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529B1 -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529B1
KR101425529B1 KR1020140069840A KR20140069840A KR101425529B1 KR 101425529 B1 KR101425529 B1 KR 101425529B1 KR 1020140069840 A KR1020140069840 A KR 1020140069840A KR 20140069840 A KR20140069840 A KR 20140069840A KR 101425529 B1 KR101425529 B1 KR 101425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ross beam
hole
suppor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동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동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동테크
Priority to KR1020140069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가로보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구비된 지주; 상기 결합공에 일단이 관통·결합되는 가로보;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절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공의 상하부로 지주의 외측면에는 각각 브라켓과 조절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대의 상면에 대응하는 지지면이 후단에 구비된 지지대는 상기 가로보의 일단부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장공과 브라켓의 통공 및 조절대의 장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의 결합을 위해, 상기 가로보의 형상에 대응하는 ㄷ자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각각 연장·형성된 상·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고정대가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조절관은 가로보의 상면과 상기 가로보의 일단 저부에 구비된 경사면에 대응토록 형성되되, 상기 가로보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1 조절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제2 조절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시의 미관을 저해하는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서 가로보가 지주에 결합 및 고정되는 구조와 함께 종방향으로 소정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도시 미관의 개선과 함께 오랜기간 사용시 가로보의 처짐에 따른 가로보의 종방향 각도 조절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TRAFFIC GUIDE STRUCTURE}
본 발명은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의 미관을 저해하는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서 가로보가 지주에 결합 및 고정되는 구조와 함께 종방향으로 소정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도시 미관의 개선과 함께 오랜기간 사용시 가로보의 처짐에 따른 가로보의 종방향 각도 조절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각종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유도하기 위한 신호등이나 안내 표지판(U턴,직진후직좌,좌회전금지,동시신호 및 도로명/지명 등)과 같은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이 설치된다.
즉 상기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은 일반인들에게 지역 안내나 주의사항 또는 도로소통을 위한 신호를 인지시켜 주기 위하여 설치되며, 이러한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은 도로의 일측 지면에 하단부가 매립되고 그 상단부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로부터 도로 방향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신호등이나 도로표지판 및 가로등을 지지하는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의 처짐방지를 위해 지주와 가로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가로보의 처짐방지를 위해 설치한 와이어로프는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요소로 작용할 뿐더러 오래기간 사용 시 상기 가로보의 처짐이 발생하는데 이때 상기 와이어로프에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가로보의 수평을 맞춰야 하므로 종래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의 유지·보수는 여간 어렵고 불편한 일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의 미관을 저해하는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서 가로보가 지주에 결합 및 고정되는 구조와 함께 종방향으로 소정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도시 미관의 개선과 함께 오랜기간 사용시 가로보의 처짐에 따른 가로보의 종방향 각도 조절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은, 상부에 가로보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구비된 지주; 상기 결합공에 일단이 관통·결합되는 가로보;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절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공의 상하부로 지주의 외측면에는 각각 브라켓과 조절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대의 상면에 대응하는 지지면이 후단에 구비된 지지대는 상기 가로보의 일단부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장공과 브라켓의 통공 및 조절대의 장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의 결합을 위해, 상기 가로보의 형상에 대응하는 ㄷ자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하부에 각각 연장·형성된 상·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고정대가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조절관은 가로보의 상면과 상기 가로보의 일단 저부에 구비된 경사면에 대응토록 형성되되, 상기 가로보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1 조절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제2 조절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보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조절대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은 각각 각을 달리 형성한 제1 조절면과 제2 조절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절관의 제1,2 조절공에 체결되는 제1,2 조절볼트에 의해 가로보를 종방향으로 각도 조절 시 상기 가로보의 각도에 따라 지지대의 지지면은 제1 조절면 또는 제2 조절면에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보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조절대에는 상하로 가로방향의 장공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좌우로 세로방향의 장공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보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결합공의 상하 간격은 가로보의 상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보의 내부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에는 전력선과 제어선을 구분하기 위한 구획판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시의 미관을 저해하는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서 가로보가 지주에 결합 및 고정되는 구조와 함께 종방향으로 소정각도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도시 미관의 개선과 함께 오랜기간 사용시 가로보의 처짐에 따른 가로보의 종방향 각도 조절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A 부분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 도 1의 B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의 조절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의 단면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100)은, 크게 수직방향의 지주(110); 상기 지주(11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가로보(120); 상기 가로보의 일단에 끼움·결합되는 조절관(130); 상기 조절관(130)과 함께 상기 가로보(120)를 종방향으로 소정각도 조절하기 위한 브라켓(112)과 조절대(113), 지지대(140), 고정볼트(150), 고정대(160), 제1,2 조절볼트(170,171); 및 구획판(1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10)는 도로 일측의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주(110)의 상단부에는 가로보(120)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11)의 상하 간격은 상기 결합공(111)에 끼움 결합되는 가로보(120)의 상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가로보(120)를 종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11)의 상하부로 상기 지주(110)의 외측면에는 각각 브라켓(112)과 조절대(113)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브라켓(112)에는 통공(112a)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대(113)에는 상하로 한 쌍의 장공(113a)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대(113)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은 각각 각을 달리 형성한 제1 조절면(113b)과 제2 조절면(113c)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조절면(113b) 또는 제2 조절면(113c)에 지지대(140)의 지지면(141)이 접촉·지지되는 정도에 따라 가로보(120)의 각도가 종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가로보(120)는 지주(110)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상기 가로보의 일단부 저부에는 지지대(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로보(120)의 일단 저부에는 각도 조절을 위한 경사면(121)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21)에 대응토록 조절관(130)에도 경사면(131)이 형성된다.
