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032B1 -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032B1
KR101426032B1 KR1020130083256A KR20130083256A KR101426032B1 KR 101426032 B1 KR101426032 B1 KR 101426032B1 KR 1020130083256 A KR1020130083256 A KR 1020130083256A KR 20130083256 A KR20130083256 A KR 20130083256A KR 101426032 B1 KR101426032 B1 KR 101426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inforcing
fiber panel
reinforcing fib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희
Original Assignee
(주)진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성테크 filed Critical (주)진성테크
Priority to KR102013008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5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을 갖는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화섬유,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 난연ABS수지, 고온경화제, 수산화알루미늄, 이형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촉진제, D-오르벤, 소포제가 포함되어 생산된 강화섬유패널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강하게 됨으로써, 구조물의 보수,보강시 인장강도, 휨강도, 압축강도가 크게 향상되어 우수한 강도보강이 이루어짐은 물론 배력방향의 인장강도도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Fibre composite panel and earthquake-resistant construct method of structure using of that}
본 발명은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보강하기 위한 강화섬유패널과, 이 강화섬유패널을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은 크게 강판 접착공법, 연속섬유시트 접착공법, 단면증설공법 등이 있다.
강판 접착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강판을 접착제로 부착하고, 앵커로 고정하는 공법으로써, 강판의 자중이 크고, 시공시의 안전성에 주의가 필요하며, 강판 자체가 녹슬어 부식되므로, 보강 효과는 그다지 뛰어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연속섬유시트 접착공법은 탄소섬유 등의 고강도 복합섬유에 상온 경화형 에폭시수지를 충분히 함침시킨 시트 상의 연속섬유시트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수지로 붙여 복합시키는 공법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접착한 것만으로는 시트의 박리 파괴에 의해, 충분한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단면증설공법은 FRP 부재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앵커볼트로 고정한 후,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시공하는 공법으로서, FRP부재와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충전되는 모르타르의 부착강도가 불충분하고, FRP부재가 전단력을 부담하기 전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모르타르가 쉽게 박리하여 충분한 보강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물의 보수,보강시 인장강도, 휨강도, 압축강도를 크게 향상시켜 우수한 강도보강을 제공함은 물론 배력방향의 인장강도도 크게 향상시키는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패널은, 강화섬유,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 난연ABS수지, 고온경화제, 수산화알루미늄, 이형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촉진제, D-오르벤, 소포제가 포함되어 생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강화섬유 45~60중량%,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 4~12중량%, 폴리에스테르수지15~25중량%,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 3~6중량%, 난연ABS수지 3~5중량%, 고온경화제 0.1~1중량%, 수산화알루미늄 1~4중량%, 이형제 0.1~0.6중량%,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2~4중량%, 촉진제 0.1~1중량%, D-오르벤 0.1~1중량%, 소포제 0.1~1중량%로 함유되어 전체 100중량%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화섬유패널의 양면 또는 일측면에 인을 함유한 벤조산 폴리에스테르를 1~2mm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을 함유한 벤조산 폴리에스테르는 전체 100중량% 중, 인이 20중량%, 벤조산 폴리에스테르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강화섬유패널을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홀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앵커홀 위에 상기한 구성의 강화섬유패널을 올려 놓고 앵커로서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강화섬유패널 사이의 공간에 실링제를 밀봉하는 단계 및; (d)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강화섬유패널 사이의 공간을 모르타르 및 에폭시로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에 의하면, 구조물의 보수,보강시 인장강도, 휨강도, 압축강도가 크게 향상되어 우수한 강도보강이 이루어짐은 물론 배력방향의 인장강도도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화섬유패널을 제조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강화섬유패널은, 강화섬유,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 난연ABS수지, 고온경화제, 수산화알루미늄, 이형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촉진제, D-오르벤, 소포제를 포함하는 혼화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강화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전체 100중량% 중, 45 내지 6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강화섬유가 45중량% 미만일 경우 강화섬유패널의 인장강도, 압축강도, 휨강도가 기준 이하로 나와 강화섬유패널의 성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며, 60중량%를 초과할 경우 강화섬유패널에 강화섬유의 함량이 높아져 혼화물(강화섬유패널에서 강화섬유,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 이외의 물질)이 충분히 강화섬유에 함침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강화섬유패널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는 전체 100중량% 중, 4 내지 12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가 4중량% 미만일 경우 강화섬유패널의 