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538B1 -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 Google Patents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538B1
KR101426538B1 KR1020120119331A KR20120119331A KR101426538B1 KR 101426538 B1 KR101426538 B1 KR 101426538B1 KR 1020120119331 A KR1020120119331 A KR 1020120119331A KR 20120119331 A KR20120119331 A KR 20120119331A KR 101426538 B1 KR101426538 B1 KR 101426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lumn
carrier
car lift
presen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774A (ko
Inventor
맹기영
Original Assignee
맹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기영 filed Critical 맹기영
Priority to KR102012011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5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기둥의 절곡부를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판재의 양을 줄여주어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원재료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 리프트에 사용되는 수직 기둥에 있어서, 후면의 양측에 각각 제1측면과 제2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의 길이가 제2측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의 단부에는 수직 기둥의 내측으로 제1측면과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pillar for car lift}
본 발명은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기둥의 절곡부를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판재의 양을 줄여주어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원재료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퀴나 각종 오일 등을 교환할 때라든지 그 밖의 자동차 하부의 각 부품을 정비할 때에는 자동차 전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린 다음 작업하게 되는데, 이렇게 자동차 전체를 지면에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리프트는 보통 4개의 수직 프레임(기둥)의 사이에 승강 프레임 및 받침판이 설치된 4주식 또는 양측에 각각 하나의 수직 프레임(기둥)을 구비하는 2주식을 사용하거나, 바닥프레임의 상부에 X자형 승강프레임이 자유롭게 절첩되도록 설치되고 승강 프레임의 상단에 받침판이 설치된 것 등의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두개의 수직 프레임(기둥)을 사용하는 2주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동아암(5)을 벌린 다음 자동차를 양 수직프레임(1) 사이로 진입시키고, 다시 각 회동아암(5)을 오므려 각 회동아암(5)의 선단 상부에 마련된 받침부(7)를 차체의 하단에 위치시켜서 각 캐리어(3) 및 회동아암(5)을 승강시켜 자동차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정비를 마친 후에 각 캐리어(3) 및 회동아암(5)을 하강시켜 자동차를 지면에 착지시킨 후 다시 각 회동아암(5)을 벌려 자동차의 차체 하단으로부터 빼내어서 자동차를 양 수직프레임(1) 사이에서 빼내는 형식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수직프레임(1)은 그 구조상 2차모멘트값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좌굴력에 대한 좌굴응력(Buckling Load)이 작게 되어 굽힘 변형이나 비틀림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두께 및 각 부위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그에 따라 재료가 낭비됨은 물론 중량과 부피가 커지게 되어 번거롭게 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3912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내부에 자동차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20)가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장방형의 수직 기둥(10)에 있어서, 내부 후방 양측에 레일부(11)를 마련하고, 중앙 전방에 캐리어 인출부(12)를 마련하며, 인출부(12)의 양측에 후방 절곡부(13)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3912호에 기재된 기술은 수직 기둥(10)의 상단면에 작용하는 2차모멘트값 및 좌굴응력값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적은 크기와 중량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재료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수직 기둥을 제작할 때, 절곡하여야 하는 부분이 많아 공정이 복잡하며, 단면적이 커서 사용되는 재료의 양이 많아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설치 및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주식 카 리프트에 사용되는 수직 기둥을 후면과 후면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1,2측면으로 형성하되, 제1측면의 길이를 제2측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고, 제1측면의 단부에 제1절곡부를 형성하며, 제2측면의 단부에는 제2,3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절곡부의 수를 줄여 수직 기둥의 가공시 절곡 공정을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판재의 양을 줄여주어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원재료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 기둥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케리어의 측부에 회동아암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이 구비되는데, 브라켓의 일측에 제2측면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케리어가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하는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 리프트에 사용되는 수직 기둥에 있어서, 후면의 양측에 각각 제1측면과 제2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의 길이가 제2측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면의 단부에는 수직 기둥의 내측으로 제1측면과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측면의 단부에는 수직 기둥의 내측으로 제2측면과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의 단부에는 제2절곡부와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 기둥의 내부에는 상하 이동하는 케리어가 구비되고, 케리어의 전면에는 자동차를 지지하기 위한 회동아암이 설치되는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2측면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기둥은 "
