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638B1 -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638B1
KR101434638B1 KR1020120131038A KR20120131038A KR101434638B1 KR 101434638 B1 KR101434638 B1 KR 101434638B1 KR 1020120131038 A KR1020120131038 A KR 1020120131038A KR 20120131038 A KR20120131038 A KR 20120131038A KR 101434638 B1 KR101434638 B1 KR 101434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drying
temperature
humidity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4099A (ko
Inventor
강근묵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유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유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유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6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및 습도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주기적 변화하는 변온·변습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삼, 태극삼 또는 홍삼 등의 인삼 건조에 있어서, 히터펌프를 이용하여 온도 및 습도를 자동제어 함으로써 인삼조직의 치밀성, 내공 형성 방지 또는 인삼 향이 보존될 수 있는 인삼의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삼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인삼의 건조방법{Drying method of ginseng using periodic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ontrol}
본 발명은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변온·변습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의 품질향상 및 건조시간 단축 등의 건조효율을 개선하는 인삼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 본포에서 채굴한 자체의 인삼을 수삼이라 하며, 이를 가공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린다. 우선, 수삼 자체를 그대로 건조한 것을 백삼이라 하는데, 백삼은 4 내지 6년 근 수삼을 원료로 하여 장기간 저장을 목적으로 대부분의 껍질을 벗겨 햇볕에 그대로 건조한 것 또는 껍질을 벗기지 않고 햇볕에 그대로 건조한 것으로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원형 유지의 인삼제품이다.
홍삼은 수삼을 껍질째 찌고 건조시켜 수분함량 약 15%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것으로 제조과정 중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농다갈색의 색상을 띄어 매우 단단한 형태로 원형을 유지 시킨 인삼제품이다.
흑삼은 인삼을 잘 씻어 증숙하고 자연건조 상태로 약 5일 정도 건조하는 과정을 9번 되풀이하여 제조한 것이다.
태극삼은 홍삼, 백삼과는 다른 형태의 원형 유지 가공인삼으로서 홍삼과 백삼의 중간제품이라 말할 수 있으며, 수삼을 뜨거운 물속에 일정시간 담가 동체 내부를 호화시켜 건조한 것이며, 표피의 색상은 담황, 황갈색을 띄고 절단 했을 때의 단면은 홍삼의 절단색상과 유사한 담갈색을 내는 제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삼은 본포에서 채취된 후, 세척되어 수삼 자체로 출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공된 후 건조하여 유통된다. 따라서 비슷한 조건의 인삼일지라도, 건조 상태에 따라 제품의 가격이 차이가 발생하므로 건조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인삼의 건조방법은 건조 온도, 시간 또는 습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동일한 조건으로 일정하게 온도, 시간 또는 습도 등을 유지하면서 건조를 하고 있어 인삼조직의 치밀성이 떨어지고, 겉표피와 내부조직이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인삼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문제가 있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24029호에 따르면, 인삼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맥반석 가열을 통해 건조한 인삼의 품질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감소하는 효과를 기재하고 있는데, 맥반석을 이용하므로, 열효율을 증가 시키고 보일러 시설의 문제점을 다소 해결하고 있으나, 인삼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내공형성 또는 인삼조직의 치밀성 등의 제품 자체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는 형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40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변온·변습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삼, 홍삼, 흑삼 또는 태극삼 등의 인삼을 건조 후 인삼의 치밀성이 떨어지고 내공이 형성되며, 인삼향이 잘 보존되지 않아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온도 및 습도가 주기적으로 조절되는 변온·변습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변온·변습 단계는 하기 단계(1) 내지 (3)를 4회 내지 12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온도 조건을 다르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제1 온도는 5 내지 25 ℃이고, 제1 습도는 40 내지 60%인 조건 하에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1) 이후에, 제2 온도는 30 내지 50 ℃이고, 제2 습도는 20 내지 40%인 조건 하에 건조하는 단계;및
(3) 상기 단계(2) 이후에 환기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단계.
