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872B1 -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872B1
KR101435872B1 KR1020120130500A KR20120130500A KR101435872B1 KR 101435872 B1 KR101435872 B1 KR 101435872B1 KR 1020120130500 A KR1020120130500 A KR 1020120130500A KR 20120130500 A KR20120130500 A KR 20120130500A KR 101435872 B1 KR101435872 B1 KR 101435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antioxidant
increased
ginseng seed
se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8284A (ko
Inventor
김경탁
이영철
김성수
홍희도
조장원
노정해
최상윤
김동만
이명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0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8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숙한 인삼종자 추출물은 인삼종자의 총 페놀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효소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95 내지 130? 범위 내에서 증숙 온도가 증가할수록 인삼종자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and anti-aging comprising Ginseng seeds extract}
본 발명은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예로부터 대표적인 생약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인삼의 성분은 탄수화물(60~70%), 함질소화합물(12~16%), 사포닌(3~6%), 지용성성분(1~2%), 회분(4~6%), 비타민(0.05%)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인삼의 생리 활성은 최근 체계적인 약리학적 접근으로 자양 강장 효과, 성기능 및 생식기능 부전 개선 효과, 항고혈압 및 항동맥경화 효과, 조혈기능 하인 및 빈혈치료 효과, 혈당 대사 및 당뇨병 개선 효과, 항암효과, 간장기능 부전 개선 효과, 숙취해소 효과, 기생충 감염 방지 효과, 진통 소염 작용 등이 있다. 홍삼은 수삼을 증숙, 건조 및 정형하여 제조하며, 이러한 가공처리 중 열처리에 의해 사포닌과 아미노산 변화, 갈변반응, 전분 호화 등 다양한 화학적인 변화를 수반하여 수삼 및 백삼보다 약리효과가 증가한다. 홍삼뿐만 아니라 팽화, 발효, 고온 고압 처리에 따른 성분 변화와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보고가 있었고, 가열 처리에 따른 다양한 인삼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 와서 잎이나 꽃 열매에도 인삼뿌리와 비슷한 유효성분이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발효에 의한 인삼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보고되었다. 한편 인삼종자의 경우에는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되었고 인삼종자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인삼종자 성분함량에 대한 연구와 인삼종자 오일에 관련된 연구로 전무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백삼 및 홍삼을 주로 이용한 항산화 활성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증숙에 따른 이화학적인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로 인삼종자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삼종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인삼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고, 증숙 온도 95 내지 130℃에서 인삼종자 추출한 경우에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삼종자 추출물은 인삼종자를 95 내지 130℃에서 증숙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95℃ 이하 또는 130℃ 이상에서 인삼종자를 증숙한 경우에는 본원발명과 같은 라디칼 소거능,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관측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삼종자 추출물은 라디칼 소거능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인삼종자의 총 페놀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젤, 에센스 및 팩 화장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과립, 분말 또는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증숙"이란 열 처리를 통하여 쪄서 익히는 과정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산화"란 대사 과정을 통해 생성된 활성 산소가 축적되면 조직세포의 노화, 퇴행성 질환 등이 유발되는데 이러한 활성 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화장수"는 일반적으로 피부를 청결하고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투명 액상의 화장료이다. 화장수의 기본 기능은 피부의 각질층에 수분이나 보습 성분을 보급하는 것이며, 화장수는 피부를 유연하게 하는 기능 등도 있다. 화장수에는 물에 녹기 어려운 물질을 용해시키고 안정시켜 외관을 투명상태로 한 것, 마이크로에멀젼이나 리피드나노스피어를 이용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것, 수%의 유분을 O/W형(오일인워터형), W/O형 또는 W/S형으로 유화한 불투명 화장수, 및 수용성 고분자를 배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화장수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 예를 들어 이하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즉, 화장수에는 이온 교환수 등, 수용성 성분을 용해하여, 각질층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정제수; 에탄올, 프로파놀 등, 유용성 성분을 용해하고, 살균하여, 청량감을 주기 위한 알코올; 글리세린, PEG, 히알론산 등, 각질층의 보습을 위한 보습제; 에스테르유, 식물유 등, 보습성이나 사용감의 향상을 위한 에모리엔트제(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는 기름 성분);폴리옥시에틸렌오레일알코올 에테르 등, 원료 성분을 가용화하기 위한 가용화제; 구연산, 유산, 아미노산류 등, 제품의 pH를 조정하기 위한 완충제; 바니린, 오렌지플래이버, 레몬플래이버, 밀크후레이버게라니올,리나롤 등 향을 부가하기 위한 향료; 메틸파라벤, 페녹시 에탄올 등의 미생물을 억제하여,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방부제; 착색하기 위한 착색제; 금속 이온 봉쇄제, 자외선 흡수제 등, 퇴색이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퇴색 방지제; 및 수렴제, 살균제, 활력제, 소염제, 또는 미백제 등의 약제가, 2종 이상 혼합되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화장수의 전체량을 100 중량%로 했을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0.00 ~ 20 중량%, 또는 0.01 ~ 10 중량%, 또는 0.1 ~ 3 중량% 정도 포함할 수 있다.