Figure 112012087356095-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2주식 카 리프트에 사용되는 수직 기둥을 후면과 후면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제1,2측면으로 형성하되, 제1측면의 길이를 제2측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고, 제1측면의 단부에 제1절곡부를 형성하며, 제2측면의 단부에는 제2,3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절곡부의 수를 줄여 수직 기둥의 가공시 절곡 공정을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판재의 양을 줄여주어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원재료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직 기둥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케리어의 측부에 회동아암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이 구비되는데, 브라켓의 일측에 제2측면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케리어가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카 리프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이 적용된 카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에 케리어가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이 적용된 카 리프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에 케리어가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카 리프트에 사용되는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에 관한 것으로, 우선 카 리프트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하부에 지지되어 자동차를 지지하기 위한 회동아암(220)과 상기 회동아암(220)의 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자동차에 접촉되는 받침부(230)와 상기 회동아암(220)이 설치되는 케리어(200)와 상기 케리어(20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본 발명의 수직 기둥(1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 기둥(100)은 마주보도록 한쌍이 구비되어, 하단은 지면이나 베이스 플레이트(미도시)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은 한쌍이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수직 기둥(100)의 사이에 자동차를 위치시키고, 자동차의 하면이나 개방된 윈도우를 통하여 회동아암(220)을 삽입하여 자동차를 지지한 후, 상기 케리어(200)를 상부로 이동시켜 자동차를 들어올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기둥(100)의 내부에 케리어(200)가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케리어(200)를 승하강 시키는 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카 리프트를 구성하는 수직 기둥(100)으로 그 구성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110)과 제1측면(120), 그리고 제2측면(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은 상기 후면(1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데, 각각 후면(110)과 수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데, 제2측면(130)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측면(120)의 길이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제2측면(130)의 길이의 반 정도로 형성하게 되면, 케리어(200)의 측면 중심부를 지지하여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비틀림 등의 외력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120)의 단부에는 제1절곡부(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절곡부(122)는 수직 기둥(100)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측면(120)과 수직되도록 절곡된다.
그래서, 상기 수직 기둥(100)의 내부에 승하강 되도록 구비되는 케리어(200)의 측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케리어(200)가 안정적으로 승하강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120)과 평행되도록 형성되는 제2측면(130)의 단부에는 제2절곡부(132)가 절곡 형성되는데, 상기 제2절곡부(132)는 수직 기둥(100)의 내측, 즉, 제1측면(120) 방향으로 상기 제2측면(130)과 수직이 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절곡부(132)의 단부에는 제3절곡부(134)가 절곡 형성되는데, 상기 제3절곡부(134)는 수직 기둥(100)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2절곡부(132)와 수직 되도록 절곡 형성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수직 기둥(100)의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리어(200)의 측면을 지지하여, 케리어(200)가 안정적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카 리프트에 사용되던 수직 기둥(10)은 후면(부호 미도시)의 양측에 동일한 길이로 측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의 단부에는 각각 후방절곡부(13)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절곡되는 부분이 6곳으로 판재를 절곡 가공하여 수직 기둥(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6번의 절곡 가공을 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보다 복잡하며, 양 측면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하나의 수직 기둥(10)을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판재의 양도 늘어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수직 기둥(100)은 후면(110), 제1측면(120), 제1절곡부(122), 제2측면(130), 제2절곡부(132), 제3절곡부(134)로 이루어져, 절곡되는 부분이 5곳으로서, 판재를 절곡 가공하여 수직 기둥(100)을 제작할 때, 절곡 공정을 한단계 줄일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수직 기둥(100)을 제작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측면(120)의 길이가 제2측면(13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즉, 본 발명의 수직 기둥(100)은 그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87356095-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수직 기둥(100)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판재의 양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수직 기둥(100)은 그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12087356095-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원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나아가 수직 기둥(1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하며,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수직 기둥(100)에 작용되는 2차모멘트가 감소되지 않아서 자동차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수직 기둥(100)의 좌굴응력(δB)을 계산하면, 좌굴응력(δB)은 좌굴하중(PB)을 단면적(A)으로 나눈 값이 되며, 좌굴하중(PB)은 비례상수(nπ2)와 탄성계수(E), 그리고 2차모멘트값(I)을 곱한 값을 높이(L)의 제곱 값으로 나눈 값이 된다.
즉, δB = PB/A이 되고, PB = nπ2EI/L2(오일러의 공식)가 된다.
그리고, 좌굴응력(δB)을 계산하는데 가장 중요한 2차모멘트값(I)은 X축을 b, Y축을 h라 할 때 I=bh3/12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수직 기둥(100)의 좌굴응력(δB)은 도 5에 기재된 수치를 적용하여 계산하게 되면,
2차모멘트 값 : 6830000mm4
좌굴하중 : 1/4X3.141592X2.1X104X6830000/26402 = 50777.5kgf
(여기서, 비례상수의 n은 일측이 고정이고 타측이 자유단인 경우 1/4이고, 높이 L은 일반적인 리프트의 높이인 2640mm, 탄성계수 E는 일반 철판의 탄성계수인 2.1X104kgf/mm2 )
좌굴응력 : 50777.5/30.8=1646.5kgf/cm2 (실제 가능한 응력)
허용 굽힘 응력 : 1000 kgf/cm2
이므로, 좌굴응력이 허용 굽힘 응력 보다 크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기둥(100)의 내부에는 케리어(200)가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케리어(200)에는 브라켓(210)이 부착 설치되어, 자동차를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회동아암(220)이 힌지 결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브라켓(210)에는 케리어(200)에 연결되는 부분의 측부에 상기 수직 기둥(100)의 제2측면(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12)이 형성된다.
