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943B1 -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 - Google Patents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943B1
KR101425943B1 KR1020120134306A KR20120134306A KR101425943B1 KR 101425943 B1 KR101425943 B1 KR 101425943B1 KR 1020120134306 A KR1020120134306 A KR 1020120134306A KR 20120134306 A KR20120134306 A KR 20120134306A KR 101425943 B1 KR101425943 B1 KR 10142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late
moving
side frames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726A (ko
Inventor
김창한
정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134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9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필 타입 유닛 모듈은, 서로 연결된 복수의 장변 프레임들 및 단변 프레임들과, 상기 장변 프레임들 또는 상기 단변 프레임들 중 하나 이상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장변 프레임 또는 상기 단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면개구부와 개방된 하부를 가지는 이동블럭을 구비하는 하부프레임; 그리고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해 상기 이동블럭의 내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이동블럭을 상승가능한 이동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리프트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된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이동바퀴들,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일단이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압송된 유체에 의해 승강하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판은 승강에 의해 상기 상판에 접하는 작동상태 및 상기 이동블럭의 상판으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상태로 전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INFILL-TYPE ELEVATING APPARATUS AND INFILL-TYPE MODULAR UNI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인필 모듈러 건설시스템은 현장에서 구조체인 철골프레임을 선 시공한 후 공장 제작된 비구조체의 유닛모듈을 끼워 넣는 개념이다.
최근 공장생산 및 건식공법 등 공업화 기술도입에 따라 공기단축, 비용절감, 품질향상에 혁신적인 모듈러 건설시스템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과 함께 고층화의 일환인 인필(Infill) 모듈러 건설시스템도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국내에 인필 모듈러 건설시스템이 적용된 사례가 거의 없으며, 적용된 기술은 기성품의 개선 없이 단순 활용하는 초기단계로 판단된다. 인필 모듈러 건설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 요소기술인 인필 내장모듈의 이동장치를 개발해야 한다.
이를 통하여 인필 내장모듈의 현장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향후 대량의 인필 내장모듈 시공에 따른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56715호 2002.9.11.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성을 개선하여 공간배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비사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필 타입 유닛 모듈은, 서로 연결된 복수의 장변 프레임들 및 단변 프레임들과, 상기 장변 프레임들 또는 상기 단변 프레임들 중 하나 이상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장변 프레임 또는 상기 단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면개구부와 개방된 하부를 가지는 이동블럭을 구비하는 하부프레임; 그리고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해 상기 이동블럭의 내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이동블럭을 상승가능한 이동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리프트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된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이동바퀴들,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일단이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압송된 유체에 의해 승강하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판은 승강에 의해 상기 상판에 접하는 작동상태 및 상기 이동블럭의 상판으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상태로 전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기 일단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승강을 안내하는 내측판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내측판들과 수직하며,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보조판들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들은 상기 내측판들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이동바퀴들은 상기 내측판의 외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내측판들의 이격거리와 대응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승강판은 상기 전면개구부의 폭과 대응되는 장변 및 상기 장변과 수직한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의 상기 장변은 상기 내측판들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가스가 압송되는 주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판들 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승강시 상기 주입구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이동슬롯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승강판의 일측면은 상기 이동리프트 장치가 상기 이동블럭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개구부의 전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인필 타입 모듈 유닛은 상기 승강판의 일측면 및 상기 전면개구부의 전면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판을 상기 이동블럭 상에 고정하는 이탈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장변 프레임 및 상기 단변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과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제2 측판;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을 연결하며, 상기 장변 프레임 및 상기 단변 프레임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되는 후면판;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과 상기 후면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판과 상기 후면판을 연결하는 상판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개구부는 상기 후면판과 대향되고, 상기 개방된 하부는 상기 상판과 대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된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이동바퀴들,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일단이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압송된 가스에 의해 승강하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기 일단에 고정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내측판들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들은 상기 내측판들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이동바퀴들은 상기 내측판의 외측에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하강과 이동을 겸하는 이동리프트 장치의 개발로 기능성을 향상시켰으며, 동시에 인필 모듈러 건설시스템의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유닛 모듈의 하부에 이동리프트 장치를 설치/해체하여 장치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리프트 장치에 탈부착 방식을 적용하여, 대량의 인필 유닛모듈의 시공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럭을 통해 시공시 건물에서 허비될 수 있는 층간의 이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 유닛 모듈을 철골프레임에 인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인필 유닛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인필 유닛 모듈의 하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하부프레임의 이동블럭에 삽입되는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한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를 이동블럭에 삽입하여 이동블럭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하부프레임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필 유닛 모듈을 철골프레임에 인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골프레임(100)은 내력을 갖는 철골기둥들(110)과 철골기둥들(110)을 연결하는 철골보(120), 그리고 주로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된 바닥슬래브(130)를 구비한다. 후술하는 인필 유닛 모듈(200)은 바닥슬래브(130) 상에 인입 설치된다.
