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383A -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383A
KR20210046383A KR1020190130025A KR20190130025A KR20210046383A KR 20210046383 A KR20210046383 A KR 20210046383A KR 1020190130025 A KR1020190130025 A KR 1020190130025A KR 20190130025 A KR20190130025 A KR 20190130025A KR 20210046383 A KR20210046383 A KR 20210046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ire
fixing member
wire
tube
stretching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181B1 (ko
Inventor
정성관
Original Assignee
정성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관 filed Critical 정성관
Priority to KR102019013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1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쌍의 손가락 손잡이 걸이구를 튜브형 와이어로 연결하여 손가락을 걸어 잡아 당기면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손잡이 걸이구의 조립 구멍에 튜브 와이어의 단부를 삽입한 후 고정 부재를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고정 부재의 삽입부가 방사상으로 등각 분할하여 삽입시 오므라지면서 튜브 와이어 내부에 원활히 삽입하게 되고, 상기 고정 부재 내부로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삽입부를 외측으로 벌리면서 조립 구멍에 가압되어 억지 결합에 의한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므로 스트레칭 운동시 튜브 와이어 단부가 이탈 방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내구성을 종래보다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Wire fixing apparatus for stretching athletic goods}
본 발명은 한쌍의 손가락 손잡이 걸이구를 튜브형 와이어로 연결하여 손가락을 걸어 잡아 당기면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손가락 손잡이 걸이구의 조립 구멍에 튜브 와이어의 단부를 결합부재에 의해 억지 결합하되,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튜브 와이어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억지 결합하면서 스트레칭 운동시 이탈됨을 방지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 전·후 또는 일상에서 무리한 근육운동에 의해 부상을 방지하거나 및 건강증진을 위하여 스트레칭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트레칭은 기본적으로 팔·다리 등의 신체부위를 이용해 스트레칭을 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기구가 판매되고 있어 이를 이용하므로 스트레칭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들은 전신 또는 신체의 국부적 운동을 하기 위한 것으로, 부피가 크고 무게감이 있어 좁은 공간에서는 손쉽게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 사용 후 보관이나 휴대하기에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2199호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상체 스트레칭(운동)기구로 양손잡이를 다수의 탄력 고무줄로 연결하여 스트레칭 운동하는 것이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0312호는 길이 조절이 용이한 완력기로서, 한 쌍의 손잡이를 탄력 밴드로 연결하되, 상기 탄력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운동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들은 비교적 크기가 커서 휴대가 불편한 문제와, 어린이나 근력이 약한 여성들이 사용할 경우 운동 효과가 떨어지거나 무리한 운동으로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10-1435180호에서 손가락을 걸어 간단히 스트레칭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한 쌍의 손잡이 걸이구와, 상기 고탄성의 인장력을 갖는 튜브 와이어로 구성하여 상기 튜브 와이어의 양 단부를 손잡이 걸이구의 조립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 부재로 고정 결합하므로 양손의 손가락을 손잡이 걸이구에 걸어 잡아 당기면서 튜브 와이어를 인장시키므로 어린이나 근력이 약한 여성들도 간단하고 안전하게 스트레칭 운동을 행하도록 함은 물론 휴대 또는 보관시 한쌍의 손잡이 걸이구를 서로 맞대는 방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 걸이구 외측으로 튜브 와이어를 감아 권취시켜 보관하도록 하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손잡이 걸이구의 조립 구멍에 외측에서 튜브 와이어를 삽입하고 내측에서 튜브 와이어 내부로 고정 부재의 가압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가압부에는 전방에 삽입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후방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가압 돌기를 돌출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조립 구멍에서 튜브 와이어의 내부로 삽입하여 억지 결합하는 끼움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상기 가압부를 억지 끼움에 의해 튜브 와이어를 가압 지지하는 것이어서 조립 구멍에 억지 결합하는 결합력이 약해 스트레칭 운동의 반복에 의해 튜브 와이어의 