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246B1 - 열기기 - Google Patents

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246B1
KR101436246B1 KR1020130036879A KR20130036879A KR101436246B1 KR 101436246 B1 KR101436246 B1 KR 101436246B1 KR 1020130036879 A KR1020130036879 A KR 1020130036879A KR 20130036879 A KR20130036879 A KR 20130036879A KR 101436246 B1 KR101436246 B1 KR 101436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ath
hot water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772A (ko
Inventor
히사노부 도코로
고지 오타
히로카즈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1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4/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eat pumps
    • F24H4/02Water heaters
    • F24H4/04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2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4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 F24H7/0408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7/0433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the transfer medium being water
    • F24H7/0441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the transfer medium being water with supplementary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2Hot 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과제) 히트 펌프와 축열 탱크와 보조 열원기를 조합한 열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서 소음 발생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명세서는 열기기를 개시한다. 상기 열기기는 자연 환경으로부터 흡열하여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트 펌프와, 가열된 열매체를 저장하는 축열 탱크와, 연료 가스의 연료에 의해서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조 열원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열기기에서는 통상모드와 정음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열기기에서는 정음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통상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비해서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킨다.

Description

열기기{THERMAL APPARATUS}
본 발명은 열기기(熱機器)에 관한 것이다.
자연 환경으로부터 흡열하여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트 펌프와, 가열된 열매체를 저장하는 축열(蓄熱) 탱크와, 연료 가스의 연소에 의해서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조 열원기를 구비하는 열기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열기기에서는, 히트 펌프에 의해서 가열된 열매체를 축열 탱크에 저장하여 두고, 필요에 따라서 축열 탱크에서 열매체를 공급한다. 일시적으로 축열 탱크에서의 축열량을 넘는 열매체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나, 열매체를 고온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는 연료 가스를 사용하는 보조 열원기에 의해서 보조적으로 열매체를 가열한다. 이러한 종류의 열기기에 의하면, 히트 펌프와 축열 탱크를 조합한 열기기의 이점을 누리면서, 여러 가지 열매체 수요에 대해서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열기기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2000-329401호 공보
대기로부터 흡열하는 히트 펌프에서는, 가동시에 압축기의 진동이나 팬이 바람을 가르는 소리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 사용자가 열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서는 소음 발생을 가능한 한 억제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래서,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서 소음 발생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이 기대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히트 펌프와 축열 탱크와 보조 열원기를 조합한 열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서 소음 발생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열기기를 개시한다. 이 열기기는 자연 환경으로부터 흡열하여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트 펌프와, 가열된 열매체를 저장하는 축열 탱크와, 연료 가스의 연소에 의해서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조 열원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열기기에서는 통상모드와 정음(靜音)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열기기에서는 정음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통상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비해서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킨다.
일반적인 히트 펌프에서는, 히트 펌프에서 이용하는 냉매의 압축에 이용하는 압축기와, 냉매와 대기의 열교환에 이용하는 팬에 기인하여 소음이 발생한다. 압축기나 팬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이 증대하면 커지고,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이 감소하면 작아진다. 상기 열기기에서는 정음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통상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비해서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압축기나 팬에게 기인하는 소음 발생을 억제한다.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서 히트 펌프에서의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열기기에서는 히트 펌프에서 축열 탱크로 보내지는 열매체의 목표 온도를 낮춤으로써,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히트 펌프의 압축기나 팬의 동작은 히트 펌프에서 축열 탱크로 보내지는 가열 후의 열매체의 온도가 목표로 하는 온도가 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히트 펌프에서 축열 탱크로 보내지는 열매체의 목표 온도를 낮춤으로써,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열기기에 의하면, 축열 탱크와 히트 펌프의 사이를 순환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줄이는 일 없이,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혹은, 상기 열기기에서는 축열 탱크와 히트 펌프의 사이를 순환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줄임으로써,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열 탱크와 히트 펌프의 사이를 순환하는 열매체의 유량은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열기기에 의하면, 히트 펌프에서 축열 탱크로 보내지는 가열 후의 열매체의 온도를 낮추는 일 없이,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열기기에서는, 정음모드에 있어서, 외기온도에 의거하여 히트 펌프의 능력조정비율을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외기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히트 펌프에서의 소음은 더 커지게 된다. 상기 열기기에서는, 외기온도가 낮을수록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켜서, 히트 펌프에서의 소음 발생을 억제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히트 펌프에서의 소음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열기기에서는, 정음모드에 있어서, 현재시각에 의거하여 히트 펌프의 능력조정비율을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아침이나 저녁이 낮에 비해서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야간에는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한층 더 커지게 된다. 상기 열기기에 의하면, 아침이나 저녁에는 낮보다도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키고, 야간에는 한층 더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켜서, 히트 펌프에서의 소음 발생을 억제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히트 펌프에서의 소음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열기기에서는, 정음모드에 있어서, 필요열량과 축열량에 의거하여 히트 펌프의 능력조정비율을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열량에 대해서 충분한 축열량이 축열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서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크게 저감하더라도, 보조 열원기에 의해서 공급되는 열량에는 그다지 변화가 없다. 그러나, 필요열량에 대해서 충분한 축열량이 축열 탱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크게 저감하면, 그만큼 보조 열원기에 의해서 공급되는 열량이 증대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열기기에서는 필요열량과 축열량에 의거하여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조정한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히트 펌프에서의 소음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급탕 난방 시스템(1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정음모드에서의 HP능력조정비율의 산출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은 외기온도와 HP능력조정비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현재시각과 HP능력조정비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실시예》
본 발명의 열기기를 급탕 난방 시스템으로서 구현화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급탕 난방 시스템(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탕 유닛(20)과 히트 펌프 열원 유닛(HP 열원 유닛)(40)과 가스 열원 유닛(50)과 컨트롤러(11)를 구비하고 있다.
