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 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는 전동 모터(1000), 수동 구동부(2000), 전/수동 전환부(3000), 자중 하강부(4000), 동력 전달 기어부(5000)를 포함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전동 모터(1000), 수동 구동부(2000), 전/수동 전환부(3000), 자중 하강부(4000), 및 동력 전달 기어부(5000)를 포함하는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전/수동 전환부(3000)에서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 동력 전달부(3032),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 및 출력 축(3035)의 분해사시도이다.
동력 전달부(3032)는 중공을 가지는 두꺼운 원판의 외주면상에 두 개의 원통이 서로 대칭으로 돌출되어 구성되는 형상이며, 두 개의 돌출되는 원통은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각각의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는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 및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와 동시에 맞물리며, 출력 축(3035)은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 동력 전달부(3032), 및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의 중공을 관통하는데,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 및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와는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관통하고, 동력 전달부(3032)와는 고정 결합된다.
동력 전달은,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가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된 상태인 경우,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가 회전함에 따라서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와 맞물려 있는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하는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는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를 지지대로 하여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와 함께 회동한다. 따라서,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와 결합되어 있는 동력 전달부(3032)도 출력 축(303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동력 전달부(3032)와 고정 결합되는 출력 축(3035)도 함께 회전한다.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가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된 상태인 경우,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가 회전함에 따라서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와 맞물려 있는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하는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는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를 지지대로 하여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와 함께 회동한다. 따라서,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와 결합되어 있는 동력 전달부(3032)도 출력 축(3035)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동력 전달부(3032)와 고정 결합되는 출력 축(3035)도 함께 회전한다.
또한,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의 외측에는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와 함께 회전하도록 전동측 웜휠(3021)이 고정 결합되고,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의 외측에는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와 함께 회전하도록 수동측 기어(3022)가 고정 결합되며,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를 지나 돌출하는 출력 축(3035)의 일측에는 출력 축 기어(3023)가 고정 결합된다.
도4는 도2에서 A-A'단면을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수동 구동부(2000)의 단면도이다.
내부 축(200)은 중공 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공 축(100)의 외측은 수동측 웜휠(2043)과 고정 결합되며, 수동측 웜휠(2043)은 수동측 웜(2042)과 맞물려서 수동 휠(20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는, 전자 클러치(7000), 수동 조작부(8000), 및 원심 브레이크(9000)를 포함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전자 클러치(700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 클러치(7000)는 코일(7071), 코일 홀더(7070), 클러치(7080), 클러치 디스크(7090), 8개의 스프링(7062), 제1 마찰판 홀더(7100), 제2 마찰판 홀더(7110), 6개의 제1 마찰판(7120), 6개의 제2 마찰판(7130), 마찰판 지지대(7140), 및 커플러(7150)를 포함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코일(7071)이 구성되는 코일 홀더(707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코일 홀더(7070)는 중심에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의 외주연과 내주연에 곡선판이 수직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서, 돌출한 수직의 양 곡선판 사이에 코일(7071)이 감겨 구성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의 클러치(708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클러치(7080)는 중심에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의 외주연과 내주연에 곡선판이 수직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서, 클러치(7080) 내주연의 곡선판은 코일 홀더(7070) 내주연의 곡선판의 외측과, 그리고 클러치 외주연의 곡선판은 코일 홀더(7070) 외주연의 곡선판의 외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클러치(7080)의 중심 회전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에 원판을 관통하는 4개의 자성 차단 관통공(7081)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자성 차단 관통공(7081)은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클러치 디스크(709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클러치 디스크(7090)는 원판으로서,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그리고 서로 동일한 각도인 45°의 각도를 가지는 위 치에 8개의 스프링 홈(7091)이 형성된다. 