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705B1 -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705B1
KR102658705B1 KR1020230043379A KR20230043379A KR102658705B1 KR 102658705 B1 KR102658705 B1 KR 102658705B1 KR 1020230043379 A KR1020230043379 A KR 1020230043379A KR 20230043379 A KR20230043379 A KR 20230043379A KR 102658705 B1 KR102658705 B1 KR 10265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mpregnate
thermosetting resi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박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프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프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프컴스
Priority to KR1020230043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0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리섬유를 배열하는 제 1-1단계; 열경화성수지, 상용화제, 몰드이형제, 자외선차단제, 난연제, 보조필러, 경화제를 혼합한 콤파운드를 제조하는 제 2-1단계; 상기 유리섬유에 상기 콤파운드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3-1단계; 상기 제 1함침물 상부에 넥서스베일을 위치시켜 제 2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4-1단계; 상기 제 2함침물을 몰드에 투입하고 경화시켜 인발하는 제 5-1단계; 인발된 상기 제 2함침물을 절단하는 제 6-1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Panel manufacturing method with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은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화학 물질에 대해 내식성을 가지는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전세계적인 반도체 및 석유화학 강국이며 그에 따라 각종 화학탱크, 공업용수 탱크, 폐수 탱크, 초순수 탱크 등의 수요가 매우 큰 편이다. 기존의 각종 화학 탱크 및 공업용 탱크 들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탱크 및 내부식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스틸, 내식성 FRP 및 라이닝, 내약품성 열가소소성 수지 라이닝 탱크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기존의 콘크리트 탱크의 경우 콘크리트의 특성 상 여러 가지 산성 및 알칼리 조건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스테인레스스틸의 경우 원재자의 가격 상승으로 채택하는 업체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대안으로 내식 FRP 탱크 및 내식 FRP를 활용한 라이닝 탱크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인건비의 지속적인 상승 및 기존 숙련자들의 고령화로 라이닝 작업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내약품성 열가소성수지 패널을 이용한 라이닝도 시공의 간편성으로 최근 증대되고 있으나 내약품성능이 탁월한 불소화수지들은 고가로 인해 한정적인 분야에만 사용이 가능하고 이마저도 환경적인 이슈로 인해 수급이 불안정하고 나머지 범용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 완벽하게 가교화된 구조를 갖지 못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으로 인해 장기사용 시 탈락 및 배부름 현상 등으로 적절한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1426032호 공개특허 10-2017-011537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화학 물질에 대해 내식성을 가지는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유리섬유를 배열하는 제 1-1단계; 열경화성수지, 상용화제, 몰드이형제, 자외선차단제, 난연제, 보조필러, 경화제를 혼합한 콤파운드를 제조하는 제 2-1단계; 상기 유리섬유에 상기 콤파운드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3-1단계; 상기 제 1함침물 상부에 넥서스베일을 위치시켜 제 2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4-1단계; 상기 제 2함침물을 몰드에 투입하고 경화시켜 인발하는 제 5-1단계; 인발된 상기 제 2함침물을 절단하는 제 6-1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1단계에서, 상기 열경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용화제 0.5~10중량부, 흐름성 개질제 1~8중량부, 몰드이형제 0.5~10중량부, 자외선차단제 0.5~3중량부, 난연제 5~50중량부, 보조필러 1~10중량부, 경화제 0.3~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콤파운드를 제조하며, 상기 열경화수지가 비닐에스테르계인 경우 상기 경화제는 저온경화제, 중온경화제, 고온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상기 열경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온경화제 0.1~2중량부, 상기 중온경화제 0.1~2중량부, 상기 고온경화제 0.1~2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열경화수지가 에폭시계인 경우 상기 경화제는 산무수물경화제를 사용하며, 상기 열경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무수물경화제 100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열경화수지가 비닐에스테르계인 경우 저수축제와 흐름성개질제를 더 혼합하며, 상기 열경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수축제 2~30중량부, 상기 흐름성개질제 1~8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1단계에서, 상기 콤파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리섬유 180~300중량부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1단계에서, 제 2함침물을 120~210℃의 몰드에 0.1~1.0m/분의 선속으로 통과시켜 인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섬유를 배열하는 제 1-2단계; 열경화성수지, 상용화제, 몰드이형제, 자외선차단제, 난연제, 보조필러, 경화제를 혼합한 콤파운드를 제조하는 제 2-2단계; 상기 유리섬유에 상기 콤파운드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3-2단계; 상기 제 1함침물 상부에 폴리에스터 베일을 위치시켜 제 