인필 유닛 모듈(200)은 철골프레임(100) 상에 인입 고정되어 철골프레임(100)과 함께 건축물을 형성한다. 유닛 모듈(200)은 후술하는 이동리프트 장치(10)를 통해 상승된 상태에서 철골프레임(100) 상에 인입되며, 인입이 완료된 후 이동리프트 장치(10)를 통해 인하된 후 고정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인필 유닛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인필 유닛 모듈의 하부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 모듈(200)은 벽체프레임(210), 바닥판(220), 그리고 바닥판(220)이 설치되는 하부프레임(230)을 포함한다.
벽체프레임(210)은 경량 건식벽체로서, 금속계열의 판재와 내부를 단열재로 채울 수 있게 만들어진 C형의 경량철물 및 단열재로 구성되며, 내부로는 석고보드와 벽지로 마감된다. 또한, 천정은 경량철물로 지지되는 천정재를 포함하며, 단열재와 금속계열 판재로 구성되고, 천정마감과 전기설비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30)은 복수의 장변프레임들(232)과 복수의 단변프레임들(234)을 구비하며, 장변프레임들(232)과 단변프레임들(234)은 직사각형을 이룬다. 보강빔(231)은 단변프레임들(234)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장변프레임들(232) 사이에 설치된다. 하부프레임(230)은 필요에 따라 개방된 공간(235)을 가지며, 공간(235)은 장변프레임(232) 및 단변프레임(234), 그리고 보조프레임들(233a,233b)을 통해 구획된다.
하부프레임(230)은 복수의 이동블럭들(236)을 구비하며, 이동블럭들(236)은 장변프레임(232)과 단변프레임(234)이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후술하는 이동리프트 장치(10)는 이동블럭들(236)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부프레임(230)을 인상하므로, 하부프레임(230)의 인상시 하부프레임(230) 및 벽체프레임(210) 등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위치에 이동블럭들(236)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블럭들(236)은 하부프레임(230)의 네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블럭(236)은 장변프레임(232) 및 단변프레임(234)과 각각 연결된다. 이동블럭(236)은 외측판(236a) 및 내측판(236b), 그리고 후면판(236c) 및 상판(236d)를 구비한다. 내측판(236b)은 단변프레임(234)에 연결되며, 후면판(236c)은 장변프레임(232)에 연결된다. 이동블럭(236)은 후면판(236c)의 전방에 형성된 전면개구부(237)를 가지며, 전면개구부(237)는 장변프레임(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전면개구부(237)는 단변프레임(23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럭(236)은 바닥슬래브(130)에 대향되는 하부가 개방된다. 후술하는 이동리프트 장치(10)는 전면개구부(237)를 통해 이동블럭(236)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하부프레임의 이동블럭에 삽입되는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10)는 베이스(12) 및 좌우내측판(14), 그리고 좌우외측판(17)을 구비한다. 좌우내측판(14)은 베이스(12)의 양측에 연결되어 실린더(24)의 양측에 고정설치되며, 서로 이격배치된다. 후술하는 실린더 로드(22) 및 실린더(24)는 좌우내측판들(14)의 사이에 배치되며, 실린더(24)의 승강시 좌우내측판들(14)은 실린더(24)의 승강을 안내하여 실린더(24)가 원하는 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린더(24)의 이동방향은 하부프레임(230)의 이동방향과 동일하므로, 실린더(24)는 직상방 또는 직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외측판(17)은 이동바퀴(18)의 외측에 설치되어 좌우내측판(14)으로부터 이격되며, 이동리프트 장치(10)가 이동블럭(236)의 내부에 수용된 경우, 이동블럭(236)의 양측판(236a,236b)과 접한다. 복수의 이동회전축들(16)은 좌우내측판들(14) 및 외측핀들(17)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동바퀴들(18)은 좌우내측판(14)과 좌우외측판(17)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이동회전축들(16)은 좌우내측판들(14) 및 외측핀들(17)에 의해 지지된다. 이동바퀴들(18)은 이동회전축들(16) 상에서 회전가능하며, 이동리프트 장치(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이동바퀴들(18)은 네 개 이상일 수 있다. 전면외측판(19a) 및 후면외측판(19b)은 좌우내측판들(14) 및 좌우외측판들(17)의 양단에 각각 고정설치되며, 이동바퀴들(18)은 좌우내측판들(14) 및 좌우외측판들(17), 그리고 전면외측판(19a) 및 후면외측판(19b)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각각 삽입설치된다. 이동리프트 장치(10)가 이동바퀴들(18)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외측판들(17) 및 좌우내측판들(14), 그리고 전면외측판(19a) 및 후면외측판(19b)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실린더 로드(22)의 하단은 베이스(12) 상에 고정설치되며, 실린더(24)는 실린더 로드(22)의 상단 및 승강판(27)의 하단에 연결된다. 실린더(24)는 외부로부터 유체가 압송되는 주입구(25)를 가지며, 밸브(25a)는 주입구를 개폐한다. 외부로부터 유체가 압송되면, 실린더(24)는 실린더 로드(22)를 밀어내며, 작용-반작용에 의해 실린더(24)는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실린더(24)가 하부프레임(230) 및 벽체프레임(210)의 하중으로 인해 상승경로를 이탈할 경우, 하부프레임(230)이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부프레임(230) 및 벽체프레임(210)이 안정적으로 인상될 수 없다. 따라서, 실린더 로드(22) 및 실린더(24)는 내측판들(14a,14b)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판들(14a,14b)은 실린더(24)가 하부프레임(230) 및 벽체프레임(210)의 하중으로 인해 상승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실린더(24)의 상승을 안내한다. 실린더(24)는 내측판들(14a,14b)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내측판들(14a,14b)은 실린더(24)가 하부프레임(230) 및 벽체프레임(210)의 하중으로 인해 상승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실린더(24)의 직경은 실린더 로드(22)의 직경보다 크다.
