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213B1 -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213B1
KR101434213B1 KR1020130092744A KR20130092744A KR101434213B1 KR 101434213 B1 KR101434213 B1 KR 101434213B1 KR 1020130092744 A KR1020130092744 A KR 1020130092744A KR 20130092744 A KR20130092744 A KR 20130092744A KR 101434213 B1 KR101434213 B1 KR 10143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ll
sample
impact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신
Original Assignee
강종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신 filed Critical 강종신
Priority to KR1020130092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3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only by free-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구를 자유 낙하 시켜 시료 표면의 특정 지점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되, 강구가 시료를 타격한 이후 제어부에 의하여 자화된 전자석에 의한 자화력으로 강구가 자착되도록 함으로써 일체의 이중 타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강구를 시료로 낙하시키기 위한 세로프레임의 하방으로 연장간을 설치하고, 상기 연장간의 하단에 설치되며 전자석으로 된 탄발강구자착부와, 상기 자착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강구의 낙하가 시작되고 강구가 시료에 충돌 후 탄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 탄발강구자착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강구의 탄발로 인한 이중 타격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어서 충격 시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되고 불필요한 시료의 손상이 방지되며, 안전할 뿐만 아니라 회수가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Steel Ball Falling Type Impact Test Apparatus for Plate-form Sample having Dual Impact Prevent Function}
본 발명은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다점 충격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강구를 낙하시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디스플레이 프론트 그라스 등으로 사용되는 비교적 넓은 면적의 판상 시료에 대하여 내충격 성능을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낙하된 강구가 시료의 탄발력으로 상승 후 낙하하여 재차 타격하는 이중 타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다점 충격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LCD 프론트 그라스 등과 같은 판상의 제품이나 부품에 있어서 그 충격 강도를 측정하여 채택여부의 결정이나 내충격 성능을 결정하여 설계하여야 하고, 내충격 성능을 판정하여야 하며, 특히 와이드형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 있어서는 여러 지점의 내충격 강도를 측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설정된 높이에서 강구 등의 물체를 낙하시켜 제품이나 부품에 충격을 가하고, 그 결과 손상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작업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실시되는 충격 테스트는 손 조작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낙하 위치가 부정확하게 되는 등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2509호(고안의 명칭: 유리 충격 시험장치;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이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10)는 본체(H)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M)와 회전축(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아암(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암(11)의 끝단에는 시료를 타격할 수 있는 해머(12)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11)과 해머(12) 사이에는 충격센서(13)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시료 고정부(20)는 상기 본체(H)의 베이스(B)에 장착되어 시료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된 인용발명은 구동모터(M)와 회전축(E)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아암(11) 및 해머(12)에 의하여 시료를 설정된 충격력으로 타격하도록 하고, 해머(12)에 직결된 충격센서(13)에 의해 정확한 수치의 충격값을 추출함으로써 충격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코더에 의해 타격부의 회전 각도를 체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충격값에 따른 시료의 충격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은 충격 테스트 과정에서 수직으로 자유 낙하한 강구가 시료에 충격을 가하여 시료 및 시료 지지 바닥판을 변형시키게 되고, 이러한 변형 상태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탄발력에 의하여 강구를 상방으로 탄발시키게 되므로 재차 낙하하여 시료에 충격을 가하는 이중 타격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시료의 충격 테스트 결과 신뢰도를 저하시키게 되고 시료의 손상시 새로운 시료를 준비하여 재차 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시료의 형상에 따라서는 강구가 측방으로 탄발하여 다른 기기나 작업자에게 위해를 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탄발되어 구르는 강구를 일일이 회수하기 어려우며, 분실의 