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907B1 - 사출성형 물품 제조에서의 폴리아미드의 용도 및 그 제조 물품 - Google Patents
사출성형 물품 제조에서의 폴리아미드의 용도 및 그 제조 물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4907B1 KR101424907B1 KR1020127024402A KR20127024402A KR101424907B1 KR 101424907 B1 KR101424907 B1 KR 101424907B1 KR 1020127024402 A KR1020127024402 A KR 1020127024402A KR 20127024402 A KR20127024402 A KR 20127024402A KR 101424907 B1 KR101424907 B1 KR 1014249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amide
- lubricant
- fatty acid
- chain limiting
- limiting ag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8—Preparatory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1—Pre-melted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amid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 물품 제조에서의 열가소성 중합체의 용도, 및 이렇게 제조된 사출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출성형 물품의 있어서, 1종 이상의 윤활제를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첨가시켜 얻어지는 윤활처리된 폴리아미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출성형 물품 제조에서의 열가소성 중합체의 용도, 및 이렇게 제조되는 사출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출성형 물품의 제조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윤활제를 중합체의 중합 공정 동안에 첨가시켜 얻어지는 윤활처리된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는 윤활처리된 폴리아미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는 많은 산업적, 상업적 관심을 받고 있는 중합체이다. 열가소성 폴리아미드는 특히 2종의 상이한 단량체 사이의 반응에 의해, 또는 단지 한 단량체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진다. 우선 본 발명은 2종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생성되는 폴리아미드에 적용되며, 그 중 가장 중요한 폴리아미드는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마이드)이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단지 한 단량체로부터 생성되는 폴리아미드에 적용되며, 그 중 가장 중요한 폴리아미드는 폴리카프로락탐이다.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류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출발물질 단량체의 수용액을 고온, 고압에서 가열시키는 조작을 통한 중축합에 의해 주로 수행된다. 이렇게 제조되는 주로 용융된 형태의 중합체, 특히 폴리아미드를 후속으로는 대개 그래뉼(과립)로 형성한다. 이러한 그래뉼은 나중에 다수 분야에서 사용되는데, 특히는 얀(yarn),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제조용, 또는 성형, 사출성형 또는 압출에 의한 물품 형성에 사용된다. 특히, 일반적으로 성형 단계를 거친 그래뉼은 공업 플라스틱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성형 물품 등과 같은 물품으로 최종적으로 성형하기 위해, 그리고 제형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그래뉼을 재용융시킨다.
사출성형 단계는 다양하면서 다소 복잡한 형상의 물품, 특히는 사출성형 온도에서 중합체의 유동성이 양호한 물품을 제조가능하게 하는 조건 하에서 수행해야 한다. 이는 두께가 얇은 물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또한, 중합체는 제조되는 성형 물품에 만족스러운 기계적 물성을 부여해야 한다. 이러한 기계적 물성으로는 그 중에서도 특히 충격강도, 굴곡 또는 인장 탄성률, 또는 굴곡 또는 인장 파단응력이 있다.
충전재 또는 첨가제를 가하여 중합체의 물성을 개질하는 것이 종래기술을 통해 알려져 있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충전재를 특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출성형과 같은 일부 성형 공정과 양립가능한 용융유동 또는 유변학적 거동을 나타내는 중합체 제제를 얻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 이유는 이러한 중합체 조성물이 예를 들면 사출성형과 같은 특정한 성형 장치에서 쉽고 빠르게 전달되고 취급될 수 있도록, 그리고 다양하면서 다소 복잡한 형상의 물품을 생산가능하도록 용융 상태에서 충분히 유동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행하기 위해, 작업을 높은 사출온도에서 보통 수행하지만 이로 인해 중합체 분해 및 높은 에너지 비용이라는 문제점들이 야기된다.