단부가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사용 내구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435180호(2014년08월21일) 등록실용 제20-0322199호(2003년07월25일) 공개특허 제10-2012-0010312호(2012년02월03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손가락 손잡이 걸이구의 조립 구멍에 튜브 와이어의 단부를 결합부재에 의해 억지 결합하되,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튜브 와이어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억지 결합하면서 스트레칭 운동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한쌍의 손잡이 걸이구에 튜브 와이어의 양 단부를 결합하되, 상기 튜브 와이어의 양 단부를 손잡이 걸이구의 조립 구멍에서 고정 부재에 의해 결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손잡이 걸이구의 조립 구멍에서 튜브 와이어의 단부에 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외측에 단차 형성되어 조립 구멍 외측에서 지지되는 지지부 및 내부 중앙에 체결 부재가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공을 갖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둘 이상의 절개홈에 의해 분할되는 분할편이 내외측으로 텐션 작동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튜브 와이어의 단부에 삽입시 분할편이 오므림 작동하고 체결 부재 나사 체결시 외측으로 벌림 작동하면서 조립 구멍에 가압되어 억지 결합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의 삽입부 외측에는 튜브 와이어를 가압 고정하도록 가압 고정 돌기를 복수로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의 삽입부 외측에는 튜브 와이어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분리 방향으로 걸림턱을 형성하는 이탈 방지 돌기를 복수로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손잡이 걸이구의 조립 구멍에 튜브 와이어의 단부를 삽입한 후 고정 부재를 삽입하여 결합하되, 상기 고정 부재의 삽입부가 방사상으로 등각 분할하여 삽입시 오므라지면서 튜브 와이어 내부에 원활히 삽입하게 되고, 상기 고정 부재 내부로 체결 부재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삽입부를 외측으로 벌리면서 조립 구멍에 가압되어 억지 결합에 의한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므로 스트레칭 운동시 튜브 와이어 단부가 이탈 방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내구성이 종래보다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동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반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고정 장치의 조립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 고정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7은 도 6이 결합된 상태의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운동기구의 손잡이 걸이구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운동 기구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손잡이 걸이구(10)(10)에 고탄성의 인장력을 갖는 튜브 와이어(20)의 양 단부를 결합하되, 상기 튜브 와이어의 양 단부(21)를 손잡이 걸이구(10)(10)의 조립 구멍(11)에서 고정 부재(30)에 의해 억지 결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 부재(30)는 손잡이 걸이구의 조립 구멍(11)에서 튜브 와이어(20)의 단부(21)에 내 삽입되는 삽입부(31)와, 상기 삽입부 외측에 단차 형성되어 조립 구멍 외측에서 지지되는 지지부(35) 및 내부 중앙에 체결 부재(40)가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공을 갖는 체결부(38)를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삽입부(31)는 적어도 하나 둘 이상의 절개홈(33)에 의해 분할되는 분할편(32)이 내외측으로 텐션 작동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튜브 와이어의 단부에 삽입시 분할편(32)이 오므림 작동하고 체결 부재(40) 나사 체결시 외측으로 벌림 작동하면서 조립 구멍(11)에 가압되어 억지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 부재의 삽입부(31)를 튜브 와이어의 단부(21)에 삽입시 삽입부가 오므라지면서 원활히 삽입하게 되고, 삽입 후 체결 부재(40)를 나사 체결시 삽입부(31)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조립 구멍(11)에 억지 결합되면서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의 삽입부(31) 외측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튜브 와이어(20)를 가압 고정하도록 가압 고정 돌기(31a)를 복수로 돌출 형성하고, 도 6에서와 같이 튜브 와이어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분리 방향으로 걸림턱을 형성하는 이탈 방지 돌기(31b)를 복수로 돌출 형성하되, 상기 가압 고정 돌기(31a)와 이탈 방지 돌기(31b)를 단독 또는 혼합 형태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한쌍의 손잡이 걸이구(10)(10)는 내,외측으로 착탈 결합하는 결합 구조(12a,12b)와, 외측에 튜브 와이어(20)를 권취할 수 있는 권취부(13) 및 권취된 튜브 와이어의 이탈 방지 및 걸이를 위해 이탈 방지 돌기(14)와 걸이 돌기(15)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의 지지부(35)는 하부 내외측에 라운드 