3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4-2단계; 상기 제 3함침물을 몰드에 투입하고 경화시켜 인발하는 제 5-2단계; 인발된 상기 제 3함침물을 절단하는 제 6-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양한 종류의 화학 물질에 대해 내식성을 가지며, 산업 전반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내약품성 탱크 제작에 활용이 가능한 동시에 콘크리트 및 철 재질의 탱크, 터널, 구조물 등에 대한 부착 또는 접착 라이닝 등을 실시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동시에 콘크리트 및 철 재질 탱크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에 의한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은 유리섬유를 배열하는 제 1-1단계와, 열경화성수지, 상용화제, 몰드이형제, 자외선차단제, 난연제, 보조필러, 경화제를 혼합한 콤파운드를 제조하는 제 2-1단계와, 상기 유리섬유에 상기 콤파운드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3-1단계와, 상기 제 1함침물 상부에 넥서스베일을 위치시켜 제 2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4-1단계와, 상기 제 2함침물을 몰드에 투입하고 경화시켜 인발하는 제 5-1단계와, 인발된 상기 제 2함침물을 절단하는 제 6-1단계로 구성된다.
제 1-1단계는 유리섬유를 배열한다. 상기 유리섬유를 롤러 등에 감아 규칙적으로 배열한다. 상기 유리섬유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유리섬유는 하기에서 설명될 매트리스 수지를 사용한 콤파운드를 보강하여 인발 성형 제품의 뛰어난 기계적 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표면 물성 개선을 위한 써페이스베일, 써페이스베일 스티치매트 등를 사용할 수 있고, TD 방향 보강 직물인 CSM(?h스트렌드매트), CFM(콘티뉴어스 파이버 매트), DB(더블바이어스), LT(기계방향/수직방향), DBT(더블바이어스+수직방향), DBLT(더블바이어스+기계방향/수직방향), DBM(더블바이어스+CSM), DBTM(더블바이어스+수직방향+CSM)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리섬유 로빙으로 2200TEX, 4400TEX, 8800TEX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1단계는 열경화성수지, 상용화제, 몰드이형제, 자외선차단제, 난연제, 보조필러, 경화제를 혼합한 콤파운드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열경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용화제 0.5~10중량부, 몰드이형제 0.5~10중량부, 자외선차단제 0.5~3중량부, 난연제 5~50중량부, 보조필러 1~10중량부, 경화제 0.3~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콤파운드를 제조한다.
상기 열경화수지는 매트릭스 수지로 내식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비닐에스테르계, 예폭시계, 페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비닐에스테르계는 비스페놀에이형, 비스페놀에프형, 브롬화비스페놀에이형, 노볼락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에폭시계는 비스페놀에이형, 비스페놀에프형, 브롬화비스페놀에이형, 노볼락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페놀계 수지는 레졸계 및 노볼락계를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아크릴계 수지는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를 공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매트릭스 수지와 각종 필러, 저수축제의 상용성을 증대시켜 콤파운드의 이상적인 분산 및 유리섬유와의 양호한 함침을 유도하는 것으로, BYK 상용화용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BYK W9076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몰드이형제는 인발 성형 시 몰드와 경화된 제품의 이형력을 증대시켜 연속적인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파우더형과 액상형을 사용할 수 있다. 파우더형은 스테아린산아연, 스테아린산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액상형은 KP-175, S125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차단제는 표면을 자외선으로부터 차단하여 내변색, 내후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벤조트리아졸계열, 벤조페논계열, 옥살릭액시드아닐리드계열, 할스계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난연 성능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 삼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필러는 내식성능을 보조하는 동시에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성형성을 개선하고 제품의 완전 경화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열경화수지가 비닐에스테르계인 경우 상기 경화제는 저온경화제, 중온경화제, 고온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상기 열경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온경화제 0.1~2중량부, 상기 중온경화제 0.1~2중량부, 상기 고온경화제 0.1~2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온경화제는 터셔리-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디-(4-터셔리-부틸사이클로헥실 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세기아케마 - Luperox 223를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중온경화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디라우릴퍼옥사이드, 데카노일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세기아케마 - Luperox 26를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고온경화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큐밀퍼옥사이드, 터셔리-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2,2-디(터셔리-부틸퍼옥시)-부티레이트, 터셔리-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세기아케마 - Luperox 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수지가 에폭시계인 경우 상기 경화제는 산무수물경화제를 사용하며, 상기 열경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산무수물경화제 100중량부를 혼합한다.