"유액"은 화장수와 크림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유동성이 있는 에멀젼이다. 유액은 주로 피부의 모이스처 밸런스, 보습성 및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피부에 수분, 보습제 및 유분 등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되는 화장료이다. 유액에 포함되는 성분은 후술의 크림에 포함되는 성분과 유사하지만, 유액은 유동성이 있으므로, 크림에 비해 고형 유분이나 납류의 양이 적다. 유액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예를 들어, 1 ~ 20 중량%, 또는 1 ~ 10 중량%, 또는 1 ~ 5 중량% 정도 포함할 수 있다.
"크림"은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의 한쪽을 분산상으로서, 다른쪽 분산매에 안정적인 상태로 분산시킨 에멀젼의 일종이다. 본 발명의 트리트먼트 방법에서는 공지의 "크림"을, 그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크림으로는 피부의 보습이나 유연을 위한 에모리엔트 크림, 혈행을 촉진하기 위한 맛사지 크림, 피부의 세정을 위한 클렌징 크림, 탈모를 위한 헤어 리무버, 냄새제거를 위한 데오도란트 크림, 및 각질 연화를 위한 각질연화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크림에는 예를 들면 아래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즉, 크림에 포함되는 수상성분으로는 이온 교환수 등의 정제수; 에탄올, 프로파놀 등, 유용성 성분을 용해하고 살균하여, 청량감을 주기 위한 알코올; 글리세린, PEG,히알론산 등, 각질층의 보습을 위한 보습제; 및 퀸스시드, 펙틴,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의 점액질을 들 수 있다. 크림에 포함되는 유상성분으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바셀린, 고형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 올리브유, 아몬드유, 카카오지방, 피마자유 등의 유지; 밀납, 라놀린, 호호바유 등의 납;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팔미틴산 등의 지방산, 세타놀,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IPM, 글리세린트리에스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및 폴리실록산류 등의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크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양은 그 종류나 용도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 공지의 것을 적절히 이용하면 된다. 크림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1 ~ 100 중량%, 또는 1 ~ 20 중량%, 1 ~ 10 중량%, 또는 5 ~10 중량% 정도 포함할 수 있다. 젤은 겔 또는 졸 등 외관 상태가 균일하고 투명에서부터 반투명의 화장료이다. 피부에 수분을 보급하고, 보습하기 위한 수성젤, 피부의 보습을 유지하고, 유분을 보급하기 위한 유성 젤, 혈행을 촉진하기 위한 맛사지 용수성 젤 및 세정용의 젤 등을 들 수 있다. 젤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한 겔화제를 이용해 제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겔상의 맛사지 오일을 이용해도 된다.
