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269B1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269B1
KR101436269B1 KR1020137004080A KR20137004080A KR101436269B1 KR 101436269 B1 KR101436269 B1 KR 101436269B1 KR 1020137004080 A KR1020137004080 A KR 1020137004080A KR 20137004080 A KR20137004080 A KR 20137004080A KR 101436269 B1 KR101436269 B1 KR 10143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c
contact piece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1219A (ko
Inventor
츠카사 야마시타
테츠오 신카이
야스유키 마스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01H50/38Part of main magnetic circuit shaped to suppress arcing between the contacts of the r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0Multiple main contacts for the purpose of dividing the current through, or potential drop along, the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01H50/26Parts movable about a knife e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01H50/28Parts movable due to bending of a blade spring or re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01H50/3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damping vibration due to functional movement of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접리 가능한 한 쌍의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조를, 적어도 2조, 접리 방향과는 직교하는 병설 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접점 개폐부와, 접점 개폐부를 구동하여 접점을 개폐시키는 전자석 블록과, 모든 접점조에 대해 병설 방향의 양측과, 접점조의 사이에 각각 돌출하는 돌출부를, 중간부를 통하여 서로 연속시켜서 이루어지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와, 적어도 양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대향 위치에 각각 마련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아크 소호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자(電磁) 계전기(繼電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계전기로서, 철심에 스풀을 통하여 코일을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석 블록을 여자·소자(消磁)함에 의해, 철심에 가체(加締; caulking) 고정한 요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가동 철편을 회동시켜서, 가동 접촉편을 구동함에 의해, 가동 접점을, 대향하여 배치한 고정 접촉편의 고정 접점에 개폐하도록 한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전자 계전기에서는, 접점 개폐부의 상방측에 영구자석을 배치하고, 접점 사이에 자계을 발생시킴에 의해, 접점 개폐시에 아크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아크 전류를 측방으로 신장시켜서 조기에 소호(消弧)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자 계전기에서는, 접점 개폐부의 상방측에 배치한 단일의 영구자석에 의해 자계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영구자석의 하방측의 N극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발생하는 자계가, 접점 사이로부터 측방, 뒤이어, 각 접촉편에 따라 상방으로 향하고, 상방측의 S극에 이르게 된다. 이 때문에, 자속이 주위의 공간에 누설되기 쉽고, 접점 개폐부에 집중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결과, 영구자석에 강력한 자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 상승을 초래하고 있다.
일본 특개2009-87918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접점 개폐시에 발생하는 아크를 조기에 소호시킬 수 있는 소형으로 염가의 아크 소호 기능을 구비한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접리 가능한 한 쌍의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조(接点組)를, 적어도 2조(組), 접리 방향과는 직교하는 병설 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접점 개폐부와,
상기 접점 개폐부를 구동하여 접점을 개폐시키는 전자석 블록과,
상기 모든 접점조에 대해 병설 방향의 양측과, 상기 각 접점조의 사이에 각각 돌출하는 돌출부를, 중간부를 통하여 서로 연속시켜서 이루어지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와, 적어도 양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대향 위치에 각각 마련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아크 소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영구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는, 주위 분위기에 비하여 투자율이 높은 접속 부재를 통하여 폐루프를 구성한다. 따라서 자속을 접점 개폐 위치에 집중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접점 개폐시에 발생한 아크 전류에 대해, 아크 소호 부재에 의한 자계의 영향력을 충분히 작용시킬 수가 있어서, 아크 전류를, 상방으로 충분히 지연시켜서, 조기에 소호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부착되고, 상기 접점 개폐부와 상기 전자석 블록을 덮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아크 소호 부재의 돌출부 및 영구자석을 배치 가능한 오목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아크 소호 부재를 내부 구성 부품인 접점 개폐부 및 전자석 블록과는 완전히 절연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절연벽의 일부가 접점 개폐 위치의 사이에 돌출하게 되어, 접점 개폐 위치 사이의 절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 영구자석의 대향면의 극성과, 접점 개폐시에 발생하는 아크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상기 아크 전류에 상기 접속 부재의 중간부측으로 변위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아크 전류의 악영향을 가장 주기 어려운 위치로 아크 전류를 변형시켜서 소호할 수 있다.
상기 각 영구자석의 대향면의 극성과, 접점 개폐시에 발생하는 아크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인접하는 접점 개폐 위치 사이에서 역방향이 되도록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각 접점조의 접점 사이에 발생한 아크 전류끼리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접점 개폐부와 상기 전자석 블록이 부착되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접점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접촉편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아크 소호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의 중간부를, 상기 접촉편의 돌출 방향측의 접점 부근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아크 전류가 변형하는 방향으로, 자로(磁路)의 일부인 접속 부재의 중간부가 위치하게 되어, 다른 부품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정 접촉편과, 이 고정 접촉편에 대향하여 배치한 가동 접촉편을 갖는 접점 개폐부를 구비하고, 전자석 블록을 여자·소자하여 가동 접촉편을 구동하고, 이 가동 접촉편에 마련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촉편에 마련한 고정 접점에 개폐하도록 한 전자 계전기로서,
상기 고정 접촉편은, 상기 고정 접점을 갖는, 적어도 2개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은, 상기 가동 접점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접촉편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접촉편부의 양측과, 각 접점 개폐 위치의 사이에 각각 돌출하는 돌출부를, 중간부를 통하여 서로 연속시킨 접속 부재와, 적어도 양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대향 위치에 각각 마련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아크 소호 부재를 마련한 것이다.
