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242B1 - 간염치료용 실리비닌 성분 - Google Patents

간염치료용 실리비닌 성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242B1
KR101435242B1 KR1020107011714A KR20107011714A KR101435242B1 KR 101435242 B1 KR101435242 B1 KR 101435242B1 KR 1020107011714 A KR1020107011714 A KR 1020107011714A KR 20107011714 A KR20107011714 A KR 20107011714A KR 101435242 B1 KR101435242 B1 KR 101435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hepatitis
ribavirin
medicamen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981A (ko
Inventor
루시오 클라우디오 로바티
마시모 마리아 디마토
울리히 멩스
랄프-토르스텐 폴
피터 페렌시
Original Assignee
마다우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다우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다우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9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간염, 바람직하기는 B형 간염 또는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한, 특히 바이러스 하중의 감소를 위한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적합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실리비닌 성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약제는 바람직하기는 실리디아닌 및/또는 실리크리스틴 및/또는 이소실리비닌을 함유하지 않는다.

Description

간염치료용 실리비닌 성분{SILIBININ COMPONENT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간염, 바람직하기는 B형 간염 또는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한, 특히 바이러스 하중 감소를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실리비닌 성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는, 약제는 비경구 투여에 알맞다.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성분은 실리비닌 에스테르이다.
실리비닌 {3,5,7-트리히드록시-2-(3-(3-히드록시-4-메톡시-페닐)-2-(히드록시메틸)-2,3-디히드로벤조[b][1,4]-디옥신-6-일)크로만-4-온; 또는 Ph. Eur.에 따른, (2R,3R)-3,5,7-트리히드록시-2-[(2R,3R)-3-(4-히드록시-3-메톡시페닐)-2-(히드록시메틸)-2,3-디히드록-1,4-벤조-디옥신-6-일]-2,3-디히드로-4H-1-벤조피란-4-온}은 실리마린의 주요 성분이고 큰엉겅퀴(milk thistle)로부터 추출된 주요 플라보노이드이다 (실리범 마리아넘 가이르트네리).
실리비닌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01
부분입체이성질체 실리비닌 A 및 실리비닌 B은 문헌에서 구별된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02
실리비닌은 (실리빈 A와 실리빈 B의 50:50 혼합물인) 실리마린의 주요 성분이다. 더욱이, 구성성분들은 이소실리비닌 (이소실리빈 A 및 이소실리빈 B), 실리디아닌, 실리크리스틴, 이소실리크리스틴, 탁시폴린 및 기타를 포함한다. 실리비딘을 단리하는 방법은 선행기술 (예를 들면, US 4,871 ,763)에 공지되어 있다.
실리비닌 및 실리마린은 조사되고 상세히 기재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N-C Kim et al., Org. Biomol. Chem. 2003, 1, 1684-9; DYW Lee et al., J. Nat. Prod. 2003, 66, 1171-4; DJ Kroll et al., Integrative Cancer Therapies, 2007, 6, 110-9; Z Wen et al., DMD Fast Forward, doi:10.1124/dmd.107.017566; 및 US 4,871,763과 같은 참고문헌들이 제작되었다.
실리범 마리아넘은 거의 2천년 동안 약제 식물로서의 역사를 갖고 있다. 실리마린, 큰엉겅퀴의 씨앗 추출물은 간염, 간경변을 포함하여 다양한 간과 담낭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그리고 야생 버섯, 알콜, 화학품 및 환경적 독성으로부터의 중독에 대한 간보호제로서 사용되는 고대 약초 치료제이다. 실리마린의 작용기작은 다양하다. 1970년대 수행된 최대 규모의 무작위 대조 시험은 실리마린으로의 장기간 치료가 간경변 환자에게서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P Ferenci et al., J Hepatol 1989, 9, 105-13).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 질환 치료용 약제의 역할은 논쟁의 여지가 남아있다 (S Verma et al.,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2007, 5, 408-16; F Rainone, Am Fam Phys 2005, 72(7), 1285-8). 이러한 불확실성의 일부는 그것의 약제동력학 및 최적 투여요법에 대한 제한된 데이타에 기인한다. 실리마린은 수용성이 불량하고 경구 제제는 제한된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실리비닌의 약제학적 적용은 또한 알려져 있다. 실리비닌은 강한 항산화 특성 (A Pietrangelo et al., Gastroenterology 1995, 109, 1941-49; Ml Lucena et al., Int J Clin Pharmacol Ther 2002, 40, 2-8; 및 L Mira et al., Biochem Pharmacol 1994, 48, 753-9 참조) 및 항섬유화 특성 (G Boigk et al., Hepatology 1987, 26, 643-9; 및 C Dehmlow et al., Hepatology 1996, 23, 749-54 참조)을 갖고 이것은 실리비닌이 만성 간질환의 치료에 강력한 유용 약제이도록 한다. 순수한 물질 실리비닌은 예를 들면 데스 캡(아마니틴, 팔로이딘)에 의해 중독된 간의 경우 추가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기 위해 정맥 내 투여된다 (KHruby et al., Hum Toxicol 1983, 2, 138-195 참조). 버섯 중독에서의 효과는 리보솜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키고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는 핵소체 폴리머라제 A의 자극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된다 (J Sonnenbichler et al., Prog Clin Biol Res. 1986, 213, 319-31). 임상 시험은 또한 특정 유형의 암의 예방 및 치료에서의 성공을 나타낸다 (L Varghese et al. Clin Cancer Res 2005, 11(23), 8441-7; K Letschert et al., Toxicological Sciences 2006, 91, 140-9).
실리비닌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독일연방공화국에서 상품명 Legalon® SIL으로서 주입용액으로 시판된다.
바이러스성 간염은 간에 영향을 미치고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간염을 말한다. 이것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공중 보건 이슈이다. 바이러스성 간염은 높은 치사율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의료 자원에 스트레스를 주고 심각한 경제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든 바이러스성 간염 사례들의 대부분은 예방할 수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은 5개의 뚜렷한 질병의 실체를 포함하고, 이것은 적어도 5개의 다른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다. A형 간염 및 B형 간염 (각각 전염성 간염 및 혈청 간염)은 별개의 질병이고 둘 다 특정 혈청 검사에 의해 진단될 수 있다. C형 및 E형 간염은 제3의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각각 별개의 유형으로, C형 간염은 비경구적으로 전염되고, E형 간염은 경구적으로 전염된다. D형 간염 또는 델타 간염은 B형 간염 감염에 의존하는 또 다른 별개의 바이러스이다. 이 형태의 간염은 B형 간염 보유자에게 수퍼-감염으로 또는 급성 B형 간염 감염된 개인에게서 동시-감염으로 발생될 수 있다.
C형 간염은 인간에게서 전염성 질환이고, 이것은 C형 간염 바이러스 (HCV)에 의해 일어난다. HCV 감염은 그 과정 중에 심각한 간 손상, 예를 들면 간실질의 염증, 간의 섬유화, 간경화 및 간암을 일으킬 수 있다. 간염된 환자의 80% 이상에서, HCV 감염은 만성이 된다. HCV의 감염은 주로 혈액을 통해 비경구적으로 일어난다.
전세계적으로 일억칠천만 명이 C형 간염 바이러스 (HCV)에 감염된 것으로 평가된다. 감염된 환자들은 간경변의 전개 및/또는 간세포성 암종이 최종 발생할 때까지, 수년간 자각 증상이 없을 수 있다. 미국에서 간 이식의 대략 40-50%는 HCV 감염을 근거로 한다. HCV의 6개의 유전자형이 동정되었고 (HCV1-HCV6), 이것은 그들의 지리적 확산 및 의학적 치료에 대한 반응에서 다르다.
HCV 단백질은 산화 스트레스 및 Ca2 + 신호화에 의한 STAT-3 활성 (K Koike et al., Hepatol Res 2006; 34: 65-73; G Waris et al., J Virol 2005, 79, 1569-80) 뿐 아니라 지질 과산화 산물 및 항산화 유전자 발현(M Okuda et al., Gastroenterology 2002, 122, 366-375)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세포 내에서 산화 및 환원 잠재력의 균형(세포 산화환원 상태)은 손상된 IFN-알파 신호화(D Di Bona et al., J Hepatol. 2006, 45, 271-9)를 포함하는 신호 변환 경로에서 심오한 결과를 가져온다(YM Janssen et al., Am J Physiol 1997, 273:789-96).
HCV 감염은 ICD10 (WHO, Version 2007)에 따라 급성 (B17.1) 및 만성 C형 간염 (B18.2)으로 나뉜다.
HCV는 급성 또는 만성 간염의 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질병의 만성 경로는 매우 다양하고 변이성이 높은 것 같다. 그로므로 질병의 통상적 경로에 대하여 언급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HCV 감염은 본질적으로 광의의 임상 스펙트럼, 즉 변하기 쉬운 증상, 다양한 임상 사진 및 변하기 쉬운 간 및 간외 2차 질환으로 나타난다.
급성 간염 환자의 대략 20%에서, 간의 염증은 HCV 감염에 기원한다. 그러나, 급성 단계에서, C형 간염은 보통 무증상으로 진행되고 그러므로 사례의 대략 85%에서는 진단되지 않는다. 몇몇 사례에서, 추정 독감-유사 증상의 비특이 증상만이 일어난다. 보통, 염증은 급성 단계 동안 나타나지 않는다.
C형 간염은 급성 HCV 감염 환자의 약 85%에서 만성이 된다. 이러한 높은 만성화률은 HCV의 높은 바이러스 변이성의 결과인 것 같다; 즉, HCV의 막에 대해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높은 돌연변이 비율을 겪는다. 높은 바이러스 변이성 때문에, 그리고 특히, HCV의 항원성 에피토프의 높은 변이성 때문에, 돌연변이된 HCV는 인간 면역 시스템에 의한 인식에서부터 벗어난다. 환자의 약 25%에서 만성 간염의 결과로서, 간경변의 형성이 간암의 전개의 위험의 증가와 함께 일어난다 (예를 들면, J. H. Hoofnagle, Hepatology 1997, 26, Suppl. 1 , 15S-20S; M. I. Memon et al., Journal of Viral Hepatitis 2002, 9, 84-100; S. L. Tan et al.,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2002, 1, 867-81 참조).
HCV 감염된 환자는 일반적으로, 페길화된 인터페론-α2a 또는 인터페론-α2b 및 리바비린으로 구성된 의학 표준 병용 요법을 받는다. 유전자형 2 또는 3에 기인한 HCV 감염 (HCV2 또는 HCV3 감염)에서, 이 병용 요법이 24주 동안 수행된다. 유전자형 1 (HCV1) HCV1-양성 환자에 기인한 HCV 감염에서, 병용 요법은 48주 동안 수행된다. 그러나 HCV 감염 환자의 대다수는 발생하는 부작용 및/또는 비경구로 인한 낮은 순응도 및 긴 치료기간으로 인해 치료를 계속하지 않는다. 더욱이 HCV 1 감염된 환자의 약 50% 만이 긴 지속적인 치료 결과를 얻고, 즉 나머지는 반응을 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RET Smith,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2006, 5, 715 참조). C형 간염에 대한 페길화된 감염 더하기 리바비린 요법은 유전자형 1 환자의 대략 반에서 실패한다. 치료 실패는 무응답(바이러스 역가의 최소 감소) 또는 재발 (강력한 초기 반응 이후 요법 중 또는 요법 후 바이러스 역가의 회복)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다양한 패턴들은 숙주 유전적 특질, 면역 반응 및 바이러스성 유전자 특질의 차이를 포함하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MW Fried et al.,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2, 347, 975-82; HS Conjeevaram et al., Gastroenterology 2006, 131 , 470-7; MP Manns et al., Lancet 2001 , 358, 958-65; DB Strader et al., Hepatology 2004, 39, 114771 ; SJ Hadziyannis et al., Ann Intern Med, 2004, 140, 346-55 참조). 바이러스성 유전자 특질의 차이는 치료전-요법 차이 또는 요법에 의해 적용된 압박에 대한 반응으로의 바이러스 진화에 기인한 치료 중 생기는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HCV에 대한 항바이러스 요법을 목표로 하는 페그인터페론 더하기 리바비린으로의 현 표준 치료법의 최적화, 신규 면역 조절제 및 섬유화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치료법을 포함하는 많은 치료법이 개발중이다(R.E. Stauber et al., Drugs 2008, 68(10), 1347 참조).
지금까지, HCV에 대한 얻을 수 있는 백신은 없다. 약제 표준 요법은 매우 고가이고, HCV 감염의 대조군에서 겨우 약간의 성공을 나타내며 때때로 상당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S. L. Tan et al.,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2002, 1 , 867; R. Bartenschlager, ibid. 911).
바이러스성 간염, 특히 B형 및 C형 간염의 치료용 약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러스성 간염, 특정 B형 및 C형 간염의 치료에 약제를 이용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이것은 선행기술의 약제에 비해 장점을 갖는다. 약제는 가능하다면, 부작용이 없거나 또는 오직 약간만 있어야 하고 예를 들면, PEG 인터페론/리바비린으로 전통적 병용요법에 충분히 반응하지 않는 C형 간염 환자에게 효과적이어야 한다. 더욱이, 약제는 뚜렷한 항바이러스 특성들을 가져야 하고 그러므로 바이러스 하중을 영구적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본 목적은 출원 청구항의 실질적인 내용에 의해 달성된다.
실리비닌,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또는 유도체가 염증성, 바이러스성 간 질환, 특히 C형 간염의 치료에 적합하다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현재 C형 간염에 대한 표준 필법으로 제시되는, PEG 인터페론/리바비린과 같은 면역-조절/항바이러스 병용 요법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C형 간염 환자 (즉, 소위 "무응답자")에게서, 바이러스 하중의 상당한 감소를 실리비닌 성분의 투여에 의해, 바람직하기는 비경구 투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실리비닌 성분로의 예비-치료는 인터페론과 리바비린의 투여 후에 환자의 반응을 개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리마린의 투여에 의해, HCV 감염의 치료, 특히 HCV 감염의 억제에 대한 조사가 선행 기술에 기재되어 있다.(예를 들면, R. Sailer et al., Drugs 2001 , 61(14), 2035-63; K. E. Mayer et al., Journal of Viral Hapatitis, 2005, 12, 559-67; US 2005/0123628; S. J. Polyak et al., Gastroenterology 2007, 132, 1925-1936 참조).
R. Sailer et al.은, 비록 실리마린이 약제동력학적 관점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인된 사상의 염증성 및 세포독성 케스케이드를 억제하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고한다. 만성 활성 간염 환자 20명에게서 단기간 플라시보-대조 파일럿 연구에서 실리비닌-포스파티딜톨린 복합체의 경구 투여(IdBI 016, 실리비닌 240 mg 1일 2회)는 AST 수준의 전개는 다른 간 기능 시험에서는 중요한 차이가 없이, 실리비닌 군에서 상당히 감소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A. Vailati et al., Fitoterapia, Volume LXIV, No. 3, 1993; G. Buzzelli et al., Int. J. Clin. Pharmacol. Ther. Toxicol. 1993, 31, 456-60 참조).
