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086B1 -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086B1
KR101430086B1 KR1020100024024A KR20100024024A KR101430086B1 KR 101430086 B1 KR101430086 B1 KR 101430086B1 KR 1020100024024 A KR1020100024024 A KR 1020100024024A KR 20100024024 A KR20100024024 A KR 20100024024A KR 101430086 B1 KR101430086 B1 KR 101430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image
read
em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567A (ko
Inventor
가오루 다카하시
슈사쿠 요코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04N1/0285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in combination with a light guide, e.g. optical fibre, glass 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04N1/0286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using an array of light sources or a combination of such arrays, e.g. an LED b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H04N1/101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the main-scanning components remaining positionally invariant with respect to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Abstract

화상 판독 장치는 피판독면을 따라 화상 판독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복수의 점 형상 광원을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한 발광부와, 상기 이동체에 상기 발광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피판독면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되고, 피판독면에서의 반사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도광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판독 장치로서는, 일본국 특개2005-252646호 공보의 도 1에 개시되는 화상 판독 장치가 공지(公知)이다. 일본국 특개2005-252646호 공보에 개시되는 화상 판독 장치는, LED로부터 방출된 광을 도광체(導光體) 내에서 될 수 있는 한 전반사 조건으로 반사시켜 도광체 출사면으로 안내하고, 원고면에서의 단축(短軸) 방향(부주사 방향)의 광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도광체 입사면의 형상을 최적화하여, 장축 방향(주주사 방향)의 광선의 각도를 제어하고, 따라서 원고면에 균일한 강도 분포의 조명광을 조사하는, 도광체의 형상을 얻는다. 또한, 출사측의 반대쪽에 반사부를 설치하여, 화상 판독 대상 영역으로의 광의 조사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화상 판독 장치에서의 피(被)판독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다시 피판독면에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는, 피판독면을 따라 화상 판독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복수의 점 형상 광원을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한 발광부와, 상기 이동체에 상기 발광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피판독면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되고, 피판독면에서의 반사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도광체를 구비하는 광조사 유닛을 구비한다. 도광체를 투과하는 반사광은, 판독에 기여하지 않는 반사광의 성분 중, 도광체의 표면에 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는, 피판독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도광체의 내부를 투과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피판독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다시 피판독면에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에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광체를 통하여 피판독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광부에 의한 광조사의 방향은, 화상 판독 장치의 정면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조작자의 눈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에서, 상기 이동체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정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이동시에도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조작자의 눈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발광부의 상방(上方)의, 발광부와 피판독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상방 부재)를 가져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조작자의 눈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서,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도광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입사면과 출사면 사이의 부분이 전체적으로 피복 부재에 의해 덮이는 것에 비해, 피판독면으로부터 상방 부재에 도달하는 반사광의 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는, 피판독면을 따라 화상 판독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복수의 점 형상 광원을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한 발광부와, 상기 이동체에 상기 발광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피판독면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되고, 피판독면에서의 반사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도광체와, 상기 피판독면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는, 피판독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도광체의 내부를 투과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피판독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다시 피판독면에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에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광체를 통하여 피판독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광부에 의한 광조사의 방향은, 화상 판독 장치의 정면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이동체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조작자의 눈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에서, 상기 이동체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정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이동체의 이동시에도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조작자의 눈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발광부의 상방의, 발광부와 피판독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를 가져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조작자의 눈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도광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입사면과 출사면 사이의 부분이 전체적으로 피복 부재에 의해 덮이는 것에 비해, 피판독면으로부터 상방 부재에 도달하는 반사광의 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판독 장치에서,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조작자의 눈에 들어오기 어렵게 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는, 피판독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초기 위치에서 상기 장치 본체의 한쪽에 배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열(列) 형상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한쪽을 향하여 상기 피판독면으로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피판독면에서 반사한 반사광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하면, 장치 본체의 한쪽을 향하여 피판독면으로 발광하는 발광부를 갖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조작자의 눈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에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부의 상방에 배치된 상기 피판독면으로 발광하고, 상기 발광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발광부의 상방을 피복하는 피복 부재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조작자의 눈에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장치 본체의 다른쪽에 배치되고, 조작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가 장치 본체의 한쪽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조작부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눈에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는 제 3 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화상 판독 장치가 판독한 화상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와,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장치 본체의 다른쪽에 배치되고, 조작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조작부가 장치 본체의 한쪽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조작부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눈에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들어오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하기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형성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광조사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광조사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광조사 유닛의 각 구성 부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브래킷 및 광조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브래킷에 광조사부가 부착된 부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브래킷이 제 1 캐리지로부터 분리된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브래킷이 제 1 캐리지로부터 분리된 분리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브래킷이 제 1 캐리지에 부착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브래킷이 제 1 캐리지에 부착된 부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부에서, 광조사 유닛이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에서, 광조사 유닛이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광조사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의 일례(一例)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우선,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11)와, 용지 등의 기록 매체(P)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21)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 장치(11)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화상 기록 장치(21)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에 나타낸 화살표 UP는 연직 방향 상방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판독 장치(11)는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고, 그 판독한 화상을 화상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상 기록 장치(21)는 화상 판독 장치(11)가 변환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P)에 화상을 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화상 판독 장치(11) 및 화상 기록 장치(21)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기록 장치(21)의 구성)
우선,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기록 장치(2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기록 장치(2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등의 기록 매체(P)가 수용되는 복수의 기록 매체 수용부(80)와, 기록 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27)와, 복수의 기록 매체 수용부(80)로부터 화상 형성부(27)에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반송부(29)와, 화상 형성부(27)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P)가 배출되는 제 1 배출부(69), 제 2 배출부(72) 및 제 3 배출부(76)와, 화상 기록 장치(21)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1)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27)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과,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32)와,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32)에 전사하기 위한 제 1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1 전사 롤(46)과, 제 1 전사 롤(46)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2)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32)로부터 기록 매체(P)에 전사하기 위한 제 2 전사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2 전사 롤(60)과, 제 2 전사 롤(6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2)로부터 기록 매체(P)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64)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화상 기록 장치(21)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된 토너 화상을 유지하는 상(像)유지체로서, 일방향(도 1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 드럼(34)을 각각 갖고 있다.
