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725B1 -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725B1
KR101424725B1 KR1020140068413A KR20140068413A KR101424725B1 KR 101424725 B1 KR101424725 B1 KR 101424725B1 KR 1020140068413 A KR1020140068413 A KR 1020140068413A KR 20140068413 A KR20140068413 A KR 20140068413A KR 101424725 B1 KR101424725 B1 KR 101424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pecific gravity
tank
vacuum chamber
bru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탁
Original Assignee
(주) 미래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래이피 filed Critical (주) 미래이피
Priority to KR1020140068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46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crubbing means, e.g. brus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with the semiconductor substrates being dipped in baths 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증착공정에 사용되는 진공챔버 또는 화학물질이 담겨진 탱크(2)의 표면에 흡착된 케미컬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고압 세척하는 단계; (b) 세척액(3)이 채워진 세척용 수조(1)에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침적시키는 단계; (c) 상기 세척용 수조(1)에 다수의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투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세척용 수조(1)에 채워진 상기 세척액(3)에 와류를 일으켜 상기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통해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세척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는: 반구형 구조체로 이루어지되, 밑변(10a)의 중앙부에는 결합돌기(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1)를 둘러싸도록 자체의 비중을 조절하는 원형의 제1 비중 조절홈(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밑변(10a)을 제외한 외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솔모가 한 묶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 브러쉬(31)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몸체(10); 및 상기 제1 몸체(10)와 대칭되도록 반구형 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몸체(1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원구형 구조체를 구성하고, 밑변(20a)의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1)가 결합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비중 조절홈(12)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홈(21)을 둘러싸도록 자체의 비중을 조절하는 원형의 제2 비중 조절홈(2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밑변(20a)을 제외한 외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솔모가 한 묶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2 브러쉬(32)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몸체(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비중 조절홈(12, 2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에어 포켓에는 세척액(3)의 비중에 따라 자체의 비중을 조정하여 상기 세척액(3) 내에서 침적 깊이를 조정하기 위해 비중 조절용 중량체(4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장치의 증착공정에 사용되는 진공챔버 또는 화학물질이 담겨진 탱크를 세척액에 채워진 세척용 수조에 침적시킨 후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다수 개의 볼 브러쉬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를 세척함으로써 적은 인력으로도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의 표면에 흡착된 케미컬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BALL BRUSHES FOR CLEANING CHEMICAL CONTAMINANTS AND METHOD FOR CLEANING CHEMICAL CONTAMIANT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챔버 또는 탱크의 표면에 흡착된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반도체 장치의 증착공정에 사용되는 진공챔버 또는 화학물질이 담겨진 탱크의 표면에 흡착된 케미컬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화학기상증착방법은 보통 유기 화학물질을 기체 상태로 만들어 기판의 소정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기판 상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여 상기 기판 상에 소정의 증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 이루어지는 증착공정은 통상 증착 효율과 오염 방지 등을 위해서 주로 밀폐된 진공챔버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공챔버는 내부가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외부에서 유입된 불순물 또는 반응 잔류물 등과 같은 케미컬 오염물이 진공챔버의 내부 표면에 흡착된 상태로 잔존하는 경우, 이러한 오염물로 인해 증착공정에서 기판 상에 형성된 증착층이 오염되어 증착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형화되고 회로가 고집적화되어 미세하고 정밀한 증착층이 요구됨에 따라 증착공정이 진행되는 진공챔버의 청결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 중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진공챔버는 제조공정에서 코팅물질로 무기물 대신 유기물을 사용함에 따라 코팅공정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진공챔버의 내부 표면에 흡착되어 잔존하는 유기물이 부패되어 변색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오염물 제거는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산업의 성패를 판가름할 만큼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증착공정에 사용되는 진공챔버에 흡착된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착공정 전후에 진공챔버에 대해 세정공정 및 세척공정을 실시하고 있다. 