또한, 전면보조판(26a) 및 후면보조판(26b)은 실린더(24)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베이스(12)의 상부에 고정되며, 전면보조판(26a) 및 후면보조판(26b)은 실린더(24)가 하부프레임(230)의 하중으로 인해 상승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동시 실린더를 지지한다. 전면보조판(26a) 및 후면보조판(26b)은 실린더(24)의 직경에 대응되는 이격거리를 가진다. 한편, 후면보조판(26b)은 상하로 형성된 이동슬롯(126b)을 가지며, 실린더(24)의 상승 또는 하강시 주입구(25)는 이동슬롯(126b)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승강판(27)은 실린더(24)의 상단에 설치되며, 앞서 설명한 내측판들(14a,14b)과 보조판들(26a,26b)로부터 분리된다. 실린더(24)의 승강시 승강판(27)은 함께 승강하며, 내측판들(14a,14b)과 보조판들(26a,26b)로부터 더욱 이격된다. 승강판(27)은 실린더(24)의 승하강에 의해 이동블럭(236)의 상판(236d)과 접하는 작동상태 및 이동블럭(236)의 상판(236d)으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이등블럭(236)(또는 하부프레임(230))의 하중은 승강판(27)에 전달되며, 승강판(27)은 실린더(24)의 작동을 통해 이동블럭(236)(또는 하부프레임(230))을 승강할 수 있다. 승강판(27)은 상부에 형성되어 이동블럭(236)의 상판(236d)과 접하는 지지면을 가지며, 지지면은 장변 및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때, 장변의 크기는 전면개구부(237)의 폭과 대응되며, 내측판들(14a,14b) 및 외측판들(17a,17b)과 수직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내측판들(14a,14b) 및 외측판들(17a,17b)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회전방지판(28)은 승강판(27)의 전면에 고정설치되며, 회전방지판(28)은 실린더(24)의 승강시 전면보조판(26a)의 전면을 따라 승강한다. 회전방지판(28)은 실린더 로드(22)와 실린더(24) 사이에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4에 도시한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를 이동블럭에 삽입하여 이동블럭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리프트 장치(10)는 해제상태에서 전면개구부(237)를 통해 이동블럭(236)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전면개구부(237)는 장변프레임(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이동리프트 장치(10)는 장변프레임(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블럭(236)의 내부에 수용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리프트 장치(10)가 이동블럭(236)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판(27)의 후면은 전면개구부(237)의 전면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고정판(30)을 전면개구부(237)의 전면에 고정한 후, 승강판(27)이 상승한 상태에서 이탈고정판(30)을 승강판(27)의 후면에 고정시키며, 승강판(27)은 이탈고정판(30)을 통해 이동블럭(236) 상에 고정된다. 이동리프트 장치(10)를 통해 하부프레임(230)의 이동시, 이동리프트 장치(10)가 이동블럭(236)의 내부로부터 인발될 수 있으며, 이탈고정판(30)은 승강판(27)이 이동블럭(236)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고정판(30)은 인양고리(3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유닛 모듈(200)의 인입시 와이어를 인양고리(32)에 연결하여 당길 수 있다.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를 이용하여 하부프레임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판(27)이 이동블럭(236)의 상판(236d) 보다 낮은 상태('해제상태')에서 이동리프트 장치(10)는 이동블럭(236)의 내부에 쉽게 수용될 수 있다. 이후, 주입구(25)를 통해 실린더(24)에 유체를 압송하면, 실린더(24)는 압력에 의해 실린더 로드(22)를 밀어내며, 작용-반작용에 의해 실린더(24)는 상승함과 동시에 승강판(27) 및 이동블럭(236)(또는 하부프레임(230))을 인상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230)이 벽체프레임(210)과 함께 인상된 상태에서, 유닛 모듈(200)은 철골프레임(100) 상에 인입되며, 인입이 완료된 후 이동리프트 장치(10)를 통해 인하되어 승강판(27)은 해제상태로 다시 전환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하부프레임(230) 상에 이동블럭(236)을 형성하고, 이동블럭(236)의 내부에 이동리프트 장치(10)를 인입시킨 후, 이동리프트 장치(10)를 통해 유닛 모듈(200)의 이동과 승/하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프레임(230)을 별도의 기구를 통해 들어올린 후, 다른 기구를 통해 이동시키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특히, 이동블럭을 통해 시공시 건물에서 허비될 수 있는 층간의 이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인필 유닛 모듈(200)이 인상된 상태에서 철골프레임(100) 상에 인입하기 위해 바닥판(130)과 바닥판(130) 사이 공간은 유닛 모듈(200)의 높이보다 크게 설계되며, 유닛 모듈(200)의 인하시 유닛 모듈(200)의 상부에는 시공오차로 인한 비사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동블럭(236)의 내부에 수용된 이동리프트 장치(10)를 통해 하부프레임(230)을 인상할 경우, 인상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시공오차로 인한 비사용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이동리프트 장치 12 : 베이스