HP 열원 유닛(40)에서는 압축기(41)의 토출측과, 사방밸브(42)와, 제 1 열교환기(43)의 냉매 유로(43a)와, 팽창밸브(44)와, 제 2 열교환기(45)와, 사방밸브(42)와, 압축기(41)의 흡입측이 냉매 배관(46)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HP 냉매가 상기한 순서로 순환된다. HP 냉매는 예를 들면 R744(C02 냉매)이어도 좋고, R410A(HFC 냉매)이어도 좋다. 제 1 열교환기(43)는 냉매 유로(43a)와 순환수 유로(43b)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열교환기(45)의 근방에는 팬(45a)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열교환기(45)는 팬(45a)에 의해서 송풍되는 외기와 HP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한다. 냉매 배관(46)에는 압축기(41)의 토출측과 사방밸브(42)의 사이와 팽창밸브(44)와 제 2 열교환기(45)의 사이에 성에제거 경로(47)가 접속되어 있다. 성에제거 경로(47)에는 성에제거밸브(47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열교환기(43)의 순환수 유로(43b)의 입구측에는 순환 왕로 접속 경로(48)가 접속되어 있고, 출구측에는 순환 복로 접속 경로(49)가 접속되어 있다. 순환 왕로 접속 경로(48)에는 입구측 서미스터(48a)가 설치되어 있고, 순환 복로 접속 경로(49)에는 출구측 서미스터(49a)가 설치되어 있다. 입구측 서미스터(48a)는 순환수 유로(43b)로 유입되는 순환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출구측 서미스터(49a)는 순환수 유로(43b)에서 유출되는 순환수의 온도를 검출한다. 또한, 실제로는 각 서미스터(48a,49a)가 수온에 대응한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이 검출신호가 컨트롤러(11)에 입력됨으로써 수온이 검출된다. 이하에서도 서미스터나 센서가 검출한다고 하는 표현은, 실제로는 이것들의 검출신호가 컨트롤러(11)에 입력됨으로써 온도나 물의 유량을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HP 열원 유닛(40)에는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도 서미스터(45b)가 설치되어 있다.
저탕 유닛(20)은 저탕 탱크(21)(축열 탱크에 상당한다)와 혼합기(24)를 구비하고 있다. 저탕 탱크(21)의 바닥부에는 당해 저탕 탱크(21)로 수돗물을 급수하는 급수 경로(22)가 접속되어 있다. 급수 경로(22)의 수돗물 입구(22a) 근방에는 감압밸브(23)가 설치되어 있다. 감압밸브(23)는 저탕 탱크(21)와 혼합기(24)에 대한 급수 압력을 조정한다. 급수 경로(22)의 감압밸브(23)보다 하류측에는 혼합기(24)의 혼합 급수 경로(26)가 접속되어 있다. 혼합 급수 경로(26)에는 급수 제어밸브(26a)와 급수 유량센서(26b)와 급수 서미스터(26c)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 제어밸브(26a)는 혼합 급수 경로(26)를 흐르는 수돗물의 유량을 조정한다. 급수 유량센서(26b)와 급수 서미스터(26c)는 혼합 급수 경로(26)를 흐르는 수돗물의 유량 및 온도를 검출한다. 저탕 탱크(21) 내의 온수가 감소하거나 급수 제어밸브(26a)가 개방되면, 감압밸브(23)의 하류측 압력이 저하된다. 감압밸브(23)는 하류측 압력이 저하되면 밸브를 개방하여 그 압력을 소정의 조정 압력값으로 유지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저탕 탱크(21) 내의 온수가 감소하거나 혼합기(24)의 급수 제어밸브(26a)가 개방되면, 수돗물이 급수된다.
급수 경로(22)에 있어서, 혼합 급수 경로(26)의 접속부보다도 하류측에는 배수 경로(31)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 경로(31)의 도중에는 배수밸브(32)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밸브(32)는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배수밸브(32)를 개방하면, 저탕 탱크(21) 내의 물이 배수 경로(31)를 통해서 외부로 배수된다.
저탕 탱크(21)의 바닥부에는 순환 왕로(3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저탕 탱크(21)의 상부에는 순환 복로(3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순환 왕로(33)의 타단은 HP 열원 유닛(40)의 순환 왕로 접속 경로(48)에 접속되어 있고, 순환 복로(34)의 타단은 순환 복로 접속 경로(49)에 접속되어 있다. 순환 왕로(33)에는 왕로 서미스터(36)와 순환 펌프(37)가 설치되어 있다. 왕로 서미스터(36)는 저탕 탱크(21)에서 순환 왕로(33)로 유출된 물의 온도를 검출한다. 순환 펌프(37)가 구동되면, 저탕 탱크(21)의 하부에서 순환 왕로(33)로 물이 흡출되고, 이 물이 순환수 유로(43b)를 흐른 후, 순환 복로(34)를 통해서 저탕 탱크(21)의 상부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이 저탕 탱크(21)와 HP 열원 유닛(40) 간의 순환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순환 복로(34)의 도중에는 압력 개방 경로(38)가 접속되어 있으며, 압력 개방 경로(38)에는 릴리프 밸브(38a)가 설치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38a)의 개방 압력은 감압밸브(23)의 조정 압력값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감압밸브(23)의 조정 압력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는, 릴리프 밸브(38a)가 개방되어 저탕 탱크(21) 내의 압력이 내압 가능한 압력을 넘는 것을 방지한다. 저탕 탱크(21)에는 상부의 수온을 검출하는 상부 서미스터(39a), 중간부의 수온을 검출하는 중간부 서미스터(39b), 하부의 수온을 검출하는 하부 서미스터(39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저탕 탱크(21)의 상부에는 혼합기(24)의 온수 경로(25)가 접속되어 있다. 온수 경로(25)에는 온수 제어밸브(25a)와 온수 유량센서(25b)와 온수 서미스터(25c)가 설치되어 있다. 온수 제어밸브(25a)는 저탕 탱크(21)에서 온수 경로(25)로 흐르는 물의 유량을 조정한다. 온수 유량센서(25b)는 저탕 탱크(21)에서 온수 경로(25)로 흐르는 물의 유량을 검출한다. 온수 서미스터(25c)는 온수 경로(25)를 흐르는 물의 온도를 검출한다. 온수 경로(25)와 혼합 급수 경로(26)는 합류하여 제 1 혼합 경로(27)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혼합 경로(27)에는 당해 제 1 혼합 경로(27)를 흐르는 혼합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혼합 서미스터(27a)가 설치되어 있다.
