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559B1 -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559B1
KR100801559B1 KR1020070012850A KR20070012850A KR100801559B1 KR 100801559 B1 KR100801559 B1 KR 100801559B1 KR 1020070012850 A KR1020070012850 A KR 1020070012850A KR 20070012850 A KR20070012850 A KR 20070012850A KR 100801559 B1 KR100801559 B1 KR 10080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anual
shaft
main body
water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용희
문현욱
문상욱
Original Assignee
(유)신안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안산업개발 filed Critical (유)신안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07001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 감속기(A)와, 상기 주 감속기(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보조 감속기(B)와, 상기 보조 감속기(B)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로킷의 회전으로 맞물려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래크바(C)와, 상기 래크바(C)의 하부에 형성된 수문(D)에 있어서, 상기 주 감속기(A)의 상부에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방에 설치하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21)가 구비된 구동모터(12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 후방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외경에는 요철부(13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동축(130)과, 상기 구동축(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121)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기어(132)와, 상기 구동축(130)의 외경에 헛돌도록 헐거운 결합을 하되 일측에는 1단 기어(133)를 부설하고 타측에는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134a)를 구비한 2단 기어(134)와, 구동수단(137)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상기 요철부(131)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측에는 상기 걸림 돌기(134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 돌기(136a)를 구비한 이동드럼(136)과, 상기 2단 기어(134)와 이동드럼(136)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 돌기(134a,136a)를 탄성력에 의해서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스프링(135)과,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전 방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외경에는 요철부(14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140)과, 구동수단(144)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상기 요철부(141)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측에는 2단 변속기어(143)를 형성한 1단 변속기어(142)와, 상기 회전축(140)의 일측에 형성된 전달기어(145)와, 상기 회전축(140)의 일측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주 감속기(A)에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킷(146)과,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일측에는 상기 전달기어(145)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기어(151)가 구비된 수동축(150)과, 상기 수동축(150)의 외경에 결합하되 일측에 돌출되는 걸림 돌기(152a)를 구비한 클러치(152)와, 상기 수동축(150)과 헛돌도록 헐거운 결합을 하되 상기 걸림 돌기(152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걸림 돌기(154a)를 구비한 수동핸들(154)과, 상기 클러치(152)와 수동핸들(154)의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켜 자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 돌기(152a,154a)가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수동핸들(15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153)으로 구성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상황에 따라서 수문의 개폐속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권양기, 수문, 감속기, 자동, 수동, 다단, 변속, 속도, 조절, 장치

Description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A transmission water gate with automatic and manual}
도 1 - 종래 권양기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2 - 본 발명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
리 사시도.
도 3 - 본 발명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
합 사시도.
도 4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 -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7 또는 도 8 - 본 발명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의 변속상태를 나
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9 또는 도 10 - 본 발명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의 자동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11 - 본 발명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의 수동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12 - 본 발명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종래 수문구동장치
100: 본 발명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110: 본체 111: 커버
120: 구동모터 121: 구동기어
130: 구동축 131: 요철(凹凸)부
132: 회전기어 133: 1단 기어
134: 2단 기어 134a: 걸림 돌기
135: 스프링 136: 이동드럼
136a: 걸림 돌기 137: 구동수단
137a: 솔레노이드 137b: 홀더
140: 회전축 141: 요철부
142: 1단 변속기어 143: 2단 변속기어
144: 구동수단 144a: 솔레노이드
144b: 홀더 145: 전달기어
146: 스프로킷
150: 수동축 151: 수동기어
152: 클러치 152a: 걸림 돌기
153: 스프링 154: 수동핸들
154a: 걸림 돌기 155: 이탈방지구
156: 체결구
A: 주 감속기 B: 보조 감속기
C: 래크바(Rack bar) D: 수문
본 발명은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문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상황에 따라서 수문의 개폐속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의 댐 및 저수지에는 수자원의 저장 및 배출을 위한 수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문의 일측에는 상부와 하부방향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권양기가 구비된다.
