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103B1 -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103B1
KR101429103B1 KR1020130036754A KR20130036754A KR101429103B1 KR 101429103 B1 KR101429103 B1 KR 101429103B1 KR 1020130036754 A KR1020130036754 A KR 1020130036754A KR 20130036754 A KR20130036754 A KR 20130036754A KR 101429103 B1 KR101429103 B1 KR 101429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riving
manual
winch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권
Original Assignee
장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권 filed Critical 장성권
Priority to KR102013003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는 동력 발생원에서 발생된 회전 동력을 동력 전달부로 전달하고, 동력 전달부로부터 동력 발생원으로 전달되는 역 회전력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ⅰ)동력 발생원에 고정되며, 그 동력 발생원의 회전 동력을 복수 개의 구동 돌기들을 통해 동력 전달부로 전달하는 구동 클러치와, ⅱ)동력 전달부를 내측에 두고 권양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 외륜과, ⅲ)고정 외륜의 내측에 위치하며 동력 전달부에 고정되고, 고정 외륜의 내측면 사이에 구동 돌기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그 구동 돌기를 사이에 두고 고정 외륜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복수 개의 피동 돌기들이 일체로 구비된 구동 내륜과, ⅳ)피동 돌기들을 사이에 두고 구동 내륜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과, ⅴ)구동 돌기와 피동 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이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 개의 롤러 핀들과, ⅵ)롤러 핀과 상기 피동 돌기 사이에 설치되며, 롤러 핀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판 접이식 스프링으로서의 탄성부재와, ⅶ)동력 발생원에 있어 수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동 핸들에 설치되고, 권양기의 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수동 핸들의 회전을 푸시 버튼 타입으로서 로킹 및 언 로킹시키는 잠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TWO-WAY BRAKE DEVICE FOR FLOODGATE WINCH}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문용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문의 상승 및 하강 시 수동 또는 전동 동력을 동력 전달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수문의 자중에 의한 동력 전달부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수문의 하강 완료 시에 수문 하단부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 시스템은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되어 배수량 조절 및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담수율 또는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홍수로 인한 설비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 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이다.
수문 시스템은 게이트로서의 수문과, 그 수문을 개폐하는 권양기를 구비하는데, 수문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하단 방류 방식의 인양식 수문과, 수로의 바닥에서 좌우 방향(유수 방향)으로 전도되는 상단 월류 방식의 전도식 수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인양식 수문은 권양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이의 권양기는 수동 또는 전동 동력으로서 수문을 상측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도식 수문은 권양기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이의 권양기는 수동 또는 수동 동력으로서 수문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수문의 권양기는 수동 핸들과 같은 수동 동력 발생원 또는 모터와 같은 전동 동력 발생원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을 수동 동력 전달부 또는 전동 동력 전달부를 통해 수문으로 전달하며 그 수문을 개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권양기는 수동 또는 전동 동력을 동력 전달부를 통하여 수문으로 전달하는 과정에 그 수문 측으로부터 동력 전달부로 전달되는 역 회전력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13776호의「권양기용 라체트 브레이크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종래 기술의 권양기용 라체트 브레이크 장치는 수동 동력 발생원으로서 수동 핸들에 연결되는 구동부와, 동력축(수동 동력 전달부)에 연결되는 캠 형태의 강구 가이드를 구비하고, 구동부와 강구 가이드 사이에 강구를 개재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종래 기술의 권양기용 라체트 브레이크 장치는 수동 핸들 및 구동부에 의한 회전 동력이 강구 가이드 및 강구를 통해 동력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하고, 동력축으로부터 구동부로 전달되는 역 회전력을 라체트 구조의 강구 가이드 및 강구를 통해 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브레이크 드럼으로서의 고정 외륜 내측에 구동 내륜으로서의 강구 가이드가 배치되는 바, 그 브레이크 드럼과 강구 가이드 사이의 강구가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 기술에서는 브레이크 드럼과 강구 가이드가 서로 틀어지게 되므로, 수동 핸들의 회전 동력이 동력축으로 편심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브레이크 장치의 손상 및 파손을 야기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수문의 개폐 안정성 및 권양기의 운전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문의 상승 및 하강 시 수동 또는 전동 동력을 동력 전달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수문의 