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524B1 -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524B1
KR101061524B1 KR1020100085970A KR20100085970A KR101061524B1 KR 101061524 B1 KR101061524 B1 KR 101061524B1 KR 1020100085970 A KR1020100085970 A KR 1020100085970A KR 20100085970 A KR20100085970 A KR 20100085970A KR 101061524 B1 KR101061524 B1 KR 10106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ame
foam sheet
fiber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석
김성일
진동열
Original Assignee
매일종합건설(주)
주식회사 엠텍
(주)매일
매일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일종합건설(주), 주식회사 엠텍, (주)매일, 매일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매일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10008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보강패널 제조시 흑연을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의 일면 또는 양면에 투입하여 난연보강패널을 제조함으로써, 보강성과 난연성을 높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보강패널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연보강패널 제조방법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은 보강할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을 치핑하고, 상기 치핑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에폭시를 주입한 후,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로 구성된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을 앵커로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The flame resisting reinforcement panel for which fire sheets were used and the concrete structure means of reinforcement work for which this production technique and this were used}
본 발명은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포시트를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하여 제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정착용 앵커로 시공하는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으로는 강판접착보강공법, 섬유시트부착공법, 섬유판 보강공법 등이 있다.
상기한 강판접착보강공법은 보강성능이 우수한 편이나 과다한 중량으로 시공성이 떨어지고 강판의 부식발생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섬유시트부착공법은 역시 보강성능이 우수하여 경량으로 자중의 증가가 거의 없으며, 구조물의 형상에 제약이 없는 것이 장점이나, 현장함침 작업으로 작업성은 물론 품질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섬유판보강공법은 내구성,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수지주입방식으로 균열부 보수가 가능하고, 경량으로 자중의 증가가 없으나 균열부 동시보수로 과도한 수지주입량 조절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보강공법의 공통적인 단점 중의 하나가 화재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이에 등록특허 10-0439922 (섬유보강 수지 난연패널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에서 난연 3급의 난연패널을 제시하고 있으나, 난연효과를 내기 위해 과도한 난연제의 투입으로 보강재로서의 인장 강도 값이 많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변경된 기준(건축물 내부마감재료의 난연성능기준 -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9-866호)에는 부적합하여 난연성능 확보가 안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보강성능을 유지하면서 난연효과가 뛰어난 보강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포시트를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의 일면 또는 양면에 투입하여 난연보강패널을 제조하고, 이러한 난연보강패널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 제조방법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은 보강할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을 치핑하고, 상기 치핑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에폭시를 주입한 후,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로 구성된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을 앵커로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은 난연보강패널 제조시 발포시트를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의 일면 또는 양면의 표면에 투입하여 난연보강패널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난연보강패널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보강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을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발포시트, 열경화성수지, 저수축제, 고온경화제, 저온경화제, 충전제, 희석제, 자외선차단제, 소포제, 안료 및 이형제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패널이다.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는 보강패널의 보강성능을 부여하는 재료로 필라멘트와인딩(Filament winding)용, 인발성형(Pultrusion)용으로 설계된 제품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발포시트는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인 발포시트로 인발성형 적층(Lamination)이 가능한 제품이다.
그리고 상기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에 노볼락기(NOVOLAC)가 들어간 제품으로 내식성, 내열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제품이다.
또한, 상기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는 제품 성형시 수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고온경화제(TBPB, Tert-Butyl PeroxyBenzoate)는 Peroxybenzoate 98% 이상을 포함하는 액체과산화물로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의 고온경화제로 유효한 첨가제이다.
또한, 상기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 peroxy-dicarbonate)는 백색분말 형태로 분자 내에 과산소결합을 함유하고 있는 유기화합물로서, 분해온도가 낮아 저온 속경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는 제품의 충전제 역할을 하며 일부 저온(200℃ 이하)에서의 난연성능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는 폴리머나 첨가제와의 융합성이 뛰어난 광 안정제(light stabilizer)이다.
또한, 상기 이형제는 합성수지, 글리세린, 유기 에스테르의 합성, 응축된 화합물로 수지 배합시 직접 수지에 첨가하는 내부 유동 변형제이며, 이형제이다.