배력방향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시공시 약화된 배력방향의 인장강도 때문에 강화섬유패널이 일방향으로 찢어지는 현상이 생겨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고, 12중량%를 초과할 경우 나머지 성분의 함량이 낮아져 강화섬유패널의 품질관리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는 매트형 제품으로서, 인발로 생산된 강화섬유 패널은 상대적으로 배력방향의 인장강도가 취약하나,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는 배열방식이 배력방향을 포함한 다중보강이 가능한 잇점을 갖는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전체 100중량% 중, 15 내지 2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폴리에스테르수지 함량이 15중량% 미만일 경우 강화섬유 및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에 함침되어야 할 폴리에스테르수지 함량이 적어 함침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25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충분한 강화섬유패널의 강도를 가지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는 전체 100중량% 중, 3 내지 6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는 산과 알카리에 대해 내식성과 기계적 강도, 경화성이 우수하여 강화섬유 함침용 수지로 많이 쓰이게 되는데, 이는 열경화 플라스틱수지와 달리 유동성이 좋아서 강화섬유와의 함침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함침성이 떨어지는 다른 열경화 플라스틱수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보다 인장강도와 휨강도 및 압축강도가 뛰어난 강화섬유패널의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의 함량이 3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 수지의 내식성과 기계적 강도를 기대하기 어렵고, 6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초과된 만큼 강화섬유와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 수지 간의 충분한 함침 효과를 보기 어렵게 된다.
또한, 난연ABS수지는 석유에서 추출한 화학물질을 혼합해 만든 산업용 플라스틱 소재로서 불에 잘 타지 않는 기능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함유되며, 전체 100중량% 중, 3~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난연ABS수지의 함량이 3중량% 미만일 경우 강화섬유패널의 난연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생기고, 5중량% 이상일 경우 초과된 만큼 더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고온경화제는 강화섬유패널의 생산시 고온에서 강화섬유패널 혼화제가 신속히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퍼록시벤조네이트가 98% 이상 포함된 것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온경화제는 전체 100중량% 중, 0.1~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고온경화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강화섬유패널의 혼화제가 고온에서 경화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게 되고, 1중량%를 초과하였을 경우 초과된 만큼 더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수산화알루미늄은 강화섬유패널의 충진률을 향상시키고, 200도 이하에서 일부 난연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체 100중량% 중, 1~4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 충진이 충분히 되지 않아 난연성을 발휘하기 어렵고, 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 배합비에 포함되는 중량%가 많아져서 혼화제의 점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생겨 강화섬유패널을 생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형제는 강화섬유패널이 금형에서 고온성형될 때, 금형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전체 100중량% 중 0.1~0.6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형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강화섬유패널 생산시 강화섬유패널이 금형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여 생산에 차질이 생기고, 0.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한 만큼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는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 난연성ABS수지를 작은 입자로 분산시켜 안정화시키는 물질로서, 최종 제품의 표면 광택 및 치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며, 전체 100중량% 중 2~4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일 경우 제품 표면의 광택이 좋지 않고 제품의 치수 또한 균일하지 않게 제작되는 문제점이 있고, 4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 난연ABS수지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간의 상분리율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 촉진제는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가 금형에서 고온 성형될 때 빠르게 경화되지 않는 단점을 보완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전체 100중량% 중 0.1~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촉진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강화섬유패널의 생산시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아 제품으로의 가치가 없게 되고,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한 만큼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D-오르벤(D-orben)은 적정한 증점성과 칙소성을 부여하고 우수한 도막의 흐름방지 효과를 발휘하며, 혼화제의 보관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 및 칙소성 계수의 변화를 저하시키고 우수한 저장안정성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혼화제에 증점성과 칙소성을 부여함으로써 함침시킨 혼화제가 경화 중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D-오르벤은 전체 100중량% 중, 0.1 내지 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D-오르벤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한 만큼 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소포제는 기포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즉, 강화섬유와 수지의 함침시 강화섬유 사이에 기포가 발생할 경우 강화섬유 및 수지의 결합강도가 낮아져 강화섬유패널의 인장강도 및 휨강도의 저하가 발생되는데, 상기 소포제는 이러한 기포발생을 억제시키게 된다.
