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180B1 - 스트레칭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180B1
KR101435180B1 KR1020130046294A KR20130046294A KR101435180B1 KR 101435180 B1 KR101435180 B1 KR 101435180B1 KR 1020130046294 A KR1020130046294 A KR 1020130046294A KR 20130046294 A KR20130046294 A KR 20130046294A KR 101435180 B1 KR101435180 B1 KR 101435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ing
hooking
tubular wire
circumferential surface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핑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핑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핑고
Priority to KR102013004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180B1/ko
Priority to PCT/KR2014/003544 priority patent/WO201417565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63B23/1254Rotation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dy, e.g. butterfly-type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을 걸어 간편하게 스트레칭 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걸이구본체와, 상기 걸이구본체에 연결되어 스트레칭 운동을 하기 위한 고탄성의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튜브형와이어가 고정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걸이구본체를 서로 맞대는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된 상기 걸이구본체의 외주면에 생기는 권취부에 길이가 긴 상기 튜브형와이어를 반으로 접어서 감은 후 크기를 축소시키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칭 운동기구{STRETCHING EXC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된 한 쌍의 걸이구본체에 연결되는 탄성재질의 튜브형와이어로 구성함으로써 손가락을 걸어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걸이구본체의 외주면에 튜브형와이어를 감아 보관하거나 휴대하고 다니다가 수시로 스트레칭 운동을 수시로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 전·후 또는 일상을 생활하는데에 있어, 무리한 근육운동에 의해 부상을 방지하거나 및 건강증진을 위하여 스트레칭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트레칭은 기본적으로 통상 팔·다리등 신체부위를 통해 스트레칭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기구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어 스트레칭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들은 전신 또는 신체의 국부적 운동을 하기 위한 것으로, 부피가 크고 무게감이 있어 좁은 공간에서는 운동을 할 수 없었으며, 사용 후 보관하거나 휴대하고 다니기에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대부분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팔이 짧은 어린이나 근력이 약한 여성들에게는 오히려 운동효과가 떨어지거나 무리한 운동을 하게 되어 잘못 사용하는 경우 근육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2199호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체 스트레칭(운동)기구로 양 손잡이의 재질은 웨빙으로 하고,손잡이의 형태는 웨빙끝과 끝을 원형으로 접어서 손과 고무줄이 구분하여 들어갈 수 있도록 결합시키고, 손잡이와 고무줄의 결합은 고무줄이 들어갈 수 있도록 구분된 곳으로 고무줄을 통과시켜 고무줄끼리 테프론링크와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탄력 고무줄은 길이가 같고 평형이 되도록 링으로 고정시킨 다기능 스트레칭(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반복되는 스트레칭에 의해 고무줄의 결합부가 끊어지는 문제가 있고 비교적 크기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10312호는 길이 조절이 용이한 완력기에 관한 것으로서, 밴드 삽입공(11)을 갖는 한 쌍의 손잡이(0)와, 상기 양 손잡이(10)의 밴드 삽입공(11)을 통과하여 양손잡이(10)를 연결하는 탄력밴드(20)와, 상기 탄력밴드(20)의 양단 및 중앙이 걸림 고정되는 길이 조절기(30)로 구성되며, 상기 길이 조절기(30)는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몸체(31) 중앙과 근접한 곳부터 제 1걸림공(33), 제2 걸림공(34)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되 제 1, 제 2 걸림공(33)(34)은 몸체(31)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위 구성으로서 탄력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이 맞추어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걸이구본체에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튜브형와이어를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손가락을 걸어서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걸이구본체와 튜브형와이어를 간편하게 조립하면서도, 높은 인장력 및 내구성을 갖도록 이루어진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걸이구본체의 외주면에 권취부를 형성함으로써 스트레칭 운동 후에 길이가 긴 튜브형와이어를 반으로 접어서 권취하여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휭거인장식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넣어 보관하거나 휴대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가락을 걸어 잡아당길 때 손가락에 가해지는 압박은 최소화하면서도 그립감은 양호하도록 하고, 손가락으로 당기는 힘에 대해 반발력을 제공하여 손가락의 근력 운동도 함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일단부에 체결구멍에 형성되어 있고,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되는 걸이구본체; 일정길이를 가지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당김방향으로 연신되는 튜브형와이어; 상기 튜브형와이어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구본체의 체결구멍과 상기 튜브형와이어가 억지 끼움되는 끼움식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일단부에 체결구멍에 형성되어 있고,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되는 걸이구본체; 일정길이를 가지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당김 방향으로 연신되는 튜브형와이어; 상기 튜브형와이어를 상기 체결구멍에 관통시킨 후 그 단부에 매듭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멍에는 매듭부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매듭부 수용홈 입구를 마감하는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매듭식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걸이구본체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은 손가락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그 내주면은 곡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구본체의 내주면에는 쿠션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손가락보호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본체의 내주면에는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손가락보호부재의 외주면에는 체결홈이 인입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끼움식 고정부재는 멈춤부와 가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멈춤부는 상기 걸이구본체의 체결구멍 외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걸이구본체의 체결구멍 내주면과 상기 튜브형와이어간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가압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형와이어의 