스프링 홈(7091)이 형성되는 측의 반대 측 클러치 디스크(7090) 면에는 스프링 홈(7091)에 대응하는 위치를 따르는 원주를 따라 소정 높이의 스프링 돌출부(7092)가 형성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제1 마찰판 홀더(7100)의 단면,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마찰판 홀더(7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기둥으로서,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복수의 제1 마찰판 홀더 요부(7101)가 톱니 바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제2 마찰판 홀더(711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마찰판 홀더(7110)는 중심에 관통공을 가지는 원판의 외주연에 곡선판(7111)이 수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수직으로 돌출한 곡선판(7111)에 8개의 수직 절개부(7112)가 서로 등간격을 이루며 구성된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제1 마찰판(7120)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마찰판(7120)은 원판의 중심부가 제1 마찰판 홀더(7100) 외주연의 제1 마찰판 홀더 요부(7101)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개되어 제1 마찰판 홀더(71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제2 마찰판(7130)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마찰판(7130)은 지름이 제1 마찰판(7120)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는 원판의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지름은 제1 마찰판 홀더(7100) 외주연의 제1 마찰판 홀더 요부(2101)를 포함하는 제1 마찰판 홀더(7100)의 지름과 동일하여 제2 마찰판(7130)과 제1 마찰판 홀더(7100)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마찰판(7130)의 외면에는 제2 마찰판 요부(713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제2 마찰판 홀더(7110)에 형성되는 8개의 수직 절개부(7112)와 대응하는 크기와 위치에 톱니 바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마찰판 홀더(711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마찰판 지지대(7140)의 단면,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찰판 지지대(7140)는 원판의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으로서, 마찰판 지지대(7140)의 지름은 제1 마찰판 홀더(7100) 외주연 요부(7101)를 포함한 제1 마찰판 홀더(7100)의 지름보다 크며, 제2 마찰판 홀더(7110) 수직 돌출 곡선판(7111)의 내면까지의 지름보다 작다.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커플러(7150)의 단면,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커플러(7150)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판의 관통공을 따라 수직 곡선판이 돌출하여 형성된다.
클러치(7080), 클러치 디스크(7090), 클러치 디스크 이동 핀(7061), 8개의 스프링(7062), 제1 마찰판 홀더(7100), 제2 마찰판 홀더(7110), 6개의 제1 마찰판(7120), 6개의 제2 마찰판(7130), 마찰판 지지대(7140), 커플러(7150), 및 8개의 클러치 고정 나사(7063)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
클러치(7080)의 일면에 클러치 디스크(7090)가 위치하는데, 클러치 디스크(7090)의 스프링 홈(7091)이 형성된 면이 클러치(7080) 측을 향하고, 클러치 디스크(7090)에 형성된 8개의 스프링 홈(7091)에는 각각 한 개의 스프링(7062)이 삽입된다. 클러치 디스크(7090)의 타면에는 제1 마찰판 홀더(7100)가 위치하며, 제1 마찰판 홀더(7100)에는 6개의 제1 마찰판(7120)과 6개의 제2 마찰판(7130)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끼워진다. 이때, 제1 마찰판(7120)은 제1 마찰판 홀더(7100) 외주연의 제1 마찰판 홀더 요부(7101)와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끼워지지만, 제2 마찰판(7130)의 관통공은 요부가 없으므로 자유 회전하도록 끼워진다. 마찰판 지지대(7140)는 제1 마찰판 홀더(7100)의 일면에 위치한다.
클러치(7080), 클러치 디스크(7090), 제1 마찰판 홀더(7100), 및 마찰판 지지대(7140)는 모두 공통되는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각각 8개의 나사공이 등각도로 위치하여 형성된다. 클러치(7080), 클러치 디스크(7090), 제1 마찰판 홀더(7100), 및 마찰판 지지대(7140)의 나사공은 각각 서로 대응하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므로 마찰판 지지대(7140)로부터 삽입되는 8개의 클러치 고정 나사(7063)에 의하여 모두 결합된다. 또한, 클러치 디스크(7090)에 형성되는 8개의 나사공은 다른 나사공들보다 더욱 큰 지름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관 형상의 클러치 디스크 이동 핀(7061)이 삽입되는데, 클러치 디스크 이동 핀(7061)의 외주연은 클러치 디스크(7090)의 나사공에 밀착되고, 내주연은 클러치 고정 나사(7063)와 밀착된다. 이때, 클러치 디스크 이동 핀(7061)의 높이는 클러치 디스크(7090)의 두께보다 크고, 이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7090)는 클러치(7080)와 제1 마찰판 홀더(7100) 사이에서 클러치 디스크 이동 핀(7061)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제2 마찰판 홀더(7110)는 마찰판 지지대(7140) 측으로부터 제1 마찰판 홀더(7100)와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을 감싸면서 끼워지는데, 제2 마찰판(7130)의 외주연에 형성된 8개의 제2 마찰판 요부(7131)가 제2 마찰판 홀더(7110)의 8개의 수직 절개부(7112)에 끼워진다. 또한, 커플러(7150)는 제2 마찰판 홀더(7110)와 고정 결합된다.