그래서, 회동아암(220)이 자동차를 지지한 상태로 케리어(200)가 상부로 이동할 때, 외력에 의해 자동차가 흔들리더라도 상기 가이드홈(212)에 수직 기둥(100)의 제2측면(130)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케리어(200)가 제1측면(120)의 전단부 공간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리어(200)가 안정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기둥의 절곡부를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판재의 양을 줄여주어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원재료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에 관한 것이다.
100 : 수직 기둥 110 : 후면
120 : 제1측면 122 : 제1절곡부
130 : 제2측면 132 : 제2절곡부
134 : 제3절곡부 200 : 케리어
210 : 브라켓 212 : 가이드홈
220 : 회동아암 230 : 받침부

Claims (5)

  1. 카 리프트에 사용되는 수직 기둥에 있어서,
    후면의 양측에 각각 제1측면과 제2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의 길이가 제2측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되,
    상기 수직 기둥의 내부에는 상하 이동하는 케리어가 구비되고,
    케리어의 전면에는 자동차를 지지하기 위한 회동아암이 설치되는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2측면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의 단부에는 수직 기둥의 내측으로 제1측면과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의 단부에는 수직 기둥의 내측으로 제2측면과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의 단부에는 제2절곡부와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기둥은 "
    Figure 112012087356095-pat00004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KR1020120119331A 2012-10-25 2012-10-25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KR101426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331A KR101426538B1 (ko) 2012-10-25 2012-10-25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331A KR101426538B1 (ko) 2012-10-25 2012-10-25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74A KR20140052774A (ko) 2014-05-07
KR101426538B1 true KR101426538B1 (ko) 2014-08-05

Family

ID=5088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331A KR101426538B1 (ko) 2012-10-25 2012-10-25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333B1 (ko) * 2020-07-06 2022-01-14 (주)엠티엠 차량 리프트의 지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6895U (ko) * 1987-11-10 1989-05-24
JPH11322299A (ja) * 1998-05-14 1999-11-24 Tanaka Spring:Kk 昇降装置
KR20100092653A (ko) * 2009-02-13 2010-08-23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복합형강
JP2011178386A (ja) * 2010-02-26 2011-09-15 Giuliano Group Spa 車両のポストリフ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6895U (ko) * 1987-11-10 1989-05-24
JPH11322299A (ja) * 1998-05-14 1999-11-24 Tanaka Spring:Kk 昇降装置
KR20100092653A (ko) * 2009-02-13 2010-08-23 두성중공업 주식회사 건축용 복합형강
JP2011178386A (ja) * 2010-02-26 2011-09-15 Giuliano Group Spa 車両のポストリフ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74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46970B (zh) 一种金属板材成型模具及其成型方法
CN203224285U (zh) 称重装置
KR101426538B1 (ko) 카 리프트용 수직 기둥
CN102424192B (zh) 一种汽车仪表板横梁的运输架
CN205855911U (zh) 一种电力设备升降控制装置
KR20100089980A (ko) 트레일러의 현가시스템
CN212050283U (zh) 一种汽车起重机反变形支腿机构
CN214667193U (zh) 一种地磅用防护装置
CN207481966U (zh) 一种转运车
CN209276077U (zh) 一种料盘的顶升装置
CN214143261U (zh) 一种道路桥梁支座结构
CN213446039U (zh) 一种便于清洁的手动液压升高车
CN208790439U (zh) 轮胎生产使用的防冲击胎坯称
CN207192670U (zh) 一种举升装置及层门板装配线举升机构
CN103406888B (zh) 汽车机舱纵梁盛具
CN103182437A (zh) 一种汽车天窗加强板零件拉延模具
CN203221910U (zh) 一种工程货车用倒推式前顶举升结构
CN205397487U (zh) 一种z型板移载机械手
CN205437752U (zh) 一种下压机构
CN207128865U (zh) 具有缓冲效果的房车装卸装置
CN215402852U (zh) 一种固定导轨式升降平台
CN218174394U (zh) 一种超大吨位智慧吊装系统的吊钩消摆装置
CN102862935A (zh) 托盘搬运车的起升机构
CN219589564U (zh) 一种汽车前挡检具多功能支架位置度检测装置
CN220078475U (zh) 一种烟包升降平台传动减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