곡면을 갖되 조립 구멍 상부에 단차 형성된 단차부(11a)와 이격 틈새를 형성하도록 밀착부(36)을 형성하여 상기 밀착부와 단차부(11a) 사이에 튜브형 와이어의 단부(21)가 더 연장되어 위치하면서 절곡 및 억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튜브와이어의 단부(21)를 고정 부재의 지지부(35)에 의해 절곡 상태로 한번 더 고정 지지하므로 튜브 와이어의 이탈을 더욱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미 설명 부호로서, 10a는 손잡이 걸이구의 손가락 삽입 구멍, 16은 손가락 삽입 구멍 내측 둘레에 결합되는 보호 링, 19는 조립 구멍 외측에 결합하여 마감하는 마감재를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한쌍의 손잡이 걸이구(10)(10)의 조립 구멍(11) 외측에서 튜브 와이어(20)의 양 단부(21)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 구멍(11) 내측에서 고정 부재(3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고정 부재(30)의 삽입부(31)를 조립 구멍(11)에 먼저 삽입되어 있는 튜브 와이어의 단부(21)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삽입부(31)는 절개홈(33)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는 분할편(32)이 내측으로 오므라지면서 튜브 와이어의 단부(21)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하여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고정 부재(30)는 외측의 지지부(35)가 조립 구멍(11)의 외측 또는 조립 구멍 상부의 단차부(11a) 위치에 걸려지는 지지 위치까지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30)를 결합한 후 고정 부재의 내측에서 고정 부재 내부로 형성된 체결부(38)에 체결 부재(40)를 나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체결 부재를 나사 결합함에 의해 삽입부의 분할편(32)이 내측으로 오므라진 상태에서 체결 부재(40)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 부재(40)의 나사 결합으로 고정 부재의 분할편(32)이 외측으로 벌려지면서 상기 분할편(32)이 튜브 와이어의 단부(21)를 조립 구멍(11)의 내 측면에서 가압 밀착하므로 종래 삽입부를 단순히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에 비해 억지 결합하게 되면서 튜브 와이어의 단부(21)를 견고히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도 5 참조).
더우기, 상기 삽입부(31) 외측에 가압 고정 돌기(31a)가 복수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압 고정 돌기가 튜브 와이어(20)를 더욱 가압 고정하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31) 외측에 튜브 와이어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분리 방향으로 걸림턱을 형성하는 이탈 방지 돌기(31b)를 복수로 돌출 형성하고 있어 상기 삽입부를 튜브 와이어의 단부(21)에 삽입하는 작동은 이탈 방지 돌기(31b)의 경사에 의해 원활히 삽입하게 하고, 삽입 후에는 걸림턱에 의해 이탈 방지되게 지지하면서 튜브 와이어의 단부(21)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의 지지부(35)에 하부 내외측으로 라운드 곡면을 갖되 조립 구멍 상부에 단차 형성된 단차부(11a)와 이격 틈새를 형성하도록 밀착부(36)을 더 형성하기 때문에 튜브 와이어의 단부(21)가 조립 구멍(11)은 물론 조립 구멍의 상부까지 더 연장되어 상기 밀착부와 단차부(11a) 사이에서 절곡 상태로 억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즉, 상기 튜브와이어의 단부(21)를 조립 구멍 상부에서 다시 고정 부재의 지지부(35)에 의해 절곡 상태로 한번 더 고정 지지하므로 튜브 와이어의 이탈을 더욱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상기 한쌍의 손잡이 걸이구(10)(10)에 튜브 와이의 양 단부(21)(21)를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억지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도 10에서와 같이 한쌍의 손가락 손잡이 걸이구(10)(10)에 손가락을 걸어 튜브형 와이어(2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튜브형 와이어(20)를 신장시키므로 스트레칭 운동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트레칭 운동시 손잡이 걸이구(10)(10)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 와이어(20)를 인장하게 되는데, 상기 튜브 와이어의 양 단부가는 손잡이 걸이구에 고정 부재(30)에 의해 견고하게 억지 결합되어 있어 이탈됨을 방지하므로 그 사용 내구성을 종래보다 장구히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10: 손잡이 걸이구 11: 조립 구멍
20: 튜브 와이어 21: 단부
30: 고정 부재 31: 삽입부
31a: 가압 고정 돌기 31b: 이탈 방지 돌기
32: 분할편 33: 절개홈
35: 지지부 38: 체결부
40: 체결 부재

Claims (4)

