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225B1 - 중계 커넥터 - Google Patents

중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225B1
KR101425225B1 KR1020070128540A KR20070128540A KR101425225B1 KR 101425225 B1 KR101425225 B1 KR 101425225B1 KR 1020070128540 A KR1020070128540 A KR 1020070128540A KR 20070128540 A KR20070128540 A KR 20070128540A KR 101425225 B1 KR101425225 B1 KR 101425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lock
core conductor
gnd
mai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910A (ko
Inventor
히사시 스즈키
료이치 히라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ublication of KR2008005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of microwave or radiofrequency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이며, 간단한 조작으로 기판(10)에 동축 커넥터(2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또한, 떼어 낼 수 있는 중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전재의 메인 블록(20)에 형성한 관통 구멍(20a)에 유전체 부재(22b)를 삽입하여 외곽 GND(22a)를 고정하고, 반대측 면으로부터 코어 컨덕터(22c)를 돌출하여 동축 커넥터(22)를 고정한다. 기판 지지부(26b)를 갖는 도전재의 GND 블록(26)이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가이드 핀(24)과 가이드 구멍(26a)에서, 코어 컨덕터(22c)가 돌출한 면과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의 거리를 접근 분리시켜 그 사이에 기판(10)을 삽입하여 협지시킨다. 기판(10)을 끼우고, 단자 전극(12)을 코어 컨덕터(22c)에 GND 전극(16)을 기판 지지부(26b)와 GND 블록(26)과 메인 블록(20)을 직렬로 끼워 외곽 GND(22a)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에 따라, 기판(10)을 동축 커넥터(22)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Description

중계 커넥터{RELAY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의 검사 등을 위해, 기판의 표면에 설치된 단자 전극에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기판의 이면에 설치된 GND 전극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회로 기판 등의 설계 제작에 있어서, 설계 도중에 그 특성 평가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기판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에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기판의 이면 단부에 설치된 GND 전극에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단자 전극으로부터 얻어지는 고주파 신호에 기초하여 특성 평가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를,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5는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종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기판에 동축 커넥터를 접속하기 전의 종래의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에 있어서, 기판(10)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12, 12 …)에 동축 커넥터(일례로서, SMA형 커넥터)(14, 14, …)의 코어 컨덕터(14a, 14a, …)가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기판(10)의 이면 단부에 설치된 GND 전극(16)에 동축 커넥터(14, 14, …)의 외곽 GND(14b, 14b, …)가 남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동축 커넥터(14, 14, …)를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의 납땜 작업이 번잡하다. 또한, 동축 커넥터(14, 14, …)를 기판(10)으로부터 떼어 낼 때의 땜납을 용융하는 작업도 번잡하다. 또한, 납땜 및 땜납을 용융할 때에, 동축 커넥터(14)의 구성 부품인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부재에 열이 가해지고, 유전체 부재의 변형 및 전기적 특성 변화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며,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회수가 한정되어 있어 경제적이지 않다.
그래서, 납땜하지 않고,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술이 미국 특허 제5,017,865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블록에 동축 커넥터 외곽 GND를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에서 이 블록의 일면으로부터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를 돌출시키며, 블록의 이 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이동 부재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 부재에 기판을 탑재한 상태에서, 이 이동 부재를 코어 컨덕터측으로 이동시키고, 기판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을 코어 컨덕터에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을 얻으며, 기판의 이면 단부에 설치된 GND 전극이 이동 부재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이동 부재와 블록을 통해 외곽 GND에 전기적으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납땜하지 않고,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제5,017,865호 공보
전술한 미국 특허 제5,017,865호 공보에 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기판을 탑재하는 이동 부재를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복잡하며, 장치 전체로서 상당히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보다 소형이며, 기판에 대하여 보다 간단하게 동축 커넥터를 부착 및 떼어 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소형이며, 간단한 조작으로 기판에 동축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떼어 낼 수 있도록 한 중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는 기판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에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기판의 이면 단부에 설치된 GND 전극에 상기 동축 커넥터가 외곽 GN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로서,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메인 블록에 형성한 관통 구멍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유전체 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메인 블록의 일면에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를 고정하고, 상기 유전체 부재로부터 벗겨져 노출된 코어 컨덕터를 상기 메인 블록의 반대측 면으로부터 돌출시키며, 기판의 단부를 적재하는 기판 지지부를 갖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GND 블록을 상기 메인 블록에 대하여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가 돌출한 면과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의 상기 상대 이동에 이해 상기 코어 컨 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를 서로 접근 분리시켜 그 사이에 상기 기판을 삽입하여 협지시키고, 상기 코어 컨덕터가 돌출하는 면에서 상기 기판 지지부와 상기 접근 분리 방향의 반대측에서 상기 코어 컨덕터에 접하는 절연 커버를 배치하며,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의 사이에서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협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에 상기 기판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GND 블록에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을 고정하고, 이 판 스프링을 상기 메인 블록에 대하여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탄성 접촉시켜 상기 GND 블록을 상기 메인 블록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중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에 가이드 핀을 세워 설치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에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중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측으로부터 상기 관통 가이드 구멍에 가이드 나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한쪽 측에 그 선단부를 나사 결합시켜 상기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메인 블록에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하여 상기 기판 지지부와 반대측에 조작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메인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수축 설치하여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메인 블록에 대하여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GND 블록을 연결 부재로 연결하며,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면 상기 기판 지지부가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하여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압하여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압박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수축 설치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걸어,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하고, 상기 분리 방향의 힘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코어 컨덕터의 선단부를 축 방향으로 상기 절연 커버로부터 돌출시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중계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을 상기 동축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 치수와 동일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GND 블록의 상기 기판 지지부에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향하여 상기 코어 컨덕터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폭의 홈을 형성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GND 블록에 상기 코어 컨덕터의 돌출 선단보다도 상기 기판을 삽입하는 전방측으로 돌출시켜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기판 지지부에 연속하며, 상기 기판을 삽입하는 전방측이 상기 상대 이동 방향으로 상기 코어 컨덕터의 돌출하는 높이로부터 벗어나는 경사면을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상대 이동 방향으로 상기 코어 컨덕터측에서 봤을 때 꼭지각이 90°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메인 블록에 배치한 프레임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반대측에 누름 레버를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누름 레버의 제1 요동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측에 가압 이동시켜 상기 조작 부재를 가압 상태로 하고, 상기 누름 레버의 제2 요동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의 가압을 해제하여 해제 상태로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를 하나의 대좌에 복수대 고정하고, 복수대의 상기 중계 커넥터의 상기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1장의 상기 기판의 변부를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된 상기 기판의 상기 변부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단자 전극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코어 컨덕터를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는 제1 면, 상기 제1면에 반대측의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통하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가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가 상기 제2 면에 고정되게, 상기 동축 커넥터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도전성의 제1 블록, 그 양면에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각각 형성된 기판을 배치할 수 있는 제3 면을 구비하는 도전성의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은,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3 면 사이의 공간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치수를 변경하도록 상기 제1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서로 상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코어 컨덕터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3 면에 접촉되게, 상기 공간 내에 배치 가능하여도 좋다.
