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668B1 -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방법 - Google Patents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668B1
KR101433668B1 KR1020120099783A KR20120099783A KR101433668B1 KR 101433668 B1 KR101433668 B1 KR 101433668B1 KR 1020120099783 A KR1020120099783 A KR 1020120099783A KR 20120099783 A KR20120099783 A KR 20120099783A KR 101433668 B1 KR101433668 B1 KR 101433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tz glass
welding
glass plate
welded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3674A (ko
Inventor
안학준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주) 디에스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에스테크노 filed Critical (주) 디에스테크노
Priority to KR102012009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6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3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quartz or fused silica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20Uniting glass pieces by fusing without substantial reshaping
    • C03B23/203Unit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01/00Glass compositions
    • C03C2201/02Pure silica glass, e.g. pure fused quartz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하고자 하는 석영 유리를 서로 마주보게 하고 고정한 다음 용접 불꽃으로 가열하여 용접하는 석영유리의 용접 방법에서, 석영 유리를 용접 장치에 장착하고 석영 유리 사이를 약간 이격시킨 상태에서 석영 유리의 용접 부분을 가열하고, 용접 작업이 완료되어 석영 유리를 밀착시킨 다음 석영 유리를 일정 거리만큼 뒤로 후퇴 이동시켜 석영 유리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유지된 간격 사이에 석영 유리의 용융물이 존재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가열된 열을 식힌 다음, 연마 공정을 거침으로, 석영유리의 용접부분을 더 견고하고 강하게 할 수 있고, 용접 부분에는 광학적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석영유리를 용접하는 용접장치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용접 장치의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석영 유리의 용접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방법{WELDING METHOD FOR THE QUARTZ GLASS PLATE}
본 발명은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균일하고 효과적인 용접을 위하여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석영 유리 판재를 용접할 때, 상기 한 쌍의 석영 유리 판재를 일정 압력으로 맞대어 용접 작업을 수행 한 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약간 이동시켜 용착시키는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방법이다,
석영유리를 용접하는 방법으로서는, 석영유리제의 용접봉을 사용하여, 이 용접봉을 용융하는 것에 의하여 석영 유리 부재 끼리 접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법은 비교적 쉽게 석영유리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 반면에, 용접봉을 용융하여 용접체를 용접부위에 충분하게 용착시켜야 하고, 숙련된 작업자의 경험과 기능도 필요하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석영유리)를 평면 위에 고정하고 석영유리를 맞댄 상태에서 가열, 용융시키는 형태의 용접을 해 왔다. 그러나 이 석영유리부재를 평면상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석영유리부재의 양면을 상하방향부터 가열 및 용융시키면, 용융단계에서 석영 유리 부재의 자체 무게로 인해 아래쪽으로 늘어져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물론, 선행 특허 기술(공개번호 10-2007-0027490)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석영 유 리부재의 양 단면을 용접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용접방법으로, 상기 석영 유리 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세로로 세워 대치시키는 공정; 상기 석영 유리 부재의 단면 용접부위를 용접부위의 양측부터 상기 버너 수단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 용융하는 공정; 상기 한 쌍의 석영 유리 부재의 용융된 단면 용접부위를 일정 압력으로 눌러 서로 맞대게 하는 동시에 서로 밀어서 용착하는 공정; 상기 용착된 석영유리부재의 용착 부분에 부풀어 오른 볼록(凸)부를 가열 연화시켜서 열변형을 분산시키는 공정; 및 상기 용착된 석영 유리 부재가 냉각된 후 상기 부풀어 오른 볼록(凸)부를 연삭하여 평탄하도록 한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특허는 석영 유리 접합 부분이 견고하게 접합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을 제시한 것은 아니다.
또한, 선행 특허 기술(공개번호 10-2006-0058744)는 석영 막대의 중앙부에 설치된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컬럼 구성품을 위에서 아래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마이크로 컬럼 구성품을 고정할 수 있는 스프링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컬럼 정렬 및 접합용 장치를 제공하지만, 고비용으로 특수 용도에 한정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저 비용이면서도 견고하게 접합이 가능한 석영유리 용접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7-0027490, 공개일(2007년03월09일) 선행기술 2: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6-0058744, 공개일(2006년05월30일)
본 발명은 석영유리의 용접부분을 더 견고하고 강하게 하는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고, 용접 부분에 광학적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또한, 석영유리를 용접하는 용접장치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용접 장치의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은, 용접하고자 하는 석영 유리를 서로 마주보게 하고 고정한 다음 용접 불꽃으로 가열하여 용접하는 석영유리의 용접 방법에서, 석영 유리를 용접 장치에 장착하고 석영 유리 사이를 약간 이격 시킨 상태에서 석영 유리의 용접 부분을 가열하고, 용접 작업이 완료되어 석영 유리를 밀착 시킨 다음 석영 유리를 일정 거리만큼 뒤로 후퇴이동 시켜 석영 유리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유지된 간격 사이에 석영 유리의 용융물이 존재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가열된 열을 식힌 다음 연마 공정을 거치고, 상기 석영 유리 사이에 용접재가 구비되고, 상기 용접재가 용융물이 되며, 용접 작업을 하기 위한 상기 석영 유리가 눕혀져 있게 된다.