게다가, 사출 공정 및 몰드(성형틀)로부터의 분리에 유리하도록, 그리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출성형 분야에서는 윤활처리된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합체, 특히는 폴리아미드에 윤활제를 첨가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때 윤활제는 그 자체가 여러 가지 윤활제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이들 윤활제를 통상 중합체 그래뉼 주변으로 증착 및 분산시킨다. 그 후 성형을 위해 그래뉼을 재용융시킨다. 중합체 그래뉼을 재용융시키고, 상기 용융된 중합체에 윤활제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때때로는 윤활제를 성형 단계 도중에 도입하기도 한다. 이들 방법은 복잡하면서도, 중합체의 재용융 또는 그래뉼 상으로의 윤활제 증착이라는 추가 단계들이 요구되므로 상당한 비용이 든다. 따라서, 중합체의 중합 공정 동안에 윤활제들을 도입시키는 것이 더 단순하고 더 경제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사출성형시 제제를 처리하는 능력과 제조되는 물품의 양호한 기계적 물성 사이를 잘 절충시킬 수 있는 조건 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출성형에 의한 물품 제조에서의 윤활처리된 폴리아미드의 용도를 제공하며, 하기 사항들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폴리아미드의 종류는 폴리아미드 6 또는 66이며, 점도지수는 ISO307 표준에 따라 측정되었을 때 95 내지 125 ml/g를 나타내고;
- 상기 폴리아미드는 가압 하의 증류 단계, 감압 단계, 마무리 단계 및 그래뉼화 단계를 포함하는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윤활제,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사슬제한제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도입한다:
ο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할 시에는, 마무리 단계가 끝나기 전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하고,
ο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하지 않을 시에는, 마무리 단계가 끝나기 전에 윤활제를 도입하고,
ο 가압 하의 증류 단계 이후 윤활제를 도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도 덕분에 만족스러운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사출성형 물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윤활처리된 폴리아미드로 인한 이러한 결과는 다소 복잡한 형상의 물품을 보다 온화한 사출성형 온도 조건 하에 제조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온도 조건은 특히 에너지를 절약하고, 폴리아미드의 분해 현상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용도 덕분에 성형 물품의 제조에 필요한 주기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공장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윤활처리된 폴리아미드는 단순하면서 경제적인 방식으로 얻어진다. 이는 그래뉼 상에 윤활제를 증착시키는 추가 단계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그래뉼은 이미 윤활처리된 것이므로, 추가적인 윤활 단계 없이 직접 제형 및/또는 성형될 수 있다. 이는 상당한 이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윤활처리된 폴리아미드로 인해 만족스러운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사출성형 물품을 제조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기계적 물성은 구체적으로 케이블 타이(cable tie) 분야에 적용하기에 높은 비파단 수준으로 반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소 복잡한 형상의 물품을 보다 온화한 사출성형 온도 조건 하에 제조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온도 조건은 특히 에너지를 절약하고, 폴리아미드의 분해 현상을 줄일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 덕분에 일부 윤활제의 사슬제한 효과라는 장점을 누릴 수 있게 되며, 이는 더욱더 폴리아미드의 제조를 단순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도 덕분에 성형 물품의 제조에 필요한 주기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공장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밖에, 윤활제는 중합 공정 동안 늦게 도입되어도 되며, 이는 중합부(polymerization unit) 내에 상당한 가요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 이유는 윤활제를 늦게 첨가하면 대다수의 다양한, 가령 윤활처리되거나 윤활처리되지 않은, 폴리아미드 등급을 하나의 동일한 중합부에서 계속 생산가능하기 때문이다. 윤활제를 일찍 도입하면, 생산하고자 하는 폴리아미드 등급이 변화되는 동안 공장이 오염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윤활제를 늦게 도입하면, 중합 공정에 방해되는 요소를 제한할 수 있다.
중합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는 모든 종류의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아미드 6이나 폴리아미드 66에 기초한 공중합체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프로락탐 또는 6-아미노헥산 산의 중합으로 생성되는 폴리아미드, 또는 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 사이의 중합으로 생성되는 폴리아미드에 효과적이다. 임의의 폴리아미드계 조성물 및 임의의 폴리아미드계 공중합체에 적합하다.
ISO307 표준은 폴리아미드 용액의 25℃에서의 흐름 시간에 대한 측정치에 따라 점도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규약을 정의한다. 상기 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 66 또는 폴리아미드 6일 경우에는, 90% 포름산 중에서의 중량 함량이 5 g/l인 용액을 마련한다. 유리하게는, 특히 90% 포름산에 용해된 폴리아미드 66 또는 폴리아미드 6의 ISO307 표준에 따른 점도지수는 105 내지 125 mg/ml,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2 ml/g이다.
폴리아미드는 매트릭스로서 폴리아미드를 기재로 하고 소포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 첨가제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숙지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매트화제(mattifying agent), 가령 이산화티탄 또는 황화아연; 열 및/또는 광 안정화제; 생리활성제; 또는 방오제(soil-release agent)와 같은 기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리스트가 모든 것을 망라한 것은 아니다.