외경은 상기 걸이구본체의 체결구멍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형와이어의 내경은 상기 끼움식 고정부재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돌기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식 고정부재를 상기 튜브형와이어 관내로 삽입은 용이하면서 인장력 작용 시 상기 튜브형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이구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튜브형와이어가 권취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형와이어가 상기 걸이구본체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날개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걸이구본체의 외주면에 반으로 접어 겹쳐진 상기 튜브형와이어를 일측방향으로 권취한 후 그 절곡부위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이편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걸이구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조립홈과 조립돌기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에 의해 착탈될 수 있으며, 상기 걸이구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영구자석과 자성체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에 의해서도 착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이구본체와 착탈식으로 조립 또는 분리되는 보조파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파지부재는 밴드형 또는 스틱형 또는 걸고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걸이구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 조립홈과 조립돌기로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서로 대칭적위치에 형성된 또 다른 걸이구본체와 상대적으로 조립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두 쌍의 스트레칭운동기구를 이용하여 2열의 튜브형와이어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구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 영구자석과 자성체로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서로 대칭적위치에 형성된 또 다른 걸이구본체와 상대적으로 조립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두 쌍의 스트레칭운동기구를 이용하여 2열의 튜브형와이어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의하면, 튜브형와이어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무리한 근육 운동에 의해 통증을 최소화하면서 건강증진을 위하여 스트레칭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걸이구본체에 연결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튜브형와이어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손가락을 걸이구본체에 걸어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좁은 실내공간에서 등과 같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스트레칭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의하면, 걸이구본체의 외주면에 권취부가 형성되어 스트레칭 운동 전·후에는 길이가 긴 튜브형와이어를 권취하여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머니나 가방 등에 보관 또는 휴대하고 다니기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의하면, 걸이구본체에 추가로 연결되는 보조파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밴드형 또는 스틱형 또는 걸고리형의 보조파지부재를 걸이구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세로 스트레칭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팔 길이가 짧은 어린이나 근력이 약한 노약자나 여성들에게도 탁월한 스트레칭 운동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의하면, 상기 걸이구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서로 대칭적위치에 형성된 또 다른 걸이구본체와 상대적으로 조립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두 쌍의 스트레칭운동기구를 이용하여 2열의 튜브형와이어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권취부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권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권취부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권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의한 스트레칭 운동기구(100)는,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걸이구본체(10)와, 상기 걸이구본체(10)에 연결되어 스트레칭 운동을 하기 위한 고탄성의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튜브형와이어(20)가 고정부재(3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구성으로서, 손가락을 걸이구본체(10)에 걸어 간편하게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100)는 스트레칭 운동 전·후에 튜브형와이어(20)를 걸이구본체(10)의 외주면에 권취하도록 함으로써 주머니나 가방에 휴대하거나 보관하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걸이구본체(10)는 분리되었을 때 양손의 손가락에 걸어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는 걸이구로 사용하게 된다.
스트레칭 운동 후에는 한 쌍의 걸이구본체(10)를 서로 맞대는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된 걸이구본체(10)의 외주면에 생기는 권취부(40)에 길이가 긴 튜브형와이어(20)를 반으로 접어서 감은 후 크기를 축소시키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전술한 걸이구본체(10)의 외주면에 생기는 권취부(40)를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걸이구본체(10)의 결합에 따른 제 1 일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구본체(10)의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 조립홈(18a)과 조립돌기(18b)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8)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구본체(10)의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 영구자석(18c)과 자성체(18d)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8)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걸이구본체(10)의 조립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걸이구본체(10)를 서로 맞대어 포개는 방식으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8)에 의해 결합된 한 쌍의 걸이구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권취부(40)에는 상기 튜브형와이어(20)를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튜브형와이어(20)가 상기 권취부(40)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쌍의 걸이구본체(1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지지날개(12)가 더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날개(12)는 도 5 및 도 6a,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형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튜브형와이어(20)를 반으로 접은 다음 권취부(40)에 감아 보관할 때 지지날개(12)에 의해 튜브형와이어(20)가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고 간편하게 권취부(40)에 감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형와이어(20)는 반으로 접어서 2겹으로 겹친 다음 지지날개(12)가 포함된 권취부(40)에 권취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마련된다.