상기 가로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절곡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122)에는 구획판(180)이 끼움 또는 용접 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획판(180)은 전력선과 제어선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조절관(130)은 가로보(120)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는 구성으로, 상기 조절관(130)의 몸체는 가로보(120)의 상면과 상기 가로보의 일단 저부에 구비된 경사면(121)에 대응토록 형성되되, 상기 가로보(120)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1 조절공(120a)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제2 조절공(120b)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2 조절공(130a,130b)에 대응토록 가로보(120)의 일단 상면과 저면에 통공(120a)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제1,2 조절공(130a,130b)에 체결되는 제1,2 조절볼트(170,171)의 체결길이에 따라 가로보(120)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조절공(130a)에 체결되는 제1 조절볼트(170)를 조이면 가로보(120)의 타단은 상부로 소정각도 들리면서 지지면(141)의 내측은 제1 조절면(113b)에 접촉·지지되고, 상기 제2 조절공(130a)에 체결되는 제2 조절볼트(171)를 조이면 가로보(120)의 타단은 하부로 소정각도 내려가면서 지지면(141)의 외측은 제2 조절면(113c)에 접촉·지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로보(12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가로보(120)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대(16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150)의 원활한 체결을 위해 조절대(113)의 장공(113a)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지지대(140)의 장공(140a)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40)는 가로보(120)의 일단 저부에 형성되어 한 쌍의 고정대(16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대(140)에는 세로방향의 장공(140a)이 소정간격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대(140)는 가로보(120)에 용접 결합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40)의 일측면에 형성된 지지면(141)은 제1,2 조절면(113b,113c)의 형상에 대응토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150)는 한 쌍의 고정대(160)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대(160)로 가로보(120)를 지주(110)에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상기 고정대(160)는 브라켓(112), 조절대(113), 지지대(14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가로보(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ㄷ자 형상의 몸체(161)와, 상기 몸체(161)의 상·하부에 각각 연장·형성된 상·하부 플랜지(162,163)와, 고정볼트(150)의 체결을 위해 상기 상·하부 플랜지(162,163)에는 다수의 통공(162a,16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랜지(162)의 통공(162a) 중 최 내측에 위치한 통공은 브라켓(112a)의 통공(112a)에 대응하고, 상기 하부 플랜지(163)의 통공(163a) 중 최 내측 상부에 위치한 통공은 지지대(140)의 최 내측 장공(140a)에 대응하되, 상기 통공(163a) 중 최 내측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은 통공은 조절대(113)의 장공(113a)에 대응토록 형성되며, 상기 통공 및 장공에는 고정볼트(150)가 체결된다.
물론 나머지 통공 및 장공에도 고정볼트(150)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대(160)가 가로보(120)의 외측에 결합·고정됨은 당연하다.