각 감광체 드럼(34)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34)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감광체 드럼(34)을 대전시키는 대전 장치(36)와, 대전 장치(36)에 의해 대전한 감광체 드럼(34)을 노광하여 감광체 드럼(34)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40)와, 노광 장치(40)에 의해 감광체 드럼(34)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42)와, 감광체 드럼(34)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32)에 전사된 후에 감광체 드럼(34)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장치(44)가 설치되어 있다.
노광 장치(40)는 제어부(71)(도 1 참조)로부터 보내진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71)로부터 보내지는 화상 신호로서는, 화상 판독 장치(11)에 의해 생성된 화상 신호나 제어부(71)가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한 화상 신호가 있다.
중간 전사 벨트(3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중간 전사 벨트(32)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롤(48)과, 제 2 전사 롤(60)에 대향하는 대향 롤(50)과, 중간 전사 벨트(32)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 롤(54)과, 제 1 종동(從動) 롤(56)과, 제 2 종동 롤(58)에 미리 정해진 장력으로 감겨 있다.
중간 전사 벨트(32)는 구동 롤(48)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어, 감광체 드럼(34)과 접촉하면서 일방향(도 1에서의 A방향)으로 순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32)를 사이에 두고 구동 롤(48)과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는, 중간 전사 벨트(32)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 장치(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32)의 상방에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현상 장치(42)에 공급되는 각 색의 토너를 저류(貯留)하는 토너 카트리지(38Y, 38M, 38C, 38K)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전사 롤(46)은 중간 전사 벨트(32)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 드럼(34)에 대향하고 있다. 제 1 전사 롤(46)과 감광체 드럼(34) 사이가, 감광체 드럼(34)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32)에 전사되는 제 1 전사 위치로 되어 있다.
제 2 전사 롤(60)은 중간 전사 벨트(32)를 사이에 두고 대향 롤(50)과 대향하고 있다. 제 2 전사 롤(60)과 대향 롤(50) 사이가, 중간 전사 벨트(32)에 전사된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P)에 전사되는 제 2 전사 위치로 되어 있다.
반송부(29)는 기록 매체 수용부(80) 각각에 수용된 기록 매체(P)를 송출하는 송출 롤(88)과, 송출 롤(88)에 송출된 기록 매체(P)가 반송되는 반송로(62)와, 반송로(62)를 따라 배치되고 송출 롤(88)에 의해 송출된 기록 매체(P)를 제 2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 롤(81, 90, 94)이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64)는 제 2 전사 위치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전사 위치에서 전사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 장치(64)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반송 롤(6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롤(66)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기록 매체(P)의 반송 방향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부재(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 부재(68)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스위치 부재(68)에 의해 스위칭된 반송 방향의 한쪽(도 1에서의 우측)으로 반송되는 기록 매체(P)를 제 1 배출부(69)에 배출하는 제 1 배출 롤(7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부재(68)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스위치 부재(68)에 의해 스위칭된 반송 방향의 다른쪽(도 1에서의 상측)으로 반송되는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반송 롤(73)과, 반송 롤(73)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P)를 제 2 배출부(72)에 배출하는 제 2 배출 롤(74)과, 반송 롤(73)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P)를 제 3 배출부(76)에 배출하는 제 3 배출 롤(78)이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64)의 옆쪽에는, 반송 롤(73)을 역전시킴으로써 반전된 기록 매체(P)가 반송되는 반전 반송로(100)가 형성되어 있다. 반전 반송로(100)에는 반전 반송로(100)를 따라 복수의 반송 롤(10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반송 롤(102)에 의해 반송된 기록 매체(P)는 반송 롤(94)에 의해 다시 제 2 전사 위치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기록 장치(21)에서의, 기록 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기록 장치(21)에서는 복수의 기록 매체 수용부(8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송출된 기록 매체(P)가 반송 롤(81, 90, 94)에 의해 제 2 전사 위치로 보내진다.
한편,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에서는 화상 판독 장치(11)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노광 장치(40)가 정전 잠상을 감광체 드럼(34)에 형성하고, 그 정전 잠상에 의거하는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 형성 유닛(30Y, 30M, 30C, 30K)에 의해 형성된 각 색의 토너 화상은, 제 1 전사 위치에서 중간 전사 벨트(32)에 중첩되어,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기록 매체(P)는 제 2 전사 위치에서 중간 전사 벨트(32)에 형성된 컬러 화상이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P)는 정착 장치(64)에 반송되어,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64)에 의해 정착된다. 기록 매체(P)의 한쪽 면에만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는, 토너 화상이 정착된 후, 기록 매체(P)는 제 1 배출부(69), 제 2 배출부(72) 및 제 3 배출부(76) 중 어느 하나에 배출된다.