"미용액(엣센스)"은 기본적으로는 상기의 화장수, 유액 및 크림과 같은 성분이며, 유제, 가용화제, 보습제, 물 및 그 외의 약제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리트먼트 방법에서의 공지의 미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미용액에 포함되는 유제로는 올리브유, 동백유, 참기름, 해바라기유, 스위트아몬드유, 호호바유 등의 천연식물유;카프린산, 미리스틴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등의 지방산의 디글리세린 에스테르 또는 트리글리세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제는 주로 에모리엔트제로서 기능한다. 미용액에 포함되는 가용화제로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및 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 글리세린,디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多價)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가용화제는 글리세린 또는 디글리세린을 사용하는 것과, 맛사지에 있어서 온열 효과를 높이므로 바람직하다. 미용액에 포함되는 물로는 증류수, 및 탈이온수를 들 수 있다. 기타 약제로는 살균제, 방부제, 비타민류,식물로부터의 천연 엑기스, 색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미용액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양은 공지 성분량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용액 전체량을 100 중량%로 했을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1 ~ 20 중량%, 또는 1 ~ 10 중량%, 또는 1 ~ 5 중량% 정도 포함하면 된다. 또한, 유제 65 ~ 90 중량%,가용화제 1 ~ 10 중량%, 보습제 1 ~ 30 중량%, 기타 약제 0 ~ 10 중량% 정도, 및 나머지는 물을 들 수 있다. 미용액은 공지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면 된다.
"팩 화장료"는 피부의 보습, 혈행 촉진, 청정을 목적으로, 대상 부위에 도포하는 것이다. 팩 화장료에는 일반적으로, 젤리상, 페이스트상, 분말상, 크림상 액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안면에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시킨 후 박리하는 것이나,도포 후에 닦아내는 것, 도포 후 씻어내는 것 등이 있다. 분말상의 것은 사용시에 물 등에 균일하게 녹이던지 현탁해서 사용한다. 또한, 아이마스크 등의 형상의 부직포나 콜라겐 시트에 화장료를 함침시킨 팩화장료나 상기 부직포 등을 사용시에 화장료에 침지해 이용하는 팩 화장료 등이어도 된다. 팩 화장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1 ~ 20 중량%, 또는 1 ~ 10 중량%, 또는 1 ~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 3 중량% 정도 포함하면 된다. 기타 조성은 팩 화장료에 이용되는 공지 조성으로 하면 되고, 공지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에 제한받지 않고, 상기의 화장료는 각각이 통상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목적으로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의 경우는 식품 중량의 0.0001 내지 100 중량% 또는 80중량% 이하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에는 100ml를 기준으로 0.0001 내지 10g 또는 5.0g 이하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성분으로서 상기 분획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 20 g, 또는 약 5 ~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100 중량부당 0 ~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숙한 인삼종자 추출물은 인삼종자의 총 페놀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효소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95 내지 130℃ 범위 내에서 증숙 온도가 증가할수록 인삼종자 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증숙 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인삼종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증숙 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인삼종자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증숙 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인삼종자 추출물의 FRAP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증숙 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인삼 종자의 SOD 유사 활성 측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삼종자 추출물의 제조
인삼종자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시료 100g을 고온고압처리장치(Red Ginseng High Temperature Reactor, Mega Science,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열처리 하였다. 인삼의 증숙 조건은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홍삼 증숙 조건으로 115?에서 30분(1 처리구), 115?에서 60분(2 처리구), 130?에서 90분(3 처리구), 130?에서 120분(4 처리구), 95?에서 180분(5 처리구)으로 다양한 시간과 온도 조건으로 열처리 하였다. 4년근 인삼종자 건고 시료(구안산업(주), 2011) 2 g에 80% MeOH 50 mL을 가한 후 분쇄하고 열탕중에서 환류냉각장치를 부착시켜 가용성 성분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2)상에서 여과하여 감압 농축시키고 DMSO 30 mL로 녹인 후 0.45 ㎛ 막 필터로 여과하여 실험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고,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증숙온도에 따른 효과 비교를 위하여 85℃에서 180분(6 처리구), 140℃에서 120분(7 처리구) 동안 열처리하여 인삼종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인삼종자 추출물의 색도 측정
색도는 표준백판(L=92.68, a=0.81, b=0.86)으로 보정된 Spectrocolormeter (Color QUEST Ⅱ, Hunter)를 사용하여 L(Lightness, 명도), a(Redness,적색도), b(Yellowness,황색도)를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색차(?E=v(?L)2+(?a)2+(?b)2)를 산출하였다.
