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072B1 - FrsA를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FrsA를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072B1
KR101432072B1 KR1020120129937A KR20120129937A KR101432072B1 KR 101432072 B1 KR101432072 B1 KR 101432072B1 KR 1020120129937 A KR1020120129937 A KR 1020120129937A KR 20120129937 A KR20120129937 A KR 20120129937A KR 101432072 B1 KR101432072 B1 KR 101432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sa
leu
ser
ala
l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890A (ko
Inventor
이경조
김유라
이정기
차선신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4/439,317 priority Critical patent/US9567576B2/en
Priority to PCT/KR2013/009311 priority patent/WO2014069823A1/ko
Publication of KR2014005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88Lyases (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06Ethanol, i.e. non-bever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06Ethanol, i.e. non-beverage
    • C12P7/065Ethanol, i.e. non-beverage with microorganisms other than ye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1/00Hydrolases acting on ester bonds (3.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1/00Hydrolases acting on ester bonds (3.1)
    • C12Y301/01Carboxylic ester hydrolases (3.1.1)
    • C12Y301/01001Carboxylesterase (3.1.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1/00Carbon-carbon lyases (4.1)
    • C12Y401/01Carboxy-lyases (4.1.1)
    • C12Y401/01001Pyruvate decarboxylase (4.1.1.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Abstract

본원은 FrsA 단백질을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FrsA는 기질인 파이루베이트에 대해 높은 PDC 효소 활성을 가지므로 에탄올 생산과정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숙주 세포내 안정성을 증진시킨 FrsA 돌연변이를 IIAGlc와 함께 과발현할 경우, 기존의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유래의 PDC를 이용한 경우보다 안정성 증가로 인해 에탄올 생산에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FrsA를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Strains expressing FrsA protein and methods of producing ethano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FrsA를 발현하는 에탄올 생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해야만 하는 오일은 환경 문제와도 맞물려 대체 에너지원을 찾으려는 노력으로 이어져왔으며, 그 중 하나가 바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바이오메스를 에탄올로 전환하는 것이다.
그러나, 미생물을 이용한 에탄올의 생산은 생산비용에 비해 생산효율은 낮아 보다 경제적인 공정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상기 공정에 대한 측면은 크게 글루코스 공급원으로서의 바이오메스를 미생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는 것과 더불어 세포내에서의 효율적인 에탄올 생산을 위해 당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발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 공정에서는 사카로마이세스 서레비시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Zymomonas mobilis) 또는 대장균 (Escherichia coli) 등을 이용하여 육탄당 또는 오탄당과 같은 당을 발효하여 에탄올로 전환한다.
이러한 미생물은 효율적인 에탄올 생산을 위해 유전적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통해 외부에서 유래된, 에탄올 생산에 관여하는 효소를 발현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효소로서 파이루베이트 데카르복실라제(PDC)와 알콜데하이드로지나제(ADH)가 있으며, 대장균을 숙주 세포로 이용할 경우 파이루베이트를 에탄올로 전환하기 위해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유래의 파이루베이트 데카르복실라제 및 알콜 데하이드로지나제와 같은 효소가 이용되었다.
이들 효소는 세포내에서의 에탄올 생산효율을 높여서 전처리에 많은 비용이 드는 바이오메스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효소의 활성 개선은 어 전체 공정의 비용 감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US 공개특허공보 제2009/0155871호는 광 반응성 프로모터,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유래의 PDC 코딩 서열 및 ADH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컨스트럭트 및 이를 시아노박테리움에 도입하여 에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7981호는 신규한 알콜 탈수소효소 및 이를 미생물에 도입하여 에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2141호는 글리세롤 생산능을 저감시킨 균주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유래의 PDC 및 ADH 유전자를 도입하여 에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과 같이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유래의 FrsA를 PDC로 이용하여 숙주의 에탄올 생산능력을 증진시킨 예는 보고된 바 없으며, 새로운 생산 균주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있다.
본원의 목적은 당대사에 관여하는 FrsA의 생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에탄올 생산에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유래의 frsA 유전자 또는 그 변이체로 형질전환된 균주를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frsA 유전자가, 서열번호 2의 야생형 FrsA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서열의 131번째의 시스테인이 알라닌으로 치환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6), 또는 상기 서열의 131번째의 시스테인이 알라닌으로 치환되고,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기준으로 아미노산잔기 2 내지 19번째가 결실된 서열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것인 균주를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균주가 박테리아 또는 효모인 균주를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균주가 E. coli, Corynebacterium glutamicum , Erwinia chrysanthemi, Zymomonas mobilis , Klebsiella spp , Bacillus stearothrermophilus , Kluveromyces spp ., Pachysolen tanophilus , Lactic acid bacteria , Clostridium spp ., Thermococcus spp ., Thermococcus onnurineus , Candida shehatae, Saccharomyces eravisiae Pichia stipitis 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주를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균주가 E. coli 또는 Corynebacterium glutamicum인 균주를 제공한다.
본원은 알콜 데하이드로지나제 유전자로 추가로 형질전환된 균주를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IIAGlc 유전자로 추가로 형질전환된 균주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상기 균주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상기 방법은 본원의 FrsA를 발현하는 미생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생물을 탄소원과 접촉하는 단계; 및 상기 미생물을 발효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에탄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탄소원이 녹말, 셀룰로스, 헤미 셀룰로스, 오탄당, 및 육탄당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바이오에탄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탄소원이 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스, 갈락토스 및 만노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바이오에탄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발효 조건이 산소 또는 pH 조건의 조절을 통하여 수행되는,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은 또한, 상기 산소 조건이 혐기 또는 조건무산소 조건인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유래의 FrsA는 기질인 파이루베이트에 대해 높은 PDC 효소 활성을 가지므로 에탄올 생산과정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숙주 세포내 안정성을 증진시킨 FrsA 돌연변이를 IIAGlc와 함께 과발현할 경우, 기존의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유래의 PDC를 이용한 경우보다, 숙주가 더 높은 에탄올 생산능력을 갖게 하므로,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더 유용하다.
도 1a은 재조합 FrsA를 이용한 파이루베이트의 분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0 내지 50nM 범위의 다양한 농도의 FrsA의 존재 하에서 파이루베이트(1mM)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5분 반응 후 남아있는 파이루베이트의 농도를 측정하여 3회 반복 실험 결과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도 1b는 FrsA에 의한 파이루베이트의 아세트알데하이드로의 전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이루베이트(5mM)를 50mM 포스페이트 완충 D2O에 첨가하여 2μM FrsA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반응시키고 이 반응 혼합물을 1H-NMR로 분석하였다. [약어: A, 아세트알데하이드; AH, 수화된 아세트알데하이드; PYR, 파이루베이트; TMS, 테트라메틸실란. 아세트알데하이드에 대한 스탠다드 1H-NMR 스펙트럼은 도 4c에 있다]
도 1c는 FrsA의 파이루베이트 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아세트알데하이드 및 CO2의 농도를 나타낸다.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 및 CO2의 농도는 1nM FrsA 및 0 내지 1.0 mM 범위의 다양한 농도의 파이루베이트를 포함하는 반응혼합물에서 측정하였다. 각 반응 혼합물에서 생산된 아세트알데하이드 및 CO2 각각 X축 및 Y 축에 표시하였으며, 이어서 선형회귀 분석을 하였다.
도 1d 및 도 1e는 야생형 및 돌연변이 frsA를 포함하는 박테리아(LBS-글루코스 배지에서 호기성 또는 혐기성 조건에서 배양)에서 각각 파이루베이트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나타내며, 상기 박테리아는 광범위한 숙주 범위를 갖는 벡터 pRK415를 포함한다. 실험에 사용한 각 화합물의 양은 3회 실험값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별표는 p-value < 0.0001 (Student t-test)이다.
도 2는 정제된 재조합 FrsA 단백질의 SDS-PAGE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야생형(검은색 원) 및 FrsA 결손 돌연변이(흰색 원) 대장균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생산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α-케토부티레이트와 FrsA 반응 혼합물의 500MHz 1H-NMR 스펙트럼이다 [약어: KB, α-케토부티레이트; TMS, 테트라메틸실란].
도 4b는 α-케토글루타레이트와 FrsA 반응 혼합물의 500MHz 1H-NMR 스펙트럼과 순수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500MHz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약어: KG, -케토글루타레이트; TMS, 테트라메틸실란].
도 4c는 순수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500MHz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약어: A(아세트알데하이드: 2.24 및 9.68 ppm) 및 HA(수화아세트알데하이드: 1.33 및 5.25ppm), HDO (중수)].
도 5는 비브리오 불니피쿠스의 FrsA와 그 오솔로그(ortholog)의 아미노산 서열을 정렬한 결과이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의 FrsA 서열을 Clustal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GenBank의 FrsA 오솔로그와 비교하였다. 동일 및 유사한 아미노산 잔기는 각각 청색 별표 및 초록색 점으로 표시하였다. 촉매에 관여하는 잔기(R53, D203 및 R272)는 적색으로 표시하였다. 아미노산 잔기는 NCBI 데이터베이스에서 수득하였다[약어: V.v (Vibrio vulnificus; NP_759330.1); V.p (Vibrio parahaemolyticus;
EED26191); V.c (Vibrio cholerae; NP_231907); E.c (Escherichia coli; AP_000892); S.f (Shigella flexneri; NP_706239); S.e (Salmonella enterica; YP_001571692); 및 Y.p (Yersinia pestis; AAM84545)].