  1. 한쌍의 손잡이 걸이구(10)(10)에 튜브 와이어(20)의 양 단부를 결합하되, 상기 튜브 와이어의 양 단부(21)를 손잡이 걸이구(10)(10)의 조립 구멍(11)에서 고정 부재(30)에 의해 결합하여 사용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0)는 손잡이 걸이구의 조립 구멍(11)에서 튜브 와이어(20)의 단부(21)에 내 삽입되는 삽입부(31)와, 상기 삽입부 외측에 단차 형성되어 조립 구멍 외측에서 지지되는 지지부(35) 및 내부 중앙에 체결 부재(40)가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공을 갖는 체결부(38)를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삽입부(31)는 적어도 하나 둘 이상의 절개홈(33)에 의해 분할되는 분할편(32)이 내외측으로 텐션 작동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튜브 와이어의 단부에 삽입시 분할편(32)이 오므림 작동하고 체결 부재(40) 나사 체결시 외측으로 벌림 작동하면서 조립 구멍(11)에 가압되어 억지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삽입부(31) 외측에는 튜브 와이어(20)를 가압 고정하도록 가압 고정 돌기(31a)를 복수로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삽입부(31) 외측에는 튜브 와이어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고 분리 방향으로 걸림턱을 형성하는 이탈 방지 돌기(31b)를 복수로 돌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지지부(35)는 하부 내외측에 라운드 곡면을 갖되 조립 구멍 상부에 단차 형성된 단차부(11a)와 이격 틈새를 형성하도록 밀착부(36)을 형성하여 상기 밀착부와 단차부(11a) 사이에 튜브형 와이어의 단부(21)가 더 연장되어 위치하면서 절곡 및 억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KR1020190130025A 2019-10-18 2019-10-18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KR102284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25A KR102284181B1 (ko) 2019-10-18 2019-10-18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25A KR102284181B1 (ko) 2019-10-18 2019-10-18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83A true KR20210046383A (ko) 2021-04-28
KR102284181B1 KR102284181B1 (ko) 2021-07-29

Family

ID=7572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025A KR102284181B1 (ko) 2019-10-18 2019-10-18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1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199Y1 (ko) 2003-01-10 2003-08-09 황근순 스트레칭 운동 기구
US7963893B1 (en) * 2007-05-10 2011-06-21 Christian Cruz Method of pre-tensioning a resistance exercise band
KR20120010312A (ko) 2010-07-26 2012-02-03 김규태 길이 조절이 용이한 완력기
KR101435180B1 (ko) 2013-04-25 2014-08-29 주식회사 핑고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160025293A (ko) * 2014-08-27 2016-03-08 임희정 골프 스윙 연습기구
JP3217917U (ja) * 2018-06-28 2018-09-06 株式会社Stm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199Y1 (ko) 2003-01-10 2003-08-09 황근순 스트레칭 운동 기구
US7963893B1 (en) * 2007-05-10 2011-06-21 Christian Cruz Method of pre-tensioning a resistance exercise band
KR20120010312A (ko) 2010-07-26 2012-02-03 김규태 길이 조절이 용이한 완력기
KR101435180B1 (ko) 2013-04-25 2014-08-29 주식회사 핑고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160025293A (ko) * 2014-08-27 2016-03-08 임희정 골프 스윙 연습기구
JP3217917U (ja) * 2018-06-28 2018-09-06 株式会社Stm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181B1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0832A1 (en) Exercise Bar
US5484368A (en) Multi-function pull bar
RU2586827C2 (ru) Складная пал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скандинавской ходьбы
US8075462B1 (en) Elastic member exercise device
US9072928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7448990B2 (en) Pull exerciser
US9259605B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20180085622A1 (en) Doorway fitness tower and parallel bar
EP1958673A1 (en) A multifunctional dumbbell assembly
US20150083761A1 (en) Combination Shoe Horn and Sock Donning and Doffing Apparatus
US20120302412A1 (en) Exercise apparatus
JP2010534104A (ja) 長さが可変できるスポーツ用スティックの固定装置
US20210170219A1 (en) Resistance jump rope with convertible handles
US8087707B1 (en) Multifunction device for people with limited mobility
KR20210046383A (ko)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튜브 와이어 고정장치
US20090258765A1 (en) Adaptive handle for dual grip dumbbell
KR20120069287A (ko) 접이식 지팡이
CN114144241A (zh) 系绳器、利用系绳器的运动器材、用于运动辅助器材的框架以及包括该框架的运动辅助器材
KR101953997B1 (ko) 걷기운동 보조기구
KR200460697Y1 (ko) 근력강화기구
KR102154494B1 (ko) 회전운동이 용이한 움켜쥘 수 있는 아령
KR101508739B1 (ko) 다용도 아령
KR101232794B1 (ko) 휴대용 운동기구
JP6864402B1 (ja) ストレッチ運動用具
CN219354586U (zh) 一种新型导盲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