기록 매체(P)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한쪽 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기록 매체(P)는 반송 롤(73)에 의해 반전되어, 반전 반송로(100)에 보내진다. 또한, 반전 반송로(100)로부터 반송 롤(94)에 의해 다시 제 2 전사 위치로 보내지고, 반대면측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이 형성되어, 기록 매체(P)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일련의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화상 기록 장치(21)의 구성으로서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중간 전사체를 갖지 않는 직접 전사형의 화상 기록 장치나 잉크젯 방식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여도 되고, 화상이 기록 가능한 화상 기록 장치이면 상기 구성 이외의 화상 기록 장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11)의 구성)
다음에, 화상 판독 장치(1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판독 장치(1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G)를 반송하는 원고 반송 장치(12)와, 원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 반송 장치(12)는 화상 판독 장치(11)의 상부에 배치되고, 화상 판독부(14)는 화상 판독 장치(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원고 반송 장치(12)는 원고(G)가 수용되는 원고 수용부(13)와, 원고(G)가 배출되는 원고 배출부(33)와, 원고 수용부(13)로부터 원고 배출부(33)로 원고(G)를 반송하는 반송부(16)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16)는 원고 수용부(13)에 수용된 원고(G)를 원고 수용부(13)로부터 송출하는 송출 롤(15)과, 송출 롤(15)로 송출된 원고(G)를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25)과, 반송 롤(25)로 반송된 원고(G)를 원고 배출부(33)에 배출하는 배출 롤(3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반송 롤(25) 및 배출 롤(35)은 원고 수용부(13)로부터 송출된 원고(G)가 반송되는 반송로(23)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14)는 원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원고(G)와, 후술하는 제 1 플래튼 글래스(43A)에 적재된 원고(G) 양쪽의 화상을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구성 부품이 수용되는 케이싱(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싱(41)의 상부에는, 원고(G)가 적재되는 동시에 그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광(L)을 투과하는 제 1 투과 부재의 일례로서 제 1 플래튼 글래스(43A)와, 원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G)를 판독하기 위한 광(L)을 투과하는 제 2 투과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2 플래튼 글래스(43B)가 설치되어 있다.
원고 반송 장치(12)는 화상 판독부(14)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원고 반송 장치(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 1 플래튼 글래스(43A) 위에 원고(G)가 적재되도록 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14)는 광(L)을 원고(G)의 피판독면(화상면)에 조사하는 광조사 유닛(17)과, 광조사 유닛(17)으로부터 원고(G)의 피판독면에 광(L)이 조사되어 원고(G)의 피판독면에서 반사된 반사광(L)을 안내하는 도광 유닛(19)과, 도광 유닛(19)에 의해 안내된 광(L)의 광학상(光學像)을 결상하는 결상 렌즈(24)와, 결상 렌즈(24)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검출하는 검출부(26)를 구비하고 있다.
광조사 유닛(17)은 제 1 플래튼 글래스(43A)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체의 일례로서의 제 1 캐리지(18)와, 제 1 캐리지(18)에 설치되고 원고(G)에 광(L)을 조사하는 광조사부(59)와, 제 1 캐리지(18)에 설치되고 원고(G)에서 반사된 반사광(L)을 반사하는 제 1 미러(7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조사 유닛(17)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도광 유닛(19)은 제 1 플래튼 글래스(43A)를 따라 이동 가능한 다른 이동체의 일례로서의 제 2 캐리지(22)와, 제 2 캐리지(22)에 설치되고 제 1 미러(75)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L)을 반사하는 제 2 미러(45A)와, 제 2 캐리지(22)에 설치되고 제 2 미러(45A)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L)을 결상 렌즈(24)에 반사하는 제 3 미러(45B)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부(26)는 결상 렌즈(24)에 의해 결상된 광(L)을 광전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의 광전 변환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검출부(26)에 의해 얻어진 전기 신호는 검출부(2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화상 처리 장치(28)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화상 처리 장치(28)에서는 그 전기 신호가 화상 처리되고, 화상 처리된 전기 신호(화상 신호)가 제어부(71)(도 1 참조)를 통하여 노광 장치(40)(도 2 참조)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광조사 유닛(17)의 구성)
다음에, 광조사 유닛(17)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조사 유닛(1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플래튼 글래스(43A)를 따라 부주사 방향(도 4에서의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체의 일례로서의 제 1 캐리지(18)를 구비하고 있다(도 4 참조). 이 제 1 캐리지(18)는 원고(G)가 제 1 플래튼 글래스(43A)에 적재된 상태에서는, 원고(G)의 피판독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캐리지(1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주사 방향(도 5에서의 Y방향)을 따라 장척(長尺) 형상으로 형성된 캐리지 본체(47)와, 캐리지 본체(47)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부재(49)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한 쌍의 지지 부재(49)는 화상 판독부(14)의 케이싱(41)(도 3 참조)에 설치된 프레임(도시 생략)에, 제 1 플래튼 글래스(43A)를 따라 부주사 방향(도 5에서의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 본체(47) 및 한 쌍의 지지 부재(49)는, 예를 들면, 판금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리지 본체(47)는 주주사 방향(도 5에서의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측판(55A) 및 측판(55B)과, 이 측판(55A) 및 측판(55B) 사이에 배치되고 측판(55A) 및 측판(55B)과 일체로 형성된 측벽(39), 제 1 상벽(51) 및 제 2 상벽(5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상벽(51) 및 제 2 상벽(53)은 부주사 방향(도 5에서의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주주사 방향(도 5에서의 Y방향)을 따라 장척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상벽(51) 및 제 2 상벽(53)은 원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서 제 2 플래튼 글래스(43B)와 대향하고, 제 1 플래튼 글래스(43A)에 적재된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서 제 1 플래튼 글래스(43A)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상벽(53)은 제 1 상벽(51)측의 부주사 방향 일단부를 접어 구부려서, 경사면(53A)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측판(55A, 55B)의 주주사 방향의 간격은 원고(G)(도 1 참조)의 주주사 방향의 화상 형성 영역의 폭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캐리지(18)의 측벽(39)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G)의 피판독면에 광(L)을 조사하는 광조사부(59)가, 제 1 캐리지(18)에 부착된 다른 부품(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광 부재(65))과는 독립하여 착탈 가능하게 제 1 캐리지(18)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의 일례로서의 브래킷(57)을 통하여 부착된다. 또한, 광조사부(59)의 제 1 캐리지(18)로의 구체적인 부착 구조는 후술한다.