우려가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2509호(고안의 명칭: 유리 충격 시험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를 자유 낙하 시켜 시료 표면의 특정 지점을 타격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강구가 시료의 어느 한 점에 타격을 가하기 위하여 낙하하기 시작한 시점 이후 시료를 타격한 강구가 튀어 오르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산출된 시간 이후 제어부에 의하여 자화된 전자석에 의한 자화력으로 강구가 자착되도록 함으로써 일체의 이중 타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대에 고정된 수직봉에 끼워진 수직슬라이더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승강수단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2개의 가로봉과, 상기 2개의 가로봉에 의하여 안내되는 가로슬라이더를 연결하여 가로봉과 직각으로 배치된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이송수단의 가로프레임 하방에 설치된 세로봉과, 상기 세로봉에 결합된 세로슬라이더에 의하여 안내되는 세로프레임과,
상기 세로이송수단의 세로프레임 하방에 설치된 자착브래킷에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자착부를 구비하되,
상기 세로프레임의 하방으로 하방연장간을 설치하고, 상기 하방 연장간의 하단에 설치되며 전자석으로 된 탄발강구자착부와,
상기 자착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강구의 낙하가 시작되고 강구가 시료에 충돌 후 탄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 탄발강구자착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여서 된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승강수단을 제어하여 충격 테스트에 적합한 높이로 강구를 들어 올리고, 이어서 원하는 지점에 강구를 낙하시키면 낙하된 강구가 시료의 지정 위치를 타격하고, 시료의 형상에 따라 직상방이나 측방 등으로 탄발한 다음 즉시 탄발강구자착부에 자착되는 것이므로, 강구의 탄발로 인한 이중 타격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어서 충격 시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되고, 불필요한 시료의 손상이 방지되어 원활한 시험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시료의 형상에 상응하여 측방으로 탄발되는 경우에도 강구가 전자석에 흡인되어 지정 위치에 있게 되므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회수가 편리하므로 작업 능률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유리 충격 시험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다점 충격 테스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다점 충격 테스트 장치의 승강프레임 승강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승강프레임, 가로프레임, 세로프레임의 배치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다점 충격 테스트 장치의 가로프레임 습동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다점 충격 테스트 장치의 세로프레임 습동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다점 충격 테스트 장치의 승강프레임 승강수단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서 세로프레임의 하방에 설치되는 상,하부연장간과 탄발강구자착부를 보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상,하부 연장간 구조 및 탄발강구자착부를 보인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서 강구 낙하전의 대기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강구가 낙하되어 시료를 타격한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12는 본 발명에서 강구가 시료의 탄발력으로 상승하여 탄발강구자착부에 자착된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13은 낙하 높이를 낮추어 충격력이 최소로 되도록 한 상태의 낙하 대기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에서 제어부와 자착부 및 탄발강구자착부의 연결을 보인 회로도.
도15는 본 발명에서 제어부에 의한 출력 파형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 내지 도 6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대(100)에 고정된 수직봉(102)에 끼워진 수직슬라이더(103)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승강수단(107)에 의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프레임(104)으로 구성된 승강수단(106)과,
상기 승강프레임(104)의 내측에 설치된 2개의 가로봉(202)과, 상기 2개의 가로봉(202)에 의하여 안내되는 가로슬라이더(203)를 연결하여 가로봉(202)과 직각으로 배치된 가로프레임(206)으로 구성된 가로이송수단(200)과,
상기 가로이송수단(200)의 가로프레임(206) 하방에 설치된 세로봉(302)과, 상기 세로봉(302)에 결합된 세로슬라이더(303)에 의하여 안내되는 세로프레임(306)으로 구성된 세로이송수단(300)과,
상기 세로이송수단(300)의 세로프레임(306) 하방에 설치된 자착브래킷(307)에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자착부(308)를 설치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세로이송수단의 세로프레임 하방에 설치된 자착브래킷에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자착부를 구비하되,
상기 세로프레임의 하방으로 하방연장간을 설치하고, 상기
하방 연장간의 하단에 설치되며 전자석으로 된 탄발강구자착부와,
상기 자착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강구의 낙하가 시작되고 강구가 시료에 충돌 후 탄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 탄발강구자착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4개의 수직봉(102)을 수직으로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한 4개의 제1브래킷(101)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수의 엘레멘트를 체결하여서 된 기대(100)가 구비된다.
