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451B1 -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Google Patents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4451B1 KR100924451B1 KR1020080114117A KR20080114117A KR100924451B1 KR 100924451 B1 KR100924451 B1 KR 100924451B1 KR 1020080114117 A KR1020080114117 A KR 1020080114117A KR 20080114117 A KR20080114117 A KR 20080114117A KR 100924451 B1 KR100924451 B1 KR 1009244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nual
- bevel gear
- friction plate
- electric
- fo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5)
- 삭제
- 전동부에 의한 전동력 또는 수동 구동부에 의한 수동력으로 수문을 조작하는 권양기에 있어서,상기 전동력으로 상기 수문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수동 구동부에 연결되는 중공 축은 상기 자중 하강부의 제1 마찰판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제2 마찰판과 상기 제1 마찰판은 상호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중공 축이 상기 수동 구동부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 마찰판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내부 축이 고정되고, 상기 전동력이 전달되는 전동 입력 베벨 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내부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수동 입력 베벨 기어를 따라 회동하는 동력 전달 베벨 기어에 전달하며, 상기 동력 전달 베벨 기어는 출력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출력 축에 연결되는 상기 수문은 상기 출력 축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고;상기 수동력으로 상기 수문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수동 구동부에 연결되는 상기 중공 축은 상기 자중 하강부의 상기 제1 마찰판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마찰판과 상기 제1 마찰판은 상호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중공 축이 상기 수동 구동부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마찰판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상기 내부 축이 회전하고, 상기 내부 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수동 입력 베벨 기어의 회전력을,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상기 전동 입력 베벨 기어를 따라 회동하는 상기 동력 전달 베벨 기어에 전달하며, 상기 동력 전달 베벨 기어는 상기 출력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문이 승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마찰판과 상기 제2 마찰판은 상기 상호 마찰력에 의한 고정으로부터 수동 또는 자동으로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축이 자유 회전하는 경우, 상기 내부 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원심 브레이크가 상기 내부 축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1 마찰판과 상기 제2 마찰판은, 상용 전원의 정전 시 배터리를 이용하는 원격 제어에 의해 상기 상호 마찰력에 의한 고정으로부터 자동으로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전동 입력을 위한 전동기;전동 또는 수동 입력의 선택 전환을 위한 전/수동 전환부;수동 입력을 위한 수동 구동부; 및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마찰판, 상기 제1 마찰판 측면에서 전후 이동 가능한 클러치 디스크, 상기 제1 마찰판과 마주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마찰판, 상기 제1 마찰판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수동 구동부로부터 수동력이 전달되는 중공 축, 및 상기 제2 마찰판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로부터 전동력이 전달되는 내부 축을 가지는 자중 하강부를 포함하고,상기 클러치 디스크는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을 압착시키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에 의한 압착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은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수동 전환부는,상기 전동기 측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 축;상기 회전 축의 회전력을 전동 입력 베벨 기어측으로 일방향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상기 전동 입력 베벨 기어 및 상기 수동 입력 베벨 기어와 맞물려서 회동하기 위한 동력 전달 베벨 기어; 및상기 전동 입력 베벨 기어, 또는 상기 수동 입력 베벨 기어의 회전력을 출력 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상기 회전 축에 구성되는 웜; 및상기 웜과 맞물리고, 상기 웜의 회전력을 상기 전동 입력 베벨 기어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웜 휠을 포함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구동부는,수동 휠;상기 수동 휠에 구성되는 웜; 및상기 웜과 맞물리고, 상기 웜의 회전력을 상기 중공 축에 전달하기 위한 웜 휠을 포함하고,상기 수동 휠의 회전력을 상기 수동 입력 베벨 기어측으로 일방향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중공을 가지는 원판; 및상기 동력 전달 베벨 기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원판의 외주면 상에 구성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동력 전달 베벨 기어 축을 포함하고,상기 원판은 상기 중공에 의해 상기 출력 축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전동 입력 베벨 기어, 또는 상기 수동 입력 베벨 기어에 의해 상기 동력 전달 베벨 기어가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출력 축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 하강부는,상기 클러치 디스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마찰판과 마주하여 위치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일을 더 포함하고,상기 클러치 디스크가 상기 