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998B1 -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998B1
KR101425998B1 KR1020120093092A KR20120093092A KR101425998B1 KR 101425998 B1 KR101425998 B1 KR 101425998B1 KR 1020120093092 A KR1020120093092 A KR 1020120093092A KR 20120093092 A KR20120093092 A KR 20120093092A KR 101425998 B1 KR101425998 B1 KR 101425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bbin
link device
tension
disc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110A (ko
Inventor
엄평용
Original Assignee
엄평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평용 filed Critical 엄평용
Priority to KR102012009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9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빈축을 포함하는 보빈 거치대; 상기 보빈축에 삽입 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선재가 권취된 보빈; 상기 보빈으로부터 권출된 선재를 정선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의 축과 일단부가 힌지되고 중심축이 상기 보빈 거치대 상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한 링크장치; 상기 링크장치의 타단부와 힌지되고 상기 보빈 거치대 상에 고정되어 상기 링크장치의 이동 또는 회전여부에 따라 탄성운동이 가능한 텐션장치; 상기 링크장치에 연결되고 회전하는 보빈에 제동력을 가하는 디스크브레이크; 및 상기 디스크브레이크 및 상기 링크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장치의 이동 또는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크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력조절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로써, 와이어 소재의 강섬유를 커팅장치로 안내 및 이송하는 데에 있어서 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 형태의 강섬유 모재를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커팅장치로 안내 및 이송하고, 와이어 커팅장치의 작동이 정지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디스크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의 공급을 중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An apparatus for wire supplying control}
본 발명은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빈에 권취된 와이어 형태의 콘크리트 보강용 강섬유 모재를,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권출하여 와이어 커팅장치에 공급하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토목 및 건축시공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양생과정 중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시공 후에도 인장 및 동적 하중하에서 급작스런 파괴를 일으키는 취성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시공에 있어서의 물리적 강도 및 인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근 보강재 시공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고, 최근에는 부식의 가능성이 있는 철근 대신 고강도와 내부식성을 가진 불연속적이며 단상인 강섬유(steel fiber), 유리섬유, 합성섬유 등의 보강재를 콘크리트에 혼합시켜 시공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보강용 강섬유는 와이어의 굵기 0.1~1.0mm(주로 0.5mm), 와이어의 굵기와 길이의 비가 50~200(주로 70~160), 인장강도는 적어도 120Kg/㎟의 제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섬유 보강재는 일반적으로 와이어 형태의 섬유 모재를 공급, 수지함침, 경화, 인발하는 단계를 거쳐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일련의 공정들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종래 강섬유를 일관된 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소정 굵기의 와이어 소재의 강섬유를 정선하고 권선하여 커팅장치로 안내하는 공급 장치와, 상기 와이어 형태의 강섬유 모재를 공급받아 절단하는 커팅장치의 공정이 각각 다르다.
본 발명은, 상기 장치 중 와이어 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빈에 권취된 와이어 형태의 콘크리트 보강용 강섬유 모재를 커팅장치로 안내 및 이송하는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공급장치의 보빈에 권취된 와이어를 권출하여 커팅장치로 공급함에 있어서, 직경이 작은 와이어가 균일한 장력을 가지고 절사되지 않게 커팅장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커팅장치의 커팅 속도에 변화를 주게 되면 와이어 공급장치의 권취모터의 속도에도 변화를 주어야 하는데, 상기 두 장치의 속력이 변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권출속도에 따라 장력 밸런스가 불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송중인 와이어의 공급이 간헐적으로 정지하거나 절사되고, 또는 과도하게 풀려 보빈에 감기게 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정상적인 와이어의 커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장치의 점검 및 세팅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능률이 저하되는 등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와이어 공급장치의 권취보빈을 회전시키는 권취모터와, 와이어 커팅장치의 와이어를 커팅하는 모터와의 속도조절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케 하는 와이어 공급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된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 소재의 강섬유를 커팅장치로 안내 및 이송하는 데에 있어서, 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 형태의 강섬유 모재의 권출속도에 따라 장력 밸런스가 불균일하게 작용하여 이송중인 와이어의 공급이 간헐적으로 정지 또는 절사되거나, 과도하게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커팅장치의 커팅 속도가 변화하거나 작동이 정지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와이어 공급장치의 속도를 변화하거나 작동을 중지시켜 와이어의 이송을 중단시킴으로써, 장치 점검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케하는 와이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빈축을 포함하는 보빈 거치대; 상기 보빈축에 삽입 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선재가 권취된 보빈; 상기 보빈으로부터 권출된 선재를 정선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의 축과 일단부가 힌지되고 중심축이 상기 보빈 거치대 상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한 링크장치; 상기 링크장치의 타단부와 힌지되고 상기 보빈 거치대 상에 고정되어 상기 링크장치의 이동 또는 회전여부에 따라 탄성운동이 가능한 텐션장치; 상기 링크장치에 연결되고 회전하는 보빈에 제동력을 가하는 디스크브레이크; 및 상기 디스크브레이크 및 상기 링크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장치의 