K. E. Mayer et al.는 경구 실리마린 치료가 4개의 연구에서 기준선과 비교하여, 및 오직 하나의 연구에서 플라시보와 비교하여 혈청 트랜스아미나제의 감소를 가져왔다는 것을 기재한다. 그러나, 실리마린이 바이러스 하중에 영향을 미쳤다거나 또는 B형 간염 또는 C형 간염에서 간 조직구조를 개선했다는 증거는 없다 (M. L. Chavez, J. Herb. Pharmacother. 2001, 1(3), 79-90; L.B. Seeff et al., Hepatology, 2001 , 34(3), 595-603 참조). 저자들은 실리마린 화합물이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에게서 혈청 트랜스아미나제를 감소시키는 것 같지만, 바이러스 하중 또는 간 조직구조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
US2005/0123628는 특히 글리시리진, 시시산드라, 아스코르브산, L-글루타티온, 실리마린, 리포산, 및 D-알파 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및 경구 투여에 관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은 산화 스트레스 및 지질 과산화를 감소시키고, 만성 간 질환, 만성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및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치료에 유용하다고 언급된다. 수많은 연구는 실리마린이 아세트아미노펜, 에탄올, 사염화탄소, 및 D-갈락토사만을 포함하여, 폭 넓은 종류의 독성에 대해, 및 허혈성 부상, 방사능 및 철에 의한 독성에 대해 간장 보호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공개적이고 비-무작위의 하나의 임상시험 센터의 첫 20주 동안, 피실험자에게 1일 2회 총 1,000 mg의 글리시리진; 1일 3회 총 6,000mg의 아스코르브산; 1일 2회 총 300mg의 L-글루타티온; 1일 3회 총 750 mg의 큰엉겅퀴 추출물; 1일 2회 총 300mg의 리포산; 및 1일 1회 총 800 IU의 D-알파-토코페롤을 경구투여 하였다. 연구의 첫 10주 동안, 피실험자에게 어느 것도 실리마린을 함유하지 않는 4개의 다른 비경구 조성물을 주 1회 정맥 (iv) 주사하였다. 10주 후, 피실험자의 12.0%, 20주 후 피실험자의 24.0%는 1 log의 바이러스 하중 감소를 나타냈다. US2005/0123628에는 실리비닌은 말할 것도 없고, 실리마린이 바이러스 하중의 이러한 비교적 약간의 감소에 대해 책임이 있을 것이라는 암시가 없다.
S.J. Polyak et al.은 표준화된 실리마린 추출물 (MK-001)을 실리마린의 상업적 제제와 인비트로 비교한다. 두 제제 모두 사용된 세포 배양물 기재 모델내에서, 비록 상업적 제제의 효과는 MK-001만큼 강력하지 않지만,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언급된다. MK-001은 항-CD3 자극된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에서 종양 괴사 인자-알파의 발현 및 인간 간종양 세포 Huh7 세포에서 핵 인자 카파-B 의존 전사를 억제한다. 더욱이, MK-001 투여량은 독립적으로 JFH-1 바이러스에 의한 Huh 7 및 Huh 7.5.1의 감염을 억제한다. MK-001은 단리된 세포의 HCV 감염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고, 인터페론-α와 결합했을 때, 인터페론-α 단독보다 더 HCV 복제를 억제한다. MK-001의 항-HCV 작용을 실리마린의 상업적 제제와 비교하기 위해, Ultrathistle®(Natural Wellness, Montgomery NY) 및 Silybinin®(Indena SpA, Milano)을 또한 시험하였다. 그러나, MK-001는 Ultrathistle® 및 Silybinin®보다 더 강력한 바이러스 작용을 유도한다고 말하여진다. 저자들은 이들 인 비트로 시험으로부터, 항-HCV 활성이 고려되는 한, 표준화된 실리마린 추출물 MK-001은 두 시판 제품보다 뛰어나다는 결론을 얻었다. S.J. Polyak은 비-반응자의 치료는 말할 것도 없고 정제된 실리비닌의 비경구 투여에 관하여는 말하지 않는다. 추가로, Ployak et al.의 발견은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HCV에 대한 실리마린의 효과를 발견하지 않았다는 임상 연구와 상충한다 (MD Tanamly et al., Dig Liver Dis. 2004, 36, 752-9; E Gabbay et al., World J Gastroenterol. 2007, 13, 5317-23).
바람직하기는 순수한 실리비닌 성분의 투여, 특히 비경구 투여가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의 바이러스 하중을 인 비보 감소시킨다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실리비닌 성분은 바이러스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발견은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는 실리미란의 추가 구성성분없이 실리비닌의 투여량을 최적화하도록 한다.
실리비닌 성분의 비경구 투여에 의한 바이러스 하중의 감소는 특히 놀라운데, 임상 연구는 만성 C형 간염 환자에게서 HCV에 대한 실리마린의 효과를 발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M Torres et al., P R Health Sci J 2004, 23(2), 69-74; MDTanamly et al., Dig Liver Dis., 2004, 36:752-9; A Gordon at al., J Gastroenterol Hepatol. 2006, 21, 275-80; E Gabbay et al., World J Gastroenterol. 2007, 13, 5317-23; 및 LB Seeff et al., Hepatology, 2008, 80 (11), 1900-6).
M Torres et al.은 항바이러스 요법을 사용하지 않은 만성 C형 간염 진단된 21세 내지 65세의 환자들이 참여하도록 요청된 임상 시험에 관하여 보고한다. 34명의 환자를 무작위로 4주간 주 3회 S. 마리넘 160 mg을 경구투여하여 치료하거나 또는 비-치료(대조)하였다. 시험은 S. 마리넘이 항바이러스제로서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MD Tanamly et al.은 만성 C형 간염 환자 177명을 무작위로 경구 실리마린 또는 멀티비타민 보충물을 공급받도록 한 임상 시험에 관하여 보고한다. 시험은 실리마린의 권장 투여량이 C형 간염 바이러스 바이러스 혈증에 효과가 없음을 보고하였다.
A Gordon et al.은 24명의 만성 C형 간염 환자를 무작위, 이중 맹검, 플라시보-대조 교차 연구에 등록한 임상 시험에 관하여 보고한다. 환자들에게 12주 동안 S. 마리넘 (600 mg 또는 1200 mg/day) 및 플라시보를 투여하였다. 기준 생화학, 바이러스학, 심리학 및 삶의 질 시험을 수행하였다. 17명의 환자가 시험을 완수하였다. 시험은 HCV RNA 역가에서의 평균 변화는 플라시보에서의 것과 비교하여 S. 마리넘에게서 환자에게 중요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E. Gabbay et al.은 인터페론 치료에서 실패한 100명의 만성 HCV 감염 환자를 등록하고 무작위로 7개의 다른 항산화물을 투여하도록 할당하고 그 중 실리마린 캡슐 250 mg을 태그한 임상 시험에 관하여 보고한다. 일차 종료시점은 간 효소, HCV-RNA 수준 및 조직구조였다. 시험은 항산화 요법이 바이러스 하중에 대한 치료 효과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LB Seeff et al. 은 상급 만성 C형 간염 환자, 이전의 항바이러스 요법에 대한 비반응자이나 여전히 장기적 페길화된 인터페론 치료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를 포함하는, 간경변 (HALT0C)에 대한 C형 간염 장기 치료 시험에 관하여 보고한다. 실리마린에 대한 유리한 효과가 C형 간염 바이러스 (HCV) RNA 수준에 대해서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실리마린 사용자는 비사용자와 유사한 HCV 수준을 갖는다.
추가로, 실리비닌 성분의 투여, 특히 비경구 투여가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에 의한 전통적 치료를 지지한다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실리비닌 성분은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에 의한 전통적 치료에 대한 환자의 감수성을 (재)활성화하고 및/또는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에 의한 전통적 치료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강화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1: 실시예 1, 연구 1: 실리비닌 성분 10 mg/kg을 4시간에 걸쳐 주입하는 동안 및 주입 후의 산화 스트레스의 지표. (d-ROMs test = 활성 산소 대사체 유도물질, BAP test = 생물학적 항산화 포텐셜)
도 2: 실시예 1, 연구 1: 실리비닌 성분을 10 mg/kg/일로 정맥주사 전(1일) 및 후(7일)의 HCV-RNA (log IU/ml; mean±SD)
도 3: 실시예 1, 연구 1: 실리비닌 성분을 10 mg/kg/일로 7일간 정맥주사하고 페그인터페론 알파 2a (peginterferon alfa 2a)/ 리바비린 및 실리마린 140mg을 하루에 두번 병용 요법으로 투여시 HCV-RNA의 변화.
도 4: 실시예 1, 연구 2: 실리비닌 성분을 여러 농도로 14일간 정맥주사하고 페그인터페론 알파 2a/리바비린을 병용 요법으로 8일째부터 투여시 HCV-RNA의 변화.
도 5: 실시예 1, 연구 2: 실리비닌 성분 단일 요법으로 7일간 정맥주사 및 다양한 투여량의 페그인터페론 알파 2a/ 리바비린과 함께 실리비닌 성분의 7일간 정맥주사시 HCV-RNA의 평균 감소율(±SD)
도 6: 실시예 1, 연구 2: 15 또는 20 mg/kg/실리비닌/일 투여된 14명의 환자에서 실리비닌 (2주)의 정맥주사의 종료 후에 HCV-RNA의 변화. 페그인터페론 알파 2a/ 리바비린 병용 요법을 제8일에 시작하였고 280 mg 실리마린을 하루 3회 (TID) 제15일에 시작하였다.
도 7: 실시예 2, 개별 환자, 실리비닌 성분을 20 mg/kg/day 정맥 투여 후, 60주 동안 180㎍ 페그인터페론 알파 2a/리브비린과의 연속 병용요법 중 연속 14일을 포함하는 2회 투여 간격, 제 24주에 시작한 첫번째 정맥 투여 간격과 제35주에 시작한 두번째 투여 간격, 동안의 HCV-RNA의 변화.
도 8: 실시예 2, 개별 환자, 실리비닌 성분을 20 mg/kg/day 정맥 투여 후, 60주 동안 180㎍ 페그인터페론 알파 2a/리브비린과의 연속 병용요법 중 연속 14일을 포함하고 제 32주에 시작한 투여 간격 동안의 HCV-RNA의 변화.
도 9: 실시예 2, 개별 환자, 실리비닌 성분을 20 mg/kg/day 정맥 투여 후 80주 동안 180㎍ 페그인터페론 알파 2a/리브비린과의 연속 병용요법 중 연속 14일을 포함하고 제 72주에 시작한 투여 간격 동안의 HCV-RNA의 변화.
도 10은 리바비린 및/또는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와 실리비닌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의 공동-투여의 다양한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실리마린의 6개의 정제된 성분들에 대한 인-비트로 NS5B 억제 연구로부터 생성된 데이타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리비닌 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에 대한 인-비트로 NS5B 억제 연구로부터 생성된 데이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간염, 특별히 B형 간염 또는 C형 간염, 바람직하기는 만성 또는 급성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을 바람직하기는 비경구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바람직하기는 바이러스증억제성 또는 항바이러스성, 더욱 바람직하기는 바이러스 하중을 감소시키는 약제의 생산을 위한 실리비닌 성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를 위해, 용어 '약제(medicament)'는 용어 '의약(medicaion)'과 유사어로 정의되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간염, 바람직하기는 B형 또는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한, 실리디아닌 및/또는 실리크리스틴 및/또는 이소실리비닌을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은 약제의 제조를 위한 실리비닌 성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러스성 간염, 특별히 B형 또는 C형 간염의 치료는 바이러스 하중을 감소시킴에 의해 수행된다. 실리비닌 성분은 B형 또는 C형 간염 환자에서 바이러스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종래 기술분야에서 일정량의 실리비닌을 포함하는 혼합물인 실리마린이 B형 또는 C형 간염 에 있어 바이러스 하중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간조직을 개선한다는 증거가 없는 점에서 괄목할 만하다(K.E. Mayer et al., Journal of Viral Hepatitis, 2005, 12, 559- 67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바이러스성 간염, 특별히 B형 또는 C형 간염의 치료는 간 이식을 받았거나 또는 받을 예정인 환자에게서 수행된다.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인해 간 이식을 받은 환자들은 새로이 이식된 간에서 바이러스성 간염이 재발될 우려가 있다. 보통, 감염된 간이 수술을 통해 제거될 때 바이러스는 기관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기관에 남아 있는 잔여 바이러스들은 새로 이식된 간을 재감염시킨다. 만성 C형 간염에 감염된 환자에서 간 이식 후 재-감염은 100% 가까이 발생한다. 놀랍게도 실리비닌이 바이러스 하중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됨에 따라, 간 이식 후 재감염의 우려는 (바람직하기는 비경구를 통한) 실리비닌 성분의 투여를 통해 현저하게 낮아질 수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의 형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에 있어, 현재 적어도 6개의 다른 형태들이 확실하게 알려져 있다: A, B, C, D, E 및 G형 간염. 이러한 감염의 원인종은 헤파토트로픽 바이러스 (hepatotropic viruses)이다. 이들은 각 사례에서 다른 종(family)에 속하고 DNA 또는 RNA 게놈을 가졌다. 전염은 음식을 통해 또는 정액 및 혈액과 같은 체액의 교환에 의해 발생한다. 병의 중증도나 전파경로에 있어서 다양한 종들 간에 차이가 또한 관찰된다. A형 및 E형이 기본적으로 급성으로 발생하는 반면에, B형, C형, D형 간염은 어떤 사례에서는 중증 합병증을 동반하는 만성형으로 이행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용어 "바이러스성 간염"은 주로 B형 또는 C형 간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치료는 유전자형 HCV1, HCV2, HCV3, HCV4, HCV5 및 HCV6, 바람직하기는 HCV1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하중 농도를 감소시킴에 의해 수행된다.
만일 고려된 유전자형이 HCV1이면, 아형 1a, 1b, 1c, 1d, 1e, 1f, 1g, 1h, 1i, 1j, 1k 및 11이 선호된다. 만일 고려된 유전자형이 HCV2 이면 아형 2a, 2b, 2c, 2d, 2e, 2f, 2g, 2h, 2i, 2j, 2k, 21, 2m, 2n, 2o, 2p 및 2q가 선호된다. 만일 고려된 유전자형이 HCV3이면, 아형 3a, 3b, 3c, 3d, 3e, 3f, 3g, 3h, 3i, 3j 및 3k가 선호된다. 만일 고려된 유전자형이 HCV4이면 아형 4a, 4b, 4c, 4d, 4e, 4f, 4g, 4h, 4i, 4j, 4k, 41, 4m, 4n, 4o, 4p, 4q, 4r 및 4t가 선호된다. 만일 고려된 유전자형이 HCV5 이면 아형 5a가 선호된다. 만일 고려된 유전자형이 HCV6이면 아형 6a, 6b, 6c, 6d, 6e, 6f, 6g, 6h, 6i, 6j, 6k, 61, 6m, 6n, 6o, 6p 및 6q가 선호된다. C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 및 아형의 명명법에 대하여, 예를 들면 P. Simmonds et al., Hepatology, 42, 2005, 962-73을 참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리바비린/인터페론 요법 같은 전통적인 면역-조절/항바이러스 병용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 (무반응자) 및/또는 리바비린/인터페론 요법 같은 전통적인 면역-조절/항바이러스 병용요법에 부분적으로 반응하는 환자 (부분반응자) 및/또는 초기 반응은 급격하지만 치료 중 또는 후에 바이러스 역가가 회복되는 환자 (재발자)에게서 바이러스성 간염, 바람직하기는 C형 간염의 치료용의, 바람직하기는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적합된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실리비닌 성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비닌 성분에 의한 C형 바이러스 간염의 치료에 관한 것으로, 이 치료는 리바비린/인터페론에 의한 전통적 병용요법 이후에 일어난다.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성분의 투여에 의한 요법은 리바비린/인터페론 요법이 실패한 이후 (일정 치료기간의 초기 또는 이후)에 시작한다.
