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398B1 - 전도성 패스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를 가진 전기적 가열 장치 및 이러한 플레이트 요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패스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를 가진 전기적 가열 장치 및 이러한 플레이트 요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398B1
KR101426398B1 KR1020120033132A KR20120033132A KR101426398B1 KR 101426398 B1 KR101426398 B1 KR 101426398B1 KR 1020120033132 A KR1020120033132 A KR 1020120033132A KR 20120033132 A KR20120033132 A KR 20120033132A KR 101426398 B1 KR101426398 B1 KR 101426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contact
plate
flat plug
electrical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220A (ko
Inventor
프란츠 볼렌데르
로버트 즈트젤맨
디터 엠마누엘
커트 압연
미쉘 니덜거
Original Assignee
에베르쉬페쳐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3373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2639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베르쉬페쳐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에베르쉬페쳐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11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2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72Special adaptations
    • F24H1/009Special adaptations for vehicl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95Metallic connector elements partly mounted in a hole of the PCB
    • H05K2201/10303Pin-in-hole mounted pi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 H05K3/2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using self-supporting metal foil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H05K3/32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the printed circuit having integral resilient or deformable parts, e.g. tabs or parts of flexible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8Assembling formed circuit to b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66Sheet joined to sheet
    • Y10T29/49368Sheet joined to sheet with inserted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기적 가열 요소들을 가지는 전기적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고, 위로 가열된 매질이 흐르는 가열 전도성 표면에 인접하고, 전기적 가열 요소들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촉 러그들을 포함하고, 본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배열된 접촉 러그들은, 전도성 패스(18) 및 접촉 러그들의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형성된 접촉 러그 리셉터클(13)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1)를 통해 연결된다.
제조하기에 단순하고 경제적인 전기적 가열 장치는 비전도성 재질의 캐리어 플레이트(20)와 스탬프된(stamped out) 금속 플레이트(10)가 결합하여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요소(1)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리어 플레이트(20)가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금속 플레이트(10)는 연결 리지(12)에 의해 결합되어 부분 요소(11.1-11.5)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탬핑 공정을 거치고 접촉 러그 리셉터클(13; 15)는 부분 요소(11.1-11.5)에 제공되며, 캐리어 플레이트(20) 및 금속 플레이트(10)는 결합되고 그리고나서 연결 리지(12)는 갈라지는 성질의 플레이트 요소(1)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도성 패스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를 가진 전기적 가열 장치 및 이러한 플레이트 요소의 제조방법{Electrical heating device with a plate element comprising conductive path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plate element of this nature}
본 발명은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고 위로 가열된 매질(medium)이 흐를 수 있는 가열 전도 표면에 인접한 다수의 전기적 가열 요소(electrical heating elements)를 가진 전기적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가열 장치의 가열 요소들은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접촉 러그(contact lugs)가 제공된다. 모든 또는 몇몇 접촉 러그들은 필수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고 전도성 패스가 제공되고 전기적으로 접촉 러그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러그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성질의 전기적 가열 장치는 출원인이 발명한 EP 1 872 986 A1의 예로부터 공지된다. 이러한 기술의 수준에서 하우징은 전기적 가열 요소들의 열이 액체 매질로 전달되는 챔버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전기적 가열 요소들은 몇몇 U-자형 열 챔버내에 위치되고 위로 액체가 밖으로 흐르는 열 챔버의 벽들과 열 전도성 접촉에 있다.
그러나 총칭의 전기적 가열 장치는 차량 승객 객실내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전기적 보조 히터에 의해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은 복수의 전기적 가열 요소들이 전기적 가열 요소들에 인접하고 가열된 공기가 위로 흐르는 레지에이터 요소들을 포함하는 층구조로 수용되는 프레임에 의해 정상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기적 가열 요소들은 양 측면으로 인접된 시트 금속 밴드들을 가진 PTC 요소들을 포함한다. 단일 시트 금속 밴드들은 층구조로 주어져서 측면에 접촉 러그를 형성한다. 이러한 성질의 전기적 가열 장치는 예시적으로 EP 1 157 867 A1에서 설명된다.
총칭의 전기적 가열 장치에게 전기적 가열 요소들을 간단히 접촉할 필요성이 있다. 여기서, 정상적으로 전기적 가열 요소들이 전기적 가열 요소들에 전기적 연결되기 전에 하우징에 미리 조립된다. 결과적으로, 간단하지만 효율적이고 영속적인 전기적 가열 요소들의 접촉 러그에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플러그 연결이 필요하다.