도 6은 FrsA가 촉매하는 반응의 pH 의존성을 나타내는 실험결과이다. 재조합 FrsA를 pH 4 내지 9의 다양한 범위로 적정화된 반응 혼합물에 추가하여 효소 반응속도계수 알콜 데하이드로지나제(ADH)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파이루베이트의 아세트알데하이드로의 전환과 관련된 k cat k cat /K m 상응하는 pH 조건하에서 수행한 ADH 반응의 표준커브로 결정하였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다양한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가지는 FrsA 발현 플라스미드(pXMJ-pdc/adh, pXMJ-frsA/adh, pXMJ-frsA/crr/adh)를 대장균 K12에 도입하고, 각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균주 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탄올 생산량을 도시화한 그래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다양한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가지는 FrsA 발현 플라스미드(pXMJ-pdc/adh, pXMJ-frsA/adh, pXMJ-frsA/crr/adh)를 대장균 K12에 도입하고, 각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균주의 배양 중 MES 버퍼를 첨가하여 pH를 조절한 경우, 에탄올 생산량이 증가되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다양한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가지는 FrsA 발현 플라스미드(pXMJ-pdc/adh, pXMJ-frsA/adh, pXMJ-frsA/crr/adh)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 도입하고, 각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균주 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탄올 생산량을 도시화한 그래프이다.
도 8b는 야생형 FrsA와 FrsA[mt] 돌연변이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정렬한 결과로서, 돌연변이 FrsA[mt] 단백질은 야생형 FrsA 단백질의 아미노 말단으로부터 2번? 아미노산부터 19번째 아미노산까지가 결실되고, 131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에서 알라닌으로 치환된 것이다.
도 8c는 FrsA[mt] 돌연변이 단백질의 안정성이 비교 실험된 SDS-PAGE 결과로서, 돌연변이 FrsA[mt](frsA[mt]/adh, frsA[mt]/crr/adh,)를 제작하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내에서 발현시킨 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축된 다양한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가지는 FrsA[mt] 돌연변이 단백질을 발현하는 플라스미드(pXMJ-pdc/adh, pXMJ-frsA[mt]/adh, pXMJ-frsA[mt]/crr/adh)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 도입하고, 각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균주 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탄올 생산량을 도시화한 그래프이다.
본원에서는 FrsA의 생화학적 기능을 규명하였다. 글루코스는 대사과정에서 파이루베이트로 이화되며, 파이루베이트를 기점으로 하여 호흡과 발효 과정으로 갈라진다. FrsA (Fermentation Respiration Switch) 단백질은 발효/호흡의 갈림길에서 그 방향을 결정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며, 당대사를 발효 쪽으로 전환한다.
본원에서는 생화학적 실험을 통하여 FrsA가 코팩터의 도움없이 파이루베이트의 탈카르복실화 반응을 촉매하여 이를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이산화탄소로 이화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이 과정에서 IIAGlc 단백질이 FrsA의 효소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원에서는 FrsA와 IIAGlc를 미생물에서 과발현하여 숙주의 에탄올 생산능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본원에서는 돌연변이 FrsA와 IIAGlc를 미생물에서 과발현하여 숙주의 에탄올 생산능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에, 한 양태에서 본원은 FrsA 유전자 및 단백질을 제공한다. FrsA 유전자 및 단백질은 야생형 및 이와 생물학적 동등성을 갖는 변이체를 포함한다. 핵산 수준에서의 변이는 아미노산의 변이를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아미노산 수준에서 변이를 수반하는 경우, 생물학적 동등성을 갖는 한 다양한 아미노산 변이체가 본원에 포함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유전자 및 단백질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유래의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유전자 및 단백질은 각각 서열번호 1 및 2의 서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열번호의 서열에 치환이 있으나 생물학적 동등성을 갖는 핵산 수준 및 단백질 수준에서의 서열변이체도 포함하는 것이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FrsA는 서열번호 2의 서열 중 131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에서 알라닌으로 치환된 돌연변이 단백질을 코딩하는 돌연변이 frsA 유전자 서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131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에서 알라닌으로 치환된 frsA 유전자 및 단백질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5 및 6으로 나타낸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서열번호 2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은 서열번호 1의 서열로 표시하였으나,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여러 개의 코돈의 존재로 인한 핵산 서열의 변이도 본원에 포함된다.
본원은 나아가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유래의 frsA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균주를 제공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frsA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서열일 수 있으며, 서열번호 2의 서열 중 131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에서 알라닌으로 치환된 돌연변이 단백질을 코딩하는 돌연변이 frsA 유전자 서열일 수 있다.
상기 frsA 유전자 또는 돌연변이 frsA 유전자를 포함하는 이의 등가물로 형질전환된 균주는 FrsA 단백질을 발현하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발현을 조절하여 과량으로 또는 원하는 시기에 맞추어 발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균주는 에탄올 생산을 위해 알콜 데하이드로지나제 (Alcohol dehydrogenas, ADH) 유전자 및/또는 IIAGlc 유전자로 추가로 형질 전환될 수 있다.
ADH 유전자로는 다양한 기원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유래의 GenBank 접근번호, NM_001183340, NM_001182812, NM_001181122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IIAGlc 단백질은 crr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글루코스-특이적 수송자(glucose-specific transporter)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타겟 단백질에 결합하여 그 타겟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능력이 있는데, 그 타겟 단백질의 하나가 본원에서 특성을 규명한 FrsA이다. 본 발명자는 IIAGlc를 FrsA외 추가로 발현하는 경우 FrsA의 효소활성을 약 2배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IIAGlc는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유래의 것으로 예를 들면 그 유전자 및 단백질 서열은 각각 서열번호 3 및 4로 표시된다.
ADH 및/또는 IIAGlc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FrsA의 활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미생물에 도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frsA 유전자는 숙주 미생물로서, 육탄당, 오탄당 및 락토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질을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박테리아 또는 효모에 도입되어 에탄올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로서는 혐기성(anaerobic) 및 조건무산소성(facultative anaerobic) 환경에서 자랄 수 있는 박테리아 또는 효모가 사용될 수 있다. 혐기성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발육할 수 있으며, 산소가 증식하면 오히려 생육이 곤란해지는 성질을 가리키며,조건무산소성은 통성혐기성이라고도 하며, 산소 호흡을 주로 하지만 무산소 환경에서도 증식할 수 있는 균학적 성질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통성혐기성 균으로, 예를 들면, 에스쉐리키아 콜라이 ( Escherichia coli ),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 Corynebacterium glutamicum ), 에르위니아 크리산트헤미 ( Erwinia chrysanthemi ),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 Zymomonas mobilis ), 클렙시엘라 ( Klebsiella spp ), 박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루스 (Bacillus stearothrermophilus ), 클루베로마이세스 ( Kluveromyces spp .), 파키솔렌 타노필루스 (Pachysolen tanophilus ), 유산균, 클로스트리디움 ( Clostridium spp .), 칸디다 세하테 ( Candida shehatae), 효모균으로는 사카로마이세스 서레비시에 ( Saccharomyces seravisiae ), 또는 피키아 스티피티스 ( Pichia stipitis )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세균 (Archaea)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리알케오타 ( Euryarchaeota ), 하이퍼써모필( Hyperthermophiles ), 써모코커스 ( Thermococcus spp ). 또는 파이로코커스 ( Pyrococcus spp .), 써모코커스 온누리네우스 ( Thermococcus onnurineus NA1 )가 사용될 수 있다. 유산균은 예를 들면 스트렙토코커스 (Streptococcus spp .), 락토박실러스 ( Lactobacillus spp .) 및 락토코커스 ( Lactococcus spp .), 또는 류코노스탁( Leuconostoc spp.)를 포함한다.
본원의 FrsA가 도입되어 에탄올 생산에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은 온도, pH 범위, 알콜내성, 삼투내성, 생장속도, 생산량, 특이성, 생산효율, 유전적 안정성 및 억제제 내성과 같은 항목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여야 하며, 당업자라면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한 균주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한 구현예에서는 S. cerevisiae , E. coli, Zymomonas mobilis가 사용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Thermococcus onnurineus NA1이 사용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Corynebacterium glutamicum이 사용된다.
본원의 frsA 유전자를 미생물에 도입하기 위한 클로닝 벡터 및 이러한 벡터의 전달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FrsA를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PCR과 같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획득하고 이를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벡터, 예컨대 pQE30, pGEM-T, pSC101, ColE1,pBR322, pUC8/9, pHC79, pUC19 또는 pET와 같은 발현벡터에 삽입한 다음, 상술한 미생물을 포함하는 적합한 숙주 세포에 형질전환시킨다. 에탄올 생산을 위해서는 이들 형질전환 미생물에서 FrsA 단백질을 과량으로 발현시킬 수 있다.
본원의 frsA 유전자는 박테리아의 유전체에 혼입되어 존재하거나 또는 플라즈미드에 포함되어 유전체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는 안정적 발현을 위해 유전체에 혼입되어 존재한다.
본원의 frsA 유전자는 또한 오페론의 형태로 박테리아에 도입될 수 있다. 오페론은 frsA의 유전자 및 세포내에서의 발현 및 조절을 위해 조절서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조절서열은 프로모터, 인듀서, 오퍼레이터 및 라이보소말 결합부위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페론에 포함된 조절서열의 예로는 미국특허 제 5,000,000호에 기술된 것을 들 수 있으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발현된 FrsA 단백질을 정제하여 인비트로에서 사용하는 경우, 단백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정제 방법에 따라 정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양된 형질전환 세포를 파쇄하여 얻은 조추출물을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FrsA 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다.