리바비린/인터페론의 투여에 의한 전통적 C형 간염 요법과 관련하여, 용어 "무반응자", "부분반응자" 및 "재발자"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최근,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해 페길화된 인터페론과 리바비린을 병용하는 요법은 유전자 1형 환자의 반정도가 실패한다. 무반응 (바이러스 역가 감소율이 최소) 또는 재발 (급격한 초기 반응 이후 치료 중 또는 후에 바이러스 역가가 회복)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 무반응자는 바람직하기는 리바비린/인터페론 (보통 페그인터페론α)을 바람직하기는 12주간 투여하였을 때 바이러스 하중의 감소가 2 log10 IU/ml(예를 들면 인자 100) 미만까지의 환자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무반응자는 바이러스 역가 감소율이 2.1 log10 IU/mL 이하이고 절대 역가가 4.62 log10 IU/mL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서, 부분반응자는 바람직하기는 24주째에 HCV RNA가 발견가능하고 12주째에 2log10IU/ml 이상의 바이러스 하중의 감소를 보이지 않는 환자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재발자는 바람직하기는 2.8 log10 이상의 바이러스 역가 감소를 갖고 절대 역가가 일시적으로 검출 한계 (2.78 log10 IU/mL) 아래로 떨어지는 환자로 한다.
설명을 위해, 용어 "약제"는 바람직하기는 "투여 형태(administered form)" 또는 "투여 단위(dose unit)"와 동의어이다. 만일, 예를 들면, 정제(tablet) 형태의 경구투여용 약제의 경우, 정제는 치료 과정에서 각 시간에 투여되는 실리비닌 성분의 양을 포함하는 투여 단위이다. 만일 투여 단위가 단일 정제를 포함하면, 투여 단위는 투여 형태에 상응한다. 그러나, 투여 단위가 다수의 투여 형태, 예를 들면 다수의 정제로 나누어질 수 있고, 이것은 각각의 경우는 단지 일부 투여량만을 함유하지만,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실리비닌 성분의 총량을 함유하고, 이것은 치료 과정에 있어 개별적인 투여시간을 위해 의도된다 (이러한 투여 단위의 정제들은 그 후 필수적으로 동시투여되도록 의도된다).
설명을 위해, 용어 "실리비닌 성분"은 모든 입체이성질체, 예를 들면 실리비닌 A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들의 염 및/또는 유도체, 특히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실리비닌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에스테르는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무기산; 또는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시트르산, 말산, 만델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다.
디카르복실산의 헤미에스테르, 예를 들면 말론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제란산, 세바스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헤미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암모늄의 염과 같이 유리산 또는 염으로 존재할 수 있는 디헤미숙신산염이다. 실리비니의 히드록실기 중 하나 이상은 에스테르화 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의 하나, 둘, 셋, 넷 또는 모든 히드록실기가 에스테르화 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실리비닌 성분은 실리비닌 C-2',3-비스(하이드로겐숙시네이트)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등뿐 아니라 그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하기는 디소듐염이다.
적합한 에스테르는 또한 글루콘산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성분은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03
여기서,
R1, R2, R3, R4 및 R5는 -H, -SO3H, -PO3H2, -CO-C1-C8-알킬렌-OH, -CO-C1-C8-알킬렌-CO2H, -CO-C1-C8- 알킬렌-SO3H, -CO-C1-C8-알킬렌-OPO3H2, -CO-C1-C8-알킬렌-PO3H2, -(C2-C3-알킬렌-O)n-H (여기서 n = 1 내지 20이다), -CO-C1-C8-알킬렌-N(C1-C3-알킬)3 +X- (여기서 X-는 약제학적으로 용인 가능한 음이온이다)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바람직하기는, R1, R2 및 R5는 -H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는, 일반식 (I)의 실리비닌 성분은 일반식 (I-A) 또는 (I-B)의 입체화학을 갖는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04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일반식 (I-A)의 화합물은 일반식 (I-B)의 화합물과 예를 들면 50±5 : 50±5과 같은 어떤 상대 질량비로 혼합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일반식 (I-A)의 화합물의 부분입체이성질체 과잉은 적어도 50% de,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75% de, 좀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90% de, 더더욱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95% de, 가장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98% 및 특별하게는 적어도 99% de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리비닌 성분은 WO 03/090741에 기술되었는데, 이것은 전체로서 참조된다.
바람직하기는, 실온의 순수한 물에서의 실리비닌 성분은 자체로서의 실리비닌보 다 용해도가 높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간염, 특별히 B형 또는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해, 바람직하기는 비경구 또는 경구로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실리비닌 에스테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는, 이 약제는 실리디아닌 및/또는 실리크리스틴 및/또는 이소실리비닌을 본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약제는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제형화된다. 비경구투여는, 예를 들면, 피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피내, 관절내, 척추강내, 심장내, 안구내, 구후, 폐강 및 골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별히 바람직하기는, 약제는 주사 또는 주입, 특히 정맥 또는 동맥 투여를 위해 제형화된다.
주사 또는 주입에 적합한 적절한 약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예를 들면, K. H. Bauer et al., Lehrbuch der Pharmazeutischen Technologie [Textbook of Pharmaceutical Technology], WVG Stuttgart 1999를 참조하라.
주사에 적합한 약제는 관례상 멸균용제, 유화제, 또는 현탁제이고, 이들은 활성 성분 및 임의로 추가의 부형제를 물에, 증명된다면 멸균시킬 필요가 없는 적절한 비수성 용액에, 또는 이들 비히클의 혼합물에 용해, 유화, 분산시켜 제조한다.
주입에 적합한 약제는 관례상 멸균, 수용액 또는 연속상으로서 물과의 유화제이다.
주사 또는 주입용 약제는 임의로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부형제는 바람직하기는 예를 들면, 레시틴 및 폴록사머 188과 같은 가용화제,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글루코스, 만니톨과 같은 등장액,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완충액과 같은 완충액,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소듐 메타하이드로겐설파이트, 소듐 설파이트 및 소듐 하이드로겐설파이트와 같은 항산화제, 예를 들면, 디소듐 에디테이트와 같은 킬레이트제, 예를 들면 파라-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벤질 알콜 및 클로로크레졸과 같은 보존제 및 예를 들면 레시틴, 지방 알콜, 스테롤,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자빙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알콜 에테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록사머와 같은 유화제이다.
특히 바람직한 약제는, 바람직하기는 디소듐염으로서의 실리비닌 C-2',3-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 및 부형제로서 이눌린을 포함하는 주입용액의 제조를 위한 산제이다. 주입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채택된 실리비닌 C-2',3-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 디소듐 염 598.5 mg 분말과 이눌린은 Legalon® SIL 상표로 독일에서 시판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이러한 제형과 생물학적으로 동등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약제는 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바람직하기는, 약제는 정제, 캡슐제, 당의정, 펠렛, 및 포(sachet)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경구 투여 형태이다.
실리비닌 성분을 경구 투여할 때, 경구 제형으로부터 실리비닌 성분의 생물학적 이용가능성이 충분히 높은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 점에서 제한 요인은 실리비닌의 명백한 소수성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간염, 바람직하기는 B형 간염 또는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해, 경구투여를 위해 제형화되고, 본질적으로 실리디아닌 및/또는 실리크리스틴 및/또는 이소실리비닌을 포함하지 않는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실리비닌 성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실리마린의 이러한 추가의 구성 성분들은 또한 (예를 들면,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생리학적 효과를 갖지만, 바이러스성 간염의 치료에 관하여, 실리비닌 (또는 그 유사체)은 가장 효과적이고, 특별히 바이러스 하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실리마린, 즉 실리비닌, 실리디아닌, 실리크리스틴, 이소실리비닌 및 기타 구성성분의 혼합물을 투여할 때, 실리마린의 전체량은 특정한 양의 실리비닌을 제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아야 한다. 예를 들면, 실리마린이 실리비닌 42 중량%를 포함할 때, 실리마린 125mg의 투여는 단지 실리비닌 52mg과 생리학적 효과 (그러나 원하는 효과가 아닌)를 갖는 추가의 화합물 약 73mg을 포함한다. 원하지 않는 부작용의 위험은 생리학적 활성 물질의 양과 함께 증가한다. 그러므로, 원하지 않는 부작용의 프로필까지 고려한다면, 실질적으로 순수한 실리비닌 52mg은 실리비닌 함량 42 중량%인 125mg의 실리마린보다 뛰어나다 (T. Ding et al., "Determination of active component in silymarin by RP-LA and LC/MS", J. Pharm. Biomed. Anal. 2001 , 26(1 ), 155-161 참조).
실리비닌, 실리디아닌, 실리크리스틴 및 이소실리비닌의 구조는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D.Y.-W. Lee et al., J. Nat. Prod. 2003, 66, 1171-4; N.-C. Kim et al., Org. Biomol. Chem., 2003, 1 , 1684-9 참조):
Figure 112010034243517-pct00005
Figure 112010034243517-pct00006
경구 투여에 적합한 투여형태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그 전체가 예를 들면, K. H. Bauer et al., Lehrbuch der Pharmazeutischen Technologie [Textbook of Pharmaceutical Technology], WVG Stuttgart 1999에서 참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 형태는 바람직하기는 정제, 산제, 펠렛제, 과립제, 당의정제, 시럽제, 쥬스제, 액제, 발포성 산제, 발포성 과립제, 발포성 정제, 동결건조제 및 캡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별히 바람직하기는, 경구 투여 형태는 정제, 당의정제, 과립제, 펠렛제, 산제이고, 특별하기는 정제이다.
경구 투여 제제에 적합한 부형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그 전체가 예를 들면, H. P. Fiedler, Lexikon der Hilfstoffe fur Pharmazie, Kosmetik und angrenzende Gebiete [Encyclopedia of excipients for pharmacy, cosmetics and related areas], Editio Cantor Aulendorf, 2001에서 참조될 수 있다.
정제는 예를 들면 실리비닌 성분을, 공지의 부형제, 예를 들면 탄산 칼슘, 인산 칼슘, 또는 락토오스 같은 불활성 희석제, 옥수수 전분 또는 알긴산과 같은 붕해제, 전분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탈크와 같은 윤활제 및/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같은 저장소(depot) 효과를 얻기 위한 시약과 함께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정제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비히클을 제외하고, 정제는 또한 예를 들면, 소듐 시트레이트, 탄산 칼슘, 인산칼슘과 같은 부형제를 전분, 바람직하기는 감자 전분, 젤라틴 등과 같은 다양한 추가 물질과 함께 함유할 수 있다. 더욱이, 타정을 위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탈크와 같은 활택제가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당의정은 정제와 유사하게 제조된 코어를, 예를 들면, 콜리돈 또는 쉘락 , 아라비아 검, 탈크, 이산화티탄 또는 설탕 같이 당의정 코팅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로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저장소 효과를 막기 위해 또는 불친화성을 막기 위해, 코어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의정제 코팅은 또한 저장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정제의 사례에서 언급한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쥬스제, 시럽제, 유화제, 현탁제 및 용액은 사카린, 시클라메이트, 글리세롤 또는 설탕과 같은 감미제 또는 맛 증강 물질, 예를 들면, 바닐린 또는 오렌지 추출물 같은 풍미제를 부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현탁 보조제 또는 소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점증제, 습윤제, 예를 들면 에틸렌 옥사이드를 가지는 지방 알콜들의 축합물, 또는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와 같은 보존제를 더욱 함유할 수 있다.
캡슐제는 예를 들면, 실리비닌 성분을 락토오스 또는 소르비톨 같은 비활성 담체와 혼합하고 그리고 젤라틴 캡슐에 캡슐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부형제는 예를 들면, 물, 파라핀 (예를 들면, 석유 분획물), 식물성유 (예를 들면, 땅콩기름 또는 참기름), 일가 또는 다가 알콜 (예를 들면, 에탄올 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용매, 예를 들면, 지상 천연 광물 (예를 들면, 카올린, 클레이, 탈크, 백악), 지상 합성 광물 (예를 들면, 고분산 규산 및 규산염), 당 (예를 들면, 슈크로스, 락토스 및 덱스트로스), 유화제 (예를 들면, 리그닌, 아황산 펄프폐액, 메틸셀룰로스, 전분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활택제 (예를 들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스테아르산 및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와 같은 비히클이다.
본 약제는 실리비닌 성분을 즉시 또는 제어된 형태로 방출할 수 있다. 만일 방출이 제어 형태로 일어난다면, 방출은 바람직하기는 지연 형태로 일어난다. 지연방출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성분이 지속적인 치료 활동의 목적으로 느린 속도로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방출되는 방출 프로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특별히 경구 투여의 사례에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연된 방출"이란 표현은 그 안에 함유된 실리비닌 성분의 수정된 방출을 보증하는 어느 약제를 포함한다. 약제는 방출속도나 방출 부위를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특이적 부형제를 사용하거나, 특정 과정을 따르거나, 두 가능성의 조합에 의해 생산된, 코팅된 또는 코팅되지 않은 투여 제형이다. 방출의 시간 추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사례에서 다음과 같은 형태가 포함된다: 지연 방출 (서방형), 반복작용 방출, 연장 방출 및 지속 방출. 더 상세하기는, 예를 들면, K. H. Bauer et al., Lehrbuch der Pharmazeutischen Technologie [Textbook of Pharmaceuticla Technology], 6th edition, WVG Stuttgart, 1999을 참조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의 제어된 방출에 대한 적절한 측정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만일 약제가 경구 투여 제형 예를 들면, 정제라면, 지연 방출은 예를 들면, 폴리머 기질에 실리비닌 성분을 임베드 하고 및/또는 경구 투여 제형을 막으로 필름 코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된 방출 습성을 갖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가 이용될 수 있다. 고체 약제는 예를 들면, 경구 삼투 시스템 (OROS), 코팅 정제, 매트릭스 정제, 다층 정제, 외피(jacketed) 정제, 외피 당의정, 확산 펠렛, 흡착제 및 저장 연질 젤라틴 캡슐제가 바람직하다. 활성 화합물이 제어 방출되는 경구 약제는 특히 바람직하기는 코팅 정제, 외피 정제 또는 패트릭스 정제이고, 특별히 바람직하기는 매트릭스 정제이다.
활성 화합물의 방출이 제어되는 약제는 용해, 분산 및/또는 고체, 무정형 또는 결정 형태의 실리비닌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의 방출이 제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제조를 위해, 실리비닌 성분은 여러 입자 크기, 예를 들면, 미분쇄, 분쇄 또는 마이크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의 방출이 제어되는 약제에서, 실리비닌 성분은 바람직하기는 활성 물질-함유 입자, 예를 들면, 펠렛, 과립제, 마이크로캡슐제, 정제, 압출제 또는 결정제의 형태로 존재하고, 이들은 확산-조절막으로 코팅된다.