청구항 1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의 상대 이동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사이의 거리를 분리시켜 그 사이에 기판을 삽입하고, 상대 이동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접근시켜 그 사이에 기판을 협지시킬 수 있다.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가 기판 표면에 설치한 단자 전극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기판 이면에 설치한 GND 전극이 기판 지지부를 갖는 GND 블록으로부터 메인 블록을 통해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간단히, 기판을 동축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 이동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분리시켜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기판을 간단히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코어 컨덕터에 접하여 기판 지지부와 반대측에 절연 커버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기판을 끼웠을 때에 코어 컨덕터가 구부러지는 일도 없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에 의해,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을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서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여, 그 탄성력에 의해 기판을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협지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탄성력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기판을 적정한 일정한 힘으로 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하는 힘이 일정해지며, 전기적 접속이 안정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에 기판을 끼운 상태에서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수단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기판을 협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 등이 필요 없고,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 GND 블록에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을 고정하고, 이 판 스프링을 메인 블록에 대하여 탄성 접촉시켜 GND 블록을 메인 블록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GND 블록과 메인 블록을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 또는 GND의 한쪽에 접근 분리 방향으로 가이드 핀을 세워 설치하고, 다른 한쪽에 접근 분리 방향으로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여, 접근 분리 방향이 직선 방향이 되도록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이 간단하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 또는 GUD 블록의 한쪽에 접근 분리 방향으로 관통시켜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 측으로부터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에 가이드 나사를 삽입 관통하여 한쪽 측에 그 선단부를 나사 결합시켜, 접근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성이 간단하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를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면, 조작 부재와 연결 부재로 연결된 기판 지지부가 코어 컨덕터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를 확장하여 그 사이에 기판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의 압박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기판을 끼울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과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수축 설치하여,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이 탄성력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가 확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판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기판을 끼울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과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팽팽하게 걸어,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과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를 확장하여 기판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방향의 힘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해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기판을 끼울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코어 컨덕터의 선단부를 축 방향으로 절연 커버로부터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기판을 삽입할 때에, 돌출되어 있는 코어 컨덕터의 선단부에 단자 전극을 대향하도록 함으로써, 기판의 용이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중계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이 동축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 수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배치할 수 있는 최대의 밀도로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를 기판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GND 블록의 기판 지지부에 코어 컨덕터에 대항하여 코어 컨덕터의 외형과 대략 동일 폭의 홈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코어 컨덕터에 가압되어 기판이 끼워진 상태에서 기판이 홈에 들어가도록 약간 변형함으로써, 기판의 두께 방향의 압축이 경감되고, 기판이 받는 힘이 분산되어 전체적인 변형이 적어진다. 또한, 홈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기판의 GND 전극이 확실하게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기판을 삽입하는 전방측으로 돌출시켜 설치한 가이드부의 경사면을 따라 기판의 가장자리부를 삽입함으로써 용이하며, 확실하게 기판을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에 삽입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가이드부를 상대 이동 방향으로 코어 컨덕터측에서 봤을 때 꼭지각이 90°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모퉁이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를 90° 다른 방향으로 2개 인접하여 배치하여도 서로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누름 레버를 제1요동 위치로 하면, 조작 부재를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측에 가압 이동시켜 가압 상태로 하고,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분리시켜 그 사이에 기판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누름 레버를 제2 요동 위치로 하면, 조작 부재의 압박을 해제하여 해제 상태로 하여, 코어 컨덕터와 기판 지지부 사이의 거리를 접근시켜 그 사이에 기판을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6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나의 대좌에 복수대 고정된 청구항 15에 기재한 중계 커넥터에 의해, 1장의 기판의 변부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전극에 복수의 중계 커넥터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의 (c)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중계 커넥터에 기판을 끼운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도 25 및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메인 블록(20)에 관통 구멍(20a)을 형성하고, 동축 커넥터(일례로서, SMA형 커넥터)(22)의 외곽 GND(22a)로부터 돌출된 유전체 부재(22b)를 이 관통 구멍(20a)에 이측(裏側) 면으로부터 삽입하고, 이측 면에 외곽 GND(22a)을 나사에 의해 고정하며, 유전체 부재(22b)로부터 벗겨져 노출된 코어 컨덕터(22c)를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여기서, 유전체 부재(22b)의 단면은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들어간 위치에 있다. 또한, 코어 컨덕터(22c)가 돌출하는 축 방향은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이다. 