본원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원의 FrsA는 기존의 알려진 PDC인 자이모모나스(Zymomonas ) 유래의 것과 비교하여 유사한 Km값을 가지나, 약 8배의 Kcat 및 Kcat/km 값을 가져 매우 우수한 촉매효율을 갖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의 그것과 비교해서는 Kcat 및 Kcat/km 값이 각각 약 19배 및 약 110배 높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본원에 따른 FrsA 유전자 또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포함하는 균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에탄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바이오에탄올은 바이오에너지의 한 종류로 바이오매스를 활용하여, 당 발효과정을 통하여 생산되는 에탄올이다. 본원에 따른 FrsA 또는 그 변이체는 균주에 도입시 당의 발효를 통해 에탄올을 고효율로 생산할 수 있다.
본원의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사용되는 균주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ADH 이외에 IIAGlc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본원에 따른 FrsA를 발현하는 미생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생물을 탄소원과 접촉하는 단계; 및 상기 미생물을 발효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에탄올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바이오에탄올의 생산을 위한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 온도 조건 및 사용가능한 탄소원 등은 사용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당업자라면 당업계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대장균의 경우 Peterson & Ingram et. al. Ann. N.Y. Acad. Sci. 1125: 36372 (2008)를 참조할 수 있다.
본원의 FrsA를 발현하는 미생물, 즉 형질전환 균주에 대하여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다.
본원의 방법에 사용되는 탄소원으로서는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는 한, 크게 제한되는 것은 없다. 예를 들면 바이오매스 유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바이오매 스는 연료 및 연료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살아있거나 최근에 죽은 식물을 의미한다.
바이오매스는 탄수화물과 비-탄수화물의 2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탄수화물은 다시 셀룰로스, 즉, β-1,4 결합된 글루코스 단위체로 구성된 선형 폴리머와 헤미셀룰로스, 즉, β-1,4 결합된 자일로스 주쇄와 아라비노스, 갈락토스, 만노스 및 글루쿠론산의 분지로 구성되는 복합 분지형 폴리머로 분류될 수 있다. 비탄수화물 물질은 가교된 페닐프로파노이드 구조의 리그닌이다. 이러한 리그노셀룰로스와 같은 바이오매스가 본원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본원의 균주와 접촉하기 전에 공지된 처리방법, 예를 들면 WO2009/071996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방법에는 탄소원으로서 락토스 및 바이오매스에 존재하는 주당인 글루코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스, 갈락토스 및 만노스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효는 산소 또는 pH 조건의 조절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산소조건 의 조절 즉 혐기(anaerobic) 또는 조건무산소(facultaive anaerobic) 조건 및 pH 조건은 배양을 목적으로 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in et al, 의 Appl Microbiol Biotechnol (2006) 69: 627642에 기재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혐기 또는 조건무산소 조건에서 배양가능한 미생물은, 예를 들면, 에스쉐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 Corynebacterium glutamicum ), 에르위니아 크리산트헤미( Erwinia chrysanthemi ),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 Zymomonas mobilis ), 클렙시엘라 ( Klebsiella spp ), 박실러스 스테아로써모필루스 ( Bacillus stearothrermophilus ), 클루베로마이세스 ( Kluveromyces spp .), 파키솔렌 타노필루스 ( Pachysolen tanophilus ), 유산균, 클로스트리디움 ( Clostridium spp .), 칸디다 세하테 ( Candida shehatae ), 효모균으로는 사카로마이세스 서레비시에 ( Saccharomyces seravisiae ), 또는 피키아 스티피티스 ( Pichia stipitis )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은 숙주의 배양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또 배양방법은, 배치(batch)식, 유동배치식, 연속배양, 리액터형식 등 통상의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하는 어떠한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백질의 발현 및 정제
1-1 frsA 클로닝 및 정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3)로부터 추출한 유전체를 주형으로, 두 개의 프라이머 [FrsAexp-FK (5'- GGGGTACCCCGAATATGTCAGAAGAAGTCAGC-3'; 밑줄친 부분- KpnI 절단부위) 및 FrsAexp-RH (5'-CCCAAGCTTGTCACCTTAAGAGTTCATCTTCCAGC-3'; 밑줄 친 부분-HindIII 절단부위)]를 사용하여 frsA 유전자의 모든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PCR로 1,255-bp DNA 단편을 증폭하였다.
이어 증폭된 단편을 이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KpnI 및 HindIII로 절단한 후 발현벡터인 pQE30 (Qiagen)에 클로닝하여 pQE-frsA를 수득하였다. 이 발현벡터를 포함하는 E. coli JM109 (Promega)를 0.2 mM의 아이소프로필씨오--D-갈락토사이드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한 후 Ni+-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친화성 컬럼 및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Qiagen, USA)를 제조자의 지시대로 사용하여 재조합 FrsA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대장균 FrsA의 클로닝의 경우, E. coli K-12의 frsA 서열에 특이적인 하기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하였다: ECFrsAexp-FB (5'- CGGGATCCATGACACAGGCAAACCTGAG-3' ; 밑줄친 부분 BamHI 부위) 및 ECFrsAexp-RH: 5'-CCCAAGCTTGCTATCTCCTGTTGTGATGC-3' ;밑줄친 부분 HindIII 부위). E. coli FrsA도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Ni+-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친화성 컬럼 및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한 단백질은 소디움도세실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에서 전기영동하고 코마시브릴런트로 염색하였다. 도 2의 사진을 참고하면, 47 kDa의 FrsA 단백질을 젤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FrsA 단백질이 다량체를 형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제조, 정제된 FrsA 단백질을 제조자의 지시대로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Sigma)에 적용하여 단백질을 1mM DTT 및 300mM NaCl을 포함하는 10mM 소디움포스페이트 완충액(pH 8.0)으로 용출하였다. 예상 분자량은 47 kDa이며, 이는 FrsA가 용액 중에서 단량체로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1-2 IIA Glc 클로닝 및 정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유전체를 주형으로, 두 개의 프라이머 Crrexp-F (5'- CGGGATCCGACACAATGGGTCTGTTTGAC -3'; 밑줄친부분 BamHI) 및 Crrexp-R (5'-AACTGCAGTAGTAATTACTTAGTTACGCG -'3; 밑줄 친 부분 PstI)를 사용하여 IIAGlc를 코딩하는 522-bp의 crr 유전자의 완전한 해독틀을 증폭하였다. 증폭된 crr DNA를 그 양 말단에 위치한 BamHI 및 PstI 부위로 잘라 pQE30 발현벡터 (Qiagen)에 클로닝하여 pQE-crr를 구축하였다. 인산화된 재조합 IIAGlc 단백질 및 비인산화된 재조합 IIAGlcE. coli JM109 내에서 각각 1.0 mM 포스포에놀파이루베이트 또는 1.0% 글루코스를 포함하는 배지에서 과발현시키고 Ni+-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친화성 컬럼 및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1-3 FrsA의 부위특이적 돌연변이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131번째 시스테인이 알라닌으로 치환된 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오버랩익스텐션(4) 방법으로 FrsA의 상기 부위에 돌연변이를 도입하였다. FrsA C131A 를 코딩하는 DNA를 증폭하기 위해, 두 세트의 프라이머 FrsAexp-FK/FrsA FrsA C131AR (5'-GTAACCTGCGATGCTGTAAGCCAAGGATGc-3')/ FrsA C131AF (5'-GCATCCTTGGCTTACAGCATCGCAGGTTAC-3')를 사용하였다. 이어서 상기 프라이머로 수득한 두 가지의 PCR 산물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FrsAexp-FK 및 FrsAexp-RH를 프라이머로 하여 2차 PCR을 수행하였다.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수득한 frsA DNA를 KpnI와 HindIII로 절단한 후 역시 KpnI/HindIII로 자른 pQE30에 라이게이션하여 pQE-frsAC131A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플라스미드의 서열은 염기서열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1-4 frsA가 결손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돌연변이체 제조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MO624/O30의 유전체를 주형으로, 두 개의 프라이머 [frsA-up F (5'-ACATGCATGCAATAATCGTTTGCGCAGCTCGATACCC-3'; 밑줄 친 부분- SphI 절단 부위) 및 frsA-up R (5'- GCTCTAGATCGGCATGTATTGAGTCAATGCCGAGG -3'; 밑줄 친 부분 XbaI 절단 부위)]를 사용하여 PCR로 f rsA 업스트림 부위를 포함하는 838bp DNA를 증폭하였다. 이어 상기 단편을 pBluescript SK II(+)(Promega)에 클로닝하여 pSKfrsAup를 수득하였다.
