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684Y1 - 줄넘기 - Google Patents

줄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684Y1
KR200491684Y1 KR2020180003194U KR20180003194U KR200491684Y1 KR 200491684 Y1 KR200491684 Y1 KR 200491684Y1 KR 2020180003194 U KR2020180003194 U KR 2020180003194U KR 20180003194 U KR20180003194 U KR 20180003194U KR 200491684 Y1 KR200491684 Y1 KR 200491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handle
rope
coupl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56U (ko
Inventor
김태훈
김태진
Original Assignee
김태훈
김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김태진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2020180003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8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20Skipping-ropes or similar devices rotating in a vertic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는 줄넘기줄; 일단이 상기 줄넘기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손으로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막대형상의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측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한 손과 맞닿아 손을 고정시키는 손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에 의하면, 한 쌍의 손잡이부에 손고정부가 구비됨으로써, 줄넘기 운동시 손잡이부에 손을 고정시킬 수 있어 파지하는 힘이 부족함에도 줄넘기와 손이 분리되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손고정부가 탄성줄로 구비됨으로써, 손에 무리없이 고정이 가능하며, 길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손고정줄의 길이를 사용자의 손 크기에 대응하여 변형시킬 수 있어 다양한 사람에 적용시켜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줄넘기{JUMP ROPE}
본 고안은 줄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적으로 파지가 가능하여 운동효율을 향상시키고, 다양하게 이용가능한 줄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넘기는, 줄을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회전하는 줄넘기 줄을 뛰어 넘는 동작을 반복하여 운동하는 운동기구로, 줄넘기 운동을 장시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 호흡, 순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근육에 자극을 주어 전신의 지구력을 높여줄 있다. 이러한 줄넘기는 일단뛰기, 이단뛰기, 및 엑스(X)자뛰기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전신적인 리듬이나 타이밍의 감각또한 기를 수 있어 운동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부연하면, 한 사람이 줄에 연결되어있는 손잡이를 양손에 각각 잡아 줄을 회전시켜 스스로 줄을 넘거나, 두 사람이 서로 이격되도록 서서 각각 손잡이를 잡아 회전시키면, 다른 사람이 줄을 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줄넘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66442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줄넘기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를 손으로 감싸듯이 파지하여 줄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줄넘기 운동을 하는 도중 손에 힘이 풀리거나,손잡이를 놓치는 경우, 손에서 손잡이가 분리되어 회전하던 줄이 튕겨나가게 되며, 튕겨나간 줄이 주변사람이나 사용자와 부딪혀 안전상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줄넘기는 실외에서 가능한 운동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실내공간만을 차지하고 사용의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하고, 다방면으로 적용가능하여 운동효율을 향상시킨 줄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는, 줄넘기줄; 일단이 상기 줄넘기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손으로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막대형상의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측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한 손과 맞닿아 손을 고정시키는 손고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줄넘기줄은, 탄성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에 상기 줄넘기줄이 결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타측이 개방된 막대형상이며, 측부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손잡이프레임과,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압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손잡이공간을 형성하는 손고정줄과,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손고정줄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손고정줄의 일단 및 타단을 연결시키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에 구비되어, 상기 손고정줄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손고정줄은 탄성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개방된 타단부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이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에 의하면, 한 쌍의 손잡이부에 손고정부가 구비됨으로써, 줄넘기 운동시 손잡이부에 손을 고정시킬 수 있어 파지하는 힘이 부족함에도 줄넘기와 손이 분리되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손고정부가 탄성줄로 구비됨으로써, 손에 무리없이 고정이 가능하며, 길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손고정줄의 길이를 사용자의 손 크기에 대응하여 변형시킬 수 있어 다양한 사람에 적용시켜 사용가능하다.
더불어 줄넘기줄이 탄성줄로 구성되어, 홈트레이닝 시 탄성밴드로 이용가능하여 실외 및 실내에서 다양하게 사용가능하여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줄넘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줄넘기의 손잡이부를 손으로 파지한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줄넘기의 길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손고정줄의 길이를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줄넘기를 홈트레이닝 탄성밴드 용도로 이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줄넘기(10)는, 줄넘기줄(100), 한 쌍의 손잡이부(200), 손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줄넘기줄(100)은, 사용자가 상기 줄넘기줄(100)을 회전시켜 상기 줄넘기줄(100)을 뛰어넘음으로써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줄넘기줄(100)은, 탄성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줄넘기줄(100)이 탄성줄로 구성됨으로써, 실내에서 홈트레이닝 시 탄성밴드의 용도로 적용가능하다. 