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006B1 -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 Google Patents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006B1
KR101435006B1 KR1020140056219A KR20140056219A KR101435006B1 KR 101435006 B1 KR101435006 B1 KR 101435006B1 KR 1020140056219 A KR1020140056219 A KR 1020140056219A KR 20140056219 A KR20140056219 A KR 20140056219A KR 101435006 B1 KR101435006 B1 KR 10143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exchange
regeneration liquid
compartment
chamber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직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이창훈 filed Critical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56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1/0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outside the filter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 가스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염 가스로부터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복수의 이온교환필터를 갖는 이온교환모듈; 상기 이온교환모듈로 재생액을 분사하는 재생액 분사기; 상기 챔버의 바닥에 마련된 배수공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배수관을 수용하는 재생액 수집탱크; 상기 재생액 수집탱크의 어느 한 측벽에 마련된 하단 개구에 의해 상기 재생액 수집탱크와 연통하는 제1구획과, 자신의 상단을 넘어 재생액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거름벽에 의해 상기 제1구획과 구분된 제2구획을 갖는 재생액 정화탱크; 및 상기 제2구획의 재생액을 상기 재생액 분사기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RECOVERY LIQUID SPRAY TYPE ION EXCHANGE DEODORIZER}
본 발명은 이온교환섬유를 이용하여 오염된 가스로부터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이온교환 탈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온교환섬유의 재생을 위한 재생액을 상기 이온교환섬유로 분사시킬 수 있게 마련된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에 관한 것이다.
이온교환 탈취기는 각종 산업분야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가스로부터 산성 성분 또는 염기성 성분을 이온교환부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설비이다. 상기 이온교환부재에는 방사선 조사를 통해 부직포에 라티칼을 형성시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교환할 수 있도록 제조된 이온교환섬유가 구비되어 있다. 오염된 가스가 상기 이온교환섬유를 통과하면 상기 오염된 가스로부터 악취 산성 성분 또는 악취 염기성 성분이 제거된다.
상기 이온교환섬유가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되어 성능을 상실할 처지에 놓이면 산성 또는 염기성 재생액으로 세척된다. 그러면 이온교환섬유는 성능을 본래대로 회복하게 된다. 이러한 재생이 여러 번 수행되더라도 이온교환섬유의 성능은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온교환 탈취기는 활성탄을 사용하는 탈취기에 비해 적은 횟수의 이온교환부재 교환으로 운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온교환 탈취기는 이온교환섬유의 재생 방법에 따라 침지식과 재생액 분사식으로 분류된다.
침지식 이온교환 탈취기에서는 이온교환섬유의 승강 또는 재생액 수위의 승강에 의해 이온교환섬유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전자의 경우, 이온교환섬유는 최대로 상승하였을 때 오염된 가스의 이동 경로 상에 놓여 상기 오염된 가스로부터 악취 성분을 제거하고, 최대로 하강하였을 때 재생액에 침지되어 재생된다. 이와 같은 침지식 이온교환 탈취기의 일 예가 한국등록특허 제10-1323770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 이온교환섬유는 재생액의 수위가 최저일 때 오염된 가스로부터 악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고, 재생액의 수위가 최대일 때 재생액에 침지되어 재생된다. 이러한 침지식 이온교환 탈취기의 일 예는 한국공개특허 특2003-0088726호에 개시되어 있다.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에서는 재생액이 이온교환섬유로 분사되는데, 이때 이온교환섬유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이온교환섬유를 재생시킨 재생액은 이온교환섬유의 하부에 위치하는 탱크로 수집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1498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038348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에서는 이온교환섬유를 재생시킨 후 탱크로 수집된 재생액이 이온교환섬유의 재생에 다시 사용되기되 한다. 이 경우, 탱크로 수집된 재생액은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이온교환섬유로 분사된다. 이러한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는 한국등록특허 제10-0333930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9319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149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38348호 한국등록특허 제10-0333930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9319호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에서는 이온교환섬유의 재생에 사용된 재생액이 버려지거나(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1498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038348호), 재사용된다(한국등록특허 제10-0333930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9319호).
