전송 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간의 음성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와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뒷좌석 탑승자의 음성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 보다 큰 경우, 운전자와의 대화 시도를 위한 음성신호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
  20. 제15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통신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의 LED를 구동하거나, 통신 상태 정보를 LCD화면에 표시하는 것인 차량 내 음성 통신 방법.
KR1020160000904A 2016-01-05 2016-01-05 차량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2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904A KR20170082171A (ko) 2016-01-05 2016-01-05 차량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904A KR20170082171A (ko) 2016-01-05 2016-01-05 차량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171A true KR20170082171A (ko) 2017-07-14

Family

ID=5935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904A KR20170082171A (ko) 2016-01-05 2016-01-05 차량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21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9926A (zh) * 2018-01-31 2018-08-14 广东聚晨知识产权代理有限公司 一种互联网信息终端系统
JP2019165417A (ja) * 2018-03-20 2019-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マイク・スピーカ一体装置及び車両
KR102391179B1 (ko) * 2021-08-17 2022-04-27 (주)에이텍티앤 버스에서 승무원과 승객간 소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9926A (zh) * 2018-01-31 2018-08-14 广东聚晨知识产权代理有限公司 一种互联网信息终端系统
JP2019165417A (ja) * 2018-03-20 2019-09-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マイク・スピーカ一体装置及び車両
US11395067B2 (en) 2018-03-20 2022-07-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icrophone-loudspeaker integrated apparatus and vehicle
KR102391179B1 (ko) * 2021-08-17 2022-04-27 (주)에이텍티앤 버스에서 승무원과 승객간 소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8454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built into vehicle
US72686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8141663B (zh) 集音装置以及集音装置的控制方法
US20190251973A1 (en) Speech providing method, speech providing system and server
JP6284331B2 (ja) 会話支援装置、会話支援方法及び会話支援プログラム
JP5333559B2 (ja) 車両用装置
JP2009124540A (ja) 車両用通話装置、通話方法
KR20170082171A (ko) 차량내 음성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33025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14170154A (ja) 車内会話支援装置
KR20140113832A (ko) 자동차의 음성 전달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JP4232617B2 (ja) 車室内音場制御システム
US20220095046A1 (en) Hybrid in-car speaker and headphone based acoustical augmented reality system
US20230122465A1 (en) Vehicle hands-free call connection system
JP2010023639A (ja) 車内会話補助装置
JP2008120262A (ja) 車載通話装置
KR20130036492A (ko) 후석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1309B1 (ko) 차량 내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69761A (ko)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오디오 장치 및 차량
KR20210110599A (ko) 차내 헤드폰 음향 증강 현실 시스템
KR20150013999A (ko) 차량 멀티미디어 음원 출력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076035A (ja) 車両用会話支援装置
KR102040918B1 (ko) 차량의 가상 사운드 발생장치
JP4586442B2 (ja) 車両用誘導システム、車両用誘導方法、および車載装置
KR20170019662A (ko) 시큐리티 핸즈프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