전술한 권양기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구동장치(10)와, 상기 수문구동장치(10)의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주 감속기(A)와, 상기 주 감속기(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보조 감속기(B)와, 상기 보조 감속기(B)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로킷의 회전으로 맞물려 상 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래크바(C)와, 상기 래크바(C)의 하부에 설치된 수문(D)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수문구동장치(10)의 구동력이 주 감속기(A)와 보조 감속기(B)에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래크바(C)를 승,하강시켜 수문(D)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문구동장치(10)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작동시키는 수동방식과, 모터를 사용하는 전동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근래에는 수문이 설치된 농촌 및 어촌지역의 평균연령이 높아지면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해서 자동 및 수동을 겸용할 수 있는 수문구동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나, 종래의 수문구동장치는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이로 인해 사용자들이 점차 외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종래의 수문구동장치는 단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는 작업상황에 따라서 수문의 개폐속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수단도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결국 사용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상황에 따라서 수문을 자동 및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 도록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문의 개폐속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100)는 주 감속기(A)와, 상기 주 감속기(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보조 감속기(B)와, 상기 보조 감속기(B)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로킷의 회전으로 맞물려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래크바(C)와, 상기 래크바(C)의 하부에 형성된 수문(D)에 있어서,
상기 주 감속기(A)의 상부에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방에 설치하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21)가 구비된 구동모터(12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 후방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외경에는 요철부(13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동축(130)과, 상기 구동축(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121)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기어(132)와, 상기 구동축(130)의 외경에 헛돌도록 헐거운 결합을 하되 일측에는 1단 기어(133)를 부설하고 타측에는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134a)를 구비한 2단 기어(134)와, 구동수단(137)의 작동으로 상기 요철부(131)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측에는 상기 걸림 돌기(134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 돌기(136a)를 구비한 이동드럼(136)과, 상기 2단 기어(134)와 이동드럼(136)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 돌기(134a,136a)를 탄성력에 의해서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스프링(135)과,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전 방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외경에는 요철부(14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140)과, 구동수단(144)의 작동으로 상기 요철부(141)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측에는 2단 변속기어(143)를 형성한 1단 변속기어(142)와, 상기 회전축(140)의 일측에 형성된 전달기어(145)와, 상기 회전축(140)의 일측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주 감속기(A)에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킷(146)과,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일측에는 상기 전달기어(145)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기어(151)가 구비된 수동축(150)과, 상기 수동축(150)의 외경에 결합하되 일측에 돌출되는 걸림 돌기(152a)를 구비한 클러치(152)와, 상기 수동축(150)과 헛돌도록 헐거운 결합을 하되 상기 걸림 돌기(152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걸림 돌기(154a)를 구비한 수동핸들(154)과, 상기 클러치(152)와 수동핸들(154)의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켜 자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 돌기(152a,154a)가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수동핸들(154)의 회전을 방 지하기 위한 스프링(153)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갖으며, 상부에는 유지보수 및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커버(111)를 형성하였으며, 특히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는 상기 구동축(130), 회전축(140), 수동축(150)과의 원활한 회전력을 확보하기 위한 공지의 베어링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은 본 발명의 설치위치가 습기가 많은 환경임을 감안할 경우 물리적인 하중을 지지함은 물론 습기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수밀성이 양호한 베어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20)는 공지의 감속모터 및 표준모터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작업환경에 따라서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하며 특히 전원이 차단될 경우 공회전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기어(121)는 구동모터(120)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회전력을 상기 회전기어(132)에 전달하여 상기 구동축(1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121)와 회전기어(132)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기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효율적인 공간배치와 정확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베벨기어(Bevel gear)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부(131)는 상기 이동드럼(136)을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137)의 작동으로 상기 이동드럼(136)이 요철부(131)의 표 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131)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회전력을 상기 이동드럼(136)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 상기 요철부(131)의 형상 및 구조는 공지의 스플라인, 세레이션, 키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1단 기어(133)와 2단 기어(134)는 상기 구동축(130)과 서로 헛돌도록 헐거운 결합이 되는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을 자동으로 개폐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137)의 전진작동으로 상기 이동드럼(136)의 걸림 돌기(136a)와 2단 기어(134)의 걸림 돌기(134a)가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결국 상기 구동축(130)의 회전력이 상기 이동드럼(136)을 통해서 상기 2단 기어(134) 및 1단 기어(133)를 회전시키게 된다.
반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을 수동으로 개폐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137)의 후진작동으로 상기 이동드럼(136)이 후진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구동축(130)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못해 결과적으로 상기 2단 기어(134) 및 1단 기어(133)가 헛돌게 되므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1단 기어(133)와 2단 기어(134)는 일체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1단 기어(133)와 2단 기어(134)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1단 기어(133)와 2단 기어(134)의 규격(피치원지름, 잇수)은 수문의 개폐속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스프링(135)은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경우에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걸림 돌기(134a,136a)가 서로 떨어지도록 하며, 반대로 자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137)의 전진작동으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드럼(136)은 상기 구동수단(137)의 작동으로 상기 요철부(131)의 표면을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구동축(130)의 회전력을 상기 1단 기어(133)와 2단 기어(134)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이동드럼(136)의 중앙에는 상기 요철부(131)가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은 물론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요철부(131)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통공이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수단(137)은 상기 이동드럼(136)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구성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137a)와 상기 이동드럼(136)의 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솔레노이드(137a)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더(137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홀더(137b)는 상기 이동드럼(136)을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평소에는 상기 이동드럼(136)의 측면과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유지하다가 상기 이동드럼(136)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드럼(136)의 측면(두께)보다 더 큰 삽입공간을 확보해야함이 당연할 것이다.