저탕 유닛(20)은 제 1 급탕 경로(29)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급탕 경로(29)에는 급탕 서미스터(29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급탕 경로(29)의 선단에는 급탕전(80)이 접속되어 있다. 급탕전(80)은 욕실, 세면대, 부엌 등에 배치되어 있다{도 1에서는 이들 복수의 급탕전(80)을 1개로 대표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 1 혼합 경로(27)의 도중과 제 1 급탕 경로(29)의 도중은 급탕 바이패스 경로(28)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급탕 바이패스 경로(28)에는 바이패스 제어밸브(28a)가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 제어밸브(28a)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제 1 혼합 경로(27)를 흐르는 혼합수가 급탕 바이패스 경로(28)로 흐르고, 바이패스 제어밸브(28a)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 1 혼합 경로(27)를 흐르는 혼합수가 후술하는 가스 열원 유닛(50)의 제 2 혼합 경로(52)로 흐른다.
가스 열원 유닛(50)은 급탕기(51)와 난방 순환 경로(61)와 목욕물 순환 경로(71)를 구비하고 있다. 급탕기(51)(보조 열원기에 상당한다)는 급탕 열교환기(53)와 버너(54) 등을 구비하고 있다. 급탕 열교환기(53)의 입구측은 제 2 혼합 경로(52)를 통해서 저탕 유닛(20)의 제 1 혼합 경로(27)에 접속되어 있다. 급탕 열교환기(53)에는 제 2 혼합 경로(52)를 통해서 혼합수가 유입된다. 제 2 혼합 경로(52)에는 입수 서미스터(52a)와 급탕 수량센서(52b)와 수량 서보(52c)가 설치되어 있다. 입수 서미스터(52a)와 급탕 수량센서(52b)는 각각 제 2 혼합 경로(52)를 흐르는 물의 온도 및 유량을 검출한다. 수량 서보(52c)는 제 2 혼합 경로(52)를 흐르는 물의 유량을 조정한다. 가스 연소식의 버너(54)는 급탕 열교환기(53)를 가열한다. 급탕 열교환기(53)의 출구측은 제 2 급탕 경로(55)를 통해서 제 1 급탕 경로(29)에 접속되어 있다. 급탕 열교환기(53)를 흐른 온수는 제 2 급탕 경로(55) 및 제 1 급탕 경로(29)를 통해서 급탕전(80)에서 급탕된다. 제 2 급탕 경로(55)에는, 급탕 열교환기(53)의 출구 근방에 부기체(缶器體) 서미스터(56)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류측에 출탕 서미스터(57)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혼합 경로(52)에 있어서의 수량 서보(52c)의 하류측과, 제 2 급탕 경로(55)의 부기체 서미스터(56)와 출탕 서미스터(57)의 사이에는 열원기 바이패스 경로(58)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혼합 경로(52)와 열원기 바이패스 경로(58)의 접속부에는 열원기 바이패스 제어밸브(59)가 설치되어 있다. 열원기 바이패스 제어밸브(59)의 개방도를 조정함에 의해서 제 2 혼합 경로(52)를 흐르는 물의 일부가 열원기 바이패스 경로(58)로 흐름으로써 물의 유량이 조정된다.
난방 순환 경로(61)는 시스턴(cistern)(62)과 제 1 난방 열교환기(63c)와 제 2 난방 열교환기(66c)와 버너(69) 등을 구비하고 있다. 급탕기(51)의 제 2 혼합 경로(52)에는 입수 서미스터(52a)의 설치위치의 하류측에 물보충 경로(6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물보충 경로(60)의 타단은 시스탄(6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물보충 경로(60)에는 보급수(補給水) 전자밸브(60a)가 설치되어 있다. 보급수 전자밸브(60a)가 개방되면, 제 1 혼합 경로(27) 및 제 2 혼합 경로(52)를 흐르는 혼합수가 물보충 경로(60)를 통해서 시스턴(62)에 공급된다.
시스턴(62)의 바닥부에는 제 1 난방 경로(6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제 1 난방 경로(63)의 도중에는 제 2 난방 경로(64)가 접속되어 있으며, 시스턴(62)의 바닥부에서 제 1 난방 경로(63)로 유출된 온수가 제 2 난방 경로(64)를 통해서 바닥 난방기에 공급된다. 또, 제 1 난방 경로(63)에는 난방 펌프(63a)와 난방 저온 서미스터(63b)가 설치되어 있다. 난방 펌프(63a)가 구동되면, 난방 순환 경로(61)에 물이 순환된다. 난방 저온 서미스터(63b)는 시스턴(62)에서 유출되어 바닥 난방기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검출한다. 또, 제 1 난방 경로(63)의 타단은 제 1 난방 열교환기(63c)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 1 난방 열교환기(63c)에는 제 1 난방 경로(63)를 통해서 물이 유입된다. 제 1 난방 열교환기(63c)의 출구측에는 제 3 난방 경로(65)가 접속되어 있다. 제 3 난방 경로(65)에는 난방 고온 서미스터(65a)가 설치되어 있다. 난방 고온 서미스터(65a)는 제 3 난방 경로(65)를 흐르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 1 난방 열교환기(63c)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는 제 3 난방 경로(65)를 흘러서 욕실 난방기에 공급된다.