이러한 기대(100)는 다수의 엘레멘트를 결합하여서 되는 것으로, 엘레멘트를 직육면체 프레임 형상으로 체결하며, 시료(400)를 투입하거나 인출하고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승강프레임(104), 가로프레임(206), 세로프레임(306)을 수조작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 면은 개방된 상태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강프레임(104)의 네모서리 부위에 수직슬라이더(103)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슬라이더(103)가 상기 4개의 수직봉(102)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도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수직봉(102)에 의하여 안내되는 승강프레임(104)이 실선과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104)의 하방에 4개의 제2브래킷(201)을 고정하고, 이러한 제2브래킷(201)에 2개의 가로봉(202) 양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가로봉(202) 양단에 2개의 제2슬라이더(203)를 고정하고, 상기 제2슬라이더(203)의 하방에 가로프레임(206)을 고정하여 2개의 제2슬라이더(203)가 연결,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로프레임(206)이 제2슬라이더(203)에 의하여 가로봉(202)의 길이 방향으로 습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 5의 실선과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으로 보인 바와 같이 4개의 제3브래킷(301)을 상기 가로프레임(206)의 하방에 고정하며, 상기 4개의 제3브래킷(301)의 사이에 세로봉(302) 양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세로봉(302)에 세로프레임(306)이 고정되도록 하며, 세로프레임(306) 하방 중심에 솔레노이드코일로 구성된 자착부(308)와 자착부(308)를 상기 세로프레임(306)에 고정시키기 위한 자착브래킷(307)을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공지된 제어부(도시를 생략함)에 의하여 회전이 제어되는 모터 및 감속기(108)에 의하여 윈치(109)가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윈치(109)에 로프(110)가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로프(110)의 하단에 고정되는 승강프레임(104)이 승강하도록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승강프레임(104)과 가로프레임(206), 세로프레임(306)의 위치를 독립적으로 수동 조절하여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자착부(308) 하단의 높이, 가로, 세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서보모터 등을 이용하여 이들 요소의 위치를 자동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먼저 시료(400)를 시료 적재판(401)에 재치시킨다. 이어서, 본 발명은 제어부(600)의 시작버튼(601)을 눌러 줌으로써 작동을 시작하게 되는 바, 제어부(600)는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와 자착부(308) 및 탄발강구자착부(507)에 구동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일반적인 제어부(600)에 의하여 도 15의 "A"로 보인 바와 같이, 자착부(308)에 전원을 공급하고, 탄발강구자착부(507)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강구(309)를 가져다가 자착부(308) 하단에 가져다 대면 자력에 의하여 강구(309)가 자착부(308)에 자착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 10으로 보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강구(309)를 낙하시키기 위하여 낙하버튼(602)을 누르면 강구(309)를 자착시키고 있던 자착부(308)의 자력이 소실되면서 강구(309)가 낙하하게 되고, 시료(400)의 지정된 위치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 11로 보였다.
이와 같이 하여 시료(400)가 충격을 받게 되면 변형이 발생하고, 이러한 변형에 이어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의 복원력으로 도 12로 보인 바와 같이, 강구(309)가 튀어 오르게 되는 바,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15로 보인 바와 같이, 강구(309)가 낙하를 시작하여 시료(400)에 충격을 가하고 시료(400)의 변형 및 복원으로 반발력을 받은 강구(309)가 튀어 오르기 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경과 후 탄발강구자착부(507)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반발력으로 튀어 오르는 강구(309)는 탄발강구자착부(507)에 의한 자력에 의하여 흡인되어 도 12와 같이 자착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600)는 낙하버튼(602)이 눌러 진 시점부터 강구(309)가 낙하를 시작하여 시료(400)에 충격을 가하고, 시료(400)의 변형 및 복원으로 반발력을 받은 강구(309)가 튀어 오르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대기하였다가 도 15의 "B"로 보인 바와 같이 탄발강구자착부(507)에 전력을 공급하여야 하며, 이러한 대기 시간(Tf)은 자착부(308)와 시료(400) 표면과의 거리인 높이와 시료(400)의 재질에 기인하는 변형 및 복원 특성에 따라 상이하므로 실제의 반복 실험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 값에 근거하여 얻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600)에 의하여 상기 대기 시간(Tf)은 정밀하게 지켜져야 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높은 주파수의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수를 세는 카운트 방식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프레임(104)의 높이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공지된 제어패널에 의하여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모터의 동력으로 윈치(109)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최적화된 회전수 및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윈치(109)에 감겨진 로프(110)가 최적화된 길이만큼 감겨지거나 풀리게 되는 것이고 그 결과 승강프레임(104)이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정확한 높이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승강프레임(104)이 도 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하강하는 경우 탄발강구자착부(507)의 하단이 시료(400)의 상단에 부딪히지 않고 시료(400)의 표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세로이송수단(300)의 세로프레임(306) 하방에 설치된 자착브래킷(307)에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자착부(308)를 구비하되,
상기 세로프레임(306)의 하방으로 연장브래킷(501)을 이용하여 고정된 상부연장간(500)과, 상기 상부연장간(500)의 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연장간(502)과,
상기 상부연장간(500)과 하부연장간(502)에 각각 복수개의 고정공(505)과 통공(506)을 형성하고, 하나의 고정공(505)과 통공(506)에 고정나사봉(504)을 끼워 최적 길이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신축고정노브(503)와,
상기 하부연장간(502) 하단에 고정된 전자석으로 된 탄발강구자착부(507)와,
상기 자착부(306)로 전력이 공급 또는 차단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탄발강구자착부(50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구비하여서 된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승강프레임(104)이 하강하는 경우 상, 하부연장간(500,502)의 길이가 짧아 져야 하고, 승강프레임(104)이 하강하는 경우 상, 하부연장간(500,502)의 길이가 길어져야 한다.