이동 또는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크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력조절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롤러는 고정 가이드롤러 및 가변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가이드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보빈거치대 상에 고정되고, 상기 가변 가이드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링크장치의 일단부와 힌지되어 상기 링크장치의 회전여부에 따라 위치이동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보빈 거치대 상에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양 끝단에 각각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텐션장치의 일단부와 링크되어 힌지되어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가변 가이드롤러의 회전축과 힌지되어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들을 지나는 선재의 장력변화에 따라 상기 링크장치의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링크장치 및 상기 디스크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장치의 회전 및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크브레이크는 실린더, 피스톤, 브레이크 패드및 캘리퍼 등을 포함하고, 상기 선재에 작용하는 동력 방향의 힘이 소멸하면 상기 링크장치의 중심축이 선재의 장력방향의 힘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와이어가 인장되면서 상기 디스크브레이크 실린더의 유압을 발생시켜 피스톤 운동을 하며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회전하는 보빈축과 연결된 로터 디스크의 양면을 압착하여 회전하는 로터의 회전력을 제거함으로써 감속 또는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는, 와이어 소재의 강섬유를 커팅장치로 안내 및 이송하는 데에 있어서, 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 형태의 강섬유 모재를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커팅장치로 안내 및 이송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직경이 작은 탓에 커팅장치로 공급중인 와이어가 결선되더라도 자동적으로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디스크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의 공급을 중단하여 풀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브레이크 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와이어 커팅장치의 작동이 정지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와이어 공급을 중단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작동 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제동 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작동 시에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제동 시에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및 와이어 커팅장치의 조립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는 커팅장치로의 와이어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공급장치의 보빈에 권취된 와이어를 권출하여 커팅장치로 공급함에 있어서, 직경이 작은 와이어가 균일한 장력을 가지고 절사되지 않게 커팅장치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와 와이어 커팅장치에 맞물리는 와이어의 적절한 장력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와이어 공급장치와 와이어 커팅장치에 각각 별도의 구동모터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를 두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커팅장치의 커팅 속도에 변화를 주게 되면 와이어 공급장치의 권취모터의 속도도 변화를 주어야 하는데, 상기 두 장치의 속력이 변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권출속도에 따라 장력 밸런스가 불균일하게 작용하여 이송중인 와이어의 공급이 간헐적으로 정지하거나 절사되거나 또는 과도하게 풀려 보빈에 감기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와이어 공급장치의 권취보빈을 회전시키는 권취동력 및 권취보빈의 회전을 정지하는 브레이크 동력은 별도로 두지 않고, 와이어 커팅장치에 구비된 모터의 구동력만으로 작동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와이어 커팅장치의 작동멈춤 시에 와이어 공급제어장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멈추게 하여 커팅속도와 권취보빈 회전 속도차이에 의한 와이어의 공급차질 없이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한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커팅장치의 작동멈춤 시에 와이어 공급제어장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멈추게 하도록 디스크 브레이크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작동 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제동 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한 바, 상기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는 보빈 거치대(110), 와이어모재(10)가 권취된 권취보빈(120), 가이드롤러(130), 링크장치(140), 디스크브레이크(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와이어 공급장치에서는 와이어 커팅장치의 커팅 속도에 변화를 주게 되면 와이어 공급장치의 권취모터의 속도에도 변화를 주어야 하고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별도의 센서나 권출속도 제어장치를 구비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공급장치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의 권출속도가 와이어 커팅장치의 회전 구동력에 의존하도록 하므로 별도의 센서나 권출속도 제어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대신, 링크장치(140) 및 디스크브레이크(150) 장치를 구비하는 것 만으로도 와이어 커팅장치의 작동멈춤 시에 와이어 공급제어장치의 작동을 자동으로 멈추게하고, 커팅속도와 권취보빈 회전 속도차이에 의한 와이어의 공급차질 없이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한 와이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와이어(10) 모재를 커팅장치로 공급함에 있어서, 와이어 커팅장치(300)의 동력을 작동하기 전에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의 보빈(120)에 권취된 와이어(10) 모재의 일단락을 권출하여 최종적으로 와이어 커팅장치(300)로 맞물리게 하는 다음과 같은 초기 세팅작업이 필요하다.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의 보빈 거치대(110)는 보빈축(16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빈축(160)에는 와이어모재(10)가 권취된 보빈(120)의 착탈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보빈거치대(110) 상에 보빈축(160)에 삽입된 와이어모재(10)가 권취된 권취 보빈(120)을 장착한 후에는, 상기 권취 보빈(120)으로부터 권출된 와이어(10) 모재의 일단락을 보빈거치대(100) 상의 가이드 롤러(130)들을 거치게 하여 정선 및 직선화한다.