frsA 유전자의 다운스트림 부위를 포함하는 1,118-bp DNA 단편을 위와 같은 유전체를 주형으로 frsA-downF (5'-GCTCTAGAAGGGGATCCGGTCTCGCCATATTCGGA-3'; 밑줄 친 부위 XbaI 절단 부위) 및 frsA-downR (5'- GGACTAGTATCCGCTCGAGTGAGCAACATTTGGCC-3'; 밑줄 친 부위 SpeI 절단 부위) 프라이머로 하여 PCR로 증폭한 후 pSKfrsAup에 클로닝하여 pSKfrsAup/down을 수득하였다. 이어 이를 SphI과 SpeI으로 절단하여 1,956-bp DNA 단편을 수이사이드(suicide) 벡터인 pDM4(5)에 클로닝하여 pDM4-frsA를 구축하였다. E. coli pDM4-frsA를 포함하는 SM10pir strain(6)를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MO624/O30와 컨쥬케이트시키고, 컨쥬케이트 완료체는 씨오설페이트 사이트레이트 바일 수크로스 배지(7)에서 선별하였다. 이어 선별된 콜로니는 frsA-upF와 frsA-downR를 프라이머로 사용하여 PCR로 결실을 확인하였으며, frsA 돌연변이체는 SM201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FrsA의 생화학적 분석을 통한 특성 규명
2-1 반응속도 상수 측정
FrsA 효소 분석은 1 mM 디씨오쓰레이톨 및 다양한 농도의 파이루베이트를 포함하는 50mM 소디움 포스페이트 용액(pH 7.0)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파이루베이트로부터 생산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측정하기 위해, 2 mM NADH 및 3.7 U의 이스트 알콜 데하이드로지나제(ADH)(Sigma)를 FrsA 반응혼합물에 포함하였다 (8). 야생형 E. colifrsA 돌연변이체 (9)의 세포 융해물은 0.005 내지 1mg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생산된 아세트알데하이드 반응은 FrsA (1nM)을 첨가하여 개시하였으며, 37℃에서 5분간 반응을 진행하고, 50mM 포타슘 하이드로젠 프탈레이트 완충액(pH3.0)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반응혼합물에 남아있는 잔여 NADH는 340nm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CO2 측정을 위해서, FrsA 효소 반응은 50 mM Tris-HCl 완충액 (pH 7.0)에서 수행하였다. 반응물 용액 중에 용해된 이산화탄소는 반응물 용액을 10mM 칼슘하이드록사이드로 처리한 후 분광광도법으로 정량하였다 (10). 세포 융해물 또는 반응 혼합물 중의 파이루베이트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각각 파이루베이트 분석 키트 (BioVision)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UV-방법 키트 (Roche)를 사용자의 지시대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하이드 UV-방법 키트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색소 (1.0% Tween 20 용액 50ml 중에 40 mg 아이오도니트로테트라졸리움 클로라이드 및 10mg 페나젠 메쏘설페이트)로 처리하고, 이어서 490nm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11). 결과는 도 3 및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Km 및 Kcat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각 기질 농도(S) 별로 1분간 얻은 흡광도 결과 값으로 부터 반응 산물 농도를 mM 단위로 계산한 후 기질 농도별 초기 반응속도(V0)를 각각 구하였다(이때 단위는 mM(product)/sec/mg(enzyme)). S와 V0에 역수를 취하여 얻은 값을 각각 X축과 Y축으로 하여 Linenweaver-Burk plot을 그린 후 linear regression으로 Y=aX+b의 수식을 얻었다 (이때 X절편의 역수가 Km이고, Y절편의 역수가 Vmax임). 계산된 Vmax (mM( product )/sec/mg( enzyme ))에서 효소의 단위 무게를 mM 농도 값으로 바꾸어 계산하여 sec-1 단위의 Kcat을 계산하였다.
이스트 및 자이모모나스 유래의 PDC 반응속도는 기본적으로 FrsA와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ADH/NADH 커플드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반응액 MES, pH 6.0, 5 mM MgCl2 및 1 mM 티아민 파이로포스페이트에서 25℃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자이모모나스의 경우 반응시작 전 효소를 다음과 같은 조성의 완충액(0.1 M 소듐 시트레이트 완충액, pH 6.0, 20 mM Mg2 +, 1.5 mM 티아민 파이로포스페이트)에서 전처리한 후 반응액에 105 μmol 소듐 시트레이트 완충액, pH 6.0, 21 μM MgSO4, 18 μM 소듐 파이루베이트, 0.19 μM NADH, 3.7 U 이스트 알콜 데하이드로나제를 첨가하여 반응을 시작하였으며, 분석은 위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2-3 NMR 분광법
5mM 파이루베이트, α-케토글루타레이트, 또는 α-케토부티레이트를 용액 (95% D2O 중에 50mM 소디움 포스페이트 및 1mM 디씨오쓰레이톨)에 첨가하였다. 이어 반응 혼합물을 2 μM FrsA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20℃에서 90분간 반응하였다. 이어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서 2시간 동안 둔 후, NMR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광은 Bruker DRX500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500MHz의 1H 공명진동수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4에 나타나 있다.
2-4 FrsA 효소의 특성
A. FrsA 파이루베이트 탈카르복실화반응 활성
파이루베이트를 포함하는 반응물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FrsA를 첨가한 경우, 파이루베이트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도 1a 참조). 1H NMR 스펙트럼을 통해 이러한 파이루베이트 농도의 감소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증가로 이어졌음을 규명하였다 (도 1b 참조). FrsA의 존재하에 다양한 농도의 파이루베이트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 분석결과도 이와 일치하는 것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이산화탄소가 1:1 비로의 생성됨을 보여준다 (도 1c). FrsA에 포함된 오염물에 의한 결과를 배제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frsA 결손 돌연변이체와 야생형 대장균의 파쇄물을 파이루베이트를 포함하는 용액에 추가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증가한 야생형과 달리 돌연변이체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가 검출되지 않았다 (도 3 참조). 이는 FrsA가 파이루베이트에 대한 이화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B. 기질특이성
나아가 기질 특이성을 입증하기 위해 파이루베이트 이외에 다른 다양한 기질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옥살로아세테이트, α-케토글루타레이트, 및 α-케토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반응물에서 위와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NMR 결과 이러한 기질을 사용한 경우에는 이산화탄소가 생성되지 않았다 (도 4a, 도 4b 및 도 4c 참조).
C. 세포내에서의 활성
이어서 세포내에서의 FrsA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글루코스의 존재하에서 배양한 비브리오 불니피쿠스의 세포내 파이루베이트의 농도와 실시예 1에서 제작한 frsA 결손 돌연변이체의 것을 비교한 결과, 혐기성 배양조건에서 후자의 파이루베이트 농도가 약 3배 더 높았다. 반면 호기성 조건에서의 농도는 두 경우가 유사하였다 (도 1d 참조). 이는 frsA의 결손이 발효대사 과정에서 파이루베이트 사용에 문제를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 모니터링 결과도 위와 일치하였다. 즉, 혐기성 조건에서 배양한 frsA 결손 돌연변이체의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가 야생형과 비교하여 약 3배 낮았다 (도 1e). 그러나, 광범위한 숙주 적응성을 갖는 벡터에 frsA 유전자를 넣어 frsA 결손변이체에 전달한 결과, 파이루베이트와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가 야생형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도 1d 및 도 1e 참조). 호기성 조건에서는 야생형과 돌연변이체의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산소가 풍부한 조건에서는 FrsA의 발현이 감소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FrsA가 비산소성 파이루베이트 탈카르복실화 반응(decarboxylation)을 촉매하여 이를 아세트알데하이드와 이산화탄소로 분해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응속도 분석에 의하면 FrsA는 효율이 좋은 효소로 표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k catk cat/km의 값이 1,372 11s-1 및 3,518 183s-1mM-1로 높은 촉매 활성을 가지며 기존의 PDC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와 비교시 약 8배가 높고, IIAGlc 첨가시 약 17배가 더 높다 (표 1 참조). 따라서 FrsA의 효소 활성은 발효를 촉진할 수 있는 생리적 기능을 충족한다.
[표 1]
Figure 112012094312859-pat00001

실시예 3 FrsA 발현 플라스미드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
3-1 발현 플라스미드 구축
pXMJ - pdc / adhB 클로닝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ZM4 (ATCC) 로부터 추출한 유전체를 주형으로,두 개의 프라이머 [ZmPDC FPstI
(5'-GATCCTGCAGAAAGGAGGACAACCATGAGTTATACTGTCGGTAC-3'; 밑줄 친 부분- PstI 절단 부위) 및 ZmPDC RXbaI (5'-GATCTCTAGACTAGAGGAGCTTGTTAACAG-3'; 밑줄 친 부분-XbaI 절단 부위)]를 사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여 pdc 유전자의 모든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1,721-bp DNA 단편을 증폭하였다. 이어 증폭된 단편을 이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PstI 및 XbaI로 절단 한 후 발현벡터인 pXMJ19(M. Jakoby et al. 1999.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new Corynebacterium glutamicum vectors. Biotechnology Techniques. 13:437441))에 클로닝하여 pXMJ-pdc를 수득하였다. 이후 pXMJ-pdc/adhB를 클로닝 하기 위하여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ZM4로부터 추출한 유전체를 주형으로, 두 개의 프라이머 [ZmadhB FK (5'-GGGGTACCAAAGGAGGACAACCTAGCTATGGCTTCTTCAACTTTTTATATTCC-3'; 밑줄친 부분- KpnI 절단 부위) 및 ZmadhB RE
(5'-CGGAATTCTTAGAAAGCGCTCAGGAAGAGTTC-3'; 밑줄 친 부분-EcoRI 절단 부위)]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adhB 유전자의 모든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1,171-bp DNA 단편을 증폭하였다. 증폭된 단편을 이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KpnI 및 EcoRI 부위에서 절단 후 pXMJ-pdc 플라스미드에 클로닝하여 pXMJ-pdc/adhB 를 수득하였다.