수동 조작부(4000)는 푸쉬링 부(8160)와 수동 레버부(8180)로 구성되며, 푸쉬링 부(8160)는 푸쉬링(8161), 2개의 출력 롤러(8172), 2개의 출력 롤러 핀(8171), 및 푸쉬링 지지핀(8170)을 포함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의 푸쉬링 부(8160)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푸쉬링(8161)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판으로서 외주연에는 소정의 지름과 깊이를 가지는 제1 홈(8162)이 외주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고무링의 삽입을 위한 제2 홈(8163) 또한 외주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푸쉬링(8161)의 일측에는 푸쉬링(816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제1 홈(8162)을 관통하는 푸쉬링 지지핀 관통공(8164)이 형성 되고, 푸쉬링(816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푸쉬링(816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제1 홈(8162)을 관통하는 2개의 출력 롤러 핀 관통공(8165)이 형성되는데, 2개의 출력 롤러 핀 관통공(8165)은 푸쉬링(816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푸쉬링 지지핀 관통공(8164)과 90°의 각도를 이루어 위치한다.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의 푸쉬링 지지핀(8170), 출력 롤러 핀(8171), 및 출력 롤러(8172)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푸쉬링 지지핀(8170)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두 개의 원기둥이 결합된 형상으로서 더욱 큰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측 일단이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푸쉬링(8161)의 외주연 측으로부터 푸쉬링 지지핀 관통공(8164)과 고정 결합된다. 출력 롤러 핀(8171)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세 개의 원기둥이 지름 크기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결합된 형상이며, 출력 롤러(8172)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이다. 출력 롤러(8172)는 출력 롤러 핀(8171)에 의해서 푸쉬링(8161)의 내주연으로부터 출력 롤러 핀 관통공(8165)에 결합되는데, 출력 롤러 핀(8171) 상에서 자유 회전 하도록 결합되며, 출력 롤러(8172)의 관통공에는 출력 롤러 핀(8171)의 형상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출력 롤러 핀(817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수동 레버부(8180)의 정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수동 레버부(8180)는 수동 레버(8211), 하우징(8200), 하우징 커버(8210), 입력부(8190), 입력 롤러(8182), 입력 롤러 핀(8181), 푸쉬 버튼(8186), 푸쉬 로드(8185), 푸쉬 로드 스프링(8184), 및 스토퍼(8183)를 포함한다.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입력부(8190)의 정면, 측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부(8190)는 지름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원기둥이 결합된 형상이고, 지름이 큰 원기둥에는 외주연으로부터 중심 축을 지나고 소정 깊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푸쉬 로드 홈(8192)이 형성된다. 또한, 지름이 큰 원기둥 외주연에는 원통 형상 홈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 깊이와 길이를 가지는 스토퍼 홈(8193)이 형성된다. 지름이 큰 원기둥의 하면에는 소정 깊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의 입력 롤러 핀 홈(8191)이 형성되는데, 지름이 큰 원통의 중심 회전 축과 편향되어, 즉 중심 회전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하우징(8200)의 정면, 및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7을 참고하면 입력부(8190)는 하우징(8200) 내측에서 하우징(820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우징(8200) 측면의 스토퍼 관통공(8203)을 통하여 하우징(8200)의 내측으로 삽입 돌출되는 스토퍼(8183)가 구성되는데, 입력부(819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스토퍼 홈(8193)과 맞물려서 입력부(819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저지한다. 하우징(8200)의 일측에는 입력부(8190)에 형성되는 푸쉬 로드 홈(8192)과 대응하여 통하도록 푸쉬 버튼 관통공(8201)이 형성되는데, 푸쉬 로드 홈(8192) 내측으로부터 푸쉬 로드 스프링(8184), 및 푸쉬 로드(8185)가 위치하고, 푸쉬 버튼 관 통공(8201)에는 푸쉬 버튼(8186)이 푸쉬 로드(8185)와 맞닿아 위치한다. 하우징(8200) 내측을 향하는 푸쉬 버튼(8186)의 일측에는 나사 머리 형상의 돌출부(8187)가 형성되고, 푸쉬 버튼 관통공(8201)의 일측에는 푸쉬 버튼(8186)의 나사 머리 형상의 돌출부(8187)에 대응하는 나사 머리 걸림턱(8202)이 형성된다. 