14 : 좌우내측판 16 : 회전축
17 : 좌우외측판 18 : 이동바퀴
19 : 전후외측판 22 : 실린더 로드
24 : 실린더 25 : 주입구
27 : 승강판 100 : 철골프레임
110 : 철골기둥 120 : 철골보
130 : 바닥슬래브 200 : 인필 유닛 모듈
210 : 벽체프레임 220 : 바닥판
230 : 하부프레임 232 : 장변프레임
234 : 단변프레임 236 : 이동블럭

Claims (9)

  1. 서로 연결된 복수의 장변 프레임들 및 단변 프레임들과, 상기 장변 프레임들 또는 상기 단변 프레임들 중 하나 이상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장변 프레임 또는 상기 단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면개구부와 개방된 하부, 그리고 상기 전면개구부 및 상기 개방된 하부와 연통되고 상기 장변 프레임 또는 상기 단변프레임의 하부면으로부터 함몰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이동블럭을 구비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출입가능하며, 상기 이동블럭을 상승가능한 이동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리프트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된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이동바퀴들,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일단이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압송된 유체에 의해 승강하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판은 승강에 의해 상기 이동블럭의 상판에 접하는 작동상태 및 상기 이동블럭의 상판으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상태로 전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 타입 유닛 모듈.
  2. 서로 연결된 복수의 장변 프레임들 및 단변 프레임들과, 상기 장변 프레임들 또는 상기 단변 프레임들 중 하나 이상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장변 프레임 또는 상기 단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면개구부와 개방된 하부를 가지는 이동블럭을 구비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해 상기 이동블럭의 내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이동블럭을 상승가능한 이동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리프트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된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이동바퀴들,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일단이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압송된 유체에 의해 승강하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판은 승강에 의해 상기 이동블럭의 상판에 접하는 작동상태 및 상기 이동블럭의 상판으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상태로 전환가능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기 일단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승강을 안내하는 내측판들;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내측판들과 수직하며,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승강을 안내하는 복수의 보조판들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들은 상기 내측판들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이동바퀴들은 상기 내측판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 타입 유닛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내측판들의 이격거리와 대응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 타입 유닛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상기 전면개구부의 폭과 대응되는 장변 및 상기 장변과 수직한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지지면의 상기 장변은 상기 내측판들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 타입 유닛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가스가 압송되는 주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판들 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승강시 상기 주입구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이동슬롯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 타입 유닛 모듈.