인삼종자의 분말 상태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의 경우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가 48.26, 115℃에서 30분, 6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각각 43.77, 42.19의 값을 나타냈고, 130℃에서 90분, 12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각각 29.2, 28.77를 나타냈으며 95℃에서 18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46.36을 나타내었다. 이로부터,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서 온도와 시간을 증가함에 따라 밝기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색도인 a값에서는 대조구가 6.21, 115℃에서 6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6.89, 130℃에서 12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10.01를 나타내어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적색도가 뚜렷하게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황색도인 b값의 경우 대조구는 23.98, 95℃에서 18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23.49, 115℃에서 30분, 6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각각 23.24, 23.12를 나타내었고, 130℃에서 90분, 12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각각 18.04, 16.27를 나타내었다. 대조구보다 황색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삼을 증숙함에 따라 아미노카르보닐 반응 때문에 멜라노이딘계 색소의 갈변현상이 나타나고, 인삼종자 역시 증숙하는 동안에 갈변현상에 따른 색도 변화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처리구 Hunter color values
L a b
대조군 48.26±0.58e 6.21±0.22a 23.98±0.53d
1 43.77±0.83c 6.69±0.37b 23.24±052c
2 42.19±0.41b 6.89±0.26bc 23.12±0.53c
3 29.20±0.83a 8.56±0.32d 18.04±0.77b
4 28.77±0.24a 10.01±0.36e 16.27±0.47a
5 46.36±0.14d 7.27±0.15c 23.49±0.02d
인삼종자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의 측정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폐놀계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Folin-Denis법에 따라 비색정량 하였다. 열처리 조건별로 처리된 인삼종자 추출물 100㎕에 D.W 5mL을 혼합하여 folin 시약 1mL을 혼합한 후 20% Na2CO3 용액 1.5mL를 가하여 혼합하여 실온에서 2시간 정치한 후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폐놀계 화합물의 양은 갈산을 표준물질로 하여 표기하였다.
증숙한 인삼종자의 총 페놀 함량 측정 결과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과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총 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구의 경우 총 페놀 함량이 0.31이었으며 95℃에서 18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 추출물은 0.33%를 나타내었고, 115℃에서 30분, 6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 추출물은 각각 0.38, 0.39를 나타내었으며 130℃에서 90분, 12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 추출물은 각각 0.88%, 1.02%로 대조구보다 약 3배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처리구 총 페놀 함량(%)
대조군 0.31±0.00
1 0.38±0.04
2 0.39±0.04
3 0.88±0.02
4 1.02±0.04
5 0.33±0.03
6 (85℃에서 180분) 0.30±0.02
7 (140℃에서 120분) 0.28±0.01
인삼종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DPPH는 화합물 내 질소 중심의 라디칼의 안정화된 물질로, 반응 중 DPPH의 감소로 자유 라디칼의 소거반응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지질과산화의 초기반응의 억제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DPPH는 517nm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내고 환원되면 517nm에서 흡수가 없어지므로, DPPH의 환원정도는 환원제의 환원력에 달려있다. DPPH(1, 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은 Blois(1958)의 방법에 따라 변형하여 시험하였다. 에탄올 2.8 ml에 각각의 농도로 DMSO에 희석한 각각의 인삼종자 추출물을 0.4 ml 첨가하고 에탄올에 녹인 4 x 10-4M DPPH 용액을 0.8 ml 가하고 10초간 vortexing하였다. 이것을 10분간 상온에 방치하여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 첨가구와 음성 대조군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양성 대조군은 Vit. C로 하였다.