그리고 상기 소포제는 비실리콘계 소포제로 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로 한 소포제로 비수성(non-aqueous)이며 뛰어난 억포 및 파포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안료는 제품에 색상을 부여하는 조색제로 수지용 제품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희석제(스티렌모노머)는 수지 배합시 원활한 배합을 위해서 소량을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은 발포시트를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의 일면 또는 양면의 표면에 투입하여 난연보강패널을 제조함으로써, 보강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난연보강패널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난연보강패널 제조방법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시트 언코일러(10)에 감긴 발포시트(1)와, 로빙작업대(20)에 배치된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2)를 각각 풀어서 섬유 1차 가이드(30)를 통과시킨 후, 상기 섬유 1차 가이드(30)를 통과한 발포시트(1)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2) 및 섬유층 중앙에 성형제품의 쪼개짐 방지 및 지압능력 확보를 위한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로 제작된 로빙크로스(3)를 겹쳐서 섬유 2차 가이드(40)를 통과하면서 1차 성형된 섬유 다발을 열경화성수지, 저수축제, 고온경화제, 저온경화제, 충전제, 희석제, 자외선차단제, 소포제, 안료, 이형제로 구성된 혼합수지가 침전된 함침조(50)에서 함침시킨 후, 인발기(80a, 80b)에 의해 인발되면서 성형가이드(60) 및 금형(70)을 통과한 성형된 최종 제품을 최종적으로 커팅기(90)에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5)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발포시트는 생산속도에 맞게 적당한 텐션이 유지되면서 투입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할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S)을 치핑하고, 상기 치핑된 콘크리트 구조물(S)에 에폭시를 주입한 후,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로 구성된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P)을 앵커(A)로 고정 설치한다.
특히, 상기한 난연보강패널(P)은 그 일측에만 발포시트가 부착되기 때문에 측면이나 접착제의 난연성이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정착용 앵커(A)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S) 내에 매입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 및 시공되는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의 일면 또는 양면의 표면에 발포시트를 투입하여 난연보강패널(P)을 제조하고, 이러한 난연보강패널(P)을 콘크리트 구조물(S)에 앵커(A)로 시공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S)의 보강성과 난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난연보강패널(P)이 노출되지 않음으로 외부 미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1: 발포시트 2: 섬유
3: 로빙크로스 4: 함침된 1차 성형제품
5: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 10: 발포시트 텐션 언코일러
20: 로빙작업대 30: 섬유 1차 가이드
40: 섬유 2차 가이드 50: 함침조
60: 성형가이드 70: 금형
80a, 80b: 인발기 90: 커팅기
A: 앵커 P: 난연보강패널
S: 콘크리트 구조물

Claims (3)

  1.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
  2.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 제조방법.
  3. 보강할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S)을 치핑하고, 상기 치핑된 콘크리트 구조물(S)에 에폭시를 주입한 후,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섬유 68.28중량%, 팽창성 흑연(exfoliating graphite)을 포함하는 발포시트 0.77중량%, 열경화성수지(NOVOLAC VINYL ESTER RESIN) 20.13중량%, 저수축제(Poly Vinyl Acetate계) 6.76중량%, 고온경화제(TBPB) 0.51중량%, 저온경화제(bis-(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0.51중량%, 충전제(수산화알루미늄 Al(OH)3) 1.0중량%, 희석제(스티렌모노머) 0.51중량%, 자외선차단제(UV531, 2-Hydroxy-4-n-octoxybenzophenone) 0.34중량%, 소포제(Polyalkylene Glycol계 유도체) 0.34중량%, 안료 0.34중량%, 이형제 0.51중량%로 구성된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P)을 앵커(A)로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1020100085970A 2010-09-02 2010-09-02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10106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70A KR101061524B1 (ko) 2010-09-02 2010-09-02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970A KR101061524B1 (ko) 2010-09-02 2010-09-02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524B1 true KR101061524B1 (ko) 2011-09-01

Family

ID=4495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970A KR101061524B1 (ko) 2010-09-02 2010-09-02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52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821B1 (ko) * 2014-05-08 2015-04-08 평원개발(주) 도관 보수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관 보수방법
KR101667336B1 (ko) * 2016-05-11 2016-10-18 박성하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N108822517A (zh) * 2018-07-07 2018-11-16 南京工业大学 一种隔热阻燃组合板