상기 아크 소호 부재의 접속 부재는, 중간벽의 양단부에 대향벽을 각각 형성하고, 중간벽의 중앙부에, 양측부를 중앙부를 끼우고 반대측의 대향벽측에서 구부려 세움에 의해, 상기 각 접점조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양 돌출부에 의해 평판형상의 벽면부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아크 소호 부재의 접속 부재는,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각 접속부는, 중간벽의 양단부에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각각 대향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양 제2 측벽에 의해, 상기 각 접점조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제1 접속부의 제2 측벽과, 상기 제2 접속부의 제2 측벽으로 평판형상의 벽면부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 개폐 위치의 주위에 접속 부재를 배치하고, 그 대향 부분에 영구자석을 배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영구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을, 접점 개폐 위치로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특히, 접속 부재의 돌출부가 각 접점 개폐 위치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계중, 공간을 통과하는 길이를 단축하고 누설 자속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접점 개폐 위치에 자속을 집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점 개폐시에 아크 전류가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이 아크 전류를 자계에 의해 상방으로 변형시켜서, 조기에 소호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계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로부터 케이스 및 아크 소호 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로부터 케이스만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를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a)는 베이스를 상방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베이스를 하방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전자석 블록 및 가동 철편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하는 전자석 블록과 가동 철편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1로부터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접점 폐성(閉成)시의 단면도.
도 10은 도 1로부터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접점 개방시의 단면도.
도 11은 도 3의 접점 개폐부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도 4의 전자석 블록에 의한 흡인력 곡선과, 가동 접촉편에 작용하는 힘의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a)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 소호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로 분해한 사시도.
도 14(a)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 소호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로 분해한 사시도.
도 15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 소호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아크 소호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면, 「상」, 「하」, 「측(側)」, 「단(端)」을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고, 그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1. 전체 구성)
도 1부터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계전기를 도시한다. 이 전자 계전기는, 대략, 베이스(1)에, 전자석 블록(2), 접점 개폐부(3), 및, 가동 철편(4)을 마련하고, 케이스(5)를 씌운 것이다.
(1-1. 베이스 1)
베이스(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료를 성형 가공함에 의해 평면으로 보아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긴변방향의 2개소에는, 제1 장착부(6)와 제2 장착부(7)가 마련되어 있다(이하, 긴변에 따라 긴변방향으로 늘어나는 방향을 X축, 짧은변에 따라 짧은변방향으로 늘어나는 방향을 Y축, 높이방향으로 늘어나는 방향을 Z축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장착부(6)는, 후술하는 전자석 블록(2)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주연벽(8)과 제2 장착부(7)로 둘러싸여진 오목개소(9) 내에 지지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개소(9)의 저면에는, 지지 오목부(10)의 (베이스(1)의 짧은변방향 : YY'방향) 양측에, 상하면에 관통하는 한 쌍의 코일 단자구멍(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지지 오목부(10)의 (베이스(1)의 긴변방향) 부근에는 가이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2)는, 짧은변방향(YY'방향)에 대응하여 마련한 한 쌍의 가이드벽(13)과, 이들을 잇는 절연벽(14)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벽(13)의 대향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가이드 홈(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가이드 홈(15)에 의해, 후술하는 요크(41)의 양측부가 가이드된다. 또한, 가이드벽(13)과 절연벽(14)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의 중앙 부분에는, 가이드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오목부(16)에는, 후술하는 힌지 스프링(44)의 피가이드부(50)가 위치한다.
제2 장착부(7)는, 접점 개폐부(3)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장착부(6)의 제1 주연벽(8)과 동일 높이의 대좌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17)에는, YY'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릿형상을 한 제1 단자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자구멍(18)은, 베이스(1)의 저면에서는 양측의 2개소의 연통부(19)에서만 관통하고, 후술하는 가동 접촉편(52)이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대좌부(17)의 제1 장착부측을 제외한 3변에서는 제2 주연벽(2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주연벽(20)의 X'방향측을 구성하는 부분은 두께가 커지고, 그곳에는 YY'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릿형상을 한 한 쌍의 제2 단자구멍(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단자구멍(21)에는, 후술하는 고정 접촉편(51)이 각각 압입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1-2. 전자석 블록(2))
전자석 블록(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심(22)에 스풀(23)을 통하여 코일(24)을 권회한 것이다.
철심(22)은, 자성 재료를 봉형상으로 한 것으로, 하단부에 플랜지형상의 자극부(25)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요크(41)가 가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스풀(23)은, 합성수지 재료를 성형 가공함에 의해 얻어지고, 중심구멍(26)을 형성하는 통형상의 몸통부(27)와, 그 상하 양단부에 형성된 차양부(상단측 차양부(28) 및 하단측 차양부(29))로 구성되어 있다.
상단측 차양부(28)는, 윗면에 릴리프 홈(30)이 형성되고, 그곳에는 중심구멍(26)이 개구하고 있다. 릴리프 홈(30)에는, 후술하는 요크(41)의 일단부가 배치된다. 하단측 차양부(29)에는 중심구멍(26)이 개구하고, 그곳부터 철심(22)을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하단측 차양부(29)의 양측부에는 단자 부착부(31)가 마련되고, 그곳에는 단자 지지구멍(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지지구멍(32)에는, 후술하는 코일 단자(36)가 압입 고정된다. 단자 부착부(31)의 일단 양측에는 단부(33)가 각각 형성되고, 단자 지지구멍(32)에 압입 고정한 코일 단자(36)의 코일 권부부(卷付部)(39)가 각각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단측 차양부(29)에는, 몸통부(27)로부터 측단면에 걸쳐서 한쪽의 단부(段部)(33)에 연통하는 안내 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34)에는, 몸통부(27)에 권회하는 코일(24)의 일단측(감기 시작측)이 배치되고, 단부(33)에 돌출하는 코일 단자(36)의 코일 권부부(39)에 휘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하단측 차양부(29)의 저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한 쌍의 가이드 돌기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돌기부(35)는, 베이스(1)의 지지 오목부(10) 내에 위치하여 베이스(1)에 대해 스풀(23) 즉 전자석 블록(2)을 위치 결정하는 역할을 다한다.
코일 단자(36)는, 도전성 재료를 평판형상으로 한 것으로, 하단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폭 및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일 단자(36)의 상단부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편면(片面)으로부터 팽출하는 압입부(37)가 형성되고, 그 상방 부분은 폭광부(幅廣部)(38)로 되어 있다. 폭광부(38)의 일단부터는 코일 권부부(卷付部)(39)가 돌출하고 있다.