자중에 의한 동력 전달부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문의 하강 완료 시에 수문 하단부의 누수를 역회전 방지 브레이크 구조로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정 외륜과 구동 내륜의 회전 접촉에 있어서 상호 간의 틀어짐이 없이 수동 또는 전동의 회전 동력을 동력 전달부로 일정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동 또는 전동 동력 발생원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 권양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는, 동력 발생원에서 발생된 회전 동력을 동력 전달부로 전달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동력 발생원으로 전달되는 역 회전력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ⅰ)상기 동력 발생원에 고정되며, 그 동력 발생원의 회전 동력을 복수 개의 구동 돌기들을 통해 상기 동력 전달부로 전달하는 구동 클러치와, ⅱ)상기 동력 전달부를 내측에 두고 권양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 외륜과, ⅲ)상기 고정 외륜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외륜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구동 돌기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그 구동 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 외륜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복수 개의 피동 돌기들이 일체로 구비된 구동 내륜과, ⅳ)상기 피동 돌기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 내륜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과, ⅴ)상기 구동 돌기와 피동 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이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 개의 롤러 핀들과, ⅵ)상기 롤러 핀과 상기 피동 돌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 핀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판 접이식 스프링으로서의 탄성부재와, ⅶ)상기 동력 발생원에 있어 수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동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권양기의 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동 핸들의 회전을 푸시 버튼 타입으로서 로킹 및 언 로킹시키는 잠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내륜은 상기 고정 외륜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상기 각 피동 돌기의 형성 부분에 직선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구동 내륜이 끼워지는 결합홀을 지닌 링 형상에서 상기 각 직선 구간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 원주 구간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돌출부에는 롤러 핀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구동 내륜의 양측 외주면에 미끄럼 베어링을 통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클러치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동력 전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 핀(shear pin)을 통하여 상기 동력 발생원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클러치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단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동력 전달축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단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구동 돌기가 일정 원주 구간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단 핀은 상기 동력 발생원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때에 파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문의 상승 및 하강 시 동력 발생원을 통해 수동 또는 전동 동력을 동력 전달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수문의 자중에 의한 동력 전달부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력 전달부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문의 하강 완료 시에 역회전 방지 브레이크 구조로서 수문 하단부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이 동력 전달축의 역 회전을 저지하는 수단으로서 강구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판에 지지된 롤러 핀을 채용하므로, 고정 외륜과 구동 내륜의 틀어짐(편심) 없이 동력 발생원의 회전 동력을 동력 전달부로 일정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판 접이식 스프링으로서의 탄성부재를 채용하여 롤러 핀 전체에 탄발력을 발휘케 하고, 그 롤러 핀이 지지판의 지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장치에 의한 회전 동력의 전달 및 역 회전 저지 시 롤러 핀이 이탈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 내륜에 대하여 롤러 핀이 개별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지지판과 함께 작동하므로, 동력 발생원의 회전 동력을 동력 전달부에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단 핀으로서 동력 발생원과 구동 클러치를 고정 결합하므로, 동력 발생원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경우 그 과부하에 의해 전단 핀이 파단되면서 권양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를 적용한 권양기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구동 클러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고정 외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구동 내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지지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잠금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를 