삭제
또한, 용접 작업을 하기 위한 상기 석영 유리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거나 세워져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석영 유리의 두께가 1mm에서 20mm 이내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석영유리의 용접부분을 더 견고하고 강하게 할 수 있고, 용접 부분에는 광학적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석영유리를 용접하는 용접장치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용접 장치의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석영 유리의 용접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석영 유리를 용접하는 방법의 실시예 도면이다.
도 2는 용접버너 장치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은 용접후 이동 장치에 관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석영 유리를 용접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용융물이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용접하기 위한 석영 유리의 단면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용접재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 은 용접장치가 세워지거나 일정 각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는 받침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부분에 일정양의 용융물이 존재하도록 하여, 접착강도를 높이도록 하며, 또한 광학적 얼룩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석영 유리 판재는 두께가 1- 20 mm 정도가 적당하다. 그리고, 석영 유리 판재의 한변의 길이를 A라고 했을 때, 상기 A의 크기는 0.3m에서 4 m 정도이다. 물론 가장 일반적인 크기는 1m에서 2m 정도이다. 이때, 석영 유리 판재의 다른 한변의 길이를 B라고 하면, 상기 B는 A의 0.5배에서 3배 이내의 크기를 가진다. 물론 정사각형일 수 있다.
도 1 은 석영 유리 판재를 용접하는 방법의 실시예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본 발명의 석영 유리 판재(10)의 용접방법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석영 유리 판재의 양단면을 용접하는 용접방법이다, 석영 유리판재(10)를 지지 장착하는 받침부(20), 받침부에서 석영 유리 판재를 이동하기 쉽도록 하는 바퀴 축 형상의 회전 지지부(21), 석영 유리 판재를 고정하는 고정부(22) 및 받침부(20)가 일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축(23) 등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석영 유리 판재(10)와 받침부(20)를 전체적으로 받쳐주는 받침 테이블(24)과 다리(25)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며, 석영 유리 판재(10)의 접합 부분을 가열하여 주는 용접버너(3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받침 테이블(24)는 알루미늄 혹은 스테인레스 스틸 등 금속재료로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용접 버너(30)는 일렬로 여러개의 불꽃이 분출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용접 장치로서, 스트레이트 버너(Straight burner)의 형태를 가지며, 이를 본 발명에서는 용접 버너라고 하였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축(23)을 통하여 받침부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서로 접합하고자 하는 석영 유리 판재(10)가 마주보는 상호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받침부(20)에 석영 유리 판재(10)를 고정할 때에는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 석영 유리 판재 사이의 거리를 이격 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22)를 통해 석영 유리 판재를 고정하게 되면, 용접 작업을 하기에 용이한 거리로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좀 더 세밀한 거리 조절을 위해서는 고정부와 연결된 고정바(22a)를 통하여 이루어 질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바(22a)를 조절하여 석영 유리 판재(10)가 용접버너(30)로 가열 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호 접합 위치에 올 수 있도록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정바(22a)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혹은 별도 이동 장치에 대한 별도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상기 고정바(22a)의 끝 단에 연결하여 고정 장치를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장치 혹은 별도 이동 장치를 통하여 석영 유리 판재가 용접하기 좋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석영 유리 판재 사이의 상호 위치 조절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2는 용접버너 장치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용접 버너는 봉 형태로 구비되지만 상기 용접 버너에는 복수개의 홀(hole)(30a)이 구비되어, 각각의 홀(30a)에는 용접 볼꽃이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당연히 용접 불꽃을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가스를 사용할 수 있고 혹은 가열을 위한 전기 히터도 사용할 수가 있다. 즉 용접을 위한 고온의 용융 상태를 만들기 위한 통상의 모든 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용접 불꽃을 상하 좌우로 일정 거리만큼 왕복 이동(oscillation)시키도록 하므로서,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부위를 적절하고 균일하게 가열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접 버너(30)가 상하 혹은 좌우로 왕복 이동(도면에서 볼 때 x 혹은 y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홈(31) 내에 구비되도록 하므로서, 용접 버너가 상하나 좌우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유리 판재가 최적 상태의 접합 조건을 가지게 된다.