그리고, 메인 블록(20)에 표측 면과 평행한 가이드 핀(24, 24)이 세워 설치된다.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GND 블록(26)에는 가이드 핀(24, 24)이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26a, 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가이드 구멍(26a, 26a)에 가이드 핀(24, 24)을 삽입 착탈 가능하게 삽입시킴으로써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GND 블록(26)이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과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GND 블록(26)에는 코어 컨덕터(22c)와 대향하는 기판 지지부(26b)가 설치되고, 상대 이동에 의해 코어 컨덕터(22c)에 대하여 기판 지지부(26b)가 접근 분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핀(24, 24)과 가이드 구멍(26a, 26a)으로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에서 기판 지지부(26b)와 접근 분리 방향으로 반대측에 코어 컨덕터(22c)에 접하여 절연 커버(28)가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이 절연 커버(28)는 코어 컨덕터(22c)를 축 방향 선단측에서 봤을 때 기판 지지부(26b)측이 확장된 얕은 コ자형이며, 코어 컨덕터(22c)에 기판 지지부(26b)와 반대측 일부분만이 접하고 있다. 또한, 코어 컨덕터(22c)의 선단부가 축 방향으로 절연 커버(28)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30)에 관통하도록 형성된 이동 범위 규제 관통 구멍(30a, 30a)에 이동 범위 규제 나사(32, 32)를 축 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관통시키고, 그 선단측을 GND 블록(26)을 배치한 것과 반대측의 메인 블록(20) 측에 나사 결합시켜, 조작 부재(30)를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소정 범위에서 접근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코어 컨덕터(22c)에 대한 GND 블록(26)의 접근 분리 방향과, 메인 블록(20)에 대한 조작 부재(30)의 접근 분리되는 방향은 대략 평행하다. 또한, 조작 부재(30)와 메인 블록(20) 사이에 탄성 부재로서의 탄성 나사(34, 34)가 축소 설치되어 조작 부재(30)가 메인 블록(20)으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된다. 그리고, 또한, 조작 부재(30)와 GND 블록(26)이 연결 핀(36, 36, …)에 의해 연결 부재(38, 38)로 연결된다. 이 연결 부재(38, 38)가 조작 부재(30)의 접근 분리 방향의 이동에 따라 GND 블록(26)을 접근 분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면 좋다. 그리고, 또한, GND 블록(26)에는 도전성을 갖는 판 스프링(40)이 비스로 고정되고, 접근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메인 블록(2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탄성 접속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이 제1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W)은 동축 커넥터(22)의 가로방향 폭 치수와 동일하며, 예컨대 12.7 mm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1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30)를 탄성스프링(34, 3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20)에 접근 방향으로 가압하면, 연결 부재(38, 38)로 연결된 GND 블록(26)이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기판 지지부(22b)가 코어 컨덕터(22c)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이동되고, 기판 지지부(26b)와 코어 컨덕터(22c) 사이의 공간이 확장된다. 그래서, 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에 기판(10)을 위치 맞춤시켜 삽입한다. 그리고, 조작 부재(30)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 스프링(34, 34)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 부재(30)가 메인 블록(20)으로부터 분리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것에 따라 기판 지지부(26b)가 코어 컨덕터(22c)에 접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에 기판(10)을 협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판(10)의 삽입은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12)을 절연 커버(28)로부터 돌출하는 코어 컨덕터(22c)의 선단부에 대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기판(10)을 코어 컨덕터(22c)에 용이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다. 이 기판(10)이 끼워지면, 단자 전극(12)이 코어 컨덕터(22c)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고, 기판(10)의 이면 단부의 GND 전극(16)이 기판 지지부(26b)를 갖는 GND 블록(26)과, 판 스프링(40)과, 메인 블록(20)과의 직렬 접속을 통해 외곽 GND(2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기판(10)의 단자 전극(12)과 GND 전극(16)이 동축 커넥터(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절연 커버(28)가 배치되기 때문에,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에 기판(10)을 끼웠을 때에, 코어 컨덕터(22c)를 구부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절연 커버(28)에 작용하여, 코어 컨덕터(22c)가 구부러지는 일이 없다. 또한, 절연 커버(28)는 코어 컨덕터(22c)에 적은 부분이 접하고, 유전체 부재(22b)로부터 돌출한 코어 컨덕터(22c)의 표면적 대부분이 공기에 노출되어 있으며, 절연 커버(28)를 배치함에 따른 임피던스의 변화가 적다. 그리고, 재차 조작 부재(30)를 탄성 스프링(34, 3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20)에 접근 방향으로 가압하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 사이가 확장되어 용이하게 기판(10)을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는, 그 가로방향 폭(W)이 동축 커넥터(22)의 가로방향 폭과 동일 치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10)에 단체인 동축 커넥터(22)를 복수로 병렬하여 설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중계 커낵터를 기판(10)에 높은 밀도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2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8의 (a)는 정면도이며, 도 8의 (b)는 평면도이고, 도 8의 (c)는 외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 및 도 25와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8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메인 블록(20)에 관통 구멍(20a)을 형성하고, 동축 커넥터(22)의 외곽 GND(22a)로부터 돌출된 유전체 부재(22b)를 이 관통 구멍(20a)에 이측 면으로부터 삽입하고, 이측(a) 면에 외곽 GND(22a)을 나사로 고정하며, 유전체 부재(22b)로부터 벗겨져 노출된 코어 컨덕터(22c)를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돌출된 코어 컨덕터(22c)와 접하여,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에 절연 커버(28)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GND 블록(26)이 메인 블록(20)의 표측 면과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GND 블록(26)에는 코어 컨덕터(22c)에 대향하여 기판 지지부(26b)가 설치되며, 상대 이동에 의해 코어 컨덕터(22c)에 대하여 기판 지지부(26b)가 접근 분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행해지는 것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또한, GND 블록(26)에는 도전성을 갖는 판 스프링(40)이 비스로 고정되고, 접근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메인 블록(2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탄성 접속하도록 배치되는 것 및 이 제2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W)이 동축 커넥터(22)의 가로방향 폭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이드 부재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즉, GND 블록(26)에는 접근 분리 방향으로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과 이동 조정 나사 관통 구멍(26d)이 각각 형성되고, 메인 블록(20)과 반대측 면으로부터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을 관통하여 가이드 나사(42, 42)가 메인 블록(20)에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이동 조정 나사 관통 구멍(26d)을 관통하여 이동 조정 나사(44)가 메인 블록(20)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에 삽입되고, 가이드 나사(42, 42)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탄성 부재인 압축 스프링(46, 46)이 GND 블록(26)과 메인 블록(20) 사이에 축소 설치된다. 