상기 단계 (1) 및 (2)에서 건조시간은 각각 3 내지 6 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변온·변습 건조단계 후의 수분함량이 30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 숙성건조를 통해 최종적으로 인삼 내 수분함량이 15 중량% 될 때까지 제습하여 건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삼은 상기 인삼은 수삼, 홍삼, 흑삼, 및 태극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이며, 상기 변온·변습 건조단계 이전에 40 내지 70 ℃에서 12 내지 36시간 동안 초벌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변온·변습 건조단계 이후에 인삼 내 수분함량이 15 중량% 이하 될 때 까지 제습하여 숙성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도가 주기적으로 조절되는 변온·변습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도를 주기적인 변화를 줌으로써, 건조 후 인삼의 치밀도가 높고, 겉표피와 내부조직이 이탈되는 내공형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삼향이 잘 보존될 수 있는 인삼의 건조방법인 것이다. 또한, 온도 및 습도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인 변화를 줌으로써 건조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시설투자 비용의 감소 및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건조한 후, 인삼 조직의 치밀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A)는 실시예 1에서 변온·변습 건조한 인삼 사진이고, (B)는 변온·변습 건조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인삼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건조한 후, 인삼의 겉표피와 내부조직이 이탈 여부를 확인한 사진이다. (A)는 실시예 1에서 변온·변습 건조한 인삼 사진으로 내공이 형성되지 않았음을 확인 하였고, (B)는 변온·변습 건조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인삼사진으로 겉표피와 내부조직이 이탈된 내공이 형성됨을 확인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변온·변습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의 건조방법에 있어서, 인삼을 건삼으로 건조단계는 1차 초벌건조, 2차 변온·변습 건조 및 3차 숙성건조 단계로 이루어지며, 초벌 건조(1차 건조)는 40 내지 70 ℃에서 12 내지 36 시간동안 열풍 건조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증숙한 홍삼 또는 흑삼을 건조하는 경우에 시행하며, 채굴된 수삼을 그대로 백삼으로 건조하는 경우는 생략가능하다.
1차 초벌건조단계 이후에, 변온·변습 건조 단계를 수행하며 하기 단계(1) 내지 (3)를 4회 내지 12회 반복하는 것이 특징이다.
(1) 제1 온도는 5 내지 25℃이고, 제1 습도는 40 내지 60%인 조건 하에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1) 이후에, 제2 온도는 30 내지 50 ℃이고, 제2 습도는 20 내지 40%인 조건 하에 건조하는 단계;및
(3) 상기 단계(2) 이후에 환기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단계.
상기 습도는 건조실 내의 상대습도를 말하며, 상대습도는 현재 포함한 수증기량과 공기가 최대로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량(포화수증기량)의 비를 퍼센트(%)로 나타낸 하기 식(1)에 의해 구해지는 값이다.
상대습도=(현재 수증기압/포화수증기압)×100 식(1)
상기 단계(3)에서 환기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는 것은 건조실 내의 상대습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시간 이내로 환기하는 것이다. 온도와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인삼의 건조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온도 또는 습도를 유지하거나 일정하게 낮추는 경우 발생하는 내공형성을 방지한 건조방법이다. 즉, 온도를 높이면 습도를 낮추고, 습도를 낮추면 온도를 올리는 상기 단계(1) 및 (2)의 건조방법은 겉 표피만 먼저 건조되고 안쪽의 내부 인삼조직은 덜 건조됨으로써 발생하는 내공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습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단계(2) 이후에, 환기부를 통해 외기를 유입시키는 것이다.
상기 단계 (1) 및 (2)에서 건조시간은 각각 3 내지 6 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변온 건조 후 인삼 내 수분함량이 30 내지 40 중량%인 것이 특징이고 상기 변온 주기는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변온·변습 건조 후의 인삼조직은 치밀하고, 내공이 형성되지 않으며, 건조과정을 거치더라도 인삼향이 그대로 잘 보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온·변습 건조는 전기 및 유류비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뿐만 아니라 건조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품질의 건삼을 저비용으로 대량생산 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이다.
상기 인삼은 채굴된 수삼 또는 증숙된 홍삼, 흑삼, 또는 태극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변온 건조를 마치고 나면, 숙성건조인 3차 건조를 시행하는데, 이는 20 내지 40℃ 온도에서 제습기를 이용하여 인삼 내 수분함량이 15 중량% 될 때까지 건조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 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변온·변습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건조
증숙된 인삼 300kg을 40 ℃에서 1일 동안 열풍 건조하여 초벌 건조하였다.
이후에, 25 ℃에서 실내 습도를 60%로 맞추고, 4시간 동안 건조하고, 40 ℃에서 습도를 25% 조건으로 4시간 동안 건조하기를 8회 반복하여 2차 건조하였고, 이후, 25 ℃ 조건에서 제습기를 가동하여 인삼 내 수분 함량이 15 중량%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건조된 인삼의 치밀성이 좋고, 겉표피와 내부조직이 이탈되는 내공이 발생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여 도 1 및 도 2에 기재하였다.