증숙 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인삼종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성대조구인 vitamin C가 100ppm과 1000ppm 각각 농도에서 93.21%와 95.07%의 높은 활성을 보여 실험구가 비교구에 비해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증숙하지 않은 무처리구 보다 증숙 처리한 인삼종자 추출물의 활성도가 높았다. 또한 증숙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작용을 나타냈고, 특히 130℃에서 증숙한 인삼종자의 경우 1000ppm 농도에서 양성대조군인 vitamin C와 비교하였을 때 비슷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증숙 처리함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총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던 130℃의 온도에서 12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 페놀성 화합물의 환원력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증가를 추측할 수 있었다. 이는 전자공여능과 총 페놀함량이 같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삼종자 추출물 100ppm 농도 처리한 경우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처리구 DPPH 라디칼 소거능
대조군 8.46±0.34
1 13.35±2.42
2 17.71±0.19
3 25.62±1.47
4 31.53±2.46
5 10.67±0.70
6 (85℃에서 180분) 10.95±1.59
7 (140℃에서 120분) 9.17±1.43
인삼종자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Pellegrini(1998)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0.1M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에 2.5mM ABTS(2,2'-azio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Wako. Ltd)와 1.0mM AAPH(2.2'-Aza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olide, Wako. Ltd)를 혼합하여 68℃, 암소에서 12분간 반응시키고 재빨리 냉각시켜 ABTS+ 용액을 만들었다. 각각의 농도에 녹인 인삼종자 추출물 20 ㎕에 ABTS+ 용액 980 ㎕을 가하여 37℃ 워터 바스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Vit C.를 사용하였으며 시료 첨가구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ABTS법은 과황화칼륨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 이 시료 중의 항산화성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라디칼 특유의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Li H, Choi YM). DPPH법은 자유라디칼을 소거하는 반면 ABTS는 양이온 라디칼을 소거하는 점에서 ABTS법에 의한 항산화력 측정법은 DPPG법과 차이가 나며 두 기질과 반응물과의 결합 정도가 달라지므로 라디칼 제거능력에서도 차이가 나게 된다(Li H, Choi YM ,Jeong JW). 증숙 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인삼종자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결과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추출물 100ppm 농도의 경우 무처리구의 경우 29.8%, 95℃에서 3시간 증숙 시 54.01, 115℃에서 30분간 증숙 시 56.95%, 115℃에서 60분간 증숙 시 61.84, 130℃에서 90분간 증숙 시 84.18%, 130℃에서 120분간 증숙 시 91.08%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한편, 1000ppm 농도의 경우, 무처리구와 증숙한 실험구는 근소한 차이를 나타냈고, 증숙 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무처리구 보다 증숙 온도가 높아질수록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인삼종자 추출물 100ppm 농도 처리한 경우의 ABTS 라디칼 소거능
처리구 ABTS 라디칼 소거능(%)
대조군 29.8±0.54
1 56.95±0.55
2 61.84±1.07
3 84.18±2.00
4 91.08±1.82
5 54.01±1.05
6 (85℃에서 180분) 49.67±0.61
7 (140℃에서 120분) 50.91±0.95
인삼종자 추출물의 FRAP 측정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는 Benzie and Strain(1999)방법을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저장 용액은 0.3M 아세트산나트륨 완충액(pH 3.6)과 40mM HCl에 10mM TPTZ 용액과 20mM FeCl3·H2O 용액을 용해한 후 실험에 사용하기 직전 신선한 작업 용액(25 mL 아세테이트 완충액 +2.5 mL TPTZ 용액 +2.5 mL FeCl3·H2O 용액)을 제조하여 사용 직전에 37℃에서 가열해서 사용하였다. 추출물 300 ㎕에 FRAP solution 2,700 ㎕를 가한 후 암소에서 30분 방치 후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RAP 방법은 측정하려는 시료나 추출물의 화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환원제에 의해 Fe3 +를 Fe2 + 형태로 환원시키는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Hassas-Roudsari M et al 2009). FRAP의 측정 결과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ppm 농도의 경우 무처리구가 0.33, 95℃에서 18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0.53, 115℃에서 30분, 6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각각 0.55, 0.56의 흡광도를 나타내었고, 130℃에서 90분, 120분 동안 증숙한 인삼종자는 각각 0.91, 1.12의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FRAP도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동일하게 무처리구보다 처리한 실험구의 흡광도가 높았고, 증숙 시간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광도의 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삼종자 추출물 100ppm 농도 처리한 경우의 FRAP값
처리구 흡광도
대조군 0.331±0.01
1 0.553±0.02
2 0.564±0.02
3 0.910±0.03
4 1.120±0.09
5 0.532±0.01
6 (85℃에서 180분) 0.525±0.02
7 (140℃에서 120분) 0.487±0.02
인삼종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소활성 측정
활성산소(O2) 제거와 관련된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SOD-assay kit-WST(Dogindo Lab)를 이용하여 반응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Vit. C를 이용하였다.