자기력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 하강부는,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 레버부; 및상기 수동 레버부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동 레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를 상기 탄성 부재의 압력에 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클러치 디스크에 연결되는 푸쉬링 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수동 레버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푸쉬링 부가 상기 클러치 디스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마찰판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 하강부는,상기 내부 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 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원심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제12항에 있어서,상용 전원의 정전시 원격지에서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117A KR100924451B1 (ko) | 2008-11-17 | 2008-11-17 |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14117A KR100924451B1 (ko) | 2008-11-17 | 2008-11-17 |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24451B1 true KR100924451B1 (ko) | 2009-11-03 |
Family
ID=4156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14117A Active KR100924451B1 (ko) | 2008-11-17 | 2008-11-17 |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445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5016B1 (ko) | 2010-09-29 | 2010-12-30 | (유)신일 | 수문용 권양장치 |
CN110092304A (zh) * | 2019-06-04 | 2019-08-06 | 河南省远征起重机械有限公司 | 一种公路、桥梁防护栏的专用起吊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0995A (ko) * | 2004-09-02 | 2006-03-07 | 오성산업 (주) | 전동 및 수동 전환용 전자클러치를 채용한 권양기 |
KR20060064706A (ko) * | 2004-12-09 | 2006-06-14 | 김상국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KR20070053928A (ko) * | 2005-11-22 | 2007-05-28 | 윤길중 | 수문 개폐장치 |
KR20080085675A (ko) * | 2007-03-20 | 2008-09-24 | 김이수 | 권양기용 전/수동 전환 장치 |
-
2008
- 2008-11-17 KR KR1020080114117A patent/KR10092445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0995A (ko) * | 2004-09-02 | 2006-03-07 | 오성산업 (주) | 전동 및 수동 전환용 전자클러치를 채용한 권양기 |
KR20060064706A (ko) * | 2004-12-09 | 2006-06-14 | 김상국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KR20070053928A (ko) * | 2005-11-22 | 2007-05-28 | 윤길중 | 수문 개폐장치 |
KR20080085675A (ko) * | 2007-03-20 | 2008-09-24 | 김이수 | 권양기용 전/수동 전환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5016B1 (ko) | 2010-09-29 | 2010-12-30 | (유)신일 | 수문용 권양장치 |
CN110092304A (zh) * | 2019-06-04 | 2019-08-06 | 河南省远征起重机械有限公司 | 一种公路、桥梁防护栏的专用起吊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7758B1 (ko) | 드럼식 권양기 | |
KR102325195B1 (ko) | 과부하 즉응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긴급차단형 수문권양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0924451B1 (ko) |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 |
JP2021014771A (ja) | 道路交通検査の遮断装置 | |
KR101253736B1 (ko) | 수문권양기용 비상강하장치 | |
KR101642040B1 (ko) | 수문권양기 및 이의 작동방법 | |
KR102013720B1 (ko) | 수문 권양장치 | |
KR101762566B1 (ko) | 수문 개폐 제어장치 | |
KR101893760B1 (ko) | 수문용 권양기 | |
KR100823211B1 (ko) | 수문 권양기 | |
KR100904484B1 (ko) | 과부하를 차단하는 수문조작용 권양기 | |
KR101064629B1 (ko) | 권양기용 수문 자중 강하 장치 | |
KR100647425B1 (ko)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
KR100570703B1 (ko) | 권양기 과부하 방지용 안전장치 | |
JP2003139267A (ja) | 負荷体駆動装置 | |
KR101112036B1 (ko) | 권양기용 수문 개폐 입력 장치 | |
KR20140065993A (ko) | 고효율 펌프 게이트 장치 | |
KR101429103B1 (ko) | 수문 권양기용 양방향 브레이크 장치 | |
KR100801559B1 (ko) |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 |
KR102280143B1 (ko) | 권양기용 자중 강하 속도 제어장치 | |
KR101036581B1 (ko) | 수문 권양기 | |
KR102741799B1 (ko) | 원격제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권양기 | |
KR101031810B1 (ko) | 랙크형 권양기의 구동장치 | |
KR200313349Y1 (ko) | 수문권양기의 브레이크장치 | |
KR200380457Y1 (ko) |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4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9102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120209 Decision date: 20120723 Appeal identifier: 2012100000355 |
|
J121 |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 ||
PJ1201 | Withdrawal of trial |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120723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2100000355 Request date: 2012020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12072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