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937B1 -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937B1
KR101435937B1 KR1020130040804A KR20130040804A KR101435937B1 KR 101435937 B1 KR101435937 B1 KR 101435937B1 KR 1020130040804 A KR1020130040804 A KR 1020130040804A KR 20130040804 A KR20130040804 A KR 20130040804A KR 101435937 B1 KR101435937 B1 KR 101435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layer
schottky
cathode
barri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호영
이재길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72Schottky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7Schottky barrier electrodes
    • H01L29/475Schottky barrier electrodes on AIII-BV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턱전압이 낮은 질화물계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전이층; 상기 전이층 위에 형성된 GaN 버퍼층; 상기 GaN 버퍼층 위에 형성된 AlGaN 배리어층;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애노드와 캐소드; 및 상기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의 상부를 제외한 부분을 덮는 표면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는 상기 AlGaN 배리어층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이고, 상기 애노드는 상기 AlGaN 배리어층의 일부를 깎아낸 리세스에 삽입형성된 쇼트키전극부와 상기 AlGaN 배리어층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부가 서로 접촉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AlGaN 배리어층을 일부 식각한 리세스에 삽입형성되는 쇼트키전극부와 AlGaN 배리어층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부가 결합된 구성의 애노드를 구비함으로써, 리세스에 삽입형성된 쇼트키전극부가 문턱전압을 낮추면서도, 캐소드의 오믹전극과 애노드의 오믹전극부 사이의 전류 흐름에 의해서 높은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도 뛰어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1.5V의 순방향 전압에서의 전류 값이 일반적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비하여 2~3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SCHOTTKY BARRIER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문턱전압이 낮은 질화물계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Schottky barrier diode, SBD)는 쇼트키 장벽에 의한 정류작용을 이용한 정류소자로서, 낮은 전압 강하와 매우 빠른 스위칭 전환이 고속 동작에 적합하며, 마이크로파 수신 혼합기, 고속 논리용 다이오드 등에 사용된다.
GaN은 ~3.4eV 범위의 넓은 밴드갭과 ~3MV/cm 의 높은 임계 전기장 및 ~2000cm2/(V·S)의 높은 전자이동도를 갖는 뛰어난 특징을 나타낸다. 나아가 AlGaN과 GaN의 이종 접합 구조에서 나타나는 2차원 전자가스(2-Dimensional electron gas,2DEG)로 인하여, 빠른 스위칭 속도와 높은 항복특성을 갖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적합하다.
이러한 AlGaN/GaN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 가장 낮은 문턱전압을 나타낸 경우는 Chen 등에 의해서 연구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이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간격이 10㎛인 경우에 1.5V에서의 순방향 전류밀도가 ~70mA/mm를 나타내고 문턱전압이 0.2V로 낮지만, 390V의 항복전압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W. Chen, K.-Y. Wong, W. Huang, and K. J. Chen, "High-performance AlGaN/GaN lateral field-effect rectifiers compatible with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Appl. Phys. Lett., vol. 92, no. 25, pp. 253501-1-253501-3, Jun. 200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턱전압을 낮추면서도 항복전압이 저하되는 문제가 없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전이층; 상기 전이층 위에 형성된 GaN 버퍼층; 상기 GaN 버퍼층 위에 형성된 AlGaN 배리어층;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애노드와 캐소드; 및 상기 캐소드와 상기 애노드의 상부를 제외한 부분을 덮는 표면 패시베이션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는 상기 AlGaN 배리어층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이고, 상기 애노드는 상기 AlGaN 배리어층의 일부를 깎아낸 리세스에 삽입형성된 쇼트키전극부와 상기 AlGaN 배리어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부가 서로 접촉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AlGaN 배리어층을 일부 식각한 리세스에 삽입형성되는 쇼트키전극부와 AlGaN 배리어층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부가 결합된 구성의 애노드를 구비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리세스에 삽입형성된 쇼트키전극부가 게이트 역할을 하여 문턱전압을 낮추면서도, 캐소드의 오믹전극과 애노드의 오믹전극부 사이의 추가적인 전류 흐름에 의해서 동일 순방향 전압에서 더 높은 전류를 얻는다. 또한, 높은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도 뛰어난 성능을 유지한다.