이러한 확산-조절 약제는 바람직하기는 다입자정제이고, 즉, 이들은 예를 들면,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성분과 통상의 결합제 및 증점제의 혼합물이 임의로 통상의 부형제 및 비히클과 함께 적용되고, 그리고 이어서 확산 광택제, 가소제 및 다른 부형제로 코팅된, 예를 들면 중성 펠렛과 같은 다수의 코팅된 코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확산-조절 약제는 또한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균질의 코어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면, 선택적으로 구형화에 의한 과립화, 회전 과립화, 유동화 베드 응집, 타정, 습식 압출 또는 용융 압출에 의해 생산되고 그리고 가소제 및 기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는 확산 광택제로 코팅된다..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입자는 예를 들면, 산 또는 pH를 조절하여서 방출 매체의 pH에 대한 실리비닌 성분의 방출의 의존성을 감소시키는 완충 물질과 같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조절막은, 부형제들의 pH-의존성 용해도는 여러 pH에서 막의 투과도에 영향을 주고 그러므로 실리비닌 성분의 방출의 pH 의존성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므로,더 많은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코팅된 중성 펠렛의 제조에 사용되는 결합제 및 점증제는 바람직하기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HPMC)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PVP)이다. 한편, 다른 천연, 합성 또는 부분적으로 합성된 중합체,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스 (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HPC), 다른 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 및 히드록시알킬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그들의 염, 폴리아크릴산, 폴리ㅁ메크릴레이트, 젤라틴,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실리비닌 성분을 함유하는 펠렛, 입자 및 (미니)정제의 제조를 위해,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예를 들면, HMPC, HPC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L-HPC)와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디-칼슘 포스페이트, 락토스, PVP 및 슈크로스가 과립화, 유동화 베드 응집, 습윤 압출, 타정에 의해 바람직하기는 결합제 및 충전제로 이용된다.
용융 압출 펠렛은 실리비닌 성분을 열가소성 부형제에 임베드하여 생산된다. 적합한 열가소성 부형제는 바람직하기는 HPC, HPMC,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HPMCAS), PVP,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알콜 (PVA),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VA), 알긴산, 알기네이트, 갈락토만난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왁스, 지방 및 지방산 유도체이다.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입자에 예를 들면, 산, 염기 및 완충물질과 같은 pH-조절물질을 함께 넣을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첨가에 의해, 실리비닌 성분 및 그것의 염, 수화물, 용매 화합물의 방출의 pH 의존성을 현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코어에서의 pH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부형제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말산, L-아르기닌, 아스코르브산, 아스파르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숙신산, 시트르산, 에탄술폰산, 2- 하이드록시에탄술폰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글루타민산, 포타슘 하이드로겐타르트레이트, 말레산, 말론산, 메탄-술폰산, 톨루엔술폰산, 트로메타몰, 타르타르산이다. 바람직하기는, 시트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및 포타슘 하이드로겐타르트레이트가 사용된다.
확산 광택제의 제조를 위해, 바람직하기는 에틸-셀룰로스 (예를 들면, Aquacoat® 또는 Surelease®)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Eudragit® NE, Eudragit® RS 및 RL)가 적합하다. 그러나, 예를 들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와 같은 다른 물질도 필름-형성 확산 제어 중합체로서 역시 사용될 수 있다.
확산-조절 폴리머에 더하여, 확산 광택제는 또한 예를 들면, 셀룰로스 프탈레이트, 특별하게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셀룰로스 숙시네이트, 특히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Eudragit® L)같은 장용 폴리머와 같은 pH 의존 용해도를 가진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첨가에 의해, 실리비닌 성분의 방출의 pH 의존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되는 가소제는 예를 들면, 시트르산 유도체, 프탈산 유도체, 벤조산 및 벤조산 에스테르, 다른 방향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아세테이트, 글리세롤 디-아세테이트 또는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올, 지방산 및 그들의 유도체, 아세틸화된 지방산 글리세리드, 파마자기름 및 다른 천연 기름, 미글리올 및 지방산 알콜 등이다.
생산 중 및 완성품에서 코팅된 입자의 끈적임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에어로실과 같은 끈적임방지제(detackifier)를 광택제에 첨가될 수 있다.
방출속도는 광택제 조성 및 광택제 층의 두께에 의해 제어된다. 필름의 투과도를 증가시키는 부형제는 구멍(pore)-형성제로 이것은 광택제 또는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코팅될 입자에 첨가된다. 사용되는 구멍-형성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PVP, PVA1 HPMC, HP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HEC), 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그 염,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과 같은 가용성 중합체 또는 예를 들면 요소,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암모늄, 슈크로스, 락토스, 글루코스, 프룩토스, 말토스, 만니톨, 솔비톨, 자일리톨 및 락티톨 같은 기타 가용성 물질이다.
확산 필름의 구성성분이 될 수 있는, pH-의존 용해도를 가진 부형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 프탈레이트, 특히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셀룰로스 숙시네이트, 특히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Eudragit® L)과 같은 장용 폴리머이다.
이에 더하여, 실리비닌 성분의 방출 제어 약제는 막을 통한 액체의 침습시 강하게 팽창하여 부피 팽창 및 팽윤으로 인해 코팅을 붕해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팽윤제를 함유할 수 있다. 코팅 붕해의 결과로, 약제에서 약제학적 방출 (박동성 방출)이 가능하다. 팽윤제로서, 이들 약제는 바람직하기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크로스포비돈, 가교형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가교형 소듐 카르복시메틸 전분,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저-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L-HPC)를 포함한다. 적합한 코팅재는 바람직하기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스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이다.
상기의 코팅되거나, 확산-조절 또는 박동성 약제는 약제학적 형태로써 직접 그리고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최종 투여 형태 (캡슐, 정제, 포)로 제공되도록 임의로 부형제를 추가하는 추가 처리될 수 있다. 원하는 방출 프로필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코팅된 입자들이 약제학적 형태에서 서로 결합할 수 있고, 초기 투여량의 투여는 신속 방출 입자, 예를 들면 비코팅된 펠렛, 과립 또는 분말과 결합하여 일어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방출 제어 약제는 또한 매트릭스에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제형일 수 있다. 이들 매트릭스 제형은 확산 및/또는 부식에 의해 실리비닌 성분을 방출한다. 바람직하기는, 이러한 약제는 정제 형태 또는 예를 들면, 캡슐화될 수 있는 다수의 정제 형태로 존재한다. 정제는 코팅 또는 래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약제들은 예를 들면, 구성성분들의 혼합 및 직접 타정에 의해, 또는 건식 또는 습윤 과립화 및 이후의 타정에 의해 생산된다.
사용되는 매트릭스-형성제는 수용성, 수팽윤성, 수불용성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약제는 하나 이상의 수팽윤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매트릭스-형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기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HPMC),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HP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MC), 에틸셀룰로스, 다른 알킬-셀룰로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 및 히드록시알킬-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NaCMC), 알긴산염, 갈락토만난, 예를 들면 구아 (guar) 및 캐롭 콩 가루(carob bean flour), 크산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유도체, 폴리비닐 알콜,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PVAc),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아가, 펙틴,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스, 젤라틴,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HPMC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욱이, 수불용성 물질, 예를 들면 불포화 또는 포화 (경화) 지방산 및 그들의 염, 에스테르 또는 아마이드, 지방산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왁스,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유사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구조-형성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약제는 통상의 정제화 부형제를 더욱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하기는 고분산 실리카 (Aerosil®),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PVP, 락토스 또는 미세결정질 셀룰로스이다.
더욱이, 매트릭스에서 pH를 조절하는 물질이 매트릭스에 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pH-조절 부형제의 첨가 및/또는 pH 증가시 용해되는 물질 또는 매트릭스로부터 용출되어서 매트릭스의 다공성 또는 투과성을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매트릭스의 부식을 증가시키는 물질의 첨가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가 거의 pH-비의존성 방출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리비닌 성분을 함유하는 매트릭스는 방출이 특이 기하학적 구조 및 매트릭스 표면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이 기하학적 구조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매트릭스 표면 및 방출 표면은 예를 들면, 특이 형식 (예를 들면, 고리형 정제)을 갖도록 타정하거나, 부영역의 코팅 또는 다층 압착에 의한 장벽층의 적용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방출 특성을 갖는 제형들은 바람직하기는 다층 또는 자켓-코어 정제로 약제학적 형태를 제공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면, 신속-방출층을 포함하는 다층 정제 또는 신속 방출 자켓을 갖는 자켓-코어 정제에 의해, 실리비닌 성분의 높은 초기 방출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출 제어가 달성되고, 반면, 신속-방출 코어를 가진 자켓-코어 정제에 의해 후기-가속 방출을 달성할 수 있다.
실리비닌 성분의 제어 방출을 갖는 추가의 약제는 실리비닌 성분이 용융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로 이루어지는 매트릭스에 임베드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용융 압출물"로부터 실리비닌 성분의 방출은 확산 및/또는 부식에 의해 일어난다. 바람직하기는, 이러한 실리비닌 성분의 제어 방출을 갖는 제형은 과립, 펠렛 또는 정제의 형태로 존재한다. 용융 압출에 의한 형태는, 특히 펠렛 및 과립에서, 예를 들면 캡슐화 또는 정제화 같이 다른 약제학적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임의로 추가의 약제학적으로 통상적인 부형제를 더하여 가공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압출물은 분쇄되고 이어서 예를 들면 매트릭스 정제와 같은 다른 약제의 제조를 위한 세분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가공은 약제에 다양한 약제학적 방출 입자, 예를 들면 지연 및 신속 방출 입자를 갖는 제형의 결합을 포함한다.
용융 압출물 및/또는 용융 압출물로부터 생산되는 약제학적 형태는 코팅 또는 래커형으로 될 수 있다. 용융 압출물은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성분을 적어도 하나의 가용성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및 임의로 추가의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약제학적 물질과 혼합하고, 50~250℃, 바람직하기는 60~200℃의 온도 범위에서 녹이고, 몰딩 또는 사출성형하고 그리고 성형하여 제조된다. 이 과정 중에, 성분들의 혼합은 용융 전 또는 용융 중 일어날 수 있고, 또는 일부 조성물은 용융되고 다른 성분들은 이 용융물에 첨가된다. 비히클, 실리비닌 성분 및 임의로 존재하는 부가 물질들의 혼합물은 열가소성으로 변형가능하므로 압출이 가능하다. 혼합물의 성형을 위해, 많은 방법들, 예를 들면 고온과립화, 냉과립화, 캘린더링, 압출 및 플라스틱 스트랜드의 변형 또는 구형화 (rounding)이 제안된다.
사용되는 열가소성 담체는 바람직하기는 생리학적 매질에서 가급적 팽창성이고 잘 녹는것이 좋다: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N-비닐피롤리돈 (NVP)와 비닐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특히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아세테이트와 크로톤산의 공중합체, 특히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셀룰로스 에스테르, 셀룰로스 에테르, 특히 메틸셀룰로스 및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알킬셀룰로스, 특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알킬메틸셀룰로스, 특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및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셀룰로스 프탈레이트, 특히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셀룰로스 숙시네이트, 특히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폴리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폴리히드록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Eudragit® 형),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및 아크릴산, 폴리락티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갈락토마난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알긴산 및 그것의 알칼리금속 및 암모늄염.
실리비닌 성분의 제어 방출을 갖는 약제의 제조를 위한 바람직한 열가소성 부형제는 HPC, PVP, 비닐피롤리돈/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특히 Eudragit® L, HPMCAS,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그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의 감소를 위해 사용되는 가소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트리에틸렌 글리콜, 부탄디올, 펜타-에리트리톨 (penta-erythritol) 같은 펜타놀, 헥사놀, 긴사슬 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실리콘, 프탈산 유도체 (예를 들면,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벤조산 및 벤조산 에스테르, 다른 방향족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트리멜리트산 에스테르), 시트르산 유사체 (예를 들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디알킬 아디페이트, 세바스산 에스테르, 특히 디에틸 세바케이트, 타르타르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 글리세롤 디- 또는 글리세롤 트리아세테이트, 지방산 및 유도체 (예를 들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아세틸화된지방산 글리세라이드, 파마자기름 및 다른 천연 오일, 미글리올), 지방산 알콜 (예를 들면, 세틸 알콜, 세틸스테아릴 알콜), 당, 당 알콜 및 당 유도체 (예를 들면, 에리트리톨, 이소말트, 락티톨, 만니톨, 말티톨, 말토덱스트린, 자일리톨)이다.
실리비닌 성분, 담체 및 임의의 가소제에 더하여, 압출 혼합물은 기타의 약제학적으로 통상의 부가물질, 예를 들면, 윤활제 및 이형제, 활택제 및 흐름제, 충전재 및 흡착제, 안정제, 자유 라디칼 트랩(trap), 착화제, 항산화제, 광안정화제, 추진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착색제, 감미료 및 풍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윤활제 및 이형제는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레이트, 특히 알루미늄, 칼슘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칼슘 베헤네이트 (behenate), 소듐 스테아릴퓨마레이트, 탈크, 실리콘, 왁스, 및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디베헤네이트,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롤 팔미토스테아레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되는 흐름제는 바람직하기는 (바람직하기는 수소화된 형태 및 녹는점이 적어도 50℃인) 동물 및 식물 지방, 왁스 (예를 들면, 카모바 왁스), 모노-,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디-베헤네이트, 글리세롤 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 인지질, 특히 레시틴이다.
사용되는 충전재는 바람직하기는 이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규산 및 규산염,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레이트, 셀룰로스 유도체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스), 전분 및 전분 유사체, 당, 당 알콜 및 당 유사체이다.
실리비닌 성분의 제어된 방출을 갖는 약제는 pH-조절 특성 및/또는 pH-의존 용해도를 갖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용융 압출물일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를 통해 (예를 들면, 상기 산, 염기, 완충 물질 및 장용 폴리머) 실리비닌 성분 방출의 pH 의존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용융 압출물의 제조에서 "고용체 (solid solutions)"의 형성이 일어날 수 있는데, 여기서 실리비닌 성분은 매트릭스에 분자 분산 형태로 존재한다.
실리비닌 성분의 제어된 방출을 갖는 약제는 또한 삼투 약제학적 방출 시스템일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런 유형의 삼투 시스템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 형태로부터 약제학적 방출은 일반적으로 구동력으로서 삼투압을 기초한다.
삼투 시스템은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성분, 임의로 친수성 팽윤제 및 임의로 삼투를 유발하기 위한 수용성 물질 및 임의로 추가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코어, 및 코어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투과성인 수투과성 재료로 구성되고 코어에 존재하는 성분을 방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 코팅으로 이루어진다.
실리비닌 성분의 제어 방출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약제의 코팅을 형성하는 물질은 반투성, 즉, 물, 수용성 매질 및 생체액에 대하여는 투과성이고, 코어나 막 형성에 적합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비투과성 또는 매우 제한적인 투과성이다. 선택적으로 반투과성 캡슐화재는 체액에서 불용성이고, 부식하지 않고, 위장관에서 분해되지 않고, 변형되지 않고 배설되거나 또는 방출 후기에 이르러야 생분해를 나타낸다.
삼투 시스템의 코팅의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물질은 바람직하기는 아세틸기에 의해 모노- 내지 트리치환되거나 또는 아세틸기에 의해 모노- 내지 디치환된 아실화된 셀룰로스 유사체 (셀룰로스 에스테르), 및 아세틸 이외의 추가의 아실 라디칼, 예를 들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에틸카바메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메틸카바매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디메틸아미노 아세테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디에틸아미노 아세테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에틸-카보네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클로로아세테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에틸옥살레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메틸-술포네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틸술포네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옥테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라우레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파라-톨루엔 술포네이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및 기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유도체이고 또한 아가 아세테이트 및 아밀로스 아세테이트이다.