상기 제1,2 조절볼트(170,171)는 각각 조절관(130)의 상면과 저면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2 조절볼트(170,171) 결합정도, 즉 조임정도에 따라 가로보(12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획판(180)은 가로보(12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측의 공간에는 전력선, 타측의 공간에는 제어선이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110: 지주 111: 결합공
112: 브라켓 113: 조절대
120: 가로보 121: 경사면
130: 조절관 131: 경사면
140: 지지대 141: 지지면
150: 고정볼트 160: 고정대
161: 몸체 162: 상부 플랜지
163: 하부 플랜지 170: 제1 조절볼트
171: 제2 조절볼트 180: 구획판

Claims (5)

  1. 상부에 가로보(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공(111)이 구비된 지주(110); 상기 결합공(111)에 일단이 관통·결합되는 가로보(120); 상기 가로보(120)의 일단에 결합되는 조절관(130);으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공(111)의 상하부로 지주(110)의 외측면에는 각각 브라켓(112)과 조절대(113)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대(113)의 상면에 대응하는 지지면(141)이 후단에 구비된 지지대(140)는 상기 가로보(120)의 일단부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40)의 장공(140a)과 브라켓(112)의 통공(112a) 및 조절대(113)의 장공(113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150)의 결합을 위해, 상기 가로보(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ㄷ자 형상의 몸체(161)와, 상기 몸체(161)의 상·하부에 각각 연장·형성된 상·하부 플랜지(162,163)로 이루어진 고정대(160)가 상기 고정볼트(15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조절관(130)은 가로보(120)의 상면과 상기 가로보의 일단 저부에 구비된 경사면(121)에 대응토록 형성되되, 상기 가로보(120)의 상면에는 한 쌍의 제1 조절공(120a)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제2 조절공(120b)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대(113)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은 각각 각을 달리 형성한 제1 조절면(113b)과 제2 조절면(113c)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절관(130)의 제1,2 조절공(130a,130b)에 체결되는 제1,2 조절볼트(170,171)에 의해 가로보(120)를 종방향으로 각도 조절 시 상기 가로보(120)의 각도에 따라 지지대(140)의 지지면(141)은 제1 조절면(113b) 또는 제2 조절면(113c)에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120)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조절대(113)에는 상하로 가로방향의 장공(113a)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40)에는 좌우로 세로방향의 장공(140a)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120)의 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결합공(111)의 상하 간격은 가로보(120)의 상하 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보(120)의 내부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곡부(122)에는 전력선과 제어선을 구분하기 위한 구획판(180)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KR1020140069840A 2014-06-10 2014-06-10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KR101425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840A KR101425529B1 (ko) 2014-06-10 2014-06-10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840A KR101425529B1 (ko) 2014-06-10 2014-06-10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529B1 true KR101425529B1 (ko) 2014-08-01

Family

ID=5174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840A KR101425529B1 (ko) 2014-06-10 2014-06-10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702B1 (ko) * 2015-09-25 2016-05-19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와이어가 불필요한 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78Y1 (ko) 2003-11-11 2004-02-14 우종열 수평대가 구비된 신호등 철주
KR20110085292A (ko) * 2010-01-20 2011-07-27 유한회사 삼신기업 가로보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78Y1 (ko) 2003-11-11 2004-02-14 우종열 수평대가 구비된 신호등 철주
KR20110085292A (ko) * 2010-01-20 2011-07-27 유한회사 삼신기업 가로보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702B1 (ko) * 2015-09-25 2016-05-19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와이어가 불필요한 시설물 설치용 지주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124B1 (ko) 지지구조물
KR101230498B1 (ko) 신호등 장치
EP3572602A1 (en) Vertical cable barrier
KR101425529B1 (ko) 도로 교통안내 구조물
KR101106074B1 (ko) 교통 시설물 설치용 부착대 및 지주장치
KR101199507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연결장치
KR100938266B1 (ko) 안내판 설치용 지지어셈블리
KR20140132914A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KR101637527B1 (ko) 난간 브라켓
KR20150085596A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KR100915804B1 (ko) 시공성이 개선된 난간
KR101581837B1 (ko) 미관 및 구조적인 안전성이 우수한 신호등 지지장치
JP6211292B2 (ja) フェンス
KR101766266B1 (ko) 와이어없는 신호등 부착대
KR101143981B1 (ko) 가로보 각도 조절장치
KR200465191Y1 (ko) 표지판로드 고정구
KR100931957B1 (ko) 조립식 펜스
KR101389689B1 (ko) 도로표지판의 지지부재
JP3223499B2 (ja) 柵 体
JP5468598B2 (ja) 枠体支持ブロック
KR20200140142A (ko) 수직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수평 지지대 및, 그 설치 구조
JP6487811B2 (ja) 軒天井パネル、軒天井構造、建物、軒天井パネル取付方法
KR102089413B1 (ko) 신호등용 지주 구조체
KR20150134685A (ko) 교통시설물 설치용 가로보 및 그 제조방법
JP2015010431A (ja) 視線誘導標用支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