이때. x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용접버너와 석영 유리 판재 사이의 거리가 1- 50mm 이내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불꽃의 강약이 조절되는 효과를 갖게 되고, 또한, 1- 50mm 이내로 y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용접 불꽃이 용접부위에서 좌우 방향(석영 유리 판재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효과를 갖도록 하여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접버너(30)가 이동홈(31)내에서 Z 방향(석영 유리 판재가 마주보는 방향에서 직각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z 방향으로도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x, y, z 방향의 각각의 이동 거리는 1mm에서 50 mm 이내로 한다. 그리고, 상기 x, y, z 방향의 이동은 좌우 상하 혹은 위 아래처럼 왕복 이동을 의미한다.
도 3은 용접후 이동 장치에 관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석영 유리 판재 사이에 일정양의 용융물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후 이동 장치(28)에 대한 실시예인 것이다. 석영 유리 판재(10)의 용접 부위가 접합하기 좋은 상태인 반 용융 상태로 가열이 완료되고, 석영 유리 판재가 서로 맞 닿은 상태에서 접합되기(석영 유리 판재 사이에 용융물이 굳기 전에) 직전에, 석영 유리 판재를 뒤로 일정 거리 만큼 이동시키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고정바(22a)와 연결된 걸림부(22c)와 걸림턱(22e) 사이에 스프링 팽창부(22d)가 구비되도록 하고, 장금장치(22b)도 아울러 구비되도록 한다.
즉, 용접 작업이 끝난 다음, 용융물이 굳기 전에 걸림턱(22b)를 이동시키면 스프링 팽창부(22d)의 팽창에 의해 걸림부(22c)가 이동하게 된다. 즉, 걸림턱(22e)와 걸림부(22c) 사이의 거리가 더 커지게 되며, 그 결과로 고정바(22a)는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도 1에서 석영 유리 판재가 뒤로 이동(석영 유리 판재 사이의 상호 거리가 멀어지는 이동)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즉, 석영 유리 판재 사이에 용융물이 최적의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용접후 이동장치는 고정바(22a) 내에 장착된 장치로서, 순간적으로 단번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고정바(22a)를 통해 석영 유리 판재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때 사용되는 장치는 아니다.
이때, 용접후 한번에 순간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적당한 거리는 0.01에서 5mm 이내가 되며, 가장 최적의 거리는 0.5 - 1mm 이내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정바(22a)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혹은 별도 이동 장치에 대한 별도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상기 고정바(22a)의 끝 단에 연결하여 고정 장치를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석영 유리 판재를 용접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A)도에서처럼, 석영 유리 판재(10)를 완전히 밀착 시키지 않고 약간 떨어뜨린 상태에서 용접 버너(30)의 불꽃으로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부위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어느 정도 가열을 하면, (B)도에서처럼 석영 유리 판재를 밀착 시켜 맞닿게 한 다음 다시 용접 부위를 가열한다. 물론, 공정 조건에 따라서는 (B)도의 상태(석영 유리 판재가 맞닿은 상태)에서 용접 부위를 가열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석영 유리 판재를 더 밀착시키게 되면 (C)도에서처럼 용융물이 볼록 튀어나온 형상을 갖게 된다. 즉,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부위를 가열함에 따라 석영 유리 판재의 일부가 녹게 되고. 석영 유리 판재가 밀착되면, 용융물이 자연스럽게 튀어나온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용접 불꽃으로 용접 부위를 가열할 때. 왕복 이동의 방법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용접 부위를 균일하게 가열하게 된다. 용접 불꽃의 왕복 이동 거리는 1- 50mm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석영 유리 판재가 밀착된 다음에는, (D)도의 상태가 되도록 석영 유리 판재(10)를 뒤로 후퇴(석영 유리 판재 사이의 거리를 더 크게 함.) 시키게되고, 이로 인해서 석영 유리 판재 사이에 일정량의 용융물(12)이 존재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용접 가열 작업이 완성된 다음에 석영 유리 판재(10) 사이에 용융물(12)이 일정양 존재하도록 함으로서, 석영 유리 판재의 접합이 더 견고하게 된다. 또한, (C)도 상태에서 (D)도 상태로 되기 위해 일정 거리 만큼 이동시킬 때에도 한번에 순간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후퇴 이동에 따른 광학적 얼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A)도에서처럼 석영 유리 판재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용접버너(30)로 가열할 때, 서로 마주 보는 석영 유리 판재(10) 사이의 거리는 1mm에서 400 mm 이내가 되도록 한다. 너무 가까우면 균일한 가열이 어렵고,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충분한 가열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D)가 용접 작업이 모두 끝난 상태가 된다. 용접 작업이 끝나게 되면 (D)도에서처럼 용융물(12)이 볼록한 형상을 갖게 되며, 가열된 열을 식히게 되면 연마가 가능하게 된다. 즉, 용융물의 볼록 튀어나온 부분을 연마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면, 용융물(12)의 높이도 석영 유리 판재(10)의 높이와 같게 된다. 그렇게 되면 (E)도처럼 평탄하게 접합된 석영 유리 판재가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과정에서, 두 개의 석영 유리 판재의 거리가 가까워지기도 하고 멀어지기도 한다. 