카복실 이산 단량체 및 디아민 단량체를 출발물질로 한 중합은 보통 세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계는 "N 염"으로 알려져 있는 디(암모늄 카복실레이트)염을 수중에서 농축시키는 것이다. 이 단계의 후속으로는 산 및 아민 관능기의 축합반응에 해당되는 아미드화 단계가 이어지며, 이때 아미드화 반응은 일반적으로 가압 하의 증류 단계와, 분해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원하는 중합도가 얻어질 때까지 상기 축합반응을 대기압 또는 진공압 하에 지속한다. 이 단계는 마무리 단계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추후에는 폴리아미드를 압출하고, 그런 후에 그래뉼화 단계에서 그래뉼 형태로 만든다.
락탐 및 아미노산을 출발물질로 하는 중합, 특히 폴리아미드 6의 제조는, 단량체들과 물을 혼합하는 단계, 가열 단계, 선택적으로는 승압 단계에 이은 분해 단계, 선택적으로는 진공압 하에서의 마무리 단계, 일반적으로는 수득된 생성물의 그래뉼화 단계, 추출 단계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르면, 윤활제는 사슬제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앞서 정의된 지방산 또는 지방산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1 구현예에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사슬제한제는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도입된다.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르면, 윤활제는 사슬제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앞서 정의된 지방산 및/또는 지방산 금속염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구현예에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사슬제한제는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도입될 수 있다.
윤활제가 사슬제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앞서 정의된 지방산 또는 지방산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으며,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사슬제한제를 중합 공정 동안에 도입하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서는, 사슬제한제를 그래뉼화 이전에 도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에 따르면, 윤활제는 사슬제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앞서 정의된 지방산 및/또는 지방산 금속염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사슬제한제가 선택적으로 첨가된다. 아무런 사슬제한제도 첨가하지 않았다면, 사슬제한 효과를 나타내는 윤활제, 또는 사슬제한 효과를 나타내는 1종 이상의 성분을 그래뉼화 이전에 도입한다. 사슬제한제를 첨가하고자 한다면, 폴리아미드 66의 경우에는 "N 염"의 농축 단계를 시작하기 이전과 그래뉼화 이전 사이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하거나, 폴리아미드 6의 경우에는 단량체들 및 물의 혼합 단계와 그래뉼화 이전 사이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윤활제 및 사슬제한제를 그래뉼화 이전에 도입한다.
상기 공정은 마무리 단계를 포함하며, 이 경우, "그래뉼화 이전"에 대해 위에 주어진 정의는 "마무리 단계가 끝나기 전에"에 해당된다.
"그래뉼화 이전"이란 용어는 폴리아미드가 그래뉼화되기 전의 적어도 3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분; 그리고 폴리아미드가 그래뉼화되기 전의 적어도 15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윤활처리된 폴리아미드는 N 염의 용액 또는 단량체를 함유한 액체를 포함하는 용융 상에서 실시된 중축합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수득되며, 반응 스트림은 수평 축을 갖는 반응기의 하부에서 또는 관형 장치에서 저속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중축합 반응은 대략 5~30 bar의 압력과 대략 215~300℃의 온도에서 실시된다. 그런 후에는 반응 스트림을 플래셔(flasher), 즉 교환 표면적이 충분한 고온의 관형 장치 내를 통과시켜 대기압까지 비-단열 팽창하게 함으로써, 생성물의 결정화를 방지한다. 이러한 작업과정시, 물질의 스트림에 존재하는 잔류 물이 증발된다. 다음으로는 증기 및 액체 스트림을 기/액 분리기에서 분리할 수 있다. 원하는 진행도를 달성하기 위해, 피니셔(finisher)에서, 대기압 또는 감압 하에 용융 상에서 중축합을 지속시킨다. 액상으로, 피니셔 내의 체류 시간은 바람직하게 5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분보다 훨씬 길다.
윤활제 혼합물의 다양한 성분들과 선택적으로는 사슬제한제 각자를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서로 다른 시점으로 개별적으로 도입하거나,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동시에 도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윤활제 혼합물의 다양한 성분들을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동시에 도입한다.
사슬제한제를 도입하고자 한다면, 폴리아미드 66의 경우에는 "N 염"의 농축 단계를 시작하기 이전과 마무리 단계가 끝나는 시점 사이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하거나, 폴리아미드 6의 경우에는 단량체들 및 물의 혼합 단계와 마무리 단계가 끝나는 시점 사이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한다. 바람직하게, 폴리아미드 66의 경우에는 "N 염"의 농축 단계 이전 또는 도중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하거나, 폴리아미드 6의 경우에는 단량체들 및 물의 혼합 단계 도중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한다.
상기 공정은 가압 하의 증류 단계, 및 감압 단계를 포함하며; 윤활제는 가압 하의 증류 단계 이후에, 바람직하게는 감압 단계 이후에 도입된다.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은 연속식이거나 회분식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속식 공정이다.