그리고, 상기 열경화수지가 비닐에스테르계인 경우 저수축제와 흐름성개질제를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열경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수축제 2~30중량부, 상기 흐름성개질제 1~8중량부를 혼합한다.
상기 저수축제는 인발성형 시 경화에 의한 수축을 보완하여 크랙을 방지하고 제품의 치수안정성을 증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폴리스티렌 계열, 폴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계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계열, 폴리염화비닐 계열, 폴리에스테르 계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계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계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 계열, 수소화스티렌-부다디엔-스티렌 계열, 폴리비닐아세테이트-스티렌 공중합체 계열,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염화비닐 계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축제는 상기 열경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스티렌계 10중량부+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추축제는 상기 열경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15중량부+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5중량부와 폴리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계 3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흐름성 개질제는 분말화된 폴리에틸렌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액상 흐름성 개질제로써 BYK 996을 사용할 수 있다.
제 3-1단계는 상기 유리섬유에 상기 콤파운드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콤파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리섬유 180~300중량부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한다.
롤러에 감긴 상기 유리섬유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유리섬유가 상기 콤파운드가 담긴 용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유리섬유에 상기 콤파운드를 함침시킨다.
제 4-1단계는 상기 제 1함침물 상부에 내식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특히 불산이 함유된 약품 및 폐수에 대한 내식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넥서스베일을 위치시켜 제 2함침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넥서스베일은 20~30g의 넥서스베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함침물 상부에 1장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1단계는 제 2함침물을 몰드에 투입하고 경하시켜 인발한다. 구체적으로, 제 2함침물을 120~210℃의 몰드에 0.1~1.0m/분의 선속으로 통과시켜 인발한다.
여기서, 120℃ 미만의 몰드에 통과시키는 경우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동시에 균일한 두께의 패널을 제조하기 어려우며, 210℃ 초과의 몰드에 통과시키는 경우 빠른 경화속도로 인해 성형이 중단되거나 표면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0.1m/분 미만의 선속으로 통과시키는 경우 균일한 두께의 패널을 제조하기 어려우며, 1.0m/분 초과의 선속으로 통과시키는 경우 벤딩이 발생되거나 표면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 6-1단계는 인발된 상기 제 2함침물을 절단한다. 인발된 상기 제 2함침물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6-1단계 이후에 샌딩기 및 탑코팅 장치를 도입하면 현장에서의 시공 시 탑코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은 유리섬유를 배열하는 제 1-2단계와, 열경화성수지, 상용화제, 몰드이형제, 자외선차단제, 난연제, 보조필러, 경화제를 혼합한 콤파운드를 제조하는 제 2-2단계와, 상기 유리섬유에 상기 콤파운드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3-2단계와, 상기 제 1함침물 상부에 폴리에스터 베일을 위치시켜 제 3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4-2단계와, 상기 제 3함침물을 몰드에 투입하고 경화시켜 인발하는 제 5-2단계와, 인발된 상기 제 3함침물을 절단하는 제 6-2단계로 구성된다.