삼투 시스템에 적합한 반투과성막 재료는 추가적으로 에틸셀룰로스, 알킬렌 옥사이드와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의 공중합체, 중합성 에폭시드, 폴리글리콜 및 폴리락트산 유도체이다. 더욱이, 수-불용성 아크릴레이트 그 자체의 혼합물, 예를 들면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삼투 시스템의 코팅은 또한 가소제 (예를 들면, 상기 가소성 물질 및 예를 들면, 구멍-형성제와 같은 다른 부가적인 물질)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광반응성 래커가 반투과성 코팅에 적용될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면 HPMC 또는 HPC, 및 적합한 가소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안료 (예를 들면 티타늄 디옥사이드, 아연 옥사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리비닌 성분의 초기 용량의 투여가 가능하도록, 삼투 시스템은 실리비닌 성분을 함유하는 외피가 제공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는 이것을 통해 코어로부터 실리비닌 성분의 삼투 제어 방출이 시작되기 전에, 방출 매질과 접촉하여 실리비닌 성분이 신속하게 방출된다.
삼투 시스템의 코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수팽윤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기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예를 들면, Polyox®, 크산검, 비닐피롤리돈과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크로스포비돈, 가교형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가교형 소듐 카르복시메틸 전분, 저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L-HPC), 폴리(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알긴산염 및 갈락토만난이고 또한 추가로 친수성 중합성 팽윤제 및 그들의 혼합물이다.
삼투 유도를 위해 코어에 첨가할 수 있는 적합한 삼투활성인 재료는 무기산 및 유기산의 수용성 염 또는 예를 들면, 카보하이드레이트, 특히 당, 또는 아미노산과 같은 수용해도가 높은 비이온성 유기물질이다. 예로서, 삼투의 유발을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삼투 시스템의 코어에 병합될 수 있는 소수의 물질이 언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트륨, 리튬, 칼륨, 칼슘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염화물, 황산염, 아황산염, 탄산염, 중탄산염, 인산염, 수소인산염과 같은 무기염 및 아디프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이산, 타르타르산, 벤조산 및 그들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과 같은 유기산, 아세테이트, 예를 들면 아라비노스, 리보스 또는 자일로스 같은 오탄당, 예를 들면, 글루코스, 프룩토스, 갈락토스 또는 만노스 같은 육탄당 , 예를 들면, 프룩토스, 말토스 또는 락토스 같은 이당류, 예를 들면, 라피노스 같은 삼당류, 예를 들면 만니톨, 소르비톨, 말티톨, 자일리톨 또는 이노시톨 (inositol) 같은 당 알콜 및 우레아. 염화나트륨 및 탄산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이, 삼투 시스템은 다른 약제학적으로 통상적인 부가물질, 예를 들면, 윤활제, 이형제, 활택제, 결합제, 착색제, 증점제, 보호 콜로이드, 안정화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삼투 방출 시스템의 제조는 바람직하기는 예를 들면, 습식 과립화 또는 건식 과립화, 타정 및 순차적 유기 코팅과 같은 표준 기술에 의해 수행된다.
삼투 시스템의 코팅은 적어도 하나의 배출 구멍을 가지는데, 이를 통해 실리비닌 성분이 임의로 코어의 다른 구성성분과 함께 방출된다. 구멍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코팅과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펀칭, 기계적 드릴링 또는 레이저 드릴의 방법이 있다. 용어 "구멍"은 또한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고,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투여시에 코팅 밖으로 용출되어 시츄 배출 구멍을 형성한다.
실리비닌 성분의 제어된 방출에 대한 추가의 구현예에서, 실리비닌 성분은 또한 이온 교환 착물 (흡착제)로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약제는 1일 1회, 1일 2회, 1일 3회 또는 1일 4회 투여하도록 제형화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원래 함유된 실리비닌 성분의 0.5 내지 75 중량%가 인 비트로 조건에서 1시간 이후에 약제로부터 방출하였다. 활성 물질의 인 비트로 방출의 판단에 적합한 조건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the European Pharmacopeia"을 참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방출의 판단은 인공 위액 (완충액 pH 1.2) 또는 (완충액 pH 7.6)에서 블레이드 교반 장치로 수행한다. 방출된 실리비닌 성분의 양은, 예를 들면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및 자외선(UV) 검출을 통해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출 프로파일 A1 내지 A5를 하기의 표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07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약제는 시클로덱스트린 및/또는 인지질을 함유한다.
실리비닌과 시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제형은 선행기술에 잘 알려져 있다 (비교., 예를 들면, EP 422 497).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은 시클로덱스트린과 내포 복합체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시클로덱스트린은 α-, β-, γ-시클로덱스트린, 그들의 O-C1-C4-알킬 및 히드록시-C1-C4-알킬 유도체이다.
실리비닌 및 인지질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는 마찬가지로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비교. US 4 764 508).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은 인지질과 복합체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및 포스파티딜세린이다. 바람직한 실리비닌 인지질 복합체는 부가적으로 비타민 E(α-토코페롤)를 포함하는 삼원 복합체이다. 이러한 유형의 복합체는 선행기술에 "SPV 복합체"로서 잘 알려져 있다(A Federico, Gut. 2006, 55(6), 901-2 참조).
실리비닌 성분에 더하여, 약제는 하나 이상의 테르펜을 함유할 수 있다. 테르펜의 작용에 의해, 흡수 요건 및 흡수 과정 및 따라서 흡수가 전체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테르펜은 순수 물질들의 형태 또는 이들 순수 물질들의 혼합물 또는 유도체의 형태의 천연 또는 합성 에테르 오일 및/또는 테르페노이드 구성성분일 수 있다. 에테르 오일 중, 특히 타임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파인 니들 오일, 티트리오일, 카제풋 오일, 가르다몬 오일, 페퍼민트 오일, 세이지 오일 및 로즈마리 오일이 언급되고, 바람직하기는 타임 오일이 언급된다. 테로페노이드 물질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물질로서 테르펜은, 예를 들면, 이소프렌, 티글산, 안겔릭산, 이소발레르산과 같은 헤미테르펜; 예를 들면 2,6-디메틸옥탄, α-미르신, (E)-파라-오시멘, 페릴렌, 리나룰, 제라니알, (S)-(+)시트로넬랄과 같은 아시클릭 모노테르펜, 예를 들면, 크리산테민산 또는 주니논(junionone)과 같은 시클로프로판 모노테르펜 과 시클로부탄 모노테르펜, 예를 들면 이리도이드 또는 네파타락돈 또는 (-)-세코로가닌 및 (-)-올리유로핀 같은 시클로펜탄 모노테르펜, o-멘탄, 시스- 또는 트란스-파라-멘탄, (R)-(+)-리모넨, 테르피놀, (-)-멘톨, (+)-페릴라알데히드, (-)-멘톤 또는 (+)-카르본 같은 시클로헥산 모노테르펜과 같은 모노시클릭 모노테르펜, 산소-브리지된 테르펜 1,4-시네올, 1,8-시네올 또는 아스카리돌 같은 바이시클릭 모노테르펜을 포함하는 모노테르펜; 시클로프로판 바이시클 카란 및 투잔, 시클로부탄 바이시클릭 피난 및 바이시클로헵탄 캄판과 펜찬; 파메산, 비스아볼란, 게르마크란 엘레만, 및 휴물란과 같은 세스퀴-테르펜이 언급된다. 특히 바람직한 테르펜은 티몰, 멘톨, 시네올, 보르네올, 카르본, 리메논 및 피넨이고, 통상 티몰이 바람직하다.
약제는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한다. 실리비닌은 실리마린의 구성성분이다.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또는 실리비닌 성분에 더하여, 약제는 실리마린의 다른 구성성분은 포함하지 않는다. 만일 실리비닌 성분이 실리비닌 그 자체이면, 바람직하기는 약제는 실리마린의 다른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실리비닌 성분이 실리비닌 그 그 자체가 아니고, 예를 들면 실리비닌 에스테르라면, 약제는 바람직하기는 실리마린의 구성성분을 전혀 함유하지 않고, 즉, 실리비닌도 함유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는, 이소실리비닌, 실리디아닌, 실리크리스틴, 탁시폴린, 이소실리크리스틴, 실리모닌, 실란드린, 실리헤르민 및 네오실리헤르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 중 하나 이상은 약제에 함유되지 않고, 즉, 약제는 바람직하기는 상기 언급된 물질중 적어도 하나가 본질적으로 없다. 이와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없는"은 대상 물질의 잔여 함량이 약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기는 1.0 중량% 미만, 좀더 바람직하기는 0.5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기는 0.1 중량% 미만, 특히 0.05 중량% 미만임을 의미한다. 상기 물질의 잔여 함량 판단을 위한 분석 방법은, 예를 들면 HPLC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실리마린의 개별적 구성성분들은 그들의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이 다르고 실리마린의 유일한 구성요소에 따라, 즉 유일하게, 실리비닌 또는 그 유도체 및/또는 염을 투여하기에 유리하도록 실리마린의 약제학적 활성에 매우 다양한 정도로 기여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 효율성과 환자 순응도가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실리마린의 다양한 구성성분의 내약성은 서로 다르고, 실리비닌이 가장 내약성이 크고, 특히 독성은 실리마린보다 (즉, 실리비닌 이외의 다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보다) 낮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기는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를 위해 제형화된 약제의 생산을 위한 실리비닌 성분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더불어 실리비닌 성분은 바이러스성 간염, 특히 B형 또는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해 실리마린의 다른 구성성분은 함유하지 않는다.
실리비닌 성분의 경구 투여에 적합되는 특히 바람직한 약제는 아래와 같다. 모든 경구 제형은 바람직하기는 상당히 순수한 형태, 즉, 바람직하기는 실리마린의 다른 구성성분, 특히 이소실리비닌 및/또는 실리크리스틴 및/또는 실리디아닌이 없는 형태로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경구 제형은 즉시 방출 제형이고, 즉, 실리비닌 성분은 신속하게 방출되어 약물이 위장관에서 신속히 개시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경구 제형의 투여 후 30분이면, 원래 포함된 실리비닌 성분의 75 중량%,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80 중량%, 좀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85 중량%, 가장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90 중량% 및 특히 적어도 95 중량%가 경구 제형으로부터 방출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약제는 고용체로 제공된다. 상기 고용체는 바람직하기는 높은 가용성, 바람직하기는 큰 비표면적을 가지는 무정형 폴리머 매트릭스에 분자 분산 형태로 실리비닌 성분을 임베딩함에 의해 실현된다. 실리비닌 성분은 분자 분산 형태로, 즉, 마이크로결정질도 아니고 미세결정질도 아닌 형태로 존재한다. 높은 가용성, 무정형 상태는 실리마린 추출물로부터 실리비닌 또는 실리비닌 성분을 추출할 때 높은 가용성, 고체 중합성 용매를 활용함에 의해 이미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약물 제형은 실리비닌 성분의 용해도 및 분해속도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고용체의 예는 실리비닌 성분, 적절한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또는 Kollidon®25와 같은 폴리비닐피롤리돈 공중합체, 및 임의로 덱스트린(예를 들면, 말토덱스트린)을 포함한다. 제형은 추가로 에어로실 및/또는 탈쿰과 같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용체의 바람직한 구현예 B1 내지 B6를 하기의 도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08
제형은 예를 들면, 경질 젤라틴 캡슐로 제공될 것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약제는 자발-유화 마이크로에멀젼으로 제공된다. 자발-유화 지질-시스템은 담체로 사용될 수 있고 그 안에 함유된 약물의 높은 생체이용률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지질-시스템은 콜로이드성이고 이것은 위장관에 있는 림프계를 통해, 특히 콜로이드 크기의 미립자를 재흡수 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용해된 약물은 포화되지만 재-결정은 일어나지 않는다. 친유성 약제 (예를 들면, 실리비닌 성분)의 경구투여시, 마이크로에멀전은 흡수 위치에서 용해되거나 높게 분산되어 있는 약제의 분해 속도를 증가시키는 최적화된 비히클로서 우선적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지질 시스템은 흡수 개선제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은 지질-시스템의 한 예는 실리비닌 구성요소, 적절한 제1 유화제 (예를 들면, Gelusire®44/14 같은 라우릴 마크로골글리세리드), 및 임의로, 적절한 제2 유화제 (예를 들면, Labrasol®과 같은 카프릴로카프릴 마크로골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제는 폴리소르바트와 같은 추가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용체의 바람직한 구현예 C1 내지 C6를 하기의 도표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09
고체이거나 또는 바람직하기는 반-유체인 제형은 예를 들면, 경질 젤라틴 캡슐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로 제공될 것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약제는 나노기술 제형으로서 제공된다. 나노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기는 1 μm 미만이다. 나노입자는 세포구조의 생체막을 통과할 수 있다. 실리비닌 성분은 바람직하기는 상기 나노입자의 표면으로 흡수된다. 나노입자는 바람직하기는 무기 나노입자와 유기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무기 나노입자는 메탈로실리케이트, 예를 들면 알루모실리케이트 (예를 들면, 제올라이트)와 같은 광물 유래 또는 인조 실리케이트 류로부터 얻어지는 결정형 실리케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무기 나노입자는 바람직하기는 화학적으로 변형되어 정전기적 전하를 가질 수 있다. 실리케이트는 나노입자로 초미세 분쇄되고 실리비닌 성분은 마노입자의 미세다공성 표면에 결합(흡착)된다.
유기 나노입자는 작은 단백질 또는 올리고펩타이드 또는 지질의 클러스터 또는 응집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단백질 담체는 예를 들면 프로타민이다.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경구를 통한 약물 방출을 위한 담체로서의 콜로이드성 나노입자는 약물, 즉 실리비닌 성분을 적절한 담체 재료와 함께, 예를 들면, 60℃에서 가압하에 천공 여과기(매트릭스)가 장착된 분사기를 통해 강력 냉각 타워로 분사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동시냉각은 나노입자들로 이루어진 무정형 상을 형성한다.
고용체 나노입자는 예를들면, 고압 균질화 및 순차적인 분사-냉각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약물, 즉 실리비닌 성분은 적합한 용매 중의 용액으로서 또는 준-미립자의 형태로 적용된다. 실리비닌 성분은 예를 들면 60℃에서, 지질 비히클 및 계면활성제와 함께, 각각 분사 및 가압-균질화 될 수 있다. 활택제 및 추가적인 계면활성제뿐만 아니라 외부상으로서 미세 충전재를 임의로 첨가한 후, 이와 같은 얻은 제형은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용체 나노입자의 예는 실리비닌 성분의 코어, 적절한 제1 유화제 (예를 들면, Gelucire® 50/13와 같은 스테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라이드), 및 임의로, 적절한 거대분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폴록사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조성은 추가로, 제1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Tween 20), 에어로실 및 제2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Percirol®과 같은 글리세릴 팔미토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외부 상을 더욱 함유한다.
고용체의 바람직한 구현예 D1 내지 D6를 하기의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10
장전된 나노입자는 약물의 개시를 상당히 빠르게 달성한다.