적용한 권양기의 일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100)는 댐이나 하천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에 구성되며, 담수설비의 담수율 또는 저수설비의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수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문 시스템은 게이트로서의 수문(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문비" 라고도 한다)을 권양기(1)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담수를 하단 방류시킬 수 있는 하단 방류 방식의 수문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문 시스템은 수문을 권양기(1)를 통해 좌우 방향(수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담수를 상단 월류시킬 수 있는 상단 월류 방식의 수문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권양기(1)는 수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수동 또는 전동 동력을 발생시키고 그 동력을 수문으로 전달함으로써 수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권양기는 와이어 로프, 체인, 래크 바아 및 피니언 등을 통해 전동 및/또는 수동 동력을 수문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권양기(1)는 수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동 동력 발생원으로서의 수동 핸들(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동력 발생원으로서 전동 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 핸들(3)에서 발생하는 수동 동력은 수동 동력 전달부를 통해 수문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전동 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하는 전동 동력은 전동 동력 전달부를 통해 수문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수동 동력 발생원으로서의 수동 핸들(3)을 통해 수동 동력을 발생시키고, 그 수동 동력을 수동 동력 전달부(5)를 통해 수문으로 전달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권양기(1)는 수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동 핸들(3)과, 그 수동 핸들(3)의 회전에 의한 수동 동력(회전 동력)을 와이어 로프, 체인, 래크 바아 및 피니언 등을 통해 수문으로 전달하는 수동 동력 전달부(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동 핸들(3)은 수동 동력 전달부(5)에 실질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그 수동 동력 전달부(5)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동 동력 전달부(5)는 수동 핸들(3)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되는 수동 동력을 와이어 로프, 체인, 래크 바아 및 피니언 등을 통해 수문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수동 동력 전달부(5)는 권양기(1)의 몸체(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 전달축(9)을 포함하는 바, 이 동력 전달축(9)은 수동 핸들(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권양기(1)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권양 장치로서 이루어지며, 본 명세서에서 그 권양기(1)의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 핸들의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100)는 상기에서와 같은 권양기(1)에 구성되는 바, 수동 핸들(3)로부터 수동 동력 전달부(5)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고, 그 수동 동력 전달부(5)로부터 수동 핸들(3)로 전달되는 역 회전력을 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100)는 수동 핸들(3)을 정회전시키며 수동 동력을 수동 동력 전달부(5)에 전달함으로써 수문을 상승시키는 경우, 수문의 자중에 의한 수동 동력 전달부(5)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100)는 수동 핸들(3)을 역회전시키며 수동 동력을 수동 동력 전달부(5)에 전달함으로써 수문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100)는 수문의 하강 완료 시에 역회전 방지 브레이크 구조로서 수문 하단부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100)는 수동 핸들(3)의 회전 동력을 수동 동력 전달부(5)로 일정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수동 핸들(3)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 권양기(1)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구동 클러치(10), 고정 외륜(20), 구동 내륜(30), 지지판(50), 롤러 핀(60), 탄성부재(70) 그리고 잠금유닛(80)을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구동 클러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 클러치(10)는 수동 핸들(3)의 회전 동력을 수동 동력 전달부(5)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 핸들(3)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 클러치(10)는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단 핀(shear pin)(11)을 통하여 수동 핸들(3)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클러치(10)는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축의 방향으로 중공을 가지는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구동 클러치(10)에 있어 일단(면)의 중앙 부분에는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13)이 형성된다. 