제 1-2단계는 유리섬유를 배열한다. 상기 제 1-2단계는 상기 제 1-1단계와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2단계는 열경화성수지, 상용화제, 몰드이형제, 자외선차단제, 난연제, 보조필러, 경화제를 혼합한 콤파운드를 제조한다. 상기 제 2-2단계는 상기 제 2-2단계와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2단계는 상기 유리섬유에 상기 콤파운드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 3-2단계는 상기 제 3-2단계와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2단계는 상기 제 1함침물 상부에 매트릭스 수지의 함유량을 높임으로써 표면의 내식성을 최대화시키고 현장에서의 탑코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폴리에스터 베일을 위치시켜 제 3함침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스터베일은 20~50g/m2의 폴리에스터베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함침부 상부에 1장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2단계는 상기 제 3함침물을 몰드에 투입하고 경화시켜 인발한다. 구체적으로, 제 3함침물을 120~210℃의 몰드에 0.1~1.0m/분의 선속으로 통과시켜 인발한다.
여기서, 120℃ 미만의 몰드에 통과시키는 경우 충분한 경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동시에 균일한 두께의 패널을 제조하기 어려우며, 210℃ 초과의 몰드에 통과시키는 경우 빠른 경화속도로 인해 성형이 중단되거나 표면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0.1m/분 미만의 선속으로 통과시키는 경우 균일한 두께의 패널을 제조하기 어려우며, 1.0m/분 초과의 선속으로 통과시키는 경우 벤딩이 발생되거나 표면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 6-2단계는 인발된 상기 제3함침물을 절단한다. 인발된 상기 제 3함침물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 6-2단계 이후에 샌딩기 또는 탑코팅 장치를 도입하면 현장에서의 시공 시 탑코팅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의 실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표 1과 같은 배합표로 패널을 제조하였으며, 패널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용화제는 BYK W9076을 사용하였고, 몰드이형제는 S125를 사용하였고, 자외선차단제는 벤조트리아졸계열을 사용하였고, 난연제는 삼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였고, 보조필러는 산화아연을 사용하였고, 저온경화제는 기아케마 - Luperox 223, 중온경화제는 세기아케마 - Luperox 26, 고온경화제는 세기아케마 - Luperox P를 사용하였고, 저수축제는 폴리스티렌계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동일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흐름성개질제는 BYK 996을 사용하였다.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UPR(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100
비스페놀계 에폭시 100 100
비스페놀계 비닐에스테르 100 100 100
상용화제 1 1 1 1 1 1 1
몰드이형제 1 1 10 10 1 1 1
자외선차단제 1 1 1 1 1 1 1
난연제 10 10 10 10 10 10 10
보조필러 10 10 10 10
저온경화제 0.8 0.8 0.8 0.8 0.8
중온경화제 0.2 0.2 0.2 0.2 0.2
고온경화제 0.5 0.5 0.5 0.5 0.5
산무수물경화제 100 100
저수축제 20 20 20
흐름성개질제 2 2 2 2 2
반응성 희석제용 에폭시 10 10
유리섬유 로빙(4400TEX) 170 185 170 185 170 185 190
넥서스베일 1장 1장 1장 1장 1장 1장 1장
굴곡강도
(MPa)
480 465 610 600 580 560 560
굴곡탄성율(GPa) 13 14 17 18 15 16 16
바콜경도 60 60 58 57 60 58 58
1. 내약품성 시험 1
상술한 표 1과 같은 배합표로 제조된 패널을 상온의 증류수에 6개월간 침적하고, 굴곡강도(MPa) 유지율(%),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바콜경도 유지율(%), 무게변화율(%), 광택변화, 백화, 크랙 유무를 확인하였다.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굴곡강도(MPa) 유지율(%) 90 91 90 93 98 99 99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92 93 88 91 95 95 95
바콜경도 유지율(%) 90 93 88 91 95 95 95
무게변화율(%) 0.81 0.65 1.52 1.31 0.41 0.35 0.35
광택변화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백화, 크랙 유무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상술한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5에서 굴곡강도(MPa) 유지율(%),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바콜경도 유지율(%)이 좋고, 무게변화율(%), 광택변화, 백화, 크랙 유무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내약품성 시험 2
상술한 표 1과 같은 배합표로 제조된 패널을 상온의 염산 5%에 6개월간 침적하고, 굴곡강도(MPa) 유지율(%),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바콜경도 유지율(%), 무게변화율(%), 광택변화, 백화, 크랙 유무를 확인하였다.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굴곡강도(MPa) 유지율(%) 81 83 88 91 95 98 98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95 98 87 92 92 95 95
바콜경도 유지율(%) 83 88 88 92 92 98 98
무게변화율(%) 7.83 1.52 1.21 1.11 0.25 0.22 0.22
광택변화 있음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백화, 크랙 유무 있음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상술한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 5에서 굴곡강도(MPa) 유지율(%),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바콜경도 유지율(%)이 좋고, 무게변화율(%), 광택변화, 백화, 크랙 유무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내약품성 시험 3