다음으로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의 가이드 롤러(130)를 거쳐 정선 및 직선화한 와이어(10)는 정선기(200)로 정선된 후, 와이어 커팅장치(300)에 맞물리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100)로부터 와이어(10)를 권출하여 와이어 커팅장치(300)로 맞물리는 초기 세팅작업이 끝나면, 상기 와이어 커팅장치(300)의 동력을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맞물린 와이어(10)는 자동으로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100)로부터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와이어 커팅장치(300)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의 구조 및 작동 시에 와이어 커팅장치(300)로의 와이어 공급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는 보빈 거치대(110) 상에 와이어(10) 등의 선재를 공급 및 제어할 수 있는 여러 장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빈 거치대(110) 상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보빈축(160), 상기 보빈축(16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선재가 권취된 보빈(120), 상기 권취 보빈(120)으로부터 권출된 선재를 정선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130), 상기 가이드롤러(130)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130)의 축과 일단부가 힌지되어 상기 가이드롤러(130)를 지나는 와이어(10)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보빈 거치대(110) 상에 중심축이 힌지된 링크장치(140), 상기 링크자치(140)의 타단부와 힌지되어 상기 링크장치(140)를 지지하는 텐션장치(141) 및 상기 보빈(120)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디스크브레이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 보빈(120)을 상기 보빈축(160)에 장착한 후 보빈축(160)의 일측 단부에 바(162)가 결합된 핸들블록(161)을 삽입 체결하여 장착된 권취보빈(120)이 회전시에 보빈축(16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130)는 권취 보빈(120)으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10) 모재의 정선 및 직선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보빈 거치대(110) 상에 다수 개 위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롤러(131), 제2가이드롤러(132), 제3가이드롤러(133), 제4가이드롤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롤러(131), 제2가이드롤러(132) 및 제4가이드롤러(134)는 상기 보빈 거치대(110) 상에 고정되는 고정 가이드 롤러(131)일 수 있으며,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는 상기 링크장치(140)의 단부에 연결되어 링크장치(140)의 위치이동에 따라 이동 가능한 가변 가이드 롤러일 수 있다.
한편,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로부터 와이어 커팅장치(300)로 맞물린 와이어(10)가, 와이어 커팅장치(300)의 동력 발생에 의해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의 권취 보빈(120)으로부터 권출되어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130)를 지나 정선 및 직선화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보빈(120)로부터 권출된 와이어(10) 단락은 보빈 거치대(110)상에 배열된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130)를 거치게 된다.
보다 자세히는, 와이어 커팅장치(300)의 구동력이 맞물린 와이어(10)에 의해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로 전달되어 보빈 거치대(100)에 구비된 보빈의 회전축(160)이 회전하면서 보빈(120)을 회전시키면, 상기 보빈에 권취된 와이어(10) 단락이 제1가이드롤러(131), 제2가이드롤러(132), 제3가이드롤러(133), 제4가이드롤러(134), 다시 제3가이드롤러(133) 순을 거쳐 정선기(200)로 이송된 후 정렬하여 와이어 커팅장치(300)로 공급된다.