이 때 구동 클러치(10)는 동력 전달축(9)의 외주면과 결합공(13)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15)을 통해 동력 전달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단(면)의 결합공(13) 가장자리 외측에는 전단 핀(11)이 삽입/설치되는 복수 개의 핀 삽입홀들(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 클러치(10)의 타단 가장자리 부분(단)에는 복수 개의 구동 돌기들(19)이 일정 원주 구간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 돌기들(19)은 수동 핸들(3)의 회전 동력을 뒤에서 더욱 설명될 구동 내륜(30)을 통해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돌기들(19)은 구동 클러치(10)의 타단 가장자리 부분(단)에 세 개소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단 핀(11)은 수동 핸들(3)의 몸체부에 끼워지고 구동 클러치(10)의 핀 삽입홀(17)에 결합되며, 그 구동 클러치(10)를 수동 핸들(3)의 몸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단 핀(11)은 수동 핸들(3)에 충격하중이나 과대한 회전력 등과 같은 과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 그 과부하에 의해 파단되면서 권양기(1)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안전 보호 핀으로서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단 핀(11)은 수동 핸들(3)의 수동 구동 또는 정전 시에 발전기와 수동 핸들(3)을 벨트로 연결하여 그 발전기의 구동력으로서 수동 핸들(3)을 회전시키는 경우, 수동 핸들(3)에 과부하가 작용하게 되면 그 과부하에 의해 파단되면서 권양기(1)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고정 외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 외륜(20)은 원통 형상의 브레이크 드럼 하우징으로서 구비되며,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을 내측에 두고 권양기 몸체(7)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외륜(20)은 오-링(21)을 매개로 수동 핸들(3)에 고정되며, 복수 개의 고정 볼트들(23)을 통해 권양기 몸체(7)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 외륜(20)에는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이 통과하는 원형의 중공이 형성되고, 고정 볼트(23)가 체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체결공들(25)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구동 내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 내륜(30)은 수동 핸들(3)의 회전으로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을 구동 클러치(10)를 통해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동 내륜(30)은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이 끼워지는 중공을 지니며 고정 외륜(20)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구동 내륜(30)은 그 중공으로 동력 전달축(9)이 끼워지며 키이(31)로서 동력 전달축(9)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구동 내륜(30)의 중공에는 키이(31)가 결합될 수 있는 키이 결합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외륜(20)의 내주면과 구동 내륜(30)의 외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그 공간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구동 클러치(10)의 구동 돌기(19)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구동 내륜(30)의 외주면에는 등 간격으로 중공 방향을 따라 세 개의 피동 돌기(34)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동 돌기들(34)은 구동 클러치(10)의 구동 돌기(19)를 사이에 두고 고정 외륜(20)의 내측면(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구동 내륜(30)의 외주면에는 고정 외륜(20)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피동 돌기(34)의 형성 부분에 직선 구간(36)을 형성하고 있다. 즉, 고정 외륜(20)의 내주면과 직선 구간(36) 사이의 공간은 피동 돌기(34) 측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 공간 너비가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지지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판(50)은 뒤에서 더욱 설명될 롤러 핀들(60)을 지지하는 것으로, 피동 돌기(34)를 사이에 두고 구동 내륜(3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판(50)은 구동 내륜(30)이 끼워지는 결합홀(51)을 가진 링 형상에서 그 구동 내륜(30)의 직선 구간(36)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 원주 구간의 돌출부(53)를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53)는 지지판(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지판(50)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 각도로서 세 개소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50)의 각 돌출부(53)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롤러 핀(60)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홈(5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홈(55)은 지지판(50)의 돌출부들(53)에 총 6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50)은 미끄럼 베어링(57)을 통해 구동 내륜(30)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50)은 구동 내륜(3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스냅 링과 같은 스토퍼(59)에 의해 구동 내륜(30)으로부터의 이탈이 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 핀(60)은 수동 핸들(3)로부터 수동 동력 전달부(5)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고, 그 수동 동력 전달부(5)로부터 수동 핸들(3)로 전달되는 역 회전력을 실질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롤러 핀(60)은 고정 외륜(20)과 구동 내륜(30) 사이의 공간에서 구동 클러치(10)의 구동 돌기(19)와 구동 내륜(30)의 피동 돌기(34) 사이에 위치하며, 이의 양단이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지지판(50)의 지지홈(55)에 각각 지지된다.