코일(24)은, 스풀(23)의 몸통부(27)에 권회된 후, 외주면에 절연 시트(40)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코일(24)의 일단부가 상기 스풀(23)의 안내 홈(34)에 배치되고, 스풀(23)의 몸통부(27)에의 권회 후, 양단부는 각각 각 코일 단자(36)의 코일 권부부(39)에 휘감겨진 후, 솔더링된다.
상기 철심(22)의 일단부에는 요크(41)가 가체 고정되어 있다.
요크(41)는, 자성 재료를 개략 L자형이 되도록 절곡한 것이다. 요크(41)의 일단부에는, 상기 철심(22)의 일단부를 삽통하여 가체 고정하기 위한 개구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요크(41)의 타단부는 폭이 넓게 되고, 그 하단부 양측에는 돌출부(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돌출부(42)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가동 철편(4)이 위치하고, 한쪽의 모서리부가 가동 철편(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점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요크(41)의 중간부 외면에는, 상하 2개소에 가체용의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크(41)의 중간부에는, 상기 돌기(43)를 이용하여 힌지 스프링(44)이 가체 고정되어 있다. 단, 요크(41)에의 힌지 스프링(44)의 고정 방법은, 가체로 한하지 않고,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 레이저 용접 등, 다른 방법으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힌지 스프링(44)은, 요크(41)의 중간부 외면에 면접촉하는 접속부(45)를 구비한다. 접속부(45)에는, 2개소에 관통구멍(45a)이 형성되고, 상기 요크(41)의 돌기(43)가 삽통되어 가체되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45)의 상방 부분은, 요크(41)의 중간부 외면으로부터 서서히 떨어지도록 소정 각도로 늘어나는 탄성 당접부(46)로 되어 있다. 탄성 당접부(46)는, 후술하는 가동 철편(4)에 마련한 카드 부재(65)의 가압 받이부에 탄성 접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탄성 당접부(46)는, 가동 철편(4)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 이동할 때의 충돌음(衝突音)의 발생을 완화한다.
접속부(45)의 하방 부분은, 요크(41)의 중간부 외면으로부터 서서히 떨어지도록 소정 각도로 늘어나는 제1 경사부(47)와, 이 제1 경사부(47)로부터 요크측으로 서서히 접근하도록 소정 각도로 늘어나는 제2 경사부(48)로 이루어지는 탄성 지지부(49)로 되어 있다. 탄성 지지부(49)는, 제2 경사부(48)가 후술하는 가동 철편(4)에 압접하고, 가동 철편(4)을 회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한다.
탄성 지지부(49)의 하방 부분은, 탄성 지지부(49)에 의해 가동 철편(4)을 탄성 지지한 상태에서, 연직 하방으로 늘어나는 피(被)가이드부(50)로 되어 있다. 피가이드부(50)는, 베이스(1)의 제1 장착부(6)에 형성한 가이드 오목부(16)에 배치되고, 가이드 오목부(16)에 가이드됨에 의해 힌지 스프링(44)은 위치 어긋남이 방지되어 있다.
(1-3. 접점 개폐부(3))
접점 개폐부(3)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리 등의 도전성 재료를 판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한, 고정 접촉편(51)과 가동 접촉편(52)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접촉편(51)은, 압입부(53)와, 압입부(53)로부터 하방측으로 늘어나는 단자부(54)와, 압입부(53)로부터 상방측으로 늘어나는 접촉편부(55)로 구성되어 있다. 압입부(53)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편면부터 팽출하는 팽출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56)에 의해 베이스(1)의 제2 단자구멍(21)에 압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단자부(54)는, 압입부(53)보다도 폭이 좁고, 편측으로 위치를 비켜 놓아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부(55)는, 단자부(54)와는 반대측에 위치를 비켜 놓아 형성되고, 압입부(53)의 거의 반분의 폭 치수로 되어 있다. 접촉편부(55)의 상단부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그곳에는 고정 접점(57)이 가체 고정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52)은, 압입부(58)와, 압입부(58)의 양측부터 상방측으로 각각 늘어나는 한 쌍의 접촉편부(59)로 구성되어 있다. 압입부(58)에는, 상기 고정 접촉편(51)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 중앙부에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팽출부(60)가 형성되고, 베이스(1)의 제1 단자구멍(18)에 압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입부(58)의 하연(下緣) 양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돌기(61)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부(59)는, 압입부(58)의 근방 부분에서 굴곡되어 늘어나 있고, 상단부에는 관통구멍(59a)이 형성되고, 그곳에는 가동 접점(62)이 각각 가체 고정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52)은, 압입부(58)를 베이스(1)의 제1 단자구멍(18)에 압입된 상태에서, 가동 접점(62)이 제2 단자구멍(21)에 압입된 고정 접촉편(51)의 고정 접점(57)에 접리 가능하게 대향시킨다.
(1-4. 가동 철편 4)
가동 철편(4)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의 자성 재료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개략 L자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가동 철편(4)의 일단측은, 철심(22)의 자극부(25)에 흡인되는 피흡인부(63)이다. 피흡인부(63)의 선단부 및 기부(基部)는 폭이 좁게 되어 있고, 스풀(23)의 저면에 형성한 가이드 돌기부(35)와, 요크(41)의 하단부에 형성한 돌출부(42)와의 간섭이 각각 회피되어 있다. 가동 철편(4)의 타단측에는 개구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4)에는 힌지 스프링(44)이 삽통하여, 피흡인부(63)의 모서리부에 압접하고 있다. 가동 철편(4)의 타단부는 폭이 좁게 되어 있고, 또한, 개구부(64)의 상방측에는 카드 부재(65)가 일체화되어 있다.