연속식 공정의 경우, 감압 단계는 플래셔를 통과하면서 행해지며, 윤활제를 플래셔의 입구에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지 내에서, "플래셔의 입구에"란 표현은 플래셔를 통과하면서 행해지는 감암 단계가 시작되는 시점에 윤활제를 도입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의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윤활제를 마무리 단계가 시작하는 시점과 끝나는 시점 사이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수단은 본 발명을 시행하는 동안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수단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숙지하고 있다.
유리하게는, 윤활제 및 선택적으로 사슬제한제를 도입하는 경우, 폴리아미드의 재용융 단계를 행하지 않는다.
윤활제
전술한 바와 같은 윤활제 또는 윤활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지 내에서, "1종의 윤활제" 또는 "상기 윤활제"란 용어는 윤활제 단독이거나, 윤활제 혼합물의 성분들 중 하나이거나, 윤활제 혼합물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윤활제"란 용어는 폴리아미드 산업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며, M.I. Kohan, Hanser Publishers, 1995, Nylon Plastics Handbook의 439쪽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윤활제는 파라핀일 수 있다. 파라핀은 순수 물질 또는 공업용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한다. 파라핀은 탄화수소 오일이거나 왁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파라핀은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이다. 유리하게, 윤활제는 평균 탄소원자수가 8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80, 유리하게는 15 내지 50인 파라핀이다.
윤활제는 또한 지방산, 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가능하다. 이들 화합물은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적합할 수 있는 지방산으로는, 16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을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산의 예로,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알긴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lignoceric acid), 세로틴산, 멜리스산 또는 에이코사노산을 언급할 수 있다. 스테아르산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은 탄소수 6 내지 24의 1가 또는 2가 카복실산인 것이 유리하다. 이들 2가 산 중에서, 펠라르곤산, 마르가르산 또는 도데칸디카복실산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 금속염으로서, 전술된 바와 같은 지방산 염을 바람직하게는 선택할 수 있다. 지방산 금속염의 예로, 알루미늄-, 칼슘-, 마그네슘- 또는 아연- 스테아레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방산 금속염은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이다.
윤활제가 알루미늄-, 칼슘- 또는 아연- 스테아레이트인 경우에는 스테아레이트 외의 윤활제도 본 발명의 공정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지방산과 지방산 금속염은 폴리아미드에 사슬제한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적합할 수 있는 지방산 에스테르는, 앞서 정의된 지방산 1종 이상과 보통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지방 알코올 1종 이상 사이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에스테르일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의 예로,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팔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에이코실 알코올, 바이페닐 알코올, 테트라코실 알코올, 세로티닐 알코올 또는 멜리실 알코올을 언급할 수 있다. 지방 알코올은 또한 에톡실화된 지방 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윤활제는 파라핀과 지방산 및/또는 지방산 금속염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 윤활제는 파라핀과 지방산과 지방산 금속염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윤활제는 파라핀과 스테아르산 및/또는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 윤활제는 파라핀과, 스테아르산과,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이다.
유리하게, 폴리아미드의 중량에 대한 윤활제의 중량 분율은 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이다.
윤활제는 다양한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윤활제가 상온에서 액체인 경우 윤활제는 액체 형태로 도입되거나, 용융된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윤활제는 고체 형태로, 예를 들면, 마스터배치 형태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성분들의 혼합물인 윤활제에서, 일부 성분은 고체 형태로 있을 수 있고, 다른 성분은 액체 형태로 있을 수 있다.
윤활제는, 첨가제를 도입하기 위해 당업자가 숙지하고 있는 임의의 방법에 따라 도입된다.
사슬제한제
또한, 폴리아미드 사슬제한제를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도입할 수 있다. 사슬제한제의 예로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 모노카복실산,
- 디카복실산,
- 모노- 또는 디카복실산의 금속염,
- 모노아민,
- 디아민, 관능기들 중 하나는 장애 관능기임(HALS), 및
-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사슬제한제는 아세트산, 벤조산, 라우르산, 프로피온산, 벤질아민, n-헥사데실아민, n-옥타데실아민, n-도데실아민, 및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윤활처리된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사출성형 물품을 목표로 하며, 이때 상기 물품은 일반적으로 충전재를 함유하지 않는 성형 물품으로,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타이, 연결기, 밸브, 전자 또는 전기 열쇠, 고정 부재(이를테면, 파스너, 클램프, 클립 등)이다.