EP 1 872 986 A1에 공지된 전기적 가열 장치는 병렬 열로 제공되는 복수개의 전기적 가열 요소들을 가진다. 각각의 가열 요소는 플레이트 요소를 통해 연결되야만 하는 두개의 접촉 러그를 가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EP 1 872 986 A1는 전기적으로 전도성 패스에 연결된 관련있는 접촉 러그 및 접촉 러그 리셉터클을 위한 전도성 패스를 가진 전도성 보드가 다양한 접촉 러그를 가열 회로로 그룹짓고 플랫 플러그를 가지는 것을 개시한다. 이러한 플랫 플러그들은 추가의 전도성 보드의 리셉터클에 수용되고 전기적 가열 장치의 개방 및 폐쇄-루프 제어(open and closed-loop control)를 위한 회로를 포함하고 개별 가열 회로가 스위치될 수 있는 상기 전도성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회로 보드의 제조는 비용이 세다. 또한, 특정 전도성 패스 때문에, 회로 보드는 다른 가열 회로 또는 다른 전도성 패스를 형성할 수 있는 어떤 각색도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접촉 러그 리셉터클들은 예를 들어, 전도성 보드상에 납땝되고 전기적으로 전도성 패스로 연결된다. 이것은 정교한 제조방법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선행 기술 플레이트 요소가 이용될 수 있는 온도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 간단히 더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전도성 패스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트 요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장치 관련된 문제의 해결점을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전기적 가열 장치를 개시한다. 이것은 플레이트 요소가 비 전도성 재질의 캐리어 플레이트 및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므로 종래 전기적 가열 장치와 다르다. 캐리어 플레이트 및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는 연결되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다.
캐리어 플레이트는 통상 전기적으로 비전도성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어서, 캐리어 플레이트는 추가적으로 하우징내 또는 상에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추가적 기능적 표면 또는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하우징 또는 전자장치 또는 케이블 루팅과 같은 추가적 구성요소들의 조립의 완성하는 역할을 한다. 플라스틱으로서, 프로칸(Procan), PPT GF30 (CTI 600) 또는 다른 관련있는 내열 플라스틱이 고려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금속 플레이트에 대한 전기적 인터페이스가 단지 플러깅을 통하고 어떤 납땜 연결이 없는 경우 플레이트 요소가 더 높은 온도에서 종속될 가능성을 제공한다. 플레이트 요소, 즉 캐리어 플레이트의 구조적 모양을 제공하는 구성은 필요한 대로 형성될 수 있고 사출 성형의 제조 가능성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요소로 전도성 패스는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는 경제적으로 바람직하고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따라서, 추가적 개발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접촉 러그 리셉터클이 금속성 플레이트상에 스탬프되고 벤딩되어서 일측으로 형성되므로 플레이트 요소들에 대한 전기적 가열 요소들의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연결은 회피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금속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하드 드로운으로부, 예를 들어, CuSnNi1Mg와 같은 접촉재가 몇 ㎛의 은/구리/주석의 얇은 코팅으로 코팅되어 형성된다. 접촉 러그들의 반대적 위치에 측면상에 접촉 러그들의 한정된 접촉을 위하여, 접촉 러그 리셉터클들은 어떤 장력하에서 접촉 러그들에 인접하는 인접성 접촉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우징상에 강화되고 수용하기 위하여, 특별히 형성되고 경제적인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금속 플레이트의 스탬핑 및 벤딩에 의해 일측으로 접촉 러그들의 연결을 위해 필요한 전도성 패스 및 요소들을 형성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전기적 연결의 더 단순화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랫 플러그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캐리어 플레이트상이 한 부분으로서 형성된 플랫 플러그 홀더에 의해 수용된다. 플랫 플러그들은 통상 일측상에 즉,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대면하는 윗쪽으로 캐리어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다. 플랫 플러그의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금속 플레이트는 플랫 플러그에 상응하여 형성된 플랫 플러그 접촉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또한, 플랫 플러그 접촉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스프링과 제공되서 플랫 플러그의 전기적 접촉은 상기 플러그의 플랫 플러그 접촉 리셉터클로 삽입에 의해만 일어난다.
뒤이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요소의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는 , 전기적 접촉이 접촉 러그 또는 플랫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서 전도성 패스로 직접적으로 발생하는데도 불구하고, 한편으로는 접촉 러그를 위한 전도성 패스 및 리셉터클과 다른 한편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텝핑에 의해 잘려나간 플랫 플러그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플레이트 요소는 전기적 가열 요소들 및 전원 또는 이를 위한 회로에 용이한 접촉을 만들 수 있다.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플레이트 요소 및 이에 종속하는 청구항에 따른 추가의 개발은 이것상에 그리고 전기적 가열 장치 없이 본 발명에 필수적일 수 있다.