카드 부재(65)는, 합성수지 재료로 이루어지고, 일체화한 가동 철편(4)의 상단측이 노출하는 한쪽의 면에는, 가동 철편(4)의 상단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66)와, 상방측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6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동 철편(4)의 피흡인부(63)가 철심(22)의 자극부(25)로부터 이간한 때, 제2 돌출부(67)에 힌지 스프링(44)의 탄성 당접부(46)가 충돌한 후, 제1 돌출부(66)가 요크(41)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드의 다른쪽의 면에는, 폭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조부(突條部)(68)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68)의 상단부에는, 또한 돌출하는 가압부(69)가 형성되고, 가동 접촉편(52)의 접촉편부(55)의 상단부를 가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카드 부재(65)의 하단부에는, 다른쪽의 면보다도 돌출하고, 또한 하방측으로 늘어나는 차폐벽(70)이 형성되어 있다.
(1-5. 케이스 5)
케이스(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료를 하면이 개구한 상자형상으로 한 것이다. 케이스(5)의 윗면 모서리부에는 밀폐용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용구멍(71)은, 베이스(1)와 케이스(5)의 감합(嵌合) 부분의 실 후에 열(熱) 밀봉된다. 케이스(5)의 윗면 연부(가스 빼기 구멍(71)과 반대측)에는, 양측 및 중앙부에 슬릿형상의 오목부(7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72)의 사이에는, 윗면보다도 움푹 들어간 오목개소(7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 중앙부에는 돌기(7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5)에는, 오목부(72) 및 오목개소(73)를 이용하여 아크 소호 부재(75)가 부착되어 있다.
아크 소호 부재(75)는, 아크를 소호시키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한 쌍의 영구자석(76)과, 이들 영구자석(76)을 자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속 부재(77)로 구성되어 있다.
영구자석(76)은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접속 부재(77)의 양 대향벽(78)의 내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대향면이 다른 극성이 되도록 배치된다. 단, 대향면의 극성은, 접점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차이에 응하여 아크 전류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후술하는 접속 부재(77)의 중간벽(79)측을 향하도록 설정하면 좋다.
접속 부재(77)는, 판형상의 자성 재료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양단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굴곡한 것이다. 각 대향벽(78)의 내면에는 영구자석(76)이 그 자신의 자력에 의해 흡착 고정되어 있다. 접속 부재(77)의 중간벽(79)에는, 양측부가 각각 다른 단부측부터 잘라 세움에 의해, 상기 각 대향벽(78)의 사이에 위치한 중간 돌출부(8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중간 돌출부(80)는, 양 대향벽(78)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양 접점 개폐 위치의 사이에 돌출함에 의해 자로를 단축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즉, 각 영구자석(76)으로부터 발생한 자속은, 중간 돌출부(80)를 통하여 중간벽(79) 및 각 대향벽(78)을 통과하고, 영구자석(76)으로 되돌아오는 자기 회로로 폐(閉)루프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아크 소호 부재(75)에 의하면, 한 쌍의 영구자석(76)뿐만 아니라, 이들을 자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77)를 마련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기 회로가 형성되고, 자속 누출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중간 돌출부(80)를 마련함에 의해, 자로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접점 개폐시에 아크가 발생하였다고 하여도, 이 아크는, 플레밍 왼손의 법칙에 의해 측방으로 신장되어, 단시간에 소호되게 된다.
(2. 조립 방법)
계속해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계전기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스풀(23)의 몸통부(27)에 코일(24)을 권회하고, 하단측 차양부(29)에 코일 단자(36)를 압입 고정한다. 코일(24)의 양단부는, 코일 권부부(39)에 휘감아 솔더링한다. 또한, 스풀(23)의 중심구멍(26)에, 하단측부터 철심(22)을 삽통하고, 상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미리 힌지 스프링(44)을 부착한 요크(41)를 가체 고정한다. 이에 의해, 전자석 블록(2)이 완성된다.
완성한 전자석 블록(2)에는, 힌지 스프링(44)을 이용하여 요크(41)의 하단부에 가동 철편(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가동 철편(4)에 일체화한 카드 부재(65)의 제1 돌출부(66)가 요크(41)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고, 또한, 힌지 스프링(44)의 탄성 당접부(46)가 카드 부재(65)의 제2 돌출부(67)에 접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 철편(4)을 부착한 전자석 블록(2)과, 접점 개폐부(3)를 베이스(1)에 장착한다.
전자석 블록(2)의 장착에서는, 코일 단자(36)를 베이스(1)의 코일 단자구멍(11)에 압입하고, 요크(41)의 양측부를 가이드벽(13)의 가이드 홈(15)에 삽입한다. 장착 상태에서는, 가이드 돌기부(35)가 지지 오목부(10) 내에 위치하고, 전자석 블록(2)이 YY'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요크(41)의 돌출부(42)의 하단면과, 단자 부착부(31)의 저면이 각각 베이스(1)의 오목개소(9)의 저면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베이스(1)의 오목개소(9)의 저면과 스풀(23)의 하단측 차양부(29)의 저면과의 사이에 가동 철편(4)이 회동 가능한 간극이 형성된다. 가동 철편(4)에 일체화한 카드 부재(65)의 차폐벽(70)이 베이스(1)의 절연벽(14)을 넘어서 배치된다. 이 때, 베이스(1)의 가이드벽(13) 및 절연벽(14), 카드 부재(65)의 상방부 및 차폐벽(70)에 의해, 전자석 블록(2)과 접점 개폐부(3)와의 사이의 절연성이 충분히 확보된다.
또한, 접점 개폐부(3)의 장착에서는, 가동 접촉편(52)의 압입부(58)를 베이스(1)의 제1 단자구멍(18)에 압입한다. 가동 접촉편(52)의 장착에서는, 돌기(61)가 연통부(19)에 위치함에 의해, 베이스(1)의 저면에서 가동 접촉편(52)의 장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편(52)의 상단부에는, 먼저 장착한 카드 부재(65)의 가압부(69)가 압접하고, 가동 철편(4)은, 가동 접촉편(52)의 탄성력에 의해 피흡인부(63)가 철심(22)의 자극부(25)로부터 이간한 초기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고정 접촉편(51)의 단자부(54)를 베이스(1)의 제2 단자구멍(21)에 삽입하고, 압입부(53)를 압입하여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 접촉편(51)은 가동 접촉편(52)에 소정 간격으로 대향하고, 고정 접점(57)에 대해 가동 접점(62)이 접리 가능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5)에 아크 소호 부재(75)를 부착한다. 아크 소호 부재(75)의 부착에서는, 접속 부재(77)의 대향벽(78)에 영구자석(76)을 부착한 상태에서, 케이스(5)에 형성한 각 오목부(72)에, 접속 부재(77)의 대향벽(78) 및 영구자석(76)과, 중간 돌출부(80)를 각각 삽통한다. 그리고, 아크 소호 부재(75)를 부착한 케이스(5)를 베이스(1)에 씌우고, 양자의 감합 부분을 실한다.