이때, AlGaN 배리어층 위에 형성된 도핑되지 않은 GaN층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 쇼트키 배리어를 높여서 다이오드의 항복전압이 더 향상된다. 도핑되지 않은 GaN층이 추가로 형성된 경우에는, 애노드를 구성하는 오믹전극부 및 캐소드를 구성하는 오믹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도핑되지 않은 GaN층 위에 전극을 형성하고 열처리하여 AlGaN 배리어층에 오믹 접촉이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도핑되지 않은 GaN을 깍아낸 뒤에 AlGaN 배리어층에 직접 오믹 접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애노드는 쇼트키전극부가 캐소드에 가깝게 위치하고, 오믹전극부가 캐소드의 반대쪽에 위치하여야, 쇼트키전극부가 게이트 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애노드의 쇼트키전극부에는 리세스의 상부에서 캐소드 측으로 0.5㎛ ~ 3㎛ 돌출된 오버행을 형성하여 전계판 효과(field plate effect)를 통해서 항복전압을 높일 수 있으며, 순방향 전압이 높아지면 오버행을 통한 전류의 흐름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전류 특성이 향상된다.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의 간격은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을 변화시키며,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의 간격은 목표하고자 하는 항복전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쇼트키전극부가 삽입형성되는 리세스의 깊이와 폭은 순방향 문턱전압을 변화시키며, AlGaN 배리어층을 0.5nm ~ 5nm 남긴 깊이와 1㎛ ~ 5㎛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깊이로 리세스를 형성하여야, 식각된 AlGaN 배리어층의 두께가 충분히 얇아서 애노드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2DEG 채널을 완전히 공핍시켜서 애노드와 캐소드 오믹전극 사이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AlGaN 배리어층의 Al 몰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이오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모든 조성을 이용할 수 있다.
GaN 버퍼층과 AlGaN 배리어층 및 도핑되지 않은 GaN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이오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모든 범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GaN 버퍼층의 두께는 3㎛ ~ 4㎛ 범위이고, AlGaN 배리어층의 두께는 10nm ~ 30nm 범위이며, 도핑되지 않은 GaN층의 두께가 10Å ~ 100Å 범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기판 위에 전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이층 위에 GaN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GaN 버퍼층 위에 AlGaN 배리어층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AlGaN 배리어층에 서로 이격된 애노드와 캐소드 오믹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애노드 바로 옆 혹은 약간 이격된 옆부분의 AlGaN 배리어층을 일부 식각하여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세스 내부를 채우고 상기 애노드 오믹 전극부와 접촉하는 쇼트키전극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작된 소자의 표면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리세스를 형성한 뒤에 이에 접하거나 조금 이격된 오믹전극부를 먼저 형성하고, 리세스를 채우면서 오믹전극부의 측면과 상면에 접촉하는 쇼트키전극부를 형성하여, 리세스에 삽입형성된 쇼트키전극부와 AlGaN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부가 결합된 애노드를 구비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AlGaN 배리어층 위에 도핑되지 않은 GaN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다이오드의 항복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핑되지 않은 GaN층이 추가로 형성된 경우에는, 리세스 형성과정이 도핑되지 않은 GaN층을 관통해서 AlGaN 배리어층을 일부 식각하여 수행된다. 또한, 애노드의 오믹전극부 또는 캐소드의 오믹전극은 도핑되지 않은 GaN층 위에 전극을 형성하고 열처리하여 AlGaN 배리어층에 오믹 접촉이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도핑되지 않은 GaN을 깍아낸 뒤에 AlGaN 배리어층에 직접 오믹 접촉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애노드의 오믹전극부를 형성할 때에 캐소드의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쇼트키전극부가 게이트 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쇼트키전극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리세스의 상부에서 캐소드 측으로 돌출된 오버행을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 경우 오버행이 전계판 효과를 갖게되어 항복전압을 높일 수 있으며, 순방향 전압이 높아지면 오버행을 통한 전류의 흐름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전류 특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AlGaN 배리어층을 일부 식각한 리세스에 삽입형성되는 쇼트키전극부와 AlGaN 배리어층 혹은 GaN 층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부가 결합된 구성의 애노드를 구비함으로써, 리세스에 삽입형성된 쇼트키전극부가 순방향 문턱전압을 낮추면서도, 캐소드의 오믹전극과 애노드의 오믹전극부 사이의 전류 흐름에 의해서 동일 순방향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더 높은 전류를 얻는 효과가 있다.