  6. 서로 연결된 복수의 장변 프레임들 및 단변 프레임들과, 상기 장변 프레임들 또는 상기 단변 프레임들 중 하나 이상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장변 프레임 또는 상기 단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면개구부와 개방된 하부를 가지는 이동블럭을 구비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해 상기 이동블럭의 내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이동블럭을 상승가능한 이동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리프트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된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이동바퀴들,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일단이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압송된 유체에 의해 승강하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판은 승강에 의해 상기 이동블럭의 상판에 접하는 작동상태 및 상기 이동블럭의 상판으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상태로 전환가능하되,
    상기 승강판의 일측면은 상기 이동리프트 장치가 상기 이동블럭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개구부의 전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인필 타입 모듈 유닛은 상기 승강판의 일측면 및 상기 전면개구부의 전면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판을 상기 이동블럭 상에 고정하는 이탈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 타입 유닛 모듈.
  7. 서로 연결된 복수의 장변 프레임들 및 단변 프레임들과, 상기 장변 프레임들 또는 상기 단변 프레임들 중 하나 이상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장변 프레임 또는 상기 단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면개구부와 개방된 하부를 가지는 이동블럭을 구비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해 상기 이동블럭의 내부에 수용가능하며, 상기 이동블럭을 상승가능한 이동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리프트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된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이동바퀴들,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일단이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압송된 유체에 의해 승강하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판은 승강에 의해 상기 이동블럭의 상판에 접하는 작동상태 및 상기 이동블럭의 상판으로부터 이격되는 해제상태로 전환가능하되,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장변 프레임 및 상기 단변 프레임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과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제2 측판;
    상기 제1 및 제2 측판을 연결하며, 상기 장변 프레임 및 상기 단변 프레임 중 다른 하나가 연결되는 후면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측판과 상기 후면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판과 상기 후면판을 연결하는 상판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개구부는 상기 후면판과 대향되고, 상기 개방된 하부는 상기 상판과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 타입 유닛 모듈.
  8.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된 회전축들, 상기 회전축들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이동바퀴들, 일단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일단이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압송된 가스에 의해 승강하는 실린더,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판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기 일단에 고정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내측판들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들은 상기 내측판들을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이동바퀴들은 상기 내측판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내측판들의 이격거리와 대응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내측판들은 상기 실린더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KR1020120134306A 2012-11-26 2012-11-26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 KR10142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306A KR101425943B1 (ko) 2012-11-26 2012-11-26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306A KR101425943B1 (ko) 2012-11-26 2012-11-26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726A KR20140070726A (ko) 2014-06-11
KR101425943B1 true KR101425943B1 (ko) 2014-08-04

Family

ID=5112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306A KR101425943B1 (ko) 2012-11-26 2012-11-26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1310B (zh) * 2023-07-18 2023-11-24 山西七建集团有限公司 钢结构网架安装顶升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703A (ko) * 2008-04-30 2009-11-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703A (ko) * 2008-04-30 2009-11-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726A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0006B2 (en) Equipment and method for demolishing a building
KR10115438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모듈유닛의 바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모듈유닛의 시공방법
KR101154386B1 (ko) 모듈유닛의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리모델링 방법
JP2010265727A (ja) フロアクライミング型タワークレーンを用いた建物解体方法
JP6503716B2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JP2009073599A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構造およびクライミング方法
KR101425943B1 (ko) 인필 타입 이동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필 유닛 모듈
KR10118084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단계적 승하강을 위한 개량형 거푸집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JP5914203B2 (ja) 解体方法、解体補助装置
JP5473294B2 (ja) 天井クレーン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けシステム
KR101116254B1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KR100818609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CN103112766A (zh) 悬置于房屋建筑地下室顶板上方的施工电梯及其施工方法
KR20130114984A (ko)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EP3470603A1 (en) Method for erecting structural elements of building/construction of monolithic reinforced concrete and technological equipment to implement it
KR101314170B1 (ko) 탑사일로시공방법
CN111636553B (zh) 一种装配式阳台结构及施工工艺
JP2014025282A (ja) 梁部材の架設方法
KR101959068B1 (ko) 외벽 시공용 지그구조물
CN202689494U (zh) 一种电梯井模板支架
CN202248945U (zh) 墙体砌筑、粉刷装置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JP5348519B2 (ja) ユニット部材の揚重装置
CN205259591U (zh) 一种粮食筒仓滑膜拖带平台
CN110757626A (zh) 一种预制建筑塔基制作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