이때, 보빈(120)에 권취되어 있던 와이어(10)는 제1가이드롤러 내지 제4가이드롤러를 거치면서 정선 및 직선화하게 되는데, 이때 제3가이드롤러(133)는 와이어(10) 단락이 두 번 거치게 되므로, 하나의 축에 외경이 다른 두 개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2 참조)
또한, 고정 가이드롤러인 제1가이드롤러(131), 제2가이드롤러(132) 및 제4가이드롤러(134)의 회전축이 보빈 거치대(110)에 고정된 것과는 달리, 가변 가이드롤러인 제 3가이드롤러(133)의 회전축은 보빈 거치대(11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링크장치(140)의 일단부와 힌지되어 있으므로 각도조절이 용이하고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가 링크장치(140)와 힌지되어 각도조절 및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은 디스크브레이크(150) 작동시에 와이어 공급을 자동으로 정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이하 디스크브레이크(150)의 작동원리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의 권취 보빈(120)으로부터 권출되어 와이어 커팅장치(300)로 이송되던 와이어(10) 모재는, 작동하던 와이어 커팅장치(300)의 동력을 정지시키더라도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에서 회전 중이던 권취보빈(120)의 관성에 의해 곧바로 멈추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공급장치(100) 및 와이어 커팅장치(300)에 맞물린 와이어의 권출속도가 감속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장력 밸런스가 불균일하게 작용하여 이송중인 와이어의 공급이 간헐적으로 정지하거나 절사되고, 또는 과도하게 풀려 보빈에 감기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커팅장치(300)의 작동멈춤 시에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의 작동을 자동으로 멈추게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150)를 포함하여 와이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작동 시에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a의 디스크브레이크(150)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에서 디스크브레이크(150) 장치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의 제동 시에 디스크 브레이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b의 디스크브레이크(150)가 작동할 때의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에서 디스크브레이크(150) 장치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1a, 도 1b,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의 제동 시의 작동원리 및 디스크브레이크(150)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는 회전하는 권취 보빈(120)으로부터 와이어(10) 모재가 권출되어 공급되는 것이므로, 회전하는 권취보빈(120)에 디스크브레이크(150)가 제동을 가함으로써 와이어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링크장치(140)는 중심축(140b)과, 양 끝단에 각각 제1힌지부(140a) 및 제2힌지부(140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심축(140b)은 상기 보빈 거치대(110) 상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150)의 작동 시에는 링크장치(140) 및 텐션장치(141)의 작동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부(140a)는 텐션장치(141)의 일단부와 링크되어 힌지되어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텐션장치(141)는 탄성체를 내장하여 상기 링크장치(140)의 회전 시에 링크장치(14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축(140b)은 보빈거치대(110) 상에 중심축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만 가능하다.
상기 제3힌지부(140c)는 제3가이드롤러(133)의 회전축과 힌지되어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를 지나는 와이어(10)의 장력변화에 영향을 받아 링크장치(140)의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링크자치(140)의 제1힌지부(140a)와 제3힌지부(140c) 사이에는 장력조절장치(151)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151)는 디스크브레이크(150)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장치(140)의 움직임에 따라 장력조절장치(151)가 디스크브레이크(15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권취보빈(120)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다.
와이어 커팅장치(300)의 작동 시에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10) 단락에 공급방향의 힘(F)이 작용하고, 링크장치(140)의 각도가 중심축(140b)를 축으로 하여 와이어(10) 공급방향으로 일부 회전함으로써 링크장치(140)의 제 3힌지부(140c)는 제 3가이드롤러(133)와 함께 와이어 공급방향으로 위치이동하고, 링크장치의 제1힌지부(140a)는 텐션장치(141)의 탄성력이 발생하여 인장되며, 상기 링크장치(140)와 디스크브레이크(150)를 연결하는 와이어(151)에는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디스크브레이크(150)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1a, 도 4a 참조)
그러나, 와이어 커팅장치(300)의 동력 발생이 멈추어 와이어(10)를 잡아당기는 동력 방향의 힘(F)이 소멸하게 되면,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10) 단락에 공급방향의 힘(F)과 반대의 장력(T) 방향의 힘이 작용하므로 이 힘에 의해 링크장치(140), 디스크브레이크(150), 텐션장치(141)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장력 방향의 힘(T)에 의해 링크장치(140)의 각도가 중심축(140b)을 축으로 하여 와이어(10) 공급방향과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며, 링크장치(140)의 제3힌지부(140c)는 제3가이드롤러(133)와 함께 와이어 공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위치이동하고, 링크장치의 제1힌지부(140a)는 텐션장치(141)의 탄성력이 복원되며 제3힌지부(140c)가 회전한 각도만큼 위치이동 한다.