특히, 1.5V의 순방향 전압에서의 전류 값이 일반적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비하여 2~3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리세스 영역을 나타내는 주사형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종래의 리세스형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다이오드에 대한 순방향 정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에 대하여 애노드와 캐소드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순방향 정류 특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에 대하여 애노드와 캐소드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항복 특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회로 기호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111)방향의 p-형 실리콘 기판(100) 위에, 전이층(200), 3~4㎛ 두께의 GaN 버퍼층(300), 200Å 두께를 갖는 Al0.25Ga0.75N 조성의 AlGaN 배리어층(400) 및 12.5Å 두께의 도핑되지 않은 GaN층(50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적층 구조를 갖는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구성하기 위하여, 메사 분리(mesa isolation)된 에픽텍셜 구조에 LAC만큼 서로 이격된 애노드(600)와 캐소드(700)가 형성된다.
캐소드(700)는 도핑되지 않은 GaN층(500)을 관통하여 AlGaN 배리어층(400)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71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애노드(600)는 도핑되지 않은 GaN층(500)을 관통하여 AlGaN 배리어층(400)까지 일부 깎아낸 리세스 영역에 형성된 게이트형 쇼트키전극부(610)와 도핑되지 않은 GaN층(500)을 관통하여 AlGaN 배리어층(400)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부(620)가 결합된 형태이다.
먼저, 리세스 영역은 캐소드(700)측에 3㎛의 폭으로 형성되며, AlGaN 배리어층(400)이 약 50Å 남을 때까지 식각하여 형성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리세스 영역을 나타내는 주사형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AlGaN 배리어층(400)이 4.89nm 두께로 남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믹전극부(620)는 리세스 영역의 바로 옆에, 캐소드(700)의 반대쪽 방향으로 위치하며, 도핑되지 않은 GaN층(500)을 관통하여 AlGaN 배리어층(400)에 오믹 접촉된다.
쇼트키전극부(610)는 리세스 영역 내부와 오믹접촉부(620)의 주변을 둘러싸고 위치하며, 리세스 영역의 끝부분에서 캐소드(700)쪽으로 2㎛ 돌출된 오버행(overhang)(615)을 형성한다.
그리고 280nm 두께의 SiO2를 증착하여 표면 패시베이션층(800)을 형성한다.
메사 분리와 리세스 영역의 형성에는 Cl2/BCl2 기반의 고주파 유도 플라즈마 반응성 이온 식각(ICP RIE, inductively coupled plasma reactive ion etching) 공정을 적용하였다.
캐소드(700)를 구성하는 오믹전극(710)과 애노드(600)를 구성하는 오믹전극부(620)를 형성하기 위한 금속 스택은 Si, Ti, Al, Mo, 및 Au를 5nm, 20nm, 60nm, 35nm 및 50nm의 두께로 구성하였으며, 질소분위기에서 830도씨의 온도로 30초간 어닐링하였다. 금속 스택의 전환 접점(transfer contact)은 ~0.6Ω·mm 이고, 시트 저항(sheet resistance)은 약 430Ω/□ 이다.
애노드(600)를 구성하는 쇼트키전극부(610)는 Ni와 Au를 20nm와 300nm의 두께로 순차 적층하여 구성하였다.
표면 패시베이션층(800)은 ICP 화학 기상 증착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비교예로서, 종래의 리세스형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와 일반적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작하였다.
도 3은 종래의 리세스형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리세스형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이하, 비교예 1)는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지며, LAC만큼 서로 이격된 애노드(600)와 캐소드(700)가 형성된다.