기존의 세척공정은 주로 고압 세척 및 스팀 세척 방식, 세제를 이용한 화학 세정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폐수처리 문제와 많은 인력 투입 등의 문제로 장시간 세척이 어렵고, 일반 물을 세척수로 이용한 고압 세척 방법은 오염물 제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미스트(mist) 때문에 알카리성 세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KR 10-2012-0137650 A, 2012. 12. 24. p4~p5. KR 10-2003-0021412 A, 2003. 03. 15. p3~p4. KR 20-0273923 Y1, 2002. 04. 18. p2. KR 20-2009-0011316 A, 2009. 11. 05, p3~p4.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적은 인력으로 반도체 장치의 증착공정에 사용되는 진공챔버 또는 화학물질이 담겨진 탱크의 표면에 흡착된 케미컬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증착공정에 사용되는 진공챔버 또는 화학물질이 담겨진 탱크(2)의 표면에 흡착된 케미컬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고압 세척하는 단계; (b) 세척액(3)이 채워진 세척용 수조(1)에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침적시키는 단계; (c) 상기 세척용 수조(1)에 다수의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투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세척용 수조(1)에 채워진 상기 세척액(3)에 와류를 일으켜 상기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통해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세척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는: 반구형 구조체로 이루어지되, 밑변(10a)의 중앙부에는 결합돌기(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1)를 둘러싸도록 자체의 비중을 조절하는 원형의 제1 비중 조절홈(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밑변(10a)을 제외한 외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솔모가 한 묶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 브러쉬(31)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몸체(10); 및 상기 제1 몸체(10)와 대칭되도록 반구형 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몸체(1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원구형 구조체를 구성하고, 밑변(20a)의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1)가 결합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비중 조절홈(12)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홈(21)을 둘러싸도록 자체의 비중을 조절하는 원형의 제2 비중 조절홈(2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밑변(20a)을 제외한 외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솔모가 한 묶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2 브러쉬(32)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몸체(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비중 조절홈(12, 2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에어 포켓에는 세척액(3)의 비중에 따라 자체의 비중을 조정하여 상기 세척액(3) 내에서 침적 깊이를 조정하기 위해 비중 조절용 중량체(4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100)는 그 내부에 삽입된 상기 비중 조절용 중량체(40)에 의해 상기 세척액(3)이 채워진 상기 세척용 수조(1) 내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단계에서, 제어부(201)와 타이머(204)를 통해 와류 발생부(202)의 수압 노즐의 방향을 일정 시간마다 조정하여 상기 세척용 수조(1) 내에서 와류 방향을 조정하고, 세척 작업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 대상인 진공챔버 또는 탱크를 세척액에 채워진 세척용 수조에 침적시킨 후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다수 개의 볼 브러쉬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를 세척함으로써 적은 인력으로도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의 표면에 흡착된 케미컬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 브러쉬를 서로 착탈가능한 제1 및 제2 몸체로 구성함으로써 세척용 수조에 상기 볼 브러쉬를 투입하기 전, 각 볼 브러쉬의 제1 및 제2 몸체를 상호 분리한 후 세척액의 비중에 따라 그 내부에 비중 조절용 중량체를 적정 개수로 채워 각 볼 브러쉬의 비중을 조절함에 따라 각 볼 브러쉬의 비중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 브러쉬의 외면에 다수의 솔모가 한 묶음으로 이루어진 브러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브러쉬를 통해 부력을 형성하여 세척액 내의 적절한 높이에 배치되어 진공챔버 또는 탱크에 흡착된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몸체를 밑변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이용한 세척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이용한 세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100)는 전체적으로 원구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부력을 갖도록 에어 포켓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브러쉬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 브러쉬(100)는 반구형 구조체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 비중 조절용 중량체(40)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서로 대칭 구조로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및 제2 몸체(10, 2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몸체(10, 20)는 서로 대칭되도록 돔 형상의 반구형 구조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호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원구형 구조의 볼 브러쉬(100)를 형성한다.