즉, 상기 롤러 핀(60)은 고정 외륜(20) 내주면과 구동 내륜(30) 직선 구간(36) 사이의 공간에서 피동 돌기(3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70)는 피동 돌기(34) 측에서 롤러 핀(60)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그 롤러 핀(60)과 피동 돌기(34) 사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70)는 피동 돌기(34)와 롤러 핀(60) 사이에 개재되면서 이의 일측 단부가 피동 돌기(34)에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롤러 핀(60)에 지지되는 판 접이식 스프링(7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되는 잠금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잠금유닛(80)은 수동 핸들(3)의 회전을 권양기 몸체(7)에 대하여 푸시 버튼 타입으로서 로킹 및 언 로킹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잠금유닛(80)은 수동 핸들(3)의 몸체부에 설치되고, 권양기 몸체(7)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수동 핸들(3)의 회전을 로킹 및 언 로킹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잠금유닛(80)은 키이 몸체(81), 로킹 레버(84) 및 키이 블록(87)을 포함한다. 상기 키이 몸체(81)는 열쇠 등의 키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삽입 가능한 키이 버튼(82)을 지니며 수동 핸들(3)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키이 버튼(82)은 키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잠금 해제 시 키이 몸체(81)로부터 돌출되고, 누름 동작에 의해 키이 몸체(81)로 인입되는 푸시 버튼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킹 레버(84)는 키이 버튼(82)에 연결되며, 키이 몸체(81)에 대하여 돌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로킹 레버(84)는 키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잠금 해제 시 키이 버튼(82)이 키이 몸체(81)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키이 몸체(81)에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 레버(84)는 키이 버튼(82)의 누름 동작에 의해 키이 몸체(81)로 인입됨에 따라 키이 몸체(8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키이 블록(87)은 수동 핸들(3)을 권양기 몸체(7)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로킹시키는 것으로, 로킹 레버(84)의 단부에 고정되며, 권양기 몸체(7)에 형성된 키이 홈(8)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작동 과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잠금유닛(80)의 키이 블록(87)이 권양기 몸체(7)의 키이 홈(8)에 결합되며 수동 핸들(3)이 권양기 몸체(7)에 로킹된 상태에서, 키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키이 몸체(81)의 키이 버튼(82)에 꽂고 한 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키이 버튼(82)은 키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잠금 해제로 인해 키이 몸체(81)로부터 돌출되고, 로킹 레버(84)는 키이 버튼(82)에 의해 키이 몸체(81)로 인입되며, 이에 따라 키이 블록(87)은 권양기 몸체(7)의 키이 홈(8)으로부터 빠지며 수동 핸들(3)을 권양기 몸체(7)로부터 언 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동 핸들(3)을 통해 수동 동력을 수문에 전달함으로써 그 수문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리고거나 유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수동 핸들(3)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전단 핀(11)을 통해 수동 핸들(3)과 결합된 구동 클러치(10) 또한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구동 클러치(10)는 동력 전달축(9) 및 구동 내륜(30)과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여기서, 구동 클러치(10)가 수동 핸들(3)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구동 클러치(10)의 구동 돌기(19)는 지지판(50)에 지지된 롤러 핀(60)과 접하고, 그 롤러 핀(60)이 구동 내륜(30)의 피동 돌기(34)와 접할 때까지 롤러 핀(60)을 밀어낸다.
이 경우, 상기 롤러 핀(60)은 지지판(50)의 지지홈(5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그 지지판(50)이 구동 내륜(30)의 양측 외주면에서 회전하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 클러치(10)가 수동 핸들(3)에 의해 계속 회전하면서 롤러 핀(60)은 피동 돌기(34)를 밀어내고, 그 피동 돌기(34)와 일체인 구동 내륜(30)도 함께 회전하며, 그 구동 내륜(30)과 고정 결합된 동력 전달축(9)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롤러 핀(60)은 고정 외륜(20)의 내주면과 구동 내륜(30)의 직선 구간(36) 사이의 공간에서 그 공간의 너비가 가장 큰 피동 돌기(34) 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고정 외륜(20)의 내주면과 구동 내륜(30)의 외주면에 마찰되지 않고 구동 내륜(3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롤러 핀(60)은 피동 돌기(34)와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피동 돌기(34) 측으로 밀려나며 구동 내륜(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70)는 판 접이식 스프링(71)으로서 롤러 핀(60) 전체에 탄발력을 발휘하고, 롤러 핀(60)이 지지판(50)의 지지홈(55)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롤러 핀(60)은 정 위치 상태에서 이탈될 염려가 없고, 수동 핸들(3)의 수동 동력을 동력 전달축(9)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동 