pXMJ - frsA / crr / adhB 클로닝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Wright, A. C., Simpson, L. M., Oliver, J. D. & Morris, J. G., Jr. Phenotypic evaluation of acapsular transposon mutants of Vibrio vulnificus. Infect Immun 58, 1769-73 (1990))로부터 추출한 유전체를 주형으로, 두 개의 프라이머 [VvfrsAFP(5'-AACTGCAGAAAGGAGGACAACCCCGAATATGTCAGAAGAAGTCAGC-3'; 밑줄 친 부분- pstI 절단 부위) 및 VvfrsA RX (5'-GCTCTAGAGATTTGTCACCTTAAGAGTTCATC-3'; 밑줄 친 부분-XbaI 절단부위)]를 사용하여 PCR로 frsA 유전자의 모든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1,264-bp DNA 단편을 증폭하였다. 이어 증폭된 단편을 이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PstI 및 XbaI 부위에서 절단한 후 발현벡터인 pXMJ19에 클로닝하여 pXMJ-frsA 를 수득하였다. 이후 pXMJ-frsA/crr을 클로닝하기 위하여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로부터 추출한 유전체를 주형으로, 두 개의 프라이머
[VvcrrFBamHI(5'-CTAGGGATCCAAAGGAGGACAACCGACACAATGGGTCTGTTTGACAAAC-3'; 밑줄친 부분- BamHI 절단부위) 및 VvcrrRKpnI(5'-GGGGTACCGTAGTAATTACTTAGTTACGCGTAG-3'; 밑줄 친 부분-KpnI 절단 부위)]를 사용하여 PCR로 crr 유전자의 모든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524-bp DNA 단편을 증폭하였다. 이 증폭된 단편을 이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BamHI 및 KpnI 부위에서 절단한 후 pXMJ-frsA 플라스미드에 클로닝하여 pXMJ-frsA/crr을 수득하였다.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ZM4로부터 추출한 유전체를 주형으로, 두 개의 프라이머 [ZmadhB FK (5'-GGGGTACCAAAGGAGGACAACCTAGCTATGGCTTCTTCAACTTTTTATATTCC-3'; 밑줄친 부분- KpnI 절단 부위) 및 ZmadhB RE (5'-CGGAATTCTTAGAAAGCGCTCAGGAAGAGTTC-3'; 밑줄 친 부분-EcoRI 절단 부위)]를 사용하여 PCR로 a dhB 유전자의 모든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1,171-bp DNA 단편을 증폭하고 이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KpnI 및 EcoRI 부위에서 절단한 후 pXMJ-frsA/crr 플라스미드에 클로닝하여 최종적으로 pXMJ-frsA/crr/adhB 플라스미드를 얻었다.
pXMJ - frsA [ mt ]/ crr / adhB 클로닝
실시예 1-3에서 제작된 131번째 시스테인이 알라닌으로 치환된 frsA가 클로닝된 pQE-frsAC131A 플라스미드를 주형으로, 두 개의 프라이머 [VvfrsA[mt] FP(5'-AACTGCAGAAAGGAGGACAACCTAGCTATGGCCATAGAAACCTCGGCATTG-3'; 밑줄 친 부분- pstI 절단 부위) 및 VvfrsA RX (5'-GCTCTAGAGATTTGTCACCTTAAGAGTTCATC-3'; 밑줄 친 부분-XbaI 절단 부위)]를 사용하여 PCR로 1,210-bp의 frsA DNA 단편을 증폭하였다. 이어 증폭된 단편을 이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PstI 및 XbaI 부위에서 절단한 후 발현벡터인 pXMJ19에 클로닝하여 pXMJ-frsA[mt]를 수득하였다. 이후 pXMJ-frsA[mt]/crr을 클로닝하기 위하여,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로부터 추출한 유전체를 주형으로, 두 개의 프라이머
[VvcrrFBamHI (5'-CTAGGGATCCAAAGGAGGACAACCGACACAATGGGTCTGTTTGACAAAC-3'; 밑줄 친 부분- BamHI 절단 부위) 및 VvcrrRKpnI (5'-GGGGTACCGTAGTAATTACTTAGTTACGCGTAG-3'; 밑줄 친 부분-KpnI 절단 부위)]를 사용하여 PCR로 crr 유전자의 모든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524-bp DNA 단편을 증폭하였다. 이 증폭된 단편을 이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BamHI 및 KpnI 부위에서 절단한 후 pXMJ-frsA[mt] 플라스미드에 클로닝하여 pXMJ-frsA[mt]/crr을 수득하였다.
자이모모나스 모빌리스 ZM4로부터 추출한 유전체를 주형으로, 두 개의 프라이머 [ZmadhB FK (5'-GGGGTACCAAAGGAGGACAACCTAGCTATGGCTTCTTCAACTTTTTATATTCC-3'; 밑줄 친 부분- KpnI 절단 부위) 및 ZmadhB RE (5'-CGGAATTCTTAGAAAGCGCTCAGGAAGAGTTC-3'; 밑줄 친 부분-EcoRI 절단 부위)]를 사용하여 PCR로 a dhB 유전자의 모든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1,171-bp DNA 단편을 증폭하고 이의 양 말단에 존재하는 KpnI 및 EcoRI 부위에서 절단한 후 pXMJ-frsA[mt]/crr 플라스미드에 클로닝하여 최종 pXMJ-frsA[mt]/crr/adhB 플라스미드를 얻었다.
3-2 대장균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
대장균 내 FrsA / IIA Glc 과발현
실시예 3-1에서 구축한 각 플라스미드를 도입한 E. coli K12(Escherichia coli K-12 F-prime factors, old and new. Bacteriological Reviews. 36:587-607)를 에탄올 생산용 배지 (LB, 10% glucose)에서 37, 정치상태로 배양하였다. E. coli K12는 pH의 급격한 저하를 막기 위해 0시간과 12시간일 때 최종 100mM의 MES (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완충액으로 처리하였다(100mM MES, 5% 글루코스가 첨가된 LB배지에 대장균을 12시간 배양 후 100mM의 MES를 추가로 첨가하여 pH를 높여주었다). 모든 배양배지에는 4μg/ml의 클로람페니콜이 첨가되었다.
한편, 배지 내 에탄올 생산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간별로 채취한 배양 샘플에서 균을 제거한 상등액을 얻어 다음과 같이 ADH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990μl의 ADH 반응 완충액 (glycine 500mM, hydrazine sulfate 75mM, sodium pyrophosphate tetrabasic 75mM, 3.7 unit ADH, 5mM NAD+, pH 9.0)에 10μl의 시료를 섞어준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뒤 반응으로 생성된 NADH를 340nm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여 얻어진 값을 에탄올 검량선에 대입하여 각 시료의 에탄올 농도를 계산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7a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대장균 내에서 FrsA를 과발현시(pXMJ-frsA/adh) 에탄올 생산량에 변화가 없었으며, FrsA와 IIAGlc를 과발현시킬 경우(pXMJ-frsA/crr/adh) 에탄올 생산량은 대조군 대비 310% 증가하였다. FrsA/IIAGlc의 과발현(pXMJ-frsA/crr/adh)에 의한 에탄올 생산량은 파이루베이트 디카르복실라아제(PDC)가 과발현된 경우(pXMJ-pdc/adh)의 에탄올 생산량 대비 42%로 나타났다.
배지 내 pH 조절을 통한 에탄올 생산의 증진
FrsA/IIAGlc의 과발현(pXMJ-frsA/crr/adh)에 의한 에탄올 생산량은 MES 완충액 첨가를 통하여 배지 내 pH를 조절할 경우, pH를 조절하지 않는 조건에 비해 254% 증가하였다. 또한, 이때의 생산량은 pH 조절시 대조군 대비 138% 증가한 것이며, PDC 과발현(pXMJ-pdc/adh)의 에탄올 생산량 대비 40%이다(도 7b).
이 같은 결과로부터 본원의 FrsA는 에탄올 생산에서 필요한 PDC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PDC 효소이며, 배지 내 pH 조절을 통해 에탄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3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FrsA / IIA Glc 과발현을 이용한 에탄올 생산
3-1에서 구축한 각 플라스미드를 도입한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를 에탄올 생산용 배지 (LB, 10% glucose)에서 30℃ 100rpm 진탕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모든 배양배지에는 10μg/ml의 클로람페니콜이 첨가되었다. 한편, 배지 내 에탄올 생산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간별로 채취한 배양 샘플에서 균을 제거한 상등액을 얻어 3-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ADH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8a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박테리아 내 FrsA 과발현시(pXMJ-frsA/adh)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에탄올 생산량에 변화가 없으며, FrsA/IIAGlc의 과발현시(pXMJ-frsA/crr/adh)에는 대조군 대비 312% (108h 기준 496%) 증가하였다.
FrsA [ mt ] 돌연변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
실시예 3-1에서와 같이 숙주세포 내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돌연변이 FrsA[mt]를 제작하였다.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연변이 FrsA[mt]는 야생형 FrsA 단백질의 아미노말단으로부터 2번째에서 19번째 아미노산이 결실되었고 131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에서 알라닌으로 치환된 것이다. 도 8c는 FrsA[mt] 돌연변이 단백질의 안정성이 비교실험된 SDS-PAGE 결과로서, C. glutamicum 내 과발현시킨 FrsA 양을 비교한 결과 FrsA[mt]의 안정성이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FrsA[mt] 돌연변이 단백질 발현하는 다양한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가지는 플라스미드(pXMJ-pdc/adh, pXMJ-frsA[mt]/adh, pXMJ-frsA[mt]/crr/adh)를 구축하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 도입하고, 실시예 3-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각 플라스미드가 도입된 균주 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탄올 생산량을 살펴보았다.
도 8d를 참고하면, FrsA[mt]/IIAGlc의 과발현(pXMJ-frsA[mt]/crr/adh)에 의한 에탄올 생산량은 대조군 대비 985% (108h 기준 949%) 증가한 양이며, 또한 야생형 FrsA/IIAGlc의 과발현시(미도시)의 211% (108h 기준 191%) 증가한 양이다. PDC 과발현시(pXMJ-pdc/adh)와 비교해서는 169% (108h 기준 89.79%) 증가하였다.