또, 시스턴(62)의 바닥부에는 제 1 난방 복귀 경로(66)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난방 복귀 경로(66)는 제 2 난방 열교환기(66c)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있고, 제 2 난방 열교환기(66c)의 입구측은 제 2 난방 복귀 경로(67)에 접속되어 있다. 바닥 난방기나 욕실 난방기를 흐른 물은 제 2 난방 복귀 경로(67)를 통해서 제 2 난방 열교환기(66c)를 흐르고, 제 1 난방 복귀 경로(66)를 통해서 시스턴(62)으로 되돌아 온다. 제 3 난방 경로(65)의 도중과 제 1 난방 복귀 경로(66)의 도중은 난방 바이패스 경로(68)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난방 바이패스 경로(68)에는 난방 바이패스 제어밸브(68a)가 설치되어 있다. 욕실 난방기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난방 바이패스 제어밸브(68a)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난방 열교환기(63c)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는 난방 바이패스 경로(68)에서 제 1 난방 복귀 경로(66)를 흘러서 시스턴(62)으로 되돌아 온다.
제 3 난방 경로(65)의 도중과 제 2 난방 복귀 경로(67)의 도중에는 보조 가열 경로(78)가 접속되어 있다. 제 3 난방 경로(65)에 있어서, 보조 가열 경로(78)의 접속위치에는 보조 가열 유량 제어밸브(78a)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보조 가열 경로(78)의 도중에는 보조 가열 열교환기(76)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가열 열교환기(76)는 제 1 유로(76a)와 제 2 유로(76b)를 흐르는 유체 간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보조 가열 경로(78)의 도중에 제 1 유로(76a)가 접속되어 있다.
목욕물 순환 경로(71)는 욕조(72)와 보조 가열 열교환기(76)의 제 2 유로(76b)의 사이에서 목욕물을 순환시키는 것이다. 목욕물 순환 경로(71)의 양단은 욕조(72) 내에 접속되어 있다. 목욕물 순환 경로(71)에는 목욕물 순환 펌프(73)와 수류 스위치(74)와 목욕물 복로 서미스터(75)와 보조 가열 열교환기(76)의 제 2 유로(76b)와 목욕물 왕로 서미스터(77)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목욕물 순환 펌프(73)가 구동되면, 욕조(72) 내의 목욕물이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목욕물 순환 경로(71)를 흐르며, 보조 가열 열교환기(76)의 제 2 유로(76b)를 흐를 때에 제 1 유로(76a)를 흐르는 온수에 의해서 가열된다. 목욕물 복로 서미스터(75)는 욕조(72)에서 목욕물 순환 경로(71)로 유입된 목욕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고, 목욕물 왕로 서미스터(77)는 보조 가열 열교환기(76)에 의해서 가열된 후의 목욕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목욕물 순환 경로(71)에 있어서, 목욕물 복로 서미스터(75)와 보조 가열 열교환기(76)의 사이와, 제 2 급탕 경로(55)의 출탕 서미스터(57)의 하류측은 목욕물 공급 경로(70)가 접속되어 있다. 목욕물 공급 경로(70)에는 목욕물 공급 밸브(70a)와 목욕물 공급량 센서(70b)가 설치되어 있다. 목욕물 공급 밸브(70a)를 개방하면, 급탕 열교환기(53)를 흐른 온수가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목욕물 공급 경로(70) 및 목욕물 순환 경로(71)를 통해서 욕조(72)에 공급된다.
컨트롤러(11)는 CPU, ROM, RAM, EEPROM 등을 구비하고 있다. ROM에는 현재시각을 취득하기 위한 시계 프로그램이나 각종 운전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RAM에는 컨트롤러(11)에 입력되는 각종 신호나, CPU가 처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여러 가지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상세하게는, RAM에는 상기한 각종 서미스터(25c, 26c, 27a, 29a, 36, 39a, 39b, 39c, 45b, 48a, 49a, 52a, 56, 57, 63b, 65a, 75, 77), 수량 센서(25b, 26b, 52b, 70b) 및 수류 스위치(74)의 검출신호가 입력되며, 이것들의 정보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EEPROM에는 급탕 난방 시스템(10)에 있어서의 과거의 열량 사용실적 등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컨트롤러(11)에서는 CPU가 ROM이나 RAM이나 EEPROM에 기억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저탕 유닛(20) 및 가스 열원 유닛(50)의 각 제어밸브나 HP 열원 유닛(40)의 각종 기기 등에 대해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또, 리모컨(13)에는 급탕 난방 시스템(10)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나 버튼, 급탕 난방 시스템(1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기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리모컨(13)에 의해서 설정된 정보가 컨트롤러(11)에 입력된다. 리모컨(13)에는 정음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정음 스위치가 오프(OFF)되었을 때에는 급탕 난방 시스템(10)이 통상모드로 동작한다. 정음 스위치가 온(ON)으로 전환되면, 급탕 난방 시스템(10)이 정음모드로 동작한다.
《통상모드에서의 동작》
급탕 난방 시스템(10)에서는 다음과 같이 축열ㆍ급탕ㆍ난방ㆍ목욕물 공급ㆍ보조 가열 등의 운전을 실시한다.