예컨대, 튜브형와이어(20)를 반으로 접어 2겹으로 겹치면서 생긴 절곡 부위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권취부(40)에는 한 쌍의 걸이편(16)이 더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걸이편(16)은 도 도 5 및 도 6a,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40)의 중앙에 위치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구본체(10)가 결합되는 조립면(11)을 기준으로 2 분할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단위걸이편(16a,16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위걸이편(16a,16b)은 각각의 상기 걸이구본체(10)의 조립면(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구본체(10)가 서로 맞대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상기 권취부(40)를 형성하면서 걸이편(16)도 함께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튜브형와이어(20)는 상기 권취부(40)에 감긴 후에 반으로 접혀지면서 생긴 절곡 부위가 상기 걸이편(16)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편(16)은 튜브형와이어(20)를 권취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절곡부(21)가 걸린 후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면에 걸이홈(16c)이 인입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사용한 후에 튜브형와이어(20)를 반으로 접은 다음 권취부(40)에 감고 그 절곡부(21)를 걸이편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길이가 긴 튜브형와이어(20)를 걸이구본체(10)의 외주면에 간편하게 감아 보관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할 수 있으므로 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휴대하고 다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이구본체(10)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은 손가락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스트레칭 운동 시 생기는 손가락의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곡면 형상으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걸이구본체(10) 내주면에는 쿠션재질(EVA) 또는 탄성재질(실리콘)로 이루어진 손가락보호부재(14)가 형성된다.
전술한 손가락보호부재(14)와 상기 걸이구본체(1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걸이구본체(10)의 내주면에는 체결돌기(10a)가 돌출 형성되고, 손가락보호부재(14)의 외주면에는 체결홈(14a)이 인입 형성되어 서로 일체로 결합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을 걸이구본체(10)에 걸어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손가락 안쪽에 가해지는 압박에 의한 통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또는 여성과 같이 압박감을 많이 느끼는 사용자에게 손가락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최소화시켜 스트레칭 운동에 대한 거부감이 느끼지 않도록 하여 오랫동안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손가락보호부재가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실리콘 재질의 탄성 경도에 따라 손가락을 걸어 잡아당길 때 탄성 반발력이 함께 작용함으로써 전신 스트레칭 운동효과와 함께 손가락의 근력 운동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튜브형와이어(20)는 일정길이를 가지며, 신축성이 우수한 탄성재질(연신율이 뛰어난 의료용 라텍스를 적용)로 이루어져 당김 방향으로 고탄력으로 연신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튜브형와이어(20)의 길이는 걸이구본체(10)의 권취부 외주연의 둘레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의 2배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형와이어(20)를 반으로 접어 걸이구본체(10)의 외면에 감아 보관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이구본체(10)와 상기 튜브형와이어(20)의 결합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30)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튜브형와이어(20)의 단부를 상기 걸이구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구멍(10b)에 삽입하고 체결구멍(10b)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단턱부(10c)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식 고정부재(31)를 억지 끼움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식 고정부재(31)는 멈춤부(31a)와 복수의 가압돌기(31c)가 형성된 가압부(31b)로 구성된다.
상기 걸이구본체(10)의 체결구멍(10b)에 상기 튜브형와이어(20)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31a)는 상기 단턱부(10c)에 걸려 튜브형와이어(20)를 당기는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31b)는 끼움식 고정부재(31)를 상기 튜브형와이어(20)의 구멍 내부로 끼운 후 상기 체결구멍(10b)에 억지 끼움될 때 상기 체결구멍(10b)의 내주면과 상기 튜브형와이어(20)의 외주면과의 표면 마찰력을 최대로 증대시켜 튜브형와이어(20)가 인장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마찰력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튜브형와이어(20)의 외경은 상기 걸이구본체(10)의 체결구멍(10b)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형와이어(20)의 내경은 상기 끼움식 고정부재(31)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끼움식 고정부재(31)의 가압부(31b)에 형성되는 가압돌기(31c)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식 고정부재(31)를 상기 튜브형와이어(20) 관내로 삽입은 용이하면서 튜브형와이어(20)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상기 튜브형와이어(20)가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튜브형와이어(20)의 단부를 상기 걸이구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체결구멍(10b)에 삽입하여 관통시킨 후 그 단부에 매듭부(20a)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구멍(10b)에 인입 형성된 수용홈(10d)에 상기 매듭부(20a)를 안착시키고 매듭부(20a)가 수용홈(10d)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스냅식으로 체결되는 매듭식 고정부재(32)로 고정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매듭부(20a)의 상부에는 접착제를 충진하여 접착층(20b)을 형성하고 매듭식 고정부재(32)로 마감함으로써 매듭부(20a)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매듭식 고정부재(32)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체결구멍(10b)에 대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단턱지게 