핸들(3)의 회전으로서 발생된 수동 동력은 구동 클러치(10) 및 구동 내륜(30)을 통해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으로 전달되고, 그 동력 전달축(9)을 통해 수문 측으로 전달되면서 수문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리거나 유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동 핸들(3)을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수동 동력을 수문에 전달함으로써 그 수문을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키나 유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도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그 동력 전달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과 방향만 반대일 뿐 대동소이하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동 핸들(3)의 수동 동력이 수문 측으로 전달되는 경우에 수문의 자중에 의해 수동 동력 전달부(5)의 동력 전달축(9)이 역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동 핸들(3)의 수동 동력이 수문 측으로 전달되는 경우에 수문의 자중 등에 의해 역 회전력이 동력 전달축(9)에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동 핸들(3)의 회전을 멈추는 순간, 동력 전달축(9)은 역 회전력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도면에 점선 화살표로 표시)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롤러 핀(60)이 고정 외륜(20)의 내주면과 구동 내륜(30)의 직선 구간(36) 사이의 공간에서 공간 너비가 작은 피동 돌기(34)의 먼 쪽에 위치하게 되고, 고정 외륜(20)의 내주면과 구동 내륜(30)의 외주면 사이에서 롤러 핀(60)에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구동 내륜(30)의 역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롤러 핀(60)에 의해 구동 내륜(30)의 역회전이 저지되므로, 동력 전달축(9)도 회전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정전 시에 발전기와 수동 핸들(3)을 벨트로 연결하여 그 발전기의 구동력으로서 수동 핸들(3)을 회전시키는 경우, 수동 핸들(3)에 과부하가 작용하게 되면 그 과부하에 의해 전단 핀(11)이 파단되면서 과부하에 의한 권양기(1)의 손상 등을 방지하여 그 권양기(1)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 핸들부(10)가 전단 핀(11)을 통해 수동 핸들(3)에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수동 핸들(3)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경우, 전단 핀(11)이 파단되면서 수동 핸들(3)만 동력 전달축(9)에 대해 자유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동 핸들(3)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수동 동력을 수동 동력 전달부(5)에 전달함으로써 수문을 상승시키거나 유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수문의 자중에 의한 수동 동력 전달부(5)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동 핸들(3)을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수동 동력을 수동 동력 전달부(5)에 전달함으로써 수문을 하강시키거나 유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동 핸들(3)을 통한 수문의 하강 완료 시에 수동 동력 전달부(5)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문 하단부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수동 핸들(3)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잠금유닛(80)의 키이 블록(87)과 권양기 몸체(7)의 키이 홈(8)을 일치시킨 상태로, 키이 버튼(82)을 누른다.
그러면 로킹 레버(84)는, 키이 버튼(82)의 누름 동작에 의해 키이 몸체(81)로 인입됨에 따라, 키이 몸체(81)로부터 돌출되고, 이로 인해 키이 블록(87)은 권양기 몸체(7)의 키이 홈(8)에 결합되며 수동 핸들(3)을 권양기 몸체(7)에 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100)에 의하면, 예를 들어 인양식 수문의 상승 및 하강 시 수동 핸들(3)을 통해 수동 동력을 수동 동력 전달부(5)로 전달할 수 있으며, 수문의 자중에 의한 수동 동력 전달부(5)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수문의 하강 완료 시에 역회전 방지 브레이크 구조로서 수문 하단부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이 동력 전달축(9)의 역 회전을 저지하는 수단으로서 강구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판(50)에 지지된 롤러 핀(60)을 채용하므로, 고정 외륜(20)과 구동 내륜(30)의 틀어짐 없이 수동 핸들(3)의 수동 동력을 동력 전달축(9)으로 일정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판 접이식 스프링(71)의 탄성부재(70)를 채용하여 롤러 핀(60) 전체에 탄발력을 발휘케 하고, 롤러 핀(60)이 지지판(50)의 지지홈(55)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본 장치에 의한 수동 동력의 전달 및 역 회전 저지 시 롤러 핀(60)이 이탈될 염려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 내륜(30)에 대하여 롤러 핀(60)이 개별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지지판(50)과 함께 작동하므로, 수동 핸들(3)의 수동 동력을 동력 전달축(9)에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단 핀(11)으로서 수동 핸들(3)과 구동 클러치(10)를 고정 결합하므로, 수동 핸들(3)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 그 과부하에 의해 전단 핀(11)이 파단되면서 권양기(1)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동력 발생원인 전동 모터(2)의 구동축(4)과 피동축으로서의 전동 동력 전달부(6)를 연결하는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200)를 제공한다.