플랫 플러그는 바람직하게는 시트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되고 시트 금속 스트립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스탬핑과 벤딩에 의해 만들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출부를 가진다. 플랫 플러그는 이러한 고정 돌출을 통해 플랫 플러그 홀더에 잠겨진다. 통상, 플랫 플러그 홀더는 삽입과 플랫 플러그를 위한 고정채널 옆에 이를 위해 형성되고 고정 돌출부뒤에 고정 돌출 클립이 상기 채널을 지나는 언더컷을 포함한다. 그리고 나서, 언더컷의 인접성 때문에 고정 돌출부는 플랫 플러그가 반대방향으로 당겨지지 않게 한다.
캐리어 플레이트 및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사이의 용이한 연결을 위하여, 고정요소들이 금속 플레이트가 캐리어 플레이트에 잠겨질 수 있는 것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한부분으로서 형성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상에 제공된다. 그리고 나서, 바람직하게는, 결합 움직임이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 및 캐리어 플레이트 사이에 양의 고정 결합을 초래한다.
캐리어 플레이트는 통상 캐리어 플레이트 상에 한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다수의 적당한 고정요소들을 가진다. 통상, 이것들은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의 최소한 마진(margin)을 통해 그립된다(grip).
캐리어 플레이트에 대한 금속 플레이트의 확고하고 곳곳에 부착을 위하여, 금속 플레이트는 금속 플레이트와 관련하여 고정을 위한 고정요소에 의해 관통되는 고정요소에 할당된 고정개구(retaining opening)를 포함한다. 종종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는 이러한 중앙부에서 이러한 성질의 복수의 고정개구를 포함한다.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는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따라서 가장자리뿐 아니라 중앙부내에 다양한 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완전한 수직 확장을 통해 수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한 고정은 고정 개구가 캐리어 플레이트 상에 한 파트에 형성되고 그것으로부터 스프링 바가 양면상에 셩헝되고 래칭 러그가 금속 플레이트 뒤로 그립되는 그 위에 제공되는 고정 요소 리지에 의해 본질적으로 중앙으로 브리지되어, 아래로 돌출되어 일어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발전에 따라, 금속 플레이트는 전기적 가열 장치의 가열 회로에 할당되고 전기적 전도성 패스를 그룹화하는 다수의 부분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분 요소들은 초기에는 연결 리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서 금속 플레이트는 스탭핑 및 벤딩에 의해 유니폼한 구성요소로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플랫 플러그는 각 개별 부분 요소로 할당된다. 캐리어 플레이트는 연결 리지를 자유롭게 남기는 스탬프된 개구를 포함한다. 연결 리지는 통상 적당한 스탬프된 개구를 대략 중앙으로 관통한다. 스탬프된 개구는 통상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각각으로부터 개별 부분 요소를 절연하기 위하여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의 조립 후 연결 리지의 관통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통상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는 캐리어 플레이트 면상에 각 개별 부분 요소에 할당한다.
본 발명과 조화된 방법의 측면에 따라서, 초기에 전도성 패스를 형성하기 위한 금속 플레이트와 부분 요소들이 서로 연결 리지에 의해 결합되고 부분 요소내에 제공된 접촉 러그 리셉터클이 스탬핑과 벤딩고정을 거쳐서 전도성 패스를 구성하는 플레이트 요소는 제조된다.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은 그후에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라 이것은 사출 성형의 수단에 의해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된다. 연결 리지는 결합 공정후 전기적으로 이전에 단일화하여 제조되고 부분 요소들이 상호 연결된 것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갈라진다. 종종 캐리어 플레이트는 초기에 금속 플레이트와 독립적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양 구성요소가 오버몰딩(overmoulding)에 의해 결합되고 금속 플레이트 및 캐리어 플레이트가 동시에 제조되는 것도 제외될 수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위에서, 결합동안에, 바람직하게는, 각 부분 요소는 연결 리지가 갈라진 후에조차도 캐리어 플레이트상에서 각 부분 요소를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양적으로 고정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플랫 플러그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금속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나서 할당된 플랫 플러그 홀더내로 삽입된다. 통상 플랫 플러그상에 형성된 삽입 스탑에 의해 특정되는 이러한 삽입 동작의 끝에서, 플랫 플러그는 플랫 플러그 접촉 홀더내로 고정되고 플레이트 요소상에 형성된 플랫 플러그 접촉 리셉터클은 플러그된 연결에서 상응하는 플랫 플러그와의 전기적 접촉이 된다. 결국, 삽입 동작의 범위내에서 플랫 플러그의 기계적 접속 및 스탬프된 금속 플레이트의 전기적 커플링이 만들어진다.