또한, 내부 공간은, 밀폐용구멍(71)을 열 밀봉함에 의해 밀봉상태로 하면 좋다. 단, 밀폐용구멍(71)은 개방한 체로 하여, 내부 공간을 주위 분위기와 연통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3.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계전기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코일(24)에 통전하지 않고, 전자석 블록(2)이 소자(消磁)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가동 철편(4)이 가동 접촉편(52)의 탄성력에 의해 요크(41)에 의해 지지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피흡인부(63)를 철심(22)의 자극부(25)로부터 이간한 초기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동 접점(62)은 고정 접점(57)으로부터 이간한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코일(24)에 통전하고, 전자석 블록(2)을 여자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철편(4)은 철심(22)의 자극부(25)에 피흡인부(63)가 흡인되고, 가동 접촉편(52)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회동한다. 이에 의해, 가동 접촉편(52)이 탄성 변형하고, 가동 접점(62)을 고정 접촉편(51)의 고정 접점(57)에 폐성(閉成)한다.
코일(24)에의 통전을 차단하고, 전자석 블록(2)을 소자하면, 가동 철편(4)은 철심(22)의 흡인력을 잃어버려 가동 접촉편(52)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한다. 이 때, 우선, 가동 철편(4)의 카드 부재(65)에 형성한 제2 돌출부(67)가 힌지 스프링(44)의 탄성 당접부(46)에 충돌한다. 제2 돌출부(67)는 합성수지제이고, 탄성 당접부(46)는 탄성 변형한다. 게다가, 가동 철편(4)이 회동을 시작하고 나서 조기에 제2 돌출부(67)와 탄성 당접부(46)의 맞닿음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충돌음은 거의 발생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가동 철편(4)이 더욱 회동함에 의해 탄성 당접부(46)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합성수지제의 제1 돌출부(66)가 요크(41)의 중간부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가동 철편(4)의 회동 속도가 저감되고, 여기서도 충돌음의 발생은 충분히 억제된다. 이와 같이, 가동 철편(4)은 충돌음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스무스하게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가동 접점(62)은 고정 접점(57)으로부터 이간하여 개방 위치에 위치한다.
그런데, 접점을 개방할 때, 접점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접점 개폐 영역의 주위에는 아크 소호 부재(7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 아크는 신속하게 소호된다.
즉, 각 영구자석(76)의 N극으로부터 발생한 자속은, 접속 부재(77)의 중간 돌출부(80)를 통하여 중간벽(79)을 통과하고, 대향벽(78)으로부터 상기 각 영구자석(76)의 S극으로 되돌아오는 자기 회로를 각각 흐른다. 각 자기 회로는 폐루프를 구성하고, 주위에의 자속 누설이 거의 없다. 그리고, 중간 돌출부(80)의 존재에 의해 접점 개폐 위치, 즉 접점 사이에 발생한 아크에 대해 효과적으로 자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 결과, 플레밍 왼손의 법칙에 의해, 발생한 아크에는, 접점 개방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이 아크는 크게 지연되기 때문에, 급속하게 소호되게 된다.
여기서는, 가동 접촉편(52)으로, 양 고정 접촉편(51) 사이를 개폐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접점 개방시의 아크 전류가 도 11에 도시하는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아크를 접속 부재(77)의 중간벽측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자속 방향을 얻을 수 있도록 영구자석(76)의 자극을 대향면에서 이극(異極)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즉, 아크를 접속 부재(77)의 중간벽측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아크의 소호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접점 개폐부(3)의 구성이 상위하면, 그 차이에 응하여 영구자석(76)의 자극을 설정하면 좋다.
또한, 상기 전자석 블록(2)의 동작 전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조정할 수 있다.