형성된 수용홈(10d)에 걸려 지지되는 매듭부(20a)에 의하여 튜브형와이어(20)에 고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튜브형와이어(20)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 매듭부(20a)와 매듭식 고정부재(32)사이에는 접착제가 충진되어 접착층(20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매듭부(20a)는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고인장력에 대해 풀리지 않는 견고한 내구성을 갖는 고정구조를 갖게 되어 오랜 기간 스트레칭 운동을 하더라도 튜브형와이어(20)와 걸이구본체(10)가 분리되어 파손되지 않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로 팔이 짧은 어린이나 근력이 약한 여성들이 스트레칭 할 때 손가락을 걸어 잡아당기는 방식 외에도 팔이나 목, 그리고 발에 끼워서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구본체(10)에는 보조파지부재(50)를 추가로 연결하여 손가락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여성들이 손 전체를 끼우거나 목 또는 발 등에 끼워서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파지부재(50)는 상기와 같이 신체에 걸어 잡아당기면 운동을 할 때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형으로 구성되거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틱형 또는 걸고리형의 보조파지부재(50)를 상기 걸이구본체(10)에 착탈식으로 조립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공지의 연결부재(50a)를 이용하여 추가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파지부재(50)는 밴드형 또는 스틱형 또는 걸고리형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트레칭 운동기구(100)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수시로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넓은 공간에서는 보조파지부재(50)를 추가로 연결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칭 운동 메뉴얼에 의해 맞게 보조파지부재(50)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스트레칭 운동기구(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2 개의 스트레칭 운동기구(100)를 병렬로 연결하여 스트레칭 운동효과를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걸이구본체(10)의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 조립돌기(118a)와 조립홈(118b)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18)가 형성되거나, 다른 실시예로 영구자석(118c)과 자성체(118d)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18)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118)는 제 2의 스트레칭 운동기구(100)의 걸이구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재(118)와 서로 대칭적으로 체결됨으로써 2 쌍의 스트레칭운동기구(100)를 일체로 연결되어 2열의 튜브형와이어(20)를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결합 된 2 쌍의 스트레칭운동기구(100)는 튜브형와이어(20)가 2열로 구성됨에 따라 당김방향으로 인장력이 더욱 높아져, 스트레칭 운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100; 스트레칭 운동기구
10; 걸이구본체
12; 지지날개
14; 손가락보호부재
16; 걸이편
18; 결합부재
20; 튜브형와이어
30; 고정부재
40; 권취부
50; 보조파지부재
118; 연결부재

Claims (18)

  1. 일단부에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걸이구본체;
    일정길이를 가지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당김방향으로 연신되는 튜브형와이어;
    상기 튜브형와이어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구본체의 체결구멍과 상기 튜브형와이어가 억지끼움되도록하는 끼움식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구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튜브형와이어를 감아 보관할 수 있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2. 일단부에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손가락 걸이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걸이구본체;
    일정길이를 가지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당김방향으로 연신되는 튜브형와이어;
    상기 튜브형와이어를 상기 체결구멍에 관통시킨 후 그 단부에 매듭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멍에는 매듭부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 입구를 마감하는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매듭식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은 손가락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그 내주면은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튜브형와이어를 감아 보관할 수 있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의 내주면에는 쿠션재질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손가락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 내주면에는 체결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손가락보호부재의 외주면에는 체결홈이 인입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7.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멈춤부와 가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멈춤부는 상기 걸이구본체의 체결구멍 외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걸이구본체의 체결구멍 내주면과 상기 튜브형와이어간의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멈춤부와 가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멈춤부는 상기 걸이구본체의 체결구멍 외측 가장자리에 걸리는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걸이구본체의 체결구멍 내주면과 상기 튜브형와이어간의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9.