비교예 1은, 애노드(600)가 도핑되지 않은 GaN층(500)을 관통하여 AlGaN 배리어층(400)까지 일부 깎아낸 리세스 영역에 형성된 쇼트키전극(630)만으로 구성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구성과 제조 공정도 상기한 실시예와 대응되는 범위에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일반적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이하, 비교예 2)는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와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지며, LAC만큼 서로 이격된 애노드(600)와 캐소드(700)가 형성된다.
비교예 2는, 애노드(600)가 도핑되지 않은 GaN층(500)의 위에 형성된 쇼트키전극(640)만으로 구성되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구성과 제조 공정도 상기한 실시예와 대응되는 범위에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류-전압 특성은 HP 4155 장비를 통해서 측정하였고, 항복특성은 Tektronix 370A 커브 트레이서(curve tracer)와 Keithley 2410 장비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정류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애노드(600)와 캐소드(700)사이의 간격(LAC)을 8㎛로 고정하고,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다이오드의 순방향 정류특성을 측정하였다.
도 5는 본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다이오드에 대한 순방향 정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리세스를 형성한 실시예와 비교예 1의 다이오드는 통상의 구조인 비교예 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순방향 문턱전압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은 순방향 전압이 3V인 경우에 비교예 2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순방향 전압이 높아질수록 전류-전압 특성 그래프의 기울기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작은 경우에는 리세스가 형성된 쇼트키 영역에 의해서 전류가 흐르며 그에 따른 특징을 나타내지만, 리세스가 형성되지 않은 쇼트키 영역에서 전류가 흐를 수 있을 만큼 순방향 바이어스가 커지면 리세스가 형성되지 않은 쇼트키 지역에서의 전자흐름이 지배적이 되면서 리세스가 형성된 쇼트키전극에 의한 특징은 사라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다이오드는 순방향 전압이 높아져도 비교예들에 비해서 뛰어난 특성을 보인다.
이로부터,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리세스를 형성하지 않은 통상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비하여 순방향 문턱전압이 낮은 특징을 가짐과 동시에, 단순히 리세스를 형성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비하여 전압 상승에 따른 성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에 대하여 애노드와 캐소드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순방향 정류 특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간격(LAC)을 5㎛, 8㎛, 13㎛ 및 15㎛로 조절하면서, 순방향 정류 특성을 측정한 결과, LAC가 작을수록 기울기가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모든 간격에 대하여 비교예 1에서 관찰된 기울기 저하를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하여, 애노드와 캐소드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전기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32331369-pat00001
표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다이오드는 비교예 2 뿐만 아니라 비교예 1에 비해서도 순방향 문턱전압(Vth)이 작아졌지만, 항복전압(VBD)은 비교예들과 비슷하여 항복전압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이오드는 1.5V에서의 순방향 전류밀도(IF)가 가장 높았으며, 누설전류(IR)의 저하도 관찰되지 않았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오드에 대하여 애노드와 캐소드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항복 특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력현상은 바이어스 티(bias tee)의 용량에 기인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회로 기호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와 상시불통형 FET가 결합된 구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전류는 FET 부분에 흐르는 전류(IFET)와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부분에 흐르는 전류(ISchottky)의 합으로 나타나며,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전압(VAC)은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순방향 문턱전압(Vth.Schottky)과 상시불통형 FET의 문턱전압(Vth.FET)과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한다.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전압에 따른 동작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의 전압이 0인 경우(VAC=0)를 나타낸다. 이때는 쇼트키전극부(610)의 아래쪽에 어둡게 표현된 공핍영역이 형성되어, 점선으로 표시된 채널이 닫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못한다. 이러한 상태는 리세스가 형성된 상시불통형 HEMT(고 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 high-electron-mobility transistor)의 경우와 유사한 상태이다.