상술한 표 1과 같은 배합표로 제조된 패널을 상온의 황산 30%에 6개월간 침적하고, 굴곡강도(MPa) 유지율(%),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바콜경도 유지율(%), 무게변화율(%), 광택변화, 백화, 크랙 유무를 확인하였다.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굴곡강도(MPa) 유지율(%) 82 85 98 99 99 101 101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78 82 82 84 83 85 85
바콜경도 유지율(%) 93 95 93 96 99 99 99
무게변화율(%) 1.58 1.23 1.31 1.25 0.40 0.35 0.35
광택변화 있음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백화, 크랙 유무 있음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상술한 표 4에서와 같이, 실시예 5에서 굴곡강도(MPa) 유지율(%),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바콜경도 유지율(%)이 좋고, 무게변화율(%), 광택변화, 백화, 크랙 유무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내약품성 시험 4
상술한 표 1과 같은 배합표로 제조된 패널을 상온의 질산 3%에 6개월간 침적하고, 굴곡강도(MPa) 유지율(%),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바콜경도 유지율(%), 무게변화율(%), 광택변화, 백화, 크랙 유무를 확인하였다.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굴곡강도(MPa) 유지율(%) 78 82 84 87 96 97 97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75 76 72 82 85 89 89
바콜경도 유지율(%) 92 94 98 99 97 99 99
무게변화(%) 1.69 1.32 1.18 0.95 0.33 0.28 0.28
광택변화 있음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백화, 크랙 유무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상술한 표 5에서와 같이, 실시예 5에서 굴곡강도(MPa) 유지율(%), 굴곡탄성율(GPa) 유지율(%), 바콜경도 유지율(%)이 좋고, 무게변화율(%), 광택변화, 백화, 크랙 유무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유리섬유를 배열하는 제 1-1단계;
    열경화성수지, 상용화제, 몰드이형제, 자외선차단제, 난연제, 보조필러, 경화제를 혼합한 콤파운드를 제조하는 제 2-1단계;
    상기 유리섬유에 상기 콤파운드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3-1단계;
    상기 제 1함침물 상부에 넥서스베일을 위치시켜 제 2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4-1단계;
    상기 제 2함침물을 몰드에 투입하고 경화시켜 인발하는 제 5-1단계;
    인발된 상기 제 2함침물을 절단하는 제 6-1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1단계에서,
    상기 열경화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용화제 0.5~10중량부, 흐름성개질제 1~8중량부, 몰드이형제 0.5~10중량부, 자외선차단제 0.5~3중량부, 난연제 5~50중량부, 보조필러 1~10중량부, 경화제 0.3~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콤파운드를 제조하며,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비닐에스테르계이고, 저수축제를 더 혼합하며, 상기 열경화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수축제 2~30중량부를 혼합하며,
    상기 제 3-1단계에서,
    상기 콤파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리섬유 180~300중량부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제 5-1단계에서,
    제 2함침물을 120~210℃의 몰드에 0.1~1.0m/분의 선속으로 통과시켜 인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5. 유리섬유를 배열하는 제 1-2단계;
    열경화성수지, 상용화제, 몰드이형제, 자외선차단제, 난연제, 보조필러, 경화제를 혼합한 콤파운드를 제조하는 제 2-2단계;
    상기 유리섬유에 상기 콤파운드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3-2단계;
    상기 제 1함침물 상부에 폴리에스터 베일을 위치시켜 제 3함침물을 제조하는 제 4-2단계;
    상기 제 3함침물을 몰드에 투입하고 경화시켜 인발하는 제 5-2단계;
    인발된 상기 제 3함침물을 절단하는 제 6-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2단계에서,
    상기 열경화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용화제 0.5~10중량부, 흐름성개질제 1~8중량부, 몰드이형제 0.5~10중량부, 자외선차단제 0.5~3중량부, 난연제 5~50중량부, 보조필러 1~10중량부, 경화제 0.3~100중량부를 혼합하여 상기 콤파운드를 제조하며,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비닐에스테르계이고, 저수축제를 더 혼합하며, 상기 열경화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저수축제 2~30중량부를 혼합하며,
    상기 제 3-2단계에서,
    상기 콤파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리섬유 180~300중량부를 함침시켜 제 1함침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KR1020230043379A 2023-04-03 2023-04-03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KR10265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379A KR102658705B1 (ko) 2023-04-03 2023-04-03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379A KR102658705B1 (ko) 2023-04-03 2023-04-03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705B1 true KR102658705B1 (ko) 2024-04-18

Family