더 간단하고 더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전도성 패스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플레이트 요소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 및 이점은 도면와 함께한 실시예의 다음 기술에서 주어진다. 이는 다음으로 보여진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요소의 상면 관점에서 설명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요소의 밑면 관점에서 설명된 사시도;
도3은 모든 구성요소의 결합 후 도1 및 도2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상면 관점에서 설명된 사시도;
도4는 모든 구성요소의 결합 후 도1 및 도2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밑면 관점에서 설명된 사시도;
도5는 도3에 따라 V-V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6은 도3의 기술에 따라 VI-VI선을 따른 횡단면도;
도7은 도3의 VII 상세도이다.
도면의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EP 1 872 986 A1에서 알려진, 병렬 열로 배치된 다수의 전기적 가열 요소를 가진 가열 장치의 플레이트 요소(plate element)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참조는 EP 1 872 986 A1의 상세한 설명에 되어졌다. 본 특허출원의 개시는 본 특허 출원의 개시내의 참조문헌에 의해 포함된다. 다음 특정 설명내에서 EP 1 872 986 A1내의 분배 플레이트(distributor plate)로서 지정된 구성요소만이 자세히 다뤄졌다.
이러한 플레이트 요소는 도면에서 참조번호 1로 라벨되고 금속 플레이트(10), 캐리어 플레이트(20) 및 다수의 플랫 플러그(30)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서 관련 구성요소의 상면은 참조번호 2로 밑면은 참조번호 3으로 라벨된다.금속 플레이트(10)은 2.5 ㎛ 두께 은코팅을 가진 예를 들어 CuSnNi1Mg와 같은 하드 드로운 접촉 재질을 스탬핑(stamping)과 벤딩(bending)에 의해 형성된다. 스탬핑공정 때문에 금속 플레이트는 그리드형 폼으로 재형성된다. 금속 플레이트(10)은 연결리지(12)에 의해 서로서로 연결되는 5개 부분 요소(11)를 가진다. 각 부분 요소(11)은 삽입 개구의 반대쪽으로 위치된 마진(margins)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 접촉 스프링(14)을 남긴 삽인 개구를 절개하여 형성된, 다수의 접촉 러그 리셉터클(13)을 가진다. 이러한 스탬핑된 접촉 스프링은 벤딩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10)의 상면(2)과 관련하여 배열되어서 밑면(3)으로부터 접촉 스프링(14)의 팁(tip)까지 약간 깔때기 모양으로 점점 가늘어진 것이 만들어진다(a slight funnel-shaped taper).
또한, 참조번호 15로 라벨된 플랫 플러그 접촉 리셉터클은 적당한 접촉 스프링(14)와 제공된다. 각 부분 요소(11.1) 내지 부분 요소 (11.5)를 위하여 플랫 플러그 접촉 리셉터클 (15.1) 내지 (15.5)가 제공된다(도 3).
또한, 직사각형의 고정 개구(16) 및 내측 개구(17)가 스탬핑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10)상에서 형성된다. 금속 플레이트(10)의 남아있는 재료는 부분적으로 리지모양을 형성하여, 부분적으로 평면의 전도성 패스(18)를 형성한다. 금속 플레이트(10)의 모든 기능성 요소와 기능성 부분은 판넬 형상(panel-shaped), 시트 금속(sheet metal), 반쯤 완성된 제품(semi-finished product) 상에서 스탬핑 및 스탬핑/벤딩 공정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캐리어 플레이트(20)은 그 위로 강화 세그먼트(22)가 연장되어 금속 플레이트(10)의 내측 개구(17)내로 관통되는, 금속 플레이트(10)을 위한 플랫 접촉 베이스(21)을 형성한다. 강화 세그먼트(22)의 윤곽은 필수적으로 해당되는 부분 요소(11)의 마진의 윤곽(marginal contour)과 상응하여, 금속 플레이트(10)은 캐리어 플레이트(20)에 대하여 배치되고 금속 플레이트(10)은 캐리어 플레이트(20)에 대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그것에 인접할 수만 있다. 또한, 접촉 베이스(21) 는 도 6에서 확대되어 기술되고 캐리어 플레이트(20)상에 금속 플레이트(10)의 양적으로 고정 유지를 위한 고정 요소를 형성하는 래치 러그(24)가 그것을 통해 돌출된 스프링 바(23)를 가진다. 이를 위해서 스프링바(23) 및 래치 러그(24)는 고정 개구을 따라 통과되고 래치 러그(24)는 금속 플레이트(10)의 밑면(3) 뒤로 그립한다(grip). 스프링 바(23)은 금속 플레이트(10) 및 캐리어 플레이트(20)과 결합 후, 대략적으로 중앙으로 고정 개구(16)와 브리지하는 고정 요소 리지(25)로부터 연장된다(도 6 참조). 부분 요소(11.4) 및 (11.5)를 위한 접촉 베이스(21) .4 및 21.5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응하는 부분 요소(11.4) 및 (11.5)의 마진과 상호작용하고 그것을 양적으로 고정하도록 배치된 래치 러그와 스프링 바(23.4), (23.5)에 의해 에지(edge)에서 제한된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10)의 외측 윤곽은 스프링 바(23)에 의해 양적으로 고정되어, 주변을 둘러싸고 그립된다.