본 발명의 기타 상세한 내용 또는 이점들은 하기에 제시되는 실시예를 참조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1.
폴리아미드의 제조:
- 대조군 폴리아미드: 피니셔 다음에 도입되는 윤활제
나일론 염의 용액을 증발기 내에 도입하고, 증발기에서 물의 일부를 제거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렇게 농축된 나일론 염의 용액을, 열교환 유체에 의해 250℃까지 가열된 수평축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중축합 반응이 일어나서, 예비중합체가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예비중합체에는 여전히 제거되어야만 하는 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어서, 예비중합체를 플래셔로 이송한 후, 280℃까지 가열하였다. 이로써 형성된 예비중합체와 수증기의 혼합물을 수평형 피니셔로 보내어, 수증기와 예비중합체를 분리시키고 반응을 지속시켰다.
피니셔를 교반하고, 열교환 유체에 의해 280℃까지 가열하였다. 그런 후에는 기어 펌프를 이용하여, 윤활처리된 중합체를 다이 블록으로 전달하였다. 다이에서 나오는 로드(rod)들을 냉각시키고, 그래뉼화 시스템을 통해 잘게 절단하였다.
"백색 미네랄 오일"(CAS 번호 8042-47-5)로도 알려져 있는 액상 파라핀, 스테아르산 및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윤활제 혼합물을 피니셔 다음에 배치된 기어 펌프의 상향으로 도입하되, 그래뉼화 단계 이전에 수십 초 동안(10초 내지 30초) 도입하였다.
-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중합 공정 동안에 도입되는 윤활제
나일론 염의 용액을 증발기 내에 도입하고, 증발기에서 물의 일부를 제거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렇게 농축된 나일론 염의 용액을, 열교환 유체에 의해 250℃까지 가열된 수평축 반응기에 공급하였다. 중축합 반응이 일어나서, 예비중합체가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예비중합체에는 여전히 제거되어야만 하는 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어서, 예비중합체를 플래셔로 이송한 후, 280℃까지 가열하였다. 이로써 형성된 예비중합체와 수증기의 혼합물을 수평형 피니셔로 보내어, 수증기와 예비중합체를 분리시키고 반응을 지속시켰다.
"백색 미네랄 오일"(CAS 번호 8042-47-5)로도 알려져 있는 액상 파라핀, 스테아르산 및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윤활제 혼합물을, 마무리 장치의 입구에서, 수평형 피니셔 위에 배치된 개구를 통해 도입하였다.
기어 펌프를 이용하여, 윤활처리된 중합체를 다이 블록으로 전달하였다. 다이에서 나오는 로드들을 냉각시키고, 그래뉼화 시스템을 통해 잘게 절단하였다.
대조군 폴리아미드의 그래뉼과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의 그래뉼을 건조공기 건조기 내에 최소 4시간 동안 80의 온도로 두었다. 건조 후 그래뉼의 수분 함량은 0.11%였다.
2. 성형 전의 점도지수 측정:
첫 번째 시험은, 90% 포름산 중에서의 중량 함량이 5 g/l인 폴리아미드 용액의 25℃에서의 흐름 시간에 대한 측정치를 사용하는 ISO307 표준에 따라, 점도지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건조시킨 그래뉼부터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제공하였다.
3.
부품의 사출 성형:
몰드 내 16개의 요홈을 가지고 잠금력(clamping force)이 320톤인 기계 상에서 길이 390mm의 케이블 타이를 성형하였다. 시작점은 320℃의 사출 온도에서 대조군 시험의 성형(상기 제조된 대조군 폴리아미드부터 성형)이다. 제1 내지 제3 시험 각각에 대한 성형(상기 제조된 본 발명에 다른 폴리아미드부터 성형)을 계속하고, 제2 및 제3 시험을 위한 사출 온도를 아래의 표 1에 주어진 바와 같이 낮추었다. 추후의 파단 시험과 성형 후의 점도지수 측정을 위해 200개 내지 300개의 타이를 인출하였다.
4.
성형 후의 점도지수 측정:
동일한 방법을 점도지수의 측정을 위한 제2 지점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90% 포름산 중에서의 중량 함량이 5 g/l인 폴리아미드 용액의 25℃에서의 흐름 시간에 대한 측정치를 사용하는 ISO307 표준과 일치한다. 사출성형 부품들부터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제공하였다.
5.