도 2와 같이, 제1 몸체(10)의 밑변(10a)의 중앙부에는 제2 몸체(20)와 결합되는 결합돌기(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밑변(10a)에는 결합돌기(11)를 둘러싸도록 원형의 제1 비중 조절홈(12)이 마련되어 있으며, 밑변(10a)을 제외한 외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솔모가 한 묶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 브러쉬(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제2 몸체(20)의 밑변(20a)의 중앙부에는 제1 몸체(10)의 결합돌기(11)가 결합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몸체(10)의 제1 비중 조절홈(12)에 대응하여 밑변(20a)에는 결합홈(21)을 둘러싸도록 원형의 제2 비중 조절홈(2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몸체(20)의 밑변(20a)을 제외한 외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솔모가 한 묶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2 브러쉬(3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브러쉬(31, 32)는 제1 및 제2 몸체(10, 20)의 외면에 마련된 홈부(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를 통해 부착되거나, 혹은 고정 철핀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 몸체(10, 20)는 상호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돌기(11)의 외주면과 결합홈(21)의 내주면에는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1)와 결합홈(21)이 나사 결합되어 제1 및 제2 몸체(10, 20)가 상호 결합되면, 제1 및 제2 비중 조절홈(12, 22)은 서로 맞닿아 에어 포켓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볼 브러쉬(100)에는 물의 비중보다 작은 부력이 형성되어 수면 위에 뜨게 된다.
도 2 및 도 3와 같이, 제1 및 제2 비중 조절홈(12, 22)에 의해 형성된 에어 포켓을 밀봉하기 위하여 제1 비중 조절홈(12)을 둘러싸도록 밑변(10a)에는 제1 오링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비중 조절홈(22)을 둘러싸도록 밑변(20a)에는 제2 오링홈(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오링홈(13, 23)에는 오링(50)이 끼워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몸체를 밑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비중 조절홈(12, 22)이 상호 맞닿아 형성된 에어 포켓에는 볼 브러쉬(100)의 비중을 조절하기 위해 비중 조절용 중량체(40)가 삽입된다. 비중 조절용 중량체(40)는 일정 중량을 갖는 금속 볼,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 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개의 볼 브러쉬(100)에는 다수의 비중 조절용 중량체(40)가 삽입되고, 그 개수에 따라 볼 브러쉬(100)의 비중이 결정된다.
즉, 제1 및 제2 비중 조절홈(12, 22)을 통해 형성된 에어 포켓 내에 삽입되는 비중 조절용 중량체(4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볼 브러쉬(100)의 비중은 증가하게 되어 수면 아래 방향으로 가라앉게 되고, 이와 반대로 비중 조절용 중량체(40)의 개수가 감소할수록 볼 브러쉬(100)의 비중은 감소하게 되어 수면 위로 올라가게 된다.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비중 조절홈(12, 22)을 통해 형성된 에어 포켓을 내부에 삽입된 비중 조절용 중량체(40)는 볼 브러쉬(100)의 유동시 에어 포켓 내에서 볼 브러쉬(100)의 기울기 방향에 대응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볼 브러쉬(100)는 수면 내에서 무게 중심의 변동에 따라 자유 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이용하여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세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 브러쉬(100)를 이용하여 진공챔버 또는 화학물질을 보관하는 탱크(2)를 세척하기 위해 세척용 수조(1)를 준비한다.
세척용 수조(1)에는 진공챔버 또는 탱크(2)의 내부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3)이 채워진다. 이때, 세척액(3)은 진공챔버 또는 탱크(2)의 내부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에 따라 다양한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진공챔버 또는 탱크(2)의 내부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과 화학 반응하여 상기 오염물을 융해하고 중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오염물에 따라 다양한 성분들이 혼합된 수용액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세척 대상인 진공챔버가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의 증착공정에 사용된 경우, 진공챔버의 내부 표면에 흡착된 유분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액(3)은 약알카리성을 띠며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뜨거운 물(대략 70~8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볼 브러쉬(100)를 통해 진공챔버로부터 분리된 유분은 알칼리에 의해 용해된 후 다시 비누화되어 세정제 역할을 하며, 산성분은 알카리에 중화되어 제거된다.
도 5와 같이, 세척용 수조(1)에는 내부에 채워진 세척액(3)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와류 발생부(202)가 설치된다. 이때, 와류 발생부(202)는 수압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압 노즐을 통해 세척용 수조(1)의 내부에 채워진 세척액(3)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비중에 따라 세척액(3) 내에서 적정 높이에 배치된 다수의 볼 브러쉬(100)가 세척액(3)의 회전에 대응하여 유동하여 진공챔버 또는 탱크(1)를 세척한다.
다수 개의 볼 브러쉬(100)는 세척용 수조(1)를 채우는 세척액(3)에 투입되며, 이때, 세척액(3) 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볼 브러쉬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 포켓에는 서로 다른 개수로 비중 조절용 중량체(40)가 삽입된다.