연결리지(12)의 위치에 상응하여 캐리어 플레이트(20)은 스탬프된 개구(26)을 포함한다.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리지(12)는 이러한 스탬프된 개구(26)에 대략적으로 중앙에 위치된다.
도 1에서 보여질 수 있는 캐리어 플레이트(20)의 상면(2)은 다섯개의 플랫 플러그 홀더(27)와 각 경우 그것을 따라 돌출된 세로측으로 배치된 세개의 지지(28)를 가지는데, 상기 지지는 플랫 플러그 홀더(27)와 동일한 높이에서 끝난다. 각 플랫 플러그 홀더(27)은 플랫 플러그(30)의 두께에 맞도록 형성되고 수용부(27.2)로 이어지는 삽입 채널(27.1)을 가지며, 이러한 수용부(27.2)는 캐리어 플레이트(20)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주변을 둘러싸서 싸여지고 언더컷을 형성한다. 결국, 접촉 러그 ­ 또는 플랫 플러그 접촉 리셉터클(13),(15)에 상응하여, 접촉 삽입 개구(29)는 캐리어 플레이트(20)상에 자유롭게 남겨진다.
모든 이전에 기술된 캐리어 플레이트(20)의 요소는 캐리어 플레이트(20)의 사출 성형의 공정내에서 한부분으로서 형성된다.
플랫 플러그(30)는 플랫 플러그(30)의 시트면으로 스탬핑되고 벤딩되어서 형성되는 반대쪽으로 배치된 측면(31)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돌출부(32)를 가진다. 또한, 삽입 스탑(insertion stops; 33)은 그루브(27.3)가 제공되는 플랫 플러그 홀더(27)의 자유 표면의 수용을 위해서, 플랫 플러그(30)로부터 측면으로 아래로 돌출된다.
앞부분에서 실시예로 설명된 것처럼 캐리어 플레이트(20)는 예를 들어, PBT와 같은 내열 플라스틱으로부터 사출성형에 의해 한부분으로서 만들어진다. 금속 플레이트(10)은 스탬핑과 벤딩에 의해 제조된다. 그리고 나서, 두 구획 10, 20가 다른 것에 관하여 배치된다. 캐리어 플레이트(20)는 여기서 정상적으로 밑면(3)에 위쪽으로 향하여 배향된다. 금속 플레이트(10)가 자리에 놓여진 후, 연결 도구는 캐리어 플레이트(20)의 접촉 베이스(21) 에 대항하여 금속 플레이트(10)를 누른다. 이렇게 하는데, 래치 러그(24)는 고정 개구(16)의 에지 또는 부분 요소(11.4), (11.5)의 세로방향 에지에 대항하여 래치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캐리어 플레이트(20)의 세로방향 에지상에 제공된, 스프링 바(23)은 외측 윤곽을 따라서 금속 플레이트(10)에 대항하여 래치한다.
그리고 나서, 가름 동작(parting operation)은 연결 리지(12)가 갈라지는 과정에서, 예를 들어, 펀칭 도구과 같은 가름 도구(parting tool)에 의해 수행된다. 펀칭 스탬프는 스탬프된 개구를 따라 깨워지고, 연결 리지(12)는 잘라진다(sheared off). 나머지의 연결리지(12)는 스탬프된 개구(26)의 부분에서 특히 도 4에서 보여질 수 있다. 5개 부분 요소(11.1) 내지 (11.5)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제조된다.