그러나 재생액이 버려지는 경우에는 비싼 재생액 많이 필요하게 되어 운용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재생액이 재사용되면 이러한 문제는 방지되나, 이온교환효율의 저하 및 재생효율의 저하가 발생한다. 즉, 이온교환섬유로 분사된 재생액은 중화반응에 의해 생성되어 이온교환섬유의 표면에 붙어있는 염과 함께 탱크로 수집되는데, 이러한 재생액이 펌핑되어 이온교환섬유에 재분사되면 재분사된 재생액에 포함된 염도 이온교환섬유로 분사되기 때문에 이온교환효율 및 재생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이온교환효율 및 재생효율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재생액의 재사용을 가능케 하는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오염 가스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염 가스로부터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복수의 이온교환필터를 갖는 이온교환모듈; 상기 이온교환모듈로 재생액을 분사하는 재생액 분사기; 상기 챔버의 바닥에 마련된 배수공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배수관을 수용하는 재생액 수집탱크; 상기 재생액 수집탱크의 어느 한 측벽에 마련된 하단 개구에 의해 상기 재생액 수집탱크와 연통하는 제1구획과, 자신의 상단을 넘어 재생액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거름벽에 의해 상기 제1구획과 구분된 제2구획을 갖는 재생액 정화탱크; 및 상기 제2구획의 재생액을 상기 재생액 분사기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를 제공한다.
상기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는, 상기 제1구획의 재생액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상기 거름벽의 상단을 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구획에 설치된 배플;을 포함한다.
상기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는, 상기 제2구획의 재생액에 열을 가하기 위해 상기 제2구획에 마련된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는,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재생액 분사기로 공급되는 재생액의 일부를 상기 제2구획으로 다시 순환시키기 위한 재생액 순환관;을 포함한다.
상기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는, 상기 챔버의 바닥에 마련되어 상기 재생액 수집탱크로부터 상기 챔버로의 가스 흐름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온교환모듈의 재생시 생긴 염이 재사용되는 재생액에 포함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구획의 재생액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배플에 의해 막혀 제2구획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액과 반응하여 고체 입자(예컨대, 중탄산나트륨)로 되는 가스(예컨대, 이산화탄소)가 제2구획의 재생액에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제2구획의 재생액에서 상기 고체 입자가 생기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교반기 없이도 제2구획 내 재생액에 와류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액 수집탱크의 수면 위쪽의 압력이 오염 가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챔버의 내부 압력보다 높아질 수 없으므로 이온교환모듈로부터 낙하한 재생액이 배수관으로 유입되지 못하면서 챔버의 바닥까지 차오르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의 이온교환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의 재생액 정화탱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와, 이온교환모듈(120)과, 재생액 분사기(130)와, 재생액 수집탱크(140)와, 재생액 정화탱크(150)와, 펌프(160)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11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하고, 오염 가스가 수평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내부에 갖는다. 또한, 챔버(110)는 오염 가스가 상기 경로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전단에 가스 유입홀(112)을 갖고, 상기 경로 상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후단에 가스 배출홀(114)을 갖는다. 또한, 챔버(110)는 바닥(116)을 갖는데, 이 바닥(116)에는 재생액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수공(116a)이 마련되어 있다.
위와 달리, 상기 챔버(110)는 아래에서 위로 수직하게 연장하고, 오염 가스가 수직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내부에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 유입홀(112)은 챔버(110)의 측면 하단에 마련되고, 가스 배출홀(114)은 챔버(110)의 천정에 마련될 것이다.
상기 이온교환모듈(120)은 챔버(110) 내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오염 가스로부터 악취 성분(산성 성분 또는 염기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챔버(110)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2) 및 복수의 이온교환필터(12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22)은 개방된 앞뒷면 및 개방된 상하면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이온교환필터(124)는 챔버(110)의 좌우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나열하고, 프레임(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이온교환필터(124)는 플레이트에 이온교환부작포를 입힌 것이다. 이러한 이온교환모듈(120)은 복수로 마련되어 챔버(110)의 전후방향(챔버(110)가 수직하게 연장할 경우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또한, 이온교환모듈(120)은 챔버(110)와 서랍 형태로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챔버(110)의 도어(118)를 개방한 후 이온교환모듈(120)을 외부로 인출하여 이온교환필터(124)를 교체할 수 있다.