작업자는 볼 브러쉬(100) 투입 전, 각 볼 브러쉬(100)의 제1 및 제2 몸체(10, 20)를 상호 분리하여 그 내부에 비중 조절용 중량체(40)를 적정 개수로 채워 각 볼 브러쉬(100)의 비중을 조절하여 세척용 수조(1)에 투입한다. 각각의 볼 브러쉬(100)는 서로 다른 비중에 따라 세척액(3) 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게 된다.
세척 작업시, 와류 발생부(202)와 가열부(20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1)는 타이머(204)의 설정에 따라 와류 발생부(202)의 수압 노즐의 방향을 일정 시간마다 조정하여 세척용 수조(1) 내에서 와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1)는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골고루 세척시키는 한편, 타이머(204)를 통해 작업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작업자가 상시 대기하지 않아도 장시간 침전 세척이 가능하게 되어 적은 인력으로도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진공챔버 또는 탱크(2)의 세척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세척하고자 하는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고압으로 세척한다(ST1).
이후, 1차 고압 세척이 완료된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도 5에 도시된 세척용 수조(1)에 침적시킨다(ST2). 이때, 세척용 수조(1)에는 진공챔버 또는 탱크(2)의 내부 표면에 흡착된 오염물과 화학반응하여 융해 또는 중화시킬 수 있는 세척액(3)이 채워져 있다.
이후, 세척용 수조(1)에 세척액(3)의 비중을 고려하여 세척액(3) 내에서 적절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비중을 갖는 다수의 볼 브러쉬(100)를 투입한다(ST3).
이후, 세척용 수조(1) 내에서 세척액(3)에 와류(회전)를 유발시켜 다수의 볼 브러쉬(100)를 유동시키고, 이를 통해 진공챔버 또는 탱크(1)를 세척한다(ST4). 즉, 세척액(3) 내에서 적정 높이에 배치된 다수의 볼 브러쉬(100)가 세척액(3)의 회전에 따라 함께 유동하면서 세척용 수조(1)에 침적된 진공챔버 또는 탱크(1)에 충돌하고, 이에 따라 외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브러쉬(31, 32)가 진공챔버 또는 탱크(1)에 흡착된 오염물을 진공챔버 또는 탱크(1)로부터 분리시켜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다수의 볼 브러쉬(100)를 이용한 세척이 완료되면, 진공챔버 또는 탱크(1)에 대해 헹굼 세척을 진행하여 진공챔버 또는 탱크(1)에 대한 세척을 마무리 한다(ST5). 이때, 헹굼 세척은 순수한 물(증류수)을 이용하여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척용 수조 2 : 진공챔버 또는 탱크
3 : 세척액 10 : 제1 몸체
11 : 결합돌기 12 : 제1 비중 조절홈
13 : 제1 오링홈 20 : 제2 몸체
21 : 결합홈 22 : 제2 비중 조절홈
23 : 제2 오링홈 31 : 제1 브러쉬
32 : 제2 브러쉬 40 : 비중 조절용 중량체
50 : 오링 100 : 볼 브러쉬
10a, 20a : 밑변 201 : 제어부
202 : 와류 발생부 203 : 가열부
204 : 타이머

Claims (3)

  1. 반도체 장치의 증착공정에 사용되는 진공챔버 또는 화학물질이 담겨진 탱크(2)의 표면에 흡착된 케미컬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고압 세척하는 단계;
    (b) 세척액(3)이 채워진 세척용 수조(1)에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침적시키는 단계;
    (c) 상기 세척용 수조(1)에 다수의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투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세척용 수조(1)에 채워진 상기 세척액(3)에 와류를 일으켜 상기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를 통해 상기 진공챔버 또는 탱크(2)를 세척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는:
    반구형 구조체로 이루어지되, 밑변(10a)의 중앙부에는 결합돌기(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1)를 둘러싸도록 자체의 비중을 조절하는 원형의 제1 비중 조절홈(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밑변(10a)을 제외한 외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솔모가 한 묶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 브러쉬(31)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몸체(10); 및
    상기 제1 몸체(10)와 대칭되도록 반구형 구조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몸체(1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원구형 구조체를 구성하고, 밑변(20a)의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돌기(11)가 결합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비중 조절홈(12)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홈(21)을 둘러싸도록 자체의 비중을 조절하는 원형의 제2 비중 조절홈(2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밑변(20a)을 제외한 외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솔모가 한 묶음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2 브러쉬(32)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몸체(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비중 