그 후에, 플랫 플러그(30)는 상면(2)으로부터 할당된 플랫 플러그 홀더(27)의 각 삽입 채널 (27.1)내로 끼워진다. 이러한 삽입 동작의 범위내에서, 고정 돌출부(32)는 플랫 플러그 재질 (30)의 면내로 탄성적으로 강제로 되돌아간다. 결국, 플랫 플러그(30)의 팁은 플랫 플러그 리셉터클(15)의 접촉 스프링(14)에 대항하여 눌러져서 초기에 접촉 러그 리셉터클(13)과 같이 형성된 플랫 플러그 리셉터클(15)의 접촉 스프링(14)는 금속 플레이트(10)의 상면(2) 위로 넘어 연장됨에 따라 가져와지고 밑면(3) 위로 연장됨에 따라 굽어진다. 삽입 채널(27.1) 통한 플랫 플러그(30)의 정확한 유도는 접촉 스프링(14)의 이러한 재변형 동작으로 단순화된다. 플랫 플러그(30)은 통상 기계에 의해 압착된다. 플랫 플러그의 삽입 동작은 삽입 스탑(33)이 플랫 플러그 홀더(27)의 그루브(27.3)의 바닥에 인접할 때 멈춘다. 이러한 상태는 단면 기술로 도 5에서 기술된다.
그리고나서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플레이트 요소(1)은 부분 요소(11.1) 내지 (11.5)에 따라 각 전기적 가열 요소의 접촉 러그상으로 눌러져서 가열 회로로 그룹화한다. 여기서 항상 관련된 전기적 가열 요소의 접촉 러그들 중 하나가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부분 요소(11.1)에 의해 접촉되고, 반면 다른 부분 요소(11.2) 내지 (11.4)는 할당된 플랫 플러그(30.2) 내지 (30.5)를 통해 지지(28) 및 플랫 플러그 홀더(27)의 측면 말단상에 위치하고 전도성 패스로 플랫 플러그(30)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플랫 프러그 리셉터클을 가진 전도성 보드로 납땜된, 특정 전원 스위치로, 스위치 연결된다(참조; EP 1 872 986 A1).
본 실시예로 모든 연결리지(12)의 완전 제거로 생략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가열 회로는 변경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1:플레이트 요소(plate element)
2:상면(upper side)
3:밑면(under side)
10:금속 플레이트(metal plate)
11:부분 요소(Area element)
11.1-11.5:개별 가열 회로의 부분 요소(Area element of the individual heating circuits)
12:연결 리지(Connecting ridge)
13:접촉 러그 리셉터클(Contact lug receptacle)
14:접촉 스프링(Contact spring)
15:플랫 플러그 접촉 리셉터클(Flat plug contact receptacle)
16:고정 개구(Retaining opening)
17:내측 개구(Inner opening)
18:전도성 패스(Conductive paths)
20:캐리어 플레이트(Carrier plate)
21:접촉 베이스(Contact base)
22:강화 세그먼트(Stiffening segment)
23:스프링 바(Spring bars)
24:래치 러그(Latching lug)
25:고정 요소 리지(Retaining element ridge)
26:스탬프된 개구(Stamped opening)
27:플랫 플러그 홀더(Flat plug holder)
27.1:삽입 채널(Insertion channel)
27.2:수용부(Receiving region)
27.3:그루브(Groove)
28:지지(Support)
29:접촉 삽입 개구(Contact insertion opening)
30:플랫 플러그(Flat plug)
31:측면(Lateral face)
32:고정 돌출부(Locking protrusion)
33:삽입 스탑(Insertion stop)

Claims (13)

  1.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고, 위로 가열된 매질이 흐르는 가열 전도성 표면에 인접하고,
    전기적 가열 요소들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촉 러그들을 포함하고, 본질적으로 동일 높이로 배열된 접촉 러그들은 전도성 패스들(18) 및 접촉 러그들의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형성된 접촉 러그 리셉터클(13)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1)를 통해 연결되고,
    플레이트 요소(1)는 캐리어 플레이트(20)와 스탬프된(stamped out) 금속 플레이트(10)를 포함하고 캐리어 플레이트(20)와 스탬프된(stamped out) 금속 플레이트(10)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전기적 가열 요소들을 가지는 전기적 가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러그 리셉터클(13)은 금속 플레이트상(10)에서 스탬핑과 벤딩에 의해 일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러그 리셉터클(13)는 접촉 러그들의 반대에 위치한 측면에 인접할 수 있는 접촉 스프링(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캐리어 플레이트(20)는 캐리어 플레이트(20)상의 한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플랫 플러그 홀더(27)에 의해 지탱되고 이것을 통해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랫 플러그(3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금속 플레이트(10)상에 형성된 플랫 플러그 접촉 리셉터클(15)은 플랫 플러그(30)에 배치되고 플러그 연결에 의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열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플랫 플러그(30)는 시트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되고 측면(31)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출부(32)를 포함하고 스탭핑과 벤딩에 의해 제조되어 플랫 플러그 홀더(27)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금속 플레이트(10)는 캐리어 플레이트(20)상에 한 부분으로서 형성된 고정 요소(23)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10) 상에 형성되는 고정개구(16)은 고정 요소(23)를 위해서 형성되고 금속 플레이트(10)를 대항하여 래치하기 위한 그것을 지나는 고정 요소(2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고정 개구(16)는 양면상에 형성된 스프링 바(23)가 래치 러그(24)가 금속 플레이트(10)뒤로 그립되어 아래로 돌출된 캐리어 플레이트(20)의 고정 요소 리지(25)에 의해 본질적으로 중앙으로 브리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열 장치.