여기서, 소포제는 전체 100중량% 중, 0.1 내지 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1중량%를 초과할 경우 초과된 만큼 더 이상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혼화물로 이루어지는 강화섬유패널을 생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강화섬유패널을 생산하는 장치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섬유패널은 인발성형과정시 금형(40)에 강화섬유(10)와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80)가 수지탱크(20)에 있는 수지에 함침(Wetting)된 후, 금형(40)에서 고온 경화되어 롤러(60)에 의해 당겨지는 방식으로 생산된다.
실시예1 및 비교예1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비교예1에서는 강화섬유로서 유리장섬유를 이용하였다.
혼화물은 실시예1 및 비교예1에 기재된 함량(아래 표 참조)으로 준비된 통에 투입한 후, 믹서로 혼합시켰으며 그 후에 수지탱크(20)에 투입하였다.
이때, 금형(40)의 온도는 150℃로 맞추되, 금형의 크기는 폭 600mm, 높이 3mm로 맞추어서 강화섬유패널(50)이 폭 600mm, 높이 3mm로 제작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유리장섬유(10)는 먼저 포밍가이드(30)에 일정간격으로 정렬시켜서 강화섬유패널에 유리장섬유가 일정하게 분포되도록 끼워주며, 금형(40)을 통과시켜 롤러가 잡아당길 수 있도록 롤러(60) 부위까지 잡아당긴다.
또한,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80)는 유리장섬유(10) 위아래로 정렬시키고, 역시 금형(40)을 통과시켜 롤러(60)가 당길 수 있도록 롤러(60) 부위까지 잡아당긴다.
이 상태에서 금형의 온도가 150℃를 유지하면서 롤러(60)가 유리장섬유(10) 및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80)를 당기게 되면, 유리장섬유(10)는 수지탱크(20)에 충분히 함침되어 나오게 되며, 금형(40)에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폭 600mm, 높이 3mm의 크기로 강화섬유패널(50)로 생산된다.
참고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0)은 롤러(60)를 통과한 강화섬유패널(50)을 설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기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의 표 1은 강화섬유패널을 생산함에 있어서, 각 혼화물의 함량을 달리 하여 생산한 실시예1 및 비교예1에 따른 강화섬유패널의 혼화비(조성비)를 나타낸 것이다.
함량(중량%) 실시예1 비교예1
유리장섬유 54 60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 6 0
폴리에스테르수지 24 35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 5 0
난연ABS수지 4 0
고온경화제 0.5 0.5
수산화 알루미늄 2 0
이형제 0.2 0.2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3 3
촉진제 0.5 0.5
D-오르벤 0.5 0.5
소포제 0.3 0.3
여기서, 실시예1 및 비교예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강화섬유로서 유리장섬유를 사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혼화비로 생산된 강화섬유패널로서 일방향 인장강도, 배력방향 인장강도, 휨강도 및 압축강도를 각각 시험하였는데, 그 결과 값은 아래의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시험방법 실시예 비교예
일방향(0도)
인장강도
(N/mm2)
ksm3381 742 358
배력방향(90도)
인장강도
(N/mm2)
ksm3381 340 55
45도
인장강도
(N/mm2)
ksm3381 337 65
135도
인장강도
(N/mm2)
ksm3381 351 58
휨강도
(N/mm2)
ksm3382 25175 15875
압축강도
(N/mm2)
ksm3383 657 511
위의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1과 비교예1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1의 경우에 인장강도, 휨강도, 압축강도가 전체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유리장섬유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강도면에서 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할 것이다.