즉, 힌지 스프링(44)의 탄성 당접부(46)의 경사각도를 변경함에 의해, 전자석 블록(2)의 동작 전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요크(41)에 대한 탄성 당접부(46)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면, 도 12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철심(22)의 자극부(25)로부터 발생시킨 자계에 의해 가동 철편(4)의 피흡인부(63)에 작용하는 힘의 변화(흡인력 곡선)에 대해, 동작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탄성 당접부(46)의 경사각도를 크게 함에 의해, 접점이 개방하고 나서 제1 돌출부(66)에 탄성 당접부(46)가 맞닿기 까지의 힘을 작게 하고, 그때에 필요해지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흡인력 곡선이, 도시된 것보다도 작은 위치에서 변화하도록, 전자석 블록(2)의 동작 전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다른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접촉편(52)을, 압입부(37)로부터 늘어나는 한 쌍의 접촉편으로 구성하도록 하였지만, 2부재(2개의 가동 접촉편(52))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고정 접촉편(51)을 2부재로 구성하였지만, 상기 가동 접촉편(52)과 마찬가지로 연속한 일체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가동 접촉편(52)과 고정 접촉편(51)의 조합은, 1조의 조합이라도 좋고, 3조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아크 소호 부재(77)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접속 부재(77)를 제1 접속부(101)와 제2 접속부(102)로 구성하는 아크 소호 부재(77)를 도시한다. 각 접속부(101, 102)의 일단부에는, 중간벽(103a, 103b)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상기 실시 형태의 대향벽과 같은 제1 측벽(104a, 10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접속부(101, 102)의 타단부에는, 폭방향의 반분만이 절곡된 제2 측벽(105a, 105b)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벽(103a, 103b)의 제2 측벽(105a, 105b)측의 단면(端面)에는, 제2 측벽(105a, 105b)의 두께만큼의 단차(패임부(106a, 10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에 제2 측벽(105a, 105b)을 위치 맞춤함에 의해, 제1 접속부(101)와 제2 접속부(102)를 개략 E자형상이 되도록 배치한다. 이 경우, 각 접속부(101, 102)의 제2 측벽(105a, 105b)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양측부만이 아니라, 전체에 걸치는 평판형상의 중간 돌출부(107)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제1 측벽(104a, 104b)의 내면에는 영구자석(76)이 각각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하여 자속 누출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영구자석(76)에 그다지 자력의 큰 것을 사용하지 않아도, 접점 사이에 충분히 자속을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접속 부재(77)를 제1 접속부(111)와 제2 접속부(112)로 구성하는 것이다. 단, 제2 측벽(115a, 115b)은, 반분만을 절곡한 구성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제1 측벽(114a, 114b)과 마찬가지로, 중간벽(113a, 113b)으로부터 전체를 직각으로 절곡한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상위하다. 그리고, 제1 접속부(111)와 제2 접속부(112)는, 제2 측벽(115a, 115b)의 외면끼리를 맞닿게 하여 중간 돌출부(117)로 한 상태로 사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2조의 접점 개폐 위치의 각각으로 자기 회로의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고, 자속 누출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접속 부재(77)와 거의 같은 구성으로, 제1 접속부(121)과 제2 접속부(122)로 접속 부재(77)를 구성한 것이다. 각 접속벽(121, 122)은, 제1 측벽(124a, 124b)과, 제1 측벽(124a, 124b)에 대해 반분의 폭의 중간벽(123a, 123b)과, 중간벽(123a, 123b)을 직각으로 절곡한 제2 측벽(125a, 125b)을 갖는다. 그리고, 제1 접속부(121)과 제2 접속부(122)는, 제2 측벽(125a, 125b)의 측면끼리를 맞닿게 하여 중간 돌출부(127)로 한 상태로 사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간 돌출부(127)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양측부만이 아니라, 도 13과 마찬가지로, 거의 전면에 중간 돌출부(127)을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3과 마찬가지로, 자속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6은, 중간 돌출부(137)를, 중간벽(133)의 중앙부에서 일체적으로 돌출시킨 평판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 중간 돌출부(137)는, 중간벽(133)과 대향벽(134a, 134b)으로 이루어지는 개략 ㄷ자형의 부재에 대해 중간벽(133)의 중앙부에 대향벽(134a, 134b)과 동일 형상의 판재를 용접, 접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여도 좋고, 프레스 가공시에 대향벽과 동시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각 실시 형태와 같이, 2부재로 구성하거나, 간극 등이 발생하거나 하는 일이 없고, 가장 자속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접점 개폐 위치에 자속을 집중시킬 수 있다.
1 : 베이스
2 : 전자석 블록
3 : 접점 개폐부
4 : 가동 철편
5 : 케이스
6 : 제1 장착부
7 : 제2 장착부
8 : 제1 주연벽
9 : 오목개소
10 : 지지 오목부
11 : 코일 단자구멍
12 : 가이드부
13 : 가이드벽
14 : 절연벽
15 : 가이드 홈
16 : 가이드 오목부
17 : 대좌부
18 : 제1 단자구멍
19 : 연통부
20 : 제2 주연벽
21 : 제2 단자구멍
22 : 철심
23 : 스풀
24 : 코일
25 : 자극부
26 : 중심구멍
27 : 몸통부
28 : 상단측 차양부
29 : 하단측 차양부
30 : 릴리프 홈
31 : 단자 부착부
32 : 단자 지지구멍
33 : 단부
34 : 안내 홈
35 : 가이드 돌기부
36 : 코일 단자
37 : 압입부
38 : 폭광부
39 : 코일 권부부
40 : 절연 시트
41 : 요크
42 : 돌출부
43 : 돌기
44 : 힌지 스프링
45 : 접속부
46 : 탄성 당접부
47 : 제1 경사부
48 : 제2 경사부
49 : 탄성 지지부
50 : 피가이드부
51 : 고정 접촉편
52 : 가동 접촉편
53 : 압입부
54 : 단자부
55 : 접촉편부
56 : 팽출부
57 : 고정 접점
58 : 압입부
59 : 접촉편부
60 : 팽출부
61 : 돌기
62 : 가동 접점
63 : 피흡인부
64 : 개구부
65 : 카드 부재
66 : 제1 돌출부
67 : 제2 돌출부
68 : 돌조부
69 : 가압부
70 : 차폐벽
71 : 밀폐용구멍
72 : 슬릿
73 : 오목개소
74 : 돌기
75 : 아크 소호 부재
76 : 영구자석
77 : 접속 부재
78 : 대향벽
79 : 중간벽
80 : 중간 돌출부
101, 111, 121 : 제1 접속부
102, 112, 122 : 제2 접속부
103a, 103b, 113a, 113b, 123a, 123b, 133 : 중간벽
104a, 104b, 114a, 114b, 124a, 124b : 제1 측벽
105a, 105b, 115a, 115b, 125a, 125b : 제2 측벽
106a, 106b : 패임부
107, 117, 127, 137 : 중간 돌출부
134a, 134b : 대향벽

Claims (10)

  1. 접리 가능한 한 쌍의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접점조를, 적어도 2조, 접리 방향과는 직교하는 병설 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접점 개폐부와,
    상기 접점 개폐부를 구동하여 접점을 개폐시키는 전자석 블록과,
    상기 모든 접점조에 대해 병설 방향의 양측과, 상기 각 접점조의 사이에 각각 돌출하는 돌출부를, 중간부를 통하여 서로 연속시켜서 이루어지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접속 부재와, 양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대향 위치에 각각 마련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아크 소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영구자석의 대향면의 극성과, 접점 개폐시에 발생하는 아크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상기 아크 전류에 상기 접속 부재의 중간부측으로 변위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개폐부와 상기 전자석 블록이 재치되는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에 부착되고, 상기 접점 개폐부와 상기 전자석 블록을 덮는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아크 소호 부재의 각 돌출부 및 영구자석을 배치 가능하며, 내부 공간에는 개구하지 않는 오목부를 상면에 구비하고,