이들의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과 가이드 나사(42, 42)에 의해,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GND 블록(26)을 접근 분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 조정 나사(44)의 나사 결합의 정도에 의해 메인 블록(20)으로부터 GND 블록(26)이 분리되는 거리가 규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압축 스프링(46, 46)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 블록(20)으로부터 GND 블록(26)이 분리된 상태에 있으며,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가 확장된 상태에 있다. 그래서, 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가 확장되어 있는 공간에 기판(10)을 삽입하고, 이동 조정 나사(44)를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메인 블록(20)을 압축 스프링(46, 4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GND 블록(26)측에 접근시켜,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의 공간이 좁혀져서 기판(10)이 협지된다. 그러면, 기판(10)의 단자 전극(12)에 동축 커넥터(2, 2)의 코어 컨덕터(22c)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기판(10)의 GND 전극(16)이 기판 지지부(26b)와 판 스프링(40) 및 메인 블록(20)의 직렬 접속을 통하여 동축 커넥터(22)의 외곽 GND(22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도, 이동 조정 나사(44)에 의해 압축 스프링(46, 4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20)을 GND 블록(26)측에 접근시킴으로써, 간단히 기판(10)의 단자 전극(12)과 GND 전극(16)을 동축 커넥터(2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조정 나사(44)를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판(10)을 간단히 떼어 낼 수 있다. 이 이동 조정 나사(44)의 체결에 의해, 기판(10)을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에 끼운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는 이 이동 조정 나사(44)가 이동 규제 유닛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 조정 나사(44)의 체결 대신에 메인 블록(20)을 압축 스프링(46, 4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GND 블록(26)측에 가압하여,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에 기판(10)을 협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가압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기판(10)을 간단히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3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2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2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2의 (c)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 화살 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E-E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 및 도 25와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내지 도 1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20), 동축 커넥터(22), GND 블록(26), 절연 커버(28), 및 판 스프링(40)의 구조는 대략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그런데, 제3 실시예가 제2 실시예와 다음 사항이 다르다. 우선, GND 블록(26)에는 접근 분리 방향으로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이 형성되지만, 이동 조정 나사 관통 구멍(26d)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메인 블록(20)과 반대측 면으로부터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을 관통하는 가이드 나사(42, 42)가 메인 블록(20)에 나사 결합되지만, 이동 조정 나사(44)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들의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과 가이드 나사(42, 42)에 의해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GND 블록(26)을 접근 분리 방향으로 직선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제하는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블록(20)의 GND 블록(26)측 면과 GND 블록(26)의 메인 블록(20)측 면에 각각 반대되도록 스프링 삽입 구멍(20b, 20b, 26e, 26e)이 형성되고, 그 각각에 탄성 부재로서 인장 스프링(48, 48)의 양단이 삽입되며, 고정 핀(50, 50, …)에 의해 양단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인장 스프링(48, 48)의 탄성력에 의해, GND 블록(26)과 메인 블록(20)이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48, 4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 록(20)과 GND 블록(26)을 분리 방향으로 떼어놓고,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를 확장한다. 그리고, 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를 넓힌 공간에 기판(10)을 삽입한 상태에서, 분리하는 방향의 힘을 해제하면,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이 인장 스프링(48, 48)의 탄성력에 의해 접근하여,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가 좁혀져 그 사이에 기판(10)이 협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에 있어서도 인장 스프링(48, 48)의 탄성력에 의해 기판(10)을 협지하고, 간단히 기판(10)의 단자 전극(12)과 GND 전극(16)을 동축 커넥터(2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재차, 인장 스프링(48, 4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을 분리 방향으로 떼어놓고,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가 확장됨으로써 기판(10)을 간단히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4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3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3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3의 (c)는 좌측면도이며, 도 13의 (d)는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F-F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G-G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있어서, 도 1내지 도 12 및 도 25와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20), 동축 커넥터(22), GND 블록(26), 절연 커버(28), 및 판 스프 링(40)의 구조, 그리고, GND 블록(26)에 형성된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26c, 26c)에 삽입 관통한 가이드 나사(42, 42)가 메인 블록(20)에 나사 결합되고, 가이드 부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대략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탄성 스프링(34, 34)이나 제2 실시예의 압축 스프링(46, 46)이나 제3 실시예의 인장 스프링(48, 48)에 해당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인 블록(20)에 GND 블록(26)에 미끄럼 접촉하는 멈춤 나사용 설부(舌部)(20c)가 설치되고, GND 블록(26)에는 이 멈춤 나사용 설부(20c)를 접근 분리 방향의 이동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오목부(26f)가 설치된다. 또한, 멈춤 나사용 설부(20c)에 코어 컨덕터(22c)와 대략 평행 방향으로 나사 결합하여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유닛으로서의 멈춤 나사(52)가 나사 결합에 의해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GND 블록(26)의 오목부(26f)의 저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멈춤 나사(52)를 GND 블록(26)으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나사 결합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을 분리 방향으로 적절히 떼어놓아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를 확장한다. 