광조사부(59)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주사 방향(도 6에서의 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로 기판(59A)과, 원고(G)의 피판독면을 향하여 발광하는 발광부의 일례로서의 발광 소자(6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발광 소자(61)는 주주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회로 기판(59A)에 복수 배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61)로서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가 사용된다. 회로 기판(59A)은 그 길이 방향 일단부에 접속된 플렉시블 기판(63)을 통하여 제어부(71)(도 1 참조)로부터 급전(給電)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 소자(61)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로 기판(59A)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 중앙부보다 간격이 좁게 되어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발광 소자(61)로서는, LED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소자나, 무기 EL 소자 등, 다른 발광 소자를 적용해도 된다.
브래킷(57)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플래튼 글래스(43A) 및 제 2 플래튼 글래스(43B)에 대하여 경사져서 각 발광 소자(61)를 지지하고 있고, 발광 소자(61)로부터 원고(G)를 향하여 출사된 광(L)은 원고(G)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광 소자(61)의 광(L)의 출사측에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소자(61)로부터의 광(L)을 원고(G)로 안내하는 도광 부재(65)가, 발광 소자(61)의 광(L)의 출사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광 부재(65)는 주주사 방향을 따라 장척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주주사 방향의 양단부가 측판(55A, 55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광 부재(65)는 제 1 캐리지(18)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상벽(51)의 하방(下方)측으로서, 측벽(39)보다 후술하는 반사판(79)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광 부재(65)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발광 소자(61)로부터 입사된 광(L)을 내부에서 전반사시켜, 발광 소자(61)로부터의 광(L)을 원고(G)(도 1 참조)의 판독 위치 근방까지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도광 부재(65)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L)을 내부에서 전반사시킴으로써, 발광 소자(61)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쪽의 광출사면(65A)에서, 발광 소자(61)로부터의 광(L)을 출사하도록 되어 있어, 광출사면(65A)에서의 적어도 주주사 방향의 광량 분포의 편차가 억제되고 있다.
또한, 도광 부재(65)는 광조사부(59)로부터 입사한 광(L)을 판독 위치 근방까지 안내하기 위하여, 광량이 감쇠하기 어려운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 부재(65)의 다른 재료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글래스 등이 있다.
도광 부재(65)의 광출사면(65A)에는 도광 부재(65)로부터 출사된 광(L)을 확산시키는 확산판(67)이 접합되어 있다. 확산판(67)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확산판(67)의 광(L)의 출사면에는 도광 부재(65)의 광출사면(65A)으로부터 입사한 광(L)을 확산시키는 요철(회절 패턴)이 주주사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절 패턴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확산판(67)으로부터 출사된 광(L)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정형(整形)된다. 또한, 확산판(67)의 다른 재료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글래스 등이 있다.
한편, 확산판(67)으로부터 부주사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는, 확산판(67)으로부터 출사된 광(L)의 일부를 원고(G)(도 1 참조)에 반사하는 반사판(79)이 배치되어 있다. 반사판(79)은 주주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면체(鏡面體)이며, 광(L)의 반사면과는 반대쪽의 면이 제 2 상벽(53)(도 4 참조)의 경사면(53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광 부재(65) 및 확산판(67)의 하방측에는 원고(G)에서 반사된 광(L)을 제 2 캐리지(22)의 제 2 미러(45A)(도 3 참조)로 안내하는 제 1 미러(75)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미러(75)는 측판(55A, 55B)(도 4 참조)에 형성된 홀(hole)부에 양단부가 삽입 통과되어 유지되고 있다.
또한, 광조사 유닛(17)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외의 형상이나 구성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화상 판독 장치(11)에서의,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판독 장치(11)에서는, 제 1 플래튼 글래스(43A)에 적재된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조사 유닛(17)의 제 1 캐리지(18)와 도광 유닛(19)의 제 2 캐리지(22)가, 예를 들면, 이동 거리 2:1의 비율로 이동 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광조사 유닛(17)의 광조사부(59)로부터 원고(G)의 피판독면에 광(L)이 조사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조사부(59)의 각 발광 소자(61)로부터 광(L)이 출사되고, 출사된 광(L)은 도광 부재(65)의 내부를 전반사하면서 진행되고, 확산판(67)에 의해 확산된다. 확산판(67)에 의해 확산된 광(L)의 일부는 제 2 플래튼 글래스(43B)를 통과하여 원고(G)에 조사되고, 확산판(67)에 의해 확산된 광(L) 중 반사판(79)으로 확산된 광(L)은 반사판(79)에 의해 반사된 후에 제 2 플래튼 글래스(43B)를 통과하여 원고(G)에 조사된다. 이와 같이, 광조사 유닛(17)에서는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4에서의 우측) 및 다른쪽(도 4에서의 좌측)으로부터 원고(G)에 광(L)이 조사된다.