(1) HP 열원 유닛(40)에 의해서 저탕 탱크(21)의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온수로 하고, 이 온수를 저탕 탱크(21)에 저장하고;
(2) 혼합기(24)에서 저탕 탱크(21)의 저장된 온수와 수돗물을 혼합하여 급탕 설정온도의 혼합수가 되도록 조정하고;
(3) 혼합기(24)에서 급탕 설정온도로 조정된 혼합수를 급탕 바이패스 경로(28)를 통해서 급탕전(80)에서 급탕하는 제 1 급탕 운전과, 혼합기(24)에서 급탕 설정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조정된 혼합수를 급탕기(51)의 급탕 열교환기(53)를 통과할 때에 가열하여 급탕전(80)에서 급탕하는 제 2 급탕 운전 중 어느 하나를 실시하고;
(4) 혼합기(24)에서 목욕물 공급 설정온도로 조정된 혼합수, 또는 급탕기(51)의 급탕 열교환기(53)에서 가열된 온수를 욕실의 욕조(72)에 급탕하고;
(5) 난방 순환 경로(61)에 물을 순환시켜서 바닥 난방기 및 욕실 난방기에 온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욕실의 욕조의 물을 보조 가열 열교환기(76)에 의해서 가열한다.
우선, HP 열원 유닛(40)을 가동함으로써, 저탕 탱크(21)에 고온의 물이 저장된다. HP 열원 유닛(40)에서는, 압축기(41)에 의해서 압축된 HP 냉매가 제 1 열교환기(43)의 냉매 유로(43a)를 흐를 때에 순환수 유로(43b)를 흐르는 순환수를 가열한다. 냉매 유로(43a)에서 유출된 HP 냉매는 팽창밸브(44)에 의해서 팽창되어 냉각되고, 제 2 열교환기(45)를 흐를 때에 외기로부터 흡열하여 온도가 상승한다. 온도가 상승한 HP 냉매가 압축기(41)에 유입되어 다시 압축됨으로써 온도가 더 상승한다. 또, HP 열원 유닛(40)에서는,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열교환기(45)에서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성에제거밸브(47a)가 개방되어 압축기(41)에서 토출된 고온의 HP 냉매가 성에제거 경로(47)를 통해서 제 2 열교환기(45)를 흐르도록 한다.
저탕 유닛(20)에서는, 순환 펌프(37)가 작동하여 저탕 탱크(21) 내의 물이 저탕 탱크(21)의 바닥부에서 순환 왕로(33)로 흡출된다. 순환 왕로(33)로 흡출된 물은, HP 열원 유닛(40)의 제 1 열교환기(43)의 순환수 유로(43b)를 통과할 때에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온도가 상승한 온수는 순환 복로(34)를 흘러서 저탕 탱크(21)의 상부로 되돌려진다. 이와 같은 순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저탕 탱크(21)에서는 냉수층의 상부에 고온층이 적층된 온도 성층(成層)이 형성된다. 저탕 탱크(21)에 고온의 온수가 계속해서 되돌려지면, 고온층의 두께(깊이)가 점차 커지게 되며, 최대한으로 축열된 상태에서는 저탕 탱크(21) 전체에 고온의 온수가 저장된 상태가 된다. 저탕 탱크(21)에 최대한으로 축열되지 않더라도, 온도 성층이 형성됨으로써, 저탕 탱크(21)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온수 경로(25)에는 고온의 온수가 송출된다. HP 열원 유닛(40)에서는, 출구측 서미스터(49a)에 의해서 검출되는 온도가 목표로 하는 비등 온도가 되도록 압축기(41) 및 팬(45a)의 동작이 제어된다.
제 1 급탕 운전 및 제 2 급탕 운전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저탕 탱크(21)의 상부 서미스터(39a)의 검출 수온이 리모컨(13)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급탕 설정온도보다도 높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 1 급탕 운전을 한다. 제 1 급탕 운전에서는, 컨트롤러(11)가 바이패스 제어밸브(28a)를 개방상태로 하고, 수량 서보(52c)를 완전 개방상태로 한다. 컨트롤러(11)는, 혼합 서미스터(27a)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온이 급탕 설정온도가 되도록, 온수 제어밸브(25a)의 개방도와 급수 제어밸브(26a)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급탕 설정온도로 조정된 혼합수는, 제 1 혼합 경로(27)를 흐른 후에, 급탕 바이패스 경로(28) 및 제 1 급탕 경로(29)를 통해서 급탕전(80)에서 급탕된다. 저탕 탱크(21)의 온수를 목욕물로서 욕조에 공급할 경우에는, 바이패스 제어밸브(28a)를 폐쇄하고, 수량 서보(52c)와 열원기 바이패스 제어밸브(59)와 목욕물 공급 밸브(70a)를 개방하여, 혼합기(24)에 의해서 온도 조절된 온수를 욕조(72)에 공급한다.
한편, 상부 서미스터(39a)의 검출 수온이 기준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제 2 급탕 운전을 한다. 제 2 급탕 운전에서는, 컨트롤러(11)가 바이패스 제어밸브(28a)를 완전 폐쇄상태로 하고, 수량 서보(52c)를 소정 개방도로 설정한다. 컨트롤러(11)는, 혼합 서미스터(27a)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온이 급탕 설정온도보다도 낮은 온도가 되도록, 온수 제어밸브(25a)의 개방도와 급수 제어밸브(26a)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급탕 설정온도보다도 낮은 온도로 조정된 혼합수는, 제 1 혼합 경로(27)와 가스 열원 유닛(50)의 제 2 혼합 경로(52)를 흘러서 급탕 열교환기(53)에 유입되며, 버너(54)에 의해서 가열된다. 급탕 열교환기(53)에서는, 급탕 열교환기(53)의 출구에 설치되어 있는 부기체 서미스터(56)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온이 60℃ 이상이 되도록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서, 배관에 결로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급탕 설정온도가 60℃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출탕 서미스터(57)에 의해서 검출되는 수온이 급탕 설정온도가 되도록 열원기 바이패스 제어밸브(59)의 개방도가 제어된다. 제 2 혼합 경로(52)를 흐르는 혼합수의 일부가 열원기 바이패스 경로(58)을 통해서 제 2 급탕 경로(55)로 유입되어, 급탕 열교환기(53)를 흐른 60℃ 이상의 물과 급탕 열교환기(53)를 흐르지 않은 저온의 물이 혼합되어 급탕 설정온도의 물이 된다. 이와 같이 급탕 설정온도로 온도 조정된 물이 제 2 급탕 경로(55)와 제 1 급탕 경로(29)를 통해서 급탕전(80)에서 급탕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급탕 운전 중에 저탕 탱크(21)에 저장하여 둔 온수를 모두 소비한 경우에도, 급탕 설정온도로 온도 조정된 온수를 계속해서 급탕할 수 있다. 욕조(72)에 목욕물을 공급하는 목욕물 공급 운전을 할 경우에는, 목욕물 공급 밸브(70a)를 개방하여, 급탕기(51)에 의해서 온도 조정된 온수를 욕조(72)에 공급한다.