  1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금속 플레이트(10)는 전기적 가열 장치의 가열 회로에 할당되고 전도성 패스를 그룹화하는 다수의 부분 요소(11)를 형성하는데 전도성 패스들은 초기에 연결 리지(12)에 의해 다른 것에 연결되고 단일 파트 금속 플레이트의 구성 부분으로서 제조되는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플랫 플러그(30)는 단일 부분 요소(11)에 할당되고 캐리어 플레이트(20)는 연결 리지(12)를 자유롭게 남기는 스탬프된 개구(2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가열 장치.
  11. 캐리어 플레이트(20)가 사출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로부터 제조되고, 금속 플레이트(10)는 연결 리지(12)에 의해 결합되어 부분 요소(11.1-11.5)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탬핑 공정을 거치고 접촉 러그 리셉터클(13; 15)는 부분 요소(11.1-11.5)에 제공되며, 캐리어 플레이트(20) 및 금속 플레이트(10)는 결합되고 그리고나서 연결 리지(12)는 갈라지는 전도성 패스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1)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결합동안, 각각 부분 요소(11.1-11.5)는 캐리어 플레이트(20)에 양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요소(1)의 제조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플랫 플러그(30)는 플랫 플러그 홀더(27)내로 삽입되고 삽입 동작의 끝에서 플랫 플러그 홀더(27)내서 고정되고 금속 플레이트(10)상에서 형성된 플랫 플러그 접촉 리셉터클(50)내에서 할당된 부분 요소(11)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요소(1)의 제조방법.
KR1020120033132A 2011-03-30 2012-03-30 전도성 패스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를 가진 전기적 가열 장치 및 이러한 플레이트 요소의 제조방법 KR101426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2637.4A EP2505931B2 (de) 2011-03-30 2011-03-30 Elektrische Heizvorrichtung mit einem Leiterbahnen aufweisenenden Platten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Plattenelementes
EP11002637.4 2011-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220A KR20120112220A (ko) 2012-10-11
KR101426398B1 true KR101426398B1 (ko) 2014-08-05

Family

ID=4433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132A KR101426398B1 (ko) 2011-03-30 2012-03-30 전도성 패스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를 가진 전기적 가열 장치 및 이러한 플레이트 요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273882B2 (ko)
EP (2) EP2626647B1 (ko)
JP (1) JP5514856B2 (ko)
KR (1) KR101426398B1 (ko)
CN (2) CN1039576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3809B1 (fr) * 2013-03-26 2016-12-16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hauffage electrique de fluid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circuit de chauffage associe
EP2884197B1 (de) 2013-12-13 2017-02-08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2884817B1 (de) 2013-12-13 2017-08-30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2884198B1 (de) 2013-12-13 2016-11-23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EP2884199B1 (de) 2013-12-13 2016-11-23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EP2897230B1 (de) 2014-01-21 2019-05-15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insbesondere einer elektrischen Hei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202014006425U1 (de) 2014-01-24 2014-08-22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Wasserheizer und Heizsystem für ein elektrisch zu betreibendes Fahrzeug mit einem Wasserheizer
EP2966934B1 (de) * 2014-07-08 2016-09-14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Steuervor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A3019194A1 (en) 2016-03-30 2017-10-05 Marine Canada Acquisition Inc. Vehicle heater and controls therefor
US20170295613A1 (en) 2016-04-07 2017-10-12 Lg Electronics Inc. Heater assembly
DE102016224296A1 (de) 2016-12-06 2018-06-07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DE102017210005A1 (de) 2017-06-14 2018-12-20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Kabeldurchführung
DE102017210006A1 (de) 2017-06-14 2018-12-20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omagnetische Abschirmung
DE102017010211A1 (de) 2017-11-02 2019-05-02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DE102017221490A1 (de) 2017-11-30 2019-06-06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DE102020209916A1 (de) 2019-08-06 2021-02-11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S20210045194A1 (en) * 2019-08-06 2021-02-11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ctric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DE202019005222U1 (de) 2019-12-27 2020-04-01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Kontaktierungseinrichtung