이때, 나사 머리 걸림턱(8202)의 깊이는 푸쉬 버튼(8186)의 나사 머리 형상의 돌출부(8187) 두께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푸쉬 버튼 스프링(8184)에 의한 장력을 받은 푸쉬 로드(8185)의 일부가 하우징(8200)의 푸쉬 버튼 관통공(8201)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입력부(8190)는 푸쉬 로드(8185)가 하우징(8200)의 푸쉬 버튼 관통공(8201)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하우징(8200)에 대한 회전 운동이 불가능하며, 하우징(8200)의 외측으로부터 푸쉬 버튼(8186)을 밀어서 푸쉬 로드(8185)를 하우징(8200)의 푸쉬 버튼 관통공(8201)으로부터 이탈 시킨 후에 하우징(8200)에 대한 입력부(8190)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입력 롤러 핀(8181)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가지는 세 개의 원기둥이 지름 크기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결합된 형상이며, 입력 롤러(8182)는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이다. 입력 롤러(8182)는 입력 롤러 핀(8181)에 의해서 입력 롤러 핀 홈(8191)에 결합되는데, 입력 롤러 핀(8181) 상에서 자유 회전 하도록 결합되며, 입력 롤러(8182)의 관통공에는 입력 롤러 핀(8181)의 형상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입력 롤러 핀(818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하우징 커버(8210)와 수동 레버(8211)의 정면, 및 하우징 커버(8210)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우징(8200)으로부터 돌출되는 입력부(8190)는 하우징 커버(8210)와 핀 결합되며, 하우징 커버(8210)의 외측에는 수동 레버(8211)가 고정 결합된다.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푸쉬링 조절핀(8220)의 평면, 정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푸쉬링 조절핀(8220)은 원기둥 형상으로 일단에는 푸쉬링 조절핀(8220)의 회전 중심축에 편향된 위치에 푸쉬링 지지핀 홈(82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드라이버의 삽입이 가능한 드라이버 홈(82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는 자중 하강부 케이스(4001) 내측에 코일 홀더(7070)가 고정 결합되고, 코일(7071)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며, 클러치 디스크(7090), 제1 및 제2 마찰판 홀더(7100, 7110),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 마찰판 지지대(7140), 및 커플러(7150)가 결합되는 클러치(7080) 내측으로 코일 홀더가 삽입된다. 중공 축(1010)은 클러치(7080)의 관통공까지 삽입되어 클러치(7080)와 핀 결합되고, 중공 축(1010)보다 더욱 연장되는 내부 축(1011)은 클러치 디스크(7090), 제1 마찰판 홀더(7100), 마찰판 지지대(7140), 및 커플러(7150)의 관통공을 지나도록 삽입되어 커플러(7150)와 핀결합한다. 또한, 커플러(7150)를 지나 돌출되는 내부 축(1011)의 일단은 원심 브레이크(3000)와 핀 결합한다.
즉, 클러치(7080), 클러치 디스크(7090), 제1 마찰판(7120), 제1 마찰판 홀 더(7100), 및 마찰판 지지대(7140)는 중공 축(1010)과 함께 회전 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제2 마찰판(7130), 제2 마찰판 홀더(7110), 커플러(7150), 및 원심 브레이크(3000)는 내부 축(101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수동 레버부(8180)의 하우징(8200)은 자중 하강부 케이스(4001)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푸쉬링 조절핀(8220)은 자중 하강부 케이스(4001)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푸쉬링 부(8160)의 푸쉬링 지지핀(8170)은 푸쉬링 조절핀(8220)의 푸쉬링 지지핀 홈(8221)과 자유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수동 레버부(8180)의 입력 롤러(8182)는 푸쉬링(8161)의 제1 홈(8162)에 자유 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푸쉬링 부(8160)의 2개의 출력 롤러(8172)는 클러치 디스크(7090)로부터 제1 마찰판 홀더(7100) 측 방향에 위치하고, 제2 홈(8163)에는 고무링이 구성되어 자중 하강부 케이스(4001) 내측으로부터 푸쉬링(8161)을 지지한다. 이때, 푸쉬링 조절핀(8220)은 푸쉬링(8161)과 결합하는 푸쉬링 지지핀(8170)을 지지함과 동시에 푸쉬링(8161)의 정밀한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푸쉬링 지지핀 홈(8221)은 푸쉬링 조절핀(8220)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편향되어 위치하므로, 드라이버를 드라이버 홈(8222)에 삽입하여 푸쉬링 조절핀(8220)을 회전시키면, 푸쉬링 지지핀(8170)은 편심 회전 운동하고, 푸쉬링 지지핀(8170)과 일체로 결합된 푸쉬링(8161)은 제1 홈(8162)에 끼워진 입력 롤러(8182)를 지지축으로하여 전후로 각회전 이동한다. 푸쉬링(8161)의 바람직한 위치는 클러치 디스크(7090)와 접하는 2개의 푸쉬링 출력 롤러(8172)가 클러치 디스크(7090)의 스프링(7062) 장력에 반하 여 클러치 디스크(7090)를 클러치(7080) 측으로 밀지 않는 정도의 위치이다.