그리고, 이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를 넓힌 공간에 기판(10)을 삽입하고,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을 접근시켜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를 좁혀 기판(10)을 그 사이에 협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멈춤 나사(52)를 GND 블록(26)에 밀어 넣는 방향으로 나사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중계 커넥 터에 있어서도, 멈춤 나사(52)의 적절한 설정으로 간단히 기판(10)의 단자 전극(12)과 GNR 전극(16)을 동축 커넥터(2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멈춤 나사(52)를 느슨하게 하여 재차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을 분리 방향으로 떼어놓고,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를 넓힘으로써, 기판(10)을 간단히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5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7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7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7의 (c)는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코어 컨덕터에 가압되어 기판이 끼워진 상태의 기판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8의 (a)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의 변형을 도시하고, 도 18의 (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19는 코어 컨덕터에 가압되어 기판이 끼워진 상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9의 (a)는 도 5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하며, 도 19의 (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한다. 도 20은 기판의 모퉁이부에 대해서 제5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를 90° 다른 방향으로 2개 인접시켜 배치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20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6 및 도 25 및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는 GND 블록(26)의 기판 지지부(26b)에 코어 컨덕터(22c)에 대향하여 돌출 방향으로 코어 컨덕터(22c)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폭의 홈(26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GND 블 록(26)에 코어 컨덕터(22c)의 돌출 선단보다도 기판(10)을 삽입하는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가이드부(26h)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부(26h)에, 기판 지지부(26b)에 연속하며, 기판(10)을 삽입하는 전방측이 상대 이동 방향으로 코어 컨덕터(22c)이 돌출하는 높이로부터 벗어나는 경사면(26i)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6h)가 상대 이동 방향으로 코어 컨덕터(22c) 측에서 봤을 때 꼭지각이 90°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GND 블록(26)의 기판 지지부(26b)에 기판(10)을 삽입하고, 코어 컨덕터(22c)에 대하여 기판(10)이 가압되면, 도 1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0)이 홈(26g)에 들어가도록 약간 변형됨으로써 기판(10)의 두께 방향의 압축이 경감되고, 기판(10)이 받는 힘이 분산되어, 전체로서의 변형이 적어진다. 또한, 홈(26g) 양측의 가장자리부에 기판(10)의 GND 전극(16)이 확실하게 접촉되어 확실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실시예와 같이 기판 지지부(26b)에 홈(26)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0)이 두께 방향으로 크게 압축되어 기판(10)의 양측이 부상하고, GND 블록(26)에 기판(10)의 GND 전극(16)이 적은 접촉 면적에 접촉하여 확실한 공기적 접속을 얻을 수 없다. 이 결과, 도 19의 (a)에 도시하는 제5 실시예의 고주파 손실 특성과 같이, 도 19의 (b)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의 고주파 손실 특성에 비하여, 5 GHz∼10 GHz로 고주파 손실 특성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판(10)을 삽입하는 전방측으로부터 돌출시켜 설치한 가이드부(26h)의 경사면(26i)을 따라 기판(10)의 가장자리부를 삽입함으로 써,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기판(10)을 코어 컨덕터(22c)와 기판 지지부(26b) 사이에 삽입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가이드부(26h)를 상대 이동 방향으로 코어 컨덕터(22c)측에서 봤을 때 꼭지각이 90°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0)의 모퉁이부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를 90° 다른 방향으로 2개 인접시켜 배치하여도 서로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6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 누름 레버를 제1 요동 위치로 한 측면도이다. 도 23은 제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의 누름 부재를 제2 요동 위치로 한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를 하나의 대좌에 복수대 배치하여, 1장의 기판 변부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응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0 및 도 25와 도 26과 동일하거나 또는 균등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6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 또는 제5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82)의 메인 블록(20)을 아래로부터 양측을 감싸도록 판금으로 이루어지며 コ자형으로 절곡된 프레임(60)이 배치되고, 스페이서(62)를 사이에 두고 접시 나사(64)로 메인 블록(20)에 고정된다. 스페이서(62)는 접시 나사(64)의 헤드부 두께를 흡수하여, 하면을 평평하게 하기 위해 이 용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60) 양측의 コ자형 아암부의 선단부가 조작 부재(30)를 넘은 상측까지 신장되고, 조작 부재(30)의 상측에서 프레임(60)의 아암부 선단부에 조작 부재(30)의 조작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요동 지지축(66)이 배치된다. 이 요동 지지축(66)에 누름 블록(68)이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레버 부재(70)가 구멍(72)에 삽입된 나사(74)에 의해 이 누름 블록(68)에 고정된다. 누름 블록(68)은 요동 지지축(66)과 직교하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서, 그 모퉁이부가 둥굴게 된 형상이다. 그 직사각형의 대략 중심 위치에 요동 지지축(66)이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누름 블록(68)과 레버 부재(70)로 누름 레버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60) 아암부의 선단부에 스토퍼(76)가 나사(78, 78)에 의해 고정되고, 레버 부재(70)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며, 프레임(60) 아암부의 선단부가 확장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70)를 세운 제1 요동 위치에서는 스토퍼(76)에 의해 레버의 요동이 규제되고, 누름 블록(68)의 요동 지지축(66)으로부터 먼 변(邊)이 조작 부재(30)에 접촉된 상태에서 조작 부재(30)를 탄성 스프링(34, 3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GND 블록(26)을 하강시켜, 기판 지지부(26b)와 코어 컨덕터(22c) 사이를 두어 그 사이에 기판(10) 변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상태로 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70)를 눕힌 제2 요동 위치에서는 누름 블록(68)의 요동 지지축(66)으로부터 가까운 변이 조작 부재(30)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조작 부재(30)는 탄성 스프링(34, 34)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 블록(20)으로부터 분리되어 GND 블 록(26)이 올려져서, 기판 지지부(26b)와 코어 컨덕터(22c)의 사이가 근접되고, 그 사이에 삽입된 기판(10)의 변부를 협지하여, 기판(10)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12)에 코어 컨덕터(22c)를 탄성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가 된다.