즉,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는 다방향성 매트로 일방향과 배력방향의 인장강도를 추가로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휨강도와 압축강도도 높이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방향 및 배력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45도와 135도에서도 인장강도, 휨강도, 압축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예1과 비교예1을 비교해 보면, 실시예1의 경우 열경화 플라스틱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 난연ABS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한 반면, 비교예1은 폴리에스테르수지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차이가 있다.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대표적인 열경화 플라스틱 수지이기는 하나, 비교예1에서와 같이 이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유리섬유와의 함침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인장강도와 휨강도 및 압축강도가 실시예1 보다 좋지 못한 결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1과 비교예1에 따라 제조된 강화섬유패널의 시편을 KSM3305의 측정방법으로 하중변형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구분 하중변형 온도(℃)
실시예1 80
비교예1 62
위의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1에 따른 강화섬유패널의 시편은 그 하중변형온도가 비교예1에 따른 강화섬유패널의 시편 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1에 따른 강화섬유패널이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건축물, 구조물 등에 부착 시공할 경우) 비교예1에 따른 강화섬유패널보다 하중변형온도가 높아 수축, 팽창, 변형 등의 저항이 커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열에 약한 성질을 가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강화섬유패널의 경우 그 전체 혼화물에 폴리에스테르수지의 함량을 종래보다 감소시킴으로써, 고온에 의한 하중변형의 저항성이 증대된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실시예2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라 생산된 강화섬유패널 표면에 인을 함유한 벤조산 폴리에스테르를 도포하여 보다 향상된 난연성을 확보하였다.
이 경우, 전체 100중량% 중, 인은 20중량%, 벤조산 폴리에스테르는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성형된 강화섬유패널 제품의 양면 또는 일측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1~2mm의 두께로 도포하여 보다 향상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을 함유한 벤조산 폴리에스테르를 강화섬유패널의 표면에 2mm 두께로 도포하고 난연성을 시험한 결과, 아래의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시험방법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ul-94 v-1 v-0 fall
위의 표 4에서와 같이, 시험방법 UL-94방법으로 실시예1,2와 비교예1을 시험한 결과, 비교예1의 경우 불이 꺼지지 않고 계속 타올라 FALL 판정이 나왔고, 실시예1의 경우 강화섬유패널에 붙은 불이 25초 후에 꺼져 V-1판정이 나왔으며, 실시예2의 경우 강화섬유패널에 붙은 불이 8초 후에 꺼져서 V-0 판정이 나왔다.
이와 같이, 비교예1의 경우에는 난연성을 가지는 혼화물이 없기 때문에 난연성 효과를 전혀 거두지 못하였고, 실시예1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난연성을 발휘하나 그 효과가 제한적이며, 실시예2의 경우 난연성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혼화비로서 생산된 강화섬유패널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보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홀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강화섬유패널을 올려놓고 앵커로서 고정한다.
다음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강화섬유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실링제로 밀봉하고, 모르타르 및 에폭시로 충진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1,2에 따라 생산된 강화섬유패널과, 비교예1에 따라 생산된 각각의 강화섬유패널을 상기와 같은 공법에 동일하게 적용하였는데,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1,2에 따라 생산된 강화섬유패널의 경우에는 균열, 깨짐 등의 문제 발생 없이 무사히 시공이 완료되었다.