상기 요철부(141)는 상기 구동수단(144)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상기 1단 변속기어(142)와 2단 변속기어(143)를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요철부(141)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회전력을 상기 1단 변속기어(142)와 2단 변속기어(143)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 상기 요철부(141)의 형상 및 구조는 공지의 스플라인, 세레이션, 키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1단 변속기어(142)는 저속으로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수문을 개폐하거나 유지보수 작업시 사용하게 된다.
상기 2단 변속기어(143)는 고속으로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는 자연재해 및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1단 변속기어(142)와 2단 변속기어(143)는 일체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구동수단(144)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1단 기어(133)와 2단 기어(134)와 맞물려 회전속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1단 변속기어(142)와 2단 변속기어(143)의 중앙에는 상기 요철부(141)가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은 물론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요철부(141)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통공이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아울러, 1 단 변속기어(142)와 2단 변속기어(143)의 규격(피치원지름, 잇수)은 수문의 개폐속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44)은 상기 1단 변속기어(142)와 2단 변속기어(143)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1단 기어(133)와 2단 기어(134)에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조절하여 수문의 개폐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수단(144)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144a)와, 상기 1단 변속기어(142)의 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솔레노이드(144a)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더(144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홀더(144b)는 상기 1단 변속기어(142)를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회전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 및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평소에는 상기 1단 변속기어(142)의 측면과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유지하다가 상기 1단 변속기어(142)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1단 변속기어(142)의 측면(두께)보다 더 큰 삽입공간을 확보해야 함이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수문을 고속으로 개폐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144)의 작동으로 상기 요철부(141)를 따라서 전진하는 상기 2단 변속기어(143)가 상기 2단 기어(134)와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개폐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반대로 수문을 저속으로 개폐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144)의 작동으로 상기 요철부(141)를 따라서 후진하는 상기 1단 변속기어(142)가 상기 1단 기어(133)와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 개폐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로킷(146)은 상기 회전축(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주 감속기(A)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로킷(미 도시됨)과 체인(미 도시됨)을 통해서 연결됨으로써 주 감속기(A)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러치(152), 스프링(153), 수동핸들(154)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클러치(152)는 사용자가 상기 수동핸들(154)을 회전시키게 될 경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수동축(1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스프링(153)은 상기 클러치(152)와 수동핸들(154)의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수동핸들(154)과 클러치(152)가 평소에는 항상 서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유도하여 자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상기 수동핸들(154)에 전달됨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수동핸들(154)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동축(1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수동축(150)과 수동핸들(154)은 서로 헛돌도록 헐거운 결합이 되어야 하는데, 이는 자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경우 회전하는 상기 수동축(150)과 달리 상기 수동핸들(154)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물체 및 사용자와 충돌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시킬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핸들(154)을 전방으로 밀착시켜 상기 걸림 돌기(154a,152a)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 후 수동핸들(154)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수동축(150), 수동기어(151), 전달기어(145)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수문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동축(150)의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153)의 탄성력으로 상기 수동핸들(154)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구(155)가 체결구(156)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상황에 따라서 수문의 개폐속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주 감속기(A)와, 상기 주 감속기(A)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보조 감속기(B)와, 상기 보조 감속기(B)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로킷의 회전으로 맞물려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래크바(C)와, 상기 래크바(C)의 하부에 형성된 수문(D)에 있어서,