레버 부재(70)를 제1 요동 위치와 제2 요동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중계 커넥터(82)에 기판(10)을 협지한 상태와, 기판(10)의 삽입을 허용하는 상태로 적절히 그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누름 블록(68)의 단면 직사각형의 형상 치수를 기판(10)의 삽입과 협지에 적합한 것으로 설정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레버 부재(70)를 세운 제1 요동 위치에서, 조작 부재(30)에 접촉하는 누름 블록(68)의 면을 평면으로 함으로써, 제1 요동 위치를 간단히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누름 블록(68)과 레버 부재(70)로 누름 레버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에 의해 마모되기 쉬운 누름 블록(68)만을 교환할 수 있으며, 관리 및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누름 블록(68)을 레버 부재(70)에 고정하는 나사(74)를 삽입한 구멍(72)에 드라이버 등의 가는 막대기를 삽입하여 이 드라이버 등을 레버 부재(70)의 연장용 부재로서 이용하면, 보다 작은 힘으로 레버 부재(7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응용예에 있어서는 1대의 대좌(80)에 복수대의 제6실시예의 누름 레버가 설치된 중계 커넥터(90, 90, …)가, 각각에 스페이서(84, 84, …)를 사이에 두고 나사(64)와 동일한 고정 나사(86, 86, …)로 고정된다. 대좌(80)에 고정된 복수대의 중계 커넥터(90, 90, …)는 GND 블록(26, 26, …)의 기판 지지부(26b, 26b, …)와 동축 커넥터(22, 22, …)의 코어 컨덕터(22c, 22c, …) 사이에 1장의 기판(10)의 변부를 삽입할 수 있고, 동축 커넥터(22)의 코어 컨덕 터(22c, 22c, …)는 삽입된 기판(10) 변부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전극(12, 12, …)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좌(80)에는 기판(10)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치대(88)가 설치되고, 기판(10)의 변부가 GND 블록(26, 26, …)의 기판 지지부(26b, 26b, …)와 동축 커넥터(22, 22, …)의 코어 컨덕터(22c, 22c, …) 사이에 확실하게 안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대좌(80)를 그라운드 전극으로 하고, 스페이서(84, 84, …) 및 고정 나사(86, 86, …)를 도전 부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프레임(60, 60, …) 및 스페이서(84, 84, …)를 도전재로 형성하면, 중계 커넥터(82, 82, …)의 GND 블록(26, 26, …)이 하나의 대좌(80) 그라운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스페이서(84, 84, …) 및 고정 나사(86, 86, …)을 절연 부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프레임(60, 60, …) 및 고정 나사(86, 86, …)를 절연 부재로 형성하면 중계 커넥터(82, 82, …)의 GND 블록(26, 26, …)을 대좌(80)의 그라운드 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응용예에 있어서는 모든 중계 커넥터(82, 82, …)의 레버 부재(70, 70, …)를 제1 요동 위치로 한 상태에서 기판(10)을 삽입하고, 전기적으로 접속을 필요로 하는 단자 전극(12, 12, …)에 대향하는 중계 커넥터(82, 82, …)의 레버 부재(70, 70, …)만을 제2 요동 위치로 작동할 수 있다. 레버 부재(70, 70, …)를 제1 요동 위치 또는 제2 요동 위치 중 어느 한쪽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내용에 따라 기판(10)에 설치된 단자 전극(12, 12, …)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절히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블록(20)에 대하여 GND 블록(26)을 직선 형으로 접근 분리 방향으로 이동을 규제하는 기구는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더브테일 홈 등을 이용하여 적절히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기판(10)의 GND 전극(16)이 탑재되는 기판 지지부(26a)가 설치된 GND 블록(26)을 메인 블록(20)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판 스프링(40)을 이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시블한 전선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시켜도 좋으며, 확실한 도통을 얻을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라도 좋다. 또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판형의 스프링 등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멈춤 나사(52) 대신에 메인 블록(20)과 GND 블록(26)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다른 구조의 이동 규제 유닛을 이용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의 (c)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중계 커넥터에 기판을 끼운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2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5의 (a)는 정면도이며, 도 5의 (b)는 평면도이고, 도 5의 (c)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3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9의 (a)는 정면도이며, 도 9의 (b)는 평면도이고, 도 9의 (c)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E-E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4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3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3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3의 (c)는 좌측면도이며, 도 13의 (d)는 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F-F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G-G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6은 도 13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5 실시예의 외관도이고, 도 17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7의 (b)는 평면도이고, 도 17의 (c)는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코어 컨덕터에 가압되어 기판이 끼워진 상태의 기판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의 (a)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의 (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판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코어 컨덕터에 가압되어 기판이 끼워진 상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의 (a)는 제5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의 (b)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주파 손실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기판의 모퉁이부에 대하여 제5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를 90° 다른 방향으로 2개 인접시켜 배치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중계 커넥터의 제6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제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의 누름 레버를 제1 요동 위치로 한 측면도.