원고(G)에 조사된 광(L)은 원고(G)의 피판독면에서 반사된 후에, 제 1 미러(75), 제 2 미러(45A), 제 3 미러(45B)의 순으로 반사되어 결상 렌즈(24)로 안내된다. 결상 렌즈(24)로 안내된 광(L)은 검출부(26)의 수광면에 결상된다.
또한, 제 2 캐리지(22)의 이동 거리가 제 1 캐리지(18)의 이동 거리의 반분(半分)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원고(G)의 피판독면으로부터 검출부(26)까지의 광(L)의 광로 길이가 변화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검출부(26)는 1차원의 센서이며, 부주사 방향(제 1 캐리지(18)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주주사 방향에서의 원고(G)의 1라인분을 동시에 처리하고 있다. 화상 판독부(14)에서는 이 주주사 방향의 1라인의 판독이 종료한 후, 부주사 방향으로 제 1 캐리지(18)를 이동시켜 원고(G)의 다음 라인을 판독한다. 이를 원고(G)의 전체에 걸쳐 실행함으로써, 1페이지의 판독이 완료한다.
한편, 원고 반송 장치(12)에 의해 반송되는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캐리지(18)와 제 2 캐리지(22)가 화상 판독부(14)의 일단부(도 3에서의 좌단부)에 나타낸 실선의 판독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위치한다.
이 판독 위치에서, 우선, 반송되어 온 원고(G)의 1라인째에서 반사된 광(L)이 결상 렌즈(24)에 의해 결상되고, 검출부(26)에 의해 화상이 검출된다. 즉, 1차원의 센서인 검출부(26)에 의해 주주사 방향의 1라인분을 동시에 처리한 후, 반송되는 원고(G)의 다음 주주사 방향의 1라인이 판독된다. 그리고, 원고(G)의 후단(後端)이 제 2 플래튼 글래스(43B)의 판독 위치를 통과함으로써, 부주사 방향에 걸쳐 원고(G)의 1페이지의 판독이 완료한다.
(광조사부(59)의 제 1 캐리지(18)로의 부착 구조)
다음에, 광조사부(59)의 제 1 캐리지(18)로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조사부(59)를 제 1 캐리지(18)의 측벽(39)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57)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주사 방향에 따른 단면이 주주사 방향의 부분적으로 반대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판체(板體)인 판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브래킷(57)은 광조사부(59)를 지지하는 지지판(85)과, 지지판(85)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캐리지(18)의 측벽(39)에 부착되는 부착판(86)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85)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나사 홀(82)이 형성되어 있다. 광조사부(59)의 회로 기판(59A)에는 나사 홀(82)에 대응하여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관통 홀(83)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홀(83)에 삽입 통과된 볼트(84)가 나사 홀(82)에 틀어박힘으로써, 광조사부(59)의 회로 기판(59A)이 지지판(85)에 고정된다.
부착판(86)은 지지판(85)의 길이 방향 일단측(도 9에서의 오른쪽 상측)에 배치된 부착판(86A)과, 지지판(85)의 길이 방향 타단(他端)측(도 9에서의 왼쪽 하측)에 배치된 부착판(86B)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착판(86A, 86B)에는 브래킷(57)의 착탈시에 브래킷(57)이 다른 부품(예를 들면, 도광 부재(65))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의 일례로서의 클로부(claw portion)(9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부착판(86A, 86B)에 형성된 클로부(92)는 각각 브래킷(57)의 길이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부착판(86A, 86B)에 형성된 클로부(92)는 부착판(86A)의 부착판(86B)측 및 부착판(86B)의 부착판(86A)측에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92)는 각각 부착판(86A, 86B)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해 있고, 제 1 캐리지(18)의 측벽(39)이 클로부(92)의 선단부로부터 2개의 클로부(92)와 부착판(86A, 86B)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2개의 클로부(92)와 부착판(86A, 86B) 사이에 끼워 넣어진 측벽(39)은 클로부(92)의 기단부(基端部)에 부딪혀, 그 이상의 삽입이 규제된다.
또한, 2개의 클로부(92)와 부착판(86A, 86B) 사이에 끼워 넣어진 측벽(39)은, 2개의 클로부(92)와 부착판(86A, 86B) 사이에 끼워져서, 브래킷(57)의 부착판(86A, 86B)의 두께 방향으로의 이동(도 4에서의 도광 부재(65)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측벽(39)이 2개의 클로부(92)와 부착판(86A, 86B)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브래킷(57)의 측벽(39)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이동은 허용된다.