따라서, FrsA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생산할 경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을 숙주세포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FrsA[mt] 돌연변이 단백질은 야생형 FrsA보다 세포내 안정성이 우수하여 균주에서 에탄올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참조문헌>
1. LIN, Y. & S. TANAKA. Ethanol fermentation from biomass resources: current state and prospects. Appl. Microbiol.Biotechnol. 69: 62742 (2006).
2. DIEN, B.S., M.A.COTTA & T.W. JEFFRIES. Bacteria engineered for fuel ethanol production: current status. Appl.Microbiol. Biotechnol. 63: 25866 (2003).
3. Wright, A. C., Simpson, L. M., Oliver, J. D. & Morris, J. G., Jr. Phenotypic evaluation of acapsular transposon mutants of Vibrio vulnificus. Infect Immun 58, 1769-73 (1990).
4. Sambrook, J. & Russell, D.W.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 (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 Cold Spring Harbor , NY , 2001).
5. Anand, Rishi D. et al. Restriction digestion monitors facilitate plasmid construction and PCR cloning. BioTechniques 36:982-985 (2004).
6. Simon, R., Priefer, U. & Puhler, A. A Broad Host Range Mobilization System for In Vivo Genetic Engineering: Transposon Mutagenesis in Gram Negative Bacteria . Nat Biotechnol 1, 784-791 (1983).
7. Park, K.J.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poS from a pathogenic bacterium , Vibrio vulnificus: role of S in survival of exponential-phase cells under oxidative stress. J Bacteriol 186, 3304-12 (2004).
8. Ullrich, J. Yeast pyruvate decarboxylase (2-oxoacid acrboxylase, EC 4.1.1.1) assay of thiamine pyrophosphate. Methods Enzymol . 18, 109-115 (1970).
9. Koo, B.M. et al. A novel fermentation/respiration switch protein regulated by enzyme IIAGlc in Escherichia coli . J Biol Chem 279, 31613-21 (2004).
10. Gu, W., Bousfield, D.W. & Tripp, C.P. Formation of calcium carbonate particles by direct contact of Ca(OH)2 powders with supercritical CO2. J Mater Chem 16, 3312-3317 (2006).
11. Hinman, L.M. & Blass, J.P. An NADH-linked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pyruvate dehydrogenase complex in crude tissue homogenates. J Biol Chem 256, 6583-6 (1981).
12. Stephenson, M.P. & Dawes, E.A. Pyruvic acid and formic acid metabolism in Sarcina ventriculi and the role of ferredoxin . J Gen Microbiol 69, 331-43 (1971).
13. Erecinska, M. & Silver, I.A. Tissue oxygen tension and brain sensitivity to hypoxia. Respir Physiol 128, 263-76 (2001).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Sogang University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120> Strains expressing FrsA protein and methods of producing ethanol using the same <130> DP201210011P <150> 10-2012-0120128 <151> 2012-10-29 <160> 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248 <212> DNA <213> Vibrio vulnificus <220> <221> misc_feature <222> (1)..(1248) <223> FrsA wild type gene <400> 1 atgtcagaag aagtcagcaa aaacctgtca gaaacgctat ttgtcaaaca taagcaagcc 60 aaagaaacct cggcattgac tcaatacatg ccgaccagcc aatccttact tgatgaaatt 120 aaagagaaga atggtttttc ttggtatcgc aaccttcgtc gcttgcaatg ggtgtggcaa 180 ggtgtcgatc ctattgagca agaacaagta ttggctcgta ttgcctcttc caaacattca 240 cgcactgatg agcaatggct cgatacggtg atgggatatc acagtggtaa ctgggcttat 300 gaatggacga ggctcggtat ggagcatcaa aaacgtgccg gtgagatgac gaatgaagca 360 gcatcggaag cgctcttctc cgcatccttg tgttacagca tcgcaggtta cccacacctc 420 aagagcgata atttggccat tcaagcccag gtattggcca acagcgctta tcttgaagcc 480 gcgaaaaaaa gcaaatacat catcaagcag ctcgagatcc catttgagaa agggaagatc 540 accgcgcatt tgcatctgac caatacggac aaaccgcatc ctgtggttat tgtgagtgcg 600 ggattagaca gcttgcaaac agacatgtgg cgtctatttc gagatcacct tgccaagcac 660 gatattgcca tgttgacagt agacatgcca tcggtggggt acagctcaaa atacccatta 720 acggaggatt acagtcgcct tcaccaagcg gtgttgaacg agcttttctc tattccttat 780 gtcgatcatc atcgagtggg tttgatcggc tttcgttttg gcggtaacgc catggtgagg 840 ctctcgtttc ttgagcaaga aaagatcaaa gcgtgcgtca tcttaggcgc acctattcat 900 gatatttttg cctccccaca gaaattgcag caaatgccga agatgtatct cgatgtctta 960 gcctcgcgtt taggtaagag tgtggtagat atttacagct tatcggggca aatggccgcg 1020 tggtcactga aagtacaagg ctttttgagc agtcgtaaaa ccaaggtgcc tatcttggcg 1080 atgagcttag aaggggatcc ggtctcgcca tattcggata atcagatggt tgcttttttt 1140 agcacttatg gaaaagcgaa gaaaatcagt tccaaaacaa ttacacaagg atatgagcaa 1200 tccctcgatt tagcgataaa gtggctggaa gatgaactct taaggtga 1248 <210> 2 <211> 415 <212> PRT <213> Vibro vulnificus <220> <221> PEPTIDE <222> (1)..(415) <223> FrsA wild type protein <400> 2 Met Ser Glu Glu Val Ser Lys Asn Leu Ser Glu Thr Leu Phe Val Lys 1 5 10 15 His Lys Gln Ala Ile Glu Thr Ser Ala Leu Thr Gln Tyr Met Pro Thr 20 25 30 Ser Gln Ser Leu Leu Asp Glu Ile Lys Glu Lys Asn Gly Phe Ser Trp 35 40 45 Tyr Arg Asn Leu Arg Arg Leu Gln Trp Val Trp Gln Gly Val Asp Pro 50 55 60 Ile Glu Gln Glu Gln Val Leu Ala Arg Ile Ala Ser Ser Lys His Ser 65 70 75 80 Arg Thr Asp Glu Gln Trp Leu Asp Thr Val Met Gly Tyr His Ser Gly 85 90 95 Asn Trp Ala Tyr Glu Trp Thr Arg Leu Gly Met Glu His Gln Lys Arg 100 105 110 Ala Gly Glu Met Thr Asn Glu Ala Ala Ser Glu Ala Leu Phe Ser Ala 115 120 125 Ser Leu Cys Tyr Ser Ile Ala Gly Tyr Pro His Leu Lys Ser Asp Asn 130 135 140 Leu Ala Ile Gln Ala Gln Val Leu Ala Asn Ser Ala Tyr Leu Glu Ala 145 150 155 160 Ala Lys Lys Ser Lys Tyr Ile Ile Lys Gln Leu Glu Ile Pro Phe Glu 165 170 175 Lys Gly Lys Ile Thr Ala His Leu His Leu Thr Asn Thr Asp Lys Pro 180 185 190 His Pro Val Val Ile Val Ser Ala Gly Leu Asp Ser Leu Gln Thr Asp 195 200 205 Met Trp Arg Leu Phe Arg Asp His Leu Ala Lys His Asp Ile Ala Met 210 215 220 Leu Thr Val Asp Met Pro Ser Val Gly Tyr Ser Ser Lys Tyr Pro Leu 225 230 235 240 Thr Glu Asp Tyr Ser Arg Leu His Gln Ala Val Leu Asn Glu Leu Phe 245 250 255 Ser Ile Pro Tyr Val Asp His His Arg Val Gly Leu Ile Gly Phe Arg 260 265 270 Phe Gly Gly Asn Ala Met Val Arg Leu Ser Phe Leu Glu Gln Glu Arg 275 280 285 Ile Lys Ala Cys Val Ile Leu Gly Ala Pro Ile His Asp Ile Phe Ala 290 295 300 Ser Pro Gln Lys Leu Gln Gln Met Pro Lys Met Tyr Leu Asp Val Leu 305 310 315 320 Ala Ser Arg Leu Gly Lys Ser Val Val Asp Ile Tyr Ser Leu Ser Gly 325 330 335 Gln Met Ala Ala Trp Ser Leu Lys Val Gln Gly Phe Leu Ser Ser Arg 340 345 350 Lys Thr Lys Val Pro Ile Leu Ala Met Ser Leu Glu Gly Asp Pro Val 355 360 365 Ser Pro Tyr Ser Asp Asn Gln Met Val Ala Phe Phe Ser Thr Tyr Gly 370 375 380 Lys Ala Lys Lys Ile Ser Ser Lys Thr Ile Thr Gln Gly Tyr Glu Gln 385 390 395 400 Ser Leu Asp Leu Ala Ile Lys Trp Leu Glu Asp Glu Leu Leu Arg 405 410 415 <210> 3 <211> 510 <212> DNA <213> Vibrio vulnificus <220> <221> misc_feature <222> (1)..(510) <223> IIAGlc gene <400> 3 atgggtctgt ttgacaaact taagaagctt gtatctgatg acagcgctag cgccggtgca 60 atcgaaatta tcgcaccttt gtctggtgag atcgtgaaca tcgaagatgt gccagatgtt 120 gtttttgctg agaagatcgt tggtgacggt attgctatca aaccaacagg caacaaaatg 180 gtagctcctg taaacggtac tatcggtaag atctttgaaa ctaaccacgc attctctatc 240 gagtctgacg atggtgttga actgtttgtt cacttcggta tcgacacagt tgaactaaaa 300 ggcgaaggct tcactcgtat cgctgaagaa ggtcaaactg ttaaagctgg cgacactgta 360 attgaattcg atcttgctct tcttgaagag aaagcgaagt caacactaac tccagttgtt 420 atctctaaca tggacgaaat caaagagctg aataagcttt ctggttctgt tgttgttggt 480 gaaacaccag ttctacgcgt aactaagtaa 510 <210> 4 <211> 169 <212> PRT <213> Vibrio vulnificus <220> <221> PEPTIDE <222> (1)..