이때 석영 유리 판재 두 개를 서로 이동시켜 거리 조절을 할 수 있지만, 두 개 중에서 하나의 석영 유리 판재만 이동시켜서 거리 조절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용융물이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용접 작업이 완성된 후에 석영 유리 판재(10) 사이에 용융물(12)이 존재하도록 한다. 즉 용접 작업이 완성되면 석영 유리 판재(10)의 용접 부위에 석영 유리 용융물(12)이 존재하게 되며, 이때 석영 유리 판재(10)를 뒤로 이동시키게 되면, 석영 유리 판재(10)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용융물(12)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석영 유리 판재 사이에 용융물이 존재함으로서, 더 견고하게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d 의 값은 0.1에서 5mm 정도가 적당하며 가장 효과적인 거리는 0.5에서 1mm 정도이다. 또한, 석영 유리 판재의 두께 t는 1 에서 20mm 정도가 적당하다.
한편, 상기 용접 작업후 석영 유리 판재를 서로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용융물은 볼록 튀어나온 형상을 갖게 된다.
도 6은 용접하기 위한 석영 유리 판재의 단면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에서처럼, 용접 작업을 위해 밀착되게 되는 석영 유리 판재(10)의 단면 모양은 작업 공정이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평편한 모양, 경사 모양, 뾰족한 모양, 곡선 모양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되어 용접 작업을 할 수가 있다.
도 7은 용접재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용접하고자 하는 석영 유리 판재 사이에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진 용접재(11)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용접재(11)는 용접버너(30)의 불꽃 가열로 용융 되어 접합을 위한 용융물이 되게 된다.
이때, 용접재(11) 두께 b는 석영 유리 판재(10) 사이의 거리 a의 0.5 % 에서 90 % 정도가 적당하다. 즉, 석영 유리 사이 판재의 거리가 10mm 이면, 용접재(11)의 두께는 0.5mm에서 9mm 정도가 적당하다는 것이다.
도 8 은 용접장치가 세워지거나 일정 각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받침부(20와 하부 받침부(40) 사이에 연결축(41)이 구비되어, 받침부와 하부 받침부가 연결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할 수가 있다. 이때, 받침부(20) 상단에 구비된 석영 유리(10)가 미끄러져 내려올 수 있으므로, 석영 유리(10)를 고정할 수 있는 부착부재(26)가 더 구비된다.
즉, 받침부(20)를 회전시켜 들어올리기 전에, 상기 부착 부재(26)로 석영 유리(10)를 받침부(20)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착 부재(26)는 유리를 판재에 고정할 수 있는 통상의 일반적인 방법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9는 받침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의 (C)도 상태에서 (D)도 상태로 가기 위해서는 석영 유리(10)를 뒤로 약간 후퇴시켜 석영 유리 판재 사이의 거리가 더 커지게 한다. 그러나, 받침부를 회전시키게 되면서, 부착 부재(26)를 사용하여 석영 유리(10)를 받침부(20)에 고정하게 되므로서, 도 3의 방법으로 석영 유리(10)를 후퇴 이동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받침부(20)가 들려 올려져서 하부 받침부(40)와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될 경우에는 받침부(20) 자체가 후퇴 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에서처럼 받침부(20)와 받침부 하단(20a)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받침부(20) 자체가 후퇴 이동을 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B)도는 받침부(20)와 하부 받침부(40)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며, 상기 각도 α는 0도에서 90까지 변화시킬 수가 있다. 즉, 연결축(41)을 통해 받침부(20)와 하부 받침부(40)가 0도에서 90까지 회전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10 석영 유리 20 받침부
21 회전 지지부 22 고정부
22a 고정바 23 이동축
24 받침 테이블 25 다리
28 용접후 이동장치 40 하부 받침부
41 연결축 30 용접 버너
31 이동홈 33 버너 몸체
32 회전축 34 버너 받침부
12 용융물 11 용접재

Claims (5)

  1. 삭제
  2. 용접 하고자 하는 석영 유리를 서로 마주보게 하고 고정한 다음 용접 불꽃으로 가열하여 용접하는 석영유리의 용접 방법에서,
    석영 유리를 용접 장치에 장착하고 석영 유리 사이를 약간 이격 시킨 상태에서 석영 유리의 용접 부분을 가열하고, 용접 작업이 완료되어 석영 유리를 밀착 시킨 다음 석영 유리를 일정 거리만큼 뒤로 후퇴 이동시켜 석영 유리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유지된 간격 사이에 석영 유리의 용융물이 존재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가열된 열을 식힌 다음 연마 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석영 유리 사이에 용접재가 구비되고, 상기 용접재가 용융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영 유리의 용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용접 작업을 하기 위한 상기 석영 유리가 눕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영 유리의 용접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용접 작업을 하기 위한 상기 석영 유리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거나 세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영 유리의 용접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석영 유리의 두께가 1mm에서 20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영 유리의 용접 방법.