이온교환모듈(120)이 챔버(11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챔버(110)로 오염 가스가 유입되면, 상기 오염 가스는 프레임(122)의 개방 앞면, 이온교환필터들(124) 사이의 틈 및 프레임(122)의 개방 뒷면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데(챔버(110)가 수직하게 연장할 경우에는 프레임(122)의 개방 하면, 이온교환필터들(124) 사이의 틈 및 프레임(122)의 개방 상면을 순차적으로 통과함), 이 과정에서 오염 가스의 악취 성분은 이온교환필터(124)와의 중화반응을 통해 제거된다.
그리고 이온교환모듈(120)의 위쪽에서 재생액이 분사되면, 상기 재생액은 낙하하면서 프레임(122)의 개방 상면, 이온교환필터들(124) 사이의 틈 및 프레임(122)의 개방 하면을 순차적으로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이온교환필터들(124)이 재생액을 머금으며 재생된다. 프레임(122)의 개방 하면을 거친 재생액은 챔버(110)의 바닥으로 떨어진 후 배수공(116a)으로 유입된다.
한편, 도 2에 따르면 프레임(122)이 단층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122)은 복수의 층을 갖고, 이 복수의 층 모두에 이온교환필터(124)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온교환필터들(124) 각각의 크기가 소형화되므로, 재생액을 머금은 이온교환부직포가 처지면서 이온교환필터들(124) 간 틈을 막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재생액 분사기(130)는 이온교환모듈(120)로 재생액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관(132) 및 지관(134)을 포함한다. 상기 본관(132)은 챔버(1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재생액 정화탱크(150)의 제2구획(152b) 내 재생액을 공급받는다. 상기 지관(1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온교환모듈(1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본관(132)으로부터 분기하고, 복수의 노즐(미도시)을 갖고 있으며, 이온교환모듈(120)의 수와 동일한 수로 마련된다. 따라서 본관(132)의 재생액은 지관(134)으로 이동한 후 노즐(미도시)을 통해 이온교환노즐(120)로 분사된다.
상기 재생액 수집탱크(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의 아래에 위치하고, 복수의 배수관(142)을 수용하고 있다. 상기 배수관들(142)은 챔버(110)의 바닥에 마련된 배수공들(116a)로부터 각각 아래로 연장하고, 그 하단은 재생액 수집탱크(140)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모듈(120)을 재생시킨 후 챔버 바닥(116)의 배수공들(116a)로 유입된 재생액은 배수관들(142)을 따라 재생액 수집탱크(140)로 수집된다.
이온교환모듈(120)의 재생에 사용된 재생액에는 중화반응시 형성된 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재생액 수집탱크(140)로 수집된 재생액이 이온교환모듈(120)로 곧바로 분사되면, 상기 염도 이온교환모듈(120)로 분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재생액 수집탱크(140)로 수집된 재생액으로부터 상기 염을 걸러낼 필요가 있고,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재생액 정화탱크(150)가 마련된다.
상기 재생액 정화탱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액 수집탱크(140)의 어느 한 측벽(144)에 의해 재생액 수집탱크(140)와 구분되어 있고, 제1구획(152a) 및 제2구획(152b)을 포함한다.