또한, 부착판(86A, 86B)에는 피유지부의 일례로서의 볼록부(91)가 부착판(86A, 86B)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캐리지(18)의 측벽(39)에는 볼록부(91)를 유지하는 유지부의 일례로서의 노치부(notch portion)(95)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95)는 개구단이 측벽(39)의 하단에 형성되는 동시에, 측벽(39)의 길이 방향 한쪽(도 9에서의 왼쪽 하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치부(95)는 클로부(92)에 의한 규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주주사 방향으로 브래킷(57)이 이동하도록, 측벽(39)의 하단으로부터 노치부(95)로 진입한 볼록부(91)를, 측벽(39)의 길이 방향 한쪽(도 9에서의 왼쪽 하측)인 노치부(95)의 안쪽으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노치부(95)의 안쪽으로 안내된 볼록부(91)는 노치부(95)의 안쪽에서 노치부(95)의 내벽에 상하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지는 동시에, 측벽(39)의 길이 방향 한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래킷(57)이 측벽(39)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또한, 유지부로서는, 노치부(95)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홈부나 긴 홀이어도 되고, 피유지부를 유지하는 것이면, 노치부(95) 이외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피유지부로서는, 볼록부(91)에 한정되지 않고, 유지부에 유지되는 것이면, 볼록부(91) 이외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노치부(95)가 피유지부로서 브래킷(57)에 형성되고, 볼록부(91)가 유지부로서 측벽(39)에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제 1 캐리지(18)의 측벽(39)에는 볼트(87)가 삽입 통과되는 관통 홀(93)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판(86A, 86B)에는 관통 홀(93)에 대응하여, 나사 홀(89)이 브래킷(57)의 길이 방향의 단측(볼록부(91)를 사이에 두고 클로부(92)와는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91)가 노치부(95)에 유지된 상태에서, 나사 홀(89)과 관통 홀(93)이 겹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볼록부(91)가 노치부(95)에 유지된 상태에서, 관통 홀(93)에 삽입 통과된 볼트(87)가 나사 홀(89)에 틀어박힘으로써, 부착판(86A, 86B)이 측벽(39)에 고정된다.
한편, 지지판(85)은 부착판(86)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측벽(39)에 부착판(86)이 부착됨으로써, 각 발광 소자(61)는 원고(G)의 피판독면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된다.
지지판(85)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제 1 미러(75)에 접촉하여 제 1 미러(75)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진동 억제 부재(96)를 지지하는 지지부(9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97)는 지지판(8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측벽(39)에 대하여, 브래킷(57)과 일체로 착탈되도록 되어 있다. 진동 억제 부재(96)로서는, 예를 들면, 스폰지 등의 다공질 부재나, 고무 등의 탄성 부재 등이 사용된다.
또한, 브래킷(57)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외의 형상이나 배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규제 수단으로서는, 브래킷(57)에 형성되는 클로부(92)에 한정되지 않고, 측벽(39)측에 형성되는 부재이어도 되고, 클로부(92) 이외의 형상이나 배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브래킷(57)을 제 1 캐리지(18)의 측벽(39)에 부착하는 부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캐리지(18)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브래킷(57)을, 제 1 캐리지(18)의 측벽(39)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91)를 노치부(95)에 끼워 넣는 동시에, 부착판(86A, 86B)과 2개의 클로부(92) 사이에 측벽(39)을 끼워 넣는다(도 4 참조).
볼록부(91)가 노치부(95)에 끼워 넣어지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91)는 노치부(95)에서의 볼록부(91)의 삽입 방향 안쪽(도 11에서의 상측)의 내벽에 부딪혀, 브래킷(57)의 삽입 방향(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부착판(86A, 86B)과 2개의 클로부(92) 사이에 측벽(39)이 끼워 넣어지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39)의 하단이 클로부(92)의 기단부에 부딪혀, 브래킷(57)의 삽입 방향(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부착판(86A, 86B)과 2개의 클로부(92) 사이에 측벽(39)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는, 부착판(86)(측벽(39))의 두께 방향에 따른 브래킷(57)의 이동이 저지되는 한편, 부착판(86)(측벽(39))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이동은 허용된다.
다음에, 제 1 캐리지(18)를 측벽(39)의 길이 방향 한쪽(도 12에서의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 볼록부(91)가 노치부(95)의 안쪽으로 안내되어, 볼록부(91)가 노치부(95)의 안쪽에서 유지된다. 볼록부(91)가 노치부(95)에 유지된 상태에서, 관통 홀(93)과 나사 홀(89)이 겹치고, 관통 홀(93)에 삽입 통과된 볼트(87)를 나사 홀(89)에 틀어박음으로써, 부착판(86A, 86B)이 측벽(39)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브래킷(57)을 제 1 캐리지(18)의 측벽(39)에 부착할 때에, 부착판(86)(측벽(39))의 두께 방향에 따른 브래킷(57)의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39)에서 보아서, 측벽(39)의 두께 방향측에 있는 다른 부품(예를 들면, 도광 부재(65))에 발광 소자(61)가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발광 소자(61)로부터의 광에 의한 눈부심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
다음에, 발광 소자(61)로부터의 광에 의한 눈부심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조사 유닛(17)(제 1 캐리지(18))이, 초기 위치에서, 화상 판독 장치(11)의 장치 본체를 이루는 판독부(14)의 케이싱(41)의 한쪽(도 13 및 도 14에서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초기 위치란, 구체적으로는, 원고(G)의 화상 판독을 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광조사 유닛(17)이 대기하는 대기 위치이다.
제 1 플래튼 글래스(43A)에서 보아서, 판독부(14)의 케이싱(41)의 한쪽(도 13 및 도 14에서의 좌측)에는, 원고(G)의 일단이 충돌면(150A)에 부딪쳐서 원고(G)를 제 1 플래튼 글래스(43A)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재하기 위한 충돌 부재(150)가 배치되어 있다.