제 1 급탕 운전과 제 2 급탕 운전을 전환하는 경우, 컨트롤러(11)는 버너(54)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제 1 급탕 운전에서 제 2 급탕 운전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1)는 소화되어 있는 상태의 버너(54)에 점화 지령을 출력한다. 컨트롤러(11)는 급탕 설정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의 혼합수가 급탕 열교환기(53)까지 이동한 타이밍에서 버너(54)를 점화시킨다. 또한, 실제로는 버너(54)의 점화 지령으로부터 점화가 개시될 때까지 프리퍼지 동작을 하기 때문에, 컨트롤러(11)에서는 이 프리퍼지 동작에 필요로 하는 기간도 고려하여 버너(54)에 점화 지령을 출력한다.
한편, 제 2 급탕 운전에서 제 1 급탕 운전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1)는 점화되어 있는 상태의 버너(54)를 소화한다. 컨트롤러(11)는 급탕 설정온도의 혼합수가 급탕 열교환기(53) 근방까지 이동한 타이밍에서 버너(54)를 소화한다. 버너(54)는 컨트롤러(11)에서 소화 지령이 출력된 타이밍에서 소화된다.
리모컨(13)에 욕조(72)로의 목욕물 공급의 요구가 입력되면, 컨트롤러(11)는 목욕물 공급 밸브(70a)를 개방하여 욕조(72)에 급탕한다. 제 2 급탕 경로(55)에서 목욕물 공급 경로(70)를 흐른 온수는,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목욕물 순환 경로(71)를 통해서 욕조(72)에 급탕된다. 리모컨(13)의 목욕물 공급 설정온도에 대응한 온수가 욕조(72)에 급탕된다.
또, 리모컨(13)에 바닥 난방의 이용 요구가 입력되면, 난방 펌프(63a)가 구동되고, 버너(69)가 점화되며, 시스턴(62)에서 제 1 난방 경로(63)를 흐른 온수가 제 2 난방 경로(64)를 통해서 바닥 난방기에 공급된다. 바닥 난방기에 공급되는 온수는 60℃ 정도이며, 난방 저온 서미스터(63b)에 의해서 검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60℃ 정도가 되도록 버너(69)의 동작이 제어된다. 또, 리모컨(13)에 욕실 난방의 이용 요구가 입력되면, 난방 펌프(63a)가 구동되고, 버너(69)가 점화되며, 시스턴(62)에서 유출된 온수가 제 1 난방 열교환기(63c)에 의해서 가열되어 제 3 난방 경로(65)를 통해서 욕실 난방기에 공급된다. 욕실 난방기에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는 70∼80℃이며, 난방 고온 서미스터(65a)에 의해서 검출되는 온도가 70∼80℃가 되도록 버너(69)의 동작이 제어된다. 바닥 난방의 이용 요구가 있고 욕실 난방의 이용 요구가 없을 때는, 난방 바이패스 제어밸브(68a)가 개방상태로 되어, 제 1 난방 열교환기(63c)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가 난방 바이패스 경로(68) 및 제 1 난방 복귀 경로(66)를 통해서 시스턴(62)으로 되돌아 온다. 바닥 난방기 및 욕실 난방기를 흐른 온수는 제 2 난방 복귀 경로(67)를 흘러서 제 2 난방 열교환기(66c)에 유입되며, 제 2 난방 열교환기(66c)에 의해서 가열된 후에 제 1 난방 복귀 경로(66)를 통해서 시스턴(62)에 유입된다.
또, 리모컨(13)에 목욕물의 보조 가열의 요구가 입력되면, 목욕물 순환 펌프(73)가 구동되어, 욕조(72)의 목욕물이 목욕물 순환 경로(71)를 순환한다. 또, 보조 가열 유량 제어밸브(78a)의 개방도가 조정되어, 제 1 난방 열교환기(63c)에 의해서 가열된 온수가 제 3 난방 경로(65)에서 보조 가열 경로(78)로 흐른다. 목욕물 순환 경로(71)를 흐르는 목욕물과 보조 가열 경로(78)를 흐르는 온수가 보조 가열 열교환기(76)에서 열교환됨으로써, 목욕물 순환 경로(71)를 흐르는 목욕물이 가열된다.
《정음모드에서의 동작》
리모컨(13)의 조작에 의해서 정음모드가 선택되면, 컨트롤러(11)는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에 제한을 가하기 위해서 HP능력조정비율을 산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HP능력조정비율의 산출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2에서는 외기온도에 의거하는 HP능력조정비율을 특정한다. 도 3은 외기온도와 HP능력조정비율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외기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HP 열원 유닛(40)에서의 소음은 더 커지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정음모드에서는, 외기온도가 낮을수록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을 저감시켜서, HP 열원 유닛(40)에서의 소음 발생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기온도에 대응하여 HP능력조정비율을 다음과 같이 특정한다.