제1구획(152a)은 상기 측벽(144)의 하단 개구(144a)를 통해 재생액 수집탱크(140)와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재생액 수집탱크(140)의 재생액은 상기 하단 개구(144a)를 통해 재생액 정화탱크(150)의 제1구획(152a)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구획(152b)은 거름벽(154)에 의해 제1구획(152a)과 구분되어 있다. 상기 거름벽(154)은 재생액 정화탱크(150)의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고, 그 상단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액 정화탱크(150)의 천정과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제1구획(152a)의 재생액은 거름벽(154)의 상단을 넘어 제2구획(152b)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중화반응에 의해 형성된 염은 제1구획(152a)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제2구획(152b)으로는 염을 포함하지 않은 재생액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구획(152b)은 연결관(162)을 통해 재생액 분사기(130)의 본관(132)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62)에는 펌프(16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펌프(160)가 작동하면 염을 포함하지 않은 재생액이 제2구획(152b)으로부터 재생액 분사기(130)의 본관(132)으로 공급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100)는 제1구획(152a)에 마련된 배플(1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플(156)은 상단 및 하단을 갖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은 거름벽(154)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하단은 거름벽(154)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한다. 이러한 배플(156)은 제1구획(152a)의 재생액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제2구획(152a)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획(152b)의 바닥에 설치된 열교환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70)는 외부로부터 온수를 받아 이 온수의 열을 제2구획(152b)의 재생액에 전달한 후 상기 온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70)가 마련되면 제2구획(152b)의 재생액에 열을 가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온교환 탈취기(100)에서는 재생액과 반응하여 고체 입자(예컨대, 중탄산나트륨)로 되는 가스(예컨대, 이산화탄소)가 재생액에 용해된다. 따라서 제2구획(152b)에는 상기 고체 입자가 존재할 수 있는데, 그러면 상기 고체 입자가 이온교환모듈(120)로 분사되어 이온교환효율 및 재생효율을 악화시키거나, 심한 경우 배관(162, 132, 134)의 막힘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2구획(152b)의 재생액이 열교환기(170)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가 제2구획(152b)의 재생액에 잘 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구획(152b)의 재생액에서 상기 고체 입자가 생기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관(182) 및 지관(184)을 갖는 재생액 순환관(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관(182)은 펌프(160)의 출구 이후에 위치하는 연결관(162)의 부위로부터 분기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지관(184)은 본관(182)과 제2구획(152b)을 연통시키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펌프(160)가 작동하면 제2구획(152b)의 재생액은 재생액 순환관(180)을 경유하여 다시 제2구획(152b)으로 복귀하게 되고, 이때 제2구획(152b) 내 재생액에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와류는 제2구획(152b)으로 투입된 약품을 교반시킬 수 있고, 열교환기(170)를 순환하는 온수의 열을 제2구획(152b) 내 재생액으로 고르게 전달시킬 수 있다.
상기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190)는 챔버(110)의 바닥에 마련되고, 재생액 수집탱크(140)로부터 챔버(110)로의 가스 흐름만을 허용한다. 이러한 체크 밸브(190)로 인해, 챔버(110) 내를 흐르는 오염 가스는 재생액 수집탱크(140)로 유입될 수 없는 반면, 재생액 수집탱크(140)의 수면 위쪽에 위치하는 가스는 챔버(110)로 유입되게 된다.
이온교환모듈(120)로 분사된 재생액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관(142)을 거쳐 재생액 수집탱크(140)로 유입된다. 따라서 재생액 수집탱크(140) 내 재생액의 수위가 배수관(142)의 하단보다 높으면, 배수관(142) 내 재생액의 수위와 재생액 수집탱크(140) 내 재생액의 수위는 동일함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재생액 수집탱크(140)의 수면 위쪽의 압력이 챔버(110) 내 압력보다 크면 배수관(142) 내 재생액의 수위가 재생액 수집탱크(140) 내 재생액의 수위보다 높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면 이온교환모듈(120)로부터 낙하한 재생액이 배수관(142)으로 유입되지 못하면서 챔버(110)의 바닥까지 차오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체크 밸브(190)가 마련되면 재생액 수집탱크(140)의 수면 위쪽의 압력이 챔버(110) 내 압력보다 높아질 수 없으므로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158은 제1구획(152a)의 재생액 및 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110 : 챔버
112 : 가스 유입홀 114 : 가스 배출홀
116 : 챔버 바닥 116a : 배수공
120 : 이온교환모듈 122 : 프레임