이러한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200)는 전동 모터(2)에서 발생되는 전동 동력을 전동 동력 전달부(6)로 전달하고, 수문의 자중에 의해 전동 동력 전달부(6)로부터 구동축(4)으로 전달되는 역 회전력을 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축(4)은 전동 모터(2)와 연결되며, 전동 동력 전달부(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200)를 통해 구동축(4)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클러치(110)는 전단 핀(111)을 통해 구동축(4)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200)는 고정 외륜(120), 구동 내륜(130), 지지판(150) 및 롤러 핀(160)을 포함하는 바, 이러한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200)의 구성 및 작용은 전기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200)에 의하면, 인양식 수문의 상승 및 하강 시 전동 모터(2)에서 발생되는 전동 동력을 전동 동력 전달부(6)로 전달할 수 있으며, 역회전 방지 브레이크 구조로서 수문의 자중에 의한 전동 동력 전달부(6)의 역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수문의 하강 완료 시에 수문 하단부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이 전동 동력 전달부(6)의 역 회전을 저지하는 수단으로서 강구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판(150)에 지지된 롤러 핀(160)을 채용하므로, 고정 외륜(120)과 구동 내륜(130)의 틀어짐 없이 전동 모터(2)에 의한 전동 동력을 전동 동력 전달부(6)로 일정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단 핀(111)으로서 구동축(4)과 구동 클러치(110)를 고정 결합하므로, 전동 모터(2)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 그 과부하에 의해 전단 핀(111)이 파단되면서 권양기(1)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권양기 2... 전동 모터
3... 수동 핸들 5... 수동 동력 전달부
6... 전동 동력 전달부 7... 권양기 몸체
8... 키이 홈 9... 동력 전달축
10... 구동 클러치 11... 전단 핀(shear pin)
13... 결합공 15... 베어링
17... 핀 삽입홀 19... 구동 돌기
20... 고정 외륜 21... 오-링
23... 고정 볼트 25... 체결공
30... 구동 내륜 31... 키이
32... 키이 결합홈 34... 피동 돌기
36... 직선 구간 50... 지지판
51... 결합홀 53... 돌출부
55... 지지홈 57... 미끄럼 베어링
59... 스토퍼 60... 롤러 핀
70... 탄성부재 71... 판 접이식 스프링
80... 잠금유닛 81... 키이 몸체
82... 키이 버튼 84... 로킹 레버
87... 키이 블록

Claims (3)

  1. 동력 발생원에서 발생된 회전 동력을 동력 전달부로 전달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동력 발생원으로 전달되는 역 회전력을 저지하는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로서,
    상기 동력 발생원에 고정되며, 그 동력 발생원의 회전 동력을 복수 개의 구동 돌기들을 통해 상기 동력 전달부로 전달하는 구동 클러치;
    상기 동력 전달부를 내측에 두고 권양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 외륜;
    상기 고정 외륜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외륜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구동 돌기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그 구동 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 외륜의 내측면에 근접하는 복수 개의 피동 돌기들이 일체로 구비된 구동 내륜;
    상기 피동 돌기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 내륜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구동 돌기와 피동 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이 상기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 개의 롤러 핀들;
    상기 롤러 핀과 상기 피동 돌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 핀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판 접이식 스프링으로서의 탄성부재; 및
    상기 동력 발생원에 있어 수동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동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권양기의 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동 핸들의 회전을 푸시 버튼 타입으로서 로킹 및 언 로킹시키는 잠금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내륜은 상기 고정 외륜의 내주면을 기준으로, 상기 각 피동 돌기의 형성 부분에 직선 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구동 내륜이 끼워지는 결합홀을 지닌 링 형상에서 상기 각 직선 구간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 일정 원주 구간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롤러 핀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 내륜의 양측 외주면에 미끄럼 베어링을 통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클러치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동력 전달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 핀(shear pin)을 통하여 상기 동력 발생원에 