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와이어의 외경은 상기 걸이구본체의 체결구멍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형와이어의 내경은 상기 고정부재의 외경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튜브형와이어 관내로 삽입은 용이하면서 인장력 작용 시 상기 튜브형와이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튜브형와이어를 반으로 접어서 권취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형와이어가 상기 걸이구본체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날개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의 외주면에 반으로 접어서 상기 튜브형와이어를 일측방향으로 권취한 후 그 절곡부위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걸이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조립홈과 조립돌기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에 의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의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는 영구자석과 자성체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에 의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와 착탈식으로 조립 또는 분리되는 보조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파지부재는 밴드형 또는 스틱형 또는 걸고리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 조립홈과 조립돌기로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서로 대칭적위치에 형성된 또 다른 걸이구본체와 상대적으로 조립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두 쌍의 스트레칭운동기구를 이용하여 2열의 튜브형와이어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본체는 서로 마주하는 일측면에 영구자석과 자성체로 이루어진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서로 대칭적위치에 형성된 또 다른 걸이구본체와 상대적으로 조립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두 쌍의 스트레칭운동기구를 이용하여 2열의 튜브형와이어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20130046294A 2013-04-25 2013-04-25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435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294A KR101435180B1 (ko) 2013-04-25 2013-04-25 스트레칭 운동기구
PCT/KR2014/003544 WO2014175654A1 (ko) 2013-04-25 2014-04-23 스트레칭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294A KR101435180B1 (ko) 2013-04-25 2013-04-25 스트레칭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180B1 true KR101435180B1 (ko) 2014-08-29

Family

ID=5175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294A KR101435180B1 (ko) 2013-04-25 2013-04-25 스트레칭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5180B1 (ko)
WO (1) WO201417565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21A1 (ko) * 2015-06-22 2016-12-29 전석필 운동 기구
KR20210046383A (ko) 2019-10-18 2021-04-28 정성관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WO2021256718A1 (ko) * 2020-06-15 2021-12-23 조새한별 끈 결속구, 끈 결속구를 이용한 운동기구, 운동 보조기구용 틀 및 운동 보조기구용 틀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017Y1 (ko) * 2004-02-25 2004-06-14 김정순 줄넘기
KR20060072851A (ko) * 2004-12-24 2006-06-28 김관수 줄넘기용 운동 기구
KR100905049B1 (ko) * 2008-11-03 2009-06-30 이복술 다용도 운동기구
JP2012239861A (ja) * 2011-05-20 2012-12-10 Uchida Hanbai System:Kk 把持する運動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413A (ja) * 1998-03-05 1999-09-14 Takashi Watanabe 健康促進器具
JP2003339907A (ja) * 2002-05-27 2003-12-02 Kiwata Seni Kogyosho:Kk エキスパンダ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017Y1 (ko) * 2004-02-25 2004-06-14 김정순 줄넘기
KR20060072851A (ko) * 2004-12-24 2006-06-28 김관수 줄넘기용 운동 기구
KR100905049B1 (ko) * 2008-11-03 2009-06-30 이복술 다용도 운동기구
JP2012239861A (ja) * 2011-05-20 2012-12-10 Uchida Hanbai System:Kk 把持する運動用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21A1 (ko) * 2015-06-22 2016-12-29 전석필 운동 기구
KR20210046383A (ko) 2019-10-18 2021-04-28 정성관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KR102284181B1 (ko) * 2019-10-18 2021-07-29 정성관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WO2021256718A1 (ko) * 2020-06-15 2021-12-23 조새한별 끈 결속구, 끈 결속구를 이용한 운동기구, 운동 보조기구용 틀 및 운동 보조기구용 틀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기구
US11944860B2 (en) 2020-06-15 2024-04-02 Find Your Beauty Rope fastener, exercise equipment using rope fastener, frame for exercise aid, and exercise aid including frame for exercise a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5654A1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1357B2 (en) Tensile exercise device
US7141012B2 (en) Exercising device having a ball body
US8021284B2 (en) Exercise device
TWM335293U (en) Elastic pulling-force rope for the dragrope exercise machine
US20120295777A1 (en) Grab-And-Use Exercise Strap
KR101435180B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US20200023223A1 (en) Flat resistance band with releasable connectible ends for creating a releasable flat loop resistance band
US20120302412A1 (en) Exercise apparatus
US11344763B1 (en) Friction-spreader grip assembly for resistance band exercise
US7431680B1 (en) Reciprocation-pull static line exercising assembly
JP2007021160A (ja) ストレッチ体操具
US20050227814A1 (en) Exercise device
JP3203488U (ja) ロープ状トレーニング具
KR200460697Y1 (ko) 근력강화기구
JP2003265644A (ja) 運動補助器具
KR200456732Y1 (ko) 휴대가 용이한 어깨통증 예방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JP3132216U (ja) 運動補助器具
KR200353032Y1 (ko) 탄성케이블을 구비한 운동기구
JP3167460U (ja) 中空のボールを袋に入れ手たたき器具。
KR200491684Y1 (ko) 줄넘기
CN218740039U (zh) 一种警校训练用负重装置
KR101356419B1 (ko)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JP3128960U (ja) 多用途強力補助ベルト
TW311887B (ko)
KR200480075Y1 (ko) 운동용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