SOD는 과산화물음이온 라디칼, 수산기, 과산화기, 일산화질소 라디칼 등의 자유 라디칼과 일중항산소, 오존 및 과산화수소 등이 활성 산소에 의하여 기능적 장애를 야기하는 과산화물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증숙 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인삼 종자의 SOD 유사 활성 측정값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삼종자 추출물 무처리구는 100ppm, 500ppm, 1000ppm의 농도에서 각각 3.71, 14.98, 23.10%로 나타났고, 130℃에서 120분간 증숙한 인삼종자 추출물 경우 100ppm, 500ppm, 1000ppm의 농도에서 각각 24.78, 54.38, 68.94%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SOD 활성을 나타내었다. 무처리구보다 실험구의 SOD 활성도가 높았으며 증숙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뚜렷하게 SOD 활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인삼종자 추출물 100ppm 농도 처리한 경우의 SOD 활성
처리구 흡광도
대조군 3.71±0.07
1 7.71±0.02
2 13.52±2.19
3 20.27±1.33
4 24.78±1.29
5 9.72±0.73
6 (85℃에서 180분) 8.39±2.10
7 (140℃에서 120분) 5.49±1.05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인삼종자를 95℃ 내지 130℃에서 증숙한 인삼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종자 추출물은 라디칼 소거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종자 추출물은 인삼종자의 총 페놀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종자 추출물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젤, 에센스 및 팩 화장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7. 인삼종자를 95℃ 내지 130℃에서 증숙한 인삼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종자 추출물은 라디칼 소거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종자 추출물은 인삼종자의 총 페놀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종자 추출물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 정제, 과립,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증가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20130500A 2012-11-16 2012-11-16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5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00A KR101435872B1 (ko) 2012-11-16 2012-11-16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00A KR101435872B1 (ko) 2012-11-16 2012-11-16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284A KR20140068284A (ko) 2014-06-09
KR101435872B1 true KR101435872B1 (ko) 2014-09-02

Family

ID=5112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500A KR101435872B1 (ko) 2012-11-16 2012-11-16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8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941B1 (ko) * 2018-08-13 2024-04-11 (주)아모레퍼시픽 신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091937B1 (ko) * 2018-09-21 2020-03-20 (재)남해마늘연구소 유채 오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오일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0801A (ko) * 2008-06-16 2009-12-2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1522881A (ja) * 2008-06-13 2011-08-04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人参の花または人参の種子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10092971A (ko) * 2010-02-11 2011-08-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2881A (ja) * 2008-06-13 2011-08-04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人参の花または人参の種子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20090130801A (ko) * 2008-06-16 2009-12-24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92971A (ko) * 2010-02-11 2011-08-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284A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739B1 (ko)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2012111727A (ja) 細胞賦活剤
US2017019679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glycine gracilis oil
KR101435872B1 (ko)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72974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12137919A (zh) 一类基于竹荪蛋提取物的美容外用品或可食用产品及应用
KR101477073B1 (ko) 인삼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57752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00580B1 (ko) 뱅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639B1 (ko) 해방풍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66694B1 (ko) 인삼종자 추출물의 수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17013691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Marnewick Antioxidant properties of Rooibos (Aspalathus linearis)–in vitro and in vivo evidence
KR102573379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US1002231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herbal medicine processed by an oriental herbal medicine processing
KR102444462B1 (ko)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101940052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6114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