20℃≤외기온도 : HP능력조정비율 = -5%
10℃≤외기온도<20℃ : HP능력조정비율 = -10%
0℃≤외기온도<10℃ : HP능력조정비율 = -15%
외기온도<0℃ : HP능력조정비율 = -20%
스텝 S4에서는 현재시각에 의거하는 HP능력조정비율을 특정한다. 도 4는 현재시각과 HP능력조정비율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침이나 저녁이 낮에 비해서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야간에는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한층 더 커지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정음모드에서는, 아침이나 저녁에는 낮보다도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키고, 야간에는 한층 더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을 저감시켜서, HP 열원 유닛(40)에서의 소음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한다.
스텝 S6에서는 필요열량과 축열량에 의거하는 HP능력조정비율을 특정한다. 필요열량에 대해서 충분한 축열량이 저탕 탱크(21)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서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을 크게 저감하더라도, 버너(54)에 의해서 공급되는 열량에는 그다지 변화가 없다. 그러나, 필요열량에 대해서 충분한 축열량이 저탕 탱크(2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을 크고 저감하면, 그만큼 버너(54)에 의해서 공급되는 열량이 증대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필요열량에 대해서 축열량이 큰 경우는 축열량에 의거하는 HP능력조정비율을 0%로 하고, 필요열량에 대해서 축열량이 작은 경우는 축열량에 의거하는 HP능력조정비율을 +5%로 한다. 필요열량은, 예를 들면 과거의 열량 사용실적에 의거하여 현재시각에서부터 1시간 후까지의 사이에 필요하게 되는 열량을 추정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저탕 탱크(21)의 축열량은, 예를 들면 상부 서미스터(39a), 중간부 서미스터(39b) 및 하부 서미스터(39c)의 검출온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스텝 S8에서는 스텝 S2, 스텝 S4 및 스텝 S6에서 특정한 HP능력조정비율을 합산하여 최종적인 HP능력조정비율을 결정한다. 급탕 난방 시스템(10)이 정음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안, HP 열원 유닛(40)은 요구되는 가열능력에 대해서 스텝 S8에서 결정된 HP능력조정비율에 의한 조정을 실시한 가열능력으로 가동한다.
또한,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의 조정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탕 탱크(21)와 HP 열원 유닛(40)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온수의 유량을 유지한 채로{즉, 순환 펌프(37)의 회전수를 유지한 채로} 목표로 하는 비등 온도{즉, 출구측 서미스터(49a)에 의해서 검출되는, HP 열원 유닛(40)에서 저탕 탱크(21)로 보내는 온수의 온도}를 통상보다도 저하시킴으로써,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을 저감할 수 있다. 혹은, 목표로 하는 비등 온도를 유지한 채로, 저탕 탱크(21)와 HP 열원 유닛(40)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온수의 유량을 통상보다도 저하시킴으로써,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을 저감할 수 있다. 혹은, 목표로 하는 비등 온도를 저하시키고, 또한 저탕 탱크(21)와 HP 열원 유닛(40)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온수의 유량도 저하시킴으로써,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을 저감할 수 있다. 어느 방식에 의해서도 HP 열원 유닛(40)의 가열능력을 저감하여, 압축기(41)나 팬(45a)에 기인하는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급탕이나 목욕물 공급에 대해서는 저탕 탱크(21)의 축열과 버너(54)에 의한 가열에 의해서 필요한 열량을 공급하고, 난방이나 목욕물의 보조 가열에 대해서는 버너(69)에 의한 가열에 의해서 필요한 열량을 공급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것과는 달리, 예를 들면 난방 순환 경로(61)를 흐르는 물과 저탕 탱크(21)에 저장된 온수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저탕 탱크(21)의 축열을 난방이나 목욕물의 보조 가열에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저탕 탱크(21)에 저장되는 열매체로서 급탕이나 목욕물로 공급되는 수돗물(상수)을 사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것과는 달리, 예를 들면 저탕 탱크(21)에 저장되는 열매체로서 부동액을 사용하고, 급탕이나 목욕물로 공급되는 수돗물(상수)과 저탕 탱크(21)에 저장된 부동액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는 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저탕 탱크(21)의 축열을 급탕이나 목욕물에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 것이므로 특허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서 예시한 구체적인 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서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고, 출원시의 청구항 기재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고, 그 중의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가지는 것이다.