동력 전달 기어부(5000)는 출력 축 기어(3023)와 맞물려 회동하는 제1 기어(5001), 제1 기어(5001)와 일체로 회동하는 제2 기어(5002), 제2 기어(5002)와 맞물려 회동하는 제3 기어(5003), 제3 기어(5003)와 연동 축(5010)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4 기어(5004) 및 제5 기어(5005), 제4 기어(5004)와 맞물려 회동하는 제6 기어(5006), 제5 기어(5005)와 맞물려 회동하는 제7 기어(5007)를 포함한다. 제5 기어(5005)는 제1 피니언(5008)과 축 결합하고, 제7 기어(5007)는 제2 피니언 기어(5009)와 축 결합하며, 제1 피니언(5008)과 제2 피니언(5009)은 수문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래크(5011)와 각각 맞물린다. 따라서, 제1 기어(5001)로 전달되는 출력 축 기어(3023)의 회전력은 동력 전달 기어부(5000)를 통하여 전달되고, 제1 및 제2 피니언(5008, 5009)을 회전시켜 래크(5011)를 이동시킴으로써 수문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다.
전제 구성은, 전동 모터(1000)의 회전 축에 구성되는 웜(도시되지 않음)이 전/수동 전환부의 전동측 웜휠(3021)과 맞물리고, 전/수동 전환부(3000)의 출력 축 기어(3023)는 동력 전달 기어부(5000)의 제1 기어(5001)와 맞물리며, 내부 축(200)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는 내부 축 기어(201)는 전/수동 전환부(3000)의 수동측 기어(3022)와 맞물린다. 또한 전/수동 전환부(3000)에는 카운터 리미트 스위치부(3024)가 구성되어 출력 축(3035)의 회전에 따른 수문의 상승 및 하강 정 도를 검출하고, 과부하 검출부(3025)가 구성되어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작동시의 과부하를 검출한다. 카운터 리미트 스위치부(3024)와 과부하 검출부(3025)의 원리와 구성은 이미 널리 주지된 관용 기술에 불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작동 과정은 다음 네 가지로 구분된다. ①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이 서로 고정 결합되는 상태에서 전동 모터(1000)를 구동하는 경우. ②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이 서로 고정 결합되는 상태에서 수동 휠(2041)을 구동하는 경우, ③ 수문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코일(7071)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 및 ④ 수문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동 조작부(2000)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이다.
①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이 서로 고정 결합되는 상태에서 전동 모터(1000)를 구동하는 경우.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이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마찰판 및 제2 마찰판(7120, 7130)과 각각 기계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중공 축(100)과 내부 축(200)도 함께 회동하도록 서로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중공 축(100)은 수동측 웜(2042)과 수동측 웜휠(2043)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도록 구속되어 있으므로, 내부 축(200) 또한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이에 따라 내부 축 기어(201), 수동측 기어(3022), 및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 또한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전동 모터(1000)를 구동하면, 전동 모터(1000) 회전 축과 결합되어 있는 전동측 웜(도시되지 않음)이 함께 회전하고, 전동측 웜휠(3021)이 웜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는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는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와 함께 회동하고, 동력 전달부(3032), 및 동력 전달부(3032)와 고정 결합된 출력 축(3035) 또한 회전한다. 출력 축(3035)의 출력 축 기어(3023)의 회전력은 동력 전달 기어부(5000)로 전달되어 래크(5011)를 이동시키고, 수문을 상승시킨다.