    상기 아크 소호 부재의 각 돌출부 및 영구자석을, 상기 케이스의 오목부에 배치함에 의해, 상기 접점 개폐부 및 상기 전자석 블록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영구자석의 대향면의 극성과, 접점 개폐시에 발생하는 아크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인접하는 접점 개폐 위치 사이에서 역방향이 되도록 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접촉편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아크 소호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의 중간부를, 상기 접촉편의 돌출 방향측의 접점 부근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5. 고정 접촉편과, 이 고정 접촉편에 대향하여 배치한 가동 접촉편을 갖는 접점 개폐부를 구비하고, 전자석 블록을 여자·소자하여 가동 접촉편을 구동하고, 이 가동 접촉편에 마련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촉편에 마련한 고정 접점에 개폐하도록 한 전자 계전기로서,
    상기 고정 접촉편은, 상기 고정 접점을 갖는, 적어도 2개로 구성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은, 상기 가동 접점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접촉편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접촉편부의 양측과, 각 접점 개폐 위치의 사이에 각각 돌출하는 돌출부를, 중간부를 통하여 서로 연속시킨 일체의 접속 부재와, 양측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대향 위치에 각각 마련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아크 소호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각 영구자석의 대향면의 극성과, 접점 개폐시에 발생하는 아크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상기 아크 전류에 상기 접속 부재의 중간부측으로 변위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결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소호 부재의 접속 부재는, 중간벽의 양단부에 대향벽을 각각 형성하고, 중간벽의 중앙부에, 양측부를 중앙부를 끼우고 반대측의 대향벽측부터 구부려 세움에 의해, 상기 각 접점조의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 돌출부에 의해 평판형상의 벽면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7004080A 2011-03-14 2011-03-24 전자 계전기 KR101436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55725 2011-03-14
JP2011055725A JP5085754B2 (ja) 2011-03-14 2011-03-14 電磁継電器
PCT/JP2011/057131 WO2012124164A1 (ja) 2011-03-14 2011-03-24 電磁継電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219A KR20130041219A (ko) 2013-04-24
KR101436269B1 true KR101436269B1 (ko) 2014-08-29

Family

ID=4683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080A KR101436269B1 (ko) 2011-03-14 2011-03-24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6617B2 (ko)
EP (1) EP2688084B1 (ko)
JP (1) JP5085754B2 (ko)
KR (1) KR101436269B1 (ko)
CN (1) CN103403832B (ko)
WO (1) WO2012124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5754B2 (ja) 2011-03-14 2012-11-2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043173B2 (ja) * 2012-12-07 2016-12-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115170B2 (ja) * 2013-02-13 2017-04-19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DE202013102019U1 (de) * 2013-05-08 2014-08-11 Eto Magnetic Gmbh Elektromagnetische Stellvorrichtung
DE102013210195A1 (de) * 2013-05-31 2014-12-04 Tyco Electronics Amp Gmbh Anordnung für ein elektrisches Schaltelement und Schaltelement
JP6406596B2 (ja) * 2014-05-12 2018-10-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
JP6433706B2 (ja) * 2014-07-28 2018-12-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EP2996137B1 (en) * 2014-09-10 2019-05-08 Tyco Electronics EC Trutnov s.r.o. Yoke assembly with deceleration element for switching device and same
US9728347B2 (en) * 2014-12-16 2017-08-0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Integrated contactor mounting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JP6447919B2 (ja) * 2015-04-07 2019-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KR101943363B1 (ko) * 2015-04-13 2019-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기
KR101922155B1 (ko) 2015-09-03 2018-11-27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전자접촉기
JP6657692B2 (ja) * 2015-09-11 2020-03-04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石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JP6981732B2 (ja) 2015-09-28 2021-12-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8006209A (ja) * 2016-07-05 2018-01-1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836241B2 (ja) * 2016-12-27 2021-02-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12154527A (zh) * 2018-05-23 2020-12-2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触点装置和电磁继电器
CN110970266A (zh) * 2018-09-30 2020-04-07 泰科电子(深圳)有限公司 电磁继电器
CN110970268A (zh) * 2018-09-30 2020-04-07 泰科电子(深圳)有限公司 电磁继电器
CN109243923A (zh) * 2018-11-14 2019-01-18 厦门普利得汽车电子有限公司 高压直流继电器
TWI692793B (zh) * 2019-01-19 2020-05-01 百容電子股份有限公司 電磁繼電器
JP2022119018A (ja) * 2021-02-03 2022-08-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タブ端子を備えるパワーリレ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346U (ko) * 1978-08-28 1980-03-05
JPS60107551U (ja) * 1983-12-26 1985-07-2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H10154448A (ja) * 1996-11-25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直流開閉器
JP2001176370A (ja) * 1999-12-16 2001-06-29 Denso Corp 電磁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968A (en) * 1956-02-21 Relay structure
US2875304A (en) * 1956-03-30 1959-02-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interrupter
JPS538901B2 (ko) * 1971-09-01 1978-04-01
JPS6224930Y2 (ko) * 1978-06-30 1987-06-25
JPS5511064A (en) 1978-07-12 1980-01-25 Toyota Motor Corp Rotary type electrostatic coater for conductive paint
JPS5927980B2 (ja) 1978-08-31 1984-07-10 富士通株式会社 不良テ−プの検出装置
DE2912800C2 (de) * 1979-03-30 1985-04-2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lektromagnetisches Relais für hohe Schaltleistungen
NZ194794A (en) * 1979-09-10 1983-05-31 Westinghouse Electric Corp Switchgear permanent magnets create arc blowout field
JPS5713628A (en) * 1980-06-27 1982-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Direct current electromagnetic contactor
JPS60107551A (ja) 1983-11-15 1985-06-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アイバ母材の組成分析方法
DE8412246U1 (ko) * 1984-04-18 1987-08-27 Hengstler Gmbh, Geschaeftsbereich Haller-Relais, 7209 Wehingen, De
EP0248677B1 (en) * 1986-06-06 1994-03-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witchgear