즉 상기 줄넘기줄(1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자세로 스트레칭을 수행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200)는 상기 줄넘기줄(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인 것으로, 일단이 상기 줄넘기줄(1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00)를 감싸쥐어 손(H)으로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200)는 손잡이프레임(210)과 지압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을 감싸쥐어 손(H)으로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은 일단에 상기 줄넘기줄(100)이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줄넘기줄(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줄넘기줄(100)은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줄넘기줄(100)이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줄넘기줄(100)을 회전시 줄의 꼬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은 내부공간(211)이 형성되어 타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 프레임(210)은 측부에 상기 내부공간(201)과 연통되는 관통홀(212)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지압체(220)는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을 파지한 손(H)을 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지압체(220)를 손(H)으로 파지함으로써 줄넘기 운동과 동시에 손(H)을 지압할 수 있어 혈액순환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손고정부(300)는 상기 손잡이부(200)를 파지한 손(H)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부(200)에 구비된다. 상기 손고정부(300)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200)의 측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20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손고정부(300)는 손고정줄(310), 연결줄(320), 길이조절부재(330)를 포함한다.
상기 손고정줄(310)은 상기 손잡이부(200)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200)를 파지한 손(H)의 상면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상기 손고정줄(310)은 일단이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상기 관통홀(212)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손고정줄(310)은 양단이 상기 손잡이부(200)에 결합되고, 중심부가 상기 손잡이프레임(210)과 이격되어 손잡이공간(30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공간(301)에 손(H)을 넣어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을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공간(301)에 배치된 손(H)의 상면과 상기 손고정줄(310)이 맞닿음으로써 손(H)을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손고정줄(310)은 탄성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손고정줄(31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손(H)에 무리를 주지않고 용이하게 고정가능하다.
상기 연결줄(320)은 상기 손고정줄(310)의 일단 및 타단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손고정줄(3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줄(320)의 일단은 상기 손고정줄(310)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줄(320)의 타단은 상기 손고정줄(310)의 타단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줄(320)은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내부공간(21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 연결줄(320)은 상기 손고정줄(3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줄(320)과 상기 손고정줄(310)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조절부재(330)는 상기 손고정줄(3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줄(320)에 구비되어, 상기 손고정줄(3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330)를 이용하여 상기 손고정줄(3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손(h)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손잡이공간(301)이 형성되도록 조정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손(h) 크기의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줄넘기(10)를 이용가능하다. 상기 길이조절부재(330)는,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내부공간(211)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개방된 타단부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이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를 참고하여 상기 길이조절부재(330)를 이용하여 상기 손고정줄(310)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내부공간(211)에 구비된 상기 길이조절부재(330)를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개방된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외측으로 이탈시킨다. 그 다음, 상기 길이조절부재(330)를 이용하여 상기 손고정줄(310)의 길이를 적정하게 조정한다. 그 다음으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재(330)를 돌려 다시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내부공간(211)으로 배치시킨다. 따라서 도 3의 (c )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재(330)는 상기 손잡이프레임(210)의 내부공간(211)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330)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공간(301)의 크기가 조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부재(3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h) 크기에 대응하여 적정한 크기의 상기 손잡이공간(301)이 형성되도록 조정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줄넘기에 의하면, 한 쌍의 손잡이부에 손고정부가 구비됨으로써, 줄넘기 운동시 손잡이부에 손을 고정시킬 수 있어 파지하는 힘이 부족함에도 줄넘기와 손이 분리되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손고정부가 탄성줄로 구비됨으로써, 손에 무리없이 고정이 가능하며, 길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손고정줄의 길이를 사용자의 손 크기에 대응하여 변형시킬 수 있어 다양한 사람에 적용시켜 사용가능하다.
더불어 줄넘기줄이 탄성줄로 구성되어, 홈트레이닝 시 탄성밴드로 이용가능하여 실외 및 실내에서 다양하게 사용가능하여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줄넘기 100: 줄넘기줄
200 : 손잡이부 210 : 손잡이프레임
211 : 내부공간 212 : 관통홀
220 : 지압체 300 : 손고정부
301 : 손잡이공간 310 : 손고정줄
320 : 연결줄 330 : 길이조절부재
H : 손