(169) <223> IIAGlc <400> 4 Met Gly Leu Phe Asp Lys Leu Lys Lys Leu Val Ser Asp Asp Ser Ala 1 5 10 15 Ser Ala Gly Ala Ile Glu Ile Ile Ala Pro Leu Ser Gly Glu Ile Val 20 25 30 Asn Ile Glu Asp Val Pro Asp Val Val Phe Ala Glu Lys Ile Val Gly 35 40 45 Asp Gly Ile Ala Ile Lys Pro Thr Gly Asn Lys Met Val Ala Pro Val 50 55 60 Asn Gly Thr Ile Gly Lys Ile Phe Glu Thr Asn His Ala Phe Ser Ile 65 70 75 80 Glu Ser Asp Asp Gly Val Glu Leu Phe Val His Phe Gly Ile Asp Thr 85 90 95 Val Glu Leu Lys Gly Glu Gly Phe Thr Arg Ile Ala Glu Glu Gly Gln 100 105 110 Thr Val Lys Ala Gly Asp Thr Val Ile Glu Phe Asp Leu Ala Leu Leu 115 120 125 Glu Glu Lys Ala Lys Ser Thr Leu Thr Pro Val Val Ile Ser Asn Met 130 135 140 Asp Glu Ile Lys Glu Leu Asn Lys Leu Ser Gly Ser Val Val Val Gly 145 150 155 160 Glu Thr Pro Val Leu Arg Val Thr Lys 165 <210> 5 <211> 12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ene encoding FrsA with substitution at 131 from Cystein to Alanine <220> <221> misc_feature <222> (391)..(393) <223> Cys to Ala substitution <400> 5 atgtcagaag aagtcagcaa aaacctgtca gaaacgctat ttgtcaaaca taagcaagcc 60 aaagaaacct cggcattgac tcaatacatg ccgaccagcc aatccttact tgatgaaatt 120 aaagagaaga atggtttttc ttggtatcgc aaccttcgtc gcttgcaatg ggtgtggcaa 180 ggtgtcgatc ctattgagca agaacaagta ttggctcgta ttgcctcttc caaacattca 240 cgcactgatg agcaatggct cgatacggtg atgggatatc acagtggtaa ctgggcttat 300 gaatggacga ggctcggtat ggagcatcaa aaacgtgccg gtgagatgac gaatgaagca 360 gcatcggaag cgctcttctc cgcatccttg gcgtacagca tcgcaggtta cccacacctc 420 aagagcgata atttggccat tcaagcccag gtattggcca acagcgctta tcttgaagcc 480 gcgaaaaaaa gcaaatacat catcaagcag ctcgagatcc catttgagaa agggaagatc 540 accgcgcatt tgcatctgac caatacggac aaaccgcatc ctgtggttat tgtgagtgcg 600 ggattagaca gcttgcaaac agacatgtgg cgtctatttc gagatcacct tgccaagcac 660 gatattgcca tgttgacagt agacatgcca tcggtggggt acagctcaaa atacccatta 720 acggaggatt acagtcgcct tcaccaagcg gtgttgaacg agcttttctc tattccttat 780 gtcgatcatc atcgagtggg tttgatcggc tttcgttttg gcggtaacgc catggtgagg 840 ctctcgtttc ttgagcaaga aaagatcaaa gcgtgcgtca tcttaggcgc acctattcat 900 gatatttttg cctccccaca gaaattgcag caaatgccga agatgtatct cgatgtctta 960 gcctcgcgtt taggtaagag tgtggtagat atttacagct tatcggggca aatggccgcg 1020 tggtcactga aagtacaagg ctttttgagc agtcgtaaaa ccaaggtgcc tatcttggcg 1080 atgagcttag aaggggatcc ggtctcgcca tattcggata atcagatggt tgcttttttt 1140 agcacttatg gaaaagcgaa gaaaatcagt tccaaaacaa ttacacaagg atatgagcaa 1200 tccctcgatt tagcgataaa gtggctggaa gatgaactct taaggtga 1248 <210> 6 <211> 4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rsA with substitution at 131 from Cystein to Alanine <220> <221> VARIANT <222> (131) <223> Cys to Ala substitution <400> 6 Met Ser Glu Glu Val Ser Lys Asn Leu Ser Glu Thr Leu Phe Val Lys 1 5 10 15 His Lys Gln Ala Ile Glu Thr Ser Ala Leu Thr Gln Tyr Met Pro Thr 20 25 30 Ser Gln Ser Leu Leu Asp Glu Ile Lys Glu Lys Asn Gly Phe Ser Trp 35 40 45 Tyr Arg Asn Leu Arg Arg Leu Gln Trp Val Trp Gln Gly Val Asp Pro 50 55 60 Ile Glu Gln Glu Gln Val Leu Ala Arg Ile Ala Ser Ser Lys His Ser 65 70 75 80 Arg Thr Asp Glu Gln Trp Leu Asp Thr Val Met Gly Tyr His Ser Gly 85 90 95 Asn Trp Ala Tyr Glu Trp Thr Arg Leu Gly Met Glu His Gln Lys Arg 100 105 110 Ala Gly Glu Met Thr Asn Glu Ala Ala Ser Glu Ala Leu Phe Ser Ala 115 120 125 Ser Leu Ala Tyr Ser Ile Ala Gly Tyr Pro His Leu Lys Ser Asp Asn 130 135 140 Leu Ala Ile Gln Ala Gln Val Leu Ala Asn Ser Ala Tyr Leu Glu Ala 145 150 155 160 Ala Lys Lys Ser Lys Tyr Ile Ile Lys Gln Leu Glu Ile Pro Phe Glu 165 170 175 Lys Gly Lys Ile Thr Ala His Leu His Leu Thr Asn Thr Asp Lys Pro 180 185 190 His Pro Val Val Ile Val Ser Ala Gly Leu Asp Ser Leu Gln Thr Asp 195 200 205 Met Trp Arg Leu Phe Arg Asp His Leu Ala Lys His Asp Ile Ala Met 210 215 220 Leu Thr Val Asp Met Pro Ser Val Gly Tyr Ser Ser Lys Tyr Pro Leu 225 230 235 240 Thr Glu Asp Tyr Ser Arg Leu His Gln Ala Val Leu Asn Glu Leu Phe 245 250 255 Ser Ile Pro Tyr Val Asp His His Arg Val Gly Leu Ile Gly Phe Arg 260 265 270 Phe Gly Gly Asn Ala Met Val Arg Leu Ser Phe Leu Glu Gln Glu Arg 275 280 285 Ile Lys Ala Cys Val Ile Leu Gly Ala Pro Ile His Asp Ile Phe Ala 290 295 300 Ser Pro Gln Lys Leu Gln Gln Met Pro Lys Met Tyr Leu Asp Val Leu 305 310 315 320 Ala Ser Arg Leu Gly Lys Ser Val Val Asp Ile Tyr Ser Leu Ser Gly 325 330 335 Gln Met Ala Ala Trp Ser Leu Lys Val Gln Gly Phe Leu Ser Ser Arg 340 345 350 Lys Thr Lys Val Pro Ile Leu Ala Met Ser Leu Glu Gly Asp Pro Val 355 360 365 Ser Pro Tyr Ser Asp Asn Gln Met Val Ala Phe Phe Ser Thr Tyr Gly 370 375 380 Lys Ala Lys Lys Ile Ser Ser Lys Thr Ile Thr Gln Gly Tyr Glu Gln 385 390 395 400 Ser Leu Asp Leu Ala Ile Lys Trp Leu Glu Asp Glu Leu Leu Arg 405 410 415 <210> 7 <211> 119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rsA mutant gene with deletion from 2-19 aa and substitution at 131 aa (Cystein to Alanine) compred to wild type gene <400> 7 atggccatag aaacctcggc attgactcaa tacatgccga ccagccaatc cttacttgat 60 gaaattaaag agaagaatgg tttttcttgg tatcgcaacc ttcgtcgctt gcaatgggtg 120 tggcaaggtg tcgatcctat tgagcaagaa caagtattgg ctcgtattgc ctcttccaaa 180 cattcacgca ctgatgagca atggctcgat acggtgatgg gatatcacag tggtaactgg 240 gcttatgaat ggacgaggct cggtatggag catcaaaaac gtgccggtga gatgacgaat 300 gaagcagcat cggaagcgct cttctccgca tccttggctt acagcatcgc aggttaccca 360 cacctcaaga gcgataattt ggccattcaa gcccaggtat tggccaacag cgcttatctt 420 gaagccgcga aaaaaagcaa atacatcatc aagcagctcg agatcccatt tgagaaaggg 480 aagatcaccg cgcatttgca tctgaccaat acggacaaac cgcatcctgt ggttattgtg 540 agtgcgggat tagacagctt gcaaacagac atgtggcgtc tatttcgaga tcaccttgcc 600 aagcacgata ttgccatgtt gacagtagac atgccatcgg tggggtacag ctcaaaatac 660 ccattaacgg aggattacag tcgccttcac caagcggtgt tgaacgagct tttctctatt 720 ccttatgtcg atcatcatcg agtgggtttg atcggctttc gttttggcgg taacgccatg 780 gtgaggctct cgtttcttga gcaagaaagg atcaaagcgt gcgtcatctt aggcgcacct 840 attcatgata tttttgcctc cccacagaaa ttgcagcaaa tgccgaagat gtatctcgat 900 gtcttagcct cgcgtttagg taagagtgtg gtagatattt acagcttatc ggggcaaatg 960 gccgcgtggt cactgaaagt acaaggcttt ttgagcagtc gtaaaaccaa ggtgcctatc 1020 ttggcgatga gcttagaagg ggatccggtc tcgccatatt cggataatca gatggttgct 1080 ttttttagca cttatggaaa agcgaagaaa atcagttcca aaacaattac acaaggatat 1140 gagcaatccc tcgatttagc gataaagtgg ctggaagatg aactcttaag gtga 1194 <210> 8 <211> 39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rsA with substitution at 131 from Cystein to Alanine and deletion from 2-18 compared to wild type <400> 8 Met Ala Ile Glu Thr Ser Ala Leu Thr Gln Tyr Met Pro Thr Ser Gln 1 5 10 15 Ser Leu Leu Asp Glu Ile Lys Glu Lys Asn Gly Phe Ser Trp Tyr Arg 20 25 30 Asn Leu Arg Arg Leu Gln Trp Val Trp Gln Gly Val Asp Pro Ile Glu 35 40 45 Gln Glu Gln Val Leu Ala Arg Ile Ala Ser Ser Lys His Ser Arg Thr 50 55 60 Asp Glu Gln Trp Leu Asp Thr Val Met Gly Tyr His Ser Gly Asn Trp 65 70 75 80 Ala Tyr Glu Trp Thr Arg Leu Gly Met Glu His Gln Lys Arg Ala Gly 85 90 95 Glu Met Thr Asn Glu Ala Ala Ser Glu Ala Leu Phe Ser Ala Ser Leu 