또한, 제3가이드롤러(133)와 상기 제3가이드롤러(133)의 축에 힌지된 링크장치(140)의 중심축(140b)이 동력 방향의 힘(F)과 반대방향인 장력 방향의 힘(T)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링크장치(140)에 연결된 장력조절장치(151)의 와이어가 인장되면서 상기 디스크브레이크(150)에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도 1b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크브레이크(150)는 실린더, 피스톤, 브레이크 패드(152) 및 피스톤이 들어있는 캘리퍼(15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반적인 디스크브레이크(150)일 수 있으며, 회전하는 권취 보빈(120)의 회전력을 제거하여 감속 또는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크브레이크(150)와 링크장치(140)에 연결된 장력조절장치(151)의 와이어가 인장되면서 디스크브레이크(150) 장치의 실린더에 유압을 발생시켜 피스톤 운동을 하게 되고 로터(170)의 양 끝을 피스톤에 연결된 브레이크 패드(152)의 간격이 d1에서 d2로 좁아지며 로터(170) 디스크의 양면을 압착함으로써 제동력을 얻는 것이다.
이때, 상기 디스크브레이브(150)의 브레이크 패드(152)는 권취 보빈(120)의 보빈축(160)과 연결된 로터(170)에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보빈(120)의 속력을 늦추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도 4a, 도 4b 참조)
한편, 상기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100)는 다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및 와이어 커팅장치의 조립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한 바, 다수 개의 와이어 공급장치(100)들로부터 와이어 공급장치(100)의 설치대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와이어(10) 모재가 권출되어 정선기(200)로 취합 및 정렬된 후 와이어 커팅장치(300)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커팅장치(300)에 맞물린 와이어는 와이어 커팅장치(300)의 구동력을 바탕으로 소정의 길이로 커팅되어 콘크리트 보강용 강섬유로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와이어 공급제어장치(100)의 공급 대수를 도 5의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 소재의 강섬유를 커팅장치로 안내 및 이송하는 데에 있어서, 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 형태의 강섬유 모재의 권출속도에 따라 장력 밸런스가 불균일하게 작용하여 이송중인 와이어의 공급이 간헐적으로 정지 또는 절사되거나, 과도하게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와이어 커팅장치의 커팅 속도가 변화하거나 작동이 정지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와이어 공급장치의 속도를 변화하거나 작동을 중지시켜 와이어의 이송을 중단시킴으로써 장치 점검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줄이고 안정적인 작동을 가능케하는 와이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와이어 공급제어장치 200: 정선기
300: 와이어 커팅장치 110: 보빈거치대
120: 권취 보빈 130: 가이드롤러
140: 링크장치 141: 텐션장치
150: 디스크브레이크 151: 장력조절장치
152: 브레이크패드 160: 보빈축
161: 핸들블록 162: 바
170: 로터 10: 와이어

Claims (5)

  1. 보빈축을 포함하는 보빈 거치대;
    상기 보빈축에 삽입 또는 탈착이 가능하며, 선재가 권취된 보빈;
    상기 보빈으로부터 권출된 선재를 정선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롤러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롤러의 축과 일단부가 힌지되고 중심축이 상기 보빈 거치대 상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한 링크장치;
    상기 링크장치의 타단부와 힌지되고, 상기 보빈 거치대 상에 고정되어, 상기 링크장치의 이동 또는 회전여부에 따라 탄성운동이 가능한 텐션장치; 및
    상기 링크장치에 장력조절장치를 통해 연결되고, 회전하는 상기 보빈에 제동력을 가하는 디스크브레이크; 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디스크브레이크 및 상기 링크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장치의 이동 또는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크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고정 가이드롤러 및 가변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가이드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보빈거치대 상에 고정되고, 상기 가변 가이드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링크장치의 일단부와 힌지되어 상기 링크장치의 회전여부에 따라 위치이동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보빈 거치대 상에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양 끝단에 각각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텐션장치의 일단부와 링크되어 힌지되어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가변 가이드롤러의 회전축과 힌지되어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롤러들을 지나는 선재의 장력변화에 따라 상기 링크장치의 회전 및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링크장치 및 상기 디스크브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링크장치의 회전 및 위치이동에 따라 상기 디스크브레이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브레이크는 실린더, 피스톤, 브레이크 패드및 캘리퍼 등을 포함하고,
    상기 선재에 작용하는 동력 방향의 힘이 소멸하면 상기 링크장치의 중심축이 선재의 장력방향의 힘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와이어가 인장되면서 상기 디스크브레이크 실린더의 유압을 발생시켜 피스톤 운동을 하며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회전하는 보빈축과 연결된 로터 디스크의 양면을 압착하여 회전하는 로터의 회전력을 제거함으로써 감속 또는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제어장치.