    상기 주 감속기(A)의 상부에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방에 설치하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21)가 구비된 구동모터(12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 후방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외경에는 요철부(13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동축(130)과, 상기 구동축(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121)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기어(132)와, 상기 구동축(130)의 외경에 헛돌도록 헐거운 결합을 하되 일측에는 1단 기어(133)를 부설하고 타측에는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134a)를 구비한 2단 기어(134)와, 구동수단(137)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상기 요철부(131)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측에는 상기 걸림 돌기(134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 돌기(136a)를 구비한 이동드럼(136)과, 상기 2단 기어(134)와 이동드럼(136)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 돌기(134a,136a)를 탄성력에 의해서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스프링(135)과, 상기 본체(110)의 내부 전 방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외경에는 요철부(14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140)과, 구동수단(144)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상기 요철부(141)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측에는 2단 변속기어(143)를 형성한 1단 변속기어(142)와, 상기 회전축(140)의 일측에 형성된 전달기어(145)와, 상기 회전축(140)의 일측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주 감속기(A)에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킷(146)과,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되 일측에는 상기 전달기어(145)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기어(151)가 구비된 수동축(150)과, 상기 수동축(150)의 외경에 결합하되 일측에 돌출되는 걸림 돌기(152a)를 구비한 클러치(152)와, 상기 수동축(150)과 헛돌도록 헐거운 결합을 하되 상기 걸림 돌기(152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걸림 돌기(154a)를 구비한 수동핸들(154)과, 상기 클러치(152)와 수동핸들(154)의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생시켜 자동으로 수문을 개폐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 돌기(152a,154a)가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수동핸들(15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153)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37)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137a)와, 상기 솔레노이드(137a)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상기 이동드럼(136)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더(137b)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44)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솔레노이드(144a)와, 상기 솔레노이드(144a)의 전진 또는 후진작동으로 상기 1단 변속기어(142)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홀더(144b)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KR1020070012850A 2007-02-07 2007-02-07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KR100801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850A KR100801559B1 (ko) 2007-02-07 2007-02-07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850A KR100801559B1 (ko) 2007-02-07 2007-02-07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559B1 true KR100801559B1 (ko) 2008-02-05

Family

ID=3934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850A KR100801559B1 (ko) 2007-02-07 2007-02-07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5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910B1 (ko) 2008-07-21 2009-07-23 광 훈 전 수문개폐장치
KR101005862B1 (ko) 2008-08-08 2011-01-05 윤영직 전동형 수문개폐기의 동력제어식 클러치장치
KR101394779B1 (ko) * 2012-11-28 2014-05-30 현대다이모스(주)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츄에이터의 클러치 차단 구조체
KR101572048B1 (ko) 2015-03-26 2015-12-07 주식회사 백상 논 라이싱 타입 수문 개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720A (ko) * 2002-04-18 2003-10-23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KR100468877B1 (ko) 2003-11-13 2005-02-02 오성산업 (주) 스프라그 잭 권양기
KR100509011B1 (ko) 2005-03-28 2005-08-18 백진현 수문 권양기의 동력전달 변환장치
KR20060020995A (ko) * 2004-09-02 2006-03-07 오성산업 (주) 전동 및 수동 전환용 전자클러치를 채용한 권양기
KR20060064706A (ko) * 2004-12-09 2006-06-14 김상국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720A (ko) * 2002-04-18 2003-10-23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KR100468877B1 (ko) 2003-11-13 2005-02-02 오성산업 (주) 스프라그 잭 권양기
KR20060020995A (ko) * 2004-09-02 2006-03-07 오성산업 (주) 전동 및 수동 전환용 전자클러치를 채용한 권양기
KR20060064706A (ko) * 2004-12-09 2006-06-14 김상국 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KR100509011B1 (ko) 2005-03-28 2005-08-18 백진현 수문 권양기의 동력전달 변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910B1 (ko) 2008-07-21 2009-07-23 광 훈 전 수문개폐장치
KR101005862B1 (ko) 2008-08-08 2011-01-05 윤영직 전동형 수문개폐기의 동력제어식 클러치장치
KR101394779B1 (ko) * 2012-11-28 2014-05-30 현대다이모스(주) 자동화 수동변속기용 액츄에이터의 클러치 차단 구조체
KR101572048B1 (ko) 2015-03-26 2015-12-07 주식회사 백상 논 라이싱 타입 수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559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문변속장치
CN104389465B (zh) 一种方舌静音门锁
KR100509011B1 (ko) 수문 권양기의 동력전달 변환장치
TW201331453A (zh) 防水板裝置
CN111561040B (zh) 一种双重阻挡自动疏通的防堵水漏
CN112176631A (zh) 波轮洗衣机
KR100605526B1 (ko) 다단변속이 가능한 수문구동장치
CN110528670B (zh) 一种雨水井修缮警示装置
KR200408840Y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횡형 권양기
KR100944224B1 (ko) 가변식 수문 권양기
JP6623440B1 (ja) 複合ロック
CN110250806B (zh) 一种袜子存储柜
CN111636536A (zh) 一种适应多年龄段人群的马桶
CN110273590A (zh) 一种自动离合式电机锁
KR200386255Y1 (ko) 수문권양기
CN109025653A (zh) 一种可断电操作的保险箱
CN110409984A (zh) 一种具有逃生功能的防盗窗
KR200405584Y1 (ko) 다단변속이 가능한 수문구동장치
KR101257758B1 (ko) 드럼식 권양기
KR101051054B1 (ko) 수문의 개폐장치
CN211081313U (zh) 一种锁
JP5071259B2 (ja) 框内蔵型施錠装置及び該施錠装置を備えたサッシ窓
CN101845924A (zh) 矿用隔爆型多回路组合起动器的快开门装置
KR100924451B1 (ko) 핀랙크형 전동식 권양기
CN210946722U (zh) 卷扬式排水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