약제는 실리비닌 성분을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10 mg, 적어도 15 mg, 적어도 20 mg, 적어도 25 mg, 적어도 50 mg, 적어도 75 mg, 적어도 100 mg, 적어도 125 mg, 적어도 150 mg, 적어도 175 mg or 적어도 200 mg;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225 mg, 적어도 250 mg, 적어도 275 mg, 적어도 300 mg, 적어도 325 mg, 적어도 350 mg, 적어도 375 mg or 적어도 400 mg; 좀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425 mg, 적어도 450 mg, 적어도 475 mg, 적어도 500 mg, 적어도 525 mg, 적어도 550 mg, 적어도 575 mg 또는 적어도 600 mg; 가장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625 mg, 적어도 650 mg, 적어도 675 mg, 적어도 700 mg, 적어도 725 mg, 적어도 750 mg, 적어도 775 mg 또는 적어도 800 mg; 및 특히 적어도 825 mg, 적어도 850 mg, 적어도 875 mg, 적어도 900 mg, 적어도 925 mg, 적어도 950 mg, 적어도 975 mg, 또는 적어도 1000 mg의 투여량으로 함유하고, 각 경우 실리비닌을 기준으로 하는 동등한 투여량이다.
약제는 환자의 체중을 기준으로 그리고 각 경우 실리비닌을 기준으로 동등한 투여량으로, 실리비닌 성분을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1.0 mg/kg,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2.5 mg/kg, 좀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5.0 mg/kg, 가장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7.5 mg/kg 및 특히 적어도 10 mg/kg, 적어도 12.5 mg/kg, 적어도 15 mg/kg, 적어도 17.5 mg/kg, 적어도 20 mg/kg, 적어도 22.5 mg/kg, 적어도 25 mg/kg, 적어도 27.5 mg/kg 또는 적어도 30 mg/kg 투여량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투여량은 일일 용량이다. 따라서, 약제가 하루에 두 번 투여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일일 용량은 똑같은 양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유사하게, 약제가 하루에 세 번 투여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일일 용량은 똑같은 양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실리비닌 성분의 일일 투여량은 실리비닌의 등가량을 기준으로, 체중 kg 당 적어도 5,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10, 좀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15 및 가장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20 mg 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실리비닌 성분의 일회 투여량은 실리비닌의 등가량을 기준으로, 20 mg/ kg (체중)이다. 그러므로, 약제가 하루 1회 투여되는 경우, 약제는 실리비닌 성분의 전체량, 예를 들면, 체중이 70 kg인 환자에 대해 1400 mg의 실리비닌을 포함한다. 약제가 하루 두 번 투여되는 경우, 약제는 실리비닌 성분의 반이 포함되고, 예를 들면, 체중이 70 kg인 환자에 대해 700 mg의 실리비닌을 포함한다. 약제가 하루 세 번 투여되는 경우, 약제는 실리비닌 성분의 1/3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체중이 70 kg인 환자에 대해 467 mg의 실리비닌을 포함한다. 약제가 하루 네 번 투여되는 경우, 약제는 실리비닌 성분의 1/4을 포함하고, 예를 들면 체중이 70 kg인 환자에 대해 350 mg의 실리비닌을 포함한다.
약제가 비경구로, 바람직하기는 주입으로 적용될 때, 바람직한 투약법은 각 2시간 지속되는 4회 동일 주입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4시간 후에 동일한 주입이 반복되어 24시간 동안에는 총 4회 주입된다. 상기 투약법은 도식적으로 "2-4-2-4-2-4-2-4"로 요약될 수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숫자는 몇 시간이고, 밑줄친 숫자는 주입 기간이고 밑줄이 없는 숫자는 두 주입 사이의 지연기이다. 바람직하기는, 투여방법은 규칙적이고, 즉 24 시간 동안 모든 주입은 동일 기간에 걸쳐 동일하게 투여되고 및 연이은 주입 사이의 지연기 또한 동일하다.
상기 지시에 따라, 바람직한 비경구 투여방법을 하기 표에 요약하였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11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약제는 1일 1회, 2회, 3회, 4회 투여되도록 적합되어 처방된 방식으로 약제를 투여할 때 투여되는 전체 하루 용량이, 각각의 경우 실리비닌을 기준으로 동등한 투여량으로, 적어도 300 mg, 적어도 325 mg, 적어도 350 mg, 적어도 375 mg or 적어도 400 mg;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425 mg, 적어도 450 mg, 적어도 475 mg, 적어도 500 mg, 적어도 525 mg, 적어도 550 mg, 적어도 575 mg 또는 적어도 600 mg; 좀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625 mg, 적어도 650 mg, 적어도 675 mg, 적어도 700 mg, 적어도 725 mg, 적어도 750 mg, 적어도 775 mg 또는 적어도 800 mg; 더욱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825 mg, 적어도 850 mg, 적어도 875 mg, 적어도 900 mg, 적어도 925 mg, 적어도 950 mg, 적어도 975 mg, 또는 적어도 1000 mg; 가장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1050 mg, 적어도 1100 mg, 적어도 1150 mg, 적어도 1200 mg 또는 적어도 1250 mg; 그리고 특히 적어도 1300 mg, 적어도 1350 mg, 적어도 1400 mg, 적어도 1450 mg 또는 적어도 1500 mg에 해당된다.
바람직한 약물동력학적 계수들 AUC0 -t, AUCt --, AUC0 -- 및 AUC0 --(corr.) (바람직하기는 수회 주입 이후, 예를 들면, 11회 주입 후; 1회 용량: 12.5 mg/kg; 일일 투여량: 4회 주입; 전체 투여량: 11회 주입)을 구현예 E1 내지 E8에 대해 하기 표에 요약하였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12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실리비닌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는 보완요법을 위해 적합되고, 바람직하기는 인터페론/리보바린과 같은 면역-조절제/항바이러스 복합 요법을 위해 적합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실리비닌 성분에 더하여 약제는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기는 염증성 간질환에 적합한, 특히 바람직하기는 바이러스성 간 질환, 특히 B형 C형 간염에 적합한 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추가적인 약제는 간 치료제, 항지간제(lipotropics ) [A05B]; 뉴클레오사이드, 뉴클레오타이드, 역전사 효소의 배타적 저해제 [J05AB]; 인터페론 [L03AB] 및 HBV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괄호에 기재된 표기는 바람직하기는 2007년 독일 형식의 ATC 인덱스와 관련된다.
특히 바람직하기는, 추가의 약제는 알기닌 글루타메이트, 시티올론, 에포메디올, 오르니틴 옥소글루레이트, 티디아식아르기닌, 미오이노시톨, 메티오닌 및 N-아세틸-메티오닌, 콜린, 오르니틴 아스파테이트, 시아니다놀, 티오프로닌, 베타인, 시아노코발아민, 루신, 리불로스, 아시클로비르, 이독스리딘, 비다라빈, 리바비린, 간시클로비르, 팜시클로비르, 발라시클로비르, 시도포비르 , 펜시클로비르, 발간시클로비르, 브리부딘,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베타, 인터페론 감마, 인터페론 알파-2a, 인터페론 알파-2b, 인터페론 알파-n1, 인터페론 베타-1a, 인터페론 베타-1b, 인터페론 알파콘-1, 페그인터페론 알파-2b, 페그인터페론 알파-2a 및 인터페론 감마 1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실리비닌 성분으로의 환자의 치료는 바이러스성 간염, 특히 B형 또는 C형 간염의 치료를 지원 및/또는 준비하고, 바람직하기는 알기닌 글루타메이트, 실리마린, 시티올론, 에포메디올, 오르니틴 옥소글루레이트, 티디에이사이아르기닌, 미오이노시톨, 메티오닌 및 N-아세틸-메티오닌, 콜린, 오르니틴 아스파테이트, 시아니다놀, 티오프로닌, 베타인, 시아노코발라민, 루신, 리불로스, 아시클로비르, 이독수리딘, 비다라빈, 리바비린, 간시클로비르, 발락시클로비르, 시도포비르, 펜시클로비르, 발간시클로비르, 브리부딘,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베타, 인터페론 감마, 인터페론 알파-2a, 인터페론 알파-2b, 인터페론 알파-n1, 인터페론 베타-1a, 인터페론 베타-1b, 인터페론 알파콘-2, 페그인터페론 알파-2b, 페그인터페론 알파-2a 및 인터페론 감마 1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또 다른 약제로의 치료가 뒤따른다.
따라서, 바람직하기는 바이러스성 간염, 특히 B형 또는 C형 간염을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로 치료한 후, 또 다른 약제로 바이러스성 간염, 특히 B형 간염 또는 C형 간염을 치료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약제는 순차적인 치료의 구성성분으로 제형화되고, 약제가 처음에 제1기 동안 바람직하기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되고, 이어서 또 다른 약제가 제2기에 투여된다. 바람직하기는, 제1기는 적어도 2일,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3일, 더욱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4일, 가장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5일이고, 특히 적어도 6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제2기는 제1기보다 더 많은 일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제2기는 적어도 2일,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3일, 더욱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4일, 가장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5일, 그리고 특히 적어도 6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의 약제는 리바비린 및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의 조합물을 포함하고 제2기는 24 내지 48 주의 시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다른 약제학적 제형은 알기닌 글루타메이트, 실리마린, 시티올론, 에포메디올, 오르니틴 옥소글루레이트, 티디아식아르기닌, 미오이노시톨, 메티오닌 및 N-아세틸메티오닌, 콜린, 오르니틴 아스파테이트, 시아니다놀, 티오프로닌, 베타인, 시아노코발아민, 루신, 라불로스, 에이시클로비어, 이독수리딘, 비다라빈, 리바비린, 간시클로비르, 팜시클로비르, 발락시클로비르, 시도포비어, 펜시클로비르, 발간시클로비르, 브리부딘, 인터페론 알파, 인터페론 베타, 인터페론 감마, 인터페론 알파-2a, 인터페론 알파-2b, 인터페론 알파-n1, 인터페론 베타-1a, 인터페론 베타-1b, 인터페론 알파콘-1, 페그인터페론 알파-2b, 페그인터페론 알파-2a, 인터페론 감마 1b 및 HBV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 특히 바람직하기는 인터페론 및/또는 리바비린 및/또는 실리마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제형을 포함한다. 다른 약제가 인터페론을 포함하는 경우, 인터페론 알파가 페길화 되는 것(페그인터페론 알파-2a 또는 페그인터페론 알파-2b)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다른 약제는 이소실리비닌, 실리디아닌, 실리크리스틴, 탁시폴린, 이소실리크리스틴, 실리모닌, 실란드린, 실리헤르민 및 네오실리헤르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제, 더 바람직하기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단 하나의 제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다른 약제는 상기한 제1기에 투여되는 약제와 관하여 정의된 바와 같이 실리비닌-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는 본질적으로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에서, "본질적으로 없는"는 대상 물질의 잔여량이 약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기는 2.0 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기는 1.0 중량%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기는 0.5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기는 0.1 중량% 미만이고 특히 0.05 중량% 미만이다.
원칙적으로 다른 약제는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기에 투여되는 약제 이외에는 다른 투여 경로로 제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기는, 다른 약제는 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1기 동안 투여되는 약제는 비경구용, 특히 정맥내 투여용으로 적합되고, 제1기에 이어서 제2기 동안 투여되는 다른 약제는 경구 투여용으로 적합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방법은 서로 연속되는 두 단계, 즉 제1기 및 제2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는, 제1기 동안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가 바람직하기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되지만, 간에 영향을 주는 다른 약제는 동시에 투여되지 않는다. 제2기 동안 또 다른 약제가 투여되고 바람직하기는 리바비린 및/또는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가 또한 제2기 동안 바람직하기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는 제2기 동안 투여하지 않고 즉, 상기의 다른 약제만 투여한다.
이상(biphasic) 치료 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 F1 내지 F15를 아래의 표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13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방법은 서로 연속되는 세 단계, 즉 제1기, 제2기 및 제3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제1기 동안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가 바람직하기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되지만, 간에 영향을 주는 다른 약제가 동시에 투여되지 않는다. 제2기 동안 바람직하기는 리바비린 및/또는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를 포함하는 또 다른 약제가 투여되고, 또한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가 제2기 동안 바람직하기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기는 제3기 동안 상기 바람직하기는 리바비린 및/또는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를 포함하는 다른 약제가 투여되지만, 제3기 동안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는 투여되지 않고, 즉 오직 다른 약제만 투여된다.
삼상 치료 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 G1 내지 G15를 아래의 표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14
그러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계획은 서로 연속되는 세 단계, 즉 제1기, 제2기 및 제3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제1기 동안 바람직하기는 리바비린 및/또는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를 포함하는 또 다른 약제가 투여되고,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가 제1기 동안 투여된다. 제2기 동안 바람직하기는 리바비린 및/또는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를 포함하는 상기 또 다른 약제가 여전히 투여되고,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도 제2기 동안 바람직하기는 비경구적으로 투여(공동-투여)된다. 바람직하기는, 제3기 동안 바람직하기는 리바비린 및/또는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를 포함하는 상기 다른 약제가 투여되지만,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는 제3기 동안 투여되지 않고, 즉 오직 다른 약제만 투여된다. 다시 말하면,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 바람직하기는 리바비린 및/또는 페길화된 인터페론을 포함하는 상기 다른 약제가 연속적으로 투여되고, 중간기(=제2기) 동안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가 바람직하기는 비경구적으로 공동-투여된다.
삼상 치료 계획의 바람직한 구현예 H1 내지 H15를 아래의 표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15
도 10은 리바비린 및/또는 페길화된 인터페론 알파와,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의 공동-투여의 다양한 방법(구현예 a1 내지 m2)을 시각화한 것이다. 각각의 막대는 투여기간을 뜻한다. 예를 들면, 구현예 f1에 따라, 리바비린/페그인터페론 알파부터 투여를 개시하고 지속한다. 중간기 동안, 실리비닌 성분을 공동-투여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면은 상기와 같은 약제에 관한 것이고, 바람직하기는 비경구적 투여용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바이러스성 간염을 치료하기 위해 개조한다.
본 발명의 더욱 추가의 면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약제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고, 실리비닌 성분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약제를 포함한다.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약제와 다른 약제 모두는 위에 기재되어 있고, 모든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또한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키트에 적용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키트는 연속 치료를 수행하기에 필수적인 만큼의 많은 약제들(개별 투여량 단위)을 포함하고, 실리비닌 성분을 포함하는 약제는 처음에 제1기에 투여되고 그 후 다른 약제는 제2기에 투여된다. 바람직하기는, 제1기는 적어도 2일,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3일, 더욱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4일, 가장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5일 및 특히 적어도 6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제2기는 제1기의 일수보다 그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제2기는 적어도 2일, 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3일, 더욱더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4일, 가장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5일 및 특히 적어도 6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약제의 생산을 위한, 실리비닌 성분,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에스테르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약제는 리바비린/인터페론 치료에 대한 무-반응자들, 즉 리바비린/인터페론 치료와 같은 면역-조절/항바이러스 조합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의 바이러스성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해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관점은 바이러스성 간염, 바람직하기는 C형 간염의 치료를 위해 바람직하기는 비경구적 투여용 실리비닌 성분,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점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들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상기 설명으로부터 증명되었고 따라서 반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면은 실리비닌 성분, 바람직하기는 실리비닌 에스테르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 바람직하기는 비경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염, 바람직하기는 C형 간염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면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본 발명의 다른 면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상기 설명에서 증명되었고 따라서 반복되지 않는다.
다음의 예들은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지만 그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실리비닌 성분을 실리비닌 C-2',3-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Legalon Sil®, Madaus, Koln)(이하 "실리비닌"이라 함)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했다.