ID=9084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379A KR102658705B1 (ko) 2023-04-03 2023-04-03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7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497A (ko) * 2010-05-11 2011-11-17 주식회사 나노솔루션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이용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KR101147505B1 (ko) * 2011-11-28 2012-05-21 매일종합건설(주) 수처리 구조물의 내부 방수방식용 내오존성 경량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6032B1 (ko) 2013-07-16 2014-08-05 (주)진성테크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1759131B1 (ko) * 2016-07-28 2017-07-31 이광교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라이닝용 자외선 경화 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20170115376A (ko) 2016-04-07 2017-10-17 포엠 주식회사 난연 고강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화플라스틱 보강패널
KR101859488B1 (ko) * 2017-10-16 2018-07-05 매일종합건설(주) 수처리 구조물의 방수방식용 패널 접착제의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497A (ko) * 2010-05-11 2011-11-17 주식회사 나노솔루션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이용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KR101147505B1 (ko) * 2011-11-28 2012-05-21 매일종합건설(주) 수처리 구조물의 내부 방수방식용 내오존성 경량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6032B1 (ko) 2013-07-16 2014-08-05 (주)진성테크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KR20170115376A (ko) 2016-04-07 2017-10-17 포엠 주식회사 난연 고강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화플라스틱 보강패널
KR101759131B1 (ko) * 2016-07-28 2017-07-31 이광교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라이닝용 자외선 경화 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859488B1 (ko) * 2017-10-16 2018-07-05 매일종합건설(주) 수처리 구조물의 방수방식용 패널 접착제의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530B1 (ko) 고강도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현무암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메탈섬유 등을 인발 가공한 복합소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frp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WO2002020633A1 (e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KR101944463B1 (ko)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난연재료인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US20090298972A1 (en) Formulation for Obtaining a Translucent Concrete Mixture
EP2049594B1 (en) Method of preparing resin composition for artificial marble chip having high specific gravity and high index of refraction
KR102245148B1 (ko) 시트몰딩 컴파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몰딩 컴파운드
KR101835426B1 (ko)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frp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US5935683A (en) Waterproof material and method for applying it
KR101061524B1 (ko) 발포시트를 이용한 난연보강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101803270B1 (ko)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frp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JP2016029125A (ja) 2液硬化型樹脂組成物、被覆材、被覆工法及び被覆構造体
KR102658705B1 (ko) 내식성이 향상된 패널 제조방법
KR101141967B1 (ko) 고강도 신속 광경화 시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 시트재
KR101147505B1 (ko) 수처리 구조물의 내부 방수방식용 내오존성 경량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423054B (zh) 含pp纤维的抗折耐久水泥基复合材料
US3888712A (en) Method for producing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pipes
KR101830099B1 (ko)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frp 조성물
KR101986112B1 (ko) 에폭시 수지와 산무수물경화제를 바인더로 하여 복합섬유 소재를 인발성형한 난연재료인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CN114773817B (zh) 一种玻璃钢拉挤型材及其制备方法
RU119774U1 (ru) Стро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 облиц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KR101426032B1 (ko) 강화섬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공법
JP2001089266A (ja) コンクリート部体に対する防水層急速施工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00104057A (ko) 폐발포폴리스타이렌을 수축저감재로 재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는 폴리머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72378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패널용 조성물
JP2001342228A (ja) Frp防水用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