반면에,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1에 따라 생산된 강화섬유패널의 경우, 모르타르 및 에폭시를 충진하는 과정에서, 강화섬유패널이 옆으로 갈라지는 현상과 함께 충진되는 에폭시가 그 사이로 흘러내리는 등의 하자가 발생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강화섬유(유리장섬유) 20 : 수지탱크
30 : 포밍가이드 40 : 금형
50 : 복합섬유패널 60 : 롤러
80 :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

Claims (5)

  1. 강화섬유,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 난연ABS수지, 고온경화제, 수산화알루미늄, 이형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상기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의 경화를 촉진하는 촉진제, D-오르벤, 소포제가 포함되어 생산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화섬유 45~60중량%, 상기 다방향성 유리섬유매트 4~12중량%,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15~25중량%, 상기 비닐 페놀형 비닐에스테르수지 3~6중량%, 상기 난연ABS수지 3~5중량%, 상기 고온경화제 0.1~1중량%, 상기 수산화알루미늄 1~4중량%, 이형제 0.1~0.6중량%, 상기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2~4중량%, 상기 촉진제 0.1~1중량%, 상기 D-오르벤 0.1~1중량%, 상기 소포제 0.1~1중량%로 함유되어 전체 100중량%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섬유패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패널의 양면 또는 일측면에 인을 함유한 벤조산 폴리에스테르를 1~2mm 두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섬유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을 함유한 벤조산 폴리에스테르는 전체 100중량% 중, 인이 20중량%, 벤조산 폴리에스테르가 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섬유패널.
  5.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홀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앵커홀 위에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강화섬유패널을 올려 놓고 앵커로서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강화섬유패널 사이의 공간에 실링제를 밀봉하는 단계 및;
    (d)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상기 강화섬유패널 사이의 공간을 모르타르 및 에폭시로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20130083256A 2013-07-16 2013-07-16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142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256A KR101426032B1 (ko) 2013-07-16 2013-07-16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256A KR101426032B1 (ko) 2013-07-16 2013-07-16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032B1 true KR101426032B1 (ko) 2014-08-05

Family

ID=5174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256A KR101426032B1 (ko) 2013-07-16 2013-07-16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0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264B1 (ko) 2017-01-12 2017-06-20 (주)양대이엔지 난연성이 우수하고 가스 유해성을 저감시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KR102658705B1 (ko) 2023-04-03 2024-04-18 주식회사 케이에프컴스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959B1 (ko) 1998-05-26 2004-05-03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및 수지
KR100439922B1 (ko) 2001-12-14 2004-07-12 근형기업 주식회사 섬유보강 수지 난연 판넬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1061248B1 (ko) 2011-03-02 2011-09-01 (유)한국기계 강화섬유 내진판넬,이를 이용한 내진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959B1 (ko) 1998-05-26 2004-05-03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방법 및 수지
KR100439922B1 (ko) 2001-12-14 2004-07-12 근형기업 주식회사 섬유보강 수지 난연 판넬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1061248B1 (ko) 2011-03-02 2011-09-01 (유)한국기계 강화섬유 내진판넬,이를 이용한 내진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264B1 (ko) 2017-01-12 2017-06-20 (주)양대이엔지 난연성이 우수하고 가스 유해성을 저감시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널
KR102658705B1 (ko) 2023-04-03 2024-04-18 주식회사 케이에프컴스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82399B (zh) 一种不饱和聚酯树脂纤维增强片状模塑料及其制备方法
EP2794272B1 (en) Prepreg,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KR101211383B1 (ko) 단열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KR101061524B1 (ko)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20140097103A (ko) 섬유 강화 복합 재료용 2액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섬유 강화 복합 재료
KR101061248B1 (ko) 강화섬유 내진판넬,이를 이용한 내진시공방법
KR101426032B1 (ko)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CN110036050B (zh) 耐热/湿的低密度环氧组合物
KR101835426B1 (ko)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frp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20180094350A (ko) 난연성이 우수한 경량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211850325U (zh) 复合板
KR101498998B1 (ko) 구조물 보강용 고강도 복합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CN114773817B (zh) 一种玻璃钢拉挤型材及其制备方法
KR101830099B1 (ko)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frp 조성물
CN110863601A (zh) 复合板
CN110847484A (zh) 复合板
JP2012025122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平板の製造方法
KR101838848B1 (ko)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벌크몰드 컴파운드용 에폭시수지 조성물
AU2014298111B2 (en) A process for the making of composite material products having reinforcing layers and resin
KR1022470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섬유 시트 및 보강 판넬,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CN211850324U (zh) 复合板
KR100896766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통기성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1001763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 phenolic resin,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such a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a composite material
JP2010095943A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101986114B1 (ko)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난연재료인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