특히, 도 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상부연장간(500)과 하부연장간(502)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부연장간(500)의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고정공(505)에 신축고정노브(503)의 고정나사봉(504)이 끼워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고,
승강프레임(104)의 위치가 높아야 하는 경우에도 탄발강구자착부(507)의 하단이 시료(400)의 표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연장간(500)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된 고정공(505)에 신축고정노브(503)의 고정나사봉(504)이 끼워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은 상, 하부연장간(500,502)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길게 하여 강구(309) 낙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를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기대 101: 제1브래킷 102: 수직봉
103: 수직슬라이더 104: 승강프레임 106: 승강수단
107: 승강모터 108: 윈치 109: 로프
200: 가로이송수단 201: 제2브래킷 202: 가로봉
203: 가로슬라이더 206: 가로프레임 300: 세로이송수단
301: 제3브래킷 302: 세로봉 303: 세로슬라이더
306: 세로프레임 307: 자착브래킷 308: 자착부
309: 강구 400: 시료 401: 시료 적재판
500: 상부연장간 501: 연장브래킷 502: 하부연장간
503: 신축고정노브 504: 고정나사봉 505: 고정공
506: 통공 507: 탄발강구자착부 600: 제어부
601: 시작버튼 602: 낙하버튼

Claims (4)

  1. 기대에 고정된 4개의 수직봉(102)에 끼워진 수직슬라이더(103)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승강이 가능한 승강프레임(104)으로 구성된 승강수단(106)과,
    상기 승강프레임(104)의 내측에 설치된 2개의 가로봉(202)과, 상기 2개의 가로봉(202)에 의하여 안내되는 가로슬라이더(203)와, 상기 가로슬라이더(203)를 연결하여 가로봉(202)과 직각으로 배치된 가로프레임(206)으로 구성된 가로이송수단(200)과,
    상기 가로이송수단(200)의 가로프레임(206) 하방에 설치된 세로봉(302)과, 상기 세로봉(302)에 의하여 안내되는 세로슬라이더(303)에 의하여 안내되는 세로프레임(306)으로 구성된 세로이송수단(300)과,
    상기 세로이송수단(300)의 세로프레임(306) 하방에 설치된 자착브래킷(307)에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자착부(308)가 구비되되,
    상기 세로프레임(306)의 하방으로 연장브래킷(501)을 이용하여 고정된 상부연장간(500)과, 상기 상부연장간(500)의 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연장간(502)과,
    상기 상부연장간(500)과 하부연장간(502)에 각각 복수개의 고정공(505)과 통공(506)이 형성되고, 하나의 고정공(505)과 통공(506)에 고정나사봉(504)을 통해 고정되는 신축고정노브(503)와,
    상기 하부연장간(502) 하단에 고정되고 전자석으로 된 탄발강구자착부(507)와,
    상기 자착부(308)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탄발강구자착부(507)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부(60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수단(106)은 모터 및 감속기 그리고 윈치로 구성되고, 상기 윈치에 감겨진 로프의 하단이 상기 승강프레임(104)의 상방에 고정며,
    상기 제어부(600)는 시작버튼(601)과 낙하버튼(602)을 구비하며, 상기 자착부(308)의 전원 차단 이후 상기 탄발강구자착부(507)에 전원 공급 개시 시점 간의 시차는 강구(309)의 낙하 후 시료(400)의 충격에 의한 탄발이 개시되는 시점 간의 시간 간격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92744A 2013-08-05 2013-08-05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 KR10143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744A KR101434213B1 (ko) 2013-08-05 2013-08-05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744A KR101434213B1 (ko) 2013-08-05 2013-08-05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213B1 true KR101434213B1 (ko) 2014-09-23