10 - 급탕 난방 시스템 11 - 컨트롤러
13 - 리모컨 20 - 저탕 유닛
21 - 저탕 탱크 22 - 급수 경로
22a - 수돗물 입구 23 - 감압밸브
24 - 혼합기 25 - 온수 경로
25a - 온수 제어밸브 25b - 온수 유량센서
25c - 온수 서미스터 26 - 혼합 급수 경로
26a - 급수 제어밸브 26b - 급수 유량센서
26c - 급수 서미스터 27 - 제 1 혼합 경로
27a - 혼합 서미스터 28 - 급탕 바이패스 경로
28a - 바이패스 제어밸브 29 - 제 1 급탕 경로
29a - 급탕 서미스터 31 - 배수 경로
32 - 배수밸브 33 - 순환 왕로(循環往路)
34 - 순환 복로(循環復路) 36 - 왕로 서미스터
37 - 순환 펌프 38 - 압력 개방 경로
38a - 릴리프 밸브 39a - 상부 서미스터
39b - 중간부 서미스터 39c - 하부 서미스터
40 - 히트 펌프 열원 유닛 41 - 압축기
42 - 사방밸브 43 - 제 1 열교환기
43a - 냉매 유로 43b - 순환수 유로
44 - 팽창밸브 45 - 제 2 열교환기
45a - 팬 45b - 외기온도 서미스터
46 - 냉매 배관 47 - 성에제거 경로
47a - 성에제거밸브 48 - 순환 왕로 접속 경로
48a - 입구측 서미스터 49 - 순환 복로 접속 경로
49a - 출구측 서미스터 50 - 가스 열원 유닛
51 - 급탕기 52 - 제 2 혼합 경로
52a - 入水(입수) 서미스터 52b - 급탕 수량센서
52c - 수량 서보 53 - 급탕 열교환기
54 - 버너 55 - 제 2 급탕 경로
56 - 부기체 서미스터 57 - 출탕 서미스터
58 - 열원기 바이패스 경로 59 - 열원기 바이패스 제어밸브
60 - 물보충 경로 60a - 보급수 전자밸브
61 - 난방 순환 경로 62 - 시스턴
63 - 제 1 난방 경로 63a - 난방 펌프
63b - 난방 저온 서미스터 63c - 제 1 난방 열교환기
64 - 제 2 난방 경로 65 - 제 3 난방 경로
65a - 난방 고온 서미스터 66 - 제 1 난방 복귀 경로
66c - 제 2 난방 열교환기 67 - 제 2 난방 복귀 경로
68 - 난방 바이패스 경로 68a - 난방 바이패스 제어밸브
69 - 버너 70 - 목욕물 공급 경로
70a - 목욕물 공급 밸브 70b - 목욕물 공급량 센서
71 - 목욕물 순환 경로 72 - 욕조
73 - 목욕물 순환 펌프 74 - 수류 스위치
75 - 목욕물 복로 서미스터 76 - 보조 가열 열교환기
76a - 제 1 유로 76b - 제 2 유로
77 - 목욕물 왕로 서미스터 78 - 보조 가열 경로
78a - 유량 제어밸브 80 - 급탕전

Claims (6)

  1. 자연 환경으로부터 흡열하여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트 펌프와,
    가열된 열매체를 저장하는 축열 탱크와,
    연료 가스의 연소에 의해서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조 열원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통상모드와 정음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정음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통상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비해서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키는 열기기에 있어서,
    상기 히트 펌프에서 축열 탱크로 보내지는 열매체의 목표 온도를 낮춤으로써, 히트 펌프의 가열능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음모드에 있어서, 외기온도에 의거하여 히트 펌프의 능력조정비율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음모드에 있어서, 현재시각에 의거하여 히트 펌프의 능력조정비율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음모드에 있어서, 필요열량과 축열량에 의거하여 히트 펌프의 능력조정비율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기.
KR1020130036879A 2012-04-20 2013-04-04 열기기 KR101436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96402A JP5597669B2 (ja) 2012-04-20 2012-04-20 熱機器
JPJP-P-2012-096402 2012-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772A KR20130118772A (ko) 2013-10-30
KR101436246B1 true KR101436246B1 (ko) 2014-08-29

Family

ID=4959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879A KR101436246B1 (ko) 2012-04-20 2013-04-04 열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97669B2 (ko)
KR (1) KR101436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2256A (ja) * 2014-02-17 2015-08-24 株式会社コロナ 貯湯式給湯装置
JP6320117B2 (ja) * 2014-03-28 2018-05-09 株式会社ガスター 熱源装置
WO2015171794A1 (en) 2014-05-07 2015-11-1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Building envelope and interior grading systems and methods
US10344997B2 (en) 2014-05-07 2019-07-0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Heat pump and air conditioning grading systems and methods
EP3546846B1 (en) * 2016-11-28 2021-03-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ater heater
JP6943800B2 (ja) * 2018-03-28 2021-10-06 株式会社コロナ 複合熱源ヒートポン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7093A (ja) * 2003-04-21 2004-11-11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ヒートポンプ給湯暖房装置
JP2009287794A (ja) * 2008-05-27 2009-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10169350A (ja) * 2009-01-26 2010-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20110103586A (ko) * 2010-03-15 2011-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이용한 급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6415A (ja) * 2003-03-25 2004-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JP5493550B2 (ja) * 2009-07-30 2014-05-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貯湯式給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7093A (ja) * 2003-04-21 2004-11-11 Toshiba Electric Appliance Co Ltd ヒートポンプ給湯暖房装置
JP2009287794A (ja) * 2008-05-27 2009-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10169350A (ja) * 2009-01-26 2010-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20110103586A (ko) * 2010-03-15 2011-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이용한 급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24767A (ja) 2013-10-31
KR20130118772A (ko) 2013-10-30
JP5597669B2 (ja)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246B1 (ko) 열기기
JP5073970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床暖房装置
JP4023139B2 (ja) ハイブリッド給湯装置
JP4893070B2 (ja) 戻り温水の回収方法および給湯システム
JP4979669B2 (ja) 貯湯式給湯システム
KR101436245B1 (ko) 급탕기
JP5309061B2 (ja) 給湯システム
KR101723419B1 (ko) 히트펌프 시스템
JP6376390B2 (ja) 貯湯給湯システム
JP5793450B2 (ja) ヒートポンプ熱源システム
JP6037640B2 (ja) 熱機器
JP2005180860A (ja) 貯湯式給湯装置
KR101475720B1 (ko) 난방장치
JP4712608B2 (ja) 貯湯式給湯システム
JP5277194B2 (ja) 給湯システム
JP2016191494A (ja) 熱機器
JP2003194404A (ja) フロー式水加熱装置
JP5470422B2 (ja) 熱機器
JP5899344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2002295899A (ja) 貯湯式の給湯熱源装置
JP2005249340A (ja) 給湯システム
KR101424404B1 (ko) 열기기
JP6320118B2 (ja) 熱源装置
JP4016006B2 (ja) 給湯システム
JP2008157591A (ja) 熱媒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