고정되며,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단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동력 전달축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타단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구동 돌기가 일정 원주 구간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단 핀은 상기 동력 발생원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때에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KR1020130036754A 2013-04-04 2013-04-04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KR101429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754A KR101429103B1 (ko) 2013-04-04 2013-04-04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754A KR101429103B1 (ko) 2013-04-04 2013-04-04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103B1 true KR101429103B1 (ko) 2014-08-12

Family

ID=5175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754A KR101429103B1 (ko) 2013-04-04 2013-04-04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1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97B1 (ko) 2017-03-10 2018-06-22 정대렬 동력 구동 전환 제어 장치
CN112551411A (zh) * 2020-12-11 2021-03-2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一种省力且稳定的变电站电缆井排水泵升降装置
KR102567846B1 (ko) 2023-03-21 2023-08-18 박수호 비상 구동이 가능한 수문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650A (ja) 2001-08-09 2003-02-26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
KR20080085678A (ko) * 2007-03-20 2008-09-24 김이수 권양기용 양방향 라체트 브레이크 장치
KR100964740B1 (ko) 2009-11-04 2010-06-21 주식회사 광희 수문용 권양장치
KR101065780B1 (ko) 2008-12-29 2011-09-20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권양기를 이용한 수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6650A (ja) 2001-08-09 2003-02-26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
KR20080085678A (ko) * 2007-03-20 2008-09-24 김이수 권양기용 양방향 라체트 브레이크 장치
KR101065780B1 (ko) 2008-12-29 2011-09-20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권양기를 이용한 수문
KR100964740B1 (ko) 2009-11-04 2010-06-21 주식회사 광희 수문용 권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97B1 (ko) 2017-03-10 2018-06-22 정대렬 동력 구동 전환 제어 장치
CN112551411A (zh) * 2020-12-11 2021-03-2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一种省力且稳定的变电站电缆井排水泵升降装置
CN112551411B (zh) * 2020-12-11 2022-03-0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一种省力且稳定的变电站电缆井排水泵升降装置
KR102567846B1 (ko) 2023-03-21 2023-08-18 박수호 비상 구동이 가능한 수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103B1 (ko)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KR100964740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1253736B1 (ko)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KR100975954B1 (ko) 수문용 권양장치
KR100904484B1 (ko) 과부하를 차단하는 수문조작용 권양기
KR20110097538A (ko) 미닫이식 개폐수문
KR100823211B1 (ko) 수문 권양기
KR101524021B1 (ko) 비상강하장치가 구비된 전동수동겸용 수문인양장치
KR101701346B1 (ko) Compact형 수문 권양장치
KR102325195B1 (ko) 과부하 즉응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긴급차단형 수문권양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57758B1 (ko) 드럼식 권양기
KR100801559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JP6288346B2 (ja) 扉の開閉装置
KR100991199B1 (ko) 양방향 토크 조절에 의한 수문의 과부하 방지장치
KR100586435B1 (ko) 와이어로프식 다단전도수문용 권양기의 수동핸들역회전방지장치
KR101036581B1 (ko) 수문 권양기
KR20150128272A (ko) 유압 매립형 인양 수문
KR100924451B1 (ko)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KR100941329B1 (ko) 댐 수문 정비용 스톱 로그 탈부착용 크레인 지그장치
KR102227788B1 (ko) 슬라이딩형 월파방지벽
JP4855365B2 (ja) 地下構造物用転落防止装置
CA2806807A1 (en) Wind energy installation working gallery and wind energy installation
KR101031810B1 (ko) 랙크형 권양기의 구동장치
KR100480016B1 (ko) 다단식 수문용 권양장치
KR101755557B1 (ko) 3축 베벨기어를 이용한 수문 권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