도 10은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린 경우(VAC<0)를 나타낸다. 이때는 역방향 바이어스에 의해서 쇼트키전극부(610)의 아래쪽에 어둡게 표현된 공핍영역이 더 넓어져 역방향 전류가 흐르기 어려우므로, 종래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비하여 항복 전압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1은 애노드가 캐소드 사이에 낮은 순방향 바이어스 걸린 경우,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상시불통형 FET의 문턱전압보다는 크고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문턱전압보다는 작은 경우(Vth.FET < VAC < Vth.Schottky)를 나타낸다. 순방향 바이어스에 의해서 쇼트키전극부(610) 밑에 위치하던 채널의 공핍영역이 사라지기 때문에, 캐소드(700)에서 애노드(600)의 오믹접촉부(620)로 쉽게 전자가 이동한다. 이는 리세스 영역에 위치하는 쇼트키전극부(610)가 게이트 전극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턱전압은 리세스 영역의 깊이에 좌우되지만, 일반적인 AlGaN/GaN 이종접합 구조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수십 분의 1 볼트를 나타낸다.
도 12는 애노드가 캐소드 사이에 높은 순방향 바이어스 걸린 경우,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문턱전압보다는 큰 경우(Vth.Schottky < VAC)를 나타낸다. 도시된 것과 같이, 순방향 전류는 쇼트키전극(610)과 오믹접촉부(620)를 모두를 통해서 흐르며, 캐소드(700)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쇼트키전극(610)의 오버행을 통해서도 전류가 흐른다.
이때, 오믹전극(710)에서 오믹접촉부(620)로 흐르는 순방향 전류로 인하여 순방향 전류의 양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이트 역할을 하는 리세스 영역에 형성된 쇼트키전극과 오믹 접촉된 오믹접촉부로 구성된 애노드를 구비한 본 실시예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문턱전압을 낮추면서도 항복전압의 저하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1.5V의 순방향 전압에서의 전류 값은 일반적인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비교예 2)에 비하여 2~3배를 나타내어 전기적 특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판 200: 전이층
300: GaN 버퍼층 400: AlGaN 배리어층
500: 도핑되지 않은 GaN층 600: 애노드
610: 쇼트키전극부 615: 오버행
620: 오믹전극부 630, 640: 쇼트키전극
700: 캐소드 710: 오믹전극
800: 표면 패시베이션층

Claims (15)

  1. 기판(100);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전이층(200);
    상기 전이층 위에 형성된 GaN 버퍼층(300);
    상기 GaN 버퍼층 위에 형성된 AlGaN 배리어층(400);
    상기 AlGaN 배리어층 위에 형성된 도핑되지 않은 GaN층(500);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애노드(600)와 캐소드(700); 및
    상기 캐소드(700)와 상기 애노드(600)의 상부를 제외한 부분을 덮는 표면 패시베이션층(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700)는, 상기 AlGaN 배리어층(400)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710)이고,
    상기 애노드(600)는 상기 AlGaN 배리어층(400)에 오믹 접촉된 오믹전극부(620)와 상기 AlGaN 배리어층(400)을 수직으로 깎아낸 리세스에 삽입된 쇼트키전극부(6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쇼트키전극부(610)는 상기 리세스의 수직면이 연장된 면에서 상기 오믹전극부(620)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쇼트키전극부(610)는 상기 오믹전극부(620)가 상기 캐소드(700)를 바라보는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쇼트키전극부(610)가 상기 리세스의 상부에서 상기 캐소드(70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오버행(6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615)의 돌출된 폭이, 0.5㎛ ~ 3㎛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쇼트키전극부(610)가 삽입형성되는 리세스가 상기 AlGaN 배리어층(400)을 0.5nm ~ 5nm 남긴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쇼트키전극부(610)가 삽입형성되는 리세스의 폭이 1㎛ ~ 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lGaN 배리어층(400)의 Al의 조성이 15% ~ 3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lGaN 배리어층(400)의 두께가 10nm ~ 30n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핑되지 않은 GaN층(500)의 두께가 5Å ~ 100Å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40804A 2013-04-15 2013-04-15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43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804A KR101435937B1 (ko) 2013-04-15 2013-04-15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804A KR101435937B1 (ko) 2013-04-15 2013-04-15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937B1 true KR101435937B1 (ko) 2014-11-03

Family

ID=5228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804A KR101435937B1 (ko) 2013-04-15 2013-04-15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9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2938A (zh) * 2015-05-07 2015-09-30 电子科技大学 一种氮化镓异质结mis栅控功率二极管及其制造方法