Family

ID=5175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744A KR101434213B1 (ko) 2013-08-05 2013-08-05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2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0381A (zh) * 2016-10-26 2017-02-01 常熟非凡新材股份有限公司 钢球冲击试验机
CN108827765A (zh) * 2018-08-20 2018-11-16 信义汽车部件(芜湖)有限公司 玻璃射钉式冲击试验机
CN109668803A (zh) * 2019-01-25 2019-04-23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用具有防护结构的挡风玻璃刚度检测装置
CN110243620A (zh) * 2019-07-09 2019-09-17 中国矿业大学 无极绳绞车绳牵引驱动试验系统及方法
CN111351723A (zh) * 2020-03-12 2020-06-30 河北瑞志交通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防眩板抗冲击性能试验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056B1 (ko) 2010-09-13 2011-03-07 대경테크 주식회사 고충격 낙하시험 장치
JP2011106844A (ja) 2009-11-13 2011-06-02 Hitachi Technologies & Services Ltd 落下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844A (ja) 2009-11-13 2011-06-02 Hitachi Technologies & Services Ltd 落下試験装置
KR101019056B1 (ko) 2010-09-13 2011-03-07 대경테크 주식회사 고충격 낙하시험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0381A (zh) * 2016-10-26 2017-02-01 常熟非凡新材股份有限公司 钢球冲击试验机
CN106370381B (zh) * 2016-10-26 2018-08-17 常熟非凡新材股份有限公司 钢球冲击试验机
CN108827765A (zh) * 2018-08-20 2018-11-16 信义汽车部件(芜湖)有限公司 玻璃射钉式冲击试验机
CN109668803A (zh) * 2019-01-25 2019-04-23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用具有防护结构的挡风玻璃刚度检测装置
CN109668803B (zh) * 2019-01-25 2024-05-24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汽车用具有防护结构的挡风玻璃刚度检测装置
CN110243620A (zh) * 2019-07-09 2019-09-17 中国矿业大学 无极绳绞车绳牵引驱动试验系统及方法
CN110243620B (zh) * 2019-07-09 2020-07-03 中国矿业大学 无极绳绞车绳牵引驱动试验系统及方法
CN111351723A (zh) * 2020-03-12 2020-06-30 河北瑞志交通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防眩板抗冲击性能试验装置及方法
CN111351723B (zh) * 2020-03-12 2022-10-14 河北交规院瑞志交通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防眩板抗冲击性能试验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213B1 (ko) 이중 타격 방지 기능을 갖는 강구 낙하형 판상 시료 충격 테스트 장치
CN209094682U (zh) 一种建筑钢材用的切割装置
KR200452509Y1 (ko) 유리 충격 시험장치
KR20050039396A (ko) 낙하력을 이용한 전동절구
CN109297664B (zh) 全自动机械碰撞试验机
CN108393373B (zh) 一种钢板折弯装置
CN113607368A (zh) 落球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0568068B (zh) 钢管混凝土柱密实度检测工装
CN104849159A (zh) 一种用于测试终端设备按键寿命的实验装置
CN205049322U (zh) 一种新型敲击测试用敲击头及敲击测试装置
CN113073429B (zh) 一种缝纫机用面料夹持装置
JP5086781B2 (ja) 打撃貫入試験装置
CN212904315U (zh) 一种冲击测试装置
CN106737392B (zh) 一种针板敲针装置
CN220207014U (zh) 一种安全帽耐冲击穿刺测试装置
CN218823699U (zh) 一种落锤冲击检测装置
JP7368240B2 (ja) 可搬型打撃装置
JP3047328B2 (ja) 単極棒型電磁石及び計量機能付き単極棒型電磁石
CN216560089U (zh) 一种高强螺栓试验机
CN206248486U (zh) 围网抗冲击性能试验设备
CN209446370U (zh) 一种水泥抗折试验机
CN214309976U (zh) 一种车辆挡风玻璃检测设备
CN111765856B (zh) 一种锚杆有效锚固深度无损检测装置及方法
CN214067014U (zh) 一种磁粉探伤机
KR102374988B1 (ko) 레이저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