광조사 유닛(17)의 초기 위치는, 원고(G)로의 광의 조사점(S)(원고(G)로부터의 반사광의 광축(L1))으로부터 충돌면(150A)까지의 부주사 방향에 따른 길이(N)가, 미리 정해진 길이(예를 들면, 10㎜)로 되는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광조사 유닛(17)은, 초기 위치에서, 판독부(14)(제 1 플래튼 글래스(43A))에 대하여 개폐되는 개폐부의 일례로서의 원고 반송 장치(12)가 개방된 상태(도 16 참조)로부터 미리 정해진 각도까지 폐쇄되면, 발광 소자(61)가 원고(G)로 발광하고, 원고(G)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부(26)가 검출하여 원고(G)의 주주사 방향(도 13에서의 Y방향)의 폭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41)의 한쪽(도 13 및 도 14에서의 좌측)은, 부주사 방향의 한쪽으로서, 제 1 플래튼 글래스(43A)에 적재된 원고(G)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하여 발광 소자(61)가 발광할 때에, 원고(G)의 화상면에 대하여 발광을 개시하는 쪽이다.
또한, 발광 소자(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57)의 지지판(85)에 지지됨으로써 케이싱(41)의 한쪽(도 13 및 도 14에서의 좌측)을 향하고 있고, 케이싱(41)의 한쪽의 상방으로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광 소자(61)는, 도 15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소자(61)의 상방에 배치된 피복 부재의 일례로서의 제 1 상벽(51)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자(H)가 화상 형성 장치(10)(화상 판독 장치(11) 및 화상 기록 장치(2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52)가, 케이싱(41)의 한쪽(도 13에서의 좌측)과 상이한 쪽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152)는 도 13에서의 오른쪽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52)는 케이싱(41)의 한쪽(도 13에서의 좌측)과 상이한 쪽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케이싱(41)의 한쪽(도 13에서의 좌측)에 대향하는 도 13에서의 우측이나, 도 13에서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조작부(152)가 도 13에서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초기 위치보다 도 13에서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152)가 배치되는 쪽(도 13에서의 하측)과는 반대쪽(도 13에서의 상측)에는, 원고 반송 장치(12)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154)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고 반송 장치(12)는 조작부(152)가 배치되는 쪽을 자유 단부로서 개방된다.
또한, 조작부(152)가 배치되는 쪽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기록 장치(21)의 내부를 개방하기 위한 개폐부(156)가, 화상 기록 장치(21)의 케이싱(21A)에 배치되어 있다. 개폐부(156)를 개방하여 화상 기록 장치(21)의 각 부의 교환, 보수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상 기록 장치(21)의 기록 매체 수용부(80)는 조작부(152)가 배치되는 쪽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조작부(152)가 배치되는 쪽에 조작자(H)가 서서 각종 조작, 교환, 보수 점검 등의 작업을 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 광조사 유닛(17)의 발광 소자(61)가 발광하면, 케이싱(41)의 한쪽(도 16의 X1쪽)에 광이 조사된다. 또한, 발광 소자(61)로부터의 광이, 가령, 케이싱(41)의 한쪽(도 16의 X1쪽)과는 반대쪽(도 16의 X2쪽)을 향하는 상방 또는 바로 위 방향으로 확산했다고 하여도, 제 1 상벽(51)에 의해 차광된다(도 15 참조).
이에 의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독부(14)(제 1 플래튼 글래스(43A))에 대하여 원고 반송 장치(12)가 개방된 상태여도, 조작자(H)가 발광 소자(61)로부터의 광이 눈부시다고 느끼는 것이 억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변형,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형태의 상기 기술은 예시와 설명을 위해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개시된 그 형태에 철저하거나 한정되지 않는다. 다수의 변형과 변경이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임은 명백하다. 대표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와 그 응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되어 설명되었고, 그에 따라 이 기술분야의 다른 자가 다양한 실시형태와 예기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예로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청구항과 그 동등물에 의해 규정된다.
10 : 화상 형성 장치
11 : 화상 판독 장치
12 : 원고 반송 장치
14 : 화상 판독부
16, 29 : 반송부
17 : 광조사 유닛
18 : 제 1 캐리지
19 : 도광 유닛
21 : 화상 기록 장치
22 : 제 2 캐리지
26 : 검출부
32 : 중간 전사 벨트
39 : 측벽
40 : 노광 장치
46 : 제 1 전사 롤
57 : 브래킷
59 : 광조사부
60 : 제 2 전사 롤
61 : 발광 소자
64 : 정착 장치
65 : 도광 부재
P : 기록 매체

Claims (14)

  1. 피(被)판독면을 따라 화상 판독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복수의 점 형상 광원을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한 발광부와;
    상기 이동체에 상기 발광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피판독면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되고, 피판독면에서의 반사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도광체(導光體)를 구비하며,
    상기 도광체의 광출사면에는 상기 도광체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접합되는 화상 판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광체를 통하여 피판독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광부에 의한 광조사의 방향은, 화상 판독 장치의 정면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화상 판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정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화상 판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상방(上方)의, 발광부와 피판독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를 갖는 화상 판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도광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형성되는 화상 판독 장치.