KR102153952B1 (ko) 2020-02-21 2020-09-10 주식회사 강산이앤씨 압출 성형 콘크리트 패널과 알루미늄 패널 일체형 조립식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2173974B1 (ko) * 2020-03-19 2020-11-04 주식회사 콘크리닉이앤씨 콘크리트 및 강 구조물용 함침 유리섬유시트 및 제조 장치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KR102247034B1 (ko) * 2020-10-08 2021-04-30 주식회사 에코이앤씨 콘크리트 구조물용 섬유 시트 및 보강 판넬,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2265319B1 (ko) * 2020-07-23 2021-06-16 장춘기 콘크리트 기둥을 화재 및 폭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강공법
KR102427784B1 (ko) * 2021-03-11 2022-07-29 손혁준 섬유보강 시트, 섬유보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66A (ja) 1997-06-23 1999-01-19 Asahi Fiber Glass Co Ltd 耐火断熱パネル
KR100439922B1 (ko) 2001-12-14 2004-07-12 근형기업 주식회사 섬유보강 수지 난연 판넬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66A (ja) 1997-06-23 1999-01-19 Asahi Fiber Glass Co Ltd 耐火断熱パネル
KR100439922B1 (ko) 2001-12-14 2004-07-12 근형기업 주식회사 섬유보강 수지 난연 판넬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821B1 (ko) * 2014-05-08 2015-04-08 평원개발(주) 도관 보수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관 보수방법
KR101667336B1 (ko) * 2016-05-11 2016-10-18 박성하 팽창흑연을 이용한 난연 및 불연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N108822517A (zh) * 2018-07-07 2018-11-16 南京工业大学 一种隔热阻燃组合板
CN108822517B (zh) * 2018-07-07 2021-01-08 南京工业大学 一种隔热阻燃组合板
KR102153952B1 (ko) 2020-02-21 2020-09-10 주식회사 강산이앤씨 압출 성형 콘크리트 패널과 알루미늄 패널 일체형 조립식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2173974B1 (ko) * 2020-03-19 2020-11-04 주식회사 콘크리닉이앤씨 콘크리트 및 강 구조물용 함침 유리섬유시트 및 제조 장치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KR102265319B1 (ko) * 2020-07-23 2021-06-16 장춘기 콘크리트 기둥을 화재 및 폭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강공법
KR102247034B1 (ko) * 2020-10-08 2021-04-30 주식회사 에코이앤씨 콘크리트 구조물용 섬유 시트 및 보강 판넬,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2427784B1 (ko) * 2021-03-11 2022-07-29 손혁준 섬유보강 시트, 섬유보강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524B1 (ko)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CN105482399B (zh) 一种不饱和聚酯树脂纤维增强片状模塑料及其制备方法
CN106349446B (zh) 一种高纤维含量纤维增强聚氨酯硬泡合成板材及其制作方法
KR101211383B1 (ko) 단열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KR101534198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불연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CN106243631A (zh) 一种拉挤成型的玄武岩纤维增强热固性树脂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44957B1 (ko)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US20130318908A1 (en) Composite face panels for structural insulated panels
RU2549877C1 (ru) Связующее на основе эпоксивинилэфирной смолы и огнестойкий полимер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на его основе
KR101034228B1 (ko)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 및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의 시공방법
KR102245148B1 (ko) 시트몰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몰딩 컴파운드
CN104387719A (zh) 纤维增强酚醛树脂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643558B1 (ko) 복합소재를 이용한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204368B1 (ko) 현무암 섬유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보수보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1248B1 (ko) 강화섬유 내진판넬,이를 이용한 내진시공방법
KR101835426B1 (ko)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frp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1082984B1 (ko) 저비중, 고강도 및 속경화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7662B1 (ko) 창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창호
CN114773817B (zh) 一种玻璃钢拉挤型材及其制备方法
Yalcin Hollow glass microspheres in sheet molding compounds
RU2573003C2 (ru) Эпоксивинилэфирная смола и огнестойкий полимерны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на ее основе
KR102440719B1 (ko) 고내열성 섬유 및 페놀수지를 포함하는 내화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426032B1 (ko)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1498998B1 (ko) 구조물 보강용 고강도 복합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CN104558484A (zh) 一种增强型阻燃硬质聚氨酯复合材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