DE202020000689U1 (de) 2020-02-19 2020-03-16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Steuervorrichtung sowie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mfassend eine solche
DE102022120417A1 (de) 2022-08-12 2024-02-15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DE102022123503A1 (de) 2022-09-14 2024-03-14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mit einer Anschlus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796U (ja) * 1991-10-24 1993-05-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イカヒータ
JP2008007106A (ja) * 2006-06-28 2008-01-17 Catem Gmbh & Co Kg 電気加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44151A1 (fr) 1976-03-08 1977-10-07 Amp Inc Connecteur electriqu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FR2642573B1 (fr) 1989-01-27 1993-09-17 Seb Sa Connecteur electrique pour element chauffant
JPH0538796A (ja) 1991-08-05 1993-02-19 Yoshimura Kikai:Kk 真空ラミネート方法
CN2141534Y (zh) 1992-09-22 1993-09-01 王士海 板式强化换热快速电热水器
JP2756075B2 (ja) * 1993-08-06 1998-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金属ベース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658919B2 (ja) 1997-04-15 2005-06-1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情報伝送方法
DE50011929D1 (de) 2000-05-23 2006-01-26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den Einsatz in Kraftfahrzeugen
US7064301B2 (en) * 2004-03-22 2006-06-20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Electric heater
DE102007031727A1 (de) 2006-08-31 2008-03-20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von elektrischen Leitern
EP2017545B1 (de) 2007-07-18 2012-04-25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TW201019548A (en) 2008-11-03 2010-05-16 Chant Sincere Co Ltd Universal serial b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00055262A (ko) 2008-11-17 2010-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용량 피티씨 히터
EP2236330B1 (de) * 2009-03-30 2011-09-28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Elektrische Hei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9026459A1 (de) 2009-05-26 2010-12-09 Robert Bosch Gmbh Leiterbahnstruktur mit Vorumspritz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796U (ja) * 1991-10-24 1993-05-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マイカヒータ
JP2008007106A (ja) * 2006-06-28 2008-01-17 Catem Gmbh & Co Kg 電気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5931B2 (de) 2022-01-12
CN103957611A (zh) 2014-07-30
EP2505931A1 (de) 2012-10-03
EP2626647B1 (de) 2014-06-11
US20120248091A1 (en) 2012-10-04
CN102734936B (zh) 2015-02-18
KR20120112220A (ko) 2012-10-11
JP5514856B2 (ja) 2014-06-04
US9273882B2 (en) 2016-03-01
JP2012211758A (ja) 2012-11-01
EP2626647A1 (de) 2013-08-14
EP2505931B1 (de) 2015-07-01
US20140096388A1 (en) 2014-04-10
CN103957611B (zh) 2015-10-28
CN102734936A (zh)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398B1 (ko) 전도성 패스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요소를 가진 전기적 가열 장치 및 이러한 플레이트 요소의 제조방법
US8803036B2 (en) Electric he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4856128B2 (ja) 電気補助ヒータ
CN106575738B (zh) 用于电化学设备的池元接触系统和用于制作池元接触系统的方法
US7775806B2 (en) Electronic housing with a conductive plate
KR101515313B1 (ko) 전자장치용 접속구조
JPH10242592A (ja) 電気回路のためのプリント基板及びその製法
CN212367544U (zh) 电加热设备
US9545001B2 (en) Printed board with board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using same
CN1802884B (zh) 一种用于电子设备的电开关及其制造方法
US20070111566A1 (en) Elastomeric connector assembly
CN117715358A (zh) 控制装置及包括该控制装置的电加热装置
CN110249485B (zh) 连接器及具备该连接器的电连接组件的制造方法
CN212392453U (zh) 接触装置
CN213989270U (zh) 控制装置以及包括这种控制装置的电加热设备
KR20120103133A (ko) Hdmi 커넥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280991B1 (ko)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1158519B1 (ko) 전기 가열 장치 제조 방법 및 전기 가열 장치
US5229548A (en) Circuit board having a stamped substrate
EP03265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tamped substrate
CN207527489U (zh) 用于发光装置的发光单元及发光装置、车灯
JP6601330B2 (ja) 暗電流回路の断続構造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6638584B2 (ja) 電気接続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20060110981A1 (en) Female multipole connector for electrical plug-type connectors
JPH0753013B2 (ja) カプラー接続装置用端子ホルダ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