100 105 110 Ala Tyr Ser Ile Ala Gly Tyr Pro His Leu Lys Ser Asp Asn Leu Ala 115 120 125 Ile Gln Ala Gln Val Leu Ala Asn Ser Ala Tyr Leu Glu Ala Ala Lys 130 135 140 Lys Ser Lys Tyr Ile Ile Lys Gln Leu Glu Ile Pro Phe Glu Lys Gly 145 150 155 160 Lys Ile Thr Ala His Leu His Leu Thr Asn Thr Asp Lys Pro His Pro 165 170 175 Val Val Ile Val Ser Ala Gly Leu Asp Ser Leu Gln Thr Asp Met Trp 180 185 190 Arg Leu Phe Arg Asp His Leu Ala Lys His Asp Ile Ala Met Leu Thr 195 200 205 Val Asp Met Pro Ser Val Gly Tyr Ser Ser Lys Tyr Pro Leu Thr Glu 210 215 220 Asp Tyr Ser Arg Leu His Gln Ala Val Leu Asn Glu Leu Phe Ser Ile 225 230 235 240 Pro Tyr Val Asp His His Arg Val Gly Leu Ile Gly Phe Arg Phe Gly 245 250 255 Gly Asn Ala Met Val Arg Leu Ser Phe Leu Glu Gln Glu Arg Ile Lys 260 265 270 Ala Cys Val Ile Leu Gly Ala Pro Ile His Asp Ile Phe Ala Ser Pro 275 280 285 Gln Lys Leu Gln Gln Met Pro Lys Met Tyr Leu Asp Val Leu Ala Ser 290 295 300 Arg Leu Gly Lys Ser Val Val Asp Ile Tyr Ser Leu Ser Gly Gln Met 305 310 315 320 Ala Ala Trp Ser Leu Lys Val Gln Gly Phe Leu Ser Ser Arg Lys Thr 325 330 335 Lys Val Pro Ile Leu Ala Met Ser Leu Glu Gly Asp Pro Val Ser Pro 340 345 350 Tyr Ser Asp Asn Gln Met Val Ala Phe Phe Ser Thr Tyr Gly Lys Ala 355 360 365 Lys Lys Ile Ser Ser Lys Thr Ile Thr Gln Gly Tyr Glu Gln Ser Leu 370 375 380 Asp Leu Ala Ile Lys Trp Leu Glu Asp Glu Leu Leu Arg 385 390 395

Claims (17)

  1. frsA 유전자, IIA Glc 유전자 및 알콜 데하이드로지나제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균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rsA 유전자가 서열번호 1, 서열번호 5 또는 서열번호 7 의 서열인 균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에스쉐리키아 콜라이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인, 균주.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IA Glc 유전자는 서열번호 3의 서열을 가지는 것인, 균주.
  8.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기준으로 131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에서 알라닌으로 치환되거나,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을 기준으로 2번째부터 19번째 아미노산이 결실되고 131번째 아미노산이 시스테인에서 알라닌으로 치환된, FrsA 단백질.
  9. 제 8 항에 따른 상기 각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각각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7의 서열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11. 제 9 항에 따른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
  12. 제 11 항에 따른 벡터를 포함하는 균주.
  13.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7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균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이오에탄올 생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균주를 탄소원과 접촉하는 단계; 및
    상기 균주를 발효 조건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에탄올 생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은 녹말, 셀룰로스, 헤미 셀룰로스, 오탄당 및 육탄당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생산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은 락토스, 글루코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스, 갈락토스 및 만노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생산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대장균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인, 생산방법.
KR1020120129937A 2012-10-29 2012-11-16 FrsA를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KR101432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39,317 US9567576B2 (en) 2012-10-29 2013-10-18 Strain expressing FRSA and method for producing ethanol using same
PCT/KR2013/009311 WO2014069823A1 (ko) 2012-10-29 2013-10-18 FrsA를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128 2012-10-29
KR20120120128 2012-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90A KR20140055890A (ko) 2014-05-09
KR101432072B1 true KR101432072B1 (ko) 2014-08-21

Family

ID=5088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937A KR101432072B1 (ko) 2012-10-29 2012-11-16 FrsA를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67576B2 (ko)
KR (1) KR101432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7159B (zh) * 2017-03-14 2020-10-13 莲花健康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iolT1和iolT2蛋白在木糖转运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980A (ko) * 2009-07-17 2011-01-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 알콜 탈수소효소 HpADH3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2613B2 (en) 2006-01-13 2013-02-12 Algenol Biofue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thanol producing cyanobacteria
KR101240507B1 (ko) 2009-07-17 2013-03-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 알콜 탈수소효소 HpADH1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의 제조 방법
KR101262999B1 (ko) 2011-01-13 2013-05-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 에탄올 생산 향상용 피루브산 탈카르복실산 효소와 알코올 탈수소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 및 그 균주를 이용한 에탄올 생성방법
KR20120126827A (ko) * 2011-05-13 2012-11-21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FrsA를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980A (ko) * 2009-07-17 2011-01-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 알콜 탈수소효소 HpADH3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ture Chemical Biology Vol.7:434-436 (2011. 07.) *
Nature Chemical Biology Vol.7:434-436 (2011. 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9686A1 (en) 2015-10-22
US9567576B2 (en) 2017-02-14
KR20140055890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saki et al. Xylitol production by recombinant Corynebacterium glutamicum under oxygen deprivation
AU2007302867B2 (en) Metabolic engineering of arabinose-fermenting yeast cells
JP5907865B2 (ja) 改善されたアラビノース資化能を有するザイモモナス(zymomonas)
JP5714904B2 (ja) Corynebacteriumglutamicumでのスクロースからのアミノ酸の産生
EP0431047A1 (en) Ethanol production by genetically engineered escherichia coli strains
EP2041293A2 (en) Ethanol production in non-recombinant hosts
CN114774477A (zh) 使用了重组酵母的乙醇的制造方法
JP2010539941A5 (ko)
CN113278568B (zh) 生产l-缬氨酸的重组大肠杆菌及其应用
US20150376654A1 (en) Recombinant microorganisms with increased tolerance to ethanol
WO2013064682A2 (en) Fermentation process for producing chemicals
CN106164252B (zh) 用于琥珀酸产生的改进微生物
FI111552B (fi) Menetelmä rekombinanttisen isäntäsolukannan tuottamiseksi ja näin saatu rekombinanttinen isäntäsolu
KR102109763B1 (ko) 2,3―부탄디올의 생성능이 증강된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2,3―부탄디올의 생산 방법
WO2021037190A1 (zh) 一种2-异丙基苹果酸合成酶及其工程菌与应用
JP6109190B2 (ja) ザイモモナス属(Zymomonas)中における改善されたキシロース利用のためのPNP遺伝子修飾
KR101432072B1 (ko) FrsA를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KR20120126827A (ko) FrsA를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WO2016030373A1 (en) Modified microorganism for improved production of fine chemicals on sucrose
WO2019207812A1 (ja) ヒドロゲノフィラス属細菌形質転換体
CN110760536A (zh) 甲醇生物转化菌株的构建方法以及构建的菌株和应用
Ahmad et al. Isolation and properties of a constitutive D-xylulokinase from a novel thermophilic Saccharococcus caldoxylosilyticus DSM 12041 (ATCC 700356)
WO2007037300A1 (ja) 有用物質の製造法
WO2014069823A1 (ko) FrsA를 발현하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
KR100837845B1 (ko) 탄소원의 수송 조절을 담당하는 유전자의 활성이 증가된l-쓰레오닌 생산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쓰레오닌 생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