도 23은 제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의 누름 레버를 제2 요동 위치로 한 일부 절결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를 하나의 대좌에 복수대 배치하여, 1장의 기판의 변부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응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종래의 기판에 동축 커넥터를 접속하기 전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12 : 단자 전극
14, 22 : 동축 커넥터 14a, 22c : 코어 컨덕터
14b, 22a : 외곽 GND 16 : GND 전극
20 : 메인 블록 20a : 관통 구멍
20b, 26e : 스프링 삽입 구멍 20c : 멈춤 나사용 설부
22 : 동축 커넥터 22b : 유전체 부재
24 : 가이드 핀 26 : GND 블록
26a : 가이드 구멍 26b : 기판 지지부
26c : 가이드 나사 관통 구멍 26d : 이동 조정 나사 관통 구멍
26f : 오목부 26g : 홈
26h : 가이드부 26i : 경사면
28 : 절연 커버 30 : 조작 부재
30a : 이동 범위 규제 관통 구멍 32 : 이동 범위 규제 나사
34 : 탄성 스프링 36 : 연결핀
38 : 연결 부재 40 : 판 스프링
42 : 가이드 나사 44 : 이동 조정 나사
46 : 압축 스프링 48 : 인장 스프링
50 : 고정 핀 52 : 멈춤 나사
60 : 프레임 62, 84 : 스페이서
64 : 접시 나사 66 : 요동 지지축
68 : 누름 블록 70 : 레버 부재
72 : 구멍 74, 78 : 나사
76 : 스토퍼 80 : 대좌
86 : 고정 나사 88 : 가치대
82 : 제1 실시예 또는 제5 실시예의 중계 커넥터
90 : 제6 실시예의 누름 레버가 설치된 중계 커넥터

Claims (17)

  1. 기판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단자 전극에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기판의 이면 단부에 설치된 GND 전극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로서,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메인 블록에 형성한 관통 구멍에 상기 동축 커넥터의 유전체 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메인 블록의 일면에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를 고정하고, 상기 유전체 부재로부터 벗겨져 노출된 코어 컨덕터를 상기 메인 블록의 반대측 면으로부터 돌출시키며,
    기판의 단부를 적재하는 기판 지지부를 갖는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GND 블록을 상기 메인 블록에 대하여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가 돌출한 면과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의 상기 상대 이동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를 서로 접근 분리시켜 그 사이에 상기 기판을 삽입하여 협지시키고,
    상기 코어 컨덕터가 돌출하는 면에서 상기 기판 지지부와 상기 접근 분리 방향의 반대측에 상기 코어 컨덕터에 접하는 절연 커버를 배치하며,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의 사이에서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판을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협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에 상기 기판을 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 수단을 마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ND 블록에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을 고정하고,
    이 판 스프링을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상기 메인 블록에 탄성 접속시켜 상기 GND 블록을 상기 메인 블록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중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가이드 핀을 세워 설치하고, 다른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중 한쪽에 상기 접근 분리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가이드 구멍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으로부터 상기 관통 가이드 구멍에 가이드 나사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한쪽 측에 그 선단부를 나사 결합시켜 상기 가이드 부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에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하여 상기 기판 지지부와 반대측에 조작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메인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수축 설치하여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메인 블록에 대하여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GND 블록을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면 상기 기판 지지부가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하여 분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압하여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하고,
    상기 조작 부재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수축 설치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하도록 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 사이에 탄성 부재를 걸어,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접근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상기 GND 블록을 분리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확장하여 상기 공간에 기판을 삽입하고,
    상기 분리 방향의 힘을 해제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상기 기판을 협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컨덕터의 선단부를 축 방향으로 상기 절연 커버로부터 돌출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중계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커넥터의 가로방향 폭을 상기 동축 커넥터의 가 로방향 폭 치수와 동일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ND 블록의 상기 기판 지지부에 상기 코어 컨덕터에 대향하여 상기 코어 컨덕터의 외형과 동일 폭의 홈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ND 블록에 상기 코어 컨덕터의 돌출 선단보다도 상기 기판을 삽입하는 전방측으로 돌출시켜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기판 지지부에 연속하며, 상기 기판을 삽입하는 전방측이 상기 상대 이동의 방향으로 상기 코어 컨덕터가 돌출되는 높이로부터 벗어나는 경사면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상대 이동의 방향으로 상기 코어 컨덕터측에서 봤을 때 꼭지각이 90°의 이등변 삼각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에 배치한 프레임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에 대하여 상기 메인 블록과 반대측에 누름 레버를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누름 레버의 제1 요동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탄성 부재의 탄 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메인 블록측에 가압 이동시켜 상기 조작 부재를 가압 상태로 하고,
    상기 누름 레버의 제2 요동 위치에서 상기 조작 부재의 압박을 해제하여 해제 상태로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중계 커넥터를 하나의 대좌에 복수대 고정하고, 복수대의 상기 중계 커넥터의 상기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와 상기 기판 지지부 사이에 1장의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부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코어 컨덕터를, 삽입된 상기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표면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단자 전극에 각각 면하도록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커넥터.