환자 및 방법:
환자 프로토콜 1 프로토콜 2
N (남성/여성) 16 (14/2) 20 (17/3)
평균 연령 (연령±SD) 49.9±9.7 52.7±12.8
유전자형 (1/2/4) 15/-/1 17/1/2
섬유증 단계:
0-2 3 10
3-4 13 7
이용불가 - 3
선행치료법*
PEG-인터페론-알파2a/RBV 14 18
PEG-인터페론-알파2b/RBV 2 4
선행치료 12주에서 log Drop
>2** 3 4
1-2 4 1
<1 5 12
이용불가 2 3
14 18
2 4
* 일부 환자들은 치료 주기를 1회 이상 받았다.
** 모든 환자들은 24주에 양성이었다.
이들 연구를 위해, 이전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 병용 치료의 전체 용량에 무반응인 환자들을 선별하였다. 무반응은 치료 12 주 후 바이러스 하중이 a > 2 lod 드랍의 부족 그리고/또는 치료 종료 반응을 얻지 못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환자들은 이 연구에 선정되기 2년 이내에 간 조직 검사를 받았을 것이 요구되었다.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 치료에 표준 선정/배제 기준을 적용하였다.
연구 프로토콜:
연구의 첫번째 복용 전 35일 이내의 선별 단계 동안, 선정/배제 기준에 따른 환자들의 약물 적격성을 확인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선별 단계 전 6 개월 이내에 HCV-RNA 정량 검사를 받았다.
프로토콜 1: 환자들에게 우선 연속 7일 동안 매일 4시간에 걸쳐 10 mg/kg 실리비닌(Legalon Sil®, Madaus, Koln)을 주입하였다. 제1일에 기준선에서 산화 스트레스 계수의 측정을 위해, 주입 동안 30 분 마다 그리고 주입이 끝난 후 2시간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제8일에 치료를 180 μg/wk PeglFNa-2a(PEGASYS®;Roche, Basel)와 1-1.2 g/d 리바비린(COPEGUS®; Roche, Basel)과 병용하여 140 mg 실리마린(Legalon®, Madaus, KoIn) TID 경구 투여로 바꾸었다.
프로토콜 2: 제1 프로토콜에 대한 결과를 얻은 후, 실리비닌의 치료를 2 주 동안 연장하였고 실리비닌의 다른 투여량을 투여하였다. 환자들에게 먼저 연속 14일 동안 4시간에 걸쳐 5, 10, 15 또는 20 mg/kg 실리비닌을 주입하였다. 제8일에 180 μg/wk PeglFNa-2a 및 1-1.2 g/d 리바비린으로 치료를 시작했다. 14일 후 환자들에게 280 mg 실리마린 (Legalon®, Madaus, KoIn) TID을 경구 투여했다. 14일의 주입 기간 동안 바이러스 양을 측정하기 위해 매일 혈액을 채취하였다.
두 프로토콜에서, PEG-IFN 알파2a 또는 리바비린에 대한 과민증의 경우, 표준 투여 조절 지침을 사용하였다. 항바이러스 병용 치료를 총 24 주 동안 수행하였다 (12 주에 a > 2log Drop이 없는 환자에게 치료 중단을 선택하였다); 24 주의 바이러스 반응자들에게 추가로 48 주 동안 지속적인 치료를 제공하였다. 주입 기간이 끝난 후 환자들은 2, 4주 후에, 그리고 24 주에 치료가 끝날 때까지 매달 검사를 받았다.
프로토콜은 비엔나 의과대학의 윤리 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본 연구의 상세한 내용을 환자에게 설명하였고 모두 사전 동의서에 서명했다.
방법:
혈청 HCV RNA 수준을 TaqMan PCR 검사법(Cobas Ampliprep/ Cobas TaqMan HCV Test; limit of detection, 15 IU/mL, Roche Diagnostics)으로 측정했다.
혈액에서 반응성 산화성 대사산물을 d-ROMs 시험(Reactive Oxygen Metabolites derived compounds; Diacron, Grosseto, Italy)으로 측정했고, 주입 전, 제1일 중 30분 마다, 그리고 실리비닌 주입 2 시간 후에 휴대용 자유 라디칼 측정 시스템(FRAS 4, SEAC, Calenzano, Italy)을 사용하는 BAP 검사에 의해 항산화제의 양을 측정하였다. d-ROM 검사는 산성 완충제에 의해 혈장 단백질로부터 방출된 반응성 산소 대사물(주로 과산화물)을 측정하고, 이는 철의 존재하에 Fenton 반응에 따라 알콕시 및 퍼옥실 라디칼을 생성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라디칼은 알킬-치환된 방향족 아민(N,N-디에틸파라페닐렌디아민)을 산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505 nm에서 광학적으로 정량되는 분홍빛의 유도체를 생산한다. 반응성 산화 대사물에 대한 결과는 Caratelli 단위 (Ucarr; 보통: 250-300, 1 Ucarr=0.08 mg 과산화수소/dl)로 나타내었다. BAP 검사는 505 nm에서 광학적으로 측정되는 첨가된 혈장 샘플에 의해 티오시안산염 유도체와 혼합된 염화 제2철 용액의 탈색 강도를 측정하고, 이는 혈장에서 항산화제의 양에 의해 제2철 이온을 환원시키는 능력에 비례한다(보통 > 2200 pM). 제조자에 의한 검사 지침은 실제로 측정된 물질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분석:
원래, 일차적 결과의 변수는 치료 종료(24 주)에서 PCR 음성인 환자의 백분율로 정의된 바이러스 반응이었다. 이차적 효능의 변수들은 12 주에서 바이러스 반응율, PEG-IFN/리바비린/실리마린 치료의 안정성 및 내약성, 기준선, 24주, 48주, 72주에서 삶의 질(SF-36, Fatigue Severity Scale), 및 실리비닌 주입 후 산화 상태였다. 실리비닌 주입 7일 후 예측할 수 없는 강한 바이러스 반응으로 인해 모집을 중단하였고 바이러스 반응 계수를 기초로 하여 실리비닌의 더 긴 주입 기간 및 더 많은 투여량을 사용하는 연구를 다시 고안하였다. 원래 연구에서 샘플 크기는 Gehan의 2 단계 디자인을 기초로 예측되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10% 이상의 반응율은 치료 방법의 추가의 조사를 보장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29명의 환자들을 제1 단계에서 보충해야만 했다(오차 확률 β=5%).
결과:
프로토콜 1:
16명의 순수 무반응자들 (상기 표에 상세히 설명)을 포함했다. 모든 환자들은 적어도 12주 동안 페길화된 인터페론(12 페그인터페론 알파 2a, 2 페그인터페론 알파 2b) 및 리바비린(1000 - 1200 mg/d)으로 전체 분량 치료를 받았다. 측정된 산화 스트레스의 계수는 실리비닌 주입 동안에 변화 없었다(도 1).
혈청 HCV RNA는 일주일 내에 1.32±0.55의 평균 log Drop과 함께 정맥내 SIL-단일치료(도 2) (기준선: 6.59±0.53, 제8일: 5.26±0.81 log IU/ml, [mean±SD], p<0.001)한 모든 환자들에게서 감소했다. 동시에, ALT는 162±133으로부터 118±107 U/1 (p=0.004)으로 감소했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HCV RNA가 초기 PeglFN/RBV 치료에서 검출가능하게 남았다. 세 명의 환자들은 PEGIFN/RBV 병용 치료를 거절하였다. 남은 13명의 환자들 중 11명은 PeglFN/RBV의 개시에도 불구하고실리비닌 주입의 종료 후 HCV-RNA가 다시 증가했다. 12 주에 모든 환자들은 여전히 HCV-RNA 양성이었지만, 5명의 환자는 a> 2log Drop을 가졌고 치료를 지속하였다(도 3). 환자들 중 아무도 24 주에 HCV-RNA 음성이 되지 않았고, 한 명의 환자는 5.5 log Drop을 가졌고 본인의 요청에 따라 치료를 지속하였다.
프로토콜 2:
20명의 순수 무반응자(상기 표에 상세히 설명)를 포함했다. 모든 환자들은 적어도 12 주 동안 페길화된 인터페론(18 페그인터페론 알파 2a, 4 페그인터페론 알파 2b; 2명의 환자는 2가지 치료 과정을 받았다) 및 리바비린(1000 - 1200 mg/d)으로 전체 분량 치료를 받았다.
도 4는 이들 환자들의 바이러스성 동력학을 나타낸다. 바이러스 양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실리비닌 단일치료 7일 후, 투여량 5mg/kg은 한계 효과가 있었고 (n=3, lod drpo 0.55±0.5), 반면 투여량 10 mg/kg (n=19 [프로토콜 1의 환자들 포함], log drop 1.41 ±0.59), 15 mg/kg (n=5, log drop 2.11 ±1.15) 및 20 mg/day (n=9, 3.02±1.01)은 바이러스 하중을 상당히 감소시켰다(p<0.001 ).
실리비닌 및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 병용 치료 1주일 후 바이러스 양은 더욱 감소했다(log drop: 5 mg/kg: 1.63±0.78; 10 mg/kg: 4.16±1.28; 15 mg/kg 3.69±1.29; 20 mg/kg 4.8± 0.89; 모두 p<0.0001 대 기준선) (도 5). 15 mg/kg 군의 5명의 환자 중 2명과 20 mg/kg 군의 9명 환자 중 4명은 제15일에 HCVRNA < 15 IU 였다. HCV-RNA는 PEGIFN/RBV의 시작 후, 각각 4주(연구 프로토콜의 5 주)와 12주(연구 프로토콜의 13주)에 8명과 7명의 환자에게서 <15 IU/ml이었다. 항바이러스 병용 치료를 모든 환자에게 지속하였다(도 6).
안전성:
실리비닌은 일반적으로 내성이 충분히 있다. 5명의 환자들이 가벼운 위장장애(비정상적 고통: 5, 설사: 2, 메스꺼움: 1)를, 2명은 두통을 그리고 한 명은 관절통을 호소했다. 이들 모두는 환자에게서 약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주입이 끝난 후 진정되었다; 투약량의 변화는 요구되지 않았다. 15 및 20 mg/kg 군의 모든 환자들은 주입이 시작되었을 때 열감을 언급했고, 이것은 치료 없이 30분 이내에 진정되었다. SAE는 발생하지 않았다. 단일치료에서 헤모글로빈, 백혈구, 혈소판 및 크레아티닌의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유도 폐렴에 의한 호흡 곤란 증가를 겪은 한 명의 환자를 포함하고, 8 주 후에 최종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 치료를 요하는) 전형적인 항바이러스 병용 치료의 부작용이 발견되었다 .
이와 같은 실시예는 실리비닌(C-2'3-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의 경구 투여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해 두드러진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을 증명한다. 이들 관찰들은 만성 C형 간염의 치료, 특히 무-반응자들에서 상기 약물의 가능성을 증명한다.
놀랍게도 정맥내 실리비닌(C-2'3-비스(히드로숙시네이트))이 표준 항바이러스 병용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C형 간염의 환자들에게 강력한 항바이러스제임을 발견하였다. 정맥내 실리비닌은 좋은 내약성을 보이고, 일련의 부작용은 발견하지 못했다. 보고된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은 일시적 열감이었다. 항바이러스 효과는 복용 의존성이지만 구강 투여에 의한 실리마린의 주입 기간의 종료 후에 유지되지 않았다.
비교에서, 경구적으로 제공된 유사한 양의 실리마린은 실리비닌의 생체이용율과 대사성에서의 차이를 반영하는 HCV-하중(A Gordon at al., J Gastroenterol Hepatol. 2006, 21, 275-80)에 영향이 없었고 따라서 매우 낮은 혈장 수준을 가져왔다. 경구 투약 후 실리마린 플라보노리그난은 신속히 글루쿠로니화 되었고 짧은 반감기에 의해 신속히 제거되었다(Z Wen et al., Drug Metab Dispos. 2008, 36(1), 65-72).
실시예 2:
환자들을 지속적으로 180 μg 페그인터페론 알파 2a 및 중량 기준 리바비린으로 치료하였다. 이와 같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5명의 환자들 (3명의 남성 환자들 및 2명의 여성 환자; 4명의 환자는 HCV 유전자형 1이고 한 명은 HCV 유전자형 3a이고; 3명의 환자는 간경화증이었다)은 치료 24 주 후 HCV-RNA 양성이었다.
4명의 환자들은 투약경험이 없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반면 한 명은 이전의 2회 치료(24 및 48 주)에 대한 재발자로 간주될 수 있다.
180 μg 페그인터페론 알파 2a 및 중량 기준 리바비린으로 계속적인 치료 과정에서, 모든 환자들은 연속 14일 동안 적어도 한번 정맥내 20 mg/kg/day 실리비닌으로 치료받았다. 이 기간 동안,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의 병용 치료는 계속되었다.
모든 5명의 환자들은 HCV-RNA 음성이 되었다.
도 7은 한 명의 개별 환자(남성, 55 세)의 결과를 나타낸다. 보는 바와 같이,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은 단지 24 주 후 약 log 7 IU/mL에서 약 log 4.5 IU/mL으로 바이러스 하중의 감소를 가져온다. 그러나 14일 동안 20 mg/kg/day 정맥내 실리비닌 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의 공동-치료는 약 log 4.5 IU/mL로부터 검출 한계 이하의 값으로 바이러스 하중의 극적인 감소를 가져온다. 비경구적 실리비닌 비스(히드로숙시네이트)의 첫번째 투여 간격 후, 바이러스 하중은 약 2 IU/mL로 다시 증가하지만, 이는 14일 동안 20 mg/kg/day 정맥내 실리비닌 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의 두번째 공동-치료에 의해 검출 한계 이하까지 영구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개별 환자(여성, 44 세)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보는 바와 같이,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은 단지 30주 후에 log 7 IU/ml로부터 log 5 IU/ml로의 감소를 가져온다. 그러나 30주 후 14일 동안 20 mg/kg/day 정맥내 실리비닌 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의 공동-치료는 약 log 4 IU/ml로부터 검출 한계 이하의 값까지 극적이고 영속적인 감소를 야기한다.
도 9는 한 명의 개별 환자(남성, 52 세)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보는 바와 같이, 페그인터페론/리바피린은 약 log 5 IU/mL로부터 <15 IU/mL의 검출 한계에 근접한 값까지 바이러스 하중의 효과적인 감소를 가져온다. 72 주 후 14일 동안 20 mg/kg/day 정맥내 실리비닌 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의 공동-치료는 더욱 낮은 검출 한계까지 바이러스 하중을 더욱 감소시켰다.
이들 임상 시험은 비교적 짧은 시간 간격 동안의 실리비닌 성분으로의 비경구적 치료가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에 의한 통상적인 치료를 보완하고 상당히 향상시킨다는 것을 증명한다. 실리비닌 성분의 비경구적 투여는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에 의한 통상적인 치료에 대한 환자의 감수성을 (재)활성시키고 (도 7 및 8) 그리고/또는 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에 의한 통상적 치료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증진(도 9)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3:
실리비닌의 혈장 농도/시간 프로파일을 특성화하기 위해, 7일간 20 mg 실리비닌/kg 체중(Legalon® SIL)의 정맥내 주입 치료를 받은 만성 C형 간염 환자 8명에게 인 비보 연구를 수행하였다. 20 mg/kg 체중의 수회 투약에서, 프리 및 전체 실리비닌의 혈장 농도/시간 프로파일 및 PK 계수를 제1일(=단일 투약 조건)에 관찰하였고 제7일(=예상된 안정 상태 조건)의 것들과 비교하였다.