대기 온도(23℃)에서의
비파단도
(
degree
of
nonbreaking
) 측정
전술된 공정에 따라 성형한 50개의 타이를 시료로 하였다. 50개의 타이 중 25개 타이의 헤드부를 저부에서 취하고, 25개 타이의 헤드부는 상부에서 취하였다. 그리고나서, 이들 타이의 헤드부가 안착되는지(헤드부 내부로 테이프를 이동시킴) 감시하였다. 성형된 시료들은 23℃로 온도 조절된 챔버에 증착하고, 성형 후 24시간이 지나면 시험을 수행하였다.
헤드부에서의
파단 시험
본 시험은 타이가 정지될 때까지 타이의 모든 테이프를 그의 헤드부에 건조 상태의 빠른 이동으로 통과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 만일 테이프가 타이의 헤드부 수준에서 파단되지 않으면, 후자는 "헤드부에서의 비파단" 컬럼에 포함된다. 그 후, 동일한 타이를 사용하여, 테이프에서의 파단 시험을 수행한다.
- 만일 테이프가 타이의 헤드부 수준에서 파단되면, 테이프에서의 파단 시험을 수행한다.
테이프에서의 파단 시험
본 시험은 (테이프의 성능에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벤딩부 외측을 향해 헤드부를 고정시키는 치부(teeth)에 해당되는 테이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포된 5 군데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테이프를 굽히는 것으로 구성된다.
- 상기 5 군데에서의 굽힘 후에도 테이프가 파단되지 않고, 헤드부에서도 파단되지 않았으면, 해당 타이는 "테이프 및 헤드부에서의 비파단" 컬럼에 속하게 된다.
- 테이프는 파단되지 않지만 이전의 시험 동안에 헤드부가 파단되었다면, 해당 타이는 "테이프에서의 비파단" 컬럼에 속한다.
- 테이프가 파단되고 이전의 시험 동안에 헤드부가 파단되지 않았다면, 해당 타이는 "헤드부에서의 비파단" 컬럼에 분류된다.
- 타이가 테이프 및 헤드부 모두에서 파단된다면, 이전 범주(... 비파단됨)에 속하지 않는다.
표 1에서 비파단%의 결과를 표현할 때, 다음과 같은 계산과정이 행해졌다:
헤드부 및 테이프에서의 비파단% = 테이프에서의 비파단% * 헤드부에서의 비파단% /100
6.
시험 결과:
비파단 시험의 결과 | ||||
사출성형 온도 (℃) |
사출성형 압력 (bar) | 유지 압력 (bar) |
헤드부 및 테이프에서의 비파단% | |
대조군 | 320℃ | 150 | 85 | 92 |
제1 시험 | 320℃ | 143 | 65 | 86 |
제2 시험 | 315℃ | 145 | 80 | 88 |
제3 시험 | 310℃ | 146 | 85 | 90 |
모든 시험에 대한 주기시간은 9초로 하였다.
점도지수 측정에 대한 시험 결과 | |
제품 | 성형 전 점도지수 / 성형 후 점도지수 |
대조군 | 136/127 |
제1 시험 | 119/113 |
제2 시험 | 119/117 |
제3 시험 | 119/119 |
7.
결론:
표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시험들이 양호한 기계적 물성(비파단%로 표시함)을 보유하면서, 대조군 시험과 비교하여 사출성형 온도를 최대 10도만큼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3은,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험들의 성형 전 점도지수가 대조군 시험의 점도지수보다 현저하게 낮다는 것(이는 사출성형 이전 중합체의 유동성과 이에 따른 다소 복잡한 형상을 생성하는 능력을 반영하는 것임)을 보여 주며; 다른 한편으로는, 역시 대조군 시험과 비교하면서, 성형 전 점도지수와 근접한 성형 후 점도지수를 보여 준다. 성형 전 점도지수와 성형 후 점도지수 간의 이러한 미미한 차이는, 본 발명에 따라, 사출성형 온도를 낮추어도, 제조되는 부품들과 관련하여 양호한 기계적 물성을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는, 다소 복잡한 형상의 사출 성형 시행을 용이하게 하는 특성과, 양호한 기계적 물성을 가진 성형 부품을 제조하는 것 사이를 잘 절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의 경우, 공장의 주기시간을 유지하면서 사출성형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는 산업적인 관점에서 상당한 에너지 절약을 이루는 것이다.