반대로, 전동 모터(1000)를 구동하여 수문을 하강시키는 경우는 전동 모터(1000)의 구동 방향을 반대로 하여 역회전력을 가하며 작동 과정은 수문을 상승시키는 경우와 대동소이하다.
②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이 서로 고정 결합되는 상태에서 수동 휠(2041)을 구동하는 경우.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이 고정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마찰판 및 제2 마찰판(7120, 7130)과 각각 기계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중공 축(100)과 내부 축(200)도 함께 회동하도록 서로 고정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전동 모터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로부터 전동측 웜휠(3021)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전동측 웜에 의해 저지되므로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는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수동 휠(2041)을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수동측 웜(2042)에 의해 수동측 웜휠(2043)과 중공 축(10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내부 축(200)과 내부 축 기어(201)가 회전한다. 내부 축 기어(201)가 회전함에 따라 수동측 기어(3022)와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도 회전하는데, 이때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는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는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와 함께 회동하고, 동력 전달부(3032), 및 동력 전달부(3032)와 고정 결합된 출력 축(3035) 또한 회전한다. 출력 축(3035)의 출력 축 기어(3023)의 회전력은 동력 전달 기어부(5000)로 전달되어 래크(5011)를 이동시키고, 수문을 상승시킨다.
반대로, 수동 휠(2041)을 구동하여 수문을 하강시키는 경우는 수동 휠(2041)의 구동 방향을 반대로 하여 역회전력을 가하며 작동 과정은 수문을 상승시키는 경우와 대동소이하다.
③ 수문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코일(7071)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
수문이 상승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문의 자중에 의하여 래크(5011)는 힘을 받게되고, 이 힘은 래크(5011)와 제1 및 제2 피니언(5008, 5009)에 의해 회전력으로 변환되며, 동력 전달 기어부(5000)를 통해 전달되어 출력 축 기어(3023)에 회전력을 가한다. 이때, 전동 입력 베벨 기어(3031)는 전동측 웜과 전동측 웜휠(3021)에 의해 고정되고,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는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수동측 웜(2042)과 수동측 웜휠(2043)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 서,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와 동력 전달부(3032) 및 출력 축(3035)은 회전이 불가능하고, 출력 축(3035)과 고정 결합된 출력 축 기어(3023) 또한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수문은 하강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코일(7071)에 전압을 인가하면 클러치(7080)는 자성을 띄게 되고, 클러치 디스크(7090)는 자기력에 의하여 클러치(7080)에 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7090)로부터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고, 압착 고정되어 있던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은 서로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마찰판(713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축(200)은 중공 축(100)의 고정 여부와 무관하게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내부 축 기어(201), 수동측 기어(3022),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 동력 전달부(3032), 출력 축(3035), 및 출력 축 기어(3023)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수문측으로부터 출력 축 기어(3023)로 전달되는 수문 자중에 의한 회전력을 구속하던 구속력은 해제되고 수문은 자유 하강한다.
이때, 수문의 하강에 의한 내부 축(200)의 회전 속도가 너무 높아지는 경우, 내부 축(200)에 구성되는 원심 브레이크(9000)에 의하여 회전 속도가 제어됨으로써, 수문의 하강 속도는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클러치(7080) 외주연의 곡선판 측과 클러치(7080) 내주연의 곡선판 측은 4개의 자성 차단 관통공(7081)의 면적만큼 분리되어 있으므로, 코일(7071)의 자기장에 의해 클러치(7080) 내주연의 곡선판이 띄게 되는 자성은 클러치(7080) 외주연의 곡선판 측으로 일부만 전달된다. 따라서, 자기력의 손실을 최대한 막을 수 있 고, 클러치(7080) 내주연의 곡선판 측에서 더욱 강한 힘으로 클러치 디스크(7090)를 당길 수 있다. 이때, 제1 마찰판 홀더(7120), 클러치 디스크 이동핀(7061), 및 클러치 고정 나사(7063)는 자성을 띄지 않는 STS304 또는 STS316의 재질로 구성되어 자기력의 손실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비자성이고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는 금속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④ 수문이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동 조작부(2000)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