Claims (6)

  1. 줄넘기줄;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줄넘기줄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손으로 파지하도록 막대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손잡이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측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한 손과 맞닿아 손을 고정시키는 손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에 상기 줄넘기줄이 결합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결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타측이 개방된 막대 형상을 가지는 손잡이프레임과,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압체를 포함하고,
    상기 손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손잡이공간을 형성하는 손고정줄과,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손고정줄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손고정줄의 일단 및 타단을 연결시키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에 구비되어, 상기 손고정줄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면서 사용자의 손 크기에 대응하여 손잡이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내부공간에 구비하며, 상기 손고정줄의 길이 조절을 통한 손잡이공간의 크기 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개방된 타단부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이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줄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줄넘기줄은, 탄성줄로 구성되는 줄넘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고정줄은 탄성소재로 구성되는 줄넘기
  6. 삭제
KR2020180003194U 2018-07-11 2018-07-11 줄넘기 KR200491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94U KR200491684Y1 (ko) 2018-07-11 2018-07-11 줄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194U KR200491684Y1 (ko) 2018-07-11 2018-07-11 줄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56U KR20200000156U (ko) 2020-01-21
KR200491684Y1 true KR200491684Y1 (ko) 2020-05-19

Family

ID=69227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194U KR200491684Y1 (ko) 2018-07-11 2018-07-11 줄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8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9056A (en) 1993-11-12 1995-02-14 Ricker; Edward W. Lighted jump rope assemblies
KR200450822Y1 (ko) * 2010-04-22 2010-11-03 이해석 줄넘기 묶음용 밴드
KR200451841Y1 (ko) * 2010-10-21 2011-01-14 김기홍 다기능 로우프 밴드 운동기구
CN202409933U (zh) 2011-11-28 2012-09-05 林培林 安全型跳绳手柄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9056A (en) 1993-11-12 1995-02-14 Ricker; Edward W. Lighted jump rope assemblies
KR200450822Y1 (ko) * 2010-04-22 2010-11-03 이해석 줄넘기 묶음용 밴드
KR200451841Y1 (ko) * 2010-10-21 2011-01-14 김기홍 다기능 로우프 밴드 운동기구
CN202409933U (zh) 2011-11-28 2012-09-05 林培林 安全型跳绳手柄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56U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745909U (zh) 一种可变角度的羽毛球训练辅助装置
US9149676B2 (en) Exercise device
US20050221965A1 (en) Multi-function exercise device
US3068001A (en) Push and pull exercising device
US20220152441A1 (en) Friction-Spreader Grip Assembly for Resistance Band Exercise
KR200491684Y1 (ko) 줄넘기
US10888729B2 (en) Agility enhancement apparatus
US11090526B2 (en) Exercise device
US20010034291A1 (en) Strengthening and flexibility device
US20070167298A1 (en) Exercise device
JP2007021160A (ja) ストレッチ体操具
US20060235344A1 (en) Portable multi-function exercise apparatus
KR20180002452U (ko) 목근육 강화 운동기구
KR100559372B1 (ko) 탄성력을 이용한 스트레칭용 운동기구
KR200184403Y1 (ko) 고무줄을 이용한 완력기
KR200456732Y1 (ko) 휴대가 용이한 어깨통증 예방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CN211561709U (zh) 一种体育健身用拉伸器
KR101300228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줄 돌리기 운동기구
KR101457353B1 (ko) 근력운동기구
JP3176291U (ja) 棒状の健康促進具
KR102044635B1 (ko) 운동기구
CN215960960U (zh) 一种体育锻炼用拉筋器
RU99977U1 (ru) Эспандер
KR20100043129A (ko) 허리 유연성 및 근기능 강화용 운동기구
JP3101400U (ja) 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