Claims (19)
- - 폴리아미드의 종류는 폴리아미드 6 또는 66이며, 점도지수는 ISO307 표준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95 내지 125 ml/g를 나타내고;
- 폴리아미드는 가압 하의 증류 단계, 감압 단계, 마무리 단계 및 그래뉼화 단계를 포함하는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윤활제,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사슬제한제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ο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할 시에는, 마무리 단계가 끝나기 전에 상기 사슬제한제를 도입하고,
ο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사슬제한제를 도입하지 않을 시에는, 마무리 단계가 끝나기 전에 윤활제를 도입하고,
ο 가압 하의 증류 단계 이후 윤활제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처리된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는 물품의 사출성형을 포함하는 방법인, 물품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윤활제 및 선택적으로는 사슬제한제를 마무리 단계가 끝나기 전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의 점도지수는 ISO307 표준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105 내지 125 ml/g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평균 탄소원자수가 8 내지 100인 파라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지방산, 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파라핀과, 지방산 및/또는 지방산 금속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파라핀과, 지방산과 지방산 금속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지방산은 스테아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지방산 금속염은 알루미늄 디스테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폴리아미드의 중량에 대해 0.1 내지 5 중량%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는 N 염을 농축시키는 단계 또는 단량체들과 물을 혼합하는 단계, 가압 하의 증류 단계, 및 감압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수득되며, 윤활제는 가압 하의 증류 단계 이후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감압 단계 이후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윤활제는 마무리 단계가 시작하는 시점과 끝나는 시점 사이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슬제한제는 폴리아미드의 중합 공정 동안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사슬제한제는 하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모노카복실산,
- 디카복실산,
- 모노- 또는 디카복실산의 금속염,
- 모노아민,
- 디아민, 관능기들 중 하나는 장애 관능기임, 및
- 이들의 혼합물. - 제14항에 있어서, 사슬제한제는 아세트산, 벤조산, 라우르산, 프로피온산, 벤질아민, n-헥사데실아민, n-옥타데실아민, n-도데실아민, 및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사슬제한제는 N 염을 농축시키는 단계 이전 또는 동안, 또는 단량체들과 물을 혼합하는 단계 동안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도입될 때에는, 폴리아미드의 재용융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사출성형 물품이며, 상기 물품은 케이블 타이(cable tie), 연결기, 밸브, 전자 또는 전기 열쇠, 또는 고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1052040A FR2957603B1 (fr) | 2010-03-22 | 2010-03-22 | Utilisation de polyamide pour la preparation d'articles moules par injection et articles moules ainsi obtenus |
FRFR1052040 | 2010-03-22 | ||
PCT/IB2011/000601 WO2011117709A2 (fr) | 2010-03-22 | 2011-03-22 | Utilisation de polyamide pour la preparation d'articles moules par injection et articles moules ainsi obten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9988A KR20120129988A (ko) | 2012-11-28 |
KR101424907B1 true KR101424907B1 (ko) | 2014-07-31 |
Family
ID=4293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4402A KR101424907B1 (ko) | 2010-03-22 | 2011-03-22 | 사출성형 물품 제조에서의 폴리아미드의 용도 및 그 제조 물품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9919461B2 (ko) |
EP (1) | EP2550334B1 (ko) |
KR (1) | KR101424907B1 (ko) |
CN (1) | CN102822280B (ko) |
BR (1) | BR112012023756B1 (ko) |
ES (1) | ES2681216T3 (ko) |
FR (1) | FR2957603B1 (ko) |
WO (1) | WO2011117709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6600A (ko) | 2015-08-04 | 2017-02-14 |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 케이블 타이용 수지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12047B2 (en) | 2012-06-22 | 2016-04-12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Method and compositions for producing polymer blends |
CN103333335A (zh) * | 2013-06-21 | 2013-10-02 |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高流动性pa10t聚酰胺树脂及由其组成的聚酰胺组合物 |
KR20170110915A (ko) * | 2016-03-24 | 2017-10-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장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펠렛, 이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
WO2017184422A1 (en) * | 2016-04-21 | 2017-10-26 | Invista North America S.A R.L. | Resins for improved flow in injection mold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52905A (en) | 1962-09-07 | 1966-05-24 | Polymer Corp | Polyamide bearings |
KR20020040675A (ko) * | 1999-06-11 | 2002-05-30 | 카이저 도미니끄 |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
KR20020041589A (ko) * | 2000-11-28 | 2002-06-03 | 조 정 래 |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력 폴리아미드6 산업용사의 제조방법 |