KR1020120099783A 2012-09-10 2012-09-10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방법 KR101433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83A KR101433668B1 (ko) 2012-09-10 2012-09-10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783A KR101433668B1 (ko) 2012-09-10 2012-09-10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674A KR20140033674A (ko) 2014-03-19
KR101433668B1 true KR101433668B1 (ko) 2014-08-26

Family

ID=5064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783A KR101433668B1 (ko) 2012-09-10 2012-09-10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951A (ko) *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레이저 용접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9019B2 (en) * 2019-01-22 2023-08-29 Heraeus Quartz North America Llc High-strength welding process for making heavy glass preforms with large cross sectional areas
CN115319293B (zh) * 2022-10-17 2023-02-03 成都市鸿侠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航天器配件组装的弧面激光焊接设备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433A (ja) * 2001-05-10 2003-01-29 Tokuyama Toshiba Ceramics Co Ltd 石英ガラス部材の接合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接合装置
JP2005211940A (ja) * 2004-01-29 2005-08-11 Sumitomo Electric Ind Ltd 接合方法
KR20070027490A (ko) * 2004-03-31 2007-03-09 가부시키가이샤 후쿠이 신에쯔 세끼에이 석영유리부재의 용접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433A (ja) * 2001-05-10 2003-01-29 Tokuyama Toshiba Ceramics Co Ltd 石英ガラス部材の接合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接合装置
JP2005211940A (ja) * 2004-01-29 2005-08-11 Sumitomo Electric Ind Ltd 接合方法
KR20070027490A (ko) * 2004-03-31 2007-03-09 가부시키가이샤 후쿠이 신에쯔 세끼에이 석영유리부재의 용접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951A (ko) *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레이저 용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20939B1 (ko) * 2021-05-28 2023-04-12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레이저 용접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674A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845B1 (ko) 석영유리부재의 용접방법 및 장치
KR100902699B1 (ko) 부분품의 정면을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33668B1 (ko) 석영 유리 판재의 용접 방법
KR101286673B1 (ko) 진동 스폿 용접 장치 및 방법
KR20130039955A (ko) 용접용 레이저 장치
US10638544B2 (en) Heating method,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ess-molded article
JP2003026433A (ja) 石英ガラス部材の接合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接合装置
JPH04182322A (ja) 石英部材の溶接方法および装置
CN112074400A (zh) 超声波焊接方法、利用超声波焊接方法焊接而成的结构体、超声波焊接装置
CN102699531A (zh) 一种激光扫描熔化金属粉末焊接方法及其装置
CN102225488A (zh) 铝镁合金板材的焊接工艺
CN207547985U (zh) 一种焊接工装
US10850347B2 (en) Linear friction welding system with pre-heating
KR101875717B1 (ko) 다이아몬드 톱날의 용접방법 및 그 장치
KR101821523B1 (ko) 열과 진동을 이용한 융착 장치 및 방법
KR102104990B1 (ko) 마찰 교반 용접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047074A1 (en) Gripping device and welding device
CN108890061B (zh) 一种金刚石工具焊接方法
JP4438517B2 (ja) 石英ガラス管部材の溶接方法及び装置
JP5755182B2 (ja) 接合方法、接合装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89903B1 (ko) 더블 피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피닝 방법
JP2021504141A (ja) 摩擦撹拌溶接システムにおいて溶接ショルダの溶接方向を実質的に遅延なく変更する装置及び方法
KR20210016874A (ko) 글라스 세라믹 판재의 용접 방법
CN104526153B (zh) 一种摩擦焊机
CN104475963B (zh) 一种新型摩擦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