KR20160077936A (ko) * 2014-12-24 2016-07-04 한국전력공사 다이오드 내장형 반도체 소자
KR20170000423A (ko) * 2015-06-23 2017-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8962976A (zh) * 2018-06-29 2018-12-07 捷捷半导体有限公司 基于纳米沟道阵列的薄势垒GaN SBD器件及其制备方法
CN113964207A (zh) * 2021-08-30 2022-01-21 瑶芯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SiC肖特基功率二极管及其制备方法
KR20230065612A (ko) 2021-11-05 2023-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베타산화갈륨 기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N113964207B (zh) * 2021-08-30 2024-05-24 瑶芯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SiC肖特基功率二极管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002A (ko) * 2004-01-23 2006-10-23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Ⅲ-질화물 전류 제어 디바이스와 그 제조방법
JP2008108870A (ja) * 2006-10-25 2008-05-08 Sharp Corp 整流器
KR101027138B1 (ko) * 2009-12-24 2011-04-05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 패시배이션을 적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2169389A (ja) * 2011-02-14 2012-09-06 New Japan Radio Co Ltd 窒化物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002A (ko) * 2004-01-23 2006-10-23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Ⅲ-질화물 전류 제어 디바이스와 그 제조방법
JP2008108870A (ja) * 2006-10-25 2008-05-08 Sharp Corp 整流器
KR101027138B1 (ko) * 2009-12-24 2011-04-05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 패시배이션을 적용한 질화물계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2169389A (ja) * 2011-02-14 2012-09-06 New Japan Radio Co Ltd 窒化物半導体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936A (ko) * 2014-12-24 2016-07-04 한국전력공사 다이오드 내장형 반도체 소자
KR102241012B1 (ko) * 2014-12-24 2021-04-19 한국전력공사 다이오드 내장형 반도체 소자
CN104952938A (zh) * 2015-05-07 2015-09-30 电子科技大学 一种氮化镓异质结mis栅控功率二极管及其制造方法
KR20170000423A (ko) * 2015-06-23 2017-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8931B1 (ko) * 2015-06-23 2018-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8962976A (zh) * 2018-06-29 2018-12-07 捷捷半导体有限公司 基于纳米沟道阵列的薄势垒GaN SBD器件及其制备方法
CN113964207A (zh) * 2021-08-30 2022-01-21 瑶芯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SiC肖特基功率二极管及其制备方法
CN113964207B (zh) * 2021-08-30 2024-05-24 瑶芯微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SiC肖特基功率二极管及其制备方法
KR20230065612A (ko) 2021-11-05 2023-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베타산화갈륨 기반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것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9116B (zh) 具有al1-xsixo閘極絕緣體的增強型iii族氮化物元件
US9490324B2 (en) N-polar III-nitride transistors
US9941399B2 (en) Enhancement mode III-N HEMTs
US10388744B2 (e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US9620599B2 (en) GaN-based semiconductor transistor
US9406792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GaN-based layer
CN109216447B (zh) 半导体元件
CN102598275B (zh) 具有场板的半导体器件
EP2722890B1 (en) Schottky diode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9184275B2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integrated hole collectors
US20110227132A1 (en) Field-effect transistor
JP2017521869A (ja) エンハンスメントモードiii族窒化物デバイスの形成
KR101435937B1 (ko)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JP6649208B2 (ja) 半導体装置
JP6244557B2 (ja) 窒化物半導体デバイス
US10868163B2 (en) Semiconductor device
US20200295171A1 (en) Semiconductor device
US1102471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20220093747A1 (en) Semiconductor device
WO2023191776A1 (en) N-polar iii-nitride device structures with a p-type layer
CN116053305A (zh) 一种具有双层异质结构的混合阳极GaN整流芯片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