KR20090068186A (ko) * | 2007-12-21 | 2009-06-25 | 이엠에스-패턴트 에이지 | 투명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48698A (en) * | 1957-04-11 | 1960-08-09 | Du Pont | Polyamide molding compositions |
US4436898A (en) * | 1982-04-20 | 1984-03-13 | Davy Mckee Aktiengesellschaft, Borsigalle | Preparation of spinnable polyamide from dinitrile, diamine, H2 O with P containing catalyst |
US6515058B1 (en) * | 2000-08-09 | 2003-02-04 |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 Polyamide resin composition |
US7662885B2 (en) * | 2002-08-12 | 2010-02-16 |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 Method to make an article comprising polymer concentrate |
CN102702640A (zh) * | 2006-03-17 | 2012-10-03 |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 耐冲击硬质氯乙烯聚合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
EP1847569B1 (de) * | 2006-04-21 | 2010-01-06 | Ems-Chemie Ag | Transparente Polyamid-Formmassen |
FR2940296B1 (fr) * | 2008-12-19 | 2011-03-18 |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 Procede de preparation de polymere thermoplastique lubrifie |
-
2010
- 2010-03-22 FR FR1052040A patent/FR2957603B1/fr active Active
-
2011
- 2011-03-22 ES ES11717013.4T patent/ES2681216T3/es active Active
- 2011-03-22 WO PCT/IB2011/000601 patent/WO2011117709A2/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3-22 US US13/635,270 patent/US9919461B2/en active Active
- 2011-03-22 BR BR112012023756A patent/BR112012023756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1-03-22 EP EP11717013.4A patent/EP2550334B1/fr active Active
- 2011-03-22 KR KR1020127024402A patent/KR1014249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3-22 CN CN201180015728.6A patent/CN10282228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52905A (en) | 1962-09-07 | 1966-05-24 | Polymer Corp | Polyamide bearings |
KR20020040675A (ko) * | 1999-06-11 | 2002-05-30 | 카이저 도미니끄 | 폴리아미드 제조 방법 |
KR20020041589A (ko) * | 2000-11-28 | 2002-06-03 | 조 정 래 |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력 폴리아미드6 산업용사의 제조방법 |
KR20090068186A (ko) * | 2007-12-21 | 2009-06-25 | 이엠에스-패턴트 에이지 | 투명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6600A (ko) | 2015-08-04 | 2017-02-14 |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주식회사 | 케이블 타이용 수지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550334A2 (fr) | 2013-01-30 |
US20130193614A1 (en) | 2013-08-01 |
CN102822280A (zh) | 2012-12-12 |
FR2957603A1 (fr) | 2011-09-23 |
WO2011117709A3 (fr) | 2012-01-05 |
US9919461B2 (en) | 2018-03-20 |
ES2681216T3 (es) | 2018-09-12 |
WO2011117709A2 (fr) | 2011-09-29 |
BR112012023756B1 (pt) | 2019-12-03 |
KR20120129988A (ko) | 2012-11-28 |
EP2550334B1 (fr) | 2018-05-30 |
BR112012023756A2 (pt) | 2017-10-03 |
CN102822280B (zh) | 2015-12-09 |
FR2957603B1 (fr) | 2013-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4907B1 (ko) | 사출성형 물품 제조에서의 폴리아미드의 용도 및 그 제조 물품 | |
US8501900B2 (en) | Nylon resins and process | |
EP2726537B1 (en) | Branched polyamide with different blocks | |
KR20110069789A (ko) | 개질된 폴리아미드,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폴리아미드로 수득된 물품 | |
JP5871243B2 (ja) | 半芳香族ポリアミド | |
CN109679339A (zh) | 一种改善脱模性和柔性的聚酰胺56组合物及其应用 | |
JPH0323093B2 (ko) | ||
EP1312633A1 (de) |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Polyamidformmasse | |
JPH11228816A (ja) | 成形特性に優れる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のペ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115160779B (zh) | 一种聚酰胺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TWI477515B (zh) | 製備經潤滑之熱塑性聚合物之方法 | |
US3564075A (en) | Polyamides with improved transparency containing polyvinyl pyrrolidone | |
JPH01141025A (ja) | 成形体 | |
JP2003003062A (ja) | ポリアミド組成物 | |
US3962400A (en) | Injection molding of polyamides prepared from terephthalic acid mono- or di-methyl esters and 2,2,4-and/or 2,4,4-trimethylhexamethylenediamine | |
JPS6390560A (ja) |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 |
JPH08231711A (ja) | ポリアミド樹脂 | |
JPS6236070B2 (ko) | ||
JPH03128966A (ja) |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モノフィラメント | |
KR20240058169A (ko) | 폴리아미드의 연속 배치 생산을 위한 공정 | |
EP0267646A1 (en)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amide shapes with improved properties | |
CN118126518A (zh) | 一种pa56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JP2024530207A (ja) | ポリアミド組成物 | |
JP2024540752A (ja) |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 |
JPH0393856A (ja) | ナイロン46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