조절홈(12, 2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에어 포켓에는 세척액(3)의 비중에 따라 자체의 비중을 조정하여 상기 세척액(3) 내에서 침적 깊이를 조정하기 위해 비중 조절용 중량체(4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케미컬 오염물 세척용 볼 브러쉬(100)는 그 내부에 삽입된 상기 비중 조절용 중량체(40)에 의해 상기 세척액(3)이 채워진 상기 세척용 수조(1) 내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제어부(201)와 타이머(204)를 통해 와류 발생부(202)의 수압 노즐의 방향을 일정 시간마다 조정하여 상기 세척용 수조(1) 내에서 와류 방향을 조정하고, 세척 작업시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KR1020140068413A 2014-06-05 2014-06-05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KR101424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413A KR101424725B1 (ko) 2014-06-05 2014-06-05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413A KR101424725B1 (ko) 2014-06-05 2014-06-05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866 Division 2014-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725B1 true KR101424725B1 (ko) 2014-08-04

Family

ID=5174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413A KR101424725B1 (ko) 2014-06-05 2014-06-05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4307A (ja) * 2015-04-30 2018-06-07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および制御方法
KR20230171668A (ko)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에스이지 반도체 장비용 오토 플러싱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784U (ja) * 1992-07-31 1994-02-22 宏 堀江 洗濯球(ワッシングボール)
KR20030021412A (ko) * 2001-09-06 2003-03-15 김준기 세탁기용 세탁볼
KR200433678Y1 (ko) 2006-09-29 2006-12-13 박용진 세탁볼
JP2013509980A (ja) 2009-11-10 2013-03-21 パク,ホヨン 洗濯機洗浄ボールの誘導装置及び洗浄ボールのための排水口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784U (ja) * 1992-07-31 1994-02-22 宏 堀江 洗濯球(ワッシングボール)
KR20030021412A (ko) * 2001-09-06 2003-03-15 김준기 세탁기용 세탁볼
KR200433678Y1 (ko) 2006-09-29 2006-12-13 박용진 세탁볼
JP2013509980A (ja) 2009-11-10 2013-03-21 パク,ホヨン 洗濯機洗浄ボールの誘導装置及び洗浄ボールのための排水口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4307A (ja) * 2015-04-30 2018-06-07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および制御方法
KR20230171668A (ko)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에스이지 반도체 장비용 오토 플러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105B1 (ko) 액 처리 장치 및 액 처리 방법
US7913346B2 (en) Substrate treatment apparatus and substrate treatment method
JP2018014353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処理カップ洗浄方法
KR101424725B1 (ko) 케미컬 오염물 세척방법
KR101668139B1 (ko) 액처리 장치 및 액처리 방법
US20190035644A1 (en)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198689A (ja) 基板処理装置
KR102051635B1 (ko) 오염물을 갖는 브러시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040746B1 (ko) 습식 기판 세정 장치 및 그 세정 방법
JP2019013913A (ja) 被洗浄物の脱脂及び溶剤除去洗浄方法
JP2006278957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KR20160076366A (ko)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이 행해진 웨이퍼의 세정 장치
JP2015005771A (ja) 液処理装置および液処理方法
JP5855721B2 (ja) 液処理装置および液処理方法
KR100634443B1 (ko) 이송 로봇의 척 세정장치
CN206981315U (zh) 一种硅片清洗槽
KR101853625B1 (ko) 카메라 렌즈의 수지세정 장치
CN215965212U (zh) 一种用于单片湿处理制程的槽式工艺系统
JP6099996B2 (ja) オゾン水を用いた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JP2007266554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JP2014014741A (ja) 低環境負荷対応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CN105436138A (zh) 一种蓝宝石清洗装置
CN105363729A (zh) 一种蓝宝石晶片的清洗装置
KR102277540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컵 유닛
JP2005270830A (ja) 冶具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