  6. 피판독면을 따라 화상 판독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고, 복수의 점 형상 광원을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한 발광부와, 상기 이동체에 상기 발광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피판독면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되고, 피판독면에서의 반사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도광체와, 상기 피판독면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판독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를 구비하며,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상기 도광체의 광출사면에는 상기 도광체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접합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광체를 통하여 피판독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경사 방향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체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발광부에 의한 광조사의 방향은, 화상 판독 장치의 정면 중앙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화상 판독 장치를 정면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상방의, 발광부와 피판독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부재는, 상기 도광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형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피판독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초기 위치에서 상기 장치 본체의 한쪽에 배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열(列) 형상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상기 한쪽을 향하여 상기 피판독면으로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되어 상기 피판독면에서 반사한 반사광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이동체에 상기 발광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피판독면으로 안내하도록 배치되고, 피판독면에서의 반사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도광체를 구비하고,
    상기 도광체의 광출사면에는 상기 도광체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접합되는 화상 판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부의 상방에 배치된 상기 피판독면으로 발광하고,
    상기 발광부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를 피복하는 피복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판독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위치보다 상기 장치 본체의 다른쪽에 배치되고, 조작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는 화상 판독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상 판독 장치와,
    상기 화상 판독 장치가 판독한 화상에 의거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
    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24024A 2009-07-16 2010-03-18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430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8167A JP2011024043A (ja) 2009-07-16 2009-07-16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9-168167 2009-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567A KR20110007567A (ko) 2011-01-24
KR101430086B1 true KR101430086B1 (ko) 2014-08-13

Family

ID=4346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024A KR101430086B1 (ko) 2009-07-16 2010-03-18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13234A1 (ko)
JP (1) JP2011024043A (ko)
KR (1) KR101430086B1 (ko)
CN (1) CN101958992B (ko)
AU (1) AU2010201057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4134A (ja) 2009-07-17 2011-02-03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53879B2 (ja) * 2012-06-21 2016-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反射板支持構造
EP2813748B1 (en) * 2012-02-07 2023-09-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ght-source device and reflector-support structure
JP6108213B2 (ja) * 2013-01-31 2017-04-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読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1425A (ja) * 2003-04-11 2004-12-24 Ricoh Co Ltd 照明装置
JP2008180841A (ja) * 2007-01-24 2008-08-07 Ricoh Co Ltd 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10830A (ja) 2007-06-29 2009-01-15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2219A (en) * 1984-06-28 1987-06-09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Image reader with scanning by array of sequentially illuminated light sources
JPH0174660U (ko) * 1987-11-06 1989-05-19
JPH04129378A (ja) * 1990-09-20 1992-04-30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H1166268A (ja) * 1997-08-13 1999-03-09 Fujitsu Ltd 画像読取装置
US6771397B2 (en) * 2001-03-12 2004-08-0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reader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290675A (ja) * 2001-03-23 2002-10-04 Murata Mach Ltd 原稿画像読み取り装置
EP1511289B1 (en) * 2003-08-19 2011-11-23 Ricoh Company, Ltd. Lighting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156600A (ja) * 2003-11-20 2005-06-16 Ricoh Co Ltd 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085023B2 (en) * 2003-10-14 2006-08-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mage-reading apparatus
JP2005124063A (ja) * 2003-10-20 2005-05-1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4669713B2 (ja) * 2005-02-18 2011-04-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60403B2 (en) * 2005-06-14 2010-07-20 Ricoh Co., Ltd. Optical irradiation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070436A1 (en) * 2005-09-23 2007-03-29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JP4773867B2 (ja) * 2006-04-20 2011-09-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TWM319594U (en) * 2007-01-24 2007-09-21 Lite On Technology Corp Scanning apparatus
JP5087337B2 (ja) * 2007-07-25 2012-12-0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原稿読取用光源装置
US8358447B2 (en) * 2007-07-31 2013-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er module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5100278B2 (ja) * 2007-09-25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導光光学系及びそれを用いた原稿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4990744B2 (ja) * 2007-12-10 2012-08-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5264338B2 (ja) * 2008-07-17 2013-08-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24134A (ja) * 2009-07-17 2011-02-03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1425A (ja) * 2003-04-11 2004-12-24 Ricoh Co Ltd 照明装置
JP2008180841A (ja) * 2007-01-24 2008-08-07 Ricoh Co Ltd 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10830A (ja) 2007-06-29 2009-01-15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01057B2 (en) 2011-09-29
KR20110007567A (ko) 2011-01-24
US20110013234A1 (en) 2011-01-20
CN101958992B (zh) 2015-08-05
AU2010201057A1 (en) 2011-02-03
JP2011024043A (ja) 2011-02-03
CN101958992A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16911B2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348251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358450B2 (en) Illuminator, and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00084376A (ko) 도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제전유닛, 화상형성장치, 화상독취장치
US8625172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354557B1 (ko) 화상 판독 장치, 화상 형성 장치
KR101430086B1 (ko)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8749855B2 (en) Copy machine with elliptical diffusion plates
EP2808742B1 (en) Light guide and illumination device
JP4271024B2 (ja)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93475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489853B (zh) 影像讀取裝置
US8385781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920088B2 (ja) 照明装置、その照明装置を備える画像読取り装置、その画像読取り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5110050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27833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47592A (ja) 原稿読取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9153125A (ja) 画像読取ユニットと、画像読取ユニ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10199639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16216B2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KR101458559B1 (ko) 화상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5538183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2178227A (ja) 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12839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19746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