JPS63149039U (ko) * 1987-03-20 1988-09-30
US4758809A (en) * 1987-09-17 1988-07-19 Potter And Brumfield Inc.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a multifunction retaining spring
US4761627A (en) * 1987-09-17 1988-08-02 Potter And Brumfield Inc. Electromagnetic relay including a rotatable armature mount
JP2658170B2 (ja) * 1988-05-11 1997-09-30 オムロン株式会社 開閉器
DE3835118A1 (de) * 1988-10-14 1990-04-19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EP0372554A3 (en) * 1988-12-09 1992-04-08 OMR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JPH0346728A (ja) * 1989-07-13 1991-02-28 Omron Corp 電磁継電器
JPH0469836U (ko) * 1990-10-26 1992-06-19
EP0501070B2 (en) * 1991-02-27 2003-05-14 Takamisawa Electric Co., Ltd. Small sized electromagnetic relay
US5396204A (en) * 1991-04-09 1995-03-07 Omr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JP2767331B2 (ja) 1991-09-30 1998-06-18 東芝硝子株式会社 ガラス成形装置
JP3383984B2 (ja) * 1992-05-14 2003-03-1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H0652761A (ja) * 1992-08-01 1994-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US5289144A (en) * 1992-08-21 1994-02-22 Potter & Brumfield, Inc. Electromagnetic re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DE4300594A1 (de) * 1993-01-13 1994-07-14 Hengstler Bauelemente Sicherheitsrelais mit zwangsgeführtem Kontaktsatz und monostabilem Antrieb
US5321377A (en) * 1993-01-21 1994-06-14 Kaloust P. Sagoian Electromagnet for relays and contactor assemblies
DE4405222C1 (de) * 1994-02-18 1995-05-11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elais mit beweglichem Schieber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Relais
JP3321963B2 (ja) * 1994-02-22 2002-09-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ランジャ型電磁継電器
JPH07254340A (ja) * 1994-03-15 1995-10-03 Omron Corp 電磁継電器
IT233985Y1 (it) * 1994-07-29 2000-02-16 Gavazzi Carlo Electromatic Rele' elettromagnetico pluricontatto miniatura per usi industriali
JP3847784B2 (ja) * 1995-03-21 2006-11-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ロジスティック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電磁リレー
US5805040A (en) * 1996-09-27 1998-09-08 Simens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Inc. Relay base and method of assembly
DE19804572A1 (de) * 1997-05-05 1999-08-12 Schrack Components Ag Relais mit Kontaktfedern
DE19727991C1 (de) * 1997-07-01 1998-11-19 Schrack Component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EP0938119A1 (de) * 1998-02-18 1999-08-25 ELESTA relays GmbH Relais
DE69931586T2 (de) * 1998-12-07 2007-05-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Kadoma Elektromagnetisches Relais
US6700466B1 (en) * 1999-10-14 2004-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tactor
JP4212248B2 (ja) * 2001-02-09 2009-01-2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334158B2 (ja) * 2001-03-26 2009-09-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US6798322B2 (en) * 2002-06-17 2004-09-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noise relay
JP4131161B2 (ja) * 2002-11-12 2008-08-1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04311389A (ja) * 2003-02-21 2004-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直流リレー
JP4190379B2 (ja) * 2003-09-12 2008-12-0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複合型電磁継電器
JP4424260B2 (ja) * 2005-06-07 2010-03-0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4810937B2 (ja) * 2005-09-06 2011-11-09 オムロン株式会社 開閉装置
JP4742954B2 (ja) * 2006-03-31 2011-08-1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4765761B2 (ja) * 2006-05-12 2011-09-0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US7477119B2 (en) * 2007-03-02 2009-01-13 Good Sky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JP4946559B2 (ja) * 2007-03-22 2012-06-06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058643B2 (ja) * 2007-03-26 2012-10-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202072B2 (ja) 2007-09-14 2013-06-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リレー
US8193881B2 (en) * 2007-09-14 2012-06-05 Fujitsu Component Limited Relay
JP5163318B2 (ja) * 2008-06-30 2013-03-1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石装置
TW201019364A (en) * 2008-11-12 2010-05-16 Good Sky Electric Co Ltd An electromagnetic relay
JP2012038684A (ja) * 2010-08-11 2012-02-23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開閉器
JP5085754B2 (ja) 2011-03-14 2012-11-2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923932B2 (ja) * 2011-11-04 2016-05-25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開閉機構及び電磁継電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346U (ko) * 1978-08-28 1980-03-05
JPS60107551U (ja) * 1983-12-26 1985-07-2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H10154448A (ja) * 1996-11-25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直流開閉器
JP2001176370A (ja) * 1999-12-16 2001-06-29 Denso Corp 電磁継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219A (ko) 2013-04-24
WO2012124164A1 (ja) 2012-09-20
EP2688084A4 (en) 2014-11-05
US9076617B2 (en) 2015-07-07
CN103403832B (zh) 2017-03-01
EP2688084A1 (en) 2014-01-22
US20140028418A1 (en) 2014-01-30
JP5085754B2 (ja) 2012-11-28
EP2688084B1 (en) 2019-04-10
JP2012190764A (ja) 2012-10-04
CN103403832A (zh)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269B1 (ko) 전자 계전기
KR101436268B1 (ko) 전자 계전기
KR101435349B1 (ko) 전자 계전기
JP5923932B2 (ja) 接点開閉機構及び電磁継電器
JP5741338B2 (ja) 端子部材のシール構造、及び、電磁継電器
EP2650899B1 (en) Electromagnetic relay
JP5085755B2 (ja) 電磁継電器
JP2004164948A (ja) 電磁継電器
EP2840585A1 (en) Electromagne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ing the same
JP3846098B2 (ja) 電磁リレー
JP2005166431A (ja) 電磁継電器
JP2005183097A (ja) 電磁リレー
JP2006059702A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