  17. 제1 면, 상기 제1면에 반대측의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통시키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동축 커넥터의 코어 컨덕터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동축 커넥터의 외곽 GND가 상기 제2 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동축 커넥터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도전성의 제1 블록, 및
    그 양면에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각각 형성된 기판을 배치할 수 있는 제3 면을 구비하는 도전성의 제2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코어 컨덕터와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3 면 사이의 공간의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치수를 변경하도록, 서로 상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동축 커넥터의 상기 코어 컨덕터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제3 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공간 내에 배치 가능하며,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2 방향의 반대측에 상기 코어 컨덕터에 접하는 절연 커버를 배치한 것인 중계 커넥터.
KR1020070128540A 2006-12-11 2007-12-11 중계 커넥터 KR101425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33086 2006-12-11
JP2006333086 2006-12-11
JP2007286924A JP4916024B2 (ja) 2006-12-11 2007-11-05 中継コネクタ
JPJP-P-2007-00286924 2007-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910A KR20080053910A (ko) 2008-06-16
KR101425225B1 true KR101425225B1 (ko) 2014-07-31

Family

ID=3951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540A KR101425225B1 (ko) 2006-12-11 2007-12-11 중계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16024B2 (ko)
KR (1) KR101425225B1 (ko)
CN (1) CN101202403B (ko)
TW (1) TWI4168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1297B2 (ja) * 2008-11-20 2011-07-13 株式会社ヨコオ 中継コネクタ
JP5241014B2 (ja) * 2009-01-28 2013-07-17 株式会社ヨコオ 中継コネクタ
JP5229956B2 (ja) 2009-02-03 2013-07-03 株式会社ヨコオ 中継コネクタの固定構造
KR102355289B1 (ko) * 2020-02-27 2022-01-25 주식회사 센서뷰 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2183U (ko) * 1986-03-03 1987-09-08
JPS644083U (ko) * 1987-06-26 1989-01-11
US5017865A (en) * 1989-06-07 1991-05-21 Wiltron Company Coaxial microwave device test fixture
JP2001052819A (ja) 1999-08-16 2001-02-2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フランジ付き高周波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417B2 (ja) * 1986-10-29 1994-11-16 ファイザ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6―(1―カルバモイル―1―ヒドロキシメチル)ペニシラン酸誘導体
JPS644083A (en) * 1987-06-25 1989-01-09 Sanyo Electric Co Photovoltaic device
US4995815A (en) * 1990-02-26 1991-02-26 At&T Bell Laboratories Coaxial transmission line to strip line coupler
DE4300177C2 (de) * 1993-01-07 1996-05-02 Rose Walter Gmbh & Co Kg Verbindungs- und Abzweigmuffe für Koaxialkabel oder dergleichen
JPH078961U (ja) * 1993-07-14 1995-02-07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5909063A (en) * 1996-12-30 1999-06-01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witchable or automatically terminating connecting device and combination thereof
US5997314A (en) * 1997-12-15 1999-12-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ual purpose connection for interface with an antenna or connection interface
US6007347A (en) * 1998-05-20 1999-12-28 Tektronix, Inc. Coaxial cable to microstrip connection and method
CN2481019Y (zh) * 2001-05-16 2002-03-06 四川省中光高技术研究所 同轴转接器
JP4050582B2 (ja) * 2002-09-19 2008-02-20 株式会社ヨコオ クリップ式中継コネクタ
JP4053950B2 (ja) * 2003-08-08 2008-0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及びノート型パソコ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2183U (ko) * 1986-03-03 1987-09-08
JPS644083U (ko) * 1987-06-26 1989-01-11
US5017865A (en) * 1989-06-07 1991-05-21 Wiltron Company Coaxial microwave device test fixture
JP2001052819A (ja) 1999-08-16 2001-02-2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フランジ付き高周波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910A (ko) 2008-06-16
JP2008171801A (ja) 2008-07-24
TWI416825B (zh) 2013-11-21
TW200838058A (en) 2008-09-16
CN101202403A (zh) 2008-06-18
CN101202403B (zh) 2011-07-06
JP4916024B2 (ja) 201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886B1 (ko) 스프링식 플러그 단자
US9379466B2 (en) Connector
KR20150095182A (ko) 커넥터
KR101425225B1 (ko) 중계 커넥터
US7484999B2 (en) Relay connector
JP2000133353A (ja) 中間電気コネクタ
US7775821B2 (en) Socket for burn-in tests
KR20100077125A (ko) 중계 커넥터
KR101500577B1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CN213584498U (zh) 连接器测试转接装置
US20180062288A1 (en) Contact and connector
US7887340B2 (en) Fixing structure of relay connector
JP5241014B2 (ja) 中継コネクタ
KR101640601B1 (ko) 릴레이 커넥터
KR200339645Y1 (ko) 집적회로모듈용 테스트소켓
CN219979822U (zh) 弹性件及应用有该弹性件的电连接器
JP4117827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221600B2 (ja) 遮断器の端子構造
JP6664994B2 (ja) 測定用治具
US7018225B2 (en) Socket connector with anti-distortion functions
WO2012153176A1 (en) Electrical contact with elastic linear bar and terminal block comprising said electrical contact
KR20100013637A (ko) 리셉터클터미널
CA2029630A1 (en) Jack assembly
JP2000009751A (ja) 低背型コンタクトプローブ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