한편, 상기 변온·변습 건조는 온도, 습도 및 시간이 자동제어 되는 건조기를 이용하였으며, 디스플레이 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건조기 내의 온도 및 습도, 운전시간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변온·변습 건조를 포함하지 않는 인삼의 건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초벌 건조한 인삼을 사용하였으며, 2차 건조 시 온도 및 습도 변화를 주지 않은 통상의 방법인 40℃에서 습도 조절 없이 자연 건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건조하였으며, 이후 인삼조직의 치밀성과 내공형성을 확인하였으며, 본 비교예 1에서 건조된 인삼은 인삼조직이 치밀하게 건조되지 않았고, 내공이 형성된 것이 확인되어 도 1 및 도 2에 기재하였다.

Claims (8)

  1.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변온·변습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온·변습 건조단계는 하기 단계(1) 내지 (3)를 4회 내지 12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1) 제1 온도는 5 내지 25 ℃ 이고, 제1 습도는 40 내지 60%인 조건 하에 건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1) 이후에, 제2 온도는 30 내지 50 ℃ 이고, 제2 습도는 20 내지 40%인 조건 하에 건조하는 단계;및
    (3) 상기 단계(2) 이후에 환기구를 통해 0.5 내지 2시간 환기하여 외기를 흡입하는 단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 (2)에서 건조시간은 각각 3 내지 6 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변온·변습 건조 후의 수분함량이 30 내지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수삼, 홍삼, 흑삼, 및 태극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온·변습 건조 이전에 40 내지 70 ℃에서 12 내지 36 시간동안 초벌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온·변습 건조 이후에 20 내지 40℃ 조건 하에 인삼 내 수분함량이 15 중량% 이하 될 때까지 제습하여 숙성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8. 제1항, 제3항 내지 7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삼의 건조방법으로 건조된 인삼.
KR1020120131038A 2012-11-19 2012-11-19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KR101434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38A KR101434638B1 (ko) 2012-11-19 2012-11-19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38A KR101434638B1 (ko) 2012-11-19 2012-11-19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099A KR20140064099A (ko) 2014-05-28
KR101434638B1 true KR101434638B1 (ko) 2014-09-22

Family

ID=5089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038A KR101434638B1 (ko) 2012-11-19 2012-11-19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6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743B1 (ko) * 2009-06-15 2009-09-14 도주영농조합법인 통대추 건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추채 제조 방법
KR20090106303A (ko) * 2008-04-05 2009-10-08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10080753A (ko) * 2010-01-07 2011-07-13 주식회사 휴비스그린 스코리아를 이용한 흑삼 제조방법
KR20120085554A (ko) * 2011-01-24 2012-08-01 경산시 흑대추의 제조방법 및 그 흑대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303A (ko) * 2008-04-05 2009-10-08 서희동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방법
KR100916743B1 (ko) * 2009-06-15 2009-09-14 도주영농조합법인 통대추 건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추채 제조 방법
KR20110080753A (ko) * 2010-01-07 2011-07-13 주식회사 휴비스그린 스코리아를 이용한 흑삼 제조방법
KR20120085554A (ko) * 2011-01-24 2012-08-01 경산시 흑대추의 제조방법 및 그 흑대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099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40360B (zh) 雪茄外包皮烟叶的调制方法
CN109691681B (zh) 一种用于云烟87烟叶烤软烤香的密集烘烤工艺
CN109288113B (zh) 云烟87在生物质能源烤房中的烘烤工艺
CN103932375B (zh) 一种烤烟散叶烘烤九步曲工艺
CN104430988A (zh) 一种绿茶的加工方法
CN103168862A (zh) 一种利用温湿控系统加工甜香型红茶的方法
CN101785496A (zh) 秋白梨冻干食品加工方法
CN102948502A (zh) 一种高山乌龙茶的制作工艺
CN103583715A (zh) 一种绿茶制作工艺
CN105166101A (zh) 碧螺春茶的加工方法
CN102687769A (zh) 红茶初制工艺
CN103271175B (zh) 一种螺形白茶的加工方法
CN108378145A (zh) 一种功夫红茶的制作方法
CN102986931B (zh) 一种高山乌龙茶的加工工艺
CN102870905A (zh) 一种黄茶的生产方法
CN104489891A (zh) 一种减少krk26上部烟叶挂灰的烘烤方法
CN104223343B (zh) 一种烤烟密集烘烤方法
KR101434638B1 (ko) 온도 및 습도를 주기적으로 조절하는 인삼의 건조방법
CN112335925A (zh) 一种蜜甜香型烟叶的烘烤工艺
CN103891873A (zh) 一种能保持鲜罗汉果色香味品质的干燥方法
CN106343603A (zh) 密集烤房网式烟框装烟持续升温烤香烤柔烘烤方法
CN102198680A (zh) 一种木竹的处理方法
KR101397400B1 (ko) 변온·변습 건조 및 성형압착을 이용하는 건삼의 제조방법
CN105638944A (zh) 红茶的制作工艺
CN102524446B (zh) 红茶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