124 : 이온교환필터 130 : 재생액 분사기
140 : 재생액 수집탱크 142 : 배수관
144 : 재생액 수집탱크의 측벽 144a : 하단 개구
150 : 재생액 정화탱크 152a : 제1구획
152b : 제2구획 154 : 거름벽
156 : 배플 160 : 펌프
170 : 열교환기 180 : 재생액 순환관
190 : 체크 밸브

Claims (5)

  1. 오염 가스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염 가스로부터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복수의 이온교환필터를 갖는 이온교환모듈;
    상기 이온교환모듈로 재생액을 분사하는 재생액 분사기;
    상기 챔버의 바닥에 마련된 배수공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배수관을 수용하는 재생액 수집탱크;
    상기 재생액 수집탱크의 어느 한 측벽에 마련된 하단 개구에 의해 상기 재생액 수집탱크와 연통하는 제1구획과, 거름벽에 의해 상기 제1구획과 구분되고 상기 거름벽의 상단을 넘은 재생액의 이동 장소인 제2구획을 갖는 재생액 정화탱크; 및
    상기 제2구획의 재생액을 상기 재생액 분사기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의 재생액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상기 거름벽의 상단을 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구획에 설치된 배플;을 포함하는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획의 재생액에 열을 가하기 위해 상기 제2구획에 마련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재생액 분사기로 공급되는 재생액의 일부를 상기 제2구획으로 다시 순환시키기 위한 재생액 순환관;을 포함하는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바닥에 마련되어 상기 재생액 수집탱크로부터 상기 챔버로의 가스 흐름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KR1020140056219A 2014-05-12 2014-05-12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KR101435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219A KR101435006B1 (ko) 2014-05-12 2014-05-12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219A KR101435006B1 (ko) 2014-05-12 2014-05-12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006B1 true KR101435006B1 (ko) 2014-08-29

Family

ID=5175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219A KR101435006B1 (ko) 2014-05-12 2014-05-12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0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022A (ko) 2017-02-24 2018-09-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량 화학가스 선택 제거용 이온교환 스크러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295A (ja) * 1993-09-27 1995-04-11 Jiro Sasaoka 懸濁水または泥土の処理法と装置
JP2013151014A (ja) 2012-01-26 2013-08-08 Daito Kogyo Kk 鋳造品の砂落とし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295A (ja) * 1993-09-27 1995-04-11 Jiro Sasaoka 懸濁水または泥土の処理法と装置
JP2013151014A (ja) 2012-01-26 2013-08-08 Daito Kogyo Kk 鋳造品の砂落とし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022A (ko) 2017-02-24 2018-09-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량 화학가스 선택 제거용 이온교환 스크러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429B1 (ko)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0652528B1 (ko) 차량 도장 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KR102298918B1 (ko)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KR102093121B1 (ko)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KR101882803B1 (ko)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JP2013512771A (ja) 水平棒支持式空隙制御型繊維ろ材フィルターおよび水平棒支持式繊維ろ過装置
CN103908877B (zh) 气体过滤和二氧化碳收集的方法及其装置
KR101777637B1 (ko) 상향 오픈식 수평형 습식 세정탑
KR101435006B1 (ko) 재생액 분사식 이온교환 탈취기
JP3864124B2 (ja) イオン交換スクラバー
KR20120013771A (ko) 정화성능이 개선된 습식집진장치
KR101130950B1 (ko) 작업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CN105236616A (zh) 一种电镀含铜污水处理回用工艺
KR102139437B1 (ko) 효율적 악취처리가 가능한 복합 임핀젯 3단 약액 세정탑
CN209809809U (zh) 一种高效油烟处理设备
KR102345774B1 (ko) 세정액 재이용 다단 탈취기
KR100759985B1 (ko) 사여과장치 및 그 세정방법
JPH0777031A (ja) 排気ガスドレン水処理装置
KR101742548B1 (ko) 이온교환 스크러버
CN108580129B (zh) 一种水帘喷漆机
KR101271089B1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의 다공성 플레이트 장치
RU180061U1 (ru) Установка газофильтрационная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KR200425371Y1 (ko)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KR20150003140A (ko) 수처리설비
KR200407871Y1 (ko) 차량 도장 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