KR1020120093092A 2012-08-24 2012-08-24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KR101425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92A KR101425998B1 (ko) 2012-08-24 2012-08-24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92A KR101425998B1 (ko) 2012-08-24 2012-08-24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10A KR20140026110A (ko) 2014-03-05
KR101425998B1 true KR101425998B1 (ko) 2014-08-13

Family

ID=5064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092A KR101425998B1 (ko) 2012-08-24 2012-08-24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761B1 (ko) * 2015-02-12 2017-02-15 오영국 밑실 보빈 와인더
KR102574223B1 (ko) * 2023-03-22 2023-09-06 주식회사 나우건설산업 보조풀리유닛을 갖는 와이어 쏘 절단장치의 방향전환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032Y2 (ja) * 1991-03-05 1995-11-15 大電株式会社 編組線製造用キャリヤ装置
JP2001151414A (ja) * 1999-11-29 2001-06-05 Goto Seisakusho:Kk ワイヤ繰り出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繰り出しユニット
KR200422200Y1 (ko) * 2006-04-26 2006-07-25 허민자 와이어의 신선장치
KR101116537B1 (ko) * 2009-03-16 2012-04-16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용접 와이어 권취기 및 조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032Y2 (ja) * 1991-03-05 1995-11-15 大電株式会社 編組線製造用キャリヤ装置
JP2001151414A (ja) * 1999-11-29 2001-06-05 Goto Seisakusho:Kk ワイヤ繰り出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繰り出しユニット
KR200422200Y1 (ko) * 2006-04-26 2006-07-25 허민자 와이어의 신선장치
KR101116537B1 (ko) * 2009-03-16 2012-04-16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용접 와이어 권취기 및 조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10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19059A (ja) 鉄筋曲げ機の鉄筋送り込み装置
CN102233397A (zh) 具有可控制地供应金属线的装置的变形压力机
EP1584740B1 (en) Twisting machine and twisted wire manufacturing method
KR100624997B1 (ko) 자체 보정형 필라멘트 인장력 제어 디바이스
CN206426615U (zh) 全自动缠绕包覆和清废装置
KR101425998B1 (ko) 와이어 공급 제어장치
KR101441913B1 (ko) 마찰 밴드 브레이크를 이용한 자가 보상 필라멘트 장력 제어 장치
KR102273391B1 (ko) 선재 자동 절단장치
KR101429588B1 (ko) 마찰 브레이크를 이용한 자가 보상 필라멘트 장력 제어 장치
CN105665586A (zh) 一种弹簧线的自动绕线机
US20120001011A1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strands from wires
CN201004314Y (zh) 自动琴弦缠绕排线机
CN101528575B (zh) 用于制造交叉卷绕筒的纺织机的卷绕装置的筒子制动器
CN204957912U (zh) 收卷机的纸卷快速装卸装置
CN1916256B (zh) 一种张力控制装置
CZ296863B6 (cs) Zarízení na výrobu kovových vláken
JP2014051395A (ja) 巻取り材料開繊装置
CN204324615U (zh) 一种圆环带缠绕机
CN110180975A (zh) 一种弹簧绕卷成型设备
CN106044312A (zh) 一种钢带放料装置
CN205688091U (zh) 分条整经机及其储纱喂纱分绞系统
CN202175459U (zh) 退卷机
US20140174638A1 (en) Thread displacement device
JP2002505245A (ja) 給糸緩衝機用糸もつれ防止機構
KR101703006B1 (ko) 튜브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