분석 절차:
연구 샘플을 검증된 HPLC-UV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기간 동안 분석 절차를 분석 횟수당 두 개의 보정 곡선에 의해 검증하였다. 보정 곡선상에 나타난 데이터의 크로마토그램 및 품질 관리 샘플의 검사는 본 연구를 위한 전체 및 프리 실리비닌 A 및 실리비닌 B 농도의 측정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PK 특성들을 다음의 표에 요약하였다:
Figure 112010034243517-pct00016
Figure 112010034243517-pct00017
실시예 4:
실리마린, 실리비닌, 실리비닌 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 디소듐염, 및 숙신산의 세포 독성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마우스 세포주 L929를 사용하는 XTT 시험에 의한 인 비보 연구를 수행하였다 (D.A. Scudiero et al., Cancer Res. 48, 4827-33; O.S. Weislow et al., J. Natl. Cancer Inst., 81 , 577-86; N.W. Roehm et al., J. Immunol. Methods, 142 참조).
다음 농도의 시험 아이템을 시험하였다: 9.77, 19.53, 39.06, 78.13, 156.25, 312.5, 625, 1250 μg/mL. 음성 대조구로서 완전 배지(10% (v/v) FCS를 함유하는 RPMI 1640)를 사용하였다. 시험 아이템용 용매 대조구는 10% (v/v) FCS) 및 1% DMSO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였다. 양성 대조구용 용매 대조구는 또한 10% (v/v) FCS 및 10.0% (v/v) 탈이온수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였다. 양성 대조구로서 SDS를 사용했다. 다음의 농도들을 적용했다: 3.125, 6.25, 12.5, 25, 50, 100, 125, 250 μg/mL. 37 ± 1.5℃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했다.
음성 대조구 및 용매 대조구는 세포 생존에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양성 대조구(SDS)는 세포 생존에서 구별되는 투약-연관 감소를 유발했다.
39.06 μg/mL 부터 최고 시험 농도(1250 μg/mL)까지의 실리마린으로 배양 후 독성 효과를 관찰하였다. 산출된 XTT50 값은 35.2 μg/mL이었다.
78.13 μg/mL 부터 최고 시험 농도(1250 μg/mL)까지의 실리마린으로 배양 후 독성 효과를 관찰하였다. 산출된 XTT50 값은 67.5 μg/mL이었다.
최고 시험 농도(1250 μg/mL)까지의 실리비닌-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 소듐 염으로 배양 후 관련된 세포 독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 독성의 부족으로 인해, XTT50 값을 산출하지 못했다.
최고 시험 농도(1250 μg/mL)까지의 숙신산으로 배양 후 관련된 세포 독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독성의 부족으로 인해, XTT50 값을 산출하지 못했다.
이러한 실험들은, 주어진 조건 하에서, 실리마린의 세포 독성 가능성이 실리비닌의 세포독성 가능성보다 거의 100%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리비닌은 심각한 부작용 없이 실리마린보다 더 높은 투여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실시예 5:
NS5B RNA-의존 RNA 폴리머라제(RdRp)는 바이러스 복제의 필수 효소이다 (S.B. Hwang et al., Virology 1997, 227, 439-46 참고). 다음의 순수 화합물을 HCV RdRp 활성의 검출을 위한 세포-프리 효소 검사에서 시험하였다: 실리비닌 A, 실리비닌 B, 이소실리비닌 A, 이소실리비닌 B, 실리크리스틴, 실리디아닌, 및 실리비닌 에스테르 실리비닌-C-2',3-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디소듐 (Legalon® SIL의 활성 성분).
100% DMSO 중의 화합물의 저장용액(100 mM)을 제조하였다. 모든 반응들에서 DMSO의 농도를 5%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본 연구의 표적 효소는 HCV NS5BΔ21 폴리머라제 유전자형 J4 (1b)였다.
도 11은 실리마린의 6가지 정제된 구성성분(실리비닌 A, 실리비닌 B, 이소실리비닌 A, 이소실리비닌 B, 실리크리스틴 및 실리디아닌)에 대해 생성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리비닌 에스테르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실리비닌 에스테르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비닌 에스테르의 IC50 값은 두 개의 측정값의 투여량-반응 곡선으로부터 측정하였다. 측정된 IC50 값은 47±14 μM였다. 곡선은 데이터 지점과 일치하였고 IC50 값은 SigmaPlot 8.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얻어진 곡선으로부터 외삽하였다.

Claims (21)

  1.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제형화되고, 실리비닌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실리비닌 성분은 실리비닌 C-2',3-비스(히드로겐숙시네이트)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것의 염이고, 상기 바이러스성 간염은 C형 간염인 약제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실리디아닌 및/또는 실리크리스틴 및/또는 이소실리비닌을 함유하지 않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주사 또는 주입을 위해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정맥 투여를 위해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실리비닌 성분 이외의, 실리마린의 어느 다른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실리마린의 어느 다른 성분은 이소실리비닌, 실리디아닌, 실리크리스틴, 탁시폴린, 이소실리크리스틴, 실리모닌, 실란드린, 실리헤르민 및 네오실리헤르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약제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실리비닌을 기준으로 최소한 50 mg의 투여량으로 실리비닌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실리비닌 성분 이외의 추가의 약제를 함유하고,
    추가의 약제는 리바비린, 페그인터페론 알파-2b 및 페그인터페론 알파-2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간염 환자에게서 바이러스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간 이식을 받을 또는 간 이식을 받은 환자에게서 바이러스성 간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리바비린/인터페론 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서 바이러스성 간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리바비린, 페그인터페론 알파-2b 및 페그인터페론 알파-2a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제와 함께 바이러스성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바이러스성 간염의 치료에 이어서, 바이러스성 간염의 치료가 또 다른 약제에 의해 이루어지고,
    다른 약제는 리바비린, 페그인터페론 알파-2b 및 페그인터페론 알파-2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속 치료의 구성성분으로 제제화되고, 상기 조성물은 처음에 제1 기간 동안에 투여되고 순차적으로 또 다른 약제가 제2 기간 동안에 투여되고,
    다른 약제는 리바비린, 페그인터페론 알파-2b 및 페그인터페론 알파-2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기간은 최소한 2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9. 삭제
  20. 제16항에 있어서, 다른 약제는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21. 제1항에 정의된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약제를 포함하는 키트로,
    다른 약제는 리바비린, 페그인터페론 알파-2b 및 페그인터페론 알파-2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제를 함유하는 키트.
KR1020107011714A 2007-11-15 2008-11-14 간염치료용 실리비닌 성분 KR101435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8816807P 2007-11-15 2007-11-15
EP07022187 2007-11-15
EP07022187.4 2007-11-15
US60/988,168 2007-11-15
EP08005459 2008-03-25
EP08005459.6 2008-03-25
PCT/EP2008/009659 WO2009062737A1 (en) 2007-11-15 2008-11-14 Silibinin component for the treatment of hepatit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981A KR20100094981A (ko) 2010-08-27
KR101435242B1 true KR101435242B1 (ko) 2014-08-29

Family

ID=4025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714A KR101435242B1 (ko) 2007-11-15 2008-11-14 간염치료용 실리비닌 성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20110182858A1 (ko)
EP (2) EP2392326B9 (ko)
JP (1) JP5349486B2 (ko)
KR (1) KR101435242B1 (ko)
CN (1) CN102300570B (ko)
AT (1) ATE525070T1 (ko)
AU (1) AU2008323156B2 (ko)
CA (1) CA2703834C (ko)
DK (1) DK2219642T3 (ko)
ES (2) ES2662700T3 (ko)
HK (1) HK1142270A1 (ko)
MX (1) MX2010005107A (ko)
PL (2) PL2219642T3 (ko)
PT (1) PT2219642E (ko)
WO (1) WO2009062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4341B2 (en) 2009-05-14 2013-12-24 Euromed S.A. Amorphous silibinin for the treatment of viral hepatitis
WO2011051742A1 (en) * 2009-10-28 2011-05-05 Modutech S.A. Preparation comprising amino acids and plants and its activity in the alcohol detoxification
AU2013201532B2 (en) 2011-10-21 2014-10-02 Abbvie Ireland Unlimited Company Methods for treating HCV
US8492386B2 (en) 2011-10-21 2013-07-23 Abbvi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CH707029B1 (de) 2011-10-21 2015-03-13 Abbvie Inc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HCV, umfassend mindestens zwei direkt wirkende antivirale Wirkstoffe, Ribavirin, aber nicht Interferon.
US8466159B2 (en) 2011-10-21 2013-06-18 Abbvie Inc. Methods for treating HCV
US20160324795A1 (en) * 2014-01-27 2016-11-10 Kaohsiung Medical University Silibinin nanoparticle and a method of treating hepatitis c thereof
EP3111484B1 (en) * 2014-02-26 2023-09-06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Process of forming a photoactive layer of a perovskite photoactive device
AU2015329609B2 (en) * 2014-10-09 2021-01-21 Distretto Tecnologico Sicilia Micro E Nano Sistemi S.C.A.R.L. Nanostructured formulations for the delivery of silibinin and other active ingredients for treating ocular diseases
WO2017059447A1 (en) * 2015-10-02 2017-04-06 PACHECO, Theresa Topical silibinin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or
US11192914B2 (en) 2016-04-28 2021-12-07 Emory University Alkyne containing nucleotide and nucleoside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uses related thereto
CN111841501A (zh) * 2020-06-23 2020-10-30 五邑大学 一种治疗炎症性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WO2023008981A1 (ko) * 2021-07-30 2023-02-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이의 이용
CN117269374B (zh) * 2023-11-22 2024-01-16 汤臣倍健股份有限公司 一种水飞蓟提取物中人为掺假的鉴别方法
CN117919256B (zh) * 2024-03-25 2024-05-24 潍坊众邦制药有限公司 一种含有药用甾醇活性物质组合物在制备治疗肝炎的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9254B1 (en) * 1999-04-19 2005-02-01 Schering Corporation HCV combination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1765A (en) * 1973-01-19 1977-12-06 Dr. Madaus & Co. Polyhydroxyphenylchromanone salts and therapeutic composition
DE3442639A1 (de) * 1984-11-22 1986-05-22 Dr. Madaus & Co, 5000 Köln Flavolignan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arzneimittel, d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
DE3537656A1 (de) 1984-11-22 1986-05-22 Dr. Madaus GmbH & Co, 5000 Köl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sosilybinfreiem silibinin und arzneimittel, enthaltend silibinin
IT1215291B (it) 1985-07-17 1990-01-31 Inverni Della Beffa Spa Complessi di flavanolignani con fosfolipidi, loro preparazione e relative composizioni farmaceutiche.
IT1241673B (it) 1989-10-09 1994-01-27 Istituto Biochimico Italiano Complessi di inclusione di silibinina con ciclodestrina, loro preparazione e composizioni farmaceutiche che li contengono.
DE4401902C2 (de) * 1994-01-24 2000-02-03 Madaus Ag Verwendung von Flavolignanen als Adjuvans in der Tumortherapie
EP1056464A1 (en) * 1998-02-27 2000-12-06 Nutramax Laboratories, Inc. L-ergothioneine, milk thistle, and s-adenosylmethionine for the prevention, treatment and repair of liver damage
US6262019B1 (en) * 1998-04-30 2001-07-17 Vit-Immune, L. C. Method of treatment of glutathione deficient mammals
NZ511721A (en) * 1998-11-24 2004-07-30 Hollis Eden Pharmaceuticals Use of 17-ketosteroid compounds and derivatives, metabolites and precursors thereof in the treatment of hepatitis C virus and other togaviruses
WO2002067853A2 (en) * 2000-10-06 2002-09-06 Probiochem, Llc A combination and method of treatment of hiv and viral diseases, vascular disease and cancer utilizing a cox-2 inhibitor and cystine
US6699900B2 (en) 2001-04-07 2004-03-02 Jan E. Zielinski Hydrophilic and lipophilic silibinin pro-forms
CN100451501C (zh) 2003-08-26 2009-01-14 株式会社东芝 冰箱
US7078064B2 (en) * 2003-12-03 2006-07-18 George Zabrecky Compositions and methods useful for treating and preventing chronic liver disease, chronic HCV infection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N1762345A (zh) 2005-09-29 2006-04-26 丛晓东 一种水飞蓟宾注射剂及其制备方法
CN100389767C (zh) * 2005-09-30 2008-05-28 天津药物研究院 一种含活性成分水飞蓟宾及其盐经注射给药的稳定的药物组合物
CN100534992C (zh) * 2005-12-26 2009-09-02 浙江海正药业股份有限公司 水飞蓟宾酯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制备药物的用途
CN101244059B (zh) 2008-03-31 2010-11-17 广州佳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复方水飞蓟宾注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439018A (zh) 2008-11-11 2009-05-27 扬子江药业集团四川海蓉药业有限公司 一种静脉注射用水飞蓟宾类化合物乳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9254B1 (en) * 1999-04-19 2005-02-01 Schering Corporation HCV combination therapy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Hepatology. Vol. 39, No. 3, pp.333-340(2003.) *
Journal of Hepatology. Vol. 39, No. 3, pp.333-340(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2326B1 (en) 2018-01-24
EP2392326A1 (en) 2011-12-07
CN102300570A (zh) 2011-12-28
PT2219642E (pt) 2011-10-18
ES2662700T9 (es) 2018-08-27
WO2009062737A1 (en) 2009-05-22
PL2392326T3 (pl) 2018-07-31
US20110182858A1 (en) 2011-07-28
PL2219642T3 (pl) 2012-02-29
EP2219642B1 (en) 2011-09-21
JP2011503133A (ja) 2011-01-27
CA2703834A1 (en) 2009-05-22
US9248115B2 (en) 2016-02-02
HK1142270A1 (en) 2010-12-03
CA2703834C (en) 2014-05-20
ATE525070T1 (de) 2011-10-15
AU2008323156B2 (en) 2012-05-31
DK2219642T3 (da) 2011-12-05
JP5349486B2 (ja) 2013-11-20
AU2008323156A1 (en) 2009-05-22
MX2010005107A (es) 2010-05-27
CN102300570B (zh) 2015-01-14
EP2392326B9 (en) 2018-09-05
EP2219642A1 (en) 2010-08-25
US20130236420A1 (en) 2013-09-12
ES2662700T3 (es) 2018-04-09
KR20100094981A (ko) 2010-08-27
ES2374117T3 (es) 201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242B1 (ko) 간염치료용 실리비닌 성분
JP5841048B2 (ja) ウイルス性肝炎の治療のための非晶質シリビニン
KR20230058107A (ko) 항바이러스 화합물 제형
MX2010013522A (es) Uso de telaprevir en combinacion con interferon pegilado y ribavirina para tratar el virus de la hepatitis c.
RU2482844C2 (ru) Силибининовый компонент для лечения гепатита
WO2015197535A1 (en) Modifi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sofosbuvir and ribavirin
BRPI0820640A2 (pt) componente de silibinina para o tratamento de hepatite
US20170087174A1 (en) Combination therapy regimen for treatment of hcv
JP5592935B2 (ja) 熊胆の高分子抽出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と使用
WO2013168179A2 (e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antiviral agents
KR20170026242A (ko)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165859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vitamin k2-7 in combination with vitamin k-1 in purest form
JP2023548863A (ja) テトラヒドロカンナビノールおよびそれを含む組成物を用いて急性呼吸不全および/または急性呼吸窮迫症候群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JP2012524728A5 (ko)
WO2018017989A1 (en) Combination therapy regimen for treatment of selected hcv genoty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