수동 레버부(8180)의 입력부(8190)는 하우징(8200)의 푸쉬 버튼 관통공(8201)에 일부 삽입되는 푸쉬 로드(8185)에 의하여 하우징(8200)과 서로 회전 불가능하므로, 푸쉬 버튼(8186)을 눌러서 푸쉬 로드(8185)를 푸쉬 버튼 관통공(8201)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수동 레버(8211)를 회전시킨다. 수동 레버(8211)를 회전시킴에 따라 수동 레버(8211)와 고정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8210)가 회전하고, 하우징 커버(8210)와 고정 결합되는 입력부(8190)도 함께 회전한다. 입력부(8190)의 하부에 구성된 입력 롤러(8182)는 입력부(8190)의 회전 축에 편향되어 위치하므로 푸쉬링(8161)의 제1 홈(8162)을 따라 이동하면서 푸쉬링(8162)을 클러치 디스크(709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푸쉬링(8162)은 푸쉬링 지지핀(8170)에 의해 지지되므로 푸쉬링(8162)은 푸쉬링 지지핀(8170)을 축으로 하여 각 회전한다. 푸쉬링(8162)이 각 회전함에 따라 푸쉬링(8162)에 구성되는 2개의 출력 롤러(8172)는 클러치 디스크(7090)에 압력을 가하고, 클러치 디스크(7090)는 코일(7071)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클러치(7080)에 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7090)로부터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고, 압착되어 있던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은 서로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마찰판(713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내부 축(200)은 중공 축(100)의 고정 여부와 무관하게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내부 축 기어(201), 수동측 기어(3022), 수동 입력 베벨 기어(3034), 동력 전달 베벨 기어(3033), 동력 전달부(3032), 출력 축(3035), 및 출력 축 기어(3023)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수문측으로부터 출력 축 기어(3023)로 전달되는 수문 자중에 의한 회전력을 구속하던 구속력은 해제되고 수문은 자유 하강한다.
이때, 수문의 하강에 의한 내부 축(200)의 회전 속도가 너무 높아지는 경우, 내부 축(200)에 구성되는 원심 브레이크(9000)에 의하여 회전 속도가 제어됨으로써, 수문의 하강 속도는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입력부(8190)는 스토퍼(8183)와 스토퍼 홈(8193)에 의하여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입력부(8190)에 무리한 회전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 성능에 따라 제1 및 제2 마찰판(7120, 7130)의 개수와 클러치 디스크(7090)에 구성되는 스프링(7062)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원격 제어부와 배터리를 추 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코일(7071)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자 클러치(7000)를 조작함으로써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에 접근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수문을 자동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폭우, 낙뢰, 하천 범람 시에 감전이나 홍수로 인한 인명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현장 접근이 필요없으므로 매우 안전하고, 침수 피해를 신속히 막을 수 있으며, 정전시에도 수문을 하강 시킬 수 있으므로 비상 상황에 대한 대처가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한편, 배터리와 원격 제어부에 대한 구성은 이미 널리 주지된 관용기술에 불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전/수동 전환부(3000)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도2에서 A-A'단면을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수동 구동부(2000)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전자 클러치(700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코일(7071)이 구성되는 코일 홀더(707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의 클러치(708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클러치 디스크(709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 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제1 마찰판 홀더(7100)의 단면,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제2 마찰판 홀더(7110)의 단면, 정면의 일부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제1 마찰판(7120)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제2 마찰판(7130)의 단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마찰판 지지대(7140)의 단면, 및 배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커플러(7150)의 단면,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의 푸쉬링 부(8160)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의 푸쉬링 지지핀(8170), 출력 롤러 핀(8171), 및 출력 롤러(8172)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수동 레버부(8180)의 정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입력부(8190)의 정면, 측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하우징(8200)의 평면, 및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하우징 커버(8210)와 수동 레버(8211)의 정면, 및 하우징 커버(8210)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및
도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의 자중 하강부(4000)의 푸쉬링 조절핀(8220)의 평면, 정면, 및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중공 축 200: 내부 축
1000: 전동 모터 2000: 수동 구동부
3000: 전/수동 전환부 4000: 자중 하강부
5000: 동력 전달 기어부 7000: 전자 클러치
8000: 수동 조작부 9000: 원심 브레이크
7070: 코일 홀더 7080: 클러치
7090: 클러치 디스크 7100: 제1 마찰판 홀더
7110: 제2 마찰판 홀더 7120: 제1 마찰판
7130: 제2 마찰판 7140: 마찰판 지지대
7150: 커플러 8160: 푸쉬링 부
8180: 수